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083B1 - deformable surface display using linear cam - Google Patents

deformable surface display using linear c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083B1
KR101246083B1 KR1020110067811A KR20110067811A KR101246083B1 KR 101246083 B1 KR101246083 B1 KR 101246083B1 KR 1020110067811 A KR1020110067811 A KR 1020110067811A KR 20110067811 A KR20110067811 A KR 20110067811A KR 101246083 B1 KR101246083 B1 KR 101246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cam
stage
pins
surface display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8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6027A (en
Inventor
이우훈
이나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67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083B1/en
Publication of KR2013000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0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0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14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toys, games, puzzles, or similar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G09F9/37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being controlled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핀을 별도의 액츄에이터 없이도 몰(mole) 형상의 리니어캠 (linear cam)을 이용하여 3차원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2차원 위치센서, 음성인식 센서 또는 오브젝트 인식 센서 등의 변위신호 입력부 및 신호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부에 의하여 자석이 구비된 스테이지 헤드를 움직이도록 하고, 스테이지 상에 위치하는 자석이 구비된 리니어캠을 자석력으로 견인함으로써 복수의 핀을 수직으로 밀어올리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교체 가능한 핀 또는 추가 유닛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놀이매체로서 확장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urface display that expresses a three-dimensional image by using a linear cam of a mole shape without a plurality of separate actuators. More specifically, the stage head including the magnet is moved by a displacement signal input unit such as a two-dimensional position sensor, a voice recognition sensor or an object recognition sensor, and a driver controlled by the signal control unit, and the magnet located on the stage is mov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urface display that vertically pushes a plurality of pins by pulling a provided linear cam with magnetic force. In addition, by utilizing a replaceable pin or an additional unit, it can be extended and used as a variety of play media, and provides a variable surface display that can interact with the user.

Figure 112011052454961-pat00001
Figure 112011052454961-pat00001

Description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deformable surface display using linear cam}Deformable surface display using linear cam

본 발명은 복수의 핀을 별도의 액츄에이터 없이도 몰(mole) 형상의 리니어캠(linear cam)을 이용하여 3차원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2차원 위치센서, 음성인식 센서 또는 오브젝트 인식 센서 등의 변위신호 입력부 및 신호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에 의하여 자석이 구비된 스테이지 헤드를 움직이도록 하고, 스테이지 상에 위치하는 자석이 구비된 리니어캠을 자석력으로 견인함으로써 복수의 핀을 수직으로 밀어올리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urface display that expresses a three-dimensional image by using a linear cam of a mole shape without a plurality of separate actuators. More specifically, the stage head with a magnet is moved by a displacement signal input unit such as a 2D position sensor, a voice recognition sensor or an object recognition sensor, and a drive unit operated by a signal control unit, and the magnet located on the st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urface display that vertically pushes a plurality of pins by pulling a provided linear cam with magnetic force.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Shape display) 또는 쉐입 디스플레이(shape display)는 복수의 픽셀을 색상 정보로 표현하는 통상의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디스플레이 표면의 단위유닛을 물리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칭하는 용어로 쓰이고 있다.   Unlike conventional displays that display a plurality of pixels as color information, a variable surface display or a shape display refers to a display device that expresses information by physically modifying a unit of a display surface. It is used as.

종래의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 중에는 복수의 핀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핀이 수직방향으로 밀어올려짐으로써 표면을 변형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 예로서, 미국 등록특허 제7,277,080호는 금속 삼각판으로 이루어진 스크린 아래에 구비된 기계적 액츄에이터 어레이(공압식 피스톤, 연결노드 등)에 의해 탄성적인 표면을 3차원적으로 변형하는 다이나믹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면 변형 방식은 단위 유닛의 개수만큼 복수의 액츄에이터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어 단위 유닛의 밀도를 높일 수 없으며 제작단가가 높으며 제작이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variable surface display, a technique is known in which a surface is deformed by pushing the pin in a vertical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actuato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ins. As an example, U.S. Patent No. 7,277,080 discloses a dynamic display system for three-dimensionally modifying an elastic surface by a mechanical actuator array (pneumatic piston, connecting node, etc.) provided under a screen made of metal triangular plates. have. However, such a surface deformation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plurality of actuators are required as the number of unit units, so that the density of the unit unit cannot be increased,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manufacturing is difficult.

한편, 미국 등록특허 제5,772,440호에는 점자출력기의 바이너리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서, 복수의 핀들이 축선방향으로 각각 직선운동하게 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핀을 밀어올리기 위해 요철이 형성된 리니어캠, 샤프트, 직선운동 변환장치, 스테핑 모우터 등을 이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점자출력을 위한 용도로 한정되어 있으며 XY 평면상에서 3차원적인 형상을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US Patent No. 5,772,440 is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binary information of the braille output device, a linear cam, a shaft, a straight line formed with a support member and a concave-convex to push up the pins so that the plurality of pins linearly move in the axial direction, respectively A method of using a motion converter, stepping motor, and the like is disclosed. However, this is limited to the use for braille output and does not represent a three-dimensional shape on the XY plane.

또한, 상기 종래 기술들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요소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으며, 핀과 같은 단위유닛이 손쉽게 교체 가능하지 않아 다양한 변경 실시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In addition, the prior art is not mentioned at all with respect to the interaction element with the user, there is a limit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variety of changes because the unit unit, such as a pin is not easily replaceable.

