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042B1 -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연동장치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042B1
KR101244042B1 KR1020060058010A KR20060058010A KR101244042B1 KR 101244042 B1 KR101244042 B1 KR 101244042B1 KR 1020060058010 A KR1020060058010 A KR 1020060058010A KR 20060058010 A KR20060058010 A KR 20060058010A KR 101244042 B1 KR101244042 B1 KR 101244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system
information
ubiquitous
integrated control
control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305A (ko
Inventor
문상균
백송훈
서명우
서동섭
이석우
박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058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042B1/ko
Publication of KR2008000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외부시스템 연동 장치는,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내부시스템 연동부와 통신하여 외부시스템으로 전송할 정보를 수신하는 내부시스템 접속모듈; 외부시스템에 접속하여 내부시스템 접속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외부시스템에 전달하고, 외부시스템에서 전달된 정보를 내부시스템 접속모듈로 전달하는 외부시스템 접속모듈; 및 내부시스템 접속모듈과 외부시스템 접속모듈 사이에 구비되어 전송되는 정보를 내부시스템 연동부 또는 외부시스템에 따른 정보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 연동장치{EXTERNAL SYSTEM INTERCONNECTED OPERATING DEVICE IN UBIQUITOUS CITY TOTAL CONTROLLING PLATFORM}
도 1은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스템 연동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외부시스템 10; 알람/지령부
20; GIS 30; 통합 DB
40; 운영관리부 50; 상황판 출력부
60; 내부시스템 연동부 70; 서비스 연동부
71~73; 관제 서비스 80; 정보수집부
100; 외부시스템 연동장치 110; 내부시스템 접속모듈
120; 데이터변환모듈 130; 외부시스템 접속모듈
140; 로그/이력관리모듈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 연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시스템에 접속하여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과 외부시스템 간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Ubiquitous)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유비쿼터스는 다양한 기기 또는 사물에 일종의 컴퓨터를 탑재하고,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기술의 환경 또는 패러다임을 뜻한다. 유비쿼터스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도 정보 기술을 활용할 수 있고,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비쿼터스 개념을 이용하여 도시의 관제를 수행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개념을 이용하여 설계된 도시를 유비쿼터스 도시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유비쿼터스 도시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인프라(infra)의 구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교통 통제 등의 서비스의 경우, 현재 교통량을 측정하기 위한 각종 시설을 설치하고 이러한 시설의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시설을 구축하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경로 또한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서비스는 통상적으로 폐쇄적인 구조로 설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프라는 하나의 서비스만을 위해 구축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폐쇄적인 구조의 설계로 인하여 유비쿼 터스 도시에 존재하는 유사한 서비스 간의 또는 기존 서비스와의 서비스간 연동이 불가능하다.
폐쇄적인 서비스 구축 방법은 유비쿼터스 도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하나인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점이 없지만, 실제로 다양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유비쿼터스 도시에서는 무리한 서비스 기반의 중복 투자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비스 간의 연동이 불가능하여 서비스 관리와 제어에 혼선이 있을 수 있으며, 정보의 미공유로 인하여 정보획득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이 필요하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들은 각각의 서비스에 따라 통제 및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되는 경우, 동일 공간에 중복적인 설비 투자를 초래한다. 이러한 설비의 중복 투자를 방지하기 위해 공통적 기능은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각 서비스 간의 효율적 연동을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은 기존에 설치된 외부 네트워크 등의 외부시스템과의 연동을 필요로 한다. 교통 방송 등을 위해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량을 확인하여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네트워크 등이 외부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또한 관공서 등과 같이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과 다른 외부시스템과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관공서는 경찰청, 소방청 및 국방부 등에 따라 별도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공서 등에 어떠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외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시스템을 연결하여, 외부에서 운용되는 외부시스템과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 간의 정보교류를 지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 연동 장치는,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내부시스템 연동부와 통신하여 외부시스템으로 전송할 정보를 수신하는 내부시스템 접속모듈; 외부시스템에 접속하여 내부시스템 접속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외부시스템에 전달하고, 외부시스템에서 전달된 정보를 내부시스템 접속모듈로 전달하는 외부시스템 접속모듈; 및 내부시스템 접속모듈과 외부시스템 접속모듈 사이에 구비되어 전송되는 정보를 내부시스템 연동부 또는 외부시스템에 따른 정보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은 유비쿼터스 도시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은 알람/지령부(10), GIS(20), 통합 DB(30), 운영관리부(40), 상황판 출력부(50), 내부시스템 연동부(60), 서비스 연동부(70), 정보수집부(80) 및 외부시스템 연동장치(100)를 포함한다.
