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218B1 - Electric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Electric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218B1
KR101250218B1 KR1020120051494A KR20120051494A KR101250218B1 KR 101250218 B1 KR101250218 B1 KR 101250218B1 KR 1020120051494 A KR1020120051494 A KR 1020120051494A KR 20120051494 A KR20120051494 A KR 20120051494A KR 101250218 B1 KR101250218 B1 KR 101250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valve
chamber
vacuum cleaner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이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우 filed Critical 이춘우
Priority to KR1020120051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2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2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5Dry filters funnel-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18Impermeable dust collecting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PURPOSE: An electric vacuum cleaner is provided to prevent users from touching aversive objects with their hands. CONSTITUTION: One end of a filter(50) is opened, and is connected to an inlet(1). The other end is closed and is supported by a partition unit(11). A first valve(V1) is interposed in the lower end of a discharge flow channel(21). A second valve(V2) is interposed in halfway of a bypass channel(22). A third valve(V3) is interposed in an absorption chamber(13) between an opening(14) and an electric blower(20). A second filter(60) or a fourth valve(V4) are interposed in the opening. A channel of air successively passes through the third valve, the discharge flow channel, the bypass channel, the filter, and the inlet, and is formed when cleaning the filter.

Description

전기 진공청소기{electric vacuum cleaner}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vacuum cleaner.

통상의 진공 청소기에서는 본체의 하류부에, 전동송풍기를 내장한 전동송풍기실이 배치되고, 상류부에 먼지 등의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집진케이스가 배치되고, 그리고 호스의 일단에 마련된 접속파이프가 탈착 자재로 접속된 흡입구가 상기 본체의 상류단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호스의 타단에는 청소시에 파지부를 구비한 선단 파이프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선단 파이프에는 연장관의 일단이 탈착 자재로 접속되고,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는 청소기 외측 바닥의 먼지 등의 고형물을 흡인하기 위한 흡입 덕트구가 탈착 자재로 마련되어 있다.In a typical vacuum cleaner, an electric blower chamber incorporating an electric blower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main body, a dust collecting case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solid matter such as dust is disposed upstream, and a connection pipe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se is a removable material. A suction port connected to the is provided at an upstream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hose is provided with a distal end pipe having a grip portion at the time of cleaning. One end of the extension pipe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pipe by a removable material, and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ipe is connected to a suction pipe Suction ducts are provided as removable materials.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일정 시간 사용되면, 전동송풍기실과 집진케이스 사이에 배치된 필터에 고형물이 붙어 있게 되어, 집진케이스에 음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집진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필터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수동으로 털어내어 재장전하거나 필터를 교환하게 된다.When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used for a certain time, the solid material is attached to the filt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ic blower chamber and the dust collecting case, and the sound pressure is not properly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case, so that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is lowered. In this case, the user manually shakes off the solids attached to the filter and reloads or replaces the filter.

이러한 필터 청소작업이나 필터교환작업은 사용자로 하여금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게 하여 매우 불편하고 성가신 작업으로서 취급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Such a filter cleaning operation or a filter replacement operation causes the user to touch the aversive object by hand, causing a problem that it is treated as a very inconvenient and cumbersome opera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동송풍기의 구동원에 의해 필터를 진동 또는 타격하여 필터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집진 케이스 내에 털어 내거나 전동송풍기실로 유입된 여과된 기류를 선택적으로 역류시켜 필터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집진 케이스 내에 털어 내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y vibrating or hitting the filter by the drive source of the electric blower to shake off the solids attached to the filter in the dust collecting case or to selectively backflow the filtered air flow flowing into the electric blower chamber to collect the solids attached to the filter A way to whisk in the case is proposed.

