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156B1 - 개량형 석궁 - Google Patents

개량형 석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156B1
KR101246156B1 KR1020120108102A KR20120108102A KR101246156B1 KR 101246156 B1 KR101246156 B1 KR 101246156B1 KR 1020120108102 A KR1020120108102 A KR 1020120108102A KR 20120108102 A KR20120108102 A KR 20120108102A KR 101246156 B1 KR101246156 B1 KR 101246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rossbow
fixed
roll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윤
Original Assignee
박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윤 filed Critical 박노윤
Priority to KR1020120108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156B1/ko
Priority to US14/418,376 priority patent/US9255764B2/en
Priority to PCT/KR2013/007220 priority patent/WO20140512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7/00Spring guns
    • F41B7/003Spring guns in pistol or rifle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3/00Sling weapons
    • F41B3/005Catapults in pistol or rifle form having a cocking device, i.e. a mechanical device for holding the elastic b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2Crossb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7/00Spring guns
    • F41B7/04Spring guns adapted to discharge harpo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석궁은, 총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 중앙에 방아쇠와 연결된 상태로 상하 이송작동되는 래치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래치돌기의 하부 양측에 돌출된 결합축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래치돌기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방아쇠가 결합되며, 상기 방아쇠의 후방측에 손잡이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방아쇠의 전방 끝단에 고정롤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상부 끝단에는 고정파이프가 삽입결합되며, 상기 고정파이프 내부에 전,후 슬라이딩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파이프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조절파이프의 전면으로 끝단부에 한쌍의 전방롤러가 각각 결합되는 궁열과; 상기 몸체의 래치돌기에 걸림작동되도록 걸림공이 형성되고, 전방에 활시위가 연결되며, 후방에 화살의 화살촉에 형성된 걸림훅에 걸리는 걸림끈이 형성된 발사체와; 상기 발사체로부터 상기 궁열의 전방롤러를 거쳐 상기 몸체의 고정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방아쇠를 작동시 상기 발사체를 몸체 전방으로 발사시키는 활시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량형 석궁 {IMPROVED CROSSBOW}
본 발명은 레저 및 수렵용으로 사용되는 석궁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화살을 발사하기 위한 활시위를 석궁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석궁의 몸체에 활대가 없는 구조로 제작되어 석궁의 유동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활시위의 탄력을 조절하여 석궁의 최대유효사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석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궁은 화살을 나무 막대형태로 이루어진 발사장치 위에 올려놓고 발사하는 장치로 일반 활보다 사정거리가 길고 관통력이 강하게 개량된 무기로써, 발사장치의 중앙에 화살의 방향을 정하기 위한 홈과 함께 화살을 발사하기 위한 장치가 결합되는 구조를 기본으로 현대에 와서는 수렵 및 레저용으로 재질 및 구조가 다양하게 개량되어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석궁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675호(2001.3.29)"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궁열과 조준부 및 방아쇠 등이 부가된 본체의 전측에 하우징을 부가하여, 이 하우징에 마련된 장착홈의 상부에는 힌지에 의해서 개폐되는 압착편과, 압착편을 고정 및 해제하는 손잡이와 클램퍼로 구성된 개폐수단과, 압착편의 내측에 삽입되는 림틀을 고정하는 조임너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석궁은 본체의 전측에 상,하로 개폐되는 압착편을 부가하여 장착부에 림틀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또 본체와 림틀을 분리하여 케이스에 보관 휴대가 가능하므로 석궁의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석궁의 경우 화살을 발사하기 위해서는 림에 활줄이 결합된 림틀을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단점과 함께, 화살을 발사하는 장력을 생성하는 림의 경우 고강도, 고탄성의 특성을 지닌 고가의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석궁을 제작함에 있어 생산비용의 증가와 함께 림틀을 석궁의 본체에 결합 및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석궁을 사용하는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석궁은 림과 활줄의 일정한 탄성을 이용해 화살을 발사하기 때문에 석궁의 최대 유효사거리 이상의 표적은 명중이 불가능한 단점과 함께, 석궁의 림과 활줄의 탄성을 크게 하여 석궁의 최대 유효사거리를 늘리게 되면 이에 비례하여 활줄에 화살을 장전하기가 더욱 힘들어지는 단점으로 석궁의 최대 유효사거리가 제한적인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석궁의 몸체 전방에 활시위를 당길 수 있는 궁열을 길이방향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궁열에 걸어지는 활시위의 탄성을 이용해 화살이 발사되는 구조로 석궁을 제작구성함으로써, 석궁의 구조가 단순해짐에 따라 석궁의 유동편의성이 증진되는 개량형 석궁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궁 