알람/지령부(10)는 유비쿼터스 도시의 관제에 따라 경보 등을 발령하여 정해진 업무 집단 또는 관리자 등에 지령을 발령하는 역할을 한다. 알람/지령부(10)는 유비쿼터스 도시에 이상 상황 발생 등으로 인하여 경보 발생이 필요한 경우에 지정된 경고 메시지 등을 운영자 등의 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GIS(Geography Information System)(20)는 유비쿼터스 도시의 지리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각각의 서비스에서 필요로 하는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경우, 정보수집부(80)의 각종 센서를 통해서 정보를 수집한다. 그러나 정보수집부(80)를 통해 수집된 정보는 각각의 센서 등의 위치와 같은 지리 정보는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비스들은 GIS(20)를 통해서 필요한 지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합 DB(30)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를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통합 관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운영자, 외부시스템의 운영자 또는 기타 정보 접근 권한을 가진 운용자는 언제든지 통합 DB(30)에 접속하여 유비쿼터스 도시의 상황 정보 및 다양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운영관리부(40)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정상 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운영관리부(40)는 주기적으로 플랫폼의 각 구성요소에 테스트 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각 구성요소가 정상 동작하는가를 체크 한다. 확인 결과 특정 구성요소에 이상이 발생하면 알람/지령부(10)로 이상 발생을 통보한다.
상황판 출력부(50)는 도시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상황판을 통해 통합적으로 출력한다. 즉, 상황판 출력부(50)는 유비쿼터스 도시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에 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받아, 이를 화면에 현시해줌으로써 플랫폼 운영자가 도시 내의 모든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해준다.
내부시스템 연동부(60)는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 내부의 각종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하여 통신을 하는 경우 플랫폼 내부의 연결관계의 복잡화 및 네트워크에 많은 트래픽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 간에 내부시스템 연동부(60)를 통해서 통신을 함으로써 플랫폼에서의 연결관계를 단순화하여 트래픽의 관리 및 연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서비스 연동부(70)는 도시의 운영을 위해 필요한 관제 서비스(71~73)를 수용하고, 서비스 간의 연동을 통한 정보 교환을 지원한다. 도시의 관제 서비스(71~73)는 서비스의 특징에 따른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때 일부 정보는 서비스에 따라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서비스에서 생성된 정보는 다른 서비스의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서비스 연동부(70)는 이러한 정보의 공유를 지원한다.
여기에서 관제 서비스(71~73)는 도로/교통, 환경감시, 공공시설. 치안/방재 등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정보수집부(80)는 유비쿼터스 도시 내에 구비된 각종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 및 관리를 한다. 정보수집부(80)는 서비스 연동부(70)에 유비쿼터스 도시의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함으로써 각종 서비스 간의 정보를 교환 및 연동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시스템 연동장치(100)는 도시 관제에 필요한 외부시스템(1)과 접속하여 정보 교환을 지원한다. 유비쿼터스 도시에는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과는 별도로 외부에서 운용되는 독립적인 시스템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관공서, 소방서 및 경찰서 등과 같은 기관에서 운용하는 별도의 네트워크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시스템(1)은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과는 별도로 동작한다. 하지만 유비쿼터스 도시에서는 이러한 외부시스템(1)과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 간의 정보 교환이 필요할 수 있다. 외부시스템 연동장치(100)는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과 외부시스템(1) 간의 정보가 교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스템 연동장치(10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스템 연동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외부시스템 연동장치(100)는 내부시스템 접속모듈(110), 데이터변환모듈(120), 외부시스템 접속모듈(130) 및 로그/이력관리모듈(140)로 구성된다.
