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420B1 -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 - Google Patents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420B1
KR101243420B1 KR1020110067650A KR20110067650A KR101243420B1 KR 101243420 B1 KR101243420 B1 KR 101243420B1 KR 1020110067650 A KR1020110067650 A KR 1020110067650A KR 20110067650 A KR20110067650 A KR 20110067650A KR 101243420 B1 KR101243420 B1 KR 101243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ce chamber
combustion
resonance
chamber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938A (ko
Inventor
민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10067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420B1/ko
Priority to PCT/KR2012/005290 priority patent/WO2013009028A2/ko
Publication of KR20130005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20/00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eans for storing heat from flames
    • F23M20/005Noise absorb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10/00Noise abat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기로부터 버너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연소용 가스의 혼합유체의 유동중 발생하는 연소실 내부의 소음을 공명작용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보일러 또는 온수기 등의 연소기기의 조용한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와 연소용 가스의 혼합유체를 연소시키는 버너와, 상기 버너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을 포함하는 연소기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와 버너 사이의 유로 상에는 공명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COMBUSTOR HAVING RESONANCE CHAMBERS}
본 발명은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기와 버너 사이에 공명실을 설치하여 버너로 공급되는 공기와 연소용 가스의 혼합유체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연소 소음을 흡음 및 감쇄시킴으로써 보일러 또는 온수기 등 연소기기의 조용한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 또는 온수기 등의 연소기기는 공기와 연료의 혼합유체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시키고, 가열된 물을 배관을 따라 순환시킴으로써 실내 난방용으로 사용하거나 온수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보일러 또는 온기수용 연소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종래 일반적인 연소기기는, 송풍기(10)로부터 공급된 외부 공기와 가스밸브(25)로부터 공급된 연소용 가스의 혼합유체를 연소시키는 버너(20)와, 상기 버너(20)가 내부에 설치되어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30)과, 상기 버너(20)의 연소에 의해 연소실(30)에서 발생된 연소생성물의 연소열을 열교환배관(50) 내부를 따라 흐르는 난방수 또는 온수에 전달하는 열교환기(40)와,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한 연소생성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연도(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소기기에서, 연소열을 높이기 위하여 버너(20)의 부하를 높이게 되면, 송풍기(1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가스밸브(25)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가스의 공급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공기와 가스의 압력변동이 증가함에 따라 공기와 가스 및 이들의 혼합유체의 유동 과정에서 소음을 유발하게 되고, 버너(20)의 연소시 연소실(30)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더해져 열교환기(40)와 배기후드(60)를 통해 외부로 전파됨으로써 연소기기의 작동중 심한 소음을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연소기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소실(30)과 열교환기(40) 및 배기후드(60)로 연결되는 연소생성물의 흐름 경로 상에 흡음재를 구비한 별도의 소음기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연소기기 내부의 고온·고압에 견디기 위해서는 흡음재가 난연성과 내구성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하므로 사용 가능한 흡음재의 종류에 제약이 따를 뿐만 아니라, 단일 재질로 이루어진 흡음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소음만을 흡수하게 되므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흡수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소음기의 설치를 위해서는 연소기기 내부에 소음기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마련해야 하므로 연소기기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고, 소음기의 설치에 따른 공정수의 증가 및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보일러나 온수기에는 연소실(30) 내부에서 발생된 열에너지가 연소실(30) 외부로 전달되는 경우에 연소실(30) 주변 장치에 열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소실 냉각장치가 구비된다.