하지만 이러한 방안은 여전히 집진 케이스 내에 일정 양의 고형물이 쌓이게 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고형물을 상기 집진 케이스 내에서 배출시키는 수동작업을 요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먼지 등과 같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게 하여, 매우 불편하고 성가신 작업으로서 여전히 취급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However, such a method still requires a manual operation of discharging the solids in the dust collecting case when a certain amount of solids accumulates in the dust collecting case,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touch the abominations such as dust by hand. It is a very inconvenient and cumbersome task, causing problems that are still being handled.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in solving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청소대상물이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된 필터 내부를 포집공간으로 만들고, 상기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하고, 전동 송풍기가 내장된 흡인실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통기구를 마련하고, 흡인실에서 공기를 배출시키는 토출유로에 바이패스유로를 구비시켜 선택적으로 바이패스유로의 기류를 필터 외부에서 내부를 경유하여 필터의 입구 또는 출구로 방출시키는 유로를 본체에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interior of the filter is formed in the inlet in which the cleaning object flows into the collecting spac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to provide a ven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in the suction chamber with the electric blower, and air in the suction chamber The problem can be solved by providing a bypass passage in the discharge passage to be discharged to form a passage in the main body that selectively discharges the air flow of the bypass passage from the outside of the filter to the inlet or outlet of the filter via the insid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필터청소를 진공 청소기가 자체적으로 수행하게 함과 동시에, 포집실에 축적된 고형물을 전동 송풍기의 구동원에 의해 진공 청소기의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배제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필터청소 및 교환을 종래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vacuum cleaner to perform the cleaning by itself by means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solid matter accumulated in the collection chambe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by the driving source of the electric blower. In this way, by excluding the user from touching the aversive object by hand, the user can make cleaning and replacing the filter easier than befo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진공 청소기의 전체 개념도,
도 3은 도 1의 필터에 대한 상세도,
도 4는 도 1의 진공 청소기에 접속되는 포집포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 및
도 6은 도 5의 필더에 대한 상세도.
1 is a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verall conceptual view of the vacuum cleaner of FIG.
3 is a detailed view of the filter of FIG.
4 is a view showing a collecting bag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of FIG.
5 is a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6 is a detail of the filter of FIG. 5;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가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In FIG. 1,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100.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100)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내부에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구획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흡인실(13) 내에 마련된 전동송풍기(20), 상기 본체(10)의 집진실(12) 내의 공간과 유통가능하게 상기 집진실(12) 내에 마련되어서 흡입된 공기 중에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필터(50),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집진실(12)을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구비된 개구(14), 상기 흡인실(13)의 토출유로(21)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실(12)에 접속되어 있는 바이패스유로(22)를 포함하고 있다.The vacuum cleaner 10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and the suction chamber 13 are partitioned inside by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 and the suction chamber 13 of the main body 10. The filter 50 and the suction chamber, which are provided in the dust chamber 12 so as to be distributed with the space in the dust chamber 12 of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10, and collect and collect the solid matter in the sucked air. 13 and one end are connected to the opening 14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 and the discharge passage 21 of the suction chamber 13 so that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can flow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is the dust collecting chamber. A bypass flow passage 22 connected to 12 is included.

종래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류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에는 호스(2)의 일단에 마련된 접속파이프(3)가 탈착자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호스(2)의 타단에는 청소시에 파지부를 구비한 선단파이프(4)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선단 파이프(4)에는 연장관(5)의 일단이 탈착자재로 접속되고, 상기 연장관(5)의 타단에는 청소기 외측 바닥의 고형물을 흡인하기 위한 흡입 덕트구(6)가 탈착자재로 마련되어 있다.As in the related art, an inlet 1 is provided at an upstream end of the main body 10, and a connection pipe 3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se 2 is provided at the inlet 1. It is connected by removable material. The other end of the hose 2 is provided with a tip pipe 4 provided with a gripping portion for cleaning, and one end of the extension pipe 5 is connected to the tip pipe 4 with a removable material, and the extension pipe 5 At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inlet duct opening 6 for sucking the solids on the bottom of the cleaner is provided as a removable material.

상기 필터(50)는 내부가 빈 절두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필터(50)의 소직경부(51)는 개구되어서 상기 흡입구(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filter 50 has a hollow truncated cone shape,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51 of the filter 50 is opened to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ction port 1.

그리고 상기 필터(50)의 대직경부(52)는 막힌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large diameter portion 52 of the filter 5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 in a blocked state.

상기 토출유로(21)의 하류단에는 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도중에는 밸브(V2)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개구(14)와 상기 전동송풍기(20) 사이의 흡인실(13)에는 상기 흡인실(13)을 선택적으로 외부와 유통가능하게 하는 밸브(V3)가 구비되어 있다.A valve V1 is interposed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21, and a valve V2 is interposed in the middle of the bypass passage 22, and between the opening 14 and the electric blower 20. The suction chamber 13 is provided with a valve V3 for selectively distributing the suction chamber 13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개구(14)에는 제2의 필터(60) 또는 밸브(V4)가 개재되어 있다.In addition, a second filter 60 or a valve V4 is interposed in the opening 14.

상기 필터(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끄러운 소재(예를 들면 우레탄 소재)의 제1메시층(53)과 상기 제1메시층(53)보다 조밀하고 매끄럽지 않은 소재(예를 들면 면 소재)의 제2메시층(54)이 적층되어 만들어진 것으며, 그리고 상기 필터(50)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필터(50)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날개부(55)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lter 50 may be a material that is less dense and smooth than the first mesh layer 53 and the first mesh layer 53 of a smooth material (for example, urethane material). For example, a second mesh layer 54 of a cotton material is laminated, and a plurality of wing portion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50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50. 55) is formed.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은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55)의 어느 하나의 날개부를 상기 필터(50)의 둘레방향 일측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하류단에서 배출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필터(50)가 용이하게 둘레방향 타측으로 회전가능하게 한다.The downstream end of the bypass passage 22 is disposed to face one of the w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wing portions 55 to one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er 50, and is caused by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downstream end. The filter 50 can be easily rotated to the other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헤더관(22a)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헤더관(22a)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와 마주하게 길다란 슬롯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구멍(22b)은 상기 슬롯구멍(22b)을 통하여 배출되는 기류로 하여금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전장을 가압하여 균형적으로 상기 필터(50)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 header tube 22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of the wing portions is connected to a downstream end of the bypass passage 22, and the one w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header tube 22a. Long slot holes 22b are formed facing each other. The slot hole 22b acts to allow the air flow discharged through the slot hole 22b to pressurize the entire length of one of the wing portions so that the filter 50 can be rotated in a balanced mann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 진공 청소기(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The electric vacuum cleaner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as follows.

