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684B1 - Relay and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lay and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684B1
KR101245684B1 KR1020110057190A KR20110057190A KR101245684B1 KR 101245684 B1 KR101245684 B1 KR 101245684B1 KR 1020110057190 A KR1020110057190 A KR 1020110057190A KR 20110057190 A KR20110057190 A KR 20110057190A KR 101245684 B1 KR101245684 B1 KR 101245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ntact
coil
fixed contact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1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37972A (en
Inventor
정균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684B1/en
Publication of KR20120137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9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6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1Auxiliary contac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릴레이가 개시된다. 상기 릴레이는 전류의 공급 여부에 따라 자속의 발생 여부가 결정되는 코일과, 상기 자속의 발생 여부에 따라 고정 접점과 접속 또는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채터링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접점이 구현된다. 상기 릴레이는 채터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elay is started. The relay includes a coil to determine whether magnetic flux is generated according to whether current is supplied, and a movable contact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according to whether the magnetic flux is generated, wherein any one of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An auxiliary contact is implemented to prevent chattering that occurs between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The relay has an effect of preventing chattering.

Description

릴레이와 이를 포함하는 전압 공급 제어 장치{RELAY AND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RELAY AND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채터링 방지구조 및/또는 주변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릴레이와 이를 포함하는 전압 공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lay capable of detecting a chattering prevention structure and / or an ambient temperature and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and a voltage suppl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릴레이(relay)는 전기 제품 또는 전자 제품의 구동과 신호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부품을 말한다. 상기 릴레이는 코일이 감겨진 철심에 전류를 흘리면 상기 철심이 전자석이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거의 모든 전기 제품, 전자 제품 또는 통신 기기에 적용되는 범용 부품이다.A relay is an electronic component that performs a driving and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of an electrical product or an electronic product. The relay uses a principle that the iron core becomes an electromagnet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wound around the core, and is a general-purpose component applied to almost all electrical appliances, electronic products, or communication devices.

상기 릴레이에서는 채터링(chattering)이 발생한다. 채터링이란 전자 회로 내의 스위치나 릴레이의 접점들이 서로 붙었다 떨어질 때 기계적인 진동에 의하여 실제로는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상기 접점들이 서로 붙었다 떨어지는 것을 반복하는 현상을 말한다. 채터링이 발생하면 상기 전자 회로는 불안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Chattering occurs in the relay. Chattering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when the contacts of a switch or a relay in an electronic circuit stick to each other and fall off, they are actually repeated in a very short time by the mechanical vibration. When chattering occurs, the electronic circuitry may perform an unsafe operation.

또한, 종래의 릴레이를 포함하는 전압 공급 제어 장치, 예컨대 전압 판넬은 상기 전압 공급 제어 장치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온도 센서 릴레이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such as a voltage panel, including a conventional relay includes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relay that can sense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elay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이에 따라 상기 온도 센서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를 포함하는 상기 전압 공급 제어 장치의 제조 비용과 부피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and volume of the temperature sensor relay and the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including the relay increas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채터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y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prevent chattering.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전압 공급 제어 장치의 제조 비용과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주변 온도의 감지 결과에 따라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y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volume of the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and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of the ambient temperatur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전압 공급 제어 장치의 제조 비용과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채터링과 주변 온도의 감지 결과에 따라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y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volume of the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and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according to the result of chattering and sensing of ambient temperatur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상술한 릴레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압 공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including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relay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는 전류의 공급 여부에 따라 자속의 발생 여부가 결정되는 코일과, 상기 자속의 발생 여부에 따라 고정 접점과 접속 또는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채터링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접점이 구현된다.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il to determine whether the magnetic flux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upply of the current, and a movable contact that is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magnetic flux, Any one of the movable contacts is implemented with an auxiliary contact for preventing chattering between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보조 접점은 상기 가동 접점보다 먼저 상기 고정 접점에 접속되고, 상기 가동 접점보다 늦게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분리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auxiliary contact is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before the movable contact, and is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later than the movable contact.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보조 접점은 상기 고정 접점보다 먼저 상기 가동 접점에 접속되고, 상기 고정 접점보다 늦게 상기 가동 접점으로부터 분리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auxiliary contact is connected to the movable contact before the fixed contact, and is separated from the movable contact later than the fixed contact.

