KR101250491B1 - Method for growing plants - Google Patents

Method for growing pl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491B1
KR101250491B1 KR1020090084792A KR20090084792A KR101250491B1 KR 101250491 B1 KR101250491 B1 KR 101250491B1 KR 1020090084792 A KR1020090084792 A KR 1020090084792A KR 20090084792 A KR20090084792 A KR 20090084792A KR 101250491 B1 KR101250491 B1 KR 101250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lant
frequency
sound wave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7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6932A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그린테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테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테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491B1/en
Publication of KR20110026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9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4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12Sonic or ultrasonic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식물 재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1Hz 내지 3KHz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선택된 주파수를 가지며, 65 내지 85dB의 음압을 가지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식물에게 상기 음파를 발생시켜서 식물을 재배하는 식물 재배 방법은 식물에 이로우며, 특정 음압을 가지는 음파 주파수와 단일초음파 주파수를 이용하여 식물에 생육과 병해충을 방지할 수 있고, 소음공해, 환경오염 및 생태계 파괴없이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고 병해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정 음역대의 음파 처리에 의해 식물체가 가진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며, 대상작물에 특정 단일음파를 처리함으로써, 잿빛곰팡이병을 방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plant cultivation method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t cultivation method in which a speaker having a frequency selected from a frequency range of 1 Hz to 3 KHz and generating sound waves having a sound pressure of 65 to 85 dB generates the sound waves to the plant to grow the pla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rowth and pests on plants by using sound frequency and single ultrasonic frequency with specific sound pressure, and to promote the growth of crops and prevent pests without noise pollutio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system destruction.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a specific gene possessed by the plant by the sonic treatment of a specific sound range, by treating a specific single sound wave to the target crop,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ntrol the gray mold disease.

식물, 음파, 초음파, 주파수, 음압. Plant, sound waves, ultrasound, frequency, sound pressure.

Description

식물 재배 방법{Method for growing plants}Method for growing plants

본 발명은 식물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lant cultivation.

음악을 동식물, 특히 농작물에 들려주어 생육을 촉진시키는 방법은 비료나 농약 등의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생육방법과 달리,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고 병해충을 방지하며, 환경공해를 유발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The method of promoting the growth by bringing music to animals and plants, especially crops, has the advantage of promoting the growth of crops, preventing pests, and causing no environmental pollution, unlike growth methods using chemicals such as fertilizers and pesticides. have.

식물에 음악을 들려주어 생육을 촉진하려는 시도는 1860년경 진화론을 주장한 찰스 다윈에 의해 최초로 시도된 이래, 1950년 인도의 싱 교수가 인도의 전통음악인 라가를 벼, 땅콩 및 담배에 들려주어 수확량 증가를 이룬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는 음파가 식물세포에 공명현상을 일으켜 신진대사를 자극하고 음향에너지가 세포분자 및 원형질의 운동을 촉진시킴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Attempts to promote growth by bringing music to plants were first attempted by Charles Darwin, who claimed evolution in circa 1860, and in 1950, Indian professor Singh gave the Indian traditional music, Lagar, to rice, peanuts, and tobacco to increase yields. It is known that this is due to sound waves resonating to plant cells, stimulating metabolism, and acoustic energy promoting the movement of cell molecules and plasma.

그러나 종래의 생육촉진방법에 사용된 음악은 주로 4,000Hz의 이상의 고주파를 사용하는 동시에 오케스트라에 의한 심포니 연주음악과 유사한 복잡한 음악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간의 청신경을 자극하여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며, 인공음으로 듣 기에도 거북하여 재배자의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식물의 생육촉진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전기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경제적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However, the music used in the conventional growth promotion method mainly uses high frequency of 4,000Hz or more and at the same time uses complex music similar to the symphony playing music by the orchestra, so that it stimulates the human auditory nerve, causing stress, and listening to the artificial sound. In the early period of time, it was also a problem that the grower's work efficiency decreased and the plant growth efficiency decreas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d a problem that can not be economically grown plants when using the electric method to promote the growth of plants.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음파, 초음파 등을 이용한 동, 식물 등의 생육 및 병/해충 억제에 관한 방법과 그 장치 등은 단순하게 음악, 음파, 초음파 등이 동, 식물 재배 관련하여 가지는 효과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나 넓은 작물재배 공간과 좁고 긴 시설하우스에 어떻게 적용되어 있는지 그 방법과 시스템 장치 구현에 관한 내용을 제기하지 않으며, 주파수 범위가 폭넓게 제시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실제 농식물 재배 농장에서 구현 가능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growth and suppression of diseases and pests of copper, plants and the like using sound waves, ultrasonic waves, etc. simply have the effect that the music, sound waves, ultrasonic waves, etc. The main content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wide range of frequency ranges without presenting the method and system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in the wider crop cultivation space and the narrow and long facility hous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a practical and effective method is not presented in the actual agricultural plantation farm.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is technical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s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a publicly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식물에 이로우며, 특정 음압을 가지는 음파 주파수와 단일초음파 주파수를 이용하여 식물에 생육과 병해충을 방지할 수 있고, 소음공해, 환경오염 및 생태계 파괴없이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고 병해충을 방지할 수 있는 식물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beneficial to plants, by using a sound wave frequency and a single ultrasonic frequency having a certain sound pressure to prevent growth and pests on the plant, promote the growth of crops and prevent pests without noise pollutio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system destruction Provides a plant growing method that can be.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음역대의 음파 처리에 의해 식물체가 가진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식물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cultivation method for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a specific gene possessed by a plant by sonic treatment of a specific band.

또한, 본 발명은 대상작물에 특정 단일음파를 처리함으로써, 잿빛곰팡이병을 방제할 수 있는 식물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cultivation method that can control gray mold by treating a specific single sound wave to the target crop.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1Hz 내지 3KHz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선택된 주파수를 가지며, 65 내지 85dB의 음압을 가지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식물에게 상기 음파를 발생시켜서 식물을 재배하는 식물 재배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nt cultivation method in which a speaker having a frequency selected from a frequency range of 1 Hz to 3 KHz and generating a sound wave having a sound pressure of 65 to 85 dB generates the sound wave to the plant to grow the plant. .

여기서, 상기 스피커는 20KHz 내지 26KHz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선택된 주파수를 가지며, 65 내지 85dB의 음압을 가지는 초음파를 상기 식물에게 더 발생시킬 수 있다. Here, the speaker has a frequency selected from the frequency range of 20KHz to 26KHz, it is possible to further generate an ultrasonic wave having a sound pressure of 65 to 85dB.

여기서, 음파는 1Hz 내지 3KHz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선택된 주파수를 가지며, 65 내지 85dB의 음압을 가지는 제1 음파와, 1Hz 내지 3KHz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선택된 주파수를 가지며, 제1 음파의 주파수와 다르며, 65 내지 85dB의 음압을 가지는 제2 음파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ound wave has a frequency selected from the frequency range of 1Hz to 3KHz, the first sound wave having a sound pressure of 65 to 85dB, and has a frequency selected from the frequency range of 1Hz to 3KHz,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of the first sound wave, 65 to It may include a second sound wave having a sound pressure of 85dB.

여기서, 상기 스피커는 시설 하우스안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는 복수이며, 상기 인접한 스피커의 이격 거리는 40m 내지 60m가 될 수 있다. Here, the speaker may be installed in a facility house, the speaker is a plurality,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adjacent speaker may be 40m to 60m.

또한, 본 실시예는 식물에 일당 2 내지 4시간씩 상기 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mote the growth of the plant by generating the sound waves for 2 to 4 hours per day to the plant.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잇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방법은 식물에 이로우며, 특정 음압을 가지는 음파 주파수와 단일초음파 주파수를 이용하여 식물에 생육과 병해충을 방지할 수 있고, 소음공해, 환경오염 및 생태계 파괴없이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고 병해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Plant cultiv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neficial to plants, by using a sound wave frequency and a single ultrasonic frequency having a certain sound pressure to prevent growth and pests on the plant, and the growth of crops without noise pollutio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system destruction It has the effect of promoting and preventing pes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방법은 특정 음역대의 음파 처리에 의해 식물체가 가진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며, 대상작물에 특정 단일음파를 처리함으로써, 잿빛곰팡이병을 방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lant cultiv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expression of a specific gene possessed by the plant by sound wave treatment of a specific range, and by treating a specific single sound wave to the target crop,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ntrol the gray mold diseas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 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웨이브 발생장치(110)는 음파 및/또는 초음파를 발생하고, 이러한 음파와 초음파는 스피커(a)를 통해 식물에게 전달된다. 1 is a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wave generator 110 generates sound waves and / or ultrasonic waves, which are transmitted to the plant through the speaker a.