1. 개구(14)에 제2필터(60)가 개재된 상태에서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1. When cleaning the outer bottom of the cleaner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filter 60 is interposed in the opening 14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는, 밸브(V2, V3)를 닫고 밸브(V1)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 덕트구(6), 연장관(5), 선단파이프(4), 호스(2), 접속파이프(3) 및 흡입구(1)를 경유하여 필터(50)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2필터(60)에 의해 상기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 고형 입자들이 여과처리된 다음, 상기 제2필터(60)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At the time of cleaning the outside of the vacuum cleaner, when the electric blower 20 is operated while the valves V2 and V3 are closed and the valve V1 is opened, the air and the solids outside the suction duct opening 6 are discharged to the suction duct opening ( 6), the extension pipe (5), the end pipe (4), the hose (2), the connecting pipe (3) and the suction port (1)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50), the introduced solid matter is the filter (50) The air that is not penetrated and accumulated in the filter 50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50 is filtered by the second solid filter 60, and the fine solid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re filtered. It penetrates 60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main body 10 via the suction chamber 13 and the discharge passage 21.

2. 개구(14)에 제2필터(60)가 개재된 상태에서 필터(50)를 청소하는 경우2. When cleaning the filter 50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filter 60 is interposed in the opening 14

필터(50) 청소시에는, 밸브(V1)를 닫고 밸브(V2, V3)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외기가 상기 밸브(V3)를 경유하여 토출유로(21) 및 바이패스유로(22)를 통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다.When the filter 50 is cleaned, when the electric blower 20 is operated while the valve V1 is closed and the valves V2 and V3 are opened, the outside air flows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21 and the valve V3. I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through the bypass passage 22.

이때, 상기 집진실(12)의 공기는, 상기 밸브(V3)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보다도 상기 제2필터(60)에 의해 더 부하를 받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필터(60)를 통하여 상기 흡인실(13)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At this time, since the air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is more loaded by the second filter 60 than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valve V3, the suction is carried out through the second filter 60. Inflow into the chamber 13 is prevented.

상기 바이패스유로(22)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의 복수개의 날개부(55)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5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via the bypass passage 22 presses the plurality of vanes 55 of the filter 50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50 to filter the filter 50. Rotate in one direction.

상기 필터(5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게 되면, 상기 필터(50)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상기 흡입구(1)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As the filter 50 rotates and the air penetrates the filter 50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solid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5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5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50 discharges the separated solids out of the inlet 1.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상기 흡입구(1)에서 접속파이프(3)를 빼어내고 일단이 포집포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흡입구(1)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At the time of cleaning the filter 50, the connection pipe 3 is pulled out from the suction port 1, and the other end of the collecting pipe 71,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bag 70, to the suction port 1. When connected,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that the user can easily discharge the solids out of the main body 10 without touching the hand.

상기 포집포대(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집관(71)을 통하여 고형물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포집포대(70)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일부 벽면에 필터(72)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ollecting bag 70 has a filter 72 on a part of the wall to discharge air, which i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solids through the collecting pipe 71, to the outside from the collecting bag 70. Is provided.

3. 개구(14)에 밸브(V4)가 개재된 상태에서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3. When cleaning the bottom of the cleaner in the state in which the valve (V4) is interposed in the opening 14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는, 밸브(V2, V3)를 닫고 밸브(V1, V4)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 덕트구(6), 연장관(5), 선단파이프(4), 호스(2), 접속파이프(3) 및 흡입구(1)를 경유하여 필터(50)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밸브(V4)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When cleaning the outer floor of the cleaner, when the electric blower 20 is operated with the valves V2 and V3 closed and the valves V1 and V4 open, the air and solids outside the suction duct opening 6 are sucked into the suction duct. Through the sphere (6), the extension pipe (5), the end pipe (4), the hose (2), the connecting pipe (3) and the suction port (1)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50), the introduced solid matter is the filter The air that does not penetrate 50 and accumulates in the filter 50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50 passes through the valve V4 and passes through the suction chamber 13 and the discharge passage 21. It is discharged out of the main body 10.

4. 개구(14)에 밸브(V4)가 개재된 상태에서 필터(50)를 청소하는 경우4. When the filter 50 is cleaned with the valve V4 interposed in the opening 14.