종래 연소실 냉각장치로는 연소실(30)의 내벽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건식 연소실 냉각장치와, 연소실(30)의 외벽에 난방수배관이 감겨진 습식 연소실 냉각장치가 알려져 있으나, 건식의 경우 열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고, 습식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송풍기로부터 버너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연소용 가스의 혼합유체의 유동중 발생하는 연소실 내부의 소음을 공명작용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보일러 또는 온수기 등의 연소기기의 조용한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소실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별도의 소음기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연소 시스템의 구조 변경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연소기기의 생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소실 냉각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는,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와 연소용 가스의 혼합유체를 연소시키는 버너와, 상기 버너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을 포함하는 연소기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와 버너 사이의 유로 상에는 공명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소실을 형성하는 연소실 몸체는 외측 구조물과 내측 구조물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구조물과 내측 구조물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혼합유체가 상기 외측 구조물과 내측 구조물을 경유하여 상기 버너 측으로 공급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가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공명실은 상기 유로가이드에 설치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가이드는, 상기 연소실 몸체와 상기 버너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격리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가장자리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 구조물과 내측 구조물 사이 공간을 내외측으로 분리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의 상측과 상기 수직부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공명실 커버가 설치되어, 상기 유로가이드와 공명실 커버 사이에 상기 공명실이 마련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명실 커버는, 상기 유로가이드의 수직부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좌측 공명실 커버와 우측 공명실 커버와 전면 공명실 커버 및 후면 공명실 커버와, 상기 유로가이드의 수평부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면 공명실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와 좌측 공명실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좌측 공명실과, 상기 수직부와 우측 공명실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우측 공명실과, 상기 수직부와 전면 공명실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전면 공명실과, 상기 수직부와 후면 공명실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후면 공명실 및 상기 수평부와 하면 공명실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하면 공명실은 서로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공명실은 상기 외측 구조물에 설치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명실은, 상기 외측 구조물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좌측 공명실 커버와 우측 공명실 커버와 전면 공명실 커버 및 후면 공명실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좌측 공명실과 우측 공명실과 전면 공명실 및 후면 공명실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 공명실과 우측 공명실과 전면 공명실 및 후면 공명실은 서로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공명실은 상기 내측 구조물에 설치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명실은, 상기 내측 구조물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좌측 공명실 커버와 우측 공명실 커버와 전면 공명실 커버 및 후면 공명실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좌측 공명실과 우측 공명실과 전면 공명실 및 후면 공명실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 공명실과 우측 공명실과 전면 공명실 및 후면 공명실은 서로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명실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공명실에는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천공되어 상기 혼합유체의 유로에 연통되는 연통홀이 한 개씩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명실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공명실에는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천공되어 상기 혼합유체의 유로에 연통되는 연통홀이 복수로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명실에는 슬릿 형상으로 나란하게 천공된 연통홀이 복수로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에 의하면, 송풍기와 버너 사이의 유로 상에 공명실을 마련하여 송풍기로부터 버너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연소용 가스의 혼합유체의 유동중 발생하는 소음 및 연소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연소기기의 조용한 운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실 몸체의 외측 구조물과 내측 구조물 사이에 유로가이드를 설치하여 혼합유체가 경유하는 연소실 냉각 유로를 형성하고, 그 연소실 냉각 유로 상에 공명실을 마련함으로써 별도의 소음기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연소기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소음기를 설치할 경우에 소요되는 추가 공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공명실을 독립적으로 위치시키고, 공명실의 체적을 달리 구성하거나 연통홀의 형상과 크기 및 개수를 달리 구성할 경우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혼합유체가 연소실 하부 몸체와 연소실 상부 몸체의 외측 구조물과 내측 구조물을 순차로 경유하여 버너 측으로 공급되도록 혼합유체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연소실 냉각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연소실의 냉각효율 및 연소기기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보일러 또는 온기수용 연소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에서 혼합유체의 흐름경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의 종단면도,