몸체의 전면부에 결합된 궁열을 전,후측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활시위의 탄력성을 조절함에 따라 석궁의 최대유효사거리를 사용자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개량형 석궁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석궁은, 총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 중앙에 방아쇠와 연결된 상태로 상하 이송작동되는 래치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래치돌기의 하부 양측에 돌출된 결합축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래치돌기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방아쇠가 결합되며, 상기 방아쇠의 후방측에 손잡이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방아쇠의 전방 끝단에 고정롤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상부 끝단에는 고정파이프가 삽입결합되며, 상기 고정파이프 내부에 전,후 슬라이딩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파이프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조절파이프의 전면으로 끝단부에 한쌍의 전방롤러가 각각 결합되는 궁열과; 상기 몸체의 래치돌기에 걸림작동되도록 걸림공이 형성되고, 전방에 활시위가 연결되며, 후방에 화살의 화살촉에 형성된 걸림훅에 걸리는 걸림끈이 형성된 발사체와; 상기 발사체로부터 상기 궁열의 전방롤러를 거쳐 상기 몸체의 고정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방아쇠를 작동시 상기 발사체를 몸체 전방으로 발사시키는 활시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궁열의 조절파이프 전면에는 상기 전방롤러가 결합되는 롤러결합판이 결합되며, 상기 롤러결합판의 전면부 상측 및 하측에는 가이드고리 및 장전고리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파이프는 양측에 각각 내입형성된 삽입공에 일단이 결합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에 결합되어 삽입공에 내입 및 조절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지지되는 탄성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파이프는 양측에 상기 탄성돌기가 삽입되는 고정공이 각각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절파이프는 고정파이프 내부에서 슬라이딩 작동될 때, 탄성돌기가 고정공에 삽입되어 고정파이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파이프의 측면에는 사거리조절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후방 상측에 화살의 화살대가 끼워지도록 장전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래치돌기 하부에는 안전장치가 삽입결합되어 상기 안전장치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전,후 작동함에 따라 상기 래치돌기가 하부로 내려오는 공간을 차단하여 상기 래치돌기가 하부로 작동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측면 일측에는 상기 몸체의 상부로 절곡 형성되는 보호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판의 하부 일측에는 스코프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궁열의 고정파이프 하부에는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덮개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롤러, 전방롤러의 중앙에는 양측단이 각각 분리되는 결합핀이 체결되며, 상기 결합핀은 나선결합방식을 통해 분해 및 조립됨에 따라 상기 고정롤러, 전방롤러가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시위는 각각 제1부분, 제2부분, 제3부분으로 나뉘어지며, 상기 제1부분은 상기 고정롤러에 고정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전방롤러에 걸쳐지고, 상기 제3부분은 상기 발사체의 전방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부분, 제2부분 및 제3부분은, 활시위의 길이방향에서 수직평면으로 잘랐을 때 잘라진 면의 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시위는, 제1부분에서 제3부분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석궁의 몸체 전방에 활시위를 당길 수 있는 궁열을 길이방향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궁열에 걸어지는 활시위의 탄성을 이용해 화살이 발사되는 구조로 석궁을 제작구성함으로써, 석궁의 구조가 단순해짐에 따라 석궁의 유동편의성이 증진되는 개량형 석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석궁 몸체의 전면부에 결합된 궁열을 전,후측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활시위의 탄력성을 조절함에 따라 석궁의 최대유효사거리를 사용자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개량형 석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의 활시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의 화살이 발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의 안전장치를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의 화살이 발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의 궁열의 길이조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의 활시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개량형 석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의 활시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몸체(100)는 총형상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다.
즉, 몸체(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석궁의 몸체와 동일한 형태로 하부에 손잡이(105)가 형성되는 종래 석궁의 몸체형상을 기본적으로, 나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몸체(100)의 상부 일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몸체(100) 내부로 결합되는 래치돌기(120)가 결합된다.
래치돌기(120)는 원통형상으로 하부 일측에는 양측으로 돌출되게 결합축(121)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결합축(121)의 상부에는 래치돌기(120)에 탄성을 주기 위한 스프링(122)이 결합된다.