필터(50) 청소시에는, 밸브(V1, V4)를 닫고 밸브(V2, V3)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외기가 상기 밸브(V3)를 경유하여 토출유로(21) 및 바이패스유로(22)를 통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다.When the filter 50 is cleaned, when the electric blower 20 is operated while the valves V1 and V4 are closed and the valves V2 and V3 are opened,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valve V3. An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through the bypass passage 22.

상기 바이패스유로(22)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의 복수개의 날개부(55)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5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via the bypass passage 22 presses the plurality of vanes 55 of the filter 50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50 to filter the filter 50. Rotate in one direction.

상기 필터(5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게 되면, 상기 필터(50)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상기 흡입구(1)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As the filter 50 rotates and the air penetrates the filter 50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solid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5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5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50 discharges the separated solids out of the inlet 1.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상기 흡입구(1)에서 접속파이프(3)를 빼어내고 일단이 포집포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흡입구(1)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At the time of cleaning the filter 50, the connection pipe 3 is pulled out from the suction port 1, and the other end of the collecting pipe 71,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bag 70, to the suction port 1. When connected,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that the user can easily discharge the solids out of the main body 10 without touching the han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5,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100 ′.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100')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내부에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구획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흡인실(13) 내에 마련된 전동송풍기(20), 상기 본체(10)의 집진실(12) 내의 공간과 유통가능하게 상기 집진실(12) 내에 마련되어서 흡입된 공기 중에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필터(50),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집진실(12)을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구비된 개구(14), 상기 흡인실(13)의 토출유로(21)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실(12)에 접속되어 있는 바이패스유로(22)를 포함하고 있다.The vacuum cleaner 100 ′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and the suction chamber 13 are partitioned inside by the partition wall 11, and in the suction chamber 13 of the main body 10. The electric blower 20, the filter 50 which is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so as to distribute the space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separate and collect solid matter in the sucked air, the suction chamber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pening 14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part 11 and the discharge passage 21 of the suction chamber 13 so that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can pass through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chamber 12. It includes a bypass passage 22 that is connected to the truth 12.

상기 본체(10)의 상류단에는, 상기 일 실시예와 같이, 흡입구(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에는 접속파이프(3), 호스(2), 선단파이프(4), 연장관(5) 및 흡입 덕트구(6)가 순서적으로 탈착자재로 장착되어 있다.In the upstream end of the main body 10, as in the embodiment, a suction port 1 is provided, and the suction port 1 has a connection pipe 3, a hose 2, a tip pipe 4, and an extension pipe ( 5) and the suction duct opening 6 are sequentially mounted as a removable material.

상기 필터(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절두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필터(50)의 대직경부(52)는 상기 흡입구(1)와 유통하는 입구(56)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5 and 6, the filter 50 has an empty truncated cone,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52 of the filter 50 flows in the inlet 56 through the suction port 1. Is formed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main body 10.

그리고 상기 필터(50)의 소직경부(51)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형성된 출구(1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small diameter portion 51 of the filter 5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outlet 15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 in the open state.

상기 토출유로(21)의 하류단에는 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도중에는 밸브(V2)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개구(14)와 상기 전동송풍기(20) 사이의 흡인실(13)에는 상기 흡인실(13)을 선택적으로 외부와 유통가능하게 하는 밸브(V3)가 구비되어 있다.A valve V1 is interposed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21, and a valve V2 is interposed in the middle of the bypass passage 22, and between the opening 14 and the electric blower 20. The suction chamber 13 is provided with a valve V3 for selectively distributing the suction chamber 13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개구(14)에는 제2의 필터(60) 또는 밸브(V4)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출구(15)에는 밸브(V5)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구(1)에는 밸브(V6)이 개재되어 있다.In addition, a second filter 60 or a valve V4 is interposed in the opening 14, a valve V5 is interposed in the outlet 15, and a valve V6 is in the inlet 1. Is interposed.

상기 출구(15)는 일단이 상기 본체(10)의 외부와 유통하는 고형물방출관(80)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One end of the outlet 15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olid matter discharge tube 80 that is passed through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상기 필터(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끄러운 소재(예를 들면 우레탄 소재)의 제1메시층(53)과 상기 제1메시층(53)보다 조밀하고 매끄럽지 않은 소재(예를 들면 면 소재)의 제2메시층(54)이 적층되어 만들어져 있으며, 그리고 상기 필터(50)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필터(50)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날개부(55)가 형성되어 있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filter 50 may be a material that is less dense and smoother than the first mesh layer 53 and the first mesh layer 53 of a smooth material (for example, urethane material). For example, a second mesh layer 54 of a cotton material is laminated, and a plurality of vanes 55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50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50. ) Is formed.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은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55)의 어느 하나의 날개부를 상기 필터(50)의 둘레방향 일측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하류단에서 배출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필터(50)가 용이하게 둘레방향 타측으로 회전가능하게 한다.The downstream end of the bypass passage 22 is disposed to face one of the w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wing portions 55 to one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er 50, and is caused by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downstream end. The filter 50 can be easily rotated to the other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헤더관(22a)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헤더관(22a)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와 마주하게 길다란 슬롯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구멍(22b)은 상기 슬롯구멍(22b)을 통하여 배출되는 기류로 하여금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전장을 가압하여 균형적으로 상기 필터(50)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 header tube 22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of the wing portions is connected to a downstream end of the bypass passage 22, and the one w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header tube 22a. Long slot holes 22b are formed facing each other. The slot hole 22b acts to allow the air flow discharged through the slot hole 22b to pressurize the entire length of one of the wing portions so that the filter 50 can be rotated in a balanced mann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 진공 청소기(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The electric vacuum cleaner 100 ′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as follows.