상기 릴레이는 상기 코일로 코일 전압을 공급하는 파워 라인과 상기 코일의 단자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릴레이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파워 라인과 상기 코일의 단자를 접속 또는 분리하는 센서를 더 포함한다.The relay is connected between a power line for supplying a coil voltage to the coil and a terminal of the coil, and a sensor for sensing an ambient temperature of the relay and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power line and the terminal of the coi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It includes more.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센서는 상기 주변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을 때 상기 파워 라인과 상기 코일의 단자를 분리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or separates the terminal of the power line and the coil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센서는 상기 주변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을 때 상기 파워 라인과 상기 코일의 단자를 분리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nsor separates the terminal of the power line and the coil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는 전류의 공급 여부에 따라 자속의 발생 여부가 결정되는 코일과, 상기 자속의 발생 여부에 따라 고정 접점과 접속 또는 분리되는 가동 접점과, 상기 코일로 코일 전압을 공급하는 파워 라인과 상기 코일의 단자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릴레이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파워 라인과 상기 코일의 단자를 접속 또는 분리하는 센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ay includes a coil for determining whether magnetic flux is generated according to whether current is supplied, a movable contact connected or separated from a fixed contact depending on whether the magnetic flux is generated, and a coil voltage with the coil. And a sensor connected between a supplying power line and a terminal of the coil and sensing an ambient temperature of the relay and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power line and the terminal of the coil according to a sensing resul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 공급 제어 장치는 전기 장치와, 상기 전기 장치로 동작 전압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릴레이는 전류의 공급 여부에 따라 자속의 발생 여부가 결정되는 코일과, 상기 자속의 발생 여부에 따라 고정 접점과 접속 또는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채터링(chattering)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접점이 구현된다.An apparatus for controlling voltage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al device and a relay for determining whether to supply an operating voltage to the electrical device. The relay includes a coil to determine whether magnetic flux is generated according to whether current is supplied, and a movable contact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according to whether the magnetic flux is generated, wherein any one of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An auxiliary contact is implemented to prevent chattering that occurs between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압 공급 제어 장치는 전기 장치와, 상기 전기 장치로 동작 전압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며 전류의 공급 여부에 따라 자속의 발생 여부가 결정되는 코일과, 상기 자속의 발생 여부에 따라 고정 접점과 접속 또는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릴레이와, 상기 코일로 코일 전압을 공급하는 파워 라인과 상기 코일의 단자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릴레이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파워 라인과 상기 코일의 단자를 접속 또는 분리하는 센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includes an electric device, a coil that determines whether to supply an operating voltage to the electric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to generate magnetic flux according to the supply of current, and whether the magnetic flux is generated. A relay including a movable contact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fixed contact, and a power line for supplying a coil voltage to the coil and a terminal of the coil,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relay being sensed, and the power according to a sensing result. And a sens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 line and a terminal of the coi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접점을 포함하는 릴레이는 채터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Relay including an auxiliary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hatter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포함하는 릴레이는 기준 온도보다 낮거나 또는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동작하지 않고 적정한 온도에서만 동작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 relay including a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operating only at a proper temperature without operating at a temperature lower than or higher than a reference temperature.

따라서 상기 보조 접점을 포함하는 릴레이 또는 상기 센서를 포함하는 릴레이는 포함하는 릴레이가 구비된 전압 공급 제어 장치는 전기 장치로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provided with the relay including the relay including the auxiliary contact or the relay including the sensor has an effect of supplying a stable voltage to the electric devic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를 포함하는 전압 공급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b는 고정 접점, 보조 접점, 및 가동 접점의 접속 과정과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를 포함하는 전압 공급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를 포함하는 전압 공급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A is a block diagram of a voltage suppl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process and a separation process of the fixed contact, the auxiliary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2 is a block diagram of a voltage suppl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re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voltage suppl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re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may take various forms, so that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termed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를 포함하는 전압 공급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1b는 고정 접점, 보조 접점, 및 가동 접점의 접속 과정과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들이다.FIG. 1A is a block diagram of a voltage suppl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process and a disconnection process of a fixed contact, an auxiliary contact, and a movable contact.

도 1a를 참조하면, 전압 공급 제어 장치(10A)는 릴레이(relay; 20A), 릴레이 전원(30), 스위치(32), 전원(40), 및 전기 장치(42)를 포함한다. 예컨대, 전기 장치(42)는 전구, 스위치, 또는 모터 등과 같이 제어 대상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A, the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10A includes a relay 20A, a relay power supply 30, a switch 32, a power supply 40, and an electric device 42. For example, the electrical device 42 may be controlled such as a light bulb, a switch, a motor, or the like.

