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020B1 -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020B1
KR101246020B1 KR1020060034433A KR20060034433A KR101246020B1 KR 101246020 B1 KR101246020 B1 KR 101246020B1 KR 1020060034433 A KR1020060034433 A KR 1020060034433A KR 20060034433 A KR20060034433 A KR 20060034433A KR 101246020 B1 KR101246020 B1 KR 101246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tion
coding scheme
broadcast message
scheme level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2791A (ko
Inventor
채헌기
정진관
양장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4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020B1/ko
Publication of KR20070102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6Code rate detection or code typ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1 구간 동안 제 1 변조 및 부호 기법(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의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2 구간 동안 제 2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즉 높은 MCS레벨의 방송메시지를 전송하는 중간에 낮은 MCS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삽입하여, 기지국의 셀 영역을 확장할 수 있고, 상기 낮은 MCS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중간에 높은 MCS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삽입하여, 상기 기지국의 셀 전송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60034433
MCS레벨, 방송 메시지, 채널 환경, 셀 전송률(Cell Throughput), 셀 영역(Cell Coverage)

Description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도 1은 일반적인 OFDM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CS레벨이 다른 방송메시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메시지의 MCS 레벨을 전환하여 전송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CS레벨 구간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CS레벨 구간에 따라 신호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Broadcasting)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방송 메시지를 채널 분포 특성에 따라 변조 및 코딩 기법(Modulation and Coding Scheme : 이하, MCS라 칭함 ) 레벨을 전환(Switching)하여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채널 분포 특성은,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정보, 단말의 분포 및 서비스 사업자의 정책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수신받아 채널 정보 및 동기를 획득하여 상기 기지국과 접속을 시도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셀 영역(Cell Coverage)에 포함되는 모든 단말들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도록 채널 정보 및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방송(Broadcasting)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방송되는 제어 메시지를 방송 메시지라 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이하, OFDM이라 칭함)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은 프리앰블(Preamble) 신호를 이용하여 물리적 동기 후, MAP 메시지를 이용하여 채널 정보를 획득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셀 영역에 포함되는 모든 단말들이 상기 MA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낮은 MCS레벨을 설정하여 방송한다.
상기 방송 메시지의 MCS레벨은, 기지국들 간의 거리와 셀 영역을 고려하여 기지국 각각의 최적화된 값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MCS 레벨은, 하기 표 1 과 같이 상기 기지국과 단말 사이 채널의 반송파대 간섭 및 잡음비(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 이하, CINR이라 칭함)를 이용하여 MCS레벨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MCS레벨 CINR
1 (QPSK 1/12) -1dB < CINR ≤ 4dB
2 (QPSK 1/8) 4dB < CINR ≤ 9dB
3 (QPSK 1/4) 9dB < CINR ≤ 13dB
4 (QPSK 1/2) 13dB < CINR ≤20dB
5 (QPSK 3/4) 20dB < CINR ≤ 22dB
.
.
.
.
.
.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특정 단말의 CINR 값이 -1dB보다 크고 4dB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변조 방식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를 사용하고 1/12의 코딩율을 사용한다.
