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842B1 -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842B1
KR101243842B1 KR1020110081496A KR20110081496A KR101243842B1 KR 101243842 B1 KR101243842 B1 KR 101243842B1 KR 1020110081496 A KR1020110081496 A KR 1020110081496A KR 20110081496 A KR20110081496 A KR 20110081496A KR 101243842 B1 KR101243842 B1 KR 101243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unit
solar panel
heat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9506A (ko
Inventor
이경호
곽희열
주문창
윤응상
주홍진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81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8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9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40/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of solar heat collectors; Preventing malfunction of solar heat collectors
    • F24S40/20Cleaning; Removing sn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집열 진공관으로 이루어지는 태양열 집열부와, 상기 태양열 집열부의 상부에서 수평이동하며 태양열 집열부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하되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부와, 상기 태양광 패널부의 저면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부의 수평이동시, 태양열 집열부 표면의 이물질을 쓸어내리며 제거하는 제 1클린수단 및 상기 태양광 패널부의 상부에 이격설치되어 태양광 패널부가 이동하면서 상부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클린수단으로 구성되어, 타이머부에 의해 사전설정 시간간격마다 작동되거나 또는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태양열 집열부 및 태양광 패널부의 표면을 청결하게 유지하여 효율저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Waste Cleaning Apparatus for Combined System of Solar Thermal and PV}
본 발명은 태양열과 태양광을 동시에 사용하여, 열에너지와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복합장치의 표면 이물질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국제적인 환경 문제와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계의 각 국에서는 대체 에너지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 고조는 최근의 국제적인 유가급등 문제와, 장래의 국제적인 에너지 문제와 긴밀한 관련성이 있다고 하겠다.
한편, 이러한 에너지 문제나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대체 에너지 중에서, 특히 태양에너지 이용은 무한한 에너지원이라는 측면에서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 주로 일조 건은 유럽이 좋지만 우리나라 또한 일조 건이 상당히 좋은 편이므로 태양에너지 활용은 대단히 유용한 에너지 활용 방안으로 간주한다.
이와 같은 태양에너지의 활용에 대한 종래의 기술은 크게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 형태와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은 선진국 및 국내에서도 상당한 연구가 진행되어 상용화되어 있으며, 현재 효율 향상이나 고품질쪽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태양열의 경우 태양 복사열을 흡수하여 온수를 생산하고 그 온수를 사용하여 건물의 난방이나 급탕을 공급한다. 이러한 태양열 시스템은 주간에는 태양열을 집열하여 축열조에 온수 형태로 저장하였다가 필요 시 축열조에 저장된 온수를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태양열 시스템을 이용함에 있어서, 태양광 또는 태양열을 수광하는 부위에 꽃가루,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거나, 겨울철의 경우 쌓이는 눈에 의해 태양열 시스템의 작동 상태가 현저히 떨어져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태양열 시스템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태양열 시스템의 집열효율저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의 개발요구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열과 태양광을 동시에 사용하되, 태양열 집열부의 상부를 태양광 패널부가 평행하게 이동하면서, 계절의 변화 및 사용자가 원하는 부하에 따라 태양열의 노출면적을 증가 및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태양광 패널부가 이동시에 태양광 패널부의 저면에 설치된 제 1클린수단에 의해 태양열 집열부의 표면 이물질이 쓸리며 제거되도록 하거나, 또는 이와 동시에, 이동되는 태양광 패널부 자체의 상부 표면 이물질 또한 고정설치된 제 2클린수단에 의해 쓸려 제거될 수 있도록 한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수의 집열 진공관(11)이 동일평면상에 상호간 이격되며 다수배열되어, 태양열을 집열하는 태양열 집열부(10); 상기 태양열 집열부(10)의 상부측에서 태양열 집열부(10)와 평행을 이루며 이동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태양열 집열부(10)를 태양에 노출시키거나 또는 차단시키며,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패널부(20); 상기 태양광 패널부(20)를 태양광 패널부(20) 상부에서 수평이동시키는 이송장치(30); 상기 태양광 패널부(20)의 저면 일단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부(20)가 태양열 집열부(10) 상부에 겹쳐지도록 이동될 시, 상기 태양열 집열부(10) 표면이 쓸리면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제 1클린수단(4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부의 수평이동시, 태양열 집열부 및 태양광 패널부 표면의 꽃가루, 먼지, 눈, 등의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되어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린수단이 착탈이 가능하여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절의 변화 및 사용자의 실시여부에 따라 클린작업을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린작업이 자동시행됨에 따라, 이물질에 의한 집열효율 