1. 개구(14)에 제2필터(60)가 개재된 상태에서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1. When cleaning the outer bottom of the cleaner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filter 60 is interposed in the opening 14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는, 밸브(V2, V3, V5)를 닫고 밸브(V1, V6)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 덕트구(6), 연장관(5), 선단파이프(4), 호스(2), 접속파이프 및 흡입구(1)를 경유하여 필터(50)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2필터(60)에 의해 상기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 고형 입자들이 여과된 다음, 상기 제2필터(60)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When cleaning the outer floor of the cleaner, when the electric blower 20 is operated while the valves V2, V3, V5 are closed and the valves V1, V6 are opened, air and solids outside the suction duct opening 6 Through the suction duct port 6, the extension pipe 5, the end pipe 4, the hose 2, the connecting pipe and the suction port 1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50, the introduced solids are the filter ( The air that does not penetrate 50 and accumulates in the filter 50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50 is filtered by the second filter 60 and fine solid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nd then the second filter. It penetrates 60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main body 10 via the suction chamber 13 and the discharge passage 21.

2. 개구(14)에 제2필터(60)가 개재된 상태에서 필터(50)를 청소하는 경우2. When cleaning the filter 50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filter 60 is interposed in the opening 14

필터(50) 청소시에는, 밸브(V1, V6)를 닫고 밸브(V2, V3, V5)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외기가 상기 밸브(V3)를 경유하여 토출유로(21) 및 바이패스유로(22)를 통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다.When the filter 50 is cleaned, when the electric blower 20 is operated while the valves V1 and V6 are closed and the valves V2, V3 and V5 are opened,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valve V3. I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through the 21 and the bypass passage (22).

이때, 상기 집진실(12)의 공기는, 상기 밸브(V3)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보다도 상기 제2필터(60)에 의해 더 부하를 받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필터(60)를 통하여 상기 흡인실(13)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At this time, since the air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is more loaded by the second filter 60 than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valve V3, the suction is carried out through the second filter 60. Inflow into the chamber 13 is prevented.

상기 바이패스유로(22)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의 복수개의 날개부(55)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via the bypass passage 22 presses the plurality of vanes 55 of the filter 50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50 to filter the filter 50. Rotate in one direction.

상기 필터(5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게 되면, 상기 필터(50)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상기 고형물 방출관(80)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As the filter 50 rotates and the air penetrates the filter 50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solid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5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5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50 discharges the separated solids out of the solids discharge pipe 80.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일단이 포집포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고형물 방출관(80)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When cleaning the filter 50, if the other end of the collecting pipe 71,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bag 70, is connected to the solid discharge tube 80, the user does not touch the solids by hand.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that it can be easily discharged out of the main body 10.

3. 개구(14)에 밸브(V4)가 개재된 상태에서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3. The outside of the cleaner in the state in which the valve V4 is interposed in the opening 14. When cleaning the floor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는, 밸브(V2, V3, V5)를 닫고 밸브(V1, V4, V6)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 덕트구(6), 연장관(5), 선단파이프(4), 호스(2), 접속파이프 및 흡입구(1)를 경유하여 필터(50)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밸브(V4)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When cleaning the outer floor of the cleaner, when the electric blower 20 is operated while the valves V2, V3, V5 are closed and the valves V1, V4, V6 are opened, the air and solids outside the suction duct opening 6 are operated. The inlet duct opening 6, the extension pipe 5, the tip pipe 4, the hose 2, the connecting pipe and the suction port 1 are introduced into the filter 50, and the inflowed solids are introduced into the filter. The air that does not penetrate 50 and accumulates in the filter 50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50 passes through the valve V4 and passes through the suction chamber 13 and the discharge passage 21. It is discharged out of the main body 10.

4. 개구(14)에 밸브(V4)가 개재된 상태에서 필터(50)를 청소하는 경우4. When the filter 50 is cleaned with the valve V4 interposed in the opening 14.

필터(50) 청소시에는, 밸브(V1, V4, V6)를 닫고 밸브(V2, V3, V5)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외기가 상기 밸브(V3)를 경유하여 토출유로(21) 및 바이패스유로(22)를 통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다.When cleaning the filter 50, when the electric blower 20 is operated with the valves V1, V4, V6 closed and the valves V2, V3, V5 open, the outside air passes through the valve V3. I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21 and the bypass passage 22.

