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117B1 - 간이 호흡기구 및 이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간이 호흡기구 및 이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117B1
KR101248117B1 KR1020100091930A KR20100091930A KR101248117B1 KR 101248117 B1 KR101248117 B1 KR 101248117B1 KR 1020100091930 A KR1020100091930 A KR 1020100091930A KR 20100091930 A KR20100091930 A KR 20100091930A KR 101248117 B1 KR101248117 B1 KR 10124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breathing
unit
wearer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844A (ko
Inventor
김한승
Original Assignee
김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승 filed Critical 김한승
Priority to KR1020100091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1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9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62B7/04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and lung-controlled oxygen or ai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Abstract

간이 호흡기구 및 이의 작동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간이 호흡기구는: 착용자의 호흡기에 밀착되는 호흡부와, 호흡부와 연통되고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장치와, 산소발생장치로부터 산소발생 전 상기 호흡부로 산소를 공급하는 압축산소탱크 및 호흡부의 착용시 연동되어 압축산소탱크를 개방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간이 호흡기구의 작동방법은: (a) 호흡부의 착용동작에 연동되어 압축산소탱크의 산소가 상기 호흡부로 공급되는 단계와, (b)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산소발생장치로부터 산소가 발생되는 단계와, (c) 산소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산소가 호흡부로 재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이 호흡기구 및 이의 작동방법{RESPIRATOR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간이 호흡기구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탈출시 간이 호흡기구의 착용과 연동되어 산소발생이 가능하여 위급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간이 호흡기구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지하철 등의 내부에서 화재나 폭발 발생시 독성 가스에 의하여 대피자는 탈출구까지 도달하기 전 수 분 내에 유독가스로 인해 질식사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사고들로부터 소중한 인명을 보호하기 위하여 방독면이나 간이 호흡기구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방독면의 경우에는 유독성 물질에 대해 다소 효과적으로 인명을 보호할 수 있으나, 산소부족과 같은 위급상황에서는 무용지물이 된다.
그에 따라 근래에는 외부공기가 유독하여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공기 내에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간이 호흡기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구조의 간이 호흡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간이 호흡기구는 주로 압축산소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압축산소를 사용할 경우 산소통의 부피가 커서 착용성과 휴대성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산소통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용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시간이 매우 짧아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는 시간이 긴 경우에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압축산소를 사용하는 대신 착용자의 호흡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나 이산화탄소 등과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재가 내장된 간이 호흡기구가 개발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압축산소를 이용한 간이 호흡기구의 경우에는 착용성과 휴대성이 떨어지며,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간이 호흡기구의 경우에는 화재 발생과 같은 위급상황 발생시 착용자가 당황하여 초기 호흡을 확보하지 못하여 되돌릴 수 없는 상황으로 연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간이 호흡기구의 착용과 동시에 산소 공급에 의해 초기 호흡을 확보할 수 있어 위급한 상황을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는 간이 호흡기구 및 이의 작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는: 착용자의 호흡기에 밀착되는 호흡부와, 호흡부와 연통되고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장치와, 산소발생장치로부터 산소발생 전 호흡부로 산소를 공급하는 압축산소탱크 및 호흡부의 착용시 연동되어 압축산소탱크를 개방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호흡부는 두건을 포함하고, 호흡부는 산소발생장치로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캡을 형성하며, 작동부는 두건의 펼침시 차단캡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동부는 압축산소탱크에 구비되는 밸브 및 밸브의 개폐를 단속하고, 차단캡과 연결되는 작동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호흡부는 착용자의 머리 뒤편에 고정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작동부는 