감소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사람이 직접 청소를 시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비 감소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열 집열부의 상부를 수평이동하는 태양광 패널부를 통해, 하절기 등과 같은 과열조건시의 태양열 집열부 과열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클린수단이 설치된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2클린수단이 설치된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가 설치된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감지센서, 제어부, 타어머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개념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수의 집열 진공관(11)이 동일평면상에 상호간 이격되며 다수배열되어, 태양열을 집열하는 태양열 집열부(10); 상기 태양열 집열부(10)의 상부측에서 태양열 집열부(10)와 평행을 이루며 이동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태양열 집열부(10)를 태양에 노출시키거나 또는 차단시키며,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패널부(20); 상기 태양광 패널부(20)를 태양광 패널부(20) 상부에서 수평이동시키는 이송장치(30); 상기 태양광 패널부(20)의 저면 일단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부(20)가 태양열 집열부(10) 상부에 겹쳐지도록 이동될 시, 상기 태양열 집열부(10) 표면이 쓸리면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제 1클린수단(4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열 집열부(10) 일측 상단부에 이격되며 고정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부(20)가 태양열 집열부(10) 겹쳐지도록 이동될 시, 상기 태양광 패널부(20) 상면이 쓸리면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제 2클린수단(50);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열 집열부(10) 및 태양광 패널부(20)의 상부 표면의 먼지 두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0a, 60b); 먼지 두께가 설정수치에 도달하면, 상기 태양광 패널부(20)를 수평이동시켜, 태양열 집열부(10) 상부에 겹쳐지도록 이동시키거나 또는 겹쳐진 상태인 경우 겹쳐지지 않도록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61);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 패널부(20)가 설정시간마다 또는 설정시간에 수평이동되도록 이송장치(30)를 작동시키는 타이머부(70);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클린수단(40)의 설치부위에 동반설치되어, 상기 태양열 집열부(10) 표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장치(80);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30)는 상기 태양광 패널부(20)의 상, 하부에 이격 설치되는 레일(31); 상기 태양광 패널부(20)의 상,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레일(31)을 따라 회전가능한 가이드장치(32); 상기 태양광 패널부(20)의 테두리에 맞물리도록 고정설치되어 회전됨으로써, 태양광 패널부(20)를 좌, 우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동력장치(3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클린수단(40, 50)은 탈부착이 가능하며, 유연성 재질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는 태양열 집열부(10), 태양광 패널부(20), 제 1클린수단(40), 제 2클린수단(50)을 포함한다.
상기 태양열 집열부(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의 태양열을 집열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판 형태의 설치판(12)과, 상기 설치판(12)의 상면에서 다수의 집열 진공관(11)이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되며 일방향을 향해 수평배열되어 하나의 태양열 집열부(10)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집열 진공관(11)은 일실시예로,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태양열을 흡수하는 집열판(13)과, 상기 집열판(13)에 의해 가열된 진공관 내 열을 전달받아 기화되고, 일단의 매니폴더(15)에서 열교환하면서 응축되어 외부(집열매체(ex: 축열기 등))에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열교환냉매가 유동되는 히트파이프(14)로 이루어진다. 이는 공지된 기술이기에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물론, 이러한 태양열 집열부(10)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단일개 또는 다수개가 동일평면상에 연속배열되어 사용될 수 있음이다.(이는 후술될 태양광 패널부(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태양광 패널부(2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의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태양광 패널부(20)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인버터를 통해 교류로 변환되어 사용처(가정 등)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태양광 패널부(20)는 태양열 집열부(10)의 상부측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후술될 이송장치(30)에 의해 태양광 패널부(20)의 상부에서 수평이동이 되는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태양광 패널부(20)가 태양광 패널부(20) 상부에 겹쳐지지 않는 형태로 위치되어 있는 경우, 태양광 패널부(20)를 태양열 집열부(10) 상부측에 겹쳐지는 형태가 되도록 수평이동되거나 또는 태양광 패널부(20)와 태양열 집열부(10)가 겹쳐져 있는 상태라면 상호간 겹쳐지지 않도록 태양광 패널부(20)가 일방향으로 수평이동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태양광 패널부(20)는 태양열 집열부(10)의 크기와 동일하게 제작되어 단일개가 사용되거나 또는 태양열 집열부(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는 태양광 패널부(20) 다수개를 횡과 종방향의 격자형태로 연속배열하여 태양열 집열부(10)와 동일한 크기로 구성하여 사용하거나, 태양열 집열부(10)의 절반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가 사용되어 태양열 집열부(10)의 좌, 우측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이다.