만일, 상기 <표 1>에서 상기 방송 메시지의 MCS레벨이 4인 변조 방식을 QPSK로 가정하고, 코딩율을 1/2로 가정한 경우, 상기 기지국의 셀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들 중 채널 환경(CINR)이 13dB이상인 단말들만 상기 방송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높은 MCS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셀 영역의 외곽에 위치하여 채널 환경(CINR)이 나쁜 단말들은 상기 방송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셀 영역의 외곽에 위치하여 채널 환경이 나쁜 단말들에게도 동일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낮은 MCS레벨을 갖는 방송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상기 MCS레벨이 낮을수록 상기 기지국에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셀 영역이 넓어진다. 하지만, 낮은 MCS레벨을 사용하는 경우, 하기 도 1과 같이 하나의 프레임에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많은 채널 자원을 필요로 하므로 트래픽에 할당하기 위한 채널자원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일반적인 OFDM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OFDM 시스템의 하향링크 프레임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도 1a는 상기 <표 1>에서 MCS레벨이 4인 QPSK의 변조방식에 1/2의 코딩율을 사용하는 하향링크 프레임을 나타내고, 도 1b는 상기 <표 1>에서 MCS레벨이 1인 QPSK의 변조방식에 1/12의 코딩율을 사용하는 하향링크 프레임을 나타낸다. 즉, 상기 도 1a는 높은 MCS레벨을 사용하고, 상기 도 1b는 낮은 MCS레벨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1a의 낮은 MCS레벨을 사용하여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도 1b의 높은 MCS레벨을 사용하여 방송 메시지 전송하는 것보다 많은 채널 자원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도 1a는 상기 도 1b보다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 자원이 줄어 채널 자원의 운용 효율이 저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셀 영역을 넓히기 위해 낮은 MCS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많은 채널자원이 소모되므로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자원이 줄어든다. 즉 트래픽 전송률(Traffic Throughput)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송률을 높이기 위해 높은 MCS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의 셀 영역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의 MCS레벨을 조절하여 셀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의 MCS레벨을 조절하여 셀 전송률을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높은 MCS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지국에서 낮은 MCS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삽입하여 전송하여 셀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낮은 MCS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지국에서 높은 MCS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삽입하여 전송하여 셀 전송률을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 전송 방법은,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1 구간 동안 제 1 변조 및 부호 기법(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의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2 구간 동안 제 2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 전송 방법은,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간의 변조 및 부호 기법(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에 따라 상기 방송 메시지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화 및 변조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변조 및 부호 기법(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구간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상향링크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가 수신된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 구간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신호가 다른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 구간보다 낮은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을 갖는 제 1 구간에 수신된 경우, 상기 신호가 수신된 상기 제 1 구간 동안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신호를 상기 제 1 구간 동안 전송할 수 없으면, 상기 응답신호를 상기 제 1 구간과 동일한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을 갖는 다음 구간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시스템의 송신 장치는,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간에 따라 상기 방송 메시지의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을 결정하는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 결정기와, 상기 결정된 부호율(Coding Rate)에 따라 상기 방송 메시지를 부호화하는 부호화기와, 상기 결정된 변조 방식에 따라 상기 방송 메시지를 변조하는 변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 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Broadcasting) 메시지의 변조 및 코딩 기법(Modulation and Coding Scheme : 이하, MCS라 칭함)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다시 말해, 상기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높은 MCS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지국에서 낮은 MCS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삽입하여 전송하여 셀 영역을 확장시키며, 낮은 MCS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지국에서 높은 MCS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삽입하여 전송하여 셀 전송률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 메시지의 낮은 MCS레벨과 높은 MCS레벨은, 상기 방송 메시지 전송에 사용되는 MCS레벨들을 비교하여 결정한다. 또한, 상기 방송 메시지는, MAP메시지, MAC(Media Access Control) 메시지, UCD(Uplink Channel Description)메시지, DCD(Downlink Channel Description)메시지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CS레벨이 다른 방송메시지로 전송되는 프레임을 삽입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 셀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들로 전송하는 각 프레임에 포함되는 방송메시지의 MCS레벨을 나타낸다. 상기 기지국은 주변 기지국들과의 거리 및 셀 영역에 따라 미리 정해진 MCS레벨에 따라 상기 방송메시지를 포함하는 프레임들을 전송한다. 이때, 셀 영역 확장 또는 셀 전송률(Throughput) 증대를 위해 다른 MCS레벨을 갖는 방송메시지를 포함하는 프레임(D1프레임 구간(203), D2프레임 구간(205))들을 삽입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상 기 다른 MCS레벨의 방송메시지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 MCS레벨 및 상기 다른 MCS레벨의 MAP메시지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전송 주기(L1프레임 간격(201))는, 상기 기지국에서 단말들로부터 수신받은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정보, 상기 기지국의 셀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의 분포, 서비스 사업자의 정책 등의 채널 분포 특성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만일, 상기 기지국에서 방송메시지를 MCS레벨이 4인 QPSK의 변조 방식과 1/2의 코딩율로 높은 MCS레벨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반송파대 간섭 및 잡음 비(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 이하, CINR이라 칭함)가 13dB이상인 채널 환경의 단말만 상기 방송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때, MCS레벨이 2인 QPSK의 변조 방식과 1/8의 코딩율을 이용하는 방송메시지를 일정한 주기(L1프레임 간격(201))로 D1프레임 구간(203) 동안 전송한다. 