착용부의 고정작동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용부는 호흡부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용부는 호흡부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한 쌍의 밴드 및 밴드의 각 단부에 형성되어 상호 체결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동부는 압축산소탱크에 구비되는 밸브 및 밸브의 개폐를 단속하고, 착용부와 연결되는 작동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의 작동방법은 (a) 호흡부의 착용동작에 연동되어 압축산소탱크의 산소가 호흡부로 공급되는 단계와, (b)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산소발생장치로부터 산소가 발생되는 단계와, (c) 산소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산소가 호흡부로 재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a)단계는 호흡부에 형성된 두건을 펼치는 준비단계와, 두건을 착용자의 머리에 쓰는 착용단계 및 호흡부에 연결된 밴드를 잡아당겨 밴드의 각 단부에 형성된 클립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머리 뒤편에 고정하는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준비단계는 두건의 펼침에 의해 연동되어 호흡부의 토출구가 개방됨과 동시에 압축산소탱크의 작동핀이 제거되어 호흡부 내로 초기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단계는 밴드의 당김 시 연동되어 압축산소탱크의 작동핀이 제거되어 호흡부 내로 초기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b)단계는 호흡부로부터 산소발생장치로 이산화탄소 및 습기가 공급되는 공급단계와, 공급단계에서 제공된 이산화탄소 및 습기가 과산화칼륨과 반응하는 반응단계와, 반응단계에 의해 생성된 산소가 산소저장부에 저장되는 산소저장단계와, 산소저장부에 저장된 산소가 필터부를 통해 잔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습기를 제거하는 필터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 및 이의 작동방법은 종래 발명과 달리 간이 호흡기구의 착용과 동시에 산소 공급에 의해 초기 호흡을 확보할 수 있어 화재 또는 폭발 등의 위급한 상황에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호흡이 확보된 이후,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산소가 발생되는 산소발생장치에 의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 산소발생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의 착용시 두건에 의한 작동부 작동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의 착용시 착용부에 의한 작동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 및 이의 작동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착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 산소발생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의 착용시 두건에 의한 작동부 작동을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의 착용시 착용부에 의한 작동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100)는 크게, 호흡부(110), 산소발생장치(140), 압축산소탱크(150) 및 작동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호흡부(110)는 착용자의 호흡기인 코와 입의 주변에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형상이며, 재질은 연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는 착용자의 안면과 밀착되어 내부가 밀폐되는 구조를 지닌다.
그리고, 호흡부(110)에는 착용자가 내쉰 이산화탄소를 배기하는 토출구(112)와, 산소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114)가 형성된다.
호흡부(114)의 전면에는 산소발생장치(140)가 구비된다.
산소발생장치(140)는 호흡부(110)와 연통되어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호흡이 전달되도록 토출구(112)와 연결되고, 유입된 이산화탄소 및 습기를 과산화칼륨(KO₂)과 반응시켜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부(142)와 산소발생부(142)에서 발생된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저장부(144) 및 산소발생부(142)의 측면에 구비되어 미반응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함과 아울러 습기를 흡수하여 정화된 산소를 호흡부(110)로 공급하는 필터부(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산소발생부(142)의 내부에는 격벽(143)에 의해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한 반응에 의해 발생된 산소는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산소저장부(144)에 저장되며, 산소저장부(144)에 저장된 산소는 착용자의 흡입에 의해 필터부(145)를 통해 호흡부(110)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토출구(112)와 산소발생부(142), 필터부(145)와 흡입구(114) 사이에는 압력의 차이에 따라 개폐되는 체크밸브(115)가 구비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토출구(112)와 산소발생부(142) 사이에 구비된 체크밸브(115)는 개방되고, 필터부(145)와 흡입구(146) 사이에 구비된 체크밸브(115)는 차단되며, 숨을 들이쉴 때는 반대로 작동된다.
산소발생부(142)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과산화칼륨(KO₂)이 충진되어 있다. 과산화칼륨(KO₂)은 아래의 화학식 1과 같이 이산화탄소(CO₂)와 반응하여 산소(O₂)를 발생시킨다.
Figure 112010060939125-pat00001
또한, 아래의 화학식2와 같이 습기 또한 과산화칼륨(KO₂)과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시킨다.
Figure 112010060939125-pat00002
즉, 본 발명은 착용자가 내쉰 숨의 이산화탄소(CO₂) 및 습기를 과산화칼륨(KO₂)과 반응시켜 산소를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산소는 그 온도가 약 40℃ 이상이며, 이는 착용자가 직접 호흡하기가 곤란하다.