이때, 래치돌기(120)는 스프링(122)의 탄성으로 몸체(100) 상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래치돌기(120)는 몸체(100) 내부에 형성된 격실(101)에 결합되는 것으로, 격실(101)의 중앙 일측에 관통형성된 체결공(102)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상,하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몸체(100)의 하부 일측에는 래치돌기(120)를 상,하로 작동하기 위한 방아쇠(110)가 래치돌기(120)에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방아쇠(110)는 상부 일측에 양측으로 결합고리(111)가 각각 형성된다.
그 결합고리(111)는 래치돌기(120)의 하부 결합축(121)에 결합된다.
방아쇠(110)의 상부 타측에는 힌지축(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축(112)은 몸체(100) 하부 일측에 체결되고, 방아쇠(110)는 힌지축(112)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때, 방아쇠(110)가 몸체(100) 하부 일측에 결합되면, 방아쇠(110)의 결합고리(111)는 래치돌기(120)의 결합축(121)에 각각 걸리도록 체결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방아쇠(110)를 후방으로 당기면, 방아쇠(110)는 힌지축(11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방아쇠(110)의 결합고리(111)가 래치돌기(120)를 하측으로 내리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방아쇠(110)에 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래치돌기(120)에 결합된 스프링(122)에 의해 래치돌기(120)가 원상복귀되는 것이다.
궁열(200)은 고정파이프(210)와 조절파이프(220)를 포함한다.
고정파이프(210)는 몸체(100)의 전방으로 상부 끝단에 삽입결합된다.
또한, 고정파이프(210)는 일정길이를 갖는 원형의 파이프 형태이며, 일측부분이 몸체(100)의 전면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조절파이프(220)는 고정파이프(210) 내부에 전,후 슬라이딩 작동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조절파이프(220)는 고정파이프(210)의 내부 직경과 동일하도록 제작되어 고정파이프(210) 내부에 삽입되면 흔들림 없이 전,후 슬라이딩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파이프(220)의 전면으로 끝단부에는 활시위(400)를 당길 수 있도록 한 쌍의 전방롤러(222)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즉, 조절파이프(220)가 고정파이프(210)에 삽입되어 전,후 슬라이딩이 가능하므로, 조절파이프(220)의 돌출길이에 따라 활시위(400)를 최대한 잡아당기며 활시위(400)의 장력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의 궁열의 길이조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절파이프(220)는 양측에 각각 내입형성된 삽입공(260)에 일단이 결합된 탄성부재(230)와, 탄성부재(2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삽입공(260)에 내입 및 조절파이프(2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부재(23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탄성돌기(240)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파이프(210)는 양측에 탄성돌기(240)가 삽입되는 고정공(250)이 각각 관통되어 형성된다.
즉, 조절파이프(220)는 고정파이프(210) 내부에서 슬라이딩 작동될 때, 탄성돌기(240)가 고정공(250)에 삽입되어 고정파이프(210)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탄성돌기(240)가 고정공(250)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돌기(240)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탄성돌기(240)가 삽입공(260)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시에 고정공(250)에서 빠지게 된다. 이때, 조절파이프(220)는 고정파이프(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고 고정파이프(210)의 내부로 더 깊숙이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궁열(200)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절파이프(220)가 고정파이프(210)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딩 되는 궁열(200)은 석궁(1)에 걸리는 활시위(400)의 장력을 늘리거나 줄이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궁열(200)의 조절파이프(220) 양 측면 또는 일 측면에는 활시위(400)의 장력에 따른 석궁(1)의 사거리가 눈금으로 표시된 사거리조절눈금(226)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석궁(1)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사거리조절눈금(226)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파이프(220)의 위치를 움직여 활시위(4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한쌍의 전방롤러(222)는 조절파이프(220)의 끝단에 " ㄷ "자 형태로 결합되는 롤러결합판(223) 사이에 각각 체결되고, 각각의 전방롤러(222)에 각각 ㅎ활시위(400) 한 줄씩 걸쳐진다.
또한, 롤러결합판(223)의 전면부 상측에는 가이드고리(225)가 결합되며, 하측에는 갈고리 모양의 장전고리(224)가 결합되어 있다.
발사체(300)는 몸체(100)의 래치돌기(120)에 걸림작동되도록 걸림공(310)이 형성되고, 전방에 활시위(400)가 연결되며, 후방에 걸림끈(320)이 형성된다.
