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867B1 - 제외지역이 설정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도난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제외지역이 설정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도난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867B1
KR101244867B1 KR1020110100942A KR20110100942A KR101244867B1 KR 101244867 B1 KR101244867 B1 KR 101244867B1 KR 1020110100942 A KR1020110100942 A KR 1020110100942A KR 20110100942 A KR20110100942 A KR 20110100942A KR 101244867 B1 KR101244867 B1 KR 101244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region
theft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윤석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주) 시큐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큐앱 filed Critical (주) 시큐앱
Priority to KR1020110100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automatic activation of emergency service functions, e.g. upon sensing an ala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외지역이 설정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도난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도난방지 방법은 단말기에 제공되는 지도 정보에 일정 영역을 제외지역으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단말기가 사용자의 점유 범위를 벗어난 상태에서,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 2 단계; 단말기가 움직일 경우에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제 3 단계; 제 3 단계에서 측정한 단말기의 위치가 제외지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및 제 4 단계에서 단말기가 제외지역을 벗어나 있는 경우에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서 경보음을 출력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외지역이 설정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도난방지 방법{Antitheft Portable Terminal Setting up Exception Area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점유 상태를 파악하는 신뢰도를 높여서 빈번하게 도난 우려에 대한 조치를 제한할 수 있는 제외지역이 설정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도난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및 IT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 제품들이 소형화되고, 음성/영상통화나 멀티미디어 기능 오락 기능을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들이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휴대전화기는 단순한 통화 이외의 다양한 부가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플랫폼이 설치되어 응용프로그램의 활용이 강화된 스마트폰(smart phone)의 보급이 확대되었다. 또한,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는 기존의 넷북(netbook) 보다 휴대성이 좋고,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여러 응용프로그램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최신의 개인 휴대 단말기는 활용 용도의 증가와 간편한 휴대성으로 인해서 사용자들이 항시 소지하고 다니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처럼 휴대하고 다니는 정도가 증가할수록 단말기의 분실 및 도난의 위험성은 더욱 커지게 마련이다. 특히 단말기를 분실한 상태이거나, 분실이 아니더라도 단말기가 사용자의 지배를 벗어나서 방치된 경우에는 타인에 의해서 쉽게 도난당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소유권을 갖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회수할 가능성이 매우 적다.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단말기의 분실이나 도난 우려에 대한 대응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실 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대해 도난 우려에 대응할 수 있는 제외지역이 설정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도난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도난방지 방법은 단말기에 제공되는 지도 정보에 일정 영역을 제외지역으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단말기가 사용자의 점유 범위를 벗어난 상태에서,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 2 단계; 단말기가 움직일 경우에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제 3 단계; 제 3 단계에서 측정한 단말기의 위치가 제외지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및 제 4 단계에서 단말기가 제외지역을 벗어나 있는 경우에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서 경보음을 출력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제외지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지도를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지도에 특정 지점을 지정하는 단계; 및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 범위 내의 영역을 제외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단계에서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임의의 시점에서 단말기의 기준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임의의 시점에서 일정시간 경과 후에 단말기의 현재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및 기준위치와 현재위치의 차이가 일정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단말기가 움직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4 단계에서 단말기가 제외지역에 위치할 경우에는 경보음을 출력하지 않고 제 3 단계에서 측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는 위치측정을 위한 위성항법시스템 수신기; 지도 정보를 제공하며, 지도 정보에 특정영역으로 설정되는 제외지역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지도 정보에 제외지역의 추가 및 삭제 등의 설정을 위한 제외지역 설정부; 단말기가 사용자의 점유범위를 벗어난 상태에서 움직임을 감지하고, 위성항법시스템 수신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단말기의 위치가 제외지역을 벗어난 상태에서 움직일 경우에 경보음 등을 출력하는 도난방지 기능부; 및 지도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도난방지 기능부는 방위각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도난방지 기능부 및 제외지역 설정부는 단말기에 설치되는 플랫폼에 연동되는 응용프로그램으로서,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도난방지 방법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도난방지 방법은 사용자가 도난 우려가 적거나 점유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제외지역을 설정하여, 해당 제외지역에서는 도난방지 기능을 제한함으로써 분실 상태를 파악하거나 도난방지 기능 작동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내지 도 4는 단말기의 지도 정보에 제외지역을 설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도난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리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도난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이하 '단말기')(100)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전화기일 수 있고, 소프트웨어의 활용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태블릿 PC 일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단말기(100)의 구성으로 도시되고 설명되는 것은, 기존의 휴대 전화기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 등과 별개의 구성으로 본 발명의 단말기(100) 내에 포함된 것이거나, 하드웨어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이면서 다른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위성항법시스템(Gr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 수신기(102), 메모리(142), 도난방지 기능부(112), 제외지역 설정부(114) 및 표시부(118)를 구비한다.