그러므로, 산소는 산소저장부(144)에 전달되어 보관되며, 이로 인해 약간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그리고, 필터부(145)의 구성은 산소저장부(144)에서 유입되는 산소에 잔존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이산화탄소 흡착부(146)와 그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산소에서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제거부(147)로 구성된다.
이산화탄소 흡착부(146)와 습기제거부(147)는 각각 공기의 흐름이 가능한 분리막에 의해 분리되며, 그 흡착부(146)에는 소다라임(sodalime)이 충진되어 있다.
소다라임은 sodium hydroxide, pottassium hydroxide 및 calcium hydroxide의 혼합물로서, 탄소가스를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이산화탄소 흡착부(146)의 작용에 의해 착용자가 호흡하는 공기에는 이산화탄소가 거의 제거된다.
또한, 습기제거부(147)에는 실리카겔(silica gel)이 충진되어 있으며, 이 무수규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다공성 입자를 사용하여 발생된 산소에서 수분을 제거한다.
이때, 수분의 제거와 함께 그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착용자가 호흡하는 산소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한편, 호흡부(110)에는 산소발생장치(140)로부터 산소발생 전 호흡부(110)로 산소를 공급하는 압축산소탱크(150)가 구비된다.
압축산소탱크(150)는 위급 상황 시 호흡부(114)로 직접 초기 산소를 제공하므로써, 착용자는 당황하지 않고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압축산소탱크(150)는 호흡부(114)의 하부에 형성되며, 작동부(160)에 의해 개방된다.
그리고, 작동부(160)는 착용자의 호흡부(110) 착용동작과 연동되어 작동된다.
우선,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호흡부(110)는 두건(120)을 포함하고, 호흡부(110)의 토출구(112)에는 산소발생장치(140)로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캡(122)을 형성하며, 작동부(160)는 두건(120)의 펼침 시 차단캡(122)과 연동되어 작동된다.
차단캡(122)은 호흡부(110)의 토출구(112)를 차단하여 외부공기를 차단하는 것이며, 두건(120)의 후단부 내측면과 연결부재(125)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25)는 토출구(112)와 펼쳐진 두건(120)의 후단부 간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작동부(160)는 압축산소탱크(150)에 구비되는 밸브(162) 및 밸브(162)의 개폐를 단속하고 차단캡(122)과 연결되는 작동핀(164)으로 이루어진다.
밸브(162)의 내부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수축된 공이가 구비되고, 작동핀(164)은 탄성부재의 수축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이며, 작동핀(164)의 이탈과 동시에 공이가 압축산소탱크(150)의 입구를 개방함으로써, 산소가 호흡부(110)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밸브(162)에 구비되는 작동핀(164)은 호흡부(110)의 내측에 위치되어, 차단캡(122)의 분리와 동시에 밸브(162)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호흡부(110)는 착용자의 머리 뒤편에 고정되는 착용부(130)를 포함하고, 작동부(160)는 착용부(130)의 고정작동 시 연동된다.
착용부(130)는 호흡부(110)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한 쌍의 밴드(132) 및 밴드(132)의 각 단부에 형성되어 상호 체결되는 클립(1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착용부(130)는 호흡부(110)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밴드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작동부(16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작동핀(164)은 밴드(132)와 연결되는 와이어(135)와 연결되며, 밴드(132)의 조임작동시 당겨져 압축산소탱크(150)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밸브(162)에 구비되는 작동핀(164)은 호흡부(110)의 외측에 구비되고, 와이어(135)는 두건을 관통하여 작동핀(164)과 밴드(132)를 상호 연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호흡기구의 작동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이나 지하철 등의 내부에서 화재나 폭발 발생시 간이 호흡기구(100)를 착용하고, 대피함으로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착용자가 호흡부(110)를 착용하게 되면, (a)호흡부(110)의 착용동작과 연동되어 호흡부(110)내로 압축산소탱크(150)의 산소가 공급된다(S10).
(a)단계(S10)는 준비단계(S12), 착용단계(S14) 및 고정단계(S16)를 포함한다.
즉, 호흡부(110)에 형성된 두건(120)을 펼쳐 착용자의 머리에 쓸 수 있도록 준비하는 준비단계(S12)를 수행하고, 준비단계(S12) 이후, 펼쳐진 두건(120)을 머리에 쓰는 착용단계(S14)를 수행한다.