상기 이송장치(3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여름철 등 태양열 집열부(10)의 과도한 집열을 방지하기 위한 경우 또는 후술될 제 1클린수단(40) 또는 제 2클린수단(50)을 통한 클린작업을 시행하기 위한 경우 등)에 따라, 전술된 태양광 패널부(20)를 태양열 집열부(10)의 상부에서 좌 또는 우측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전술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부(20)와 태양열 집열부(10) 상호간이 겹쳐지도록 이송시키거나 또는 겹쳐지지 않도록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한 이송장치(30)는 태양광 패널부(20)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이격되어 각각 소정길이를 가지며 설치되는 레일(31)과, 상기 태양광 패널부(20)의 상부측과 하부측에서 레일(31)에 대응되도록 각각 돌출형성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부(20)가 태양열 집열부(10)의 상부에서 레일(31)을 따라 수평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장치(ex: 도르래 등)(32)와, 상기 태양광 패널부(20)의 테두리(하단)에 맞물리도록 고정설치되어, 회전축(34)의 회전력에 의해 태양광 패널부(20)가 레일(3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장치(ex: 모터 등)(3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동력장치(33)의 회전축(34)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태양광 패널부(20)의 하단에도 길이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축(34)의 나사산이 태양광 패널부(20)의 나사산과 맞물리면서, 고정되어 회전되는 동력장치(33)에 의해 태양광 패널부(20)가 좌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이송장치(30)는 상기 태양열 집열부(10)와 태양광 패널부(20) 모두를 사용할 시에는 상기 태양광 패널부(20)가 태양열 집열부(10)의 상부에 겹쳐지지 않도록, 태양광 패널부(20)를 태양열 집열부(10)의 일측으로 이동시키고, 여름철 등 집열되는 에너지에 비해 소모되는 에너지가 적은 시기 등에는 상기 태양열 집열부(10)를 통한 과도한 집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태양열 패널부(20)가 태양열 집열부(10)의 상부에 겹쳐지도록 이동되어, 상기 태양열 집열부(10)가 태양열을 받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것이다.(제 1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제 1경우 외에, 전술된 태양열 집열부(10) 표면의 이물질(꽃가루, 먼지, 눈 등)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송장치(30)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부(20)를 태양열 집열부(10) 상부에서 수평이동시키는데 사용한다. 이와 같은 경우는 후술될 제 1클린수단(40) 및 제 2클린수단(50)을 설명시 상세히 기재하도록 한다.(제 2경우)
상기 제 1클린수단(4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열 집열부(10)(더욱 자세히는 다수의 집열 진공관(11)의 표면)에 쌓이게 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태양광 패널부(20) 의 저면 일단측에서 태양열 집열부(10)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실시예에 따라 1열, 또는 다수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클린수단(40)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유연성 재질(고무 등)이 사용되어, 태양열 집열부(10)와 접촉하며 휘어질 수 있도록 하며,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는 후술될 제 2클린수단(5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상기 태양광 패널부(20)가 태양열 집열부(10)에 상부에 겹쳐지지 않은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태양광 패널부(20)를 이송장치(30)를 통해 태양열 집열부(10) 상부측으로 수평이송을 시키게 되면, 상기 태양광 패널부(20)가 이동하는 동안 태양광 패널부(2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된 제 1클린수단(40)이 다수의 집열 진공관(11) 상부표면을 쓸어내려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광 패널부(20)가 태양열 집열부(10)에 상부에 겹쳐져 있는 위치인 경우에는, 상기 태양광 패널부(20)를 태양열 집열부(1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이 경우에도 태양광 패널부(20)의 제 1클린수단(40)이 태양열 집열부(10)의 다수 집열 진공관(11) 상부표면을 쓸어내리며 이물질이 제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태양광 패널부(20)의 제 1클린수단(40)이 설치되지 않은 타측 방향으로 수평이동을 시켜야만 제 1클린수단(40)을 통해 다수의 집열 진공관(11)을 모두 거치며 클린작업한 후, 태양광 패널부(20)가 태양열 집열부(10)와 상호간 겹쳐지지 않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클린수단(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태양열 