GPS 수신기(102)는 GPS 위성이나 지상의 송신기로부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함으로써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GPS 수신기(102)는 GPS 위성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WGS-84(World Geodetic System, 1984) 좌표계상의 좌표값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고, 이 경우 위치 좌표는 단말기(100)의 WGS-84 좌표계상의 좌표값이 될 수 있다.
메모리(142)는 지도 정보 및 지도 정보에 특정영역으로 설정되는 제외지역 정보를 저장한다. 지도 정보는 로드맵, 위성맵 등 표시부(118)를 통해서 표시되는 형식이 각기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지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외지역 정보는 지도 정보에 일정 범위를 설정한 것으로, 도난방지 기능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부(116)는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기능 동작을 위한 명령과 함께 도난방지 기능의 동작 및 제어명령, 제외지역 설정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부(118)는 단말기(100)의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과 실행 결과를 표시하며, 지도 정보를 바탕으로 지도를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118)가 터치 패널로 구현될 경우에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위한 입력부(116)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부(144)는 도난방지를 위한 경보음 등을 포함하는 각종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SPK)를 통해서 출력한다.
제어부(110)는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와 함께 도난방지 기능 및 도난방지 기능의 제한을 위한 제외지역 설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10)는 통상의 알려진 단말기(100)가 기본적으로 보유한 하드웨어인 프로세서 칩과 그 칩에 의해 동작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기능적인 구성을 통칭한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기능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연계되는 제어부(110)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외지역 설정을 통한 도난방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제어부(110)는 도난방지 기능부(112) 및 제외지역 설정부(114)를 구비한다.
도난방지 기능부(112)는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점유범위를 벗어난 상태에서 도난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감지하며, 도난으로 우려되는 상황에서는 경보음 등을 출력한다. 특히, 도난방지 기능부(112)는 제외지역으로 설정된 특정 지역에 대해서는 도난방지 기능의 동작을 제한한다.
도난방지 기능부(112)는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점유범위를 벗어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임의의 설정시간 범위 내에서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을 경우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점유범위를 벗어나서 방치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은 방위각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위치를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임의의 시간 간격을 두고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가 변하였다면 단말기(100)가 움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난방지 기능부(112)가 단말기(100)의 도난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방법은 단말기(100) 움직임에 대한 판단을 근거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도난방지 기능부(112)는 단말기(100)가 방치된 상태에서 단말기(100)가 움직였다면 타인에 의해서 지배되거나 탈취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100)의 도난 우려가 감지되면, 도난방지 기능부(112)는 스피커(SPK)를 통해서 경보음을 출력한다. 도난 우려에 대한 조치는 경보음 이외에도 다른 수단을 통해서 단말기(100)를 점유하는 자 또는 주변 사람들에게 알람을 보낼 수 있다.
제외지역 설정부(114)는 지도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정보에 특정 지역을 설정함으로써 제외지역을 설정한다. 이와 같은 제외지역으로 설정된 지역은 도난방지 기능부(112)의 동작을 제한한다. 즉, 단말기(100)가 제외지역에 위치할 경우에는 도난 우려에 대한 조치 동작 예컨대, 경보음 출력을 하지 않는다.
이처럼 제외지역을 설정하는 것은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계속 소지하는 상태는 아니지만, 단말기(100)가 사용자로부터 멀리 이탈하지 않는 점유범위 내에 있을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이처럼 단말기(100)가 사용자와 근접한 상태에서는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다고 하여도 도난의 우려가 적고, 도난방지 기능으로 인해서 불필요한 경보음 등의 출력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외지역의 설정은 도난의 우려가 적은 곳, 사용자가 장시간 오래 머무르는 빈도가 높은 곳 또는 정숙을 요구하는 장소 등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제외지역 설정부(114)를 통한 제외지역 설정의 실시예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제외지역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와 같이 지도를 표시부(118)에 표시한다. 지도를 표시하는 것은 제외지역 설정을 위한 초기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수행되고, 이와 동시에 제외지역 설정부(114)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116)가 표시된다.
