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581B1 -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 - Google Patents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581B1
KR101248581B1 KR1020120072150A KR20120072150A KR101248581B1 KR 101248581 B1 KR101248581 B1 KR 101248581B1 KR 1020120072150 A KR1020120072150 A KR 1020120072150A KR 20120072150 A KR20120072150 A KR 20120072150A KR 101248581 B1 KR101248581 B1 KR 101248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mergency recovery
paper
oxidation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영
양동윤
김주용
홍세선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72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불재해지역에 대한 관련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산불이 발생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고, 우수유출, 토사유출 및 재 유출 등 2차 재해를 예측하여 효율적으로 산화지를 응급복구함으로써, 산불로 인한 2차 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형정보, 공법정보 및 강수량 정보로 이루어지는 복구 정보를 저장하는 응급복구 정보 DB; 산화지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응급복구 정보 DB에 포함된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복구 정보로부터 응급복구 정보를 산출하는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 및 상기 응급복구 서버에 연결되어, 산화지의 위치 정보 입력 및 입력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응급복구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EMERGENCY RECOVERY SYSTEM OF BURNED SITE USING GIS}
본 발명은 산불재해지역의 피해를 복구하는 응급복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이하 GIS라고 칭함)을 이용하여 산불재해지역에 대한 관련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산불이 발생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고, 우수유출, 토사유출 및 재 유출 등 2차 재해를 예측하여 효율적으로 산화지를 응급복구함으로써, 산불로 인한 2차 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홍수, 산불 등으로 인한 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재해예측과 관련한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재해분야에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산불은 통양침식에 영향을 미치는데, 보통 산불로 인하여 식생의 제거와 토양 유기층의 부분적인 광화현상은 공극율과 수문학적 특징 등 토양구조를 변화시키고, 이런 현상을 통해 토양은 더욱 침식받기 쉽게 되어 수질 또한 악화될 수 있다. 토양침식 재해는 일반적으로 토양이 물이나 바람 등에 의해 지표로부터 이동하여 땅이 황폐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산불로 인한 토양 침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분야에 대한 재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에 있다.
재해방지와 관련한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6866호는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홍수재해 예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홍수피해가 자주 발생하는 유역의 홍수피해 예방과 홍수피해가 있을 때의 피해 정도를 예측할 수 있게 해주어 홍수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7667호는 산불확산 예측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산불이 발생할 경우 산불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산불의 확산 경로, 확산 속도 등을 예측함으로써 산불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진화대의 투입장소와 방법을 결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산불을 진화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산불재해의 조기예측과 산불발생 시 경로 및 조기진화 측면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재해의 예방 및 예측과 관련한 기술만 개시되어 있을 뿐, 재해 발생 시 일어날 수 있는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피해지의 응급복구 기술 등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아 피해지의 응급복구를 신속히 행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산불 후 산화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 예상지와 피해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수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지에서 2차 피해로 발생하는 토사재해를 저감시키고, 재해발생 가능성이 큰 지점을 추출하여 토사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응급복구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수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형정보, 공법정보 및 강수량 정보로 이루어지는 복구 정보를 저장하는 응급복구 정보 DB; 산화지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응급복구 정보 DB에 포함된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복구 정보로부터 응급복구 정보를 산출하는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 및 상기 응급복구 서버에 연결되어, 산화지의 위치 정보 입력 및 입력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응급복구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응급복구 서버와 상기 응급복구 정보 DB에 연결되어, 산화지의 위치 정보 입력 및 입력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응급복구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응급복구 정보를 상기 응급복구 정보 DB에 저장하여 상기 복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 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은, 상기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가, 산화지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2차 피해 정보를 예측하는 산화지 분석모듈; 상기 산화지 분석모듈을 통해 예측된 2차 피해 정보에 대응하는 응급복구 정보로 복구공법을 제공하는 응급복구공법 관리모듈; 상기 산화지 분석모듈을 통해 예측된 2차 피해 정보 및 상기 응급복구공법 관리모듈에서 제공된 응급복구 정보를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재해정보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은, 