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514B1 - 토양 또는 수질 오염 측정을 위한 신규한 자가 소멸 재조합 균주 - Google Patents

토양 또는 수질 오염 측정을 위한 신규한 자가 소멸 재조합 균주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514B1
KR101249514B1 KR1020100118540A KR20100118540A KR101249514B1 KR 101249514 B1 KR101249514 B1 KR 101249514B1 KR 1020100118540 A KR1020100118540 A KR 1020100118540A KR 20100118540 A KR20100118540 A KR 20100118540A KR 101249514 B1 KR101249514 B1 KR 101249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henanthrene
strain
recombinant
sql2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011A (ko
Inventor
남경필
신도연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18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514B1/ko
Priority to US13/034,198 priority patent/US8557559B2/en
Publication of KR20120057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고, 기탁번호 KCTC 11771BP로 기탁된 균주인, 시료 내 오염 물질로서 방향족 탄화수소를 특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스핑고모나스 포시모빌리스 SQL2(Sphingomonas paucimobilis SQL2) 균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토양 또는 수질 오염 측정을 위한 신규한 자가 소멸 재조합 균주 {NOVEL SELF-DYING RECOMBINANT MICROORGANISM FOR MEASURING SOIL AND WATER CONTAMINATION}
본 발명은 토양 또는 수질 오염을 측정을 위한 자가 소멸 재조합 균주에 관한 것이다.
토양 또는 지하수에 존재하는 총 오염 물질의 농도와 실제 생물학적으로 이용 가능한 농도 또는 독성을 나타내는 농도와는 차이가 있다. 이는, 오염 물질이 토양에 방출된 후 흡착 등의 기작에 의해 그 독성과 생물학적 이용성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용체에 대한 독성 정도를 측정한다는 면에서 대상 오염 물질의 실제 생물학적 이용성과 독성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토양 또는 지하수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의 생물학적 이용성과 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마이크로톡스(Microtox)는 발광성 미생물의 발광성 저해 정도를 이용하여 오염 물질의 독성 정도를 파악하는 독성 측정 기법이다(Palmer et al., 1998; Sousa et al., 1998). 이 외에, 미생물에 의한 분해 정도(biodegradability) (Weissenfels et al., 1992; Tang and Alexander, 1999)를 측정하는 방법 또는 가벼운 추출 방법(mild extraction)(Alexander and Alexander, 2000; Reid et al., 2000)이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들은 물질 특이적이지 않거나, 반드시 생물 기반의 검출법과 비교되어야 하거나, 오염 물질이 토양과 섞여 있는 상태에서 직접 측정 가능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즉, 이들 방법은 토양 또는 수 중에 존재하는 생물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는다.
재조합 미생물을 이용한 오염물질 검출 기법은 1990년대 초반에 세일러(G. Sayler)에 의해 제안된 후로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오염 물질을 특이적이고 민감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장치로서 미생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경우 대상 오염물질에 의해 발현되는 유전자 프로모터(promoter)에 발광/형광 유전자를 재조합시켜 오염물질의 양에 따라 발광/형광량이 증가하는 것을 측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재조합 미생물을 이용하여 토양 또는 수중 오염 물질을 측정할 때, 토양에서 오염 물질을 추출하여 재조합 균주와 반응시켜 그 반응을 측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윌라드슨(Willardson) 등(Willardson et al., 1998)의 연구에 의하면, 발광 바이오리포터 슈도모나스 푸티다 엠티-2(Pseudomonas putida mt-2)를 이용하여 토양에서 비텍스(BTEX)의 농도를 측정하며, 토양 입자에 의한 방해를 없애기 위하여 토양-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바이오리포터의 반응을 측정한다. 또한, 구 (Gu and Chang, 2001) 등의 연구에 의하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모든 페난트렌을 추출한 후 토양 내 페난트렌의 독성을 측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추출 과정이 더해짐으로서 실제 오염 물질의 생물학적 이용성과 독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유류로 오염된 토양 또는 물에서 유류 중 존재하는 방향족 탄화수소를 지표로 검출함으로써 오염된 유류의 잔류 독성과 생물학적 이용성을 예측하는 토양 또는 수질 오염 측정할 수 있는 신규한 균주를 제공한다.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고, 기탁번호 KCTC 11771BP로 기탁된 균주인, 시료 내, 특히 토양 또는 수 중 오염 물질로서 방향족 탄화수소를 측정할 수 있는, 스핑고모나스 포시모빌리스 SQL2 균주를 제공한다. 토양 또는 수질 오염의 지표는 방향족 탄화수소, 특히 페난트렌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자가 소멸 재조합 균주는 오염 물질의 지표로서 방향적 탄화수소의 생물학적 이용성과 독성을 정량적으로 시각화한다. 즉, 상기 재조합 균주는 이용 가능한 방향족 탄화수소의 양에 따라 사멸하는 반응을 보이므로, 살아 있는 미생물의 형광이 이용 가능한 방향족 탄화수소의 양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염색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종래 오염 물질 검출을 위한 재조합 미생물과 달리, 본 발명의 신규한 재조합 미생물은, 이용 가능한 방향족 탄화수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재조합 균주가 사멸하기 때문에, 방향족 탄화수소의 잔류 독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토양 또는 수질 오염을 측정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미드 구축 기술은 기존과 달리 매우 새로운 방법으로, 이 자가 소멸 재조합 미생물은 토양 및 수계에 존재하는 방향족 탄화수소의 독성을 나타내는 부분에 의해 사멸하게 된다.