도 10은 공명실 커버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관(110)과 연소용 가스 유입관(120)이 입구단에 연결되어 유입된 공기와 연소용 가스의 혼합유체를 버너(240) 측으로 공급하는 송풍기(100)와, 상기 송풍기(100)의 상측에 연결되어 연소실(200)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혼합유체의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연소실 몸체(210,230)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100)와 버너(240) 사이의 혼합유체의 유로 상에는 혼합유체의 유동 소음 및 연소실(200) 내부에서 버너(240)의 연소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 및 상쇄하기 위한 공명실(310,320,330,340,350, 도 5 및 도 6 참조)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소실 몸체(210,230)는 송풍기(100)의 상측에 연통되어 연소실(20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연소실 하부 몸체(210)와, 상기 연소실 하부 몸체(210)의 상측에 결합되어 연소실(200) 둘레의 측벽을 구성하고 내부에는 버너(240)가 설치되는 연소실 상부 몸체(230)로 구성되고, 상기 연소실 하부 몸체(210)와 연소실 상부 몸체(230)에는 송풍기(100)로부터 공급된 혼합유체가 연소실(200)의 외벽을 냉각시킨 후에 버너(240)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연소실 냉각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소실 냉각 유로'란 송풍기(100)의 출구단으로부터 연소실(200)의 바닥면과 측벽을 순차로 경유하여 버너(240)의 하부로 연결되는 유체의 이동 통로를 의미하며, 상기 연소실 냉각 유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소실(200)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가이드(220)와 연소실 하부 몸체(210) 및 연소실 상부 몸체(230) 간의 결합구조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00)의 입구단에는 공기 유입관(110)과 함께 연소용 가스 유입관(120)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공기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상기 연소용 가스 유입관(120)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송풍기(100) 내부에서 혼합되고, 공기와 가스의 혼합유체는 송풍기(100)의 출구단을 통해 송출되어 상기 연소실 냉각 유로를 경유한 후에 버너(240)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기의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송풍기(100)의 상측에는 송풍기(100)의 출구단에 연통되는 연소실 하부 몸체(210)가 결합되고, 연소실 하부 몸체(210)의 일측에는 한 쌍의 체결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소실 하부 몸체(2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유로가이드(2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을 이루는 수평부(220a)와, 측벽을 이루는 수직부(220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직부(220b)는 좌측판(220b-1), 우측판(220b-2), 전면판(220b-3) 및 후면판(220b-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220a)의 일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홀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체결부(224)가 구비되어 연소실 하부 몸체(210)에 형성된 체결홈(21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유로가이드(220)의 수직부(220b)를 구성하는 좌측판(220b-1), 우측판(220b-2), 전면판(220b-3) 및 후면판(220b-4)의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각각 좌측 공명실 커버(311)와 우측 공명실 커버(321)와 전면 공명실 커버(331) 및 후면 공명실 커버(341)가 결합되고, 유로가이드(220)의 수평부(220a)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하면 공명실 커버(351)가 결합되며, 상기 공명실 커버(311,321,331,341,351)에는 각각 혼합유체의 유로와 연통되는 연통홀(311a,321a,331a,341a,35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가이드(220)의 좌측판(220b-1)과 좌측 공명실 커버(311) 사이에 좌측 공명실(310)이 형성되고, 우측판(220b-2)과 우측 공명실 커버(321) 사이에 우측 공명실(320)이 형성되며, 전면판(220b-3)과 전면 공명실 커버(331) 사이에 전면 공명실(330)이 형성되고, 후면판(220b-4)과 후면 공명실(341) 사이에 후면 공명실(340)이 형성되며, 유로가이드(220)의 수평부(220a)와 하면 공명실 커버(351) 사이에 하면 공명실(350)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공명실(310,320,330,340,350)은 공간적으로 서로 격리되어 독립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공명실(310,320,330,340,350)에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공명실(310,320,330,340,350)의 내부 공간은 서로 다른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311a,321a,331a,341a,351a)의 형상 및 크기와 개수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소실 하부 몸체(210)와 유로가이드(220) 간의 결합시, 연소실 하부 몸체(210)의 바닥면과 유로가이드(220)의 수평부(220a) 사이에는 상기 제1체결부(224)의 돌출된 길이에 의해 상하로 유격이 형성된다.
상기 연소실 하부 몸체(210)에 유로가이드(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연소실 하부 몸체(210)의 상측에는 연소실 상부 몸체(23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소실 하부 몸체(210)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플랜지(210a)와 연소실 상부 몸체(230)의 하단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230a)가 서로 맞대어져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연소실 상부 몸체(230)의 플랜지부(230a)의 일측에는 한 쌍의 제2체결부(234)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유로가이드(220)에 형성된 제1체결부(224)의 내부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연소실 하부 몸체(210)에 형성된 체결홈(214)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 상부 몸체(230)의 상단 가장자리부에는 플랜지부(230b)가 형성되어, 그 상측으로 열교환기(미도시됨) 및 배기후드(미도시됨)가 순차 결합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소실 상부 몸체(230)의 측벽은 외측 구조물(231)과, 그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내측 구조물(232)의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외측 구조물(231)은 연소실 상부 몸체(230)의 바깥측 외벽을 이루는 것으로, 외측 구조물(231)의 상단은 연소실 상부 몸체(230)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230b)에 연결되고, 외측 구조물(231)의 하단은 연소실 상부 몸체(230)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230a)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내측 구조물(232)은 그 상단이 연소실 상부 몸체(230)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230b)에 연결되고, 내측 구조물(232)의 하단부는 연소실(200)의 내측을 향해 만곡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구조물(232) 하단부의 만곡된 끝단에는 버너(240)의 케이스가 결합되어 연소실 상부 몸체(230)의 내부에 버너(240)가 안착된다.