지도는 메모리(142)에 저장된 지도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될 수 있고, 메모리(142)에 형태가 다른 지도 정보가 둘 이상 저장될 경우에 지도의 변경을 위한 맵설정 버튼(124)이 입력부(116)에 포함될 수 있다.
지도의 이동과 확대/축소는 터치 패널로 구현되는 표시부(118) 상에서 화면의 터치로 동작가능하다. 그리고 단말기(100)가 위치한 지역의 지도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현재위치 버튼(121)의 입력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외지역 메뉴를 통해서 지도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외지역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중심 지역을 선정한다. 중심 지역은 표시부(118)에 표시된 지도의 특정 영역을 터치(클릭)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부주의로 인한 터치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 초(second) 누름 상태를 지속함으로써 제외지역의 중심을 선정할 수 있다. 이처럼 중심 지역을 선정하면, 표시부(118)는 중심지역을 핀(131) 등의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18)에 핀(131)을 통해서 중심지역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올바른 지역이 선정된 것을 확인하고 핀 추가 버튼(122)을 이용하여 중심지역을 확정할 수 있다. 이처럼 중심지역이 확정되면 표시부(118)는 핀(131)의 형태가 바뀐 확정핀(132)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동시에 표시부(118)는 확정핀(132)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반경(r)을 표시하여, 확정핀(132)을 중심으로 한 일정 반경(r)의 범위를 갖는 제외지역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설정되는 제외지역은 둘 이상의 복수 개가 될 수 있고, 도 4는 핀 보기 버튼(126)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제외지역이 나타나는 표시부(118)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한 설정된 제외지역은 확정핀(132)을 선택한 이후에 핀 삭제 버튼(123)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제외지역이 설정된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도난방지 방법을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난방지 기능의 작동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서, [보안 모드]의 동작이 선택됨으로써 시작된다.
[보안 모드]는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통제범위를 벗어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기(100)는 [보안 모드] 상태에서 설정시간 동안 위치의 변화가 없으면 사용자의 통제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보안 모드]는 "백 그라운드(back ground)"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처럼 도난방지 기능이 "백 그라운드" 상태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도난방지 기능을 수행한 상태에서도 단말기의 다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S201)
그리고 설정시간 동안 단말기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단말기의 움직임이 있다는 것은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소지하고 있다고 간주한다. 만약 설정시간 동안 단말기의 움직임이 없다면 사용자의 점유범위를 벗어나 방치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단말기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는 것은 방위각 센서를 이용하여 설정시간 전/후의 위치를 측정하고, 설정시간 전/후의 위치가 다를 경우에 단말기가 움직인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S202)
이때 기준위치와 현재위치가 동일하지 않다면 단말기(100)는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점유범위에 있다고 간주하여 [보안 모드]가 유지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설정시간" 마다 단말기(10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이 반복된다.
만약 "설정시간'이 지난 이후에 기준위치와 현재위치가 동일하다면,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점유범위를 벗어나서 방치된 상태라고 간주하여 [락(Lock) 모드]가 작동된다. [락 모드]는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점유범위를 벗어난 상태라고 간주하여, 타인에 의해서 단말기(100)가 지배되는 것을 감시한다.(S203)
[락 모드]는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도난가능성을 감시한다. 즉, [락 모드]는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점유범위를 벗어난 것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에, 이때 단말기(100)가 움직인다는 것은 타인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한다.(S204,S205)
[락 모드]에서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도난방지 기능부(112)는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고, 단말기(100)가 제외지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단말기(100)의 위치가 제외지역 범위 내에 있다면,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소지를 벗어난 상태라 할지라도 도난의 우려가 적거나, 사용자가 점유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지역이라는 것이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도난방지 기능부(112)는 경보음 등의 대응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난방지 기능부(112)는 최신으로 측정된 위치를 기반으로 단말기(100)의 움직임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그리고 단말기(100)가 제외지역을 벗어나 있다면 경보음을 출력하여 단말기(100)를 지배하려하는 타인이나 주변사람들에게 경고한다.(S207)
도난방지 기능을 해제하는 것은 입력부(116)를 통해서 해제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수행된다. 해제명령은 비밀번호 등의 입력을 통한 방법을 이용한다. 이처럼 해제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도난방지 기능과 경보음이 중지된다.(S208,S209)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외지역 설정을 통한 휴대 단말기의 도난방지 방법은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점유에서 벗어난 상태에서도 미리 설정된 제외지역 범위에서는 도난 우려에 대한 대응조치를 제한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점유상태에 있음에도 불과하고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보음 등의 출력을 자제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Claims (7)

  1. 단말기에 제공되는 지도 정보에 일정 영역을 제외지역으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기가 설정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을 경우에 동작하는 락 모드에서,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 2 단계;
    상기 단말기가 움직일 경우에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제외지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외지역을 벗어나 있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서 경보음을 출력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외지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지도를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지도에 특정 지점을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 범위 내의 영역을 제외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외지역 설정을 통한 휴대 단말기의 도난방지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임의의 시점에서 상기 단말기의 기준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시점에서 일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단말기의 현재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위치와 현재위치의 차이가 일정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상기 단말기가 움직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외지역 설정을 통한 휴대 단말기의 도난방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외지역에 위치할 경우에는 경보음을 출력하지 않고 상기 제 3 단계에서 측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외지역 설정을 통한 휴대 단말기의 도난방지 방법.
