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021B1 - 동력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동력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021B1
KR101249021B1 KR1020100101127A KR20100101127A KR101249021B1 KR 101249021 B1 KR101249021 B1 KR 101249021B1 KR 1020100101127 A KR1020100101127 A KR 1020100101127A KR 20100101127 A KR20100101127 A KR 20100101127A KR 101249021 B1 KR101249021 B1 KR 101249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case
disk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9424A (ko
Inventor
김경욱
Original Assignee
(주)세아메카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아메카닉스 filed Critical (주)세아메카닉스
Priority to KR1020100101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021B1/ko
Publication of KR20120039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2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expandable or contractable clamping ring or band
    • F16D41/2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expandable or contractable clamping ring or band having axially adjacent coils, e.g. helical wrap-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축에 회전력을 가하면 출력축으로 회전력이 전달되지만, 반대로 출력축에 회전력이 가해지면 입력축으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력 전달 장치{Power transmi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력 전달 장치라 함은 전동 모터 또는 사용자의 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회전력을 대상체에 전달하는 것이다.
어느 일 방향, 예컨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고, 제공된 회전력에 의하여 대상체가 직선 운동 또는 회전 운동을 하는 반면, 대상체의 자중 또는 다른 원인으로부터 발생하는 반력에 의하여 대상체가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구동 모터에 동력 전달축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대상체가 연결되는 구조에서,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으로만 상기 동력 전달축이 회전하고, 상기 대상체로부터 발생하는 반력에 의하여 상기 동력축이 역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형태의 동력 장치가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예로서, 비닐 하우스의 덮개를 개폐하는 수단 또는 창문을 개폐하는 수단 등에 사용되는 동력 전달 장치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동력 전달 장치는 주로 웜기어, 제네바 메카니즘이 적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메카니즘은 최소한의 회전비를 요하게 되고,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일 선상에 배열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마찰력을 이용한 래칫 메카니즘과 코일 스르링을 이용하는 메카니즘이 적용되기도 하나, 동작의 신뢰성 저하 및 백래쉬(backlash) 발생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대상체를 멈추고자 하는 설정 위치와 실제 멈춤 위치 간에 편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한 동력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세히, 동력 전달이 중단된 이후 대상체의 자중이나 다른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반력으로 출력측이 역회전하여 상기 입력측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력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동력 전달이 중단되는 시점에서 대상체가 백래쉬에 의하여 역회전 후 멈추는 현상을 제거하여, 동력 전달이 중단되는 시점에서의 위치에서 대상체가 멈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동력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중공부 내에 안착되며, 상면 가장자리에 융기부가 돌출되는 출력디스크; 상기 출력디스크의 저면에 형성되는 기어 형태의 출력축; 상기 출력디스크의 상측에 놓이는 입력디스크; 상기 입력디스크를 관통하는 입력축; 상기 입력디스크와 출력디스크 사이에 위치하며, 양 단부가 분리된 원형의 스프링 또는 스파이럴 형태로 다수 회 감긴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디스크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지름이 감소되면서 탄성 복원력이 축적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과 상기 탄성부재의 접촉면에 마찰력으로 작용하고, 상기 입력축에 회전력이 작용하면, 상기 입력디스크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직경을 감소시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출력축에 회전력이 작용하면, 상기 융기부가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직경을 증가시켜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에 의하여, 종래의 동력 전달 장치에 비해 부품 수가 적고, 케이스를 따로 구비하지 않고 케이스 자체를 이용하여 동력 전달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제품의 제조 단가가 절감되고, 조립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으며, 제품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출력측에서의 회전력이 입력측으로 전달되지 않아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출력측에서 입력측으로의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력 전달이 중단된 시점에서 대상체의 자중 또는 다른 원인으로부터 야기되는 반력에 의해 대상체가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이 차단되므로, 안전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동력 전달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동력 전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디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출력디스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디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입력디스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동력 전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입력디스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은 입력디스크가 회전을 멈춘 상태에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동력 