상기 연소실 하부 몸체(210) 상에 유로가이드(220)와 연소실 상부 몸체(230)가 결합되면,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가이드(220)의 수평부(220a)는 연소실 하부 몸체(210)의 바닥면과 버너(240)의 하부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격리하게 된다.
그리고 유로가이드(220)의 수직부(220b)는 연소실 상부 몸체(230)의 외측 구조물(231)과 내측 구조물(232) 사이의 공간을 내외측으로 격리하되, 유로가이드(220)의 수직부(220b) 상단은 연소실 상부 몸체(230)의 상단 플랜지부(230b)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외측 구조물(231)과 내측 구조물(232) 사이의 상부 공간은 내외측으로 소통되는 구조가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소기기에서 송풍기(100)로부터 공급된 혼합유체가 버너(240) 측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소음의 흡수 및 연소실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에서 혼합유체의 흐름경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연소실 하부 몸체(210) 상에 공명실(310,320,330,340,350)이 구비된 유로가이드(220)가 결합되고, 그 상측으로 외측 구조물(231)과 내측 구조물(232)의 이중벽으로 구성된 연소실 상부 몸체(230)가 결합되며, 내측 구조물(232)의 하단부에 버너(240)가 안착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 냉각 유로는, 송풍기(100)로부터 공기와 연소용 가스의 혼합유체가 송출되는 제1공간(A)과, 연소실 하부 몸체(210)의 바닥면과 유로가이드(220)의 수평부(220a)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B)과, 외측 구조물(231)과 유로가이드(220)의 수직부(220b) 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C)과, 유로가이드(220)의 수직부(220b)의 상단과 연소실 상부 몸체(230)의 상단 플랜지부(230b)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어 외측 구조물(231)의 상부와 내측 구조물(232)의 상부 사이에 내외측으로 연통되는 제4공간(D)과, 내측 구조물(232)과 유로가이드(220)의 수직부(220b) 사이에 형성되는 제5공간(E) 및 버너(240)의 하부와 유로가이드(220)의 수평부(220a) 사이에 형성되는 제6공간(F)이 순차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5공간(E)에는 좌측 공명실(310)과 우측 공명실(320)과 전면 공명실(330) 및 후면 공명실(340)이 설치되고, 상기 제6공간(F)에는 하면 공명실(350)이 설치된 구조가 된다.
연소기기가 작동되어 송풍기(100)가 회전되면, 공기 유입관(110)과 연소용 가스 유입관(120)을 통해 유입되어 혼합된 공기와 연소용 가스의 혼합유체는 상기 제1공간(A)으로 송출되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혼합유체는 유로가이드(220)의 수평부(220a)에 의해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유로가 전환되어 제2공간(B)을 통과하면서 연소실 하부 몸체(210)를 냉각하게 되고, 상기 제2공간(B)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유체는 연소실 하부 몸체(210)의 가장자리부에서 상향으로 유로가 전환되어 제3공간(C)을 통과하면서 연소실 상부 몸체(230)의 외측 구조물(231)을 냉각하게 되며, 제3공간(C)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는 유체는 제4공간(D)에서 다시 유로가 하향으로 전환된 뒤에, 제5공간(E)을 따라 하향 이동되면서 연소실 상부 몸체(230)의 내측 구조물(232)을 냉각시킨 후에, 유로가이드(220)의 수평부(220a)에 의해 다시 수평 방향의 내측을 향해 유로가 전환되어 제6공간(F)을 경유하여 버너(240)의 하부에 공급된다.
한편, 연소기기의 작동시, 연소 부하에 따라 버너(240)에 공급되는 혼합유체의 유량이 조절되고, 송풍기(100)로부터 송출되어 연소실 냉각 유로를 따라서 버너(240)에 공급된 혼합유체는 버너(240)에서 점화되어 연소실(200) 내부에서 연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혼합유체의 유동 및 압력변화에 따른 소음과 함께 혼합유체의 점화에 따른 연소 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소음은 연소 부하의 크기에 비례하게 된다.