종래, 특히 토양 내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의 경우 재조합 균주의 형광 반응을 측정하기 어려워 주로 토양에서 오염물질을 추출하여 그 추출물에서 재조합 균주의 반응을 측정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시료로서 토양과 재조합 균주를 혼합한 후, 추출 과정 없이 바로 미생물과 오염물질, 토양 간의 작용을 반영한 오염물질의 독성과 생물학적 이용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을 검출 장치로 이용하기 때문에 단순한 농도가 아니라 생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독성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재조합 유전자 부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페난트렌, 톨루엔, 헥세인 및 헥사데케인에 대한 재조합 균주의 반응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오타와 샌드에 오염시킨 페난트렌에 대한 재조합 균주의 반응을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오타와 샌드에 있어서 재조합 균주의 페난트렌 농도에 대한 반응을 정량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제 토양에 오염시킨 페난트렌에 대한 재조합 균주의 반응을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실제 토양의 경우에 있어서 재조합 균주의 페난트렌 농도에 대한 반응을 정량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모델 토양과 실제 토양에서 재조합 균주에 의한 1일 내의 500 mg/kg의 페난트렌 분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페난트렌 분해율을 기반으로 계산된 모델 토양과 실제 토양에 존재하는 페난트렌에 대한 재조합 균주의 반응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고, 기탁번호 KCTC 11771BP로 기탁된 균주인, 시료 내 오염 물질로서 방향족 탄화수소를 특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스핑고모나스 포시모빌리스 SQL2(Sphingomonas paucimobilis SQL2)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주로 측정할 수 있는 오염 물질의 지표는 방향족 탄화수소, 특히 페난트렌이다. 방향족 탄화수소는 토양 또는 수 중 유류 오염이 일어났을 때 유류의 구성 성분 중 잔류성과 독성이 높은 부분이다. 또한, 페난트렌은 방향족 탄화수소 중 다환상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의 대표 물질로서,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고 토양 내 흡착 등에 의해 독성 감소가 높은 대표적인 물질이다.
상기 스핑고모나스 포시모빌리스 SQL2(Sphingomonas paucimobilis SQL2) 균주와 시료를 혼합하고, 인비트로젠 사(INVITROGEN)의 라이브/데드 박라이트 박테리얼 바이어빌러티 키트(LIVE/DEAD BacLight Bacterial Viability Kit, Molecular Probes, L7012)를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염색한 후, 형광 반응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측정한다. 라이브/데드 박라이트 박테리얼 바이어빌러티 키트는 DNA 결합 염색제로서 살아 있는 미생물의 DNA를 녹색 형광으로 표지하고 죽은 미생물의 DNA를 적색 형광으로 표지 하기 때문에, 적색 형광이 많을수록 시료의 오염 정도가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미생물이 시료 중의 오염 물질과 접촉하여 사멸되어 죽은 미생물로 표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혼합물 중 오염 물질을 이미지 분석법으로 정량화할 수 있다.