전압 공급 제어 장치(10A)는 릴레이(20A)의 스위칭 동작을 이용하여 전원 (40)으로부터 출력된 전압, 예컨대 AC 전압 또는 DC 전압을 전기 장치(42)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모든 종류의 전기 제품, 전자 제품, 또는 통신 기기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압 공급 제어 장치(10A)는 분전반, 스위치 보드(switchboard), 또는 배전반을 의미할 수 있다.The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10A means a device capable of supplying a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40, such as an AC voltage or a DC voltage, to the electric device 42 by us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relay 20A. I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electrical appliances, electronic products, or communication equipment. For example, the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10A may mean a distribution board, a switchboard, or a distribution board.

릴레이(20A)는 코일 단자들(21-1과 21-2), 코일(22), 복귀 스프링(23), 힌지 (또는 복귀 스프링 고정 소자; 24), 판 스프링(25), 가동 접점(26), 보조 접점 (27), 및 고정 접점(28)을 포함한다. 힌지(hinge; 24)는 복귀 스프링(23)과 판 스프링(25)이 구현된 바디(body)을 연결한다.The relay 20A includes coil terminals 21-1 and 21-2, coil 22, return spring 23, hinge (or return spring fixing element) 24, leaf spring 25, movable contact 26 ), An auxiliary contact 27, and a fixed contact 28. The hinge 24 connects the body in which the return spring 23 and the leaf spring 25 are implemented.

코일 단자들(21-1과 21-2)은 릴레이 전원(30)의 파워 라인(31)을 통하여 공급된 전압을 코일(22), 예컨대 철심의 권선(捲線)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il terminals 21-1 and 21-2 perform a function of supplying a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power line 31 of the relay power supply 30 to the coil 22, for example, an iron core winding.

릴레이 전원(30)으로부터 공급된 전압은 스위치(32)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코일(22)로 공급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relay power supply 30 may be suppli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coil 22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32.

전자석 코일 또는 권선으로도 불리는 코일(22)은 전류의 공급 여부에 따라 자속의 발생 여부가 결정된다. 예컨대, 릴레이 전원(30)의 (+)전압이 코일 단자 (21-1)에 공급되고 릴레이 전원(30)의 (-)전압이 코일 단자(21-2)에 공급되면, 코일 단자(21-1)로부터 코일 단자(21-2) 쪽으로 전류가 흐른다.The coil 22, also called an electromagnetic coil or a winding, determines whether magnetic flux is generated depending on whether current is supplied. For example, when the positive voltage of the relay power supply 30 is supplied to the coil terminal 21-1 and the negative voltage of the relay power supply 30 is supplied to the coil terminal 21-2, the coil terminal 21-is applied. Current flows from 1) toward the coil terminal 21-2.

코일(22)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코일(22)이 감겨진 철심이 자화되어 판 스프링(25)을 끌어당기므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점(26)에 접속된 보조 접점(27)이 먼저 고정 접점(28)과 접속된 후(도 1b의 (b)), 보조 접점(27)과 고정 접점(28)이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가동 접점(26)과 고정 접점(28)이 서로 접속된다(도 1b의 (c)).Since the iron core wound around the coil 22 is magnetized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22 to attract the leaf spring 25, the auxiliary contact 27 connected to the movable contact 26 as shown in FIG. 1B. After the first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28 ((b) of FIG. 1B), the movable contact 26 and the fixed contact 28 are formed while the auxiliary contact 27 and the fixed contact 28 remain connected. It is connected to each other (FIG. 1B (c)).

따라서, 가동 접점(26)과 고정 접점(28) 사이에서 채터링이 발생하더라도 보조 접점(27)과 고정 접점(28)은 전기적 접속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전원(40)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안정적으로 전기 장치(42)로 공급될 수 있다. 즉, 고정 접점(28)은 가동 접점(26)과 고정 접점(28) 사이에서 발생하는 채터링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even though chattering occurs between the movable contact 26 and the fixed contact 28, the auxiliary contact 27 and the fixed contact 28 maintain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so that the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40 is stable. Can be supplied to the electrical device 42. That is, the fixed contact 28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or reducing chattering occurring between the movable contact 26 and the fixed contact 28.