여기서, 음파는 그 주파수가 1Hz-3KHz이며, 초음파의 주파수는 23KHz(+/_ 3KHz)가 될 수 있다. 또한, 음파와 초음파의 음압(dB)은 넓은 작물 재배 면적과 좁고 긴 시설하우스 시설에 적합하도록 그 크기가 65-85(dB) 중 어느 음압이 될 수 있다. 스피커(a)에서 발생하는 초음파 및 음파의 음압은 85(dB)이고, 약 35m 지점(c)에서는 음압이 65(dB)로 작아진다. 또한, 최대 도달 거리(b)에서는 그 크기가 미약하게 측정된다.Here, the sound wave may have a frequency of 1 Hz-3 KHz, and the frequency of the ultrasonic wave may be 23 KHz (+ / _ 3 KHz). In addition, the sound pressure (dB) of sound waves and ultrasonic waves can be any sound pressure of 65-85 (dB) in size suitable for a large crop growing area and a narrow and long facility house facility. The sound pressure of the ultrasonic wave and the sound wave generated in the speaker a is 85 (dB), and at about 35 m point (c), the sound pressure is reduced to 65 (dB). In addition, at the maximum reach distance b, the magnitude thereof is measured weakly.

또한 점선으로 그려진 부분(상,하 10m / 좌,우 40m 정도)이 음파 및 초음파 음압 영역이며 가장자리에서 약 65(dB)의 음압을 측정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 drawn with dotted line (up, down 10m / left, right 40m) is the sound wave and ultrasonic sound pressure area, and it can measure sound pressure of about 65 (dB) at the edge.

스피커(a)에서 약 4m 지점 후단(d)의 경우 약 65(dB)의 음압이 발생한다. 이는 스피커(a) 방향이 오른쪽 방향이고 스피커 몸체 구조를 왼쪽 방향으로 설계하여 음압이 조절된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rear end d of about 4 m from the speaker a, a sound pressure of about 65 dB is generated. The speaker (a) is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 sound pressure is adjusted by designing the speaker body structure in the left direction.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음파와 초음파의 주파수 및 음압의 조절을 통해 식물의 재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With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reate a plant cultivation environment through the control of the frequency and sound pressure of sound waves and ultrasonic wave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식물 재배 장치가 시설 하우스내에 설치된 도면이다. 여기서, 시설 하우스(e)는 현재 보급 권장되고 있는 1-2W형(600평) 시설 하우스이다.2 is a view showing on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stalled in a facility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facility house (e) is a type 1-2W (600 pyeong) facility house is currently being recommended for distribution.

시설 하우스(e) 내에 스피커(a)에서 발생하는 음파 및 초음파의 범위(d, b, c)는 도면과 같이 음압(65-85dB)에 상응하여 발생한다. 따라서 좁고 긴 시설 하우스(e)의 고른 음압 분포를 위해 웨이브발생장치(210)와 연결된 8개의 스피커(a)를 배치해서 넓은 시설 하우스(e) 내에서 작물에게 적정 음압((dB)을 들려줄 수 있다.   The ranges d, b, c of sound waves and ultrasonic waves generated in the speaker a in the facility house e ar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sound pressure (65-85 dB) as shown. Thus, for even distribution of sound pressure in the narrow and long facility house (e), eight speakers (a) connected to the wave generator 210 are arranged to give the crop the appropriate sound pressure ((dB)) in the wide facility house (e). Can be.

8개의 스피커(2, 12, 13, 14, 15, 16, 17, 18)가 웨이브발생장치(210)에 연결된 구조는 도 3a에 도시하였다. 도 3a를 참조하면, 시설 하우스(1)의 내부에 도 1에서 상술한 음파 및 초음파의 영역(5, 7, 8, 9)을 가진 8개의 스피커(2, 12, 13, 14, 15, 16, 17, 18)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음압의 경우 서로 바라보는 스피커는 40m 내지 60m 이격되어 설치된다. A structure in which eight speakers 2, 12, 13, 14, 15, 16, 17, and 18 are connected to the wave generator 210 is illustrated in FIG. 3A. Referring to FIG. 3A, eight loudspeakers 2, 12, 13, 14, 15, and 16 are provided inside the facility house 1 with regions 5, 7, 8, and 9 of the sound waves and ultrasonic waves described above in FIG. 1. , 17, 18) are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sound pressure described above, the speaker looking at each other is installed spaced 40m to 60m apart.

하나의 스피커로 넓은 시설 하우스(1)에 영향을 주려면 그 출력이 매우 커서, 시설 하우스(1) 내에 작용하는 음파보다 시설 하우스(1) 외부로 출력되는 음파로 인해 소음 피해를 야기시킬 수 밖에 없으므로 시설 하우스(1) 내에 맞는 스피커(2, 12, 13, 14, 15, 16, 17, 18)의 배치가 필요하다.In order to affect a large facility house 1 with a single speaker, its output is very large, causing noise damage due to the sound waves output outside the facility house 1 rather than the sound waves acting inside the facility house 1. The arrangement of speakers 2, 12, 13, 14, 15, 16, 17, 18 in the facility house 1 is required.

또한, 상술한 1-2W형 보다 면적이 넓은 시설 하우스의 경우 스피커를 음파 및 초음파 라인이 형성하는 면적에 맞게 설치할 수 있다. 스피커(12)와 스피커(1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4~5m 간격을 두고 배치를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facility house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1-2W type described above, the speaker may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area formed by the sound wave and ultrasonic lines. The speaker 12 and the speaker 13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4-5 m in opposite directions.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 의해 하루에 2 내지 4시간씩 처리하여 재배된 식물의 비교 결과를 도시한 사진이다. (C-1)은 음파로 처리하지 않은 식물, (B-1)은 40 내지 60dB의 음파로 처리한 식물 및 (A-1)은 65 내지 85dB의 음파로 처리한 식물이다. 본 처리 대상 식물은 오이이며, 처리 기간은 20 내지 25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파는 대상 식물의 재배 기간동안 계속 처리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65 내지 85dB의 음파로 처리하는 경우 식물의 생장 속도 및 크기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3b is a photograph showing a comparison result of plants grown by treatment for 2 to 4 hours a day by the plant gr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1) is a plant not treated with sound waves, (B-1) is a plant treated with sound waves of 40 to 60 dB, and (A-1) is a plant treated with sound waves of 65 to 85 dB. The plant to be treated is cucumber, and the treatment period is 20 to 25 days. Sound w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ntinuously processed during the growing period of the target plant. Referring to Figure 3b, it can be seen that the growth rate and size of the plant increases when treated with sound waves of 65 to 85dB.

본 실시예에 따른 음파는 단일 음파 또는 복합 음파가 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음파는, 1Hz 내지 3KHz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선택된 주파수를 가지며, 65 내지 85dB의 음압을 가지는 제1 음파와, 1Hz 내지 3KHz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선택된 주파수를 가지며, 제1 음파의 주파수와 다르며, 65 내지 85dB의 음압을 가지는 제2 음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음파와 제2 음파는 후술할 바와 같이 각각 특정 유전자 발현과 잿빛곰팡이병균 억제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The sound 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single sound wave or a complex sound wave. In the latter case, the sound wave has a frequency selected from a frequency range of 1 Hz to 3 KHz, a first sound wave having a sound pressure of 65 to 85 dB, a frequency selected from a frequency range of 1 Hz to 3 KHz, and is different from a frequency of the first sound wave, It may include a second sound wave having a sound pressure of 65 to 85dB. Here, the first sound wave and the second sound wave may have the effect of suppressing specific gene expression and gray mold, as described below.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벼를 복합 음파로 처리한 후 무처리된 벼와 역 노던(Reverse Northern) 방법으로 선발된 다수의 유전자 중 현저한 발현양의 차이를 보이는 알도레이즈 유전자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외부에서 처리하는 특정주파수의 음파와 처리시간의 변이에 의해 그 발현양이 저하 또는 증폭될 수 있다. 또한, 이 유전자의 프로모터를 분리하여 마커 유전자와 융합하여 벼에 형질전환시킨 후 이 형질전환벼에 같은 처리를 한 결과, 이 프로모터가 외부의 특정 음파를 감지하여 자신과 결합된 다른 유전자의 발현도 같은 형태로 조절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6616에 개시된바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reating the rice with a compound sound wave and has an aldose gene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ression of a number of genes selected by unprocessed rice and the Reverse Northern metho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amount of expression may be reduced or amplified by the variation of the sound wave and the processing time of a specific frequency processed externally. In addition, the promoter of this gene was isolated, fused with a marker gene, transformed into rice, and the same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transformed rice. As a result, the promoter sensed an external specific sound wave and expressed the expression of another gene associated with it. It can be adjusted in the same form. This embodiment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716616 as described below.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체는 자체 보유한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 조절을 통해 생육이 조절되며 외부환경에도 대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을 통해 우리가 원하는 시기에 특정 음파를 처리할 경우 식물이 보유한 다양한 유전자들을 인위적으로 발현시킴으로서 그 식물체의 생장조절 또는 병 및 불량환경에 저항하는 자체 방어기작을 단시간 내에 유도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lant is known to control the growth and control the external environment by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various genes own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ous genes possessed by the plant when processing a particular sound wave at the desired time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By artificially expressing them, it is possible to induce short-term self-defense mechanisms against growth regulation or disease and poor environment of the plant.