상기 산화지 분석모듈이, 상기 산화지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강수량 정보를 포함하여 산화지의 2차 피해 정보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은, 상기 2차 피해 정보가 산화지의 토사 유출 및 재 유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형정보, 공법정보 및 강수량 정보로 이루어지는 복구 정보를 포함하는 응급복구 정보 DB, 산화지의 위치 정보 및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복구 정보로부터 응급복구 정보를 산출하는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 상기 응급복구 서버에 연결되어 응급복구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응급복구 서버와 상기 응급복구 정보 DB에 연결되어, 산화지의 위치 정보 입력 및 입력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응급복구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응급복구 정보를 상기 응급복구 정보 DB에 저장하여 상기 복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 2 사용자 단말로 이루어지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은, 상기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산화지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2차 피해 정보를 예측하는 산화지 분석모듈; 상기 산화지 분석모듈을 통해 분석된 2차 피해 정보에 근거하여 각 위치 정보 중 우선 복구될 복구 대상지 정보를 산출하는 응급복구 대상지 산정모듈; 및 상기 응급복구 대상지 산정모듈을 통해 산출된 복구 대상지 정보와 상기 산화지 분석모듈을 통해 예측된 2차 피해 정보에 대응하는 응급복구 정보로 복구공법을 제공하는 응급복구공법 관리모듈; 상기 산화지 분석모듈을 통해 예측된 2차 피해 정보 및 상기 응급복구공법 관리모듈에서 제공된 응급복구 정보를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재해정보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은, 상기 응급복구공법 관리모듈에서 제공하는 복구공법이 산화지의 경사, 지형, 토양등급 및 산화지 경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형정보, 공법정보 및 강수량 정보로 이루어지는 복구 정보를 저장하는 응급복구 정보 DB, 산화지의 위치 정보 및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복구 정보로부터 응급복구 정보를 산출하는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 및 상기 응급복구 서버에 연결되어 응급복구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로 이루어지는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을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산화지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가 입력된 산화지의 위치 정보와 상기 응급복구 정보 DB에 저장된 지형 정보에 근거하여 산화지의 지표 특성을 분류하는 제 2 단계; 상기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가 분류된 지표 특성에 근거하여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산화지의 2차 피해를 예측하는 제 3 단계; 상기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가 예측된 2차 피해 정보에 근거하여 각 위치 정보 중 우선 복구될 복구 대상지의 정보를 산출하는 제 4 단계; 상기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가 복구될 복구 대상지에 해당하는 복구공법을 제공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공된 복구공법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산화지의 2차 피해를 예측하여 응급복구를 수행할 수 있는 산화지의 응급복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수시스템에 따르면, 산불재해 후 산화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 예상지와 피해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산화지에서 2차 피해로 발생하는 토사재해를 저감시키고, 재해발생 가능성이 큰 지점을 추출하여 토사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신속한 응급복구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산화지에 대한 2차 피해 발생 예상지를 선정하고, 2차 피해에 대한 적합한 응급복구 계획을 수립함과 동시에 응급복구 계획에 관한 자료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에서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을 이용한 산화지 응급복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에서 산화지의 복구공법을 선정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에서 사면 지형을 분류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복구 공법을 분류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산화지의 복구공법에 대한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에서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1)은 각 지역의 지형정보, 복구시 수행할 수 있는 공법정보 및 각 지역에 대한 강수량 정보로 이루어지는 복구 정보를 저장하는 응급복구 정보 DB(100), 산화지의 위치 정보 및 응급복구 정보 DB(100)에 포함된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복구 정보로부터 응급복구 정보를 산출하는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200)와,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100)에 연결되어, 산화지의 위치 정보 입력 및 입력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응급복구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1)은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200)와 응급복구 정보 DB(100)에 연결되어, 산화지의 위치 정보 입력 및 입력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응급복구 정보를 제공하고, 응급복구 정보를 상기 응급복구 정보 DB(100)에 저장하여 저장된 복구 정보를 새로운 복구 정보로 업데이트하는 제 2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사용자 단말(300)은 일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PC, 노트북 또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으며,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200)와 별도의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 단말(400)은 관리자 또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을 통해 인증된 전문가가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예를 들어, PC, 노트북 또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으며,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200) 및 응급복구 정보 DB(100)와 별도의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장거리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망일 수 있다. 