이러한 소음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혼합유체가 통과하는 연소실 냉각 유로 상에 공명실(310,320,330,340,350)이 구비되어, 상기 혼합유체의 유동과 함께 전파되는 소음은 유로가이드(220)의 수직부(220b)의 내측에 구비되는 좌측 공명실 커버(311)와 우측 공명실 커버(321)와 전면 공명실 커버(331) 및 후면 공명실 커버(341)에 각각 형성된 연통홀(311a,321a,331a,341a)을 통과하여 좌측 공명실(310)과 우측 공명실(320)과 전면 공명실(330) 및 후면 공명실(340) 내부로 유입되고, 유로가이드(220)의 수평부(220a)의 상측에 구비되는 하면 공명실 커버(351)에 형성된 연통홀(351a)을 통과하여 하면 공명실(35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공명실(310,320,330,340,350) 내부로 유입된 소음은 공명실(310,320,330,340,350)의 체적 및 공명실 연통홀(311a,321a,331a,341a,351a)의 형상과 크기 및 개수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공명작용에 의해 감쇄하게 된다. 즉, 공명실(310,320,330,340,350)에서의 공명작용은 혼합가스의 유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연소실(200) 내부에서 연소시 발생하는 소음이 공명실 연통홀(311a,321a,331a,341a,351a)을 통과하여 공명실(310,320,330,340,350) 내로 전파되어 그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소음의 음파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소음이 흡음 및 감쇄되며, 일반적인 소음기에 설치되는 별도의 흡음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소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각 공명실(310,320,330,340,350)은 연소실(200)의 측면과 바닥면을 둘러싸며 서로 격리되어 독립적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각 공명실(310,320,330,340,350)에서는 서로 다른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명실(310,320,330,340,350)이 유로가이드(220)의 수평부(220a)와 수직부(220b)에 구비되어 연소실(200)의 5면을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연소실(200)의 측면으로 전파되는 소음뿐만 아니라 연소실(200)의 저면으로 전파되는 소음 또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명실(310,320,330,340,350)이 유로가이드(220)에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풍기(100)로부터 버너(240)로 연결되는 혼합유체의 유로 상에 설치되는 경우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은 공명실의 설치 구조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기는, 공명실(410,420)이 연소실 상부 몸체(230)의 외측 구조물(231)에 구비된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구조물(231)의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좌측 공명실 커버(411)와 우측 공명실 커버(421)가 결합되어, 외측 구조물(231)과 좌측 공명실 커버(411) 사이에 좌측 공명실(410)이 마련되고, 외측 구조물(231)과 우측 공명실 커버(421) 사이에 우측 공명실(42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공명실 커버(411)와 우측 공명실 커버(421)에는 각각 연통홀(411a,4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연소실(200)의 전면과 후면에도 외측 구조물(231)의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전면 공명실 커버(미도시)와 후면 공명실 커버(미도시)가 결합되어 전면 공명실(미도시)과 후면 공명실(미도시)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공명실(410,420)이 연소실(200) 측벽의 최외곽부인 외측 구조물(231)에 설치됨으로써, 혼합유체의 유동 소음 및 연소실(2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소 소음이 모두 공명실(410,420)을 경유하도록 구성되므로 소음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기는, 공명실(510,520)이 연소실 상부 몸체(230)의 내측 구조물(232)에 구비된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구조물(232)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좌측 공명실 커버(511)와 우측 공명실 커버(521)가 결합되어, 내측 구조물(232)과 좌측 공명실 커버(511) 사이에 좌측 공명실(510)이 마련되고, 내측 구조물(232)과 우측 공명실 커버(521) 사이에 우측 공명실(52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공명실 커버(511)와 우측 공명실 커버(521)에는 각각 연통홀(511a,5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연소실(200)의 전면과 후면에도 내측 구조물(232)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전면 공명실 커버(미도시)와 후면 공명실 커버(미도시)가 결합되어 전면 공명실(미도시)과 후면 공명실(미도시)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공명실(510,520)이 내측 구조물(232)에 설치되므로, 혼합유체의 유동 소음 및 연소실(2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공명실 커버를 단열재로 구성할 경우에는 연소실(200)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이 유로가이드(220)의 수직부(220b)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공명실이 유로가이드(220)와 외측 구조물(231) 및 내측 구조물(232)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장점을 살려 공명실이 유로가이드(220)와 외측 구조물(231) 및 내측 구조물(232)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중첩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각 공명실을 형성하는 공명실 커버는 연소실 내부 구조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연소실(200)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연소열이 연소실(200)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명실 커버에 천공되는 연통홀은,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a) 연소실 커버(311-1)에 하나의 연통홀(311a-1)이 원형으로 형성된 구조, (b) 연소실 커버(311-2)에 하나의 연통홀(311a-2)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구조, (c) 연소실 커버(311-3)에 복수의 연통홀(311a-3)이 원형으로 형성된 구조, (d) 연소실 커버(311-4)에 복수의 연통홀(311a-4)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구조, (e) 연소실 커버(311-5)에 복수의 연통홀(311a-5)이 슬릿 형상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구조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연통홀(311a-3,311a-4,311a-5)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흡수하기 위해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공명실 연통홀의 형상과 크기 및 개수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소실(2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송풍기(100)와 버너(240) 사이에 연소실 냉각 유로를 형성하고, 그 유로 상에 공명실을 설치함으로써, 연소실 냉각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연소실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해지며, 연소기기의 작동중 발생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독립적으로 배치된 공명실에서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연소 부하가 커지더라도 연소기기의 조용한 운전이 가능해진다.