이 경우, 전송률의 큰 저하 없이 CINR이 4dB이상인 채널 환경의 단말들도 상기 기지국의 방송메시지를 수신받아 접속할 수 있으므로 셀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에서 방송메시지를 MCS레벨이 1인 QPSK의 변조 방식과 1/12의 코딩율로 낮은 MCS레벨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CINR이 -1dB이상인 채널 환경의 단말은 상기 방송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기지국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때, MCS레벨이 4인 QPSK의 변조 방식과 1/2의 코딩율을 이용하는 방송메시지를 일정한 주기(L1프레임 간격(201))로 D1프레임 구간(203) 동안 전송한다. 이 경우, CINR이 13dB이상인 채널 환경의 단말들만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셀 전 송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채널 환경, 단말의 분포, 서비스 사업자의 정책 등을 이용하여 설정된 상기 MCS레벨구간에 따라 상기 방송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메시지의 MCS 레벨을 전환하여 전송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MCS레벨의 방송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은 부호기(301), 변조기(303), 신호 전송기(305), MCS레벨 결정기(307), 수신신호 판별기(309) 및 전송 제어기(3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호기(301)는 전송신호(예 : 트래픽, 응답신호)들을 해당 부호율에 따라 채널 부호화(Channel Coding)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MCS레벨 결정기(307)로부터 제공받은 부호율에 따라 상기 방송메시지를 채널 부호화한다. 상기 변조기(303)는 상기 부호기(301)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해당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방송메시지는 상기 MCS레벨 결정기(307)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MCS레벨 결정기(307)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MCS레벨 구간에 따라 전송되는 상기 방송메시지의 MCS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부호기(301)와 변조기(303)로 전송한다. 여기서, MCS레벨과 구간은, 상기 단말들로부터 수신받은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정보, 상기 기지국의 셀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의 분포, 서비스 사업자의 정책 등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상기 신호 전송기(305)는 상기 변조기(303)로부터 제공받은 기저대역 신호를 라디오 주파수(RF) 신호로 변환시켜 안테나를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신호 전송기(305)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의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전송 제어기(3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전송기(305)는 상기 전송 제어기(311)로부터 전송 허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응답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만일, 상기 전송 제어기(311)로부터 전송 불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 전송기(305)는 상기 응답신호를 버퍼(321)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전송 제어기(311)로부터 전송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버퍼(321)에 저장된 상기 응답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 제어기(311)는 상기 수신신호 판별기(309)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신호의 수신 시점과 상기 신호가 수신된 MCS레벨 구간의 남은 시간 및 자원을 고려하여 응답신호의 전송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신호 전송기(305)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낮은 MCS레벨구간에 수신된 레인징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레인징 신호가 수신된 낮은 MCS레벨 구간의 남은 시간 및 자원을 확인하여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면, 상기 신호 전송기(305)로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하도록 전송 허가 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없으면, 상기 신호 전송기(305)로 상기 응답신호를 버퍼(321)에 저장하여 다음 낮은 MCS레벨 구간에 전송하도록 전송 불가 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높은 MCS레벨 구간에 수신된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MCS레벨 구간에 상관없이 전송가능하다.
상기 수신신호 판별기(309)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 신호(예 : 레인징 요청 신호)의 수신 시점을 확인하여 상기 전송 제어기(311)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기지국은 401단계에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방송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403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정해진 MCS레벨 구간을 확인하여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MCS레벨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MCS레벨 구간과 MCS레벨은, 상기 단말들로부터 수신받은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정보, 상기 기지국의 셀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의 분포, 서비스 사업자의 정책 등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된 MCS레벨에 따라 상기 방송 메시지를 부호화 및 변조를 수행한다.
상기 방송메시지를 설정된 MCS레벨 구간에 따라 부호화 및 변조를 수행한 후, 상기 기지국은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이하 설명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설정된 MCS레벨의 조절 주기 및 구간에 따라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CS레벨 구간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의 레인징(Ranging)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기지국은 501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신호, 즉 레인징 요청(Request)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레인징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은 5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레인징 요청신호가 수신된 구간의 MCS레벨을 확인한다.
상기 레인징 요청 신호가 수신된 구간이 낮은 MCS레벨 구간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5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신호 전송부(305)의 버퍼(321)에 이전 낮은 MCS레벨 구간 동안 전송하지 못한 응답신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버퍼(321)에 전송하지 못한 응답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은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레인징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한편, 상기 버퍼(321)에 전송하지 못한 응답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기지국은 5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버퍼(321)에 저장된 이전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상기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레인징 요청 신호가 수신된 낮은 MCS레벨 구간 동안 상기 레인징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응답신호의 전송 가능 여부는, 상기 낮은 MCS레벨 구간의 남은 시간 및 자원을 확인하여 결정한다.