또한, 분리된 알도레이즈의 프로모터를 우리가 원하는 유전자와 결합시킨 후 식물체에 도입할 경우 특정음파 처리에 의해 도입된 유전자의 발현을 실시간 증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병 및 불량환경에 의한 재해는 농작물 수확 감소의 가장 큰 원인(50% 이상 감소)으로서 작물재배 한계의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작물 유전자들의 기능이 밝혀지고 있고 이들 유전자들의 발현 조절을 통해 재해저항성이 증가되거나 또는 식물 생육 및 생리대사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는바, 본 발명으로 개발된 기술을 적용 또는 응용할 경우 식물 유전자들의 실시간 발현조절을 통한 인위적인 작물의 재해저항성 유도, 식물생육 및 생리대사 조절이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promoter of the isolated aldose combined with the desired gene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plant, it is possible to amplify the expression of the introduced gene by a specific sonication in real time. For example, disease and poor environmental disasters are the biggest cause of crop yield reduction (more than 50%), which is a decisive factor in crop cultivation limits. Recently, molecular biology research has revealed the function of crop genes,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disaster resistance is increased or plant growth and physiological metabolism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se genes. When applied, it is possible to induce disaster resistance of artificial crops, control plant growth and metabolism by controlling expression of plant genes in real time.

본 실시예는 특정 음파처리에 의해 벼가 보유하고 있는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는 (A) 복합적인 음파에 의해 발현에 차이를 보이는 벼 유전자를 선발하기 위한 서브트랙티브 스크리닝하는 단계, (B) 선발된 유전자 각각에 대한 복합음파에 의한 발현 차이를 확인하는 단계, (C) 선발된 유전자들 중 광(light)에 반응하는 유전자인 알도레이즈와 루비스코 유전자가 암상태에서도 복합음파에 의해 광상태와 같이 반응하는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D) 특정음파를 처리하기 위해 특수 제작된 무소음 식물생장상에서 특정음파를 처리하는 단계 및 (E) 특정 주파수의 음파별 처리와 처리시간에 의해 알도레이즈 유전자의 발현량이 조절되는 것을 증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method for artificiall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a specific gene possessed by rice by specific sonication, and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That is, the present embodiment (A) a subtractive screening for selecting a rice gene showing a difference in expression by the complex sound waves, (B) confirming the expression difference by the compound sound waves for each of the selected genes Step (C) confirming the result that the Aldoraz and Rubisco genes, which are genes that respond to light among the selected genes, react in the dark state with the complex state by the complex sound wave, (D) specific sound wave It may include the step of processing a specific sound wave on the noiseless plant growth specially manufactured to process (E) and the step of demonstrating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the aldose gene is controlled by the processing and processing time for each sound wave of a specific frequency.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음파에 반응하는 유전자인 알도레이즈 유전자의 프로모터를 분리하고 그 기능을 구명하였으며, 이 과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F) 알도레이즈 유전자의 프로모터의 분리하여 마커 유전자인 GUS 유전자와 결합시킨 후 식물 형질전환용 운반체를 제작하는 단계, (G) 벼 부정배 캘러스에 아그로박테리움을 감염시켜 형질전환하고 재분화시켜 육성하는 단계, (H) bar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 방법으로 유전자의 도입여부를 확인하고 선발하는 단계, (I) GUS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RT-PCR 방법으로 GUS 유전자의 발현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J) 형질전환된 벼에서 도입된 알도레이즈 프로모터가 원래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광반응 발현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K) 형질전환된 벼에 특정 음파 (50과 250 Hz)를 각각 처리한 후 GUS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RT-PCR 방법으로 GUS 유전자의 발현 조절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moter of the aldose gene, which is a gene that responds to a specific sound wave, was isolated, and its function was determined. This process may include the following steps.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F) isolation of the promoter of the aldose gene and binding to the GUS gene, which is a marker gene, to produce a carrier for plant transformation, (G) infecting Agrobacterium on rice malt callus Transforming and re-differentiating to cultivate, (H) confirming and selecting the introduction of the gene by PCR method using a bar specific primer, (I) whether to express the GUS gene by RT-PCR method using the GUS specific primer (J) confirming whether the aldose promoter introduced from the transformed rice maintains its original properties and expressing the photoreaction, and (K) specific sound waves in the transformed rice (50 and 250 Hz). ) After each treatmen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GUS gene is regulated by RT-PCR using a GUS specific primer.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음파는 두 가지 종류로서 첫 번째는 복합음파인데, 일반적인 클래식 음악, 즉 모차르트의 운명 교향곡과 비발디의 사계 등 다양한 음악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CD를 컴퓨터를 이용해 소음생장상내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식물체에 들려주었다. 본 CD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소리를 혼재하고 있어 어떤 특정 음파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고 있는지 밝혀내기에 어려움이 있었다.There are two types of sound waves use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eing a compound sound wave, which is a general CD composed of various classical music such as Mozart's fate symphony and Vivaldi's four seasons. The plant was told through. The CD contains a wide variety of complex sounds, making it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specific sound waves regulate gene expression.

두 번째는 특정 음파로서 한국 과학기술원 기계 공학과에서 제작한 컴퓨터 사운드 제너레이터(Sound generator)라는 일종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장상내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식물체에 원하는 주파수를 원하는 시간만큼 처리가 가능하여 유전자 발현 조절에 가장 효과적인 특정 음역대를 구명해 내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The second is a specific sound wave, which was processed using a computer software program called a computer sound generator produced by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program could be easily used to identify specific bands that are most effective in controlling gene expression by allowing computers to process the desired frequencies for the desired time through speakers mounted in the growing field.

본 실시예에 따르면, 50, 125, 250, 1 및 5 KHz의 음역대를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나, 결론적으로는 250 Hz가 알도레이즈 유전자의 발현유도와 그의 프로모터의 조절에는 가장 효과적인 음역대였으며, 50 Hz는 반대의 효과를 나타내어 이 두 가지의 음역대를 이용하면 알도레이즈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할 수도 있고, 감소시킬 수도 있었다.According to this exampl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the ranges of 50, 125, 250, 1 and 5 KHz, but in conclusion, 250 Hz was the most effective range for the expression of the Aldolase gene and the regulation of its promoter. Using the opposite band, the opposite effect could induce or decrease the expression of the Aldorase gene.

알도레이즈 유전자의 프로모터는 그 유전자의 유용성, 보편성 및 음파반응의 민감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 분리되었다. 알도레이즈 유전자는 하등 미생물로부터 고등 동물까지 거의 모든 생물체가 갖고 있고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유전자로서 식물에서는 해당과정을 거쳐 일부는 전분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중요한 유전자이다. 또한 상기에서 분석한 결과 음파에 반응하는 다수의 유전자들 중 음파처리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유전자 중의 하나이다. 이 프로모터를 다른 특정유전자와 결합하여 식물체에 도입할 경우, 특정음파를 처리하여 우리가 원하는 시기에 이 프로모터와 결합된 특정유전자의 발현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식물체의 생장조절 또는 병해 및 불량환경에 저항하는 자체 방어기작을 단시간에 유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현실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 promoter of the aldose gene was selected and separated in consideration of its usefulness, universality and sensitivity of sonic response. Aldorase genes are essential genes for almost all organisms, from lower microorganisms to higher animals, and are essential to sustain life. In plants, they are important genes involved in starch synthesis processes. In addition, it is one of the genes most sensitive to sonic processing among a plurality of genes that respond to sound waves as a result of the above analysis. When this promoter is combined with other specific genes and introduced into the plant, it is possible to artificially regulate the expression of the specific gene associated with this promoter by processing specific sound waves, thereby controlling plant growth or disease and poor environment. The possibility of inducing short-term self-defense mechanisms against this could be realized.