10 : 송풍기 20 : 버너
25 : 가스밸브 30 : 연소실
40 : 열교환기 50 : 열교환배관
60 : 배기후드 100 : 송풍기
110 : 공기 유입관 120 : 연소용 가스 유입관
200 : 연소실 210 : 연소실 하부몸체
210a : 플랜지부 214 : 체결홈
220 : 유로가이드 220a : 유로가이드의 수평부
220b : 유로가이드의 수직부 220b-1 : 좌측판
220b-2 : 우측판 220b-3 : 전면판
220b-4 : 후면판 224 : 제1체결부
230 : 연소실 상부몸체 231 : 외측 구조물
232 : 내측 구조물 230a,230b : 플랜지부
234 : 제2체결부 240 : 버너
310,410 : 좌측 공명실 311,411 : 좌측 공명실 커버
311a,411a : 연통홀 320,420 : 우측 공명실
321,421 : 우측 공명실 커버 321a,421a : 연통홀
330 : 전면 공명실 331 : 전면 공명실 커버
331a : 연통홀 340 : 후면 공명실
341 : 후면 공명실 커버 341a : 연통홀
350 : 하면 공명실 351 : 하면 공명실 커버
351a : 연통홀
311-1,311-2,311-3,311-4,311-5 : 공명실 커버
311a-1,311a-2,311a-3,311a-4,311a-5 : 연통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와 연소용 가스의 혼합유체를 연소시키는 버너와, 상기 버너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을 포함하는 연소기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와 버너 사이의 유로 상에는 공명실이 구비되되,
    상기 연소실을 형성하는 연소실 몸체는 외측 구조물과 내측 구조물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구조물과 내측 구조물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혼합유체가 상기 외측 구조물과 내측 구조물을 경유하여 상기 버너 측으로 공급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공명실은 상기 유로가이드에 설치되고,
    상기 유로가이드는, 상기 연소실 몸체와 상기 버너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격리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가장자리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 구조물과 내측 구조물 사이 공간을 내외측으로 분리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의 상측과 상기 수직부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공명실 커버가 설치되어, 상기 유로가이드와 공명실 커버 사이에 상기 공명실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실 커버는,
    상기 유로가이드의 수직부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좌측 공명실 커버와 우측 공명실 커버와 전면 공명실 커버 및 후면 공명실 커버와, 상기 유로가이드의 수평부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면 공명실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와 좌측 공명실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좌측 공명실과, 상기 수직부와 우측 공명실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우측 공명실과, 상기 수직부와 전면 공명실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전면 공명실과, 상기 수직부와 후면 공명실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후면 공명실 및 상기 수평부와 하면 공명실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하면 공명실은 서로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
  6. 삭제
  7.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와 연소용 가스의 혼합유체를 연소시키는 버너와, 상기 버너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을 포함하는 연소기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와 버너 사이의 유로 상에는 공명실이 구비되되,
    상기 연소실을 형성하는 연소실 몸체는 외측 구조물과 내측 구조물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구조물과 내측 구조물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혼합유체가 상기 외측 구조물과 내측 구조물을 경유하여 상기 버너 측으로 공급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공명실은 상기 외측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공명실은, 상기 외측 구조물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좌측 공명실 커버와 우측 공명실 커버와 전면 공명실 커버 및 후면 공명실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좌측 공명실과 우측 공명실과 전면 공명실 및 후면 공명실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 공명실과 우측 공명실과 전면 공명실 및 후면 공명실은 서로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
  8. 삭제
  9.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와 연소용 가스의 혼합유체를 연소시키는 버너와, 상기 버너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을 포함하는 연소기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와 버너 사이의 유로 상에는 공명실이 구비되되,