상기 바이패스유로(22)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의 복수개의 날개부(55)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via the bypass passage 22 presses the plurality of vanes 55 of the filter 50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50 to filter the filter 50. Rotate in one direction.

상기 필터(5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게 되면, 상기 필터(50)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상기 고형물방출관(80)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As the filter 50 rotates and the air penetrates the filter 50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solid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5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5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50 discharges the separated solids out of the solids discharge pipe 80.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일단이 포집포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고형물 방출관(80)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When cleaning the filter 50, if the other end of the collecting pipe 71,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bag 70, is connected to the solid discharge tube 80, the user does not touch the solids by hand.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that it can be easily discharged out of the main body 10.

상기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V6)는 접속파이프(3)가 상기 흡입구(1)에 삽입되면 위로 선회운동하여 개방자세에 위치될 수 있는 힌지 타입의 밸브가 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밸브(V5)는 상기 포집관(71)이 상기 고형물방출관(80)에 삽입되면 위로 선회운동하여 개방자세에 위치될 수 있는 힌지 타입의 밸브가 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valve V6 may be a hinge type valve which may be positioned in an open position by pivoting upward when the connecting pipe 3 is inserted into the inlet 1, and the valve ( V5) may be a hinge type valve that can be positioned in the open position by pivoting up when the collecting pipe 71 is inserted into the solid discharge pipe (80).

10; 본체, 20; 전동송풍기, 50; 필터, 60; 제2필터, 70; 포집포대10; Main body, 20; Electric blower, 50; Filter, 60; A second filter, 70; Collection bag