두건(120)을 착용한 후에 호흡부(110)에 연결된 밴드(132)를 잡아당겨 밴드(132)의 각 단부에 형성된 클립(134)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머리 뒤편에 고정하는 고정단계(S16)를 수행한다.
이때, 호흡부(110)는 착용자의 호흡기 주변에 밀착되어 호흡부(110) 내부로 외부공기가 진입되지 않는다.
또한, 밴드(132)는 두건(120)을 가압하므로써, 두건(120) 내측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이처럼 호흡부(110)의 밀착과 밴드(132)의 가압에 의한 2차 밀폐에 의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준비단계(S12)에서는 두건(120)의 펼침에 의해 연동되어 호흡부(110)의 토출구(112)가 개방됨과 동시에 압축산소탱크(150)의 작동핀(164)이 제거되어 호흡부 (110)내로 초기 산소가 공급된다.
이는 토출구(112)를 막고 있는 차단캡(122)과 두건(120)의 내측면은 연결부재(125)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부재(125)는 압축산소탱크(150)의 개폐를 단속하는 작동핀(164)과 연결됨으로써, 두건(120)의 펼침 동작에 의해 차단캡(122)은 개방되어 호흡부(110)와 산소발생장치(140)를 연통시킨다.
또한, 작동핀(164)이 제거됨으로써, 밸브(162)의 작용에 의해 압축산소탱크(150)가 개방되어 호흡부(110)내로 산소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호흡부(110)에 초기 산소를 공급하는 작동은 고정단계(S16)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호흡부(110)를 고정하기 위해 밴드(132)를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압축산소탱크(150)의 산소를 호흡부(110)로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밴드(132)와 작동핀(164)을 연결하는 와이어(135)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호흡부(110)의 착용작동인 두건(120)의 펼침 또는 밴드(132)의 고정작동에 연동되어 압축산소탱크(150)의 산소를 호흡부(110)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장치(140)의 산소 공급 전에 초기 호흡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최초에 산소를 공급받음으로써, 위급한 상황에 원활한 호흡을 할 수 있게 되므로,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이후, (b)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산소발생장치(140)로부터 산소가 발생된다(S20).
(b)단계(S20)는 공급단계(S22), 반응단계(S24), 산소저장단계(S26) 및 필터링단계(S28)를 포함하는데,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발생된 이산화탄소와 습기가 호흡부(110)를 통해 산소발생장치(140)로 전달되면(S22), 이 이산화탄소와 습기가 산소발생부(142) 내에서 과산화칼륨과 반응하여 산소가 생성된다(S24).
이처럼 생성된 산소는 산소저장부(144)에 저장된다(S26). 산소가 산소저장부(144)에 저장됨으로써, 온도를 다소 줄여줄 수 있으며, 착용자가 숨을 들이쉬게 되면, 산소저장부(144)에 저장된 산소는 필터부(145)의 흡착부(146)에 의해 잔존하는 이산화탄소가 제거되고, 습기제거부(147)에 의해 습기가 거의 제거된다.
이때,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착용자가 호흡하는 산소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산소저장부(144)에 저장된 산소가 필터부(145)를 통해 잔여 이산화탄소가 제거되고 습기가 제거된다(S28).
이처럼, 최초에 압축산소탱크(150)의 산소에 의해 호흡을 하고, 착용자의 호흡이 산소발생장치(140)를 통해 산소를 생성하여 지속적인 호흡이 가능하므로 위급상황 시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피시간 동안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간이 호흡기구 110 : 호흡부
112 : 토출구 114 : 흡입구
115 : 체크밸브 120 : 두건
122 :차단캡 130 : 착용부
132 : 밴드 134 : 클립
144 : 산소저장부 145 : 필터부
146 : 흡착부 147 : 습기제거부
150 : 압축산소탱크 160 : 작동부
162 : 밸브 164 : 작동핀

Claims (12)

  1. 착용자의 호흡기에 밀착되는 호흡부;
    상기 호흡부와 토출구에 의해 연통되고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장치;
    상기 산소발생장치로부터 산소발생 전 상기 호흡부로 산소를 공급하는 압축산소탱크; 및
    상기 호흡부의 착용시 연동되어 상기 압축산소탱크를 개방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여 상기 산소발생장치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호흡부는 두건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압축산소탱크에 구비되는 밸브; 및
    상기 밸브의 개폐를 단속하고, 상기 차단캡과 연결되는 작동핀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핀과 상기 차단캡은 상기 두건과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두건의 펼침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호흡기구.