도 4를 참조하면, 벼에 복합음파 처리 후 발현에 차이를 보이는 유전자들이 선발된다. 생장상내에서 벼에 복합음파를 처리하여 음파에 반응하여 발현에 차이를 보이는 유전자를 선발하였다. 노던 혼성화(Northern hybridization) 분석에 의한 서브트랙티브 스크리닝 방법으로 다수의 유전자를 선발하였으며, 각각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상동성을 검색한 결과를 바탕으로, 프럭토오스 1,6-비스포스페이트 알도레이즈(Fructose 1,6-bisphosphate aldolase), DNA J, 루비스코(Rubisco), 및 칼레티큘린(Calreticulin) 이렇게 네 개의 유전자를 최종 선발하였다.Referring to FIG. 4, genes showing a difference in expression after a compound sonication treatment in rice are selected. In the growing phase, rice was treated with a compound sound wave, and a gene having a difference in expression was selected in response to the sound wave. A number of genes were selected by subtractive screening method by Northern hybridization analysi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pective sequences and searching for homology, fructose 1,6-bisphosphate aldose Four genes were finally selected: Fructose 1,6-bisphosphate aldolase, DNA J, Rubisco, and Calreticulin.

도 5를 참조하면, 복합음파처리에 의한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이 분석된다. 선발된 각각의 유전자에 대해 복합음파에 의한 발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칼레티큘린(Calreticulin) 유전자를 제외한 3개의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플라스미드 DNA로 탐침자(probe)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노던 혼성화(Northern hybridization)방법으로 확인하였다. 한편 칼레티큘린 유전자는 유전자 특이 프라이머인 5'-ATGGGAAGTCGCAGCGGCGGC-3' 및 5'-TCACAAATGAGGATCTTCTCA-3'를 제작하여 역전사효소 PCR 방법으로 95℃에서 5분간 초기 변성시키고, 94℃에서 1분간 변성, 55℃에서 1분간 어닐링 및 72℃에서 2분간 확장하는 사이클을 30회 반복하여 증폭한 후, 최종적으로 72℃에서 10분간 반응하여 분석하였다. 음파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래식 음악, 즉 모차르트의 운명 교향곡과 비발디의 사계 등 다양한 음악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CD를 이용하여 복합음파를 처리하였으며, 컴퓨터를 이용해 CD에 수록된 클래식 음악을 4시간 동안 생장상내부에 있는 벼 식물체에 처리하였다. 도 5의 결과로부터 프럭토오스 1,6-비스포스페이트 알도레이즈(Fructose 1,6-bisphosphate aldolase), 루비스코(Rubisco), DNA J 및 칼레티큘린(Calreticulin) 유전자의 발현이 음파처리시 무처리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ferring to Figure 5, the expression pattern of the genes by compound sonication is analyzed.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expression by compound sound for each selected gene, three genes except the Calreticulin gene were cloned to make a probe with plasmid DNA, and using it, Northern hybridization. It was confirmed by the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caleticulin gene was prepared by 5'-ATGGGAAGTCGCAGCGGCGGC-3 'and 5'-TCACAAATGAGGATCTTCTCA-3' gene-specific primers, and denatured at 95 ° C for 5 minutes, and denatured at 94 ° C for 1 minute, 55 The cycle of annealing at 1 ° C. for 1 minute and expanding at 2 ° C. at 72 ° C. was repeated for 30 times, and finally, it was analyzed by reacting at 72 ° C. for 10 minutes. As described above, the sound waves were processed using a general CD composed of various music such as classical music, that is, Mozart's fate symphony and Vivaldi's four seasons, and the classical music contained in the CD was grown for four hours using a computer. The rice plants were treated. From the results of FIG. 5, the expression of fructose 1,6-bisphosphate aldolase, Rubisco, DNA J and calreticulin genes was untreated during sonic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e significantly compared to.

도 6을 참조하면, 복합음파처리에 의한 광반응 유전자들의 발현양상이 분석된다. 상기에서 분리된 유전자 중 알도레이즈 유전자와 루비스코 유전자는 광에 의해서 발현이 조절되는 유전자이다. 이들 유전자가 음파에 의해 암 상태에서도 동 유전자들의 발현을 유도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암 상태에서 3엽기의 벼를 10일 동안 생육시킨 다음 빛이 있는 상태로 생육시킨 벼와 같은 방법으로 음파 를 처리하여 발현양상을 분석하였다. 발현양상은 노던 블랏(Northern blot)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의 결과를 통하여 알도레이즈 유전자가 암 상태에서 복합 음파처리시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Figure 6, the expression pattern of the photoreaction genes by compound sonication is analyzed. Among the genes isolated from above, the Aldolase gene and the Rubisco gene are genes whose expression is controlled by light. In order to analyze whether these genes can induce the expression of these genes even in the cancerous state by sound waves, sound waves in the same way as rice grown in the light state after growing three leafy rice for 10 days in the cancerous state Was treated to analyze the expression pattern. Expression was performed by Northern blot (Northern blot) metho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Through the results of FIG. 6,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the aldose gene was increased during complex sonication in the cancer state.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무소음 생장상에서 특정 주파수와 주파수에 따른 시간별 처리에 의한 알도레이즈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분석된다. 시그널 제너레이터(Signal generator)를 이용해 50, 125, 250, 500, 1k 및 5 KHz를 각각 4시간씩 처리하였다. 각각의 주파수가 처리된 벼 잎을 따로 수확하여 RNA를 분리하고 만들어진 탐침자를 이용하여 사운드처리에 의한 발현량의 변화를 노던 블랏으로 분석하였다. 각각의 주파수별 처리에 의한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에서 보여주듯이 50 Hz에서는 발현량이 감소한 반면, 250 Hz에서는 발현량이 증가하였으므로 처리시간에 따른 발현양상을 정밀 분석하였다. 노던 블랏 결과를 살펴보면 50 Hz 처리시에는 무처리에 비해 발현량이 약간 감소하는 반면, 250 Hz 처리시에 발현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한편 50 Hz와 250 Hz 처리 시, 시간별 처리에 따른 발현 양상을 분석해 본 결과, 50 Hz 처리시에는 1시간과 2시간 사이에 유전자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처리 후 4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반면 250 Hz 처리시에는 처리 30분 후 발현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1시간 후 발현량이 최대에 이르렀으며, 4시간 후까지 증가된 발현량이 유지가 되다가 그 이후로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Referring to Figures 7 and 8, the expression pattern of the aldose gene by time-specific processing according to a specific frequency and frequency in the noise-free growth is analyzed. A signal generator was used to treat 50, 125, 250, 500, 1k and 5 KHz for 4 hours each. Each frequency-treated rice leaf was harvested separately, RNA was isolated, and the change of expression level by sound treatment was analyzed by Northern blot. As show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xpression patterns of each frequency treatment, the expression level was decreased at 50 Hz, whereas the expression level was increased at 250 Hz. Looking at the Northern blot results, the expression level was sligh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no treatment at 50 Hz, whereas the expression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250 Hz. On the other hand, when the 50 Hz and 250 Hz treatment, the analysis of the expression pattern according to the hourly treatment, the gene expression was increased between 1 hour and 2 hours at 50 Hz treatment,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4 hours after treatment Could see. On the other hand, in the 250 Hz treatment, the expression level started to increase after 30 minutes of treatment, and the expression level reached after 1 hour, and the increased expression level was maintained until 4 hours,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의 생육을 억제하는 재배 방법이 제시된다. 본 실시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 0795421에 개시된바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ltivation method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gray fungus (Botrytis cinerea). This embodimen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95421.