여기서, 발사체(300)는 활시위(400)가 연결될 때, 활시위(400)가 두줄로 되어 있어 두줄의 활시위(400)가 수직으로 된 상태에서 연결된다.(도 4 참조)
걸림끈(320)은, 화살(600)의 화살촉(610)에 형성된 걸림훅(611)에 걸리는 끈이다.
또한, 화살(600)이 몸체(100)의 상부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장전판(104)이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다.
즉, 장전판(104)은 몸체(100)의 후방 상측에 결합되고, 화살(600)의 화살대(620)가 끼워지도록 끼움공(103)이 형성된다.
활시위(400)는 석궁(1)에서 화살(600)을 발사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활시위(400)는 고탄성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일측 끝단은 발사체(300)에 연결되며, 타측은 궁열(200)의 전방롤러(222)를 거쳐 몸체(100)의 고정롤러(160)에 고정된다.
즉, 활시위(400)는 사용자가 궁열(200)의 조절파이프(220)를 전방으로 당기면 활시위(400)가 조절파이프(220)를 따라 늘어나면서 탄성이 커지고, 반대로 궁열(200)의 조절파이프(220)를 후방인 고정파이프(210)의 내부로 슬라이딩하며 내입되면서 탄성이 작아진다.
한편, 몸체(100)의 측면 일측에는 몸체(100)의 상부 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보호판(130)이 결합된다.
보호판(130)은 활시위(400)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끊어지게 되면 끊어진 활시위(400)가 사용자를 타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수단이다.
그리고, 보호판(130)은 투명의 아크릴 또는 유리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에 별도의 조준점(미도시)이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보호판(130)의 하부 일측에는 별도로 제작되는 스코프(140)가 결합되어 스코프(140)를 통한 정밀한 조준이 가능하다.
그리고, 몸체(100)의 래치돌기(120) 하부에는 안전장치(150)가 결합된다.
안전장치(150)는 몸체(100)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석궁(1)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안전을 위하여 안전장치(150)를 후측방향으로 당기면 안전장치(150)가 래치돌기(120)가 내려오는 공간으로 위치한다. 이때, 사용자가 무심결에 방아쇠(110)를 당겨도 안전장치(150)에 막힌 래치돌기(120)는 내려오지 못해 석궁(1)이 발사되지 못한다.
한편, 궁열(200)의 고정파이프(210) 하부에는 상판(510)과 하판(520)으로 이루어진 덮개판(500)이 결합된다.
덮개판(500)은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이게 석궁(1)을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하판(520)과 상판(510)은 일측면에 형성된 경첩(미도시)을 이용해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타측면에 하판(520)과 상판(510)을 서로 고정할 수 있는 잠금장치(미도시)로 결합된다.
즉, 활시위(400)를 교체할 때는 하판(520)을 경첩과 잠금장치의 해제로 상판(51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하판(520)을 열어서 고정롤러(160)에 결합된 활시위(400)를 분해한다.
이때, 고정롤러(160)와 전방롤러(222)의 중앙에는 양측이 각각 분리되는 결합핀(700)이 체결된다.
결합핀(700)은 고정롤러(160)와 전방롤러(222)의 분해 조립을 보다 간편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나선결합방식을 통해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결합핀(700)은 일측에 너트부분이 되는 부분과 타측에 볼트부분이 되는 부분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져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석궁(1)을 사용하다가 활시위(400)가 끊어지면 고정롤러(160)와 전방롤러(222)를 결합핀(700)을 이용하여 분리해 활시위(400)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활시위(400)가 교체될 때는 발사체(300)도 함께 교체된다.
한편, 활시위(40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분(A), 제2부분(B), 제3분(C)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제1부분(A)은 고정롤러(160)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제2부분(B)은 전방롤러(222)에 걸쳐지는 부분이며, 제3부분(C)은 발사체(30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장시간 활시위(400)를 사용하면 활시위(400)가 끊어지는 일이 발생한다.
이때, 활시위(400)가 끊어지는 부위가 몸체(100)에서 멀어지면 활시위(400)의 끊어진 부위가 사용자에게 튕겨지고, 그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석궁(1)의 가장 가까운 부분인 활시위(400)의 제1부분(A)이 끊어질 수 있도록 제작된다.
즉, 제1부분(A), 제2부분(B) 및 제3부분(C)은, 활시위(400)의 길이방향에서 수직평면으로 잘랐을 때 잘라진 면의 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제작된다.