  2. 삭제
  3. 삭제
  4. 착용자의 호흡기에 밀착되는 호흡부;
    상기 호흡부와 토출구에 의해 연통되고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장치;
    상기 산소발생장치로부터 산소발생 전 상기 호흡부로 산소를 공급하는 압축산소탱크; 및
    상기 호흡부의 착용시 연동되어 상기 압축산소탱크를 개방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여 상기 산소발생장치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호흡부는 착용자의 머리 뒤편에 고정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압축산소탱크에 구비되는 밸브; 및
    상기 밸브의 개폐를 단속하고, 상기 차단캡과 연결되는 작동핀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핀과 상기 차단캡은 상기 착용부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두건의 펼침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호흡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호흡부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호흡기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호흡부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한 쌍의 밴드; 및
    상기 밴드의 각 단부에 형성되어 상호 체결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호흡기구.
  7. 삭제
  8. (a) 호흡부의 착용동작에 연동되어 압축산소탱크의 산소가 상기 호흡부로 공급되는 단계;
    (b)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산소발생장치로부터 산소가 발생되는 단계; 및
    (c) 상기 산소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산소가 상기 호흡부로 재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는,
    상기 호흡부에 형성된 두건을 펼치는 준비단계;
    상기 두건을 착용자의 머리에 쓰는 착용단계; 및
    상기 호흡부에 연결된 밴드를 잡아당겨 상기 밴드의 각 단부에 형성된 클립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머리 뒤편에 고정하는 고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준비단계는 상기 두건의 펼침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호흡부의 토출구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압축산소탱크의 작동핀이 제거되어 상기 호흡부 내로 초기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호흡기구의 작동방법.
  9. 삭제
  10. 삭제
  11. (a) 호흡부의 착용동작에 연동되어 압축산소탱크의 산소가 상기 호흡부로 공급되는 단계;
    (b)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산소발생장치로부터 산소가 발생되는 단계; 및
    (c) 상기 산소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산소가 상기 호흡부로 재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는,
    상기 호흡부에 형성된 두건을 펼치는 준비단계;
    상기 두건을 착용자의 머리에 쓰는 착용단계; 및
    상기 호흡부에 연결된 밴드를 잡아당겨 상기 밴드의 각 단부에 형성된 클립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머리 뒤편에 고정하는 고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계는 상기 밴드의 당김 시 연동되어 상기 압축산소탱크의 작동핀이 제거되어 상기 호흡부 내로 초기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호흡기구의 작동방법.
  12. 제 8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호흡부로부터 상기 산소발생장치로 이산화탄소 및 습기가 공급되는 공급단계;
    상기 공급단계에서 제공된 이산화탄소 및 습기가 과산화칼륨과 반응하는 반응단계;
    상기 반응단계에 의해 생성된 산소가 산소저장부에 저장되는 산소저장단계; 및
    상기 산소저장부에 저장된 산소가 필터부를 통해 잔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습기를 제거하는 필터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호흡기구의 작동방법.