  5. 위치측정을 위한 위성항법시스템 수신기;
    지도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지도 정보에 특정영역으로 설정되는 제외지역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지도 정보에 상기 제외지역의 추가 및 삭제 등의 설정을 위한 제외지역 설정부;
    단말기가 사용자의 점유범위를 벗어난 상태에서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위성항법시스템 수신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제외지역을 벗어난 상태에서 움직일 경우에 경보음 등을 출력하는 도난방지 기능부; 및
    상기 지도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제외지역이 설정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 기능부는 방위각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외지역이 설정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 기능부 및 상기 제외지역 설정부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는 플랫폼에 연동되는 응용프로그램으로서,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외지역이 설정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KR1020110100942A 2011-10-05 2011-10-05 제외지역이 설정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도난방지 방법 KR101244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942A KR101244867B1 (ko) 2011-10-05 2011-10-05 제외지역이 설정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도난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942A KR101244867B1 (ko) 2011-10-05 2011-10-05 제외지역이 설정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도난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867B1 true KR101244867B1 (ko) 2013-03-25

Family

ID=48182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942A KR101244867B1 (ko) 2011-10-05 2011-10-05 제외지역이 설정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도난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6482A1 (zh) * 2022-09-02 2024-03-07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工作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121A (ko) * 2004-04-21 2004-05-14 (주) 비주얼텍 Gps와 기지국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장소에서의 단말기의 작동 모드 변환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진 단말기
KR20060044206A (ko)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124216A (ko) * 2005-05-31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JP2007019719A (ja) 2005-07-06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無線通信ユニット、および使用制限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121A (ko) * 2004-04-21 2004-05-14 (주) 비주얼텍 Gps와 기지국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장소에서의 단말기의 작동 모드 변환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진 단말기
KR20060044206A (ko)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124216A (ko) * 2005-05-31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JP2007019719A (ja) 2005-07-06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無線通信ユニット、および使用制限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6482A1 (zh) * 2022-09-02 2024-03-07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工作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8755B2 (en) Private and public applications
EP2605611B1 (en) Mobile/portable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8571521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RU261767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терминальной аппаратуры и терминальная аппаратура
EP3151117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laying information broadcasting
US10545660B2 (en) Multi touch combination for viewing sensitive information
US20130082974A1 (en) Quick Access User Interface
US9854562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displaying notifications
US201301477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67572B2 (en) Mobile device lock-out system
KR20140136633A (ko) 휴대형 전자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
EP2821881B1 (en) Device capable of startup ui presentation, method of said presentation and non-tempora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esentation program
KR20160027775A (ko)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118830A (ko) 휴대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6112566A1 (zh) 系统处理方法、系统处理装置和终端
KR20150057841A (ko) 스마트 워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575130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721454B2 (en) Method for protecting terminal devices and the terminal device thereof
KR20140028426A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방해 금지 모드 수행 방법
KR101244867B1 (ko) 제외지역이 설정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도난방지 방법
EP3248859B1 (en) Anti-theft method and device for a balance vehicle
KR101244885B1 (ko)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도난방지 방법
EP31826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monitoring
KR20140062211A (ko) 이동 단말기
CN112685733A (zh) 安全检测方法、安全检测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