토양 시료에 존재하는 페난트렌을 분석하기 위해서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으로 토양 시료-미생물 혼합체의 형광 반응을 측정한다. 측정된 녹색 및 적색 형광은 어도비 포토샵 프로그램 (Adobe Photoshop CS4; Adobe Systems, CA, USA)을 이용하여 적색 형광을 제거하고 흑백 이미지로 변환한다. 총 형광 강도는 이미지제이 프로그램 (ImageJ; Rasband, 1997-2009)으로 프로그램의 메져 기능 (measure function)을 사용하여 254×254 픽셀 안에 존재하는 총 밝기 값을 정량화하였다. 총 형광 강도는 픽셀의 밝기의 합을 이미지 안에 존재하는 픽셀의 수로 나눈 값으로 나타난다.
실시예
실시예 1: 재조합 균주의 제작
방향족 탄화수소 분해 미생물인 스핑고모나스 포시모빌리스 이피에이505 (Sphinogomonas paucimobilis EPA505)를 사용하여 재조합 균주 스핑고모나스 포시모빌리스 SQL2(Sphingomonas paucimobilis SQL2)를 제작하였다.
재조합 균주 제작을 위한 벡터로는 브로드-호스트 레인지 벡터(Broad-host range vector)인 pBBR1-MCS2을 사용하여 방향족 탄화수소에 의해 발현되는 프로모터인 pbhA 유전자의 프로모터 부분과 미생물을 죽게 하는 유전자인 gef 유전자 부분을 재조합하고,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스핑고모나스 포시모빌리스 EPA505(Sphingomonas paucimobilis EPA505)에 삽입하여 재조합 균주 스핑고모나스 포시모빌리스 SQL2(Sphingomonas paucimobilis SQL2)를 제작하였다.
도 1은 재조합 유전자 부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pbhA1pbhA 유전자의 프로모터 추정 부분이고, KmR은 카나마이신 저항성 유전자이며, gef는 미생물-사멸 유전자(gene expression fatal)이고, rep는 복제 기점이다.
상기 재조합 균주인 스핑고모나스 포시모빌리스 SQL2는 이용 가능한 페난트렌에 의해 pbhA 유전자가 발현됨에 따라 미생물을 죽이는 유전자인 gef 유전자가 발현되도록 설계되었다.
실시예 2: 기질 특이성 검증
기질 특이성을 검증하기 위해 피루브산(pyruvate)을 탄소원으로 한 무기 배지에 페난트렌을 50 내지 500 mg/L 농도로 첨가하고, 재조합 균주를 접종하여 24시간 단위로 시료를 취하여 인비트로젠 사(INVITROGEN)의 라이브/데드 박라이트 박테리얼 바이어빌러티 키트(LIVE/DEAD BacLight Bacterial Viability Kit, Molecular Probes, L7012)를 사용하여 염색 후 형광 반응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측정하였다.
비교를 위해 같은 농도의 지방족 탄화수소인 헥세인과 헥사데케인 50 내지 500 mg/L, 단일방향족 탄화수소(monoaromatic hydrocarbon)인 톨루엔 1 내지 50 mg/L에 대한 재조합 균주의 반응을 각각 측정하였다.
지방족 탄화수소(aliphatic hydrocarbons)는 방향족 탄화수소와 함께 유류의 구성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 개발한 재조합 균주가 유류에 혼합되어 있는 방향족 탄화수소를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선택하였다. 라이브/데드 박라이트 박테리얼 바이어빌러티 키트는 DNA 결합 염색제로서 살아 있는 미생물의 DNA를 녹색 형광으로 표지하고 죽은 미생물의 DNA를 빨간색 형광으로 표지하여 미생물의 생존성을 나타내는 염색법이다.
재조합 균주의 반응은 상대형광강도(FL/FL0)값, 즉 대상 오염물질에 노출된 재조합 균주의 형광 반응 값(FL)을 대상 오염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재조합 균주의 형광 반응(FL0)으로 나눈 값으로 표현하였다. 이 값은 대상 오염물질의 농도에 따른 재조합 균주의 반응을 형광 감소 비율로 나타내므로 매 시험 시 오차를 줄일 수 있고 독성 농도 값을 표준화된 형광강도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2는 페난트렌, 톨루엔, 헥세인 및 헥사데케인에 대한 재조합 균주의 반응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재조합 균주는 지방족 탄화수소인 헥세인과 헥사데케인에 대해서는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방향족 탄화수소인 페난트렌에 대해 미생물이 사멸하는 반응을 보여 형광 반응이 특이적으로 감소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 반응은 농도에 대해 정량적이고 선형적으로 나타났다. 톨루엔의 경우 그 농도가 높을 때에는 미생물 자체에 대한 독성을 보여 1 내지 50 mg/L의 낮은 농도 범위에서만 측정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조합 균주가 유류 구성 성분 중 방향족 탄화수소의 독성과 생물학적 이용성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모델 토양에서 재조합 균주의 성능 검증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오타와 샌드를 모델 토양으로 사용하여 페난트렌을 50 내지 1000 mg/kg 농도로 오염시키고, 토양 2그램당 무기배지 10 밀리리터 기준으로 피루브산(pyruvate)을 탄소원으로 한 무기 배지를 첨가하고, 재조합 균주를 접종하여, 24시간 단위로 시료를 취하여 그 반응을 측정하였다.