전달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동력 전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10)는,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출력디스크(13)와, 상기 출력디스크(13)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입력디스크(16)와, 상기 입력디스크(16)의 관통홀(164)에 삽입되어 입력디스크(16)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입력축(15)과, 상기 케이스(11)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출력디스크(13) 및 상기 입력디스크(16)를 덮는 커버(17)와, 상기 케이스(11)의 내주면과 접촉하면서 수축된 상태로 삽입되는 탄성부재(14)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와 상기 출력디스크(13) 사이에는 상기 출력디스크(13)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기어(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1)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서, 상부는 개방되고, 바닥면에는 전달축(115)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1)의 하부면에는, 바닥부(111)가 회전가능하게 안착된다. 상기 바닥부(111)가 상기 케이스(11)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별도로 구비되므로, 상기 바닥부(111)는 상기 케이스(11)와 별개로 상기 케이스(11)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바닥부(111)의 일면에는 상기 감속기어(12)가 결합되는 기어축(114)이 돌출된다. 상기 바닥부(111)의 타면에는 대상물체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전달축(115)이 구비된다. 상기 전달축(115)을 출력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전달축(115)은 상기 케이스(11) 하부면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1)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기어축(114)에는 상기 감속기어(12)가 대응되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감속기어(12)가 결합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원통부(112)의 내주면에는 랙(113)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12)와 상기 랙(113)이 맞물린다. 상기 원통부(112)의 외주면 일측에는 손잡이(117)가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상기 원통부(112)의 상단부에는 체결플랜지(116)가 돌출되어, 상기 커버(18)의 체결플랜지(172)와 결합된다.
상기 출력디스크(13)는 상기 감속기어(12) 상에 안착된다. 상기 출력디스크(13)의 상면의 일측에는 상기 전달축(115)에 회전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탄성부재(14)를 가압하는 융기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디스크(13)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입력디스크(16)의 로어보스(163)가 삽입되는 보스(13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디스크(13)의 상면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14)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디스크(13)의 하부에는 상기 감속기어(12)와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는 출력축(135)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1) 내에는 탄성부재(14)가 위치한다. 상기 탄성부재(14)는 상기 케이스(11)의 내주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출력디스크(13)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4)는 양 단부에 상기 탄성부재(14)의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부(141)는 상기 융기부(131) 또는 암(161)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4)는 정상상태보다 직경이 감소된 상태로, 즉, 직경이 확대되려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진 상태로,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부재(14)가 원형 스프링인 경우, 상기 스프링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의 지름보다 스프링의 지름이 축소되어 상기 케이스(11)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케이스(11)의 내주면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한다. 상기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스프링과 상기 케이스(11)의 내주면 사이에는 강한 마찰력이 존재하여, 스프링이 상기 케이스(11) 내에서 고정된다. 스프링이 감긴 횟수는 무관하나, 상기 스프링의 정상상태에서의 지름은 상기 케이스(11)의 지름보다 크고, 수축되어 상기 스프링의 지름이 작아진 상태로 상기 케이스(11)내에 완전히 삽입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탄성부재(14)가 양 단부가 분리된 원형 스프링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탄성부재(14)는 원형 스프링에 한하지 않고 스파이럴 형태로 다수회 감긴 스프링 등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상기 출력디스크(13) 상에는 입력디스크(16)가 안착된다. 상기 입력디스크(16)의 중앙에는 보스가 돌출되며, 상기 보스는 상기 입력디스크(16)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어퍼보스(162)와,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로어보스(163)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축(15)은 상기 로어보스(163)로부터 상기 어퍼보스(172) 쪽으로 관통 삽입된다.
또한, 상기 입력디스크(16)에는 상기 탄성부재(14)의 절곡부(141)를 가압할 수 있는 암(161)이 형성된다. 상기 암(161)은 상기 융기부(131)이 상기 절곡부(141)를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절곡부(141)를 가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4)가 원형 스프링일 경우, 상기 절곡부(141)는 상기 융기부(131)의 양측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141)와 상기 융기부(131)의 간격이 작을수록 상기 출력축(135)에 가해진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전달축(115)이 헛도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출력디스크(1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융기부(131)가 상기 절곡부(141)를 가압하면, 상기 스프링의 지름이 커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상기 융기부(131)가 상기 절곡부(141)를 가압하더라도, 상기 스프링의 지름은 상기 케이스(11)의 내주면에 의해 더이상 커질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융기부(131)는 그 자리에서 멈춘다. 즉. 상기 출력디스크(13)에 제공된 회전력이 상기 입력디스크(16)로 전달될 수 없다.