따라서, 통신망은 응급복구 정보 DB(100),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100), 제 1 사용자 단말(300) 및 제 2 사용자 단말(400)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200)는 산화지 분석모듈(210), 응급복구공법 관리모듈(220) 및 재해정보 출력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지 분석모듈(210)은 제 1 사용자 단말(300)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입력된 산화지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이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2차 피해 정보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응급복구공법 관리모듈(220)은 산화지 분석모듈(210)을 통해 예측된 2차 피해 정보에 대응하는 응급복구 정보를 산출하여 적절한 복구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재해정보 출력모듈(240)은 산화지 분석모듈(210)을 통해 예측된 2차 피해 정보 및 응급복구공법 관리모듈(220)에서 제공된 응급복구 정보를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통해 제 1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300, 400)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제 1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300, 400)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산화지 분석모듈(210)은, 산화지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강수량 정보 등의 강우 조건에 근거하여 산화지의 2차 피해 정보를 예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산화지 분석모듈(210)에서 예측되는 2차 피해 정보에는 산화지의 토사 유출, 재 유출 또는 우수 유출 등의 모든 피해정보를 모두 포함하거나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200)는 2 이상의 산화지의 위치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산화지 분석모듈(210)을 통해 분석된 2차 피해 정보에 근거하여 각 위치 정보 중 우선 복구할 복구 대상지 정보를 산출하는 응급복구 대상지 산정모듈(23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응급복구공법 관리모듈(220)에서는 응급복구 대상지 산정모듈(230)을 통해 산출된 복구 대상지 정보와 산화지 분석모듈(210)을 통해 예측된 2차 피해 정보에 대응하는 응급복구 정보로 복구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을 이용한 산화지 응급복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산화지의 복구공법을 선정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사면 지형을 분류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응급복구 공법을 분류한 예시도, 도 7은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산화지의 복구공법에 대한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을 이용한 산화지 응급복구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 1 사용자 단말(300)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산화지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면(S101), 제 1 사용자 단말(300)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400)에서는 입력된 위치 정보를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200)에 송신한다.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200)에서는 송신된 산화지의 위치 정보와 응급복구 정보 DB(100)에 저장된 지형 정보를 매칭하고, 해당 산화지의 지형(능선, 계곡 및 사면) 및 지표 특성을 분류한다(S102).
응급복구 정보 DB(100)에 저장된 지형 정보에는 지형도, 수계망, 도로망, 행정구역도 등을 포함하는 기본 도면, 강우분포, 토양, 지질, 토양특성, 토지이용도, 위성영상, 사면향분포도, 경사도, 토지이용도, 토양침식저항도, 사면길이분석도 등을 포함하는 분석용 도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200)는 분류된 지표 특성에 근거하여 토양의 물리적 특성 등을 분석함으로써,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산화지의 2차 피해, 예를 들어 토사 유출, 우수 유출 또는 재 유출 등의 피해 정보를 예측한다(S103).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200)에서 2차 피해를 예측하는 경우, 다음 식에 근거한다.
[식 1]
Figure 112012053096954-pat00001
여기에서, A는 연간 토양 유실량(MT ha-1 yr-1), R은 강우 인자(rainfall erosicity factor), K는 토양 침식성 인자(Soil erodibility factor), LS는 경사장 및 경사인자(Slop length and steepness factor), C는 작물인자(crop management factor) 또는 지표피복인자, 그리고 P는 관리인자(conservation practice factor)를 나타낸다.
상기 식 1을 통해 다음의 F-USLE의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식 2]
Figure 112012053096954-pat00002
여기에서, AFire는 산화지의 토양 침식량, K-LS-P는 지역별로 고정된 인자, R은 강우인자, 그리고 C는 작물인자 또는 지표피복인자를 나타낸다.
따라서, 산화지의 토양침식에 대한 예측 알고리즘을 다음과 같이 구현한다.
[식 3]
Figure 112012053096954-pat00003
여기에서, AClass는 산화지의 토양침식 예측등급, SClsas는 산화지의 토양침식 유형등급, 그리고 F-USLEClass는 산화지 토양침식량 산정등급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200)에서 예측된 2차 피해 정보에 근거하여 각 위치 정보 중 우선 복구될 복구 대상지의 정보를 산출하고(S104), 복구될 복구 대상지에 해당하는 복구공법을 분석한다(S105). 복구공법 선정시 자료의 처리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정보에 근거하여 수행되고, 특히, 사면 지형 분류시 도 5의 사면 지형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형형태 분석은 격자들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8방향에 대해서 분석할 수 있다. 'e'위치에서 셀의 지형형태를 결정하는 것으로, 『a-e-f』, 『g-e-f』, 『b-e-h』, 『d-e-f』를 비교함으로써 지형 특성(능선, 사면, 계곡)을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e-f』의 경우, a〈 e 〉f이면 능선, a〈 e〈 f이면 사면, 그리고 a 〉e〈 f이면 계곡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나머지 조건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공법선정을 통해 분류되는 응급복구 공법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간', '산복' 및 '댐'으로 구분된다. 계간은 '골막이', '누구막이', '기슭막이'로 분류되고, 산복은 '목책', '옹벽', '단끊기', '쌓기', '줄떼공', '흙막이', 거적덮기', '씨드스프레이', '산비탈수로내기' 및 '비탈다듬기'로 분류될 수 있으며, 야계는 '댐'으로 응급복구 공법이 분류될 수 있다.