모델 토양, 액체 배지, 및 재조합 균주 혼합체를 직접 측정하기 위하여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을 사용하여 형광 반응을 촬영하고 ImageJ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사용한 모델 토양과 실제 토양(M soil)의 특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토성 토양 유기물 함량 (%) 포장용수량 (field capacity) 수소이온농도 (pH) 표면적
(m2/g)a
오타와 샌드 사토 0 0.050 7.0 0.13
실제 토양 사양토 11.5 0.358 6.8 2.4
도 3은 오타와 샌드에 오염시킨 페난트렌에 대한 재조합 균주의 반응을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에서 배율은 200 배이며, 괄호 안의 숫자는 상대형광강도 (FL/FL0) 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페난트렌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녹색 형광, 즉 살아 있는 미생물의 수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조합 균주가 오타와 샌드에 있는 페난트렌을 성공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 페난트렌 농도가 높아질수록 미생물이 사멸하므로, 결과적으로 재조합 균주가 페난트렌의 독성을 표현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얻어진 재조합 균주의 상대형광강도 값(FL/FL0)은 페난트렌의 독성 농도로 변환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오타와 샌드에 있어서 재조합 균주의 페난트렌 농도에 대한 반응을 정량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페난트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재조합 균주의 반응이 감소하였으며, 그 반응은 농도에 대해 정량적이고 선형적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실제 토양에서의 재조합 균주의 성능 검증
페난트렌으로 오염된 이력이 없는 토양에 페난트렌을 50 내지 1000 mg/kg 농도로 가하여 오염시키고, 토양 2그램당 무기배지 10 밀리리터 기준으로 무기배지를 첨가하고 재조합 균주를 혼합하여 24시간 배양 후 재조합 균주의 반응을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측정하였다.
도 5는 실제 토양에 오염시킨 페난트렌에 대한 재조합 균주의 반응을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에서 배율은 200 배이며, 괄호 안의 숫자는 상대형광강도 (FL/FL0) 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도 6은 실제 토양의 경우에 있어서 재조합 균주의 페난트렌 농도에 대한 반응을 정량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재조합 균주의 반응은 오타와 샌드에서와 같이 정량적이고 선형적으로 나타났으며, 페난트렌의 농도에 대해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종래 미생물을 이용한 오염물질 검출 방법들이 오타와 샌드 등 모델 토양에서는 잘 이루어졌으나 실제 토양에서는 검출이 어려웠던 반면, 본 발명에서는 실제 토양과 혼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모델 토양과 큰 차이 없이 페난트렌에 대한 재조합 균주의 반응을 측정할 수 있었으며, 특히 이제까지 알려진 재조합 미생물 균주는 약 1,000 mg/kg 이상의 페난트렌만을 측정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50 mg/kg의 페난트렌까지 측정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모델 토양과 실제 토양에서 재조합 균주의 페난트렌 분해율 비교
모델 토양과 실제 토양을 페난트렌 500 mg/kg 농도로 오염시키고, 토양 2그램당 무기배지 10 밀리리터 기준으로 무기배지를 첨가하고 재조합 균주를 혼합하여, 24시간 단위로 잔여 페난트렌의 양을 추출한 후 측정하였다. 페난트렌 추출은 미국환경보호국 (EPA) 방법 3545법을 따라 토양에 존재하는 추출 가능한 모든 페난트렌을 추출하도록 하였다.