US 7,277,080 B2 (Mark Goulthorpe), 2007.10.02US 7,277,080 B2 (Mark Goulthorpe), 2007.10.02 US 5,772,440 A (TAKASHI Ida), 1998.06.30US 5,772,440 A (TAKASHI Ida), 1998.06.3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수의 핀들 중 일부가 몰형상의 리니어캠에 의해 동적으로 움직이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i)다수의 핀들을 밀어올리기 위한 다수의 액츄에이터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변형 가능한 3차원적 표면을 형성할 수 있고, (ii)교체 가능한 핀 또는 추가적인 유닛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놀이매체로서 확장 사용이 가능하며, (iii)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able surface display, in which some of the plurality of pins are dynamically moved by a mole-shaped linear cam, wherein (i) even if a plurality of actuators for pushing up a plurality of pins are not provided, It is possible to form a three-dimensional surface as possible, (ii) by using a replaceable pin or an additional unit can be extended as a variety of play media, and (iii) to provide a variable surface display that can interact with the user hav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핀으로 이루어진 핀 매트릭스와; 상기 핀 매트릭스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제1마그네틱이 구비되는 리니어캠과; 상기 핀 매트릭스를 수납하고 상기 리니어캠이 이동하기 위한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의 하단부에서 상기 리니어캠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대향 위치하며 제2마그네틱이 구비되는 스테이지 헤드와; 상기 스테이지 헤드와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지 헤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고정하고 상기 스테이지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지 헤드 및 상기 리니어캠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변위신호 입력부; 및 상기 변위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테이지 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변환정보로 처리하고, 상기 구동부에 송신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리니어캠은 상기 스테이지 헤드의 이동에 따라 자석력이 작용하여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리니어캠이 상기 핀들의 하단부에 진입시 상기 핀들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이탈시 중력에 의해 상기 핀들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pin matrix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ins; A linear cam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pin matrix and provided with a first magnetic; A stage for receiving the pin matrix and for moving the linear cam; A stage head spaced apart from the linear cam at a lower end of the stage and spaced apart from the linear cam by a second magnetic body; A driving unit coupled to the stage head to move the stage head; A housing for fixing the driving part and supporting the stage; A displacement signal input unit for changing positions of the stage head and the linear cam; And a signal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displacement signal and process the converted information for driving the stage head, and transmit the converted signal to the driving unit, wherein the linear cam has a magnetic force acting as the stage head moves. While moving, the linear cam lifts the pins vertically when entering the lower ends of the pins, or returns the pins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gravity when they are separated.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테이지 헤드가 수평방향의 평면상에서 2차원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구동부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스테이지 헤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드라이버, 구동모터, 직동변환 어셈블리(타이밍벨트, LM가이드, 볼스크류 및 볼스크류축)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and a second driving unit so that the stage head can move in two dimensions in a horizontal plane. Furthermore, the driving unit is for moving the stage head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into a linear motion, and includes a motor driver, a driving motor, and a linear motion conversion assembly (timing belt, LM guide, ball screw and ball screw shaft).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한편, 상기 변위신호 입력부는 2차원 위치 센서 또는 음성 인식 센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변위신호 입력부는 상기 핀 매트릭스 상부에 놓여진 오브젝트의 프리젠스(presence), 움직임(motion) 및 깊이(depth)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위신호를 검출하는 오브젝트 인식 센서로 구비되어, 상기 오브젝트 인식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 헤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브젝트 인식 센서는 적외선(Ir) 카메라, 열 적외선 카메라, 심도 카메라 어셈블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displacement signal input un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a two-dimensional position sensor or a voice recognition sensor. Alternatively, the displacement signal input unit may be provided as an object recognition sensor that detects at least one displacement signal selected from the presence, motion, and depth of an object placed on the pin matrix. The movement of the stage head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detected by a recognition sensor. Preferably,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an infrared (Ir) camera, a thermal infrared camera, and a depth camera assembly.

한편, 상기 핀과 상기 리니어캠 사이에는 마찰감소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찰감소수단으로서 적정한 신축성이 있는 스판덱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riction reducing means between the pin and the linear cam, it is preferable to use a spandex having a suitable elasticity as the friction reducing means.

상기 리니어캠은 몰(mole)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리니어캠의 하면과 상기 스테이지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니엄캠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Preferably, the linear cam has a mole shape, and in order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linear cam and the stage, the linear cam may include at least one ball bearing.

또한, 상기 핀은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다른 형상의 유닛 또는 일정 면적을 차지하는 블록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핀 매트릭스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핀의 단면은 육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in is provided to be replaced so that it can be replaced by a unit having a different shape or a block occupying a predetermined area, the user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 matrix can be variously changed, cross section of the pi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hexagon.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는, (i)복수의 핀들 밑에 위치한 몰형상의 리니어캠에 의해 핀들을 밀어올리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복잡한 액츄에이터가 구비되지 않아도 3차원적인 표면을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는 달리 액츄에이터의 개수에 구애받지 않고도, 핀과 같은 단위유닛의 해상도(밀도)를 높일 수 있어서 보다 스무드하고 빠른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ii)착탈 가능한 핀 또는 추가 유닛 등을 스테이지에 세워두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놀이방법이나 유닛을 고안하여 스테이지에 끼우고 조합함으로써 자기만의 독창적인 놀이공간을 만들 수 있고,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iii)오브젝트 인식 센서(예: Microsoft Kinect) 등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3차원적인 표면이 움직임으로써 마치 살아있는 두더지와 같은 아날로그적인 유희감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는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게임 플랫폼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리니어캠의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어 자석을 활용하는 추가 유닛을 이용한 놀이기구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The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the linear c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ins are pushed up by a mole linear cam positioned under a plurality of pins, thereby forming a three-dimensional surface without a separate complicated actuator. You can. Therefore, unlike the prior art, regardless of the number of actuators, the resolution (density) of the unit unit, such as a pin can be increased to achieve smoother and faster movement.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duction is easy and the production cost is low. (ii) Removable pins or additional units are placed on the stage, allowing users to create their own unique play space by devising and combining various play methods or units and putting them on the stage. Can promote attitudes. (iii) In case of using object recognition sensor (such as Microsoft Kinect),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can be moved by user's interaction, so it can deliver analogous amusement like a live mole. It can be applied. In addition, the magnet is provided inside the linear cam can be used as a play equipment using an additional unit utilizing the magnet.

도 1은 개별적인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종래의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인식 센서 및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인식 센서 및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의 구성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유닛을 추가하는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놀이 기구로서의 실시예 중 과일 따기(Fruits Picking)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놀이 기구로서의 실시예 중 회전 플래그(Rotating flag)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놀이 기구로서의 실시예 중 미로 찾기(Hexagonal maze)를 나타내는 참고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individual actuators.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n object recognition sensor and a linear cam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n object recognition sensor and a linear c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adding various units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fruit picking (Fruits Picking) of the embodiment as various ri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rotating flag among embodiments as various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maze (Hexagonal maze) of the embodiment as various ri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bu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개별적인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종래의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단위 유닛을 이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액츄에이터(actuator)가 밀어 올리거나 당김으로써 표면을 변형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액츄에이터로서는 공압식 피스톤(US 7,277,080), 솔레노이드 어레이(KR 2009-0103984), 압전소자 등을 이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히, 미국 등록특허 제7,277,080호에서는 금속 삼각판으로 이루어진 스크린 하부에 공압식 피스톤과 연결 노드 등의 액츄에이터 어레이를 유닛의 수만큼 구비하여 다이나믹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고 있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individual actuators.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variable surface display uses a method of deforming a surface by pushing or pulling a plurality of unit unit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ctuators, respectively. As the actuator, a technique using a pneumatic piston (US 7,277,080), a solenoid array (KR 2009-0103984), a piezoelectric element or the like is known. In particular, U.S. Patent No. 7,277,080 has a dynamic display by providing an array of actuators such as a pneumatic piston and a connection nod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formed of a metal triangle plate.