그러나, 스위치(32)에 의하여 코일 단자(21-1)로 공급되는 전압이 차단되면 코일(22)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므로, 복귀 스프링(23)에 의하여 판 스프링(25)은 원래 상태로 복귀된다.However, when the voltage supplied to the coil terminal 21-1 by the switch 32 is cut off, the current supplied to the coil 22 is cut off, so that the leaf spring 25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return spring 23. Is returned.

이때, 도 1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점(26)과 고정 접점(28)이 분리된 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보조 접점(27)과 고정 접점(28)은 전기적 접속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가동 접점(26)과 고정 접점(28) 사이에서 채터링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채터링에 의하여 전기 장치(42)는 손상되지 않는다.At this time, as shown in (b) of FIG. 1B, even after the movable contact 26 and the fixed contact 28 are separated, the auxiliary contact 27 and the fixed contact 28 remain in electrical conn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s a result, even if chattering occurs between the movable contact 26 and the fixed contact 28, the electrical device 42 is not damaged by the chattering.

도 1a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채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 접점(27)이 가동 접점(26)에 접속된 구현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채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 접점은 고정 접점(28)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채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 접점은 판 스프링(25)에 접속될 수 있다.In FIG. 1A, the auxiliary contact 27 that prevents chattering is connected to the movable contact 26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uxiliary contact that prevents chattering may be It may be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28. In addition, an auxiliary contact capable of preventing chattering may be connected to the leaf spring 25.

즉, 채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 접점이 어디에 구현되는지의 여부에 무관하게, 도 1b의 (b)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접점은 가동 접점 (26)보다 먼저 고정 접점(28)에 접속된 후 가동 접점(26)보다 늦게 고정 접점(28)으로부터 분리되면 된다.That is, irrespective of whether or not an auxiliary contact capable of preventing chattering is implemented, as shown by way of example in FIG. 1B (b), the auxiliary contact is fixed before the movable contact 26. ) Is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28 later than the movable contact 26.

또한, 채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 접점이 고정 접점(28)에 접속될 때, 상기 보조 접점은 고정 접점(28)보다 먼저 가동 접점(26)에 접속된 후 고정 접점(28)보다 늦게 가동 접점(26)으로부터 분리되면 된다.Further, when an auxiliary contact capable of preventing chattering is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28, the auxiliary contact is connected to the movable contact 26 before the fixed contact 28 and then moves later than the fixed contact 28.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isolate | separate from the contact 26.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를 포함하는 전압 공급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voltage suppl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re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와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릴레이(20B)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조 접점(27)을 포함하지 않고 전압 공급 제어 장치(10B)가 코일 단자(21-1)와 스위치(32) 사이에 접속된 센서(33)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a의 전압 공급 제어 장치(10A)의 구조와 도 2의 전압 공급 제어 장치(10B)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Referring to FIGS. 1A and 2, the relay 20B of FIG. 2 does not include the auxiliary contact 27 as shown in FIG. 1A, and the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10B switches the coil terminal 21-1 and the switch. Except for including the sensor 33 connected between the 32, the structure of the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10A of FIG. 1A and the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10B of FIG. 2 are substantially the same.

예컨대, 센서(33)는 코일(22)로 코일 전압을 공급하는 파워 라인(31)과 코일 (22)의 단자(21-1) 사이에 접속되고, 릴레이(20B)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파워 라인(31)과 코일(22)의 단자(22-1)를 접속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센서(33)는 릴레이(20B)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33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line 31 that supplies the coil voltage to the coil 22 and the terminal 21-1 of the coil 22, and senses and sense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relay 20B. As a result, the power line 31 and the terminal 22-1 of the coil 22 can be connected or dis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or 33 may be implemented inside or outside the relay 20B.

실시 예에 따라 센서(33)는 감지된 주변 온도가 기준 온도, 예컨대 기준 저온보다 낮을 때 파워 라인(31)과 코일(22)의 단자(22-1)를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or 33 may separate the power line 31 and the terminal 22-1 of the coil 22 when the sensed ambient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for example, the reference low temperature.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센서(33)는 감지된 주변 온도가 기준 온도, 예컨대 기분 고온보다 높을 때 파워 라인(31)과 코일(22)의 단자(22-1)를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nsor 33 may separate the power line 31 and the terminal 22-1 of the coil 22 when the sensed ambient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reference temperature, for example, a mood high temperature.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센서(33)는 감지된 주변 온도가 기준 저온보다 높고 기준 고온보다 낮을 때 릴레이 전원(30)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릴레이(20B)로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nsor 33 may supply a voltage output from the relay power supply 30 to the relay 20B when the sensed ambient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ow temperature and lower than the reference high temperature.