이때, 활시위(400)는, 제1부분(A)에서 제3부분(C)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활시위(400)는 면적이 제일 작은, 굵기가 얇은 제1부분(A)이 제2부분(B)와 제3부분(C)보다 더 잘 끓어질 수 있도록 제작됨에 따라, 사용자의 몸 즉, 몸체(100)의 후방으로 튕지지 않고 전방으로 튕겨나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석궁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석궁(1)의 활시위(400)를 당긴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석궁(1)의 활시위(400)는 사용자가 직접 당기기에는 탄성 때문에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가 석궁(1)의 조절파이프(220)를 고정파이프(210) 내부로 최대한 밀어 넣은 후에 석궁(1)의 발사체(300)를 몸체(100)의 래치돌기(120)에 결합한다.
그리고, 궁열(200)의 조절파이프(220) 전면에 결합된 장전고리(224)를 길가에 있는 나뭇가지 또는 파이프와 같이 장전고리(224)에 걸을 수 있는 곳에 건다.
그리고, 사용자의 한 손은 몸체(100)의 하부 손잡이(105)를 잡고, 다른 한 손은 덮개판(500)을 잡음과 동시에 몸체(100)을 후방으로 당긴다.
그러면, 활시위(400)가 늘어나게 되고, 장력이 발생한다.
이때, 조절파이프(220)는 고정공(250)에 탄성돌기(240)가 삽입되면서 고정파이프(210)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6은 활시위(400)에 장력이 만들어진 석궁(1)에 화살(600)이 장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발사체(300)는 레치돌기(120)에 결합되어 몸체(10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발사체(300)에 형성된 걸이끈(320)을 화살(600)의 화살촉(610)에 형성된 걸이훅(611)에 건다.
그와 동시에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장전판(104)의 끼움공(106)에 화살(600)의 화살대(620) 즉, 화살대(620)의 후측 끝부분을 끼움공(106)에 끼워 넣어 화살(600)을 석궁(1)의 몸체(100) 상부에 안착시키며 장전한다.
도 7 및 도 8은 석궁(1)에 장전된 화살(600)이 발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석궁(1)을 발사하기 위해 석궁(1)의 몸체(100)에 결합된 스코프(140)를 통하여 전방의 목표물을 조준하게 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하부에 결합된 방아쇠(110)에 손가락을 걸어 방아쇠(110)를 후측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방아쇠(110)는 방아쇠(110)의 힌지축(112)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동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회동되는 방아쇠(110)는 결합고리(111)에 결합된 래치돌기(120)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방아쇠(110)의 작동을 통해 하측방향으로 래치돌기(120)가 이동하면 래치돌기(120)의 상부에 걸린 발사체(300)는 래치돌기(120)의 걸림이 해제되었기 때문에 활시위(400)의 장력을 통해 전방으로 튕겨나가는 작동을 한다. 그때, 발사체(300)의 걸이끈(320)이 걸이훅(611)이 잡아 당기게 되고, 그에 따라 화살(600)이 전방으로 발사된다.
도 9는 석궁(1)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사용자가 석궁(1)의 몸체(100) 하부 일측에 결합된 안전장치(150)을 후측방향으로 당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안전장치(150)는 몸체(100) 내부에서 후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작동되어 래치돌기(120)가 내려오는 공간으로 이동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무심결에 방아쇠(110)를 당겨도 안전장치(150)에 막힌 래치돌기(120)가 내려오지 못해 석궁(1)이 발사되지 못한다.
도 10은 석궁(1)에서 화살(600)이 완전히 발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튕겨져나가는 발사체(300)는 궁열(200)의 조절파이프(220) 전방에 결합된 가이드고리(225)에 걸리게 되면서 하측방향으로 쏠리지 않는다.
즉, 가이드고리(225)는 발사체(300)가 전방으로 튕겨져 나가면서 걸이끈(320)과 걸이훅(611)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임에 불구하고 활시위(400)의 장력에 의해 롤러결합판(223)의 전방에서 하측방향으로 말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발사체(300)가 롤러결합판(223)의 전방으로 계속하여 튕겨지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걸이끈(320)과 걸이훅(611)이 분리되면서 화살(600)은 사용자가 조준한 목표물로 날아가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석궁의 활시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개량형 석궁은, 두 줄의 활시위(400)가 발사체(300)에 결합될 때 수평으로 결합됨(도 13 참조)에 따라 전방롤러(222)가 하나로 구성되는 석궁이다.