또한, 상기 암(161)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절곡부(141)의 양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암(161)은 입력디스크(16)에 회전력이 가해지면, 소정의 간격에서는 별다른 저항없이 움직인 후, 상기 절곡부(141)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절곡부(141)와 접촉한 후에 계속해서 회전력이 가해지면, 상기 암(161)은 상기 절곡부(141)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암(161)은 상기 스프링의 지름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절곡부(141)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스프링과 상기 케이스(11)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력이 줄어든다. 따라서, 상기 암(161)에 계속해서 회전력이 가해지면 상기 암(161)은 상기 절곡부(141)를 가압하면서 상기 스프링 및 상기 융기부(131)까지 함께 상기 케이스(11)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입력디스크(16)의 로어 보스(163)는 상기 출력디스크(13)의 보스(134)와 회전 중심이 일치하도록 안착된다.
상기 입력디스크(16)의 어퍼보스(162)는 상기 커버(17)에 형성된 관통홀(171)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17)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입력디스크(16)의 어퍼보스(162)에는 상기 입력축(15)이 삽입되는 관통홀(162)이 형성된다. 상기 입력축(15)은 상기 로어 보스(163)로부터 상기 어퍼보스(162)로 삽입된다. 상기 입력축(15)은 상기 입력디스크(16)의 관통홀(162)을 통과하여 상단부가 상기 어퍼보스(162)의 외부로 노출되어, 노출된 일단부에 레버(18)가 결합된다.
상기 입력디스크(16)에는 상기 커버(17)가 안착된다. 상기 커버(17)에는 상기 어퍼보스(162)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71)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17)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상기 커버(17)의 가장자리에는 체결플랜지(172)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플랜지(172)는 상기 케이스(11)의 체결플랜지(116)에 밀착되어,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17)가 상기 케이스(17)에 고정된다.
상기 입력축(15)의 상단부에는 상기 레버(18)가 연결된다. 상기 레버(18)의 일단에는 관통홀(182)이 형성되어, 상기 입력축(15)이 관통하도록 한다. 또한, 와셔 및 너트 부재가 상기 입력축(15)의 상단부에 끼워져서 상기 레버(18)가 상기 입력축(15)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레버(18)의 타단에는 손잡이(181)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81)를 잡고 상기 레버(18)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디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출력디스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출력디스크(13)의 상면에는 보스(134)가 형성되어 상기 보스(134)의 내측면과 상기 입력디스크(16)의 로어보스(163)의 외측면이 접촉되어, 상기 입력디스크(16)가 상기 출력디스크(13)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또한, 출력디스크(13)의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132)가 형성되어 있어서, 탄성부재(14)가 가압됨으로써 상기 출력디스크(13) 상의 탄성부재(14)의 위치에서 이탈되거나 상기 탄성부재(14)가 변형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4)가 원형 스프링인 경우, 상기 가이드부(132)는 상기 스프링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입력디스크(16)의 암(161)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절곡부(141)가 가압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이 수축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이 수축함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지름이 상기 케이스(11)의 내부 지름보다 작아져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스프링이 일방향에서 힘을 받아 수축되기 때문에 스프링의 형태가 꼬이는 등의 변형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가이드부(132)는 상기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스프링이 수축되더라도 상기 이탈 또는 변형과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출력디스크(13)의 하면에는 상기 감속기어(12)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출력축(135)이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디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입력디스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디스크(16)에는 상기 탄성부재(14)의 절곡부(141)를 가압할 수 있는 암(161)이 형성된다. 상기 암(161)은 입력축(15)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모두 상기 절곡부(141)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141)의 양쪽에 각각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암(161)은 두개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암(161)과 상기 절곡부(141)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입력축(15)을 회전시키더라도 소정의 간격에서는 상기 출력디스크(13)에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아서 상기 전달축(115)이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입력디스크(16)의 상면에 형성된 어퍼보스(162)는 상기 입력디스크(16)에 안착되는 커버(17)의 관통홀(164)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디스크(16)의 하면에 형성된 로어보스(162)는 상기 출력디스크(13)의 보스(134) 내에 삽입된다.