Claims (15)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내부에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구획 형성되고 상류단에 상기 집진실(12)과 유통하는 흡입구(1)가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흡인실(13) 내에 마련된 전동송풍기(20),
상기 본체(10)의 집진실(12) 내의 공간과 유통가능하게 상기 집진실(12) 내에 마련되어서 흡입된 공기 중에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필터(50),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집진실(12)을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구비된 개구(14), 및
상기 흡인실(13)의 토출유로(21)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실(12)에 접속되어 있는 바이패스유로(2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필터(50)의 일단은 개구되어서 상기 흡입구(1)에 지지되어 상기 흡입구(1)와 유통하고 있고,
상기 필터(50)의 타단은 막힌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토출유로(21)의 하류단에는 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도중에는 밸브(V2)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개구(14)와 상기 전동송풍기(20) 사이의 흡인실(13)에는 상기 흡인실(13)을 선택적으로 외부와 유통가능하게 하는 밸브(V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구(14)에는 제2의 필터(60) 또는 밸브(V4)가 개재되어 있으며,
필터청소시에는 밸브(V3), 토출유로(21), 바이패스유로(22), 필터(50) 및 흡입구(1)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흐르는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The main body 10 provided with the suction wall 1 which distributes | circulates with the said dust collection chamber 12 at the upstream end, and the dust collection chamber 12 and the suction chamber 13 are partitioned inside by the partition wall part 11,
Electric blower 20 provided in the suction chamber 13 of the main body 10,
A filter 50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so as to distribute the space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of the main body 10 and collecting and collecting the solids in the sucked air;
An opening 14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 for distributing the suction chamber 13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to each other,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ssage 21 of the suction chamber 13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bypass passage 22 connected to the dust chamber 12,
One end of the filter 50 is opened and supported by the suction port 1, and flows in the suction port 1,
The other end of the filter 50 is supported by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 in a blocked state,
A valve V1 is interposed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21,
In the middle of the bypass passage 22, a valve V2 is interposed.
The suction chamber 13 between the opening 14 and the electric blower 20 is provided with a valve V3 for selectively distributing the suction chamber 13 to the outside,
The opening 14 is interposed with a second filter 60 or a valve V4,
An electric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n air passage flowing through the valve V3, the discharge passage 21, the bypass passage 22, the filter 50, and the suction port 1 is formed sequential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50)는 매끄러운 소재의 제1메시층(53)과 상기 제1메시층(53)보다 조밀하고 매끄럽지 않은 소재의 제2메시층(54)이 적층되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50 is formed by stacking a first mesh layer 53 of a smooth material and a second mesh layer 54 of a material that is less dense and smoother than the first mesh layer 53.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50)는 내부가 빈 절두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lter 50 is an electric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truncated con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50)의 소직경부(51)는 개구되어서 상기 흡입구(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필터(50)의 대직경부(52)는 막힌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50)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필터(50)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날개부(5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은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55)의 어느 하나의 날개부를 상기 필터(50)의 둘레방향 일측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mall diameter portion 51 of the filter 50 is opened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inlet 1,
The large diameter portion 52 of the filter 5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 in a blocked stat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wings 55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5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downstream end of the bypass flow passage (22) is an electric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wing portion of the plurality of wings (55) is disposed facing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er (5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헤더관(22a)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헤더관(22a)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와 마주하게 길다란 슬롯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ownstream end of the bypass passage 22 is connected to a header tube 22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of the wings, and the header tube 22a has a slot that is long to face the one of the wings. The hole 22b is formed, The electric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V1)은 필터청소시에 닫힘되고 그리고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 개방되고,
상기 밸브(V2)는 필터청소시에 열림되고 그리고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 닫힘되고,
상기 밸브(V3)는 필터청소시에 열림되고 그리고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 닫힘되고, 그리고,
상기 밸브(V4)는 필터청소시에 닫힘되고 그리고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 열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valve V1 is closed when the filter is cleaned and is opened when the bottom of the cleaner is cleaned.
The valve V2 is opened at the time of cleaning the filter and closed at the bottom of the cleaner,
The valve V3 is opened when the filter is cleaned and is closed when the cleaner outer floor is cleaned, and
The valve (V4) is closed when the filter is cleaned and opened when cleaning the outer floor of the vacuum cleaner.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내부에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구획 형성되고 상류단에 상기 집진실(12)과 유통하는 흡입구(1)가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흡인실(13) 내에 마련된 전동송풍기(20),
상기 본체(10)의 집진실(12) 내의 공간과 유통가능하게 상기 집진실(12) 내에 마련되어서 흡입된 공기 중에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필터(50),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집진실(12)을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구비된 개구(14), 및
상기 흡인실(13)의 토출유로(21)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실(12)에 접속되어 있는 바이패스유로(22)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50)의 일단은 개구되어서 상기 흡입구(1)에 유통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필터(50)의 타단은 개구되어서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형성된 출구(15)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출구(15)는 일단이 상기 본체(10)의 외부와 유통하는 고형물방출관(80)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토출유로(21)의 하류단에는 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도중에는 밸브(V2)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개구(14)와 상기 전동송풍기(20) 사이의 흡인실(13)에는 상기 흡인실(13)을 선택적으로 외부와 유통가능하게 하는 밸브(V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구(14)에는 제2의 필터(60) 또는 밸브(V4)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출구(15)에는 밸브(V5)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에는 밸브(V6)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The main body 10 provided with the suction wall 1 which distributes | circulates with the said dust collection chamber 12 at the upstream end, and the dust collection chamber 12 and the suction chamber 13 are partitioned inside by the partition wall part 11,
Electric blower 20 provided in the suction chamber 13 of the main body 10,
A filter 50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so as to distribute the space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of the main body 10 and collecting and collecting the solids in the sucked air;
An opening 14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 for distributing the suction chamber 13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to each other, and
A bypass passage 2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ssage 21 of the suction chamber 13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
One end of the filter 50 is opened to be supported by the inlet 1 so as to be circulated.
The other end of the filter 50 is opened and supported by an outlet 15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
One end of the outlet 15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olid matter discharge pipe 80, which is in circul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A valve V1 is interposed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21,
In the middle of the bypass passage 22, a valve V2 is interposed.
The suction chamber 13 between the opening 14 and the electric blower 20 is provided with a valve V3 for selectively distributing the suction chamber 13 to the outside,
The opening 14 is interposed with a second filter 60 or a valve V4,
The outlet 15 is interposed with a valve V5,
The inlet (1) is an electric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ve (V6) is interpos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50)는 매끄러운 소재의 제1메시층(53)과 상기 제1메시층(53)보다 조밀하고 매끄럽지 않은 소재의 제2메시층(54)이 적층되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lter 50 is formed by stacking a first mesh layer 53 of a smooth material and a second mesh layer 54 of a material that is less dense and smoother than the first mesh layer 53. .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50)는 내부가 빈 절두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The filter 50 is an electric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truncated con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50)의 소직경부(51)는 개구되어서 상기 출구(1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필터(50)의 대직경부(52)는 중앙에 입구(56)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1)와 유통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50)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필터(50)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날개부(5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은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55)의 어느 하나의 날개부를 상기 필터(50)의 둘레방향 일측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small diameter portion 51 of the filter 50 is opened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outlet 15,
The large diameter portion 52 of the filter 5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ain body 10 in a state in which an inlet 56 is formed in the center and flows with the inlet 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wings 55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5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downstream end of the bypass flow passage (22) is an electric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wing portion of the plurality of wings (55) is disposed facing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er (5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헤더관(22a)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헤더관(22a)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와 마주하게 길다란 슬롯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downstream end of the bypass passage 22 is connected to a header tube 22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of the wings, and the header tube 22a has a slot that is long to face the one of the wings. The hole 22b is formed, The electric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V1)은 필터청소시에 닫힘되고 그리고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 개방되고,
상기 밸브(V2)는 필터청소시에 열림되고 그리고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 닫힘되고,
상기 밸브(V3)는 필터청소시에 열림되고 그리고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 닫힘되고,
상기 밸브(V4)는 필터청소시에 닫힘되고 그리고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 열림되고,
상기 밸브(V5)는 필터청소시에 열림되고 그리고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 담힘되고, 그리고
상기 밸브(V6)는 필터청소시에 닫힘되고 그리고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 열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valve V1 is closed when the filter is cleaned and is opened when the bottom of the cleaner is cleaned.
The valve V2 is opened at the time of cleaning the filter and closed at the bottom of the cleaner,
The valve V3 is opened at the time of cleaning the filter and closed at the bottom cleaning of the cleaner,
The valve V4 is closed when the filter is cleaned and is opened when the bottom of the cleaner is cleaned.
The valve V5 is opened when the filter is cleaned and is filled when cleaning the outer floor of the cleaner, and
The valve V6 is closed when the filter is cleaned and the outside of the cleaner An electric vacuum cleaner, wherein the vacuum cleaner is opened when the floor is clean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는 일단이 포집포대(70)에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이 상기 고형물 방출관(80)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포집포대(70)는 상기 포집관(71)을 통하여 고형물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포집포대(70)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일부 벽면에 필터(7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At the time of cleaning the filter 50, the other end of the collecting tube 71,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bag 70, is connected to the solid discharge tube 80.
The collection bag 7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72 is provided on some of the wall surface to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with the solids through the collecting pipe 71 to the outside from the collecting bag (70) Vacuum clea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일단이 포집포대(70)에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이 상기 흡입구(1)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포집포대(70)는, 상기 포집관(71)을 통하여 고형물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포집포대(70)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일부 벽면에 필터(7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filter 50 is cleaned, the other end of the collecting pipe 71,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bag 7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1,
The collecting bag 7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72 is provided on a part of the wall in order to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with the solids through the collecting pipe 71 from the collecting bag 70 to the outside. Electric vacuum cleaner.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V6)는 접속파이프(3)가 상기 흡입구(1)에 삽입되면 위로 선회운동하여 개방자세에 위치될 수 있는 힌지 타입의 밸브이고, 그리고 상기 밸브(V5)는 상기 포집관(71)이 상기 고형물방출관(80)에 삽입되면 위로 선회운동하여 개방자세에 위치될 수 있는 힌지 타입의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valve V6 is a hinge type valve that can be positioned in an open position by pivoting upward when the connecting pipe 3 is inserted into the inlet 1, and the valve V5 is the collection pipe 71.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type valve that can be positioned in the open position by pivoting upward when inserted into the solid discharge tube (80).
KR1020120051494A 2012-05-15 2012-05-15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2502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94A KR101250218B1 (en) 2012-05-15 2012-05-15 Electric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94A KR101250218B1 (en) 2012-05-15 2012-05-15 Electric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218B1 true KR101250218B1 (en) 2013-04-03