그러나 상기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방식은 단위 유닛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위 유닛의 개수만큼 다수의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어서, 제작의 어려움, 비용증가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와의 결합으로 인해 착탈이 용이하지 않고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요소가 결여되어 인터랙티브 요소가 적다는 한계가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actuator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plurality of actuators need to be installed as many as the number of unit units in order to increase the density of the unit unit, thus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increase the cost. In addition, due to the coupling with the actuator is not easy to remove and there is a limit that there is little interactive element due to the lack of interaction elements with the user.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액츄에이터가 개별적으로 단위 유닛과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몰(mole) 형상의 리니어캠(700)에 의해 3차원적으로 물리적 변형된 표면(940)을 형성할 수 있으며, 교체 가능한 핀(920, 960)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놀이매체 등으로 확장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를 개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plurality of actuators are not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unit unit, it is possible to form a three-dimensional physically deformed surface 940 by the linear cam 700 having a mole shape, and replaceable pins ( Disclosed is 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that can be extended to various play media and the like and interacts with a user by using 920 and 96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의 핀(920)들로 이루어진 핀 매트릭스(900)의 하단과 스테이지(600) 사이에 몰(mole) 형상의 리니어캠(linear cam)(700)이 위치하고 있다.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2A and 2B, a mole shape is formed between a stage 600 and a lower end of a fin matrix 900 formed of a plurality of fins 920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linear cam 700 is located.

사용자에 의한 변위신호 입력에 따라 스테이지 헤드(500)가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되면 자석력에 의해 동기화된 리니어캠(700)이 함께 움직이게 되고, 상기 리니어캠(700)의 이동 방향면이 P2 부위에 있는 핀들을 중력 반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승시킨다. 이어서, 상기 리니어캠(700)이 좀더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밀어올려졌던 핀들이 상기 리니어캠(700)의 이동방향의 반대 방향면인 P1 부위에서는 중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내려오면서 마치 땅속에 있는 두더지(mole)가 땅속에서 이동하는 것과 같은 시각적인 감각을 전달하게 된다.
When the stage head 500 moves to the right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signal input by the user, the linear cam 700 synchronized by the magnetic force moves together, and the moving direction surface of the linear cam 700 is located at P 2 . The pins are raised sequentially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gravity. Subsequently, as the linear cam 700 moves further to the right, the pins pushed up are sequentially descended by gravity in the P 1 portion, which is a surface opposite to the linear cam 700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and the mole in the ground It conveys a visual sense as the mole moves in the ground.

한편, 상기 다수의 핀(920)들은 소정 높이를 가진 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육각형 단면을 가진 육각핀이 좋다. 또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서로 밀집하여 핀 매트릭스(9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종래의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다수의 액츄에이터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상기 핀(920)들의 밀도(또는 해상도)를 높일 수 있어서 부드러운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pins 920 may be made of a pi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preferably a hexagon pin hav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pin matrix 900 may be formed by densifying each other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mber. Unlike a conventional variable surface display, even if a plurality of actuators are not provided, the pins 920 may have a high density (or resolution), thereby providing smooth movement.

상기 핀 매트릭스(900)의 하부에는 리니어캠(700)이 위치해 있으며, 상기 리니어캠(700)은 2차원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스테이지(600) 위에 놓여져 있다. 상기 리니어캠(700)의 형상은 최외곽 단부가 상기 핀(920)들의 하단부로 침투될 수 있도록 몰(mole)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linear cam 700 is positioned below the pin matrix 900, and the linear cam 700 is placed on a stage 600 that can move in two dimensions. The shape of the linear cam 700 is preferably provided in a mole shape so that the outermost end can penetrate into the lower ends of the pins 920.

본 발명의 리니어캠(700)은 2차원적인 수평운동(horizontal movement)을 상기 핀(920)들의 연직운동(vertical movement)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지칭하지만, 상기 리니어캠(700)이 수직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수직운동을 상기 핀(920)들에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는 용어이다. 예를 들어, 상기 리니어캠(700)이 가변적으로 높이나 형상이 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면,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없더라도 상기 리니어캠의 수직방향의 위치변화로도 상기 핀(920)들에 물리적인 움직임을 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linear cam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converting a two-dimensional horizontal movement into a vertical movement of the pins 920. However, when the linear cam 700 moves vertically, A term that may include transmitting a vertical motion to the pins 920. For example, if the linear cam 7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or shape is variable,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pins 920 may be caused by the vertical position change of the linear cam even if there is no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means you can pass it.

상기 핀(920)들과 상기 리니어캠(700)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스택(stack)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핀(920) 및 상기 리니어캠(700)의 형상이나 크기 등을 달리하여 교체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교체가능한 추가 유닛으로 다양한 놀이 매체로 활용할 수도 있다(이에 대해서는 후술)
Since the pins 920 and the linear cam 700 are stacked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mber, the pins 920 and the linear cam 700 may be replaced by changing shapes or sizes of the pins 920 and the linear cam 700. You may. In addition, the user can be used as a variety of play medium as an additional unit that can be replac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스테이지(600) 위에 놓인 상기 리니어캠(700)을 수평방향으로 동기화하여 움직이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기력(magnetic force)을 이용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리니어캠(700)의 내부에는 제1마그네틱(74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리니어캠(700)의 하부에 대향 위치하며 소정 거리 이격된 스테이지 헤드(500) 역시 제2마그네틱(540)을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 헤드(500)와 상기 리니어캠(700)이 자기력에 의해 동기화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마그네틱(740) 및 제2마그네틱(540)으로서 네오디뮴(Nd) 자석을 이용하였다. 상기 스테이지 헤드(500)를 구동하는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 magnetic force may be used as a means for moving the linear cam 700 placed on the stage 600 in synchronization with the horizontal direction. In more detail, a first magnetic 740 is provided inside the linear cam 700, and a stage head 500 positioned below the linear cam 700 an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s also a second magnetic. 540, the stage head 500 and the linear cam 700 may realize a synchronized movement by magnetic for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odymium (Nd) magnets are used as the first magnetic 740 and the second magnetic 540. A method of driving the stage head 5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1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10)의 결합 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surface display 10 using the linear c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surface display 10 using a linear c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10) 장치는: 복수의 핀(920)으로 이루어진 핀 매트릭스(900)와; 상기 핀 매트릭스(900)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제1마그네틱(740)이 구비되는 리니어캠(700)과; 상기 핀 매트릭스(900)를 수납하고 상기 리니어캠(700)이 이동하기 위한 스테이지(600)와; 상기 스테이지(600)의 하측에서 상기 리니어캠(70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대향 위치하며 제2마그네틱(540)이 구비되는 스테이지 헤드(500)와; 상기 스테이지 헤드(500)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스테이지 헤드(5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00)와; 상기 구동부(300)를 고정하고 상기 스테이지(600)를 지지하는 하우징(400)과; 상기 스테이지 헤드(500) 및 상기 리니어캠(700)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변위신호 입력부(100); 및 상기 변위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테이지 헤드(5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변환정보로 처리하고, 상기 구동부(300)에 송신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리니어캠(700)은 상기 스테이지 헤드(500)의 이동에 따라 자석력이 작용하여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리니어캠(700)의 형상에 의해 진입시 상기 핀(920)들을 수직방향으로 밀어올리거나 이탈시 중력에 의해 상기 핀(920)들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3, a device for a variable surface display 10 using a linear c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n matrix 900 including a plurality of pins 920; A linear cam 700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pin matrix 900 and provided with a first magnetic 740; A stage (600) for receiving the pin matrix (900) and for moving the linear cam (700); A stage head 500 disposed below the stage 600 and spaced apart from the linear cam 7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ovided with a second magnetic 540; A driving unit 300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stage head 500 to move the stage head 500; A housing 400 for fixing the driving part 300 and supporting the stage 600; A displacement signal input unit (100) for changing positions of the stage head (500) and the linear cam (700); And a signal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displacement signal and processing the converted information for driving the stage head 500,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information to the driving unit 300, wherein the linear cam 700 includes the stage head ( Magnetic force acts as the movement of the 500 moves together, while the pins 920 are pus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shape of the linear cam 700 or the pins 920 are moved by gravity when they are separated. It is characterized by returning to.