상기 로어보스(162)로부터 상기 어퍼보스(162)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164)에는 입력축(15)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입력축(15)의 헤드(151)부분이 위치하는 상기 로어보스(162)의 개구는, 상기 헤드(152)의 형상에 따라 다각형 또는 이와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축(15)의 바디(152)는 상기 관통홀(164)를 통과하여 일단이 상기 어퍼보스(162)의 외부로 노출되어 레버(18)의 관통홀(182)과 결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동력 전달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9는 입력디스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10은 입력디스크가 회전을 멈춘 상태에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 전달 장치가 외부로부터 힘을 받지 않을 때 상기 융기부(131), 암(161) 및 탄성부재(14)의 절곡부(141)의 위치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탄성부재(14)는 상기 케이스(1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데, 상기 직경이 작아지면서 탄성 복원력이 축적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4)의 탄성 복원력(F)은 상기 탄성부재(14)와 상기 케이스(11) 내벽간의 마찰력으로 작용한다. 상기 융기부(131)는 상기 탄성부재(14)의 양 절곡부(141) 사이에 위치하고,회전에 의해 상기 절곡부(141)를 가압하면 상기 탄성부재(14)의 직경이 커지는 방향에 위치한다. 상기 암(161)은 상기 절곡부(141)와 소정의 간격(A)을 두고 위치하되, 회전에 의해 상기 암(161)을 가압하면 상기 탄성부재(14)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에 위치한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탄성부재(14)는 상기 케이스(11) 내벽과의 마찰력에 의해 입력디스크(16) 또는 출력디스크(13)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축(15)이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받아서 상기 입력축(15)과 함께 상기 입력디스크(16)가 회전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상기 입력디스크(1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입력디스크(16) 상의 암(161)은 A만큼은 전달축(115)에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 움직인다. 상기 암(161)이 상기 탄성부재(14)의 절곡부(141)와 접촉하고 나서도 계속해서 회전력을 전달받으면, 상기 탄성부재(14)는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되어, 상기 케이스(11) 내벽과 상기 탄성부재(14) 간의 마찰력이 감소한다. 상기 케이스(11) 내벽과 상기 탄성부재(14) 간의 마찰력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14)는 힘을 받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밀리게되고, 상기 걸림부(141)와 접촉하는 상기 융기부(131)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암(161)이 상기 걸림부(141) 및 상기 융기부(131)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융기부(13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출력디스크(13)가 회전하고, 상기 출력디스크(13) 하부의 출력축(135)이 회전하면서 상기 감속기어(12)를 회전시킨다. 상기 감속기어(12)가 회전하면서 상기 감속기어(12)가 결합되는 기어축(114)이 구비된 케이스(11)의 바닥부(111)가 회전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바닥부(111)와 결합하고 있는 전달축(115)가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입력축(15)에 가해진 회전력이 상기 전달축(115)에 전달된다. 상기 입력축(15)이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은 경우도 상기와 유사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전달축(115)에서 전달된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감속기어(12), 출력축(135)을 통해 출력디스크(13)에 전달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상기 출력디스크(13)가 회전력을 받으면, 상기 출력디스크(13)의 상면에 구비된 융기부(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14)의 절곡부(141)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융기부(131)가 상기 절곡부(141)와 접촉한 후에도 계속해서 회전력을 전달받으면, 상기 탄성부재(14)는 직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4)와 상기 케이스(11) 내벽간의 마찰력이 더욱 증가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므로, 상기 탄성부재(14)는 그 자리에 고정되고, 인접한 암(161)에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다. 즉, 상기 암(161)은 상기 절곡부(141)와 소정의 간격이 떨어진 채, 상기 융기부(131)가 절곡부(141)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는다. 이로써, 전달축(115)에서 가해진 회전력이 입력디스크(16)에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융기부(1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도 상기와 유사하다.