집열부(10)의 상부 일측에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설치부재(61)의 저면에 매달려 있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태양광 패널부(20)가 태양열 집열부(10)의 상부에 겹쳐지도록 이동되는 경우 및 최초 상기 태양광 패널부(20)가 태양열 집열부(10)의 상부에 겹쳐져 있다가 겹쳐지지 않는 상태로 이동되는 경우에, 고정되어 있는 제 2클린수단(50)에 의해 태양광 패널부(20)의 상부 표면의 이물질을 쓸어 내려져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제 1클린수단(40)과 마찬가지로 제 2클린수단(50) 또한 실시예에 따라 1열, 또는 다수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부(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태양광 패널부(2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된 제 1클린수단(40) 설치부위의 전단 또는 후단에 동반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클린수단(40)을 통해 태양열 집열부(10)를 클린작업시, 태양열 집열부(10)에 물을 분사하여 더욱 효과적인 클린작업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사장치(80)는 태양광 패널부(20) 뿐만 아니라, 전술된 제 2클린수단(50)이 설치된 부위에도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부(20)의 상면에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타이머부(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이송장치(30)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태양광 패널부(20)가 전술된 (제 1경우)에 의해 작동됨으로 인해 제 1, 2클린수단(40, 50)이 클린작업을 하는 것 외에, 사용자가 상기 타이머부(70)를 통해 사전에 설정시간(작동되는 시간)을 미리 설정해 놓음으로써, 태양광 패널부(20)가 이러한 타이머부(70)에 의한 이송장치(30) 구동으로 설정시간마다 반복적으로 수평이동되거나 또는 설정시간에 단한번 수평이동되어, 제 1, 2클린수단(40, 50)을 통한 태양열 집열부(10) 및 태양광 패널부(20)의 클린작업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감지센서(60a, 60b) 및 제어부(6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태양열 집열부(10) 및 태양광 패널부(20) 상부에 각각 감지센서(60a)(60b)를 설치하고, 감지센서(60a, 60b)에서 감지신호를 제어부(61)로 전송하면,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61)가 이송장치(30)를 구동시켜 태양광 패널부(20)가 수평이동되면서 제 1, 2클린수단(40, 50)을 통한 클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61)는 상기 복수개의 감지센서(60a, 60b) 중 하나로부터, 쌓여있는 먼지의 두께(D)가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설정수치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이송장치(3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물론 이러한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기준이 되는 먼지의 두께 설정수치는 사용자가 사전에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복수개의 감지센서(60a, 60b) 각각은 태양열 집열부(10) 및 태양광 패널부(20)에 각각 단일개씩 설치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태양열 집열부(10)에 감지센서를 다수개씩 설치하여 태양열 집열부(10)의 다양한 부분의 먼지 두께를 측정한 후 이를 평균내어 사용하는 형태로 사용하고 태양광 패널부(20)에도 각각의 집열 진공관(11)마다 먼지 두께를 측정하는 다수의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측정된 각 수치를 합하여 평균내어 사용하는 등, 먼지 두께를 측정하는 용도라면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태양열 집열부 11: 집열 진공관
12: 설치판 20: 태양열 패널부
30: 이송장치 31: 레일
32: 가이드장치 33: 동력장치
34: 회전축 40: 제 1클린수단
50: 제 2클린수단 60a, 60b: 감지센서
61: 제어부 70: 타이머부
80: 분사장치

Claims (7)

  1. 다수의 집열 진공관(11)이 동일평면상에 상호간 이격되며 다수배열되어, 태양열을 집열하는 태양열 집열부(10);
    상기 태양열 집열부(10)의 상부측에서 태양열 집열부(10)와 평행을 이루며 이동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태양열 집열부(10)를 태양에 노출시키거나 또는 차단시키며,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패널부(20);
    상기 태양광 패널부(20)를 태양광 패널부(20) 상부에서 수평이동시키는 이송장치(30);
    상기 태양광 패널부(20)의 저면 일단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부(20)가 태양열 집열부(10) 상부에 겹쳐지도록 이동될 시, 상기 태양열 집열부(10) 표면이 쓸리면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제 1클린수단(40);