상기 핀(920)의 단면은 바람직하게는 육각형(hexagon) 모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 육각형 단면을 형성하는 경우, 허니코움(honnycomb) 구조의 핀 매트릭스(900)를 구성하여 보다 견고하면서도 최적의 공간을 만들 수 있다. 핀의 단면모양에 크게 제약을 받는 것은 아니지만, 정삼각형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는 재료가 보다 많이 들어 가고, 정사각형 구조는 정육각형 구조에 비해 핀(920)들이 뒤틀리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상기 핀(920)의 내부는 채워져 있는 것도 가능하지만, 전체 구조의 경량화를 위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핀(920)들의 최대 길이는 제한이 없지만, 지나치게 길이가 짧은 경우, 리니어캠(700)의 형상 및 상기 리니어캠(700)과의 상대적인 높이차에 의해 상기 핀이 빠질 수도 있으므로 적정한 길이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ross section of the pin 920 may be preferably provided in a hexagonal shape. When forming the hexagonal cross-sec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fin matrix 900 of the honeycomb (honnycomb) structure to create a more robust and optimal space. Although not limite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in, the use of the equilateral triangle structure is more material, the square structure may be more likely to be the case that the pins 920 twist than the regular hexagonal structure. Although the inside of the pin 920 may be filled, it is preferable to use a pin having a hollow portion therein to reduce the overall weight of the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maximum length of the pins 920 is not limited, but if the length is too short, the appropriate length because the pin may be pulled out by the shape of the linear cam 700 and the relative height difference with the linear cam 700. It is preferable to adjust to.

상기 핀(920)들은 스테이지(600)에 수직으로 세워진다. 상기 스테이지(600)는 상기 핀 매트릭스(900)를 수납하고 상기 리니어캠(700)이 이동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테이지(600)는 도 3과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620), 스테이지 커버(640) 및 커버 프레임(642)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러한 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하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pins 920 are erected perpendicular to the stage 600. The stage 600 accommodates the pin matrix 900 and moves the linear cam 700. The stage 600 may be formed of the base plate 620, the stage cover 640 and the cover frame 642 as shown in FIG. 3, but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f the action and effect are the same. Of course.

상기 리니어캠(700)이 놓여지게 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베이클라이트 합판을 이용하였지만,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리니어캠(700)과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재료의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base plate 620 on which the linear cam 700 is to be placed uses bakelite plywoo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affected by magnetic force and can reduce frictional force with the linear cam 700. Of course, it is possible to use a variety of materials.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20)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스테이지 커버(640)와 상기 스테이지 커버(64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핀 매트릭스(900)의 최외곽을 둘러싸는 커버 프레임(642)이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지 커버(640)의 개구부 및 상기 커버 프레임(642)에 의해 형성된 중공부에 다수의 핀(920)들이 세워짐으로써 상기 핀 매트릭스(900)가 구비된다.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620 is provided with a stage cover 640 having an opening, and a cover frame 642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tage cover 640 and surrounding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pin matrix 900. The pin matrix 900 is provided by a plurality of pins 920 standing in the opening formed in the stage cover 640 and the hollow formed by the cover frame 642.

상기 리니어캠(700)과 상기 핀 매트릭스(900) 사이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마찰감소수단(8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니어캠(700)의 이동방향의 일측 단부가 상기 핀(920)들의 하단부를 침투하면서 중력 반대 방향으로 밀어올리는 과정에서 마찰력이 발생되므로, 상기 핀(920)들의 하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핀(920)들과 상기 리니어캠(700) 사이의 마찰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적당한 신축성(elasticity, flexibility, stretchable)이 있는 재질, 바람직하게는 스판덱스(spandex)(820)와 같은 마찰감소수단(800)이 게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감소수단(800)은 팽팽하게 당겨진 후 상기 스테이지 커버(640)와 결합된 상기 커버 프레임(642)의 외측면에 공지의 너트,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Preferably between the linear cam 700 and the pin matrix 900, friction reducing means 800 that can reduce the friction force is further provided. Since one end of the linear cam 700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gravity while penetrating the lower ends of the pins 920, the lower ends of the pins 920 are provided in a round shape.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reduce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pins 920 and the linear cam 700, a material having moderate elasticity, flexibility, and stretchable friction, such as spandex 820, is preferably used. Preferably, the means 800 is published. The friction reducing means 800 may be secured by a fastener such as a nut, a bolt, and the lik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frame 642 coupled to the stage cover 640 after being pulled taut.

상기 리니어캠(700)은 바람직하게는 몰(mole)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리니어캠(700)의 최외곽 단부에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종방향으로는 도 2와 같은 단면 형상을 취하며, 횡방향으로는 모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원형 단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테이지 헤드(500)와의 자기력 생성을 위하여 네오디뮴 자석과 같은 제1마그네틱(740)(자성체)을 내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리니어캠(70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베어링(760)(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20)와의 마찰력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inear cam 700 is preferably provided in a mole shape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outermost end of the linear cam 700 toward the center. It takes a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eferably a circular cross section in consideration of being able to move in all directions in the lateral direction. In addition, a first magnetic 740 (magnetic material) such as a neodymium magnet may be embedded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with the stage head 500. Furthermore, the lower portion of the linear cam 7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t least one ball bearing 760 (not shown) to reduce friction with the base plate 620.