실제 토양에 오염된 유류의 잔류 독성과 생물학적 이용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재조합 균주의 실제 토양 적용성을 모델 토양에서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조합 균주의 반응은 pbhA 유전자의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된다. 이 유전자는 페난트렌의 분해 단계 중 첫 번째 단계에 관여하는 유전자이므로, 이 유전자의 발현 정도는 재조합 균주에 의한 페난트렌의 분해량에 비례하여 나타난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서 페난트렌의 분해량을 측정하면 재조합 균주의 예상 반응을 측정할 수 있으며, 분해량과 달리 반응이 나타날 경우 외부 조건에 의해 재조합 균주의 페난트렌 검출 성능이 감소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도 7은 모델 토양과 실제 토양에서 재조합 균주에 의한 1일 내의 500 mg/kg의 페난트렌 분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델 토양과 실제 토양에서 재조합 균주에 의한 1일 내의 500 mg/kg의 페난트렌 분해율은 각각 97.2%와 68.2%이었다. 여기서 500 mg/kg의 페난트렌이 1일 내에 97.2%와 68.2%의 분해율을 따라 486 mg/kg과 341 mg/kg으로 분해된다면, 그 이하의 농도(50 내지 250 mg/kg)의 페난트렌은 모두 분해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도 8은 페난트렌 분해율을 기반으로 계산된 모델 토양과 실제 토양에 존재하는 페난트렌에 대한 재조합 균주의 반응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델 토양과 실제 토양에서 측정된 재조합 균주의 반응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조합 균주의 형광 반응을 측정하는 데에 있어 토양 입자 등에 의한 방해 작용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실제 페난트렌의 이용성에 기반한 재조합 균주의 반응을 측정할 수 있었음을 나타낸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조합 균주의 실제 토양에 대한 적용성을 증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조합 균주는 새로운 검출 기작을 도입한 것으로, 방향족 탄화수소의 독성과 생물학적 이용성을 시각화하고 정량화하여, 유류 오염 상태 및 잔류 독성을 시각화 및 정량화하는 디지털화된 미생물 기반 시스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1771BP 20101001
<110> SEOUL NATIONAL UNIVERSITY <120> NOVEL SELF-DYING RECOMBINANT MICROORGANISM FOR MEASURING SOIL AND WATER CONTAMINATION <130> APC-10-0193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50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QL2 <400> 1 ccaattcccc aatgagcggc agccggttcg gaccgcttcc cggtgaatga ctggaattcc 60 ttggcggtgt tccggaatcc gtccccgagc cgcccgccca tgacgggcga atcgatgaat 120 agacatttat gttgcgctat tcctacacca acaaattacc cggtgcaacg tattgcagta 180 tggagaacta tcgcatagac tcggccggca agaccggcgg caagacaatc ggcgatgacg 240 gtcccgcgag atgcgagccg cgtcctctgg gagagaaagc aaatggcagc agtcacggaa 300 ctcggttacc tggtcaagga gaagagagca atgaagcagc ataaggcgat gattgtcgcc 360 ctgatcgtca tctgtatcac cgccgtagtg gcggcgctgg taacgagaaa agacctctgt 420 gaggttcaca tccgaactgg ccagacggag gttgctgttt tcacggctta cgaatccgag 480 taagagcaac ggcggggagt 500

Claims (3)

  1.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고, 기탁번호 KCTC 11771BP로 기탁된 균주인, 시료 내 오염 물질로서 페난트렌을 특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스핑고모나스 포시모빌리스 SQL2 균주로서,
    토성이 사양토이고, 11.5 %의 토양 유기물 함량, 0.358의 포장용수량, pH 6.8 및 표면적 2.4 (m2/g)a의 특성을 갖는 실제 토양에 오염시킨 페난트렌에 대한 상기 SQL2 균주의 반응이 상기 실제 토양에서의 페난트렌의 농도가 50 mg/kg-soil일 때, 1.01±0.08 FL/FL0이고, 150 mg/kg-soil일 때 0.87±0.14 FL/FL0이고, 250 mg/kg-soil일 때 0.69±0.14 FL/FL0이고, 500 mg/kg-soil일 때 0.66±0.10 FL/FL0이며, 1000 mg/kg-soil일 때 0.69±0.14 FL/FL0이고,
    토성이 사토이고, 0 %의 토양 유기물 함량, 0.050의 포장용수량, pH 7.0 및 표면적 0.13 (m2/g)a의 특성을 갖는 오타와 샌드 및 상기 실제 토양에서의 상기 SQL2 균주에 의한 1일 내의 500 mg/kg의 페난트렌 분해율이 각각 97.2 % 및 68.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핑고모나스 포스모빌리스 SQL2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로서 토양 또는 수 중 오염 물질을 측정하는, 스핑고모나스 포시모빌리스 SQL2 균주.