따라서 스위치(32)가 온(on) 된 후에, 각 실시 예에 따른 센서(33)는 감지된 주변 온도에 따라 릴레이 전원(30)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릴레이(20B)로 공급하거나 또는 릴레이(20B)로 공급되는 전압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refore, after the switch 32 is turned on, the sensor 33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supplies the voltage output from the relay power supply 30 to the relay 20B according to the sensed ambient temperature, or relay 20B. ) Can automatically cut off the supply voltage.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를 포함하는 전압 공급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voltage suppl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re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전압 공급 제어 장치(10C)는 릴레이(20A), 릴레이 전원 (30), 스위치(32), 센서(33), 전원(40), 및 전기 장치(4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10C includes a relay 20A, a relay power supply 30, a switch 32, a sensor 33, a power supply 40, and an electric device 42.

도 1a부터 도 3을 참조하면, 릴레이(20A)는 보조 접점(27)을 이용하여 가동 접점(26)과 고정 접점(28) 사이에서 발생하는 채터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위치(32)가 온 된 후에 센서(33)는 감지된 주변 온도에 따라 릴레이 전원 (30)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릴레이(20B)로 공급하거나 또는 릴레이(20B)로 공급되는 전압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1A through 3, the relay 20A may not only prevent chattering occurring between the movable contact 26 and the fixed contact 28 using the auxiliary contact 27, but also the switch 32. After the sensor is turned on, the sensor 33 may supply the voltage output from the relay power supply 30 to the relay 20B or automatically cut off the voltage supplied to the relay 20B according to the sensed ambient temperature.

각 실시 예에 따른 전압 공급 제어 장치(10A, 10B, 또는 10C)는 선박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도 3 각각에 도시된 센서(33)는 각 릴레이(20A 또는 20B)의 외부에 도시되었으나 실시 예에 따라 각 릴레이(20A 또는 20B)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전압 공급 제어 장치(10A, 10B, 또는 10C)는 판넬에 사용될 수 있고 별도의 온도 센서 릴레이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상기 판넬의 제작 비용과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10A, 10B, or 10C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may be used for a ship. In addition, although the sensor 33 illustrated in each of FIGS. 2 and 3 is illustrated outside of each relay 20A or 20B, the sensor 33 may be implemented inside each relay 20A or 20B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Since the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10A, 10B, or 10C may be used in the panel and does not include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relay,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volume of the panel.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A, 101B, 및 10C: 전압 공급 제어 장치
20A, 20B, 및 20C: 릴레이
22: 코일
23: 복귀 스프링
24: 힌지
25: 판 스프링
26: 가동 접점
27: 보조 접점
28: 고정 접점
30: 릴레이 전원
40: 전원
42: 전기 장치
10A, 101B, and 10C: Voltage Supply Control
20A, 20B, and 20C: relay
22: coil
23: return spring
24: hinge
25: leaf spring
26: movable contact
27: auxiliary contact
28: fixed contacts
30: relay power
40: Power supply
42: electric device

Claims (8)