본 발명에서 상기 단일음파 처리는 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다. 상기 음파발생장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사운드 제너레이터(Sound generator)라고 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한국 과학기술원 제작)이 내장된 컴퓨터를 말하며, 상기 단일음파 처리 단계는 구체적으로 음파발생장치와 생장상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를 연결하여 곰팡이의 균사나 작물에 단일 음파를 처리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세밀한 단위의 음역대까지 구분되어 있어 원하는 음역대의 단일음파를 선택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제작된 프로그램이다. 음파가 처리되는 동안 처리되는 음파이외의 다른 음파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생장상은 그 자체의 소음이 거의 없도록 특수 제작하였고 무소음 생장상이라 명명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le sound wave processing uses a sound wave generator. The sound wave generato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refers to a computer in which a computer software program (manufactured by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is called a sound generator, is embedded, and the single sound wave processing step specifically includes a sound wave generator and a growth image. It refers to the process of processing a single sound wave to fungus hyphae or crop by connecting the speaker installed inside. The computer software program is a program designed to select and process a single sound wave of a desired sound range by dividing it into fine sound ranges. In order to exclude the influence of sound waves other than the sound wave processed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sound waves, the growth phase was specially made so that the noise itself was little and was named as the noiseless growth phase.

본 발명에서 상기 대상작물은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에 의하여 잿빛곰팡이병에 감염될 수 있는 모든 작물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딸기, 상추, 오이, 가지, 고추 등과 같은 채소작물, 나리, 글라디올러스, 장미 등과 같은 화훼작물을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crop refers to all crops that can be infected with ash fungus by Botrytis cinerea, and specifically, vegetable crops such as strawberries, lettuce, cucumbers, eggplants, peppers, lilies, gladiolus, and roses. The same flower crop.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파를 이용하여 특정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조건을 규명하고자 대장균(Escherichia cloi)에 주파수 50 Hz 내지 5 KHz에서 선택된 특정 단일 음파를 처리해 본 결과, 처리된 음파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도 9를 참조하면, 즉 50 이나 500 Hz를 처리한 경우에도 콜로니수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125 Hz 와 250 Hz의 단일 음파를 처리한 한 경우에 무처리군에 비해 세균의 콜로니수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에 따르면, 특정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단일 음파의 주파수는 적정범위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a result of processing a single single sound wave selected at a frequency of 50 Hz to 5 KHz to Escherichia cloi to identify a condition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a specific microorganism using sound waves, Showed different results. Referring to FIG. 9, that is, even when 50 or 500 Hz was treated, the number of colonies was decreased, but when the single sound waves of 125 Hz and 250 Hz were treated, the number of colonies of bacteria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 Could observe. According to this, the frequency of a single sound wave that suppresses the growth of a particular microorganism has an appropriate rang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결과를 토대로 잿빛곰팡이병균에 주파수 50 Hz 내지 5 KHz에서 선택된 특정 단일 음파를 처리해 본 결과, 주파수 250 Hz와 500 Hz 단일음파를 처리한 경우 균사의 생장 및 포자형성율이 무처리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50 Hz,125 Hz 또는 1 KHz 음파를 처리했을 때는, 250Hz 혹은 500 Hz 음파를 처리했을 때 보다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미루어 대상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단일 음파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treating a specific single sound wave selected from the frequency 50 Hz to 5 KHz to the gray mold fungu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growth and spore formation rate of the hyphae when the frequency 250 Hz and 500 Hz single sound wave were treated. The resul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is untreated group. However, when processing 50 Hz, 125 Hz or 1 KHz sound waves, the difference is not remarkable than that of 250 Hz or 500 Hz sound waves, indicating that the specific single sound wave affecting growth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microorganism. Could.

또한,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의 생육을 억제하는 주파수의 단일음파가 다음 세대의 포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500 Hz 단일음파가 처리된 균사로부터 유래한 균총을 새 배지에 옮기고 부차적인 음파처리 없이 배양한 결과, 이전세대에서 처리된 음파가 다음세대의 포자형성에도 영향을 주어 포자형성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16,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onosonic wave at the frequency of inhibiting the growth of the fungus (Botrytis cinerea) on the spore formation of the next generation, the flora derived from the mycelium treated with 500 Hz monosonic wave When transferred to a new medium and incubated without secondary sonica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sonic treated in the previous generation also affected the sporulation of the next generation and markedly suppressed sporulation.

따라서 본 실시예는 대상작물에 주파수 250 Hz 내지 500 Hz의 음파 중에서 선택된 단일음파를 처리하여 잿빛곰팡이병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method of suppressing the growth of gray fungus bacteria by treating a target crop with a single sound wave selected from sound waves having a frequency of 250 Hz to 500 Hz.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잿빛곰팡이병균의 포자를 접종한 오이의 잎에 500 Hz 단일 음파를 처리하여 상기 단일음파가 오이 잿빛곰팡이병 발병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약 44% 내지 85%의 방제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상작물에 주파수 250 Hz 내지 500 Hz의 음파 중 에서 선택된 단일음파를 처리하여 잿빛곰팡이병의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reating the leaves of cucumber inoculated with spores of ash fungus bacteria 500 Hz single sound wave to investigate whether the single sound waves inhibit the development of cucumber ash fungal diseas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control effect of about 44% to 85%.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gray mold disease by treating a single crop with a single sound wave selected from sound waves having a frequency of 250 Hz to 500 Hz.

도 9를 참조하면, 대장균의 콜로니(colony)수에 대한 음파의 효과가 도시된다. 음파를 이용하여 특정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대장균(Escherichia cloi)에 주파수 50Hz 내지 5 KHz에서 선택된 특정 단일 음파를 처리했다. 특정 단일 음파 처리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음파처리는 특수 주문 제작한 무소음 식물 생장상내에서 처리하였다. 이 생장상은 자체 발생 소음이 약 35-40dB로서 생장상내의 환경은 거의 무소음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작되어 특정 음파만의 효과를 측정하는데 유용하다.Referring to FIG. 9, the effect of sound waves on the colony number of Escherichia coli is shown. Escherichia cloi was treated with a specific single sound wave selected at a frequency of 50 Hz to 5 KHz to determine the conditions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specific microorganisms using sound waves.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the effect of a specific single sonication, sonication was processed in a special custom noiseless plant growth. The growth phase is about 35-40dB of self-generated noise, and the environment in the growth phase is made to remain almost silent, which is useful for measuring the effects of specific sound waves.

스피커가 설치된 상기 무소음 생장상 내에 세균의 현탁액 (1x108 cfu/mL)이 도말된 LB 고체배지(Luria Bertani: bacto-tryptone 10 g, bacto-yeast extract 5 g, NaCl 10 g 및 agar 15 g/L를 950 ml의 증류수에 녹인 후 pH를 7로 맞추기 위해 약 200 μl의 5 N NaOH를 첨가하고 증류수로 1 리터가 되게 채운 다음 살균한 후 샬레에 분주하여 굳힌 배지)를 놓고, 사운드 제너레이터(sound generator, 한국 과학기술원)를 이용하여 주파수별로(50Hz, 125 Hz, 250 Hz, 500 Hz, 1 KHz) 단일음파를 2 시간씩 처리한 후 상기 고체배지를 37 ℃의 생장상에 옮겨 24 시간 배양한 후 세균의 콜로니수를 음파를 처리하지 않은 배지의 콜로니수와 비교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음파가 처리 된 배지, 특히 주파수 125 와 250 Hz의 단일음파가 처리된 배지에서 콜로니수가 현저히 저하된 결과를 얻었다. LB solid medium (Luria Bertani: bacto-tryptone 10 g, bacto-yeast extract 5 g, NaCl 10 g and agar 15 g / L) with a suspension of bacteria (1 × 10 8 cfu / mL) smeared in the noiseless growth phase equipped with a speaker Was dissolved in 950 ml of distilled water, then added about 200 μl of 5 N NaOH to adjust the pH to 7, filled to 1 liter with distilled water, sterilized and placed in a chalet and placed into a solidified medium. , Using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reated the single sound wave by frequency (50Hz, 125 Hz, 250 Hz, 500 Hz, 1 KHz) for 2 hours, transfer the solid medium to the growth at 37 ℃ for 24 hours The colony number of the bacteria was compared with the colony number of the medium not treated with sound wave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9. As shown in Figure 9,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colonies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medium treated with sound waves, in particular, the medium treated with a single sound wave of 125 and 250 Hz.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에 미치는 음파의 효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생육을 억제하는 음파의 처리 조건이 상이할 것으로 추정되는 바,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의 생육을 억제하는 단일음파의 주파수를 탐색하기 위하여, 50 Hz 내지 5 KHz에서 선택된 특정 단일 음파를 처리하여 잿빛곰팡이병균의 포자형성변화, 균사의 형태적 변화 및 상기 병원균의 차세대의 포자형성변화를 관찰하였다.The effects of sound waves on Botrytis cinerea are as follows. It is assumed that the treatment conditions of the sound waves that inhibit growth according to the type of microorganism of interest are selected from 50 Hz to 5 KHz to search for the frequency of the single sound waves that inhibit the growth of Botrytis cinerea. Specific single sound waves were treated to observe spore-forming changes of mycobacterial fungi, morphological changes of mycelia and next-generation spore-forming changes of the pathogens.