  3. 삭제
KR1020100118540A 2010-11-26 2010-11-26 토양 또는 수질 오염 측정을 위한 신규한 자가 소멸 재조합 균주 KR101249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540A KR101249514B1 (ko) 2010-11-26 2010-11-26 토양 또는 수질 오염 측정을 위한 신규한 자가 소멸 재조합 균주
US13/034,198 US8557559B2 (en) 2010-11-26 2011-02-24 Self-dying recombinant microorganism for measuring soil and water contamin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540A KR101249514B1 (ko) 2010-11-26 2010-11-26 토양 또는 수질 오염 측정을 위한 신규한 자가 소멸 재조합 균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011A KR20120057011A (ko) 2012-06-05
KR101249514B1 true KR101249514B1 (ko) 2013-04-01

Family

ID=4612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540A KR101249514B1 (ko) 2010-11-26 2010-11-26 토양 또는 수질 오염 측정을 위한 신규한 자가 소멸 재조합 균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57559B2 (ko)
KR (1) KR1012495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9988B (zh) * 2015-09-29 2018-07-13 南京农业大学 一株具有菲降解功能的根表成膜细菌rs2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5744B2 (en) * 2002-05-31 2009-12-01 Helmholtz-Zentrum für Umweltforschung GmbH-UFZ Biologically based tes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5744B2 (en) * 2002-05-31 2009-12-01 Helmholtz-Zentrum für Umweltforschung GmbH-UFZ Biologically based test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 서울대 대학원 학위논문(2010.8) *
논문1 : 서울대 대학원 학위논문(201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011A (ko) 2012-06-05
US20120135502A1 (en) 2012-05-31
US8557559B2 (en)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udur et al. Implications of co-contamination with aged heavy metals and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on natural attenuation and ecotoxicity in Australian soils
Chen et al. Remediation of diesel‐contaminated soil using in situ chemical oxidation (ISCO) and the effects of common oxidants on the indigenous microbial community: a comparison study
Jiang et al. Migration and evolution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landfill leachate-contaminated groundwater plume
Maila et al. The use of biological activities to monitor the removal of fuel contaminants—perspective for monitoring hydrocarbon contamination: a review
Onwurah et al. Crude oil spills in the environment, effects and some innovative clean-up biotechnologies
Mariano et al. Laboratory study on the bioremediation of diesel oil contaminated soil from a petrol station
Lebeau Bioaugmentation for in situ soil remediation: how to ensure the success of such a process
Andreolli et al. Bioremediation of diesel contamination at an underground storage tank site: a spatial analysis of the microbial community
Pelz et al. Tracing toluene-assimilating sulfate-reducing bacteria using 13C-incorporation in fatty acids and whole-cell hybridization
Kadali et al. Mineralisation of weathered crude oil by a hydrocarbonoclastic consortia in marine mesocosms
Xu et al. Vertic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s of polycyclic aromatic compounds and bacterial communities in contaminated soil in oil storage tank areas
Tiralerdpanich et al. Variation of the mangrove sediment microbiomes and their phenanthrene biodegradation rates during the dry and wet seasons
Bruckberger et al. Biodegradability of polar compounds formed from weathered diesel
Babapoor et al. Biosensor design for detection of mercury in contaminated soil using rhamnolipid biosurfactant and luminescent bacteria
Tecon et al. Double‐tagged fluorescent bacterial bioreporter for the study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diffusion and bioavailability
Liu et al. Petroleum‐contamination drives the shift of microbiome through modifying soil metallome
Offiong et al. Metagenomics: an emerging tool for the chemistry of environmental remediation
Li et al. Combined maize straw-biochar and oxalic acids induced a relay activity of abundant specific degraders for efficient phenanthrene degradation: Evidence based on the DNA-SIP technology
Moreno et al. Restoring biochemical activity and bacterial diversity in a trichloroethylene-contaminated soil: the reclamation effect of vermicomposted olive wastes
KR101249514B1 (ko) 토양 또는 수질 오염 측정을 위한 신규한 자가 소멸 재조합 균주
Philp et al. Monitoring bioremediation
He et al. Bacterial bioreporter‐based mercury and phenanthrene assessment in Yangtze river delta soils of China
Chumchalová et al. Laboratory tests for aerobic bioremediation of the contaminated sites in the Czech Republic.
Fahim Muhsin et al. Bioremediation by bacteria isolated from water contaminated with hydrocarbons
Zhu et al. Microbial community functional diversity in an organochlorine contaminated site and evaluation of biodegradation effici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