삭제delete 전류의 공급 여부에 따라 자속의 발생 여부가 결정되는 코일; 및
상기 자속의 발생 여부에 따라 고정 접점과 접속 또는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채터링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접점이 구현되고,
상기 보조 접점은,
상기 가동 접점보다 먼저 상기 고정 접점에 접속되고, 상기 가동 접점보다 늦게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분리되는 릴레이.
A coil for determining whether magnetic flux is generated according to whether current is supplied; And
And a movable contact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depending on whether the magnetic flux is generated.
Any one of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is implemented with an auxiliary contact for preventing chattering between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The auxiliary contact,
A relay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prior to the movable contact and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later than the movable contact.
전류의 공급 여부에 따라 자속의 발생 여부가 결정되는 코일; 및
상기 자속의 발생 여부에 따라 고정 접점과 접속 또는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채터링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접점이 구현되고,
상기 보조 접점은,
상기 고정 접점보다 먼저 상기 가동 접점에 접속되고, 상기 고정 접점보다 늦게 상기 가동 접점으로부터 분리되는 릴레이.
A coil for determining whether magnetic flux is generated according to whether current is supplied; And
And a movable contact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depending on whether the magnetic flux is generated.
Any one of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is implemented with an auxiliary contact for preventing chattering between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The auxiliary contact,
A relay connected to the movable contact prior to the fixed contact and separated from the movable contact later than the fixed contact.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상기 코일로 코일 전압을 공급하는 파워 라인과 상기 코일의 단자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릴레이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파워 라인과 상기 코일의 단자를 접속 또는 분리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The method of claim 2 or 3, wherein the relay,
A sensor connected between a power line for supplying a coil voltage to the coil and a terminal of the coil, the sensor configured to sense an ambient temperature of the relay and to connect or disconnect the power line and the terminal of the coil according to a sensing result; rela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주변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을 때, 상기 파워 라인과 상기 코일의 단자를 분리하는 릴레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nsor,
A relay separating the power line and the terminals of the coil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주변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을 때, 상기 파워 라인과 상기 코일의 단자를 분리하는 릴레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nsor,
A relay separating the power line and the terminals of the coil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삭제delete 전기 장치; 및
상기 전기 장치로 동작 전압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릴레이를 포함하는 전압 공급 제어 장치.
Electrical devices; And
A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comprising the relay according to claim 2 or 3 for determining whether to supply an operating voltage to the electric device.
KR1020110057190A 2011-06-14 2011-06-14 Relay and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456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190A KR101245684B1 (en) 2011-06-14 2011-06-14 Relay and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190A KR101245684B1 (en) 2011-06-14 2011-06-14 Relay and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972A KR20120137972A (en) 2012-12-24
KR101245684B1 true KR101245684B1 (en) 2013-03-21

Family

ID=4790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190A KR101245684B1 (en) 2011-06-14 2011-06-14 Relay and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68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000B1 (en) 2016-02-26 2017-05-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pparatus for detecting defect of electric power system
CN108447740B (en) * 2018-06-02 2024-04-19 宁波赛特勒电子有限公司 Relay
CN111863541A (en) * 2020-08-06 2020-10-30 南京贝思特信息科技有限公司 Energy-saving conta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6108A (en) 1979-07-02 1982-04-20 Telefonbau Und Normalzeit Gmbh Hook switch for telephone instruments
KR880001009A (en) * 1986-06-20 1988-03-30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Relay drive circuit
JPH09153325A (en) * 1995-11-30 1997-06-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omagnetic relay
JP2007018927A (en) 2005-07-08 2007-01-25 Omron Corp Relay controll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6108A (en) 1979-07-02 1982-04-20 Telefonbau Und Normalzeit Gmbh Hook switch for telephone instruments
KR880001009A (en) * 1986-06-20 1988-03-30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Relay drive circuit
JPH09153325A (en) * 1995-11-30 1997-06-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omagnetic relay
JP2007018927A (en) 2005-07-08 2007-01-25 Omron Corp Relay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972A (en) 201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7376B1 (en) Battery pack
US8228655B2 (en) Fault current limiter
KR20160016721A (en) Contactor, contactor assembly and control circuit
KR101245684B1 (en) Relay and voltage supply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US8553374B2 (en) Modular circuit configuration for switching electrical power and an adapter designed to this end
JP2013182701A (en) Electrical power system
JP2009268214A (en) Power supply apparatus module
JP2010073352A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851301B1 (en) Electromagnetic switch of starting device for star-delta connection and star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405476B2 (en) Relay with multiple contacts
US200802667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switching life of electromechanical contacts in a hybrid power switching device
CN103515150A (en) Hybrid relay
CN102280323A (en) Tripping unit for circuit breaker
KR101472555B1 (en) Panel board and electric motor control board built-in electro-magnetic contactor having function for protecting interruption of electric power a moment of elevator and protecting low voltage
CN103854926A (en) Electromagnetic contractor
KR101640144B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having a function for protecting low voltage
KR20210012167A (en) Power-saving electromagnetic contactor with malfunction prevention function using permanent magnet
KR101607071B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having a function for protecting interruption of electric power a moment of elevator
KR102040187B1 (en) A motor control board having a power-saving electromagnetic contactor having a malfunction prevention function using a permanent magnet
CN104701083A (en) Relay contact control method, relay contact control device and relay contact control equipment
JP6640646B2 (en) Relay device
WO2023127045A1 (en) Switch device
RU2707277C1 (en) Relay on reed relays
CN102905404B (en) The air conditioner of electric heater unit and control method and this electric heater unit of tool
TWI764888B (en) Apparatus for measuring a state of an electronic switch, electronic switch, and method for measruing a state of an electronic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