만일,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면, 상기 기지국은 511단계로 진행하 여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없으면, 상기 기지국은 5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응답신호를 상기 버퍼(321)에 저장한 후, 상기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기 503단계에서 상기 레인징 요청 신호가 수신된 구간이 높은 MCS레벨 구간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5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레인징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낮은 MCS레벨 구간동안 수신된 레인징 요청 신호들 중 상기 수신된 레인징 요청 신호와 동일한 신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높은 MCS레벨을 갖는 레인징 요청 신호와 응답신호는 상기 낮은 MCS레벨 구간 동안에도 송수신 가능하므로 상기 낮은 MCS레벨 구간 동안 상기 높은 MCS레벨의 레인징 요청 신호가 수신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낮은 MCS레벨 구간에 수신된 상기 높은 MCS레벨의 레인징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응답신호의 전송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응답신호의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응답신호를 다음 낮은 MCS레벨 구간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버퍼(321)에 저장한다.
만일, 상기 수신된 레인징 요청 신호와 동일한 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기지국은 5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버퍼(321)에 상기 레인징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버퍼(321)에 상기 레인징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5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버퍼(321)에서 상기 응답신호를 삭제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수신되는 상향링크 신호의 MCS레벨에 따라 응답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의 MCS레벨 구간에 따라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이하 설명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MCS레벨 구간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CS레벨 구간에 따라 신호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의 레인징(Ranging)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도 6a는 높은 MCS레벨의 방송메시지를 전송하는 프레임 중간에 낮은 MCS레벨의 방송메시지를 갖는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을 가정하며, 도 6b는 낮은 MCS레벨의 방송메시지를 전송하는 프레임 중간에 높은 MCS레벨의 방송메시지를 갖는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높은 MCS레벨의 방송메시지의 프레임을 전송하는 중간의 D1 프레임 구간(601) 동안 낮은 MCS레벨의 방송메시지의 프레임을 삽입하여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MCS레벨 구간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이 높은 MCS레벨 구간 동안 높은 MCS 레벨의 레인징 요청 신호(611)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높은 MCS레벨 구간에 상기 레인징 요청 신호(611)를 수신받은 상기 기지국은 상기 레인징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613)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높은 MCS레벨의 신호는 낮은 MCS레벨 구간 동안 전송 가능하다.
이후, 상기 단말이 낮은 MCS레벨 구간에 낮은 MCS레벨의 레인징 요청 신호(615)를 전송한다. 상기 레인징 요청 신호를 수신받은 상기 기지국은 낮은 MCS레벨 구간(D1프레임 구간(601))동안 상기 레인징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가능한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응답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응답신호의 전송이 불가능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응답신호를 상기 버퍼(321)에 저장한 후, 다음 낮은 MCS레벨 구간(D2프레임 구간(603))에 상기 응답신호(617)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낮은 MCS레벨의 방송메시지의 프레임을 전송하는 중간의 D1프레임 구간(621) 동안 높은 MCS레벨의 방송메시지의 프레임을 삽입하여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MCS레벨 구간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낮은 MCS레벨 구간 동안 낮은 MCS 레벨의 레인징 요청 신호(631)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낮은 MCS레벨의 레인징 요청 신호(631)를 수신받은 상기 기지국은 상기 레인징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현재 진행 중인 낮은 MCS레벨 구간 동안 전송 가능한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응답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응답신호의 전송이 불가능하면, 상기 기지 국은 상기 응답신호를 상기 버퍼(321)에 저장한 후, 다음 낮은 MCS레벨 구간에 상기 응답신호(635)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단말이 높은 MCS레벨 구간(D1프레임 구간(621))에 높은 MCS레벨의 레인징 요청 신호(633)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높은 MCS레벨 구간에 레인징 요청 신호를 상기 기지국은 상기 레인징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637)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높은 MCS레벨의 신호는 낮은 MCS레벨 구간 동안 전송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MCS레벨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한 후,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설정된 MCS레벨 구간에 따라 상기 방송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채널 환경에 따라 방송 메시지의 MCS레벨을 전환(Switching)하여 전송하므로 써, 즉 높은 MCS레벨의 방송메시지를 전송하는 중간에 낮은 MCS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삽입하여, 기지국의 셀 영역을 확 장할 수 있고, 상기 낮은 MCS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중간에 높은 MCS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삽입하여, 상기 기지국의 셀 전송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8)

  1.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1 구간 동안 제 1 변조 및 부호 기법(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의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2 구간 동안 제 2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의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구간의 크기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단말의 분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은, 기지국들 사이의 거리, 상기 기지국의 셀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단말의 분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은, 소정 주기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주기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단말의 분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간의 변조 및 부호 기법(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에 따라 상기 방송 메시지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화 및 변조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간은,