Family

ID=4844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494A KR101250218B1 (en) 2012-05-15 2012-05-15 Electric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21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320A (en) * 2000-12-29 2002-07-10 구자홍 Cleanup device of filter for vacuum cleaner
JP2009201825A (en) 2008-02-28 2009-09-10 Toshiba Corp Vacuum cleaner
JP2010063817A (en) * 2008-09-12 2010-03-25 Toshiba Corp Vacuum cleaner
KR101012197B1 (en) 2006-08-25 2011-02-0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320A (en) * 2000-12-29 2002-07-10 구자홍 Cleanup device of filter for vacuum cleaner
KR101012197B1 (en) 2006-08-25 2011-02-0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Vacuum cleaner
JP2009201825A (en) 2008-02-28 2009-09-10 Toshiba Corp Vacuum cleaner
JP2010063817A (en) * 2008-09-12 2010-03-25 Toshiba Corp Vacuum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7195B (en) System comprising a vacuum cleaner and a base station, vacuum cleaner, base station, and method for emptying a dust chamber of a vacuum cleaner
KR102438130B1 (en) Air purifier
KR101248722B1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1372513B1 (en) Vacuum cleaner
TWI576082B (en) Vacuum cleaner
KR101781997B1 (en) dust collector
KR101392428B1 (en) vacuum cleaner
CN103371778B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101645328B1 (en) vacuum cleaner
KR101250218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TW201729746A (en) Suction type cleaning device capable of achieving an optimal regeneration for the suction chamber and the air filter
KR101245673B1 (en) Vacuum cleaner
JP6158072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245672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248475B1 (en) Vacuum cleaner
JP6360543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311866B1 (en) Vacuum cleaner
KR101433087B1 (en) built-in cleaner for cleaning room by negative pressure and positive pressure
KR101372510B1 (en) collector for collecting dust discharged from electric vacuum cleaner
KR20140037522A (en) Vacuum cleaner
KR20160043401A (en) vacuum cleaner
KR101245671B1 (en) Collector for collecting dust discharged from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250079B1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cum cleaner
KR101468509B1 (en) vacuum cleaner
KR101245674B1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