    상기 연소실을 형성하는 연소실 몸체는 외측 구조물과 내측 구조물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구조물과 내측 구조물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혼합유체가 상기 외측 구조물과 내측 구조물을 경유하여 상기 버너 측으로 공급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공명실은 상기 내측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공명실은, 상기 내측 구조물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좌측 공명실 커버와 우측 공명실 커버와 전면 공명실 커버 및 후면 공명실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좌측 공명실과 우측 공명실과 전면 공명실 및 후면 공명실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 공명실과 우측 공명실과 전면 공명실 및 후면 공명실은 서로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
  10. 제4항, 제7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실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공명실에는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천공되어 상기 혼합유체의 유로에 연통되는 연통홀이 한 개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
  11. 제4항, 제7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실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공명실에는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천공되어 상기 혼합유체의 유로에 연통되는 연통홀이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
  12. 제4항, 제7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실에는 슬릿 형상으로 나란하게 천공된 연통홀이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

KR1020110067650A 2011-07-08 2011-07-08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 KR101243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650A KR101243420B1 (ko) 2011-07-08 2011-07-08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
PCT/KR2012/005290 WO2013009028A2 (ko) 2011-07-08 2012-07-03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650A KR101243420B1 (ko) 2011-07-08 2011-07-08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38A KR20130005938A (ko) 2013-01-16
KR101243420B1 true KR101243420B1 (ko) 2013-03-13

Family

ID=4750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650A KR101243420B1 (ko) 2011-07-08 2011-07-08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3420B1 (ko)
WO (1) WO2013009028A2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2305A (ko) * 2003-07-01 2007-01-25 티악스 엘엘씨 외연엔진에 사용되는 레큐퍼레이터 및 연소기, 및 이것을사용한 동력발생 시스템
JP2008101851A (ja) * 2006-10-19 2008-05-01 Rinnai Corp 燃焼用送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999A (ja) * 1994-11-29 1996-06-11 Hitachi Ltd 消音器付送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2305A (ko) * 2003-07-01 2007-01-25 티악스 엘엘씨 외연엔진에 사용되는 레큐퍼레이터 및 연소기, 및 이것을사용한 동력발생 시스템
JP2008101851A (ja) * 2006-10-19 2008-05-01 Rinnai Corp 燃焼用送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9028A2 (ko) 2013-01-17
WO2013009028A3 (ko) 2013-03-07
KR20130005938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81432A1 (en) Fuel/Air Mixture and Combus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Use in a Fuel-Fired Heating Apparatus
US11339964B2 (en) Inward fired low NOX premix burner
EP3477199B1 (en) Combustion apparatus
JP5735410B2 (ja) 燃焼装置
KR101243420B1 (ko) 공명실을 구비한 연소기기
KR101282116B1 (ko) 공명실을 구비한 보일러 또는 온수기용 연소-열교환기 시스템
KR101216807B1 (ko) 급기공기를 이용한 연소실 냉각구조
US9127839B2 (en) Combustion apparatus
WO1990010824A1 (en) Pulse combustion apparatus
RU2005109936A (ru) Горелка, в частности горелка вентури, с топочной трубой
KR101925312B1 (ko) 버너 열 교환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US6945196B1 (en) Gas-fired water heater
RU2296921C2 (ru) Подогреватель жидких или газообразных сред
KR101262206B1 (ko) 배기가스의 열 회수가 가능한 연소장치
US20200173689A1 (en) Inward fired low nox premix burner
CN108006648B (zh) 一种低温辐射型燃烧器
KR101080595B1 (ko) 보일러용 공명형 소음기
CN212842184U (zh) 基于二次进风的燃气低氮壁挂炉
KR20130025501A (ko) 믹싱챔버 내에 공명실을 구비한 버너 시스템
RU2552868C1 (ru) Отопительный котёл
KR102610572B1 (ko) 베이 가스버너
JP2008275257A (ja) 貯湯式給湯器
RU2739001C2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для печей для выпечки
KR100224373B1 (ko) 열구동 열펌프용 표면 화염 방식의 예혼합 연소기 및 공기 예열기 조합체
KR101363366B1 (ko) 연소실과 믹싱챔버가 내부에 구비된 냉각기를 채용한 버너-열교환기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