그리고, 활시위(400)는 두줄이 모두 전방롤러(222)에 걸쳐지게 된다.
그 외의 구성과 작동 상태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몸체 101: 격실 102: 체결공
103: 끼움공 104: 장전판 105: 손잡이
110: 방아쇠 111: 결합고리 112: 힌지축
120: 래치돌기 121: 결합축 122: 스프링
130: 보호판 140: 스코프 150: 안전장치
200: 궁열 210: 고정파이프 220: 조절파이프
222: 전방롤러 223: 롤러결합판 224: 장전고리
225: 가이드고리 230: 탄성부재 240: 탄성돌기
250: 고정공 260: 삽입공 300: 발사체
310: 걸림공 320: 걸이끈 400: 활시위
500: 덮개판 510: 상판 520: 하판
600: 화살 610: 화살촉 611: 걸이훅
620: 화살대 700: 결합핀

Claims (13)

  1. 총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 중앙에 방아쇠(110)와 연결된 상태로 상하 이송작동되는 래치돌기(120)가 설치되고, 상기 래치돌기(120)의 하부 양측에 돌출된 결합축(121)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래치돌기(120)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방아쇠(110)가 결합되며, 상기 방아쇠(110)의 후방측에 손잡이(105)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방아쇠(110)의 전방 끝단에 고정롤러(16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전방으로 상부 끝단에는 고정파이프(210)가 삽입결합되며, 상기 고정파이프(210) 내부에 전,후 슬라이딩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파이프(220)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조절파이프(220)의 전면으로 끝단부에 한쌍의 전방롤러(222)가 각각 결합되는 궁열(200)과;
    상기 몸체(100)의 래치돌기(120)에 걸림작동되도록 걸림공(310)이 형성되고, 전방에 활시위(400)가 연결되며, 후방에 화살(600)의 화살촉(610)에 형성된 걸림훅(611)에 걸리는 걸림끈(320)이 형성된 발사체(300)와;
    상기 발사체(300)로부터 상기 궁열(200)의 전방롤러(222)를 거쳐 상기 몸체(100)의 고정롤러(160)에 결합되어 상기 방아쇠(110)를 작동시 상기 발사체(300)를 몸체(100) 전방으로 발사시키는 활시위(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석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궁열(200)의 조절파이프(220) 전면에는 상기 전방롤러(222)가 결합되는 롤러결합판(223)이 결합되며, 상기 롤러결합판(223)의 전면부 상측 및 하측에는 가이드고리(225) 및 장전고리(224)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석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파이프(220)는 양측에 각각 내입형성된 삽입공(260)에 일단이 결합된 탄성부재(230)와, 상기 탄성부재(2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삽입공(260)에 내입 및 조절파이프(2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지지되는 탄성돌기(2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파이프(210)는 양측에 상기 탄성돌기(240)가 삽입되는 고정공(250)이 각각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절파이프(220)는 고정파이프(210) 내부에서 슬라이딩 작동될 때, 탄성돌기(240)가 고정공(250)에 삽입되어 고정파이프(2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석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파이프(220)의 측면에는 사거리조절눈금(2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석궁.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후방 상측에 화살(600)의 화살대(620)가 끼워지도록 장전판(104)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석궁.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래치돌기(120) 하부에는 안전장치(150)가 삽입결합되어 상기 안전장치(150)가 상기 몸체(100) 내부에서 전,후 작동함에 따라 상기 래치돌기(120)가 하부로 내려오는 공간을 차단하여 상기 래치돌기(120)가 하부로 작동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석궁.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측면 일측에는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절곡 형성되는 보호판(1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석궁.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130)의 하부 일측에는 스코프(140)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석궁.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궁열(200)의 고정파이프(210) 하부에는 상판(510)과 하판(520)으로 이루어진 덮개판(5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석궁.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롤러(160), 전방롤러(222)의 중앙에는 양측단이 각각 분리되는 결합핀(700)이 체결되며, 상기 결합핀(700)은 나선결합방식을 통해 분해 및 조립됨에 따라 상기 고정롤러(160), 전방롤러(222)가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석궁.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시위(400)는 각각 제1부분(A), 제2부분(B), 제3부분(C)으로 나뉘어지며, 상기 제1부분(A)은 상기 고정롤러(160)에 고정되고, 상기 제2부분(B)은 상기 전방롤러(222)에 걸쳐지고, 상기 제3부분(C)은 상기 발사체(300)의 전방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석궁.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A), 제2부분(B) 및 제3부분(C)은, 활시위(400)의 길이방향에서 수직평면으로 잘랐을 때 잘라진 면의 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석궁.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활시위(400)는, 제1부분(A)에서 제3부분(C)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석궁.