스테이지 헤드(500)는 상기 스테이지(600)의 하측에서 상기 리니어캠(70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대향 위치하며 헤드 바디(520)에 제2마그네틱(540)이 내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600)의 단면 형상 및 크기는 상기 리니어캠(700)과 비교하여 적정한 것으로 정해지며, 상기 리니어캠(700)을 동기화하여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자기력을 지닌 마그네틱이 내장된다.
The stage head 50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inear cam 700 at a lower side of the stage 60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inear cam 700 by a second magnetic 540 in the head body 520.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size of the stage 600 is determined to be appropriate in comparison with the linear cam 700, and a magnetic having a magnetic force capable of moving the linear cam 700 in synchronization is embedded.

상기 스테이지 헤드(500)는 소정 공간 내를 움직이도록 하는 구동부(300)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스테이지 헤드(500)를 지면을 기준으로 XY축 2차원 방향 또는 XYZ축 3차원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 3에서는 XY축 2차원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300)로서 스테퍼 모터 및 직선운동(Linear Motion) 변환 어셈블리(이하, ‘직동변환 어셈블리’)를 이용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The stage head 500 may be coupled to the driving unit 300 to move within a predetermined space. The driving unit 300 may employ a known technique to move the stage head 500 in the XY axis two-dimensional direction or XYZ axis three-dimensi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However, in FIG. 3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per motor and a linear motion conversion assemb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rect conversion assembly') are used as the driving unit 300 capable of horizontally moving in the XY-axis two-dimensional direction. The used example is show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스테이지 헤드(500)를 제1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제1구동부(300a)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제2구동부(3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300a) 및 제2구동부(300b)는 모터 드라이버(320), 구동 모터(340) 및 직동변환 어셈블리(360)를 포함하여 이루질 수 있다. 상기 모터 드라이버(320)는 후술할 신호 제어부(200)로부터의 명령을 수신받아 구동 모터(34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driving part 300 includes a first driving part 300a for moving the stage head 500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riving part for mov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300b may be included. The first driving unit 300a and the second driving unit 300b may include a motor driver 320, a driving motor 340, and a linear motion conversion assembly 360. The motor driver 320 receives a command from the signal controller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driving motor 340.

상기 구동 모터(340)는 서보 모터 (servo motor) 또는 스테퍼 모터(stepper moto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340)의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직동 변환 어셈블리(3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직동 변환 어셈블리(360)는 기어, 타이밍 벨트(361), 볼스크류축(364), LM 가이드(368), 볼스크류(366)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340)와 상기 직동 변환 어셈블리(360)는 하우징 프레임(420)에 체결된 플랜지(36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The drive motor 340 may use a servo motor or a stepper motor, and the linear motion conversion assembly 360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e motor 340 into a linear motion may be provided. It may be provided. The linear motion conversion assembly 360 may include a gear, a timing belt 361, a ball screw shaft 364, an LM guide 368, a ball screw 366, and the like. The drive motor 340 and the linear motion conversion assembly 360 may be fixed by a flange 362 fastened to the housing frame 42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구동부(300a)의 볼스크류(366) 상부에 제2구동부(300b)의 상기 직동 변환 어셈블리(360)의 하단이 고정 결합됨으로써 2차원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하부에 놓인 상기 제1구동부(300a)는 하우징(400)에 고정 결합시키며, 상부에 놓인 상기 제2구동부(300b)의 상기 구동 모터(340)와 상기 직동 변환 어셈블리(360)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400)의 상부 프레임에 결합된 플랜지(362)로 결합시키고, 상기 직동 변환 어셈블리(360)의 양단 하부에는 각각 관통홀이 뚫린 연결블럭(384)과 가이드축(382)이 구비되어 좌우측으로 쏠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축(382)은 상기 하우징(400)과 가이드축 결합구(38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linear motion conversion assembly 360 of the second driving part 300b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ll screw 366 of the first driving part 300a to enable two-dimensional movement. Preferably, the first driving part 300a disposed below is fixedly coupled to the housing 400, and one end of the driving motor 340 and the linear conversion assembly 360 of the second driving part 300b disposed above. Is coupled to the flange 362 coupled to the upper frame of the housing 400, and the connecting block 384 and the guide shaft 382 through which the through holes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linear motion conversion assembly 360, respectively.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move stably without tilting to the left and right. The guide shaft 382 may be fixed by the housing 400 and the guide shaft coupler 386.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캠(700)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변위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 헤드(500)가 움직이게 된다. 상기 변위신호 입력부(100)는 공지의 마우스, 2차원 위치센서(120)를 이용하는 조이스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In the variable surfac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linear cam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ge head 500 moves according to a displacement signal input. The displacement signal input unit 100 may use a known mouse, a joystick using the two-dimensional position sensor 120, and the like.

또한, 상기 변위신호 입력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인식 센서를 구비하고 특정 음성 명령 DB와 연동하여 단순한 명령들에 대해 반응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뱅글뱅글’ 이라는 음성에 반응하여 상기 스테이지 헤드(500)를 원운동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복수의 음성 인식 센서를 설치하는 경우, 음성의 크기나 음성이 들려오는 방향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스테이지 헤드(500)의 움직임을 제어할 변환정보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리와’라는 음성에 반응하여 음성이 들리는 쪽으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displacement signal input unit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voice recognition sensor and may respond to simple commands in association with a specific voice command DB. For example, the stage head 500 may be circularly moved in response to a voice of bangle bangles. Alternatively, when a plurality of speech recognition sensors are provided, the speech information may be used as conversion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tage head 500 by calculating the magnitude of the speech 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eech is heard.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oward the voice in response to the voice “come here”.

상기 변위신호 입력부(100)를 통해 보내어진 변위신호는 신호제어부(200)에 의해 컨트롤 된다. 상기 신호제어부(200)는 상기 변위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220), 수신된 변위신호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 변환정보로 계산하는 신호처리모듈(240) 및 처리된 변환정보(회전수값)를 상기 모터 드라이버(320)로 송신하는 신호송신모듈(260)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The displacement signal sent through the displacement signal input unit 100 is controlled by the signal controller 200. The signal controller 200 is a signal receiving module 220 for receiving the displacement signal, a signal processing module 240 for calculating the received displacement signal as the rotation speed conversion information of the drive motor and the processed conversion information (speed value) ) May be provided including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260 for transmitting to the motor driver 32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신호제어부(200)의 상기 신호수신모듈(220) 및 신호송신모듈(260)로서 피젯키트(Phidget , http://www.phidgets.com)를 사용하였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서 프로세싱(Processing, http://processing.org) 저작툴을 이용하였으며, 컴퓨터(242)를 상기 신호처리모듈(240)로서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신호제어부(200)에서 송신된 변환정보(회전수)는 상기 모터 드라이버(320)로 보내어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스테퍼 모터를 제어하는 Phidget stepper controller를 사용하였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receiving module 220 and the signal transmitting module 260 of the signal controller 200 use a pidget kit (Phidget, http://www.phidgets.com), and controlling the same. Processing (http://processing.org) authoring tool was used as the software for the computer, and the computer 242 was used as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40. In addition, the conversion information (number of revolution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controller 200 is sent to the motor driver 32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hidget stepp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each stepper motor is used.