    상기 태양열 집열부(10) 일측 상단부에 이격되며 고정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부(20)가 태양열 집열부(10) 겹쳐지도록 이동될 시, 상기 태양광 패널부(20) 상면이 쓸리면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제 2클린수단(5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열 집열부(10) 및 태양광 패널부(20)의 상부 표면의 먼지 두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0a, 60b);
    먼지 두께가 설정수치에 도달하면, 상기 태양광 패널부(20)를 수평이동시켜, 태양열 집열부(10) 상부에 겹쳐지도록 이동시키거나 또는 겹쳐진 상태인 경우 겹쳐지지 않도록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61);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부(20)가 설정시간마다 또는 설정시간에 수평이동되도록 이송장치(30)를 작동시키는 타이머부(70);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클린수단(40)의 설치부위에 동반설치되어, 상기 태양열 집열부(10) 표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장치(80);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30)는
    상기 태양광 패널부(20)의 상, 하부에 이격 설치되는 레일(31);
    상기 태양광 패널부(20)의 상,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레일(31)을 따라 회전가능한 가이드장치(32);
    상기 태양광 패널부(20)의 테두리에 맞물리도록 고정설치되어 회전됨으로써, 태양광 패널부(20)를 좌, 우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동력장치(3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클린수단(40, 50)은
    탈부착이 가능하며, 유연성 재질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7. 삭제
KR1020110081496A 2011-08-17 2011-08-17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1243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496A KR101243842B1 (ko) 2011-08-17 2011-08-17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496A KR101243842B1 (ko) 2011-08-17 2011-08-17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506A KR20130019506A (ko) 2013-02-27
KR101243842B1 true KR101243842B1 (ko) 2013-03-20

Family

ID=4789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496A KR101243842B1 (ko) 2011-08-17 2011-08-17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8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316B1 (ko) * 2019-03-13 2022-01-11 이문상 태양광 패널 청소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7961U (ja) * 2007-11-19 2009-01-29 葉 明祥 太陽光発電及び蓄熱装置
KR101040129B1 (ko) * 2011-02-17 2011-06-09 에스오태양에너지주식회사 태양에너지 전기공급을 위한 슬라이드타입의 야간발광판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7961U (ja) * 2007-11-19 2009-01-29 葉 明祥 太陽光発電及び蓄熱装置
KR101040129B1 (ko) * 2011-02-17 2011-06-09 에스오태양에너지주식회사 태양에너지 전기공급을 위한 슬라이드타입의 야간발광판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506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8972B1 (ko) 태양전지 패널 청소장치
CN204710743U (zh) 一种光伏板清洁装置
US9481017B2 (en) Ramp cleaning device for solar energy technologies
CN203010982U (zh) 太阳能热水器集热排管表面自动清洗装置
CN203875067U (zh) 轨道式节水光伏发电站电池组件清洁设备
CN205701781U (zh) 一种太阳能光伏板干式清灰装置
CN205056510U (zh) 一种全天候光伏太阳能电池板清扫机器人
CN204948013U (zh) 一种带除雪装置的全天候光伏太阳能电池板清扫机器人
CN110918529B (zh) 清扫机器人
CN110227671A (zh) 一种光热定日镜镜面清洁装置
CN205797952U (zh) 一种二维清扫光伏组件的智能无水清洁机器人
CN209205863U (zh) 一种塔式光热定日镜无水清洁设备
CN107470210A (zh) 一种光伏电池板清洁器
CN205304720U (zh) 一种可全气候清洁除尘的太阳能电池板
KR101243842B1 (ko) 태양열 태양광 복합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CN105526720A (zh) 一种自动清洁高产热型平板集热器
CN206993044U (zh) 一种光伏发电装置
KR20200096012A (ko) 태양열 및 태양광 복합장치
CN211802580U (zh) 清扫机器人
CN102950122A (zh) 一种用于光伏电池阵列的移动干式除尘装置
CN207975861U (zh) 一种槽式光热电站反射镜自动清洗装置
CN109631369A (zh) 优化用户侧配置的分布式新能源储能设备
CN209068784U (zh) 一种自动清洁的太阳能热水器
CN204877812U (zh) 一种太阳能发电装置
CN204159570U (zh) 高效光伏农业大棚组件横向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