KR1020120108102A 2012-09-27 2012-09-27 개량형 석궁 KR101246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102A KR101246156B1 (ko) 2012-09-27 2012-09-27 개량형 석궁
US14/418,376 US9255764B2 (en) 2012-09-27 2013-08-09 Crossbow
PCT/KR2013/007220 WO2014051257A1 (ko) 2012-09-27 2013-08-09 개량형 석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102A KR101246156B1 (ko) 2012-09-27 2012-09-27 개량형 석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156B1 true KR101246156B1 (ko) 2013-03-20

Family

ID=4818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102A KR101246156B1 (ko) 2012-09-27 2012-09-27 개량형 석궁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55764B2 (ko)
KR (1) KR101246156B1 (ko)
WO (1) WO20140512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E01531U1 (et) * 2019-10-10 2021-04-15 Rein Kink Vintnoole ja vinttoruga laskerelv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3630B2 (en) * 2009-04-16 2013-06-04 Richard T. Fields Projectile launching system
US20220373290A1 (en) * 2013-12-16 2022-11-24 Ravin Crossbows, Llc Reduced length crossbow
US10712118B2 (en) 2013-12-16 2020-07-14 Ravin Crossbows, Llc Crossbow
US9612080B1 (en) * 2014-11-18 2017-04-04 Garo Jack Hachigia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that allow the forces from elastic elements to create inward forces on a base object such as a speargun stock, and also reduce rearward forces
US9605922B1 (en) * 2015-02-09 2017-03-28 Clinton A. Rowe Slingshot firearm
US9714808B2 (en) * 2015-03-09 2017-07-25 Willard D. Carroll, Jr. Bow for launching an arrow
US9933231B2 (en) * 2015-07-16 2018-04-03 Crosman Corporation Arrow gun with controlled retention force and barrel vibration damping
EP3254714B1 (de) 2016-06-08 2021-07-28 SHL Medical AG Vorrichtung und system zur abgabe eines fluids unter aseptischen bedingungen
GR20180100055A (el) * 2018-02-15 2019-09-25 Πετρος Ιωαννη Κουτσογιωργος Λαβη ψαροντουφεκου
US11549777B1 (en) * 2019-04-05 2023-01-10 Ravin Crossbows, Llc Linear crossbow
US10962323B2 (en) 2019-05-07 2021-03-30 Bear Archery, Inc. Crossbow assembly
CA3138357A1 (en) * 2019-05-17 2020-11-26 Paul Trpkovski Crossbow
CA3146822A1 (en) * 2019-07-10 2021-02-25 Ravin Crossbows, Llc Compound projectile launcher
US11395978B1 (en) * 2022-03-08 2022-07-26 Ut Brands Llc Projectile launching devices,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2434A1 (fr) * 1982-08-30 1984-03-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ositif pour signaler à l'unité de commande centrale d'un équipement de traitement de données, les erreurs se produisant dans les adaptateurs
KR940001613U (ko) * 1992-06-10 1994-01-03 이진수 유효 사거리 조정이 가능한 개량석궁
KR200366251Y1 (ko) * 2004-06-14 2004-11-03 신현수 고무의 탄력성을 응용한 로프줄 발사기구
KR20110086534A (ko) * 2011-07-01 2011-07-28 박경신 화살발사장치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61992A (en) * 1917-06-22 1918-04-09 Benjamin C Algie Toy.