한편, 상기 신호제어부(200), 모터 드라이버(320) 및 파워 서플라이(350) 등을 수납하며 상기 구동부(300)를 지지하는 하우징(400)이 상기 스테이지(600)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400)은 하우징 프레임(420)에 의해 육방체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한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다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신호제어부의 일부로 사용되는 컴퓨터(242)는 외부에 위치시킬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400)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도 있으나 도 3에서는 외부에 이격시킨 예를 도시하였다.  Meanwhile, a housing 400 for receiving the signal controller 200, the motor driver 320, the power supply 350, and the like and supporting the driver 300 is provided below the stage 600. The housing 400 may be provided in a hexagonal shape by the housing frame 420,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long as the above operation and effect are the same. The computer 242 used as part of the signal control unit may be located outside or inside the housing 400, but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캠(700)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10)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핀(920)들과 상기 리니어캠(700)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스택(stack)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핀(920)들을 용이하게 다른 추가 유닛(960)으로 교체할 수 있다. 실제 실시예에서는 육각핀 약 15,000개를 세워서 핀 매트릭스(900)를 구성하였으나, 도 4에서는 핀의 수를 축약하여 도시하였다.
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surface display 10 using the linear cam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since the pins 920 and the linear cam 700 are stacked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mber, the pins 920 are easily moved to another additional unit 960. It can be replaced. In a practical embodiment, about 15,000 hexagonal pins are erected to form a pin matrix 900, but in FIG. 4, the number of pins is abbreviat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인식 센서(140)를 변위신호 입력부(100)로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10')의 사시도이며, 도 6은 이에 따른 구성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의 대부분의 구성은 앞서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부분이 많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surface display 10 ′ using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 140 as a displacement signal input uni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and 6 have many overlapping parts as described above,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오브젝트 인식 센서(140)는 스테이지(600)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4m x 3m의 화각(view angle)을 갖도록 하고 3m 높이에 상기 오브젝트 인식 센서(140)를 설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핀(920)의 상단부에 반사성이 있는 비전도성 부재가 결합되어 있어 반사도가 있으므로 충분한 조명이 지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to 6,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 14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tage 600 by a predetermined height. For referen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 140 is installed to have a view angle of 4m x 3m and a height of 3m.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ive non-conductive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n 920, so that it is preferable that sufficient illumination is supported because of the reflectivity.

한편, 상기 오브젝트 인식 센서(140)는 스테이지(600) 상에 등장하는 오브젝트의 존재(presence), 오브젝트의 움직임(motion) 또는 심도(depth)를 감지할 수 있는 오브젝트 인식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 카메라, 위치센서, 열적외선 카메라 또는 피사체의 심도를 인식할 수 있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의 XBOX용 컨트롤러 중 하나인 키넥트(KINECT)를 이용하였는데, 키넥트는 오브젝트의 존재, 움직임, 제스쳐 인식 및 깊이감(심도) 등에 대한 신호 검출 센서와 처리 로직 및 신호송신모듈이 일체화되어 있는 공지의 기술 중 하나이다.
In the meantime,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 140 may use an object recogni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presence, the motion or the depth of the object appearing on the stage 600. For example, an infrared camera, a position sensor, a thermal infrared camera, or a time of flight (TOF) camera capable of recognizing the depth of a subject may b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Microsoft's (XBOX) controllers for XBOX is used, Kinect (KINECT) is a signal detection sensor for the presence of objects, movement, gesture recognition and depth (depth) and the like; It is one of the known techniques in which the processing logic and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are integrate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핀 매트릭스(900) 위에 손(160)을 올려놓게 되면 상기 오브젝트 인식 센서(140) 중의 하나인 키넥트가 손의 프리젠스(presence), 움직임(motion) 및 심도(depth)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프리젠스 신호란 상기 오브젝트 인식 센서(140)가 오브젝트의 존재(presence)를 인식하게 되는 신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움직임 신호 뿐만 아니라 정지 신호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검출된 신호는 처리로직을 지나면서 변위신호로 연산되어 상기 신호수신모듈(220)로 전송된다. 상기 신호수신모듈(220)은 변위신호를 신호처리모듈(240)로 보내어 상기 제1구동부(300a) 및 제2구동부(300b)의 구동모터의 적정 회전수값을 계산하게 되며, 각각의 구동모터에 송신될 회전수값은 신호송신모듈(260)로부터 상기 모터 드라이버(320)로 수행명령이 전송된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hand 160 is placed on the pin matrix 900, the kinect, which is one of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s 140, causes the presence, motion, and depth of the hand. ) Signal is detected. The presence signal refers to a signal through which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 140 recognizes the presence of an object and is defined as a concept including not only a motion signal but also a stop signal. The detected signal is calculated as a displacement signal while passing through the processing logic and transmitted to the signal receiving module 220. The signal receiving module 220 sends a displacement signal to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40 to calculate an appropriate rotational speed value of the driving motors of the first driving unit 300a and the second driving unit 300b. The rotation speed value to be transmitted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260 to the motor driver 32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신호처리모듈(240)을 외부에 위치한 컴퓨터(242)에서 프로세싱(Processing, http://processign.org)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며, 상기 오브젝트 인식 센서(140)와 상기 모터 드라이버(320) 및 상기 신호처리모듈(240)과의 통신을 위하여 신호수신모듈(260), 신호송신모듈(260)로서 Phidget 키트를 사용하였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40 is configured by using a processing (Processing, http://processign.org) program in a computer 242 located outside,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 140 and the motor Phidget kit was used as the signal receiving module 260 and the signal transmitting module 260 to communicate with the driver 320 and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40.

한편, 오브젝트의 프리젠스(presence), 움직임(motion), 깊이(depth)에 대한 변위신호는 상기 신호처리모듈(240)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가 상기 스테이지(600)에 등장하는 경우, 몰형상의 표면(940)이 오브젝트를 단순히 따라 다니도록 처리할 수도 있고, 오브젝트의 깊이값에 따라 움직이는 속도를 변화시킨다거나, 둘 이상의 오브젝트가 등장하는 경우 갈팡질팡하는 이동경로를 지정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splacement signal for the presence (presence), motion (depth) of the object can be processed in various ways in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40. For example, when an object appears on the stage 600, the molar surface 940 may be processed to simply follow the object, vary the speed of movement according to the depth value of the object, or more than one. You can also specify a movement path that appears when an object appears.