내부시스템 접속모듈(110)은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내부시스템 연동부(60)와 접속하는 모듈이다. 내부시스템 접속모듈(110)은 내부시스템 연동부(60)와의 접속 및 접속의 유지를 하고, 내부시스템 연동부(60)로부터 상황 또는 지령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달받는다. 또한 내부시스템 접속모듈(110)은 데이터변환모듈(1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내부시스템 연동부(6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변환모듈(120)은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내부시스템 연동부(6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외부시스템에 적합한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외부시스템 연동장치(100)로 전달된 정보를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한다. 데이터변환모듈(120)은 내부시스템 접속모듈(110)과 외부시스템 접속모듈(130)의 사이에 존재하며 데이터 포맷(format)의 변환 및 전달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XML이나 HTML 등의 메시지 형식을 이용하여 외부시스템에 해당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메시지 형식은 해당 외부시스템에 따라 헤더(header) 부분 및 내용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시스템 접속모듈(130)은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 외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시스템(1)을 접속하고, 외부시스템(1)과의 정보 교환을 수행한다. 외부시스템 접속모듈(130)은 외부시스템(1)과의 접속 및 접속 유지를 관리한다.
로그/이력관리모듈(140)은 외부시스템 연동장치(100)의 내부시스템 연동부(60) 및 외부시스템(1)으로의 접속을 기록하는 역할을 한다. 로그/이력관리모 듈(140)은 내부시스템 연동부(60)와 외부시스템(1) 간의 통신데이터 및 접속 송수신 이력 등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통신 수행시 발생한 오류 등에 대한 정보도 기록한다. 이러한 로그(log) 정보(접속 기록) 등의 정보는 통합 DB(30)에도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스템 연동장치(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알람/지령부(10) 등의 동작에 의해서 외부시스템(1)으로 전송할 메시지가 발생한다.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알람/지령부(10)는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 등을 발생한다. 예를 들어, 유비쿼터스 도시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알람/지령부(10)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방서 등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 외부시스템(1)으로 전송할 정보가 발생하면 내부시스템 연동부(60)를 통해 외부시스템 연동장치(100)로 전달된다. 외부시스템 연동장치(100)는 내부시스템 접속모듈(110)을 통해 내부시스템 연동부(60)로부터 외부시스템(1)으로 전송할 정보를 전달받는다.
내부시스템 접속모듈(110)은 수신한 정보를 데이터변환모듈(120)로 전달하여 정보를 전달할 외부시스템(1)의 포맷에 맞게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시스템(1)은 소방서의 네트워크 등이 될 수 있다. 데이터변환모듈(120)이 외부시스템(1)으로 전송할 정보를 외부시스템(1)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한 후, 외부시스템 접속모듈(130)로 전달한다.
외부시스템 접속모듈(130)은 데이터변환모듈(12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으면, 전송할 해당 외부시스템(1)에 접속한다. 외부시스템 접속모듈(130)이 해당 외부시스템(1)에 접속하여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외부시스템 접속모듈(130)은 이와 같은 동작에 따른 접속, 정보 송수신 이력 및 각종 오류 발생에 따른 로그 정보를 로그/이력관리모듈(140)로 전달한다.