이후,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200)에서 분석된 복구공법은 제 1 사용자 단말(300)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400)에서 수신하여 출력된다(S106).
도 7의 a 내지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a)는 제 1 사용자 단말(300)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200)의 접속 시 초기화면을 나타낸다. 이 후, 행정구역별 도면을 선택한 후(도 7의 b), 산화지의 위치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하면 도 7의 (c)와 같이 산화지의 맵 정보가 제공되며, 사용자에 의해 산화지가 선택되면, 도 7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산화지에 적용가능한 사진 및 복구공법에 대한 자료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다.
도 8은 산화지의 복구공법에 대한 화면(800)을 나타내는 예시도로, 화면의 우측 영역(810)에는 선택된 응급복구 공법에 대한 소개와 설명을 디스플레이하고, 좌측 상단 영역(820)에는 응급복구 공법에 대한 공법 설계도 및 사진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좌측 하단 영역(830)에는 해당 공법에 대한 모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구공법에 대한 화면 배치는 시스템 및 사용자 환경, 데이터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산불재해 후 산화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를 예측하여, 2차 피해로 발생하는 토사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신속한 응급복구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특징 있으며, 산불 피해뿐만 아니라 택지·도로 비탈면 녹화, 골프장·스키장 등의 나지 녹화, 채석·채광 적지 복원 및 각종 친환경적 사방공사 등에 유효하게 응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지의 2차 피해를 예측하여 응급복구를 수행할 수 있는 산화지의 응급복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 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응급복구시스템
100 : 응급복구 정보 DB
200 :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
210 : 산화지 분석모듈
220 : 응급복구공법 관리모듈
230 : 응급복구 대상지 산정모듈
240 : 재해정보 출력모듈
300 : 제 1 사용자 단말
400 : 제 2 사용자 단말

Claims (12)

  1.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에 있어서,
    각 지역의 지형정보, 복구시 수행할 수 있는 공법정보 및 각 지역에 대한 강수량 정보로 이루어지는 복구 정보를 저장하는 응급복구 정보 DB;
    산화지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응급복구 정보 DB에 포함된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복구 정보로부터 응급복구 정보를 산출하는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에 연결되어, 산화지의 위치 정보 입력 및 입력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응급복구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사용자 단말;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와 상기 응급복구 정보 DB에 연결되어, 산화지의 위치 정보 입력 및 입력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응급복구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응급복구 정보를 상기 응급복구 정보 DB에 저장하여 상기 복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 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지 응급복구 서버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산화지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2차 피해 정보를 예측하는 산화지 분석모듈;
    2 이상의 산화지의 위치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산화지 분석모듈을 통해 예측된 2차 피해 정보에 근거하여 각 위치 정보 중 우선 복구할 복구 대상지 정보를 산출하는 응급복구 대상지 산정모듈;
    상기 응급복구 대상지 산정모듈을 통해 산출된 복구 대상지 정보와 상기 산화지 분석모듈을 통해 예측된 2차 피해 정보에 대응하는 응급복구 정보로 복구공법을 제공하는 응급복구공법 관리모듈; 및
    상기 산화지 분석모듈을 통해 예측된 2차 피해 정보 및 상기 응급복구공법 관리모듈에서 제공된 응급복구 정보를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재해정보 출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산화지 분석모듈은,
    산화지의 위치 정보와 응급복구 정보 DB에 저장된 지형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산화지의 지형 및 지표 특성을 분류한 후, 분류된 지표 특성에 근거한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산화지의 2차 피해 정보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정보에는 지형도, 수계망, 도로망, 행정구역도, 강우분포, 토양, 지질, 토양특성, 토지이용도, 위성영상, 사면향분포도, 경사도, 토지이용도, 토양침식저항도, 사면길이분석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지 분석모듈은,
    상기 산화지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강수량 정보를 포함하여 산화지의 2차 피해 정보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피해 정보는 산화지의 토사 유출, 재 유출 및 우수 유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복구공법 관리모듈에서 제공하는 복구공법은 산화지의 경사, 지형, 토양등급 및 산화지 경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072150A 2012-07-03 2012-07-03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 KR101248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150A KR101248581B1 (ko) 2012-07-03 2012-07-03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150A KR101248581B1 (ko) 2012-07-03 2012-07-03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581B1 true KR101248581B1 (ko) 2013-04-02

Family