또는, 음성인식 센서가 키넥트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여 특정한 음성 명령 DB와 연동하여 단순한 명령들에 대해 반응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뱅글뱅글’이라는 명령에 맞추어 상기 스테이지 헤드(500)를 원운동하게 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respond to simple commands in conjunction with a specific voice command DB using a voice recognition sensor built in the Kinect. For example, the stage head 500 may be circularly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bang bangl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유닛을 추가할 수 있는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놀이 기구로서의 실시예 중 과일 따기(Fruits picking)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to which various units may be added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fruit picking of an embodiment as various ri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reference figure which shows.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핀(920)들 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진 교체가능한 추가 유닛(960)이 핀 매트릭스(900)의 구성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핀 매트릭스(900)의 일부로서 나무형상의 추가 유닛(962)을 포함하되, 나무형상의 하단부는 상기 핀(920)들 사이의 공간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육각핀 단면을 갖도록 하였다. 한편, 추가 유닛(960)은 반드시 육각형 단면 구조일 필요는 없다. 소정 개수의 상기 핀(920)들을 들추어낸 빈 공간에 다양한 모양의 블록(960)을 대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in addition to the pins 920, a replaceable additional unit 960 having various shapes may be used as a component of the pin matrix 90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ooden additional unit 962 as a part of the pin matrix 900, the lower end of the tree-shaped hexagonal pin cross-section so as to fit in the space between the pins 920 To have it. On the other hand, the additional unit 960 need not necessarily have a hexagonal cross-sectional structure. The various shapes of blocks 960 may be replaced with empty spaces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of pins 920 are lifted out.

또한, 상기 리니어캠(700)의 내부에는 네오디뮴과 같은 자성체가 있는 것을 활용하여 자기력을 이용한 놀이기구로 활용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자성체가 내장된 구 형상의 열매(964)가 자성체가 내장된 나무형상의 핀(962)에 소정 자기력에 의해 달라붙어 있다가 상기 리니어캠(700)이 지나가는 경우, 상기 리니어캠(700)의 소정의 자석력에 의해 상기 구 형상의 열매(964)들을 떼어내어 몰고 다닐 수 있는 놀이 구성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리니어캠(700)에 내장된 제1마그네틱(740)의 자기력이 상기 나무형상의 핀(962)에 내장된 자성체의 소정 자기력 보다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inear cam 700 may be used as a play equipment using magnetic force by using a magnetic material such as neodymium. Referring to FIGS. 7 and 8, when the spherical fruit 964 in which a magnetic body is embedded is stuck to a tree-shaped pin 962 in which the magnetic body is embedded by a predetermined magnetic force, the linear cam 700 passes. In addition, the play configuration capable of removing and driving the spherical fruit 964 by a predetermined magnetic force of the linear cam 700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ic 740 embedded in the linear cam 700 may b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material embedded in the tree pin 962.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놀이 기구로서의 실시예 중 회전 플래그(rotating flag)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중공부가 형성된 육각핀에 L자 모양의 회전 플래그(966)의 하단부가 내삽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플래그(966)의 상단부에 자성체(968)가 구비된다. 상기 리니어캠(700)이 상기 자성체가 달린 플래그(966)에 근접함에 따라 상기 리니어캠(700)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자기력을 이용한 놀이 기구로 활용할 수 있다.
FIG. 9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rotating flag among embodiments as various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the lower end of the L-shaped rotating flag 966 is inserted into the hexagonal pin on which the hollow part is formed to be rotatable, and a magnetic material 968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lag 966. As the linear cam 700 approaches the flag 966 with the magnetic material, the linear cam 700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linear cam 700 to be used as a play equipment using magnetic forc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놀이 기구로서의 실시예 중 미로찾기(Hexagonal maze)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미로를 구성하는 추가 유닛(960)들을 상기 핀(920)들을 대체하여 세움으로써 미로를 구성할 수 있고, 공을 몰아서 목표 위치에 도달시키는 게임이다.
10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maze (Hexagonal maze) of the embodiment as various ri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a maze may be formed by setting up additional units 960 constituting a maze by replacing the pins 920 and driving a ball to reach a target posi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 장치
100 : 신호 입력부
120 : 2차원 위치 센서 140 : 오브젝트 인식 센서
200 : 신호 제어부
220 : 신호 수신 모듈 240 : 신호 처리 모듈
260 : 신호 송신 모듈
300 : 구동부
300a : 제 1 구동부 300b : 제 2 구동부
320 : 모터 드라이버 340 : 구동 모터
350 : 파워서플라이
360 : 직동(Linear Motion) 변환 어셈블리
361 : 타이밍 벨트 362 : 플랜지
364 : 볼스크류축 366 : 볼스크류
368 : LM 가이드 380 : 가이드 부재
400 : 하우징
500 : 스테이지 헤드
520 : 헤드 바디 540 : 제 2 마그네틱
600 : 스테이지
620 : 베이스 플레이트 640 : 스테이지 커버
642 : 커버 프레임
700 : 리니어캠
720 : 몰형상(mole shaped) 몸체
740 : 제 1 마그네틱
800 : 마찰감소수단
900 : 핀 매트릭스
920 : 핀 940 : 변형된 몰형상의 표면
960 : 교체가능한 추가 유닛
10' : 오브젝트 인식 센서 및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 장치
10 : variable surface display device
100: signal input unit
120: two-dimensional position sensor 140: object recognition sensor
200: signal controller
220: signal receiving module 240: signal processing module
260: signal transmission module
300 drive unit
300a: first drive unit 300b: second drive unit
320: motor driver 340: drive motor
350: power supply
360: Linear Motion Conversion Assemblies
361: timing belt 362: flange
364 ball screw shaft 366 ball screw
368: LM guide 380: guide member
400: housing
500: stage head
520: head body 540: second magnetic
600: stage
620: base plate 640: stage cover
642: Cover Frame
700: Linear Cam
720: mole shaped body
740: the first magnetic
800: friction reducing means
900: pin matrix
920: pin 940: modified molar surface
960 replaceable additional units
10 ': Variable surface display device using object recognition sensor and linear cam

Claims (14)