US2638885A (en) * 1951-07-23 1953-05-19 James R Keadle Slingshot gun
US3006330A (en) * 1959-10-12 1961-10-31 Henry U Meyer Spear gun
US3509863A (en) * 1968-06-07 1970-05-05 Floyd D Barker Spring biased projecting device
US4169456A (en) * 1975-07-24 1979-10-02 House Robert M Van Short limb archery bow
US4593673A (en) * 1985-04-26 1986-06-10 Kees Galen D Sling shot gun structure
US4942861A (en) * 1985-09-20 1990-07-24 Bozek John W Cross bow with improved cocking mechanism
US4703744A (en) * 1986-10-02 1987-11-03 Stewart A. Taylor Apparatus for shooting a projectile
US5025771A (en) * 1989-09-19 1991-06-25 Hanson Brooks K Crossbow
US5243955A (en) * 1991-10-17 1993-09-14 Farless Bruce W Mechanical shooting apparatus
KR940001613A (ko) 1992-06-12 1994-01-11 정장호 패킷교환장치의 패킷버스 이중화운용방법
US5372118A (en) * 1992-10-16 1994-12-13 E. Douglas Hougen Double barrel speargun
US5355866A (en) * 1993-09-21 1994-10-18 Hunter Gary R Power dart launcher
US5437260A (en) * 1993-12-02 1995-08-01 King; Franklin H. Cross bow
US5649520A (en) * 1995-01-25 1997-07-22 Hunter's Manufacturing Co Crossbow trigger mechanism
US5642723A (en) * 1995-11-13 1997-07-01 Hogan; Howard W. Elastic band projectile slinger
US5931145A (en) * 1996-12-12 1999-08-03 Oviedo-Reyes; Alfonso Separating stock hydraulic speargun
US6273078B1 (en) * 1999-01-29 2001-08-14 Davis Schwesinger Powered bow having internal energy storage
US6895950B2 (en) * 2001-01-02 2005-05-24 Jean-Claude Gillet Crossbow-type underwater gun comprising a stretching device
US6811503B2 (en) * 2002-10-15 2004-11-02 William May Reconfigurable spear gun
FR2857221B1 (fr) * 2003-07-08 2005-09-02 Marc Antoine Berry Catapulte sous marine a propulsion de la fleche sur toute la longueur du canon
FR2899060B1 (fr) * 2006-04-04 2008-06-06 Jean Claude Gillet Fusil de chasse sous-marine de type arbalete a dispositif de bandage sans effort et a faible recul
US8387602B1 (en) * 2009-04-24 2013-03-05 Robert Kevin Bruington Fishing speargun
US8567376B2 (en) * 2010-04-14 2013-10-29 Wilson Flint Projectile launching device
US8607773B1 (en) * 2012-06-04 2013-12-17 Steven L. Schultz Pneumatically driven projectile weapon
US8485170B1 (en) * 2013-02-11 2013-07-16 Michael W. Prior Projectile launcher with internal bow
US8863732B1 (en) * 2014-01-27 2014-10-21 Michael W. Prior Projectile launch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2434A1 (fr) * 1982-08-30 1984-03-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ositif pour signaler à l'unité de commande centrale d'un équipement de traitement de données, les erreurs se produisant dans les adaptateurs
KR940001613U (ko) * 1992-06-10 1994-01-03 이진수 유효 사거리 조정이 가능한 개량석궁
KR200366251Y1 (ko) * 2004-06-14 2004-11-03 신현수 고무의 탄력성을 응용한 로프줄 발사기구
KR20110086534A (ko) * 2011-07-01 2011-07-28 박경신 화살발사장치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E01531U1 (et) * 2019-10-10 2021-04-15 Rein Kink Vintnoole ja vinttoruga laskerel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1257A1 (ko) 2014-04-03
US9255764B2 (en) 2016-02-09
US20150260478A1 (en)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156B1 (ko) 개량형 석궁
US10473418B2 (en) Power cord adjustment
US9354018B2 (en) Crossbow with a release mechanism
US10900739B2 (en) Crossbow
US5243955A (en) Mechanical shooting apparatus
US95413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resetting trigger mechanism
US9395142B2 (en) Crossbow and clip for using the same
US8689774B1 (en) Crossbow and components attached by a sliding joint assembly
US20190242670A1 (en) Interchangable cam
US8453630B2 (en) Projectile launching system
US20120037137A1 (en) Missile launching apparatus
US20140007763A1 (en) Forward-pressed finger rest for slide-action stock
US9410765B2 (en) Crossbow integrated grip guard
US20150233663A1 (en) Firearm attachment apparatus for dry fire training
US10107584B1 (en) Cocking sled and arrow release for crossbows
CA2847789A1 (en) Crossbow and bolts
US20140165981A1 (en) Lien's bow
TWM549334U (zh) 十字弓之壓箭器結構
US20190056187A1 (en) Receiver assembly for locked breech pistol
KR20140037207A (ko) 완구용 발사체 발사장치
US2708924A (en) Slingshot gun
CN204128433U (zh) 火柴玩具手枪
KR20140082272A (ko) 개량형 석궁
US1691769A (en) Arrow gun
US9354020B1 (en) Dual compression spring projectile launc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