잿빛곰팡이병균의 포자형성에 대한 음파의 효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스피커가 설치된 무소음 생장상내에 잿빛곰팡이병균의 균총 6 mm를 코르크 보어(Cork bore, 직경 6mm)를 이용하여 감자추출배지(Potato Dextrose Agar, PDA)에 접종하고, 사운드 제너레이터(sound generator, 한국 과학기술원)를 이용하여 주파수별로(50 Hz, 125 Hz, 250 Hz, 500 Hz, 1 KHz) 단일음파를 2 시간씩 처리한 후 25 ℃의 생장상에 옮겨 2일 동안 배양한 다음 잿빛곰팡이병균의 균사의 생장 및 포자 형성율을 비교하였다.The effects of sound waves on the spore formation of gray fungus bacteria are as follows. 6 mm of gray fungus bacteria were inoculated into potato extraction medium (Potato Dextrose Agar, PDA) using a cork bore (diameter 6 mm) in a noise-free growth box equipped with a speaker, and a sound generator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And then treated with single frequency wave (50 Hz, 125 Hz, 250 Hz, 500 Hz, 1 KHz) for 2 hours and transfer it to growth at 25 ℃ for 2 days, then incubate for 2 days Growth and spore formation rates were compared.

그 결과, 도 10을 참조하면, 음파를 처리한 경우 특히 주파수 250 Hz와 500 Hz의 단일음파처리시 균사의 생장 및 포자형성율이 무처리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잿빛곰팡이병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가장 효과적인 단일음파는 주파수 250 Hz 내지 500 Hz의 주파수 중에서 선택된 단일음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referring to Figure 10, when the sound waves were treated, especially in the single sound wave treatment of the frequency of 250 Hz and 500 Hz, the mycelial growth and spore formation rate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most effective single sound wave that suppresses the growth of gray mold fungus is a single sound wave selected from the frequency of 250 Hz to 500 Hz.

또한, 단일음파에 의한 포자형성의 억제 효과가 반복성, 지속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포자 형성이 현저히 줄어든 250 Hz과 500 Hz 단일음파를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3차례 동일하게 처리하여 그 결과를 도 11 및 도 12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처리군에 비해 상기 단일 음파가 처리된 경우 포자형성이 모두 억제되어 상기 단일음파 처리에 의한 잿빛곰팡이병균의 포자형성 억제효과가 반복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effect of suppressing sporulation by monosonic waves is repeatable and persistent, the 250 Hz and 500 Hz monosonic waves having significantly reduced spore formation are treated three times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1. And FIG. 12,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1 and 12, when the single sound wave was treated as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 all spore formation was suppressed,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the spore formation of the gray mold fungus by the single sound wave treatment is repeatable. .

도 13을 참조하면, 음파 처리 시간에 따른 포자 형성 억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500 Hz의 단일음파를 0.5시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처리한 잿빛곰팡이병균의 균총을 5일 동안 배양한 후에 관찰한 결과, 처리시간과는 무관하게 모든 처리시간에서 포자형성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으며, 그 중 가장 효과적인 처리시간은 2시간 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상기 단일음파의 처리는 잿빛곰팡이병균의 포자 형성을 반복적, 지속적으로 억제하여 잿빛곰팡이병의 효과적인 방제방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ferring to FIG. 13,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 of spore formation according to sonication time, the total bacterial count of gray mold fungi treated with 500 Hz single sound for 0.5 hours, 1 hour, 2 hours, 4 hours and 8 hours was 5 days. After culturing, the spore formation was effectively inhibited at all treatment times regardless of treatment time, and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time was 2 hours. In conclusion, the treatment of the single sound wave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control method of gray mold disease by repeatedly and continuously inhibiting the spore formation of gray mold fungi.

잿빛곰팡이병균의 균사의 형태 변화에 미치는 음파의 효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잿빛곰팡이병균의 균총 6 mm를 코르크 보어(Cork bore, 직경 6mm)를 이용하여 감자한천추출배지(Potato Dextrose Agar, PDA)에 접종하고, 500 Hz의 단일음파를 1시간 처리한 후 25 ℃의 생장상에 옮겨 5일 동안 배양한 다음 곰팡이 균사의 형태적인 특징을 광학현미경으로 400배 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었다.The effects of sound waves on the change of mycelia of gray fungus bacteria are as follows. A total of 6 mm of bacterial fungus bacteria was inoculated into potato agar extraction medium (Potato Dextrose Agar, PDA) using a cork bore (6 mm in diameter), and treated with 500 Hz single sound for 1 hour, and then grown at 25 ° C. After culturing for 5 day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ungal hyphae were observed at an enlarged magnification of 400 times with an optical microscop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14 and 15.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처리군에서는 전형적인 균사의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단일음파가 처리된 균총에서는 균사의 대부분이 용해되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음파가 처리된 균총에서 는 균사의 말단 부위가 기형적인 형태로 변화되고 격막과 격막사이가 비거나 혹은 용해된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As shown in FIG. 14, in the untreated group, the typical mycelia were observed, but in the mycelium treated with single sound waves, most of the mycelia were dissolved. And, as shown in Figure 15, in the sonic-treated mycelium can be observed that the distal end of the hyphae in a deformed form, empty or dissolved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diaphragm.

상기와 같은 결과에 의해, 본 발명의 단일음파의 처리는 잿빛곰팡이병균의 균사가 정상적으로 발달되지 못하게 하고 비정상적으로 변형되게 하여 다음세대의 균사생장과 포자형성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ingle sound wave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ed mycelial growth of gray fungus bacteria and abnormally deformed mycelial growth and spore formation.

잿빛곰팡이병균의 다음 세대(next generation)의 포자형성에 대한 음파의 효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잿빛곰팡이병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주파수의 단일음파가 다음 세대의 포자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500 Hz의 음파를 시간별로(0.5, 1, 2, 4, 8 시간) 처리하여 5일 동안 배양한 후 음파가 처리된 균사로부터 유래된 균총과 무처리된 균사로부터 유래된 균총 6 mm를 코르크 보어(Cork bore, 직경 6mm)를 이용하여 새로운 감자한천추출배지에 각각 접종하고 부가적인 음파 처리 없이 25℃의 배양기(Incubator)에서 3일간 배양 후 포자형성율을 각각 비교하여 그 결과를 도 16에 나타내었다.The effects of sound waves on the sporulation of the next generation of gray fungi are as follows. In order to check the effect of monosonic waves of the frequency inhibiting the growth of the gray mold fungus on the sporulation of the next generation, 500 Hz sound waves were treated hourly (0.5, 1, 2, 4, 8 hours) for 5 days. After incubation for 6 mm, the germ mycelium from the soaked mycelium and 6 mm from the untreated mycelium were inoculated into a new potato agar extraction medium using a cork bore (6 mm in diameter) and treated with additional sonication. After incubation for 3 days in a 25 ℃ incubator without comparison with each other the spores formation rate is shown in Figure 16 the results.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일 음파가 처리된 균사로부터 유래된 균총의 경우 다음 세대에서도 포자형성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만, 음파처리시간에 의한 효과는 뚜렷하게 볼 수 없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단일음파의 처리는 잿빛곰팡이병균의 포자 형성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에서의 포자형성도 억제하므로 포자비산에 의한 2차 감염을 방지하여 잿빛곰팡이병의 효과적인 방제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As shown in Fig. 16, spore formation was remarkably suppressed in the next generation in the case of the mycelium derived from the mycelia treated with the single sound wave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effect of sonication time was not clearly seen.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treatment of the single sound wav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pore formation in the next generation as well as spore formation in the next generation, thereby preventing secondary infection caused by sporic acid. .