복수의 핀으로 이루어진 핀 매트릭스와; 상기 핀 매트릭스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제1마그네틱이 구비되는 리니어캠과; 상기 핀 매트릭스를 수납하고 상기 리니어캠이 이동하기 위한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리니어캠과 대향 위치하며, 제2마그네틱이 구비되는 스테이지 헤드와; 상기 스테이지 헤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스테이지 헤드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변위신호를 입력하는 변위신호 입력부; 및 상기 변위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테이지 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변환정보로 처리하고, 상기 구동부에 송신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리니어캠은 상기 스테이지 헤드의 이동에 따라 자석력이 작용하여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리니어캠이 상기 핀들의 하단부에 진입시 상기 핀들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이탈시 중력에 의해 상기 핀들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변위신호 입력부는 상기 핀 매트릭스 상부에 놓여진 오브젝트의 프리젠스(presence), 움직임(motion) 및 심도(depth)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위신호를 검출하는 오브젝트 인식 센서로 구비되어, 상기 오브젝트 인식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변위신호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 헤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
A pin matrix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ins; A linear cam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pin matrix and provided with a first magnetic; A stage for receiving the pin matrix and for moving the linear cam; A stage head spaced apart from a lower end of the stag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acing the linear cam, and having a second magnetic;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stage head; A displacement signal input unit for inputting a displacement signal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tage head; And a signal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displacement signal, processing the converted information for driving the stage head,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information to the driving unit.
The linear cam moves with the magnetic for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age head and moves together while the linear cam raises the pins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linear cam enters the lower end of the pins, or the pins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due to gravity when the linear cam moves out. and,
The displacement signal input unit is provided as an object recognition sensor that detects at least one displacement signal selected from the presence, motion, and depth of an object placed on the pin matrix. 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tage head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cement signal detected by th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테이지 헤드가 2차원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is 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ge head comprises a first driver and a second driver to enable two-dimensional mov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스테이지 헤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터드라이버, 구동모터, 직동변환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driver, a driving motor, and a linear conversion assembly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into a linear motion to move the stage hea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인식 센서는 적외선(Ir) 카메라 또는 열 적외선 카메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 is 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an infrared (Ir) camera or a thermal infrared camer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인식 센서는 카메라 렌즈를 통해 이미지 및 심도(depth)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정해진 심도 인식 모듈, 이미지 모듈 및 처리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심도 카메라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 is a depth camera assembly comprising a depth recognition module, an image module and processing logic arranged to receive image and depth data through a camera le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과 상기 리니어캠 사이에 마찰감소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
The method of claim 1,
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further comprising a friction reducing means between the pin and the linear cam.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감소수단은 스판덱스를 재질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
The method of claim 8,
The friction reducing means is 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characterized in that using the spandex as the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캠은 몰 형상(mole-sha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linear cam is 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characterized in that the (mole-shap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캠의 하면과 상기 스테이지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니어캠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
11. The method of claim 10,
At least one ball bearing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near cam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linear cam and the st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단면은 육각형(hexag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
The method of claim 1,
Cross section of the pin is a hexagonal (hexagon)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다른 형상의 유닛 또는 일정 면적을 차지하는 블록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핀 매트릭스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pin is provided to be replaceable, so that the user can change the pin matrix in a variety of ways by replacing the unit of a different shape or a block occupying a certain are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복수의 핀으로 이루어진 핀 매트릭스와; 상기 핀 매트릭스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제1마그네틱이 구비되는 리니어캠과; 상기 핀 매트릭스를 수납하고 상기 리니어캠이 이동하기 위한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리니어캠과 대향 위치하며, 제2마그네틱이 구비되는 스테이지 헤드와; 상기 스테이지 헤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스테이지 헤드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변위신호를 입력하는 변위신호 입력부; 및 상기 변위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테이지 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변환정보로 처리하고, 상기 구동부에 송신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리니어캠은 상기 스테이지 헤드의 이동에 따라 자석력이 작용하여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리니어캠이 상기 핀들의 하단부에 진입시 상기 핀들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이탈시 중력에 의해 상기 핀들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변위신호 입력부는 2차원 위치 센서 또는 음성 인식 센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비되며,

상기 핀은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다른 형상의 유닛 또는 일정 면적을 차지하는 블록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핀 매트릭스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캠을 이용하는 가변형 표면 디스플레이.
A pin matrix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ins; A linear cam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pin matrix and provided with a first magnetic; A stage for receiving the pin matrix and for moving the linear cam; A stage head spaced apart from a lower end of the stag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acing the linear cam, and having a second magnetic;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stage head; A displacement signal input unit for inputting a displacement signal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tage head; And a signal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displacement signal, processing the converted information for driving the stage head,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information to the driving unit.
The linear cam moves with the magnetic for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age head and moves together while the linear cam raises the pins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linear cam enters the lower end of the pins, or the pins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due to gravity when the linear cam moves out. and,
The displacement signal input unit is provided with any one selected from a two-dimensional position sensor or a voice recognition sensor,

The pin is provided to be replaceable, so that the user can change the pin matrix in a variety of ways by replacing the unit of a different shape or a block occupying a certain area, variable surface display using a linear cam.
KR1020110067811A 2011-07-08 2011-07-08 deformable surface display using linear cam KR1012460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811A KR101246083B1 (en) 2011-07-08 2011-07-08 deformable surface display using linear c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811A KR101246083B1 (en) 2011-07-08 2011-07-08 deformable surface display using linear c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27A KR20130006027A (en) 2013-01-16
KR101246083B1 true KR101246083B1 (en) 2013-03-21

Family

ID=47837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811A KR101246083B1 (en) 2011-07-08 2011-07-08 deformable surface display using linear c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08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1622A (en) * 1996-05-22 1997-12-02 Ricoh Co Ltd Display device
KR20090103984A (en) * 2009-09-14 2009-10-05 이정열 Scan type tactile display composed of solenoid arr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1622A (en) * 1996-05-22 1997-12-02 Ricoh Co Ltd Display device
KR20090103984A (en) * 2009-09-14 2009-10-05 이정열 Scan type tactile display composed of solenoid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27A (en)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o et al. Robotic assembly of haptic proxy objects for tangible interaction and virtual reality
JP6069589B2 (en) A mobile agent that manipulates, moves, and / or changes posture of a component
RU2543406C2 (en) Object transportation over surface
CN107719498A (en) Spherical mobile robot with center of gravity transfer steering mechanism
JP2009015815A (en) Tactile feedback device
CN102681293A (en) Illuminator with refractive optical element
KR20160056834A (en) Haptic controller
US4991836A (en) Dynamic game apparatus and method using multiple magnets and a magnetic manipulator below them
JP2007003715A (en) Three dimension forming system and sand table system for same
CN101438221A (en) Image display that moves physical objects and causes tactile sensation
US9390643B2 (en) Rotatable animation devices with staggered illumination sources
KR20180092489A (en) Multi-dof motion platform
KR20170074186A (en) Haptic peripheral having a plurality of deformable membranes
US8998672B2 (en) Facial expression control device
US10537788B2 (en) Dice selection system for gaming system
KR20180133117A (en) Motion Platform with 6-DEGREE OF FREEDOM Movement and 360 Degree Infinite Rotation
KR101246083B1 (en) deformable surface display using linear cam
CN1462415A (en) Three-D reconstruction from shadows
EP1164541A3 (en) Method of expressing crowd movement in gam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12460406A (en) Laser radar human body modeling system
KR102117253B1 (en) Multi-dof motion platform
JP6782892B2 (en) 3D shape expression device
US11325025B2 (en) Method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a dice
KR101542550B1 (en) Fishing game apparutus
US9546069B2 (en) Drive for electromechanical control of 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