ID=4844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150A KR101248581B1 (ko) 2012-07-03 2012-07-03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5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5273A (zh) * 2018-05-07 2019-11-1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基于gis技术的突发事件现场有序救援导识方法
KR20210065470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지엔씨환경솔루션 재난유형별 환경기초시설의 피해진단 및 피해복구 예측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246B1 (ko) 2008-02-13 2009-02-25 (주) 지오씨엔아이 Gis를 이용한 임분배치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임분배치 방법
KR100951610B1 (ko) 2009-09-10 2010-04-07 대한민국 Gis기반 기후변화 영향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246B1 (ko) 2008-02-13 2009-02-25 (주) 지오씨엔아이 Gis를 이용한 임분배치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임분배치 방법
KR100951610B1 (ko) 2009-09-10 2010-04-07 대한민국 Gis기반 기후변화 영향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5273A (zh) * 2018-05-07 2019-11-1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基于gis技术的突发事件现场有序救援导识方法
KR20210065470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지엔씨환경솔루션 재난유형별 환경기초시설의 피해진단 및 피해복구 예측방법 및 시스템
KR102296077B1 (ko) 2019-11-27 2021-08-31 주식회사 지엔씨환경솔루션 재난유형별 환경기초시설의 피해진단 및 피해복구 예측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les et al. Beyond ‘flood hotspots’: Modelling emergency service accessibility during flooding in York, UK
Blessing et al. Flood risk delineation in the United States: How much loss are we capturing?
Jaafari et al. Planning road networks in landslide-prone areas: A case study from the northern forests of Iran
Youssef et al. Flash flood risk estimation along the St. Katherine road, southern Sinai, Egypt using GIS based morphometry and satellite imagery
Stefanidis et al. Assessment of flood hazard based on natural and anthropogenic factor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Bagli et al. Routeing of power lines through least-cost path analysis and multicriteria evaluation to minimise environmental impacts
Masood et al. Assessment of flood hazard, vulnerability and risk of mid-eastern Dhaka using DEM and 1D hydrodynamic model
Clauzel et al. Impact assessment of a high-speed railway line on species distribution: Application to the European tree frog (Hyla arborea) in Franche-Comté
Martínez‐Murillo et al. Effect of salvage logging and check dams on simulated hydrological connectivity in a burned area
Girardet et al. Designing a graph-based approach to landscape ecological assessment of linear infrastructures
Karamouz et al. Integration of inland and coastal storms for flood hazard assessment using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Blahut et al. Database of geo-hydrological disasters for civil protection purposes
Mahmood et al. Flash flood susceptibility modelling using geomorphometric approach in the Ushairy Basin, eastern Hindu Kush
Kim et al. A DEM-based evaluation of potential flood risk to enhance decision support system for safe evacuation
Saha et al. Efficiency exploration of frequency ratio, entropy and weights of evidence-information value models in flood vulnerabilityassessment: a study of raiganj subdivision, Eastern India
Qi et al. Assessing the urban road waterlogging risk to propose relative mitigation measures
Tsang et al. An integrated approach to modeling the impact of floods on emergency services: a case study of Calgary, Alberta
McCoy et al. Minimizing economic impacts from post-fire debris flows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Tudose et al. Torrential flood risk assessmen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solutions for small catchments located in the Romania Natura 2000 sites Ciucas, Postavaru and Piatra Mare
Turley et al. Quantifying sediment connectivity: Moving toward a holistic assessment through a mixed methods approach
Ibitoye et al. Analysis of vulnerable urban properties within river Ala floodplain in Akure, Southwestern Nigeria
Keya et al. Habitat suitability & connectivity of Alborz wild sheep in the east of Tehran, Iran
KR101248581B1 (ko) Gis를 이용한 산화지의 응급복구시스템
Al-Momani et 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flood risks at the city of Tabuk, Saudi Arabia
Velez et al. Advancing Data for Street-Level Flood Vulnerability: Evaluation of Variables Extracted from Google Street View in Quito, Ecuad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