또한, 음파의 잿빛곰팡이병 방제 효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일음 파의 처리가 실제 대상작물의 잿빛곰팡이병의 효과적인 방제방법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잿빛곰팡이병균의 포자현탁액(1x106 spore/mL)을 3주일된 오이의 잎에 도말하여 접종하고 무소음 생장상내에서 사운드 제너레이터(sound generator, 한국 과학기술원)를 이용해 500 Hz의 음파를 시간별(0.5, 1, 2, 4, 8시간)로 처리하였다. 음파 처리가 끝난 오이를 온도는 23-25℃이며, 습도는 70%정도로 유지된 습실상에서 암상태로 배양하면서 발병을 유도하여 매일 발병 진전 상황을 관찰하였다.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sound effect of gray mold disease of sound waves is as follows.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treatment of the single sound wave is an effective control method of gray mold disease of the actual target crop, spore suspension (1x106 spore / mL) of gray mold fungus was inoculated by spreading the leaves of cucumbers for 3 weeks and inoculated without noise. 500 Hz sound waves were processed hourly (0.5, 1, 2, 4, 8 hours) using a sound generator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the sonic treatment, the temperature was 23-25 ℃ and the humidity was maintained at about 70% in a dark state incubation while inducing the onset and observed the development of the disease every day.

병원균 접종후 2일째부터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무처리군에 비해 단일음파가 처리된 오이잎에서 발병면적이 현저히 낮았다(도 17). 한편 적정한 음파처리 시간을 규명하기 위해 500 Hz의 음파를 시간별(0.5, 1, 2, 4, 8시간)로 처리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발병을 유도한지 2일후에 오이의 잎을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음파가 처리된 오이 잎은 잿빛곰팡이병의 발병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음파 처리 시간에 따른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일 음파 처리에 의한 잿빛곰팡이병 방제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균 접종 후 4일째 되는 잎을 관찰한 결과, 발병은 상당히 진전된 것을 볼 수 있었고, 2일후의 결과와 동일한 양상으로 무처리군에 비하면 발병이 현저히 억제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20과 도 21 참조).The occurrence of gray mold disease was confirmed from the second day after inoculation of pathogens, and the incidence area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ucumber leaves treated with monosonic waves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 (FIG. 17). On the other hand, to determine the proper sonication time, the leaves of cucumber were treated with the untreated group two days after the 500 Hz sonication was treated hourly (0.5, 1, 2, 4, 8 hours) to induce the onset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 comparison is shown in FIGS. 18 and 19. As a result, cucumber leaf treated with sound waves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gray mol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ound processing time. In addition,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leaves 4 days after inoculation to confirm whether the control effect of gray mold disease by the single sound wave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inuously maintained, the onset was found to be considerably advanced, the same as the result after 2 days. In comparison with the untreated group, it was observed that the onset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see FIGS. 20 and 21).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500 Hz의 음파를 시간별(0.5, 1, 2, 4, 8시간)로 오이잎에 처리한 경우와 250 Hz의 음파를 상기와 동일한 시간별로 오이잎에 처리한 경우에 대하여 병반면적율을 구하고, 구해진 병반면적율로부터 방제가를 계산하면, 상기 단일음파의 처리는 약 44- 85%의 방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주파수 250 Hz 내지 500 Hz에서 선택된 단일음파의 처리는 실제 대상작물의 잿빛곰팡이병의 효과적인 방제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The same procedure as above for the case where the 500 Hz sound waves were treated to cucumber leaves by time (0.5, 1, 2, 4, 8 hours) and the 250 Hz sound waves were treated to cucumber leaves by the same time as above. When the area ratio was calculated and the control value was calculated from the calculated lesion area ratio, it was confirmed that the single sound wave treatment had a control effect of about 44-85%.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treatment of the single sound wave selected at the frequency of 250 Hz to 500 Hz is an effective control method of gray mold disease of the actual target crop.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 대한 도면. 1 is a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식물 재배 장치가 시설 하우스내에 설치된 도면. 2 is a view showing on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stalled in a facility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식물 재배 장치가 시설 하우스내에 설치된 도면.3A is a view illustrating a plurality of plant cultivation apparatuses installed in a facility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 의해 재배된 식물의 비교 결과를 도시한 도면. Figure 3b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result of the plants grown by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복합 음파에 의해 발현에 차이를 보이는 벼 유전자를 선발하기 위하여 실시한 역 노던(Reverse Northern) 기술을 이용한 서브트랙티브 스크리닝(subtractive screening)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subtractive screening (Subtractive screening) using the Reverse Northern technology for selecting a rice gene showing a difference in expression by complex sound waves.

도 5는 선발된 각각의 유전자들에 대하여 복합음파에 의한 발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한 노던 블랏(Northern blot) 결과를 도시한 도면.FIG. 5 is a diagram showing a Northern blot result for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expression by a compound wave for each of the selected genes. FIG.

도 6은 광반응 유전자인 알도레이즈와 루비스코 유전자가 암 상태에서도 복합음파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Figure 6 is a photo showing the results of increased expression by the complex sound wave photoreaction genes Aldoreise and Rubisco gene even in the cancer state.

도 7은 특정 주파수의 음파별 처리에 의한 알도레이즈 유전자의 발현량 변이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한 노던 블랏 결과를 도시한 도면.7 is a diagram showing a Northern blot result performed to analyze the expression variation of the Aldolase gene by sonic processing at a specific frequency.

도 8은 특정 주파수의 음파를 시간별로 처리함에 따른 알도레이즈 유전자의 발현량 변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한 노던 블랏 결과를 도시한 도면.8 is a view showing the northern blot results performed to analyze the variation in the amount of expression of the Aldolase gene by processing the sound waves of a specific frequency with time.

도 9는 세균(Escherichia coli) 현탁액을 고체배지에 도말한 후 특정 단일 음파를 1시간 처리 후 배양한지 24시간 후 세균의 생존율을 보여주는 사진.Figure 9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urvival rate of bacteria 24 hours after incubation after treatment with a specific single sound wave after plating the suspension of bacteria (Escherichia coli) in a solid medium.

도 10은 다양한 특정 단일음파를 잿빛 곰팡이병균(B. cinerea)의 2시간 처리하고 처리된 균사를 2일 동안 배양한 후 곰팡이의 균총생장 및 포자형성율을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Figure 10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total growth and spore formation rate of the fungus after a two-hour treatment of B. cinerea with a variety of specific monosound and B. cinerea incubated for 2 days.

도 11은 단일 특정음파 250 Hz를 2시간 처리하고, 처리된 균사를 2일 동안 배양한 후 균총생장 및 포자형성율을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FIG. 1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total growth and sporulation rate after treating a single specific sound wave 250 Hz for 2 hours and incubating the treated mycelia for 2 days. FIG.

도 12는 단일 특정음파 500 Hz를 2시간 처리하고, 처리된 균사를 2일 동안 배양한 후 균총생장 및 포자형성율을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1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total growth and sporulation rate after treatment with a single specific sound wave 500 Hz for 2 hours and incubated the treated mycelia for 2 days.

도 13은 단일 특정음파 500 Hz를 시간별로 처리하고 처리된 균사를 5일 동안 배양한 후 균총생장 및 포자형성율을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Figure 1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total growth and sporulation rate after treatment with a single specific sound wave 500 Hz and incubated treated hyphae for 5 days.

도 14는 잿빛곰팡이병균을 감자한천고체배지에 접종한 후 단일 특정음파 500 Hz를 1시간 처리하여 배양한지 5일 후 균사의 형태를 광학현미경 400배의 비율로 확대하여 관찰한 사진.FIG. 14 is a photograph of magnified mycelia at a ratio of 400 times the optical microscope after 5 days of incubation with a single specific sonication 500 Hz for 1 hour after inoculation to gray agar fungus bacterial medium.

도 15는 잿빛곰팡이병균을 감자한천고체배지에 접종한 후 단일 특정음파 500 Hz를 1시간 처리하여 배양한지 5일 후 균사의 말단 부위의 형태를 광학현미경 400배의 비율로 확대하여 관찰한 사진.FIG. 15 is a photograph of an image of the terminal area of the hyphae magnified at a ratio of 400 times the optical microscope after 5 days of incubation with a single specific sound wave 500 Hz for 1 hour after inoculation of the ash fungus bacteria in agar agar solid medium.

도 16은 단일 특정음파 500 Hz를 시간별 처리하여 5일 동안 배양한 후 이 균사의 끝으로부터 균총을 떼어내어 새로운 감자한천고체배지에 접종한 후 3일 동안 배양한 후 균총생장 및 포자형성율을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Fig. 16 shows the incubation rate of spore formation and spore formation after incubation for 5 days after incubating for 5 days with a single specific sonic wave 500 Hz, incubating for 3 days after removing the flora from the end of this mycelium. Photo showing results.