로그/이력관리모듈(140)은 데이터변환모듈(120)로 로그 정보를 전달하여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통합 DB(30)에 로그 정보를 저장한다. 로그/이력관리모듈(140)은 저장 공간의 제약 등으로 인하여 방대한 양의 로그 정보를 저장할 수 없다. 따라서 로그/이력관리모듈(140)은 소정 기간 또는 소정 용량의 로그 정보만 저장하고, 통합 DB(30)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갱신 및 기록한다. 또한 로그 정보가 통합 DB(30)에 저장되어 있으면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운영자가 언제든지 접속하여 로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스템 연동장치(100)는 외부시스템 연동장치(100)의 정상적인 동작을 스스로 테스트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는 외부시스템 연동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인 내부시스템 접속모듈(110), 데이터변환모듈(120), 외부시스템 접속모듈(130) 및 로그/이력관리모듈(140)의 동작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거나, 외부시스템(1) 또는 내부시스템 연동부(60) 등에 접속을 명령하여 정상적으로 접속하는지의 여부 등을 확인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스템 연동장치(100)의 데이터변환모듈(120)은 외부시스템(1)에 따라 다양한 정보 형식을 추가하거나 정정할 수 있다. 외부시스템 연동장치(100)는 데이터변환모듈(120)에 정보 형식을 등록하는 것을 통해 더 많은 외부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 연동 장치는,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외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시스템을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 내부에 수용된 다양한 관제 서비스와 외부시스템 간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도록 하고, 기 설치된 외부시스템이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과 연계되어 운용될 수 있도록 하여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과 외부시스템의 유기적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시스템 연동장치는 외부시스템에서 정의된 다양한 전송규약(Protocol)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여 정보를 해당 형식에 맞도록 변환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시스템간의 연동을 유연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경고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알람/지령부;
    상기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내부시스템 연동부를 통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달받는 내부시스템 접속모듈;
    상기 내부시스템 접속모듈로부터 전달받은 경고 메시지를 상기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시스템에 전달하는 외부시스템 접속모듈; 및
    상기 내부시스템 접속모듈과 상기 외부시스템 접속모듈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상기 외부시스템의 데이터 포맷에 맞게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모듈
    을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 연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시스템의 접속 이력, 정보 송수신 이력 및 정보 전송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오류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로그/이력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 연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이력관리모듈은,
    상기 외부시스템의 접속 이력, 정보 송수신 이력 및 정보 전송 과정에서 오 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오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 연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시스템 접속모듈, 상기 외부시스템 접속모듈 및 상기 데이터변환모듈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시뮬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 연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변환모듈은,
    상기 내부시스템 접속모듈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전송받은 정보를 상기 외부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data format)으로 재구성하고, 상기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전송받은 정보를 상기 내부시스템 연동부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재구성하여 정보 형식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 연동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변환모듈은,
    상기 외부시스템에 따라 다른 정보 형식을 등록 및 정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 연동장치.
KR1020060058010A 2006-06-27 2006-06-27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연동장치 KR101244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010A KR101244042B1 (ko) 2006-06-27 2006-06-27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010A KR101244042B1 (ko) 2006-06-27 2006-06-27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305A KR20080000305A (ko) 2008-01-02
KR101244042B1 true KR101244042B1 (ko) 2013-03-14

Family

ID=3921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010A KR101244042B1 (ko) 2006-06-27 2006-06-27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0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6748A (ko) * 2009-09-08 2011-03-1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U-시티에서의 u-가상 센터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10069196A (ko) 2009-12-17 2011-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막 구조물의 형성 방법 및 리세스 채널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288A (ko) * 2004-12-21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Xml 기반 센서 데이터 스트림 처리 프레임워크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288A (ko) * 2004-12-21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Xml 기반 센서 데이터 스트림 처리 프레임워크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305A (ko)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09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fire alarm systems
US86818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istent communications, interoperability and situational awareness in the aftermath of a disaster
KR100925288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시스템
US7231483B2 (en) Bus station with integrated bus monitor function
US709184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ling information regarding an alarm for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186774B1 (ko)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시스템
KR101219205B1 (ko)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CA3017632C (en) Nfc enabled wireless process communication gateway
JP2011034181A (ja) 遠隔監視又は遠隔操作のための異種通信サーバーシステム
KR101186765B1 (ko)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정보 수집 장치
KR101244042B1 (ko)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의 외부시스템연동장치
US7836173B2 (en) Access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related method and informatics product
CN101512450B (zh) 数据记录装置
KR20020007039A (ko) 수질 오염 원격 조기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DE60139420D1 (de) Überwachung mobiler einheiten
WO2010032262A2 (en) A system for monitoring, managing and controlling dispersed networks
KR101278855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 모듈
KR101849297B1 (ko) 원격 접속이 가능한 선박
JPH1188967A (ja) 測定局データ収集装置
KR101171435B1 (ko) 검침 데이터 집합 장치, 이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KR20080000304A (ko)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상황판 출력장치
US20120072545A1 (en) Remote maintenance and monitoring service framework for heterogeneous device and system
KR100541635B1 (ko) 네트워크 디바이스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JP2002124908A (ja) グループ通信システム
KR100882836B1 (ko) 방재용 계측 모니터링 환경에서 다수의 프로토콜을지원하는 분산 공유형 경보상황 전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