    상기 방송 메시지의 변조 및 부호 기법(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제 1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로 설정하는 제 1 구간과, 제 2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로 설정하는 제 2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은, 기지국들 사이의 거리, 상기 기지국의 셀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단말의 분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간의 크기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단말의 분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은, 소정 주기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주기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단말의 분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변조 및 부호 기법(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구간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가 수신된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 구 간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신호가 다른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 구간보다 낮은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을 갖는 제 1 구간에 수신된 경우, 상기 신호가 수신된 상기 제 1 구간 동안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신호를 상기 제 1 구간 동안 전송할 수 없으면, 상기 응답신호를 상기 제 1 구간과 동일한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을 갖는 다음 구간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 구간은,
    방송 메시지의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을 제 1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로 설정하는 제 1 구간과, 제 2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로 설정하는 제 2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은, 기지국들 사이의 거리, 상기 기지국의 셀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단말의 분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간의 크기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단말의 분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은, 소정 주기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주기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단말의 분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상기 제 1 구간에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구간과 동일한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을 갖는 이전 구간에 전송하지 못한 응답신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무선 통신시스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간에 따라 상기 방송 메시지의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을 결정하는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 결정기와,
    상기 결정된 부호율(Coding Rate)에 따라 상기 방송 메시지를 부호화하는 부호화기와,
    상기 결정된 변조 방식에 따라 상기 방송 메시지를 변조하는 변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 결정기는,
    상기 방송메시지를 전송하는 구간이 제 1 구간인 경우, 상기 방송 메시지의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을 상기 제 1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방송메시지를 전송하는 구간이 제 2 구간인 경우, 상기 방송 메시지의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을 상기 제 2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은, 기지국들 사이의 거리, 상기 기지국의 셀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단말의 분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향링크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신호가 수신되는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 구간을 확인하는 수신신호 판별기와,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수신되는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 구간에 따라 상기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기와,
    상기 부호화 및 변조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기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다른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 구간보다 낮은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을 갖는 제 1 구간에 수신된 경우, 상기 신호가 수신된 상기 제 1 구간 동안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없으면, 상기 응답신호를 상기 제 1 구간과 동일한 변조 및 부호 기법 레벨을 갖는 다음 구간에 전송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기는,
    상기 응답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상기 전송 제어기로부터 상기 응답신호를 다음 구간에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응답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0034433A 2006-04-17 2006-04-17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246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433A KR101246020B1 (ko) 2006-04-17 2006-04-17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433A KR101246020B1 (ko) 2006-04-17 2006-04-17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791A KR20070102791A (ko) 2007-10-22
KR101246020B1 true KR101246020B1 (ko) 2013-03-20

Family

ID=3881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433A KR101246020B1 (ko) 2006-04-17 2006-04-17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868B1 (ko) * 2013-08-26 2019-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변조 방식을 운용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299A (ko) * 2003-11-19 2005-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299A (ko) * 2003-11-19 2005-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791A (ko) 2007-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1421C (en) Communication method using relay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7719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scheduling
US6859466B1 (en) Physical layer header for packet data
KR100884699B1 (ko) 투명 릴레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4535619B2 (ja) Tdma/tddシステム用のリンクと無線セルの適用
US79121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relay st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09905B2 (en) Mobile communications control including change of bit rate based on traffic and transmit power
KR100948550B1 (ko)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098883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6631277B2 (en) Compensation for antenna diagram optimization
KR10143679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대역폭 요청 및 할당을 위한 방법과 그 장치
EP1175794B1 (en) Asymmetric data transmission for use in a multi-modulation environment
KR20120090994A (ko) 중계국, 중계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장치
US20060119494A1 (en) 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up-link performance and record medium storing the method
KR101108055B1 (ko) 데이터 전송 중계 방법
KR20090111857A (ko)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임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4953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신호를 이용한 상향 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10216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060037101A (ko)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상향링크 맵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46020B1 (ko)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764653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EP1120931B1 (en) A method for enhancing the capacity of a cellular radio-communic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