도 17은 잿빛곰팡이병원균의 포자현탁액(1X106 포자/mL)을 오이의 잎에 접종된 오이의 잎에 단일 특정음파 500 Hz를 2시간을 처리한 다음 2일 동안 배양한 후의 발병면적을 음파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Fig. 17 shows the incidence area after incubating for 2 hours with a single specific sound wave 500 Hz for 2 hours on cucumber leaves inoculated with cucumber leaf spore suspension (1X10 6 spores / mL) Photo showing comparison with treatment group.

도 18은 잿빛곰팡이병원균의 포자현탁액(1X106 포자/mL)이 접종된 오이의 잎에 단일 특정음파 500 Hz를 처리시간을 각각 달리한 후 2일 동안 배양한 후의 발병면적을 나타낸 사진.Figure 18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rea of incidence after incubation for 2 days after different treatment times of a single specific sound wave 500 Hz on the leaves of cucumber spore suspension (1X10 6 spores / mL) of gray mold pathogens.

도 19는 도 18에서의 잎을 상세히 보여주는 사진.19 is a photograph showing details of a leaf in FIG. 18.

도 20은 잿빛곰팡이병원균의 포자현탁액(1X106 포자/mL)을 오이의 잎에 접종한 후 단일 특정음파 500 Hz를 처리시간을 각각 달리하여 처리하고 발병을 유도하기 용이한 조건으로 4일 동안 습실처리후 무처리와 음파처리된 잎의 발병모습을 보여주는 결과.20 is inoculated with the spore suspension (1X10 6 spores / mL) of the gray fungal pathogen to the leaves of cucumber and treated with a single specific sound wave 500 Hz at different treatment times and wet conditions for 4 days under conditions easy to induce the onset Results show the onset of untreated and sonicated leaves after treatment.

도 21은 도20에서의 잎을 상세히 보여주는 사진.FIG. 21 is a photograph showing details of leaves in FIG. 20; FIG.

Claims (6)

1Hz 내지 3KHz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선택된 주파수를 가지며, 65 내지 85dB의 음압을 가지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식물에게 상기 음파를 발생시켜서 식물을 재배하되, A speaker having a frequency selected from a frequency range of 1 Hz to 3 KHz and generating sound waves having a sound pressure of 65 to 85 dB generates a sound wave to the plant and grows the plant. 상기 음파는, The sound wave is, 알도레이즈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는 250Hz의 주파수를 가지며, 65 내지 85dB의 음압을 가지는 제1 음파; 및A first sound wave having a frequency of 250 Hz for inducing aldose gene expression and having a sound pressure of 65 to 85 dB; And 잿빛곰팡이병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250Hz 초과 500Hz 이하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선택된 주파수를 가지며, 65 내지 85dB의 음압을 가지는 제2 음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방법.A plant cultivation method comprising a second sound wave having a frequency selected from a frequency range of 250 Hz to 500 Hz or less and suppressing the growth of gray mold, and having a sound pressure of 65 to 85 dB.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피커는 20KHz 내지 26KHz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선택된 주파수를 가지며, 65 내지 85dB의 음압을 가지는 초음파를 상기 식물에게 더 발생시키는 식물 재배 방법. The speaker has a frequency selected from the frequency range of 20KHz to 26KHz, and the plant cultivation method for generating an ultrasonic wave having a sound pressure of 65 to 85dB to the pla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피커는 시설 하우스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방법. And the speaker is installed in a facility house. 제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스피커는 복수이며, 상기 인접한 스피커의 이격 거리는 40m 내지 60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방법. The speaker is a plurality, plant sepa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adjacent speaker is 40m to 60m.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식물에 일당 2 내지 4시간씩 상기 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방법. Plant cultiv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sound waves for 2 to 4 hours per day to the plant.
KR1020090084792A 2009-09-09 2009-09-09 Method for growing plants KR1012504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792A KR101250491B1 (en) 2009-09-09 2009-09-09 Method for growing pl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792A KR101250491B1 (en) 2009-09-09 2009-09-09 Method for growing pl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932A KR20110026932A (en) 2011-03-16
KR101250491B1 true KR101250491B1 (en) 2013-04-03

Family

ID=43933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792A KR101250491B1 (en) 2009-09-09 2009-09-09 Method for growing pl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49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422A (en) 2018-07-16 2020-01-28 주식회사 유앤아이기술 Methods and devices for plant growth using sound wav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589B1 (en) * 2011-11-04 2013-07-30 그린테코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using sound waves loaded onto ultrasonic waves
KR101908672B1 (en) * 2012-11-14 2018-10-1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analysis of plant protein responsive to specific sound wave
KR101508745B1 (en) * 2013-06-24 2015-04-08 대한민국 A method for enhancing salt stress resistance of plant using sound wave
KR101791563B1 (en) * 2015-05-11 2017-11-02 대한민국 Method for delaying the ripening of fruits using sound treatment
KR102226201B1 (en) * 2018-08-31 2021-03-10 대한민국 Method for enhancing growth of crops by sound wav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141A (en) * 2008-02-20 2009-08-2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Method for growing plants using sonic and ultrasonic waves and apparatu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141A (en) * 2008-02-20 2009-08-2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Method for growing plants using sonic and ultrasonic waves and apparatu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422A (en) 2018-07-16 2020-01-28 주식회사 유앤아이기술 Methods and devices for plant growth using sound wa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932A (en)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491B1 (en) Method for growing plants
Liang et al. Deficiency of the melanin biosynthesis genes SCD1 and THR1 affects sclerotial development and vegetative growth, but not pathogenicity, in Sclerotinia sclerotiorum
Baptista et al. Involvement of reactive oxygen species during early stages of ectomycorrhiza establishment between Castanea sativa and Pisolithus tinctorius
CN113025501B (en) Multifunctional trichoderma asperellum and application thereof
Feng et al. Survival of Rhizoctonia solani AG‐1 IA, the causal agent of rice sheath blight,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Fan et al. Epiphytic colonization of U stilaginoidea virens on biotic and abiotic surfaces implies the widespread presence of primary inoculum for rice false smut disease
Zhang et al. PdSNF1, a sucrose non-fermenting protein kinase gene, is required for Penicillium digitatum conidiation and virulence
CN109777810B (en) Application of PUB41 gene as negative regulatory factor in improving resistance to tomato gray mold and bacterial wilt
CN109402147A (en) The gene GbCYP86A1-1 of anti-cotton verticillium wilt and its application
Zhang et al. Improvement of fruiting body production in Cordyceps militaris by molecular assessment
Goswami et al. Variations in different isolates of Rhizoctonia solani based on temperature and pH.
RU2627556C1 (en) Method for pre-sowing treatment of eastern galega seeds with use of iron nanoparticles
Huang et al. The construction of CRISPR-Cas9 system for endophytic Phomopsis liquidambaris and its PmkkA-deficient mutant revealing the effect on rice
CN112931508A (en) Application of kinase inhibitor LavendustininA in improvement of bacterial wilt resistance of plants
Kumar et al. Temperature and water potential effects on growth and pathogenicity of Rhizoctonia solani AG-11 to lupin
Widiantini et al. Biocontrol potential of endophytic bacteria isolated from healthy rice plant against rice blast disease (Pyricularia oryzae Cav.)
Zhang et al. The zinc finger protein StMR1 affects the pathogenicity and melanin synthesis of Setosphaeria turcica and directly regulates the expression of DHN melanin synthesis pathway genes
CN106591154A (en) Penicillium effective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ucumber fusarium wilt
Maurya et al. Effect of different temperature and culture media on the mycelia growth of Trichoderma viride isolates
Li et al. First report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ausing anthracnose on pepper in Shaanxi Province, China
Jeong et al. Inhibition of Botrytis cinerea spore germination and mycelia growth by frequency-specific sound
Azizpour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hizosphere bacteria for the biocontrol of the Ascochyta rabiei in Iran
ARASE et al. Suppression of rice blast disease by autoclaved water extract from the spent mushroom substrate of Lyophyllum decastes
Kumari et al. Morphological and pathogenic variabilities among Aspergillus niger isolates associated with groundnut (Arachis hypogaea L.)
CN109868282B (en) Pathogenicity-related botrytis cinerea gene BcEXO70 and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