KR1020100091930A 2010-09-17 2010-09-17 간이 호흡기구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248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930A KR101248117B1 (ko) 2010-09-17 2010-09-17 간이 호흡기구 및 이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930A KR101248117B1 (ko) 2010-09-17 2010-09-17 간이 호흡기구 및 이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844A KR20120029844A (ko) 2012-03-27
KR101248117B1 true KR101248117B1 (ko) 2013-03-27

Family

ID=4613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930A KR101248117B1 (ko) 2010-09-17 2010-09-17 간이 호흡기구 및 이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1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738B1 (ko) 2013-06-07 2014-02-03 (주)씨아이제이 긴급대피용 호흡장치
KR101865298B1 (ko) * 2017-11-23 2018-06-07 주식회사 에스엠테크 화재대피용 라이프마스크
KR102236928B1 (ko) 2020-01-31 2021-04-06 주식회사 필라스크리에이션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화재 현장 대피용 간이 호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839B1 (ko) * 2014-04-30 2014-06-20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
KR101885875B1 (ko) * 2017-01-02 2018-08-07 주식회사 스마트로봇 재난재해용 재 호흡장치
KR200487312Y1 (ko) * 2017-01-13 2018-09-04 주식회사 파로시스템 재난재해용 재 호흡장치의 개폐장치의 기체주입량 조절장치
CN109969117A (zh) * 2019-04-28 2019-07-05 攀枝花学院 汽车落水自救逃生装置
KR102563903B1 (ko) * 2020-11-19 2023-08-03 김명숙 호흡을 이용한 산소발생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2505134B1 (ko) * 2020-11-23 2023-03-07 김주응 신속한 착용 및 지속적인 산소공급이 가능한 산소공급장치
KR102412014B1 (ko) * 2021-12-20 2022-06-22 주식회사 샐릭스 비상탈출용 산소 호흡기
KR102412017B1 (ko) * 2021-12-20 2022-06-22 주식회사 샐릭스 산소 호흡기용 수납 주머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831Y1 (ko) 2003-03-12 2003-06-18 박창우 산소발생장치를 구비한 방화용 방독면
KR200346391Y1 (ko) 2003-12-29 2004-03-30 김주응 방독면
KR200411018Y1 (ko) 2005-12-27 2006-03-09 박상길 긴급대피용 산소발생장치
KR20080073270A (ko) * 2008-05-10 2008-08-08 권칠성 화재대피용 방독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831Y1 (ko) 2003-03-12 2003-06-18 박창우 산소발생장치를 구비한 방화용 방독면
KR200346391Y1 (ko) 2003-12-29 2004-03-30 김주응 방독면
KR200411018Y1 (ko) 2005-12-27 2006-03-09 박상길 긴급대피용 산소발생장치
KR20080073270A (ko) * 2008-05-10 2008-08-08 권칠성 화재대피용 방독마스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738B1 (ko) 2013-06-07 2014-02-03 (주)씨아이제이 긴급대피용 호흡장치
KR101865298B1 (ko) * 2017-11-23 2018-06-07 주식회사 에스엠테크 화재대피용 라이프마스크
KR102236928B1 (ko) 2020-01-31 2021-04-06 주식회사 필라스크리에이션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화재 현장 대피용 간이 호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844A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117B1 (ko) 간이 호흡기구 및 이의 작동방법
KR200411018Y1 (ko) 긴급대피용 산소발생장치
KR101138310B1 (ko) 자급식 산소호흡기
JP4405483B2 (ja) 緊急避難用酸素マスク
KR20100041266A (ko) 휴대용 자가 산소호흡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101800403B1 (ko) 자가 산소호흡이 가능한 호흡장치
KR101340583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101351836B1 (ko) 간이호흡장치
CN111617397B (zh) 一种独立便捷更换滤芯自救器
CN218572666U (zh) 一种化学氧多功能呼吸器
KR20190078974A (ko) 온도조절모듈을 포함하는 산소 마스크
CN2686651Y (zh) 正压空气呼吸器
KR101351834B1 (ko) 간이호흡장치
KR101351835B1 (ko) 간이호흡장치
KR100848619B1 (ko) 수중 호흡장치
CN206391334U (zh) 一种高压氧舱安全吸氧头罩
KR100518662B1 (ko) 산소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산소마스크
JP6096920B2 (ja) 改善された保護呼吸装置吸入ダクト
KR102210436B1 (ko) 호흡장치
CN214181497U (zh) 一种应用于煤矿井下的压缩氧自救器
CN115317821A (zh) 一种化学氧多功能呼吸器
KR100526310B1 (ko) 휴대용 방화 마스크
JP2009233110A (ja) 携帯式空気吸入器
RU2176923C1 (ru) Изолирующий дых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CN206566371U (zh) 一种矿下供氧应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