Claims (16)

  1.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중공부 내에 안착되며, 상면 가장자리에 융기부가 돌출되는 출력디스크;
    상기 출력디스크의 저면에 형성되는 기어 형태의 출력축;
    상기 출력디스크의 상측에 놓이는 입력디스크;
    상기 입력디스크를 관통하는 입력축;
    상기 입력디스크와 출력디스크 사이에 위치하며, 양 단부가 분리된 원형의 스프링 또는 스파이럴 형태로 다수 회 감긴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디스크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지름이 감소되면서 탄성 복원력이 축적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과 상기 탄성부재의 접촉면에 마찰력으로 작용하고,
    상기 입력축에 회전력이 작용하면, 상기 입력디스크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직경을 감소시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출력축에 회전력이 작용하면, 상기 융기부가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직경을 증가시켜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양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디스크 또는 출력디스크가 회전할 때, 상기 절곡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입력디스크 또는 출력디스크에 걸려서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과 맞물리는 다수의 감속기어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제공되어 상기 다수의 감속기어를 지지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부와 한몸으로 회전하는 전달축을더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감속기어와 맞물리는 랙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디스크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디스크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커버를 관통하는 어퍼보스와,
    상기 입력디스크의 하면에 돌출되며, 내부에 다각형 홈이 형성되는 로어보스와,
    상기 입력축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로어보스의 다각형 홈에 형합되는 다각형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축은 상기 로어보스와 어퍼보스를 관통하고, 상기 헤드가 상기 로어보스의 다각형 홈에 형합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디스크와 한 몸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의 상면에는 상기 로어보스가 안착되는 보스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의 타단에 결합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00101127A 2010-10-15 2010-10-15 동력 전달 장치 KR101249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127A KR101249021B1 (ko) 2010-10-15 2010-10-15 동력 전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127A KR101249021B1 (ko) 2010-10-15 2010-10-15 동력 전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424A KR20120039424A (ko) 2012-04-25
KR101249021B1 true KR101249021B1 (ko) 2013-04-25

Family

ID=4613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127A KR101249021B1 (ko) 2010-10-15 2010-10-15 동력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888B1 (ko) * 2014-09-17 2015-11-06 (주)세아메카닉스 스트레칭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991B1 (ko) 2017-01-31 2022-09-13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불소 수지 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4320A (ja) * 2000-12-05 2002-06-21 Toto Kogyo Co Ltd 出力軸を入力軸によって回転可能な回転伝達装置
KR200334012Y1 (ko) * 2003-07-22 2003-11-19 홍승학 비닐하우스용개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4320A (ja) * 2000-12-05 2002-06-21 Toto Kogyo Co Ltd 出力軸を入力軸によって回転可能な回転伝達装置
KR200334012Y1 (ko) * 2003-07-22 2003-11-19 홍승학 비닐하우스용개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888B1 (ko) * 2014-09-17 2015-11-06 (주)세아메카닉스 스트레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424A (ko)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7374A (en) Clutch controlled roller shade mechanism with integral overrunning ratchet
WO2014203416A1 (ja) 靴紐巻取用リール
TWI769352B (zh) 釣魚用捲線器的扭力限制裝置、及紡車式捲線器
KR101249021B1 (ko) 동력 전달 장치
JP6648474B2 (ja) 駆動装置
JPWO2018181341A1 (ja) 発電機構及び発電方法
EP2960422B1 (en) Improved one cord blinds
US20180045261A1 (en) Rotary drive device comprising load-dependent brakes
US4807827A (en) Friction drive for line guide on bait cast reel
US9848589B2 (en) Knob of fishing re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2498888A1 (en) A toy building set with an overload-safe linear actuator
KR102173000B1 (ko) 웜기어 캠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차량용 스윙도어 개폐장치
EP2420388B1 (en) A chalk line device with means for preventing chalk line breakage
TWI667957B (zh) 釣魚用捲線器的牽引墊圈
CN110799773B (zh) 驱动器
CN210842660U (zh) 锅盖组件与高压锅
JP2004242542A (ja) 魚釣用リール
US20140261018A1 (en) Food processing device
KR200482653Y1 (ko) 비닐하우스 개폐기
JP2019184024A (ja) トルクリミッタ及び駆動装置
KR102172999B1 (ko) 복수 개의 마찰판을 사용하는 차량용 스윙도어 개폐장치
CN210810532U (zh) 自动翻盖煮水壶
JP3225087U (ja) 脱水器
KR200230341Y1 (ko) 비닐하우스 개폐기
CN220403846U (zh) 清洗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