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192B1 -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192B1
KR101243192B1 KR1020110077047A KR20110077047A KR101243192B1 KR 101243192 B1 KR101243192 B1 KR 101243192B1 KR 1020110077047 A KR1020110077047 A KR 1020110077047A KR 20110077047 A KR20110077047 A KR 20110077047A KR 101243192 B1 KR101243192 B1 KR 101243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torage
control signal
generating
contro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185A (ko
Inventor
김종율
권순만
전진홍
최흥관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7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1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04Control effected upon non-electric prime mover and dependent upon electric output value of the gener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0003Control strategies in general, e.g. linear type, e.g. P, PI, PID, using robust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10Control effected upon generator excitation circuit to reduce harmful effects of overloads or transients, e.g. sudden application of load, sudden removal of load, sudden change of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1/00Special adaptation of control arrangements for generators
    • H02P2101/15Special adaptation of control arrangements for generators for wind-driven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풍력발전 설비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풍력발전 설비의 출력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풍력발전 설비의 상기 풍력발전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계통 측으로의 순시 출력치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집된 순시 출력치를 이용하여 상기 풍력발전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다른 충방전 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충방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동작 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협조 제어를 통해 풍력발전 설비의 출력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풍력발전 설비의 과도한 출력 변동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utput of wind power gener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풍력발전 설비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풍력발전 설비의 출력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 설비의 경우 기상조건에 따라 출력이 상시로 변동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섬 계통이나 상대적으로 규모가 적은 약소계통과 풍력발전 설비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과도한 출력변동으로 인한 주파수 변동, 전압 변동, 및 고조파 발생 등에 의해 풍력발전 설비가 공급하는 전력 품질이 저하되어 결국 풍력발전 설비 인근의 전력 계통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풍력발전 설비의 과도한 출력 변동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풍력발전 설비와 에너지 저장 장치를 연결한 후 풍력발전 설비의 출력 변동에 따라 에너지 저장 장치를 충전 또는 방전하여 풍력발전 설비의 과도한 출력 변동을 완화시킴으로써 풍력발전 설비의 출력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의 경우 특정한 종류의 단일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하여 풍력발전 설비의 출력 변동을 완화시키게 되므로 에너지 저장 장치의 특성에 따라 풍력발전 설비의 출력 안정화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서로 다른 동작 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협조 제어를 통해 풍력발전 설비의 출력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은 (a) 풍력발전 설비의 상기 풍력발전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계통 측으로의 순시 출력치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집된 순시 출력치를 이용하여 상기 풍력발전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다른 충방전 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충방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시스템은 풍력 발전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에너지 저장부; 상기 제1 에너지 저장부와 병렬 연결되는 제2 에너지 저장부; 상기 풍력 발전 설비의 순시 출력치를 수집한 후 상기 순시 출력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충방전 특성을 갖는 상기 제1 에너지 저장부 및 상기 제2 에너지 저장부 각각의 충방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제1 에너지 저장부의 출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동작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제2 에너지 저장부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동작 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협조 제어를 통해 풍력발전 설비의 출력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풍력발전 설비의 과도한 출력 변동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풍력발전 설비의 순시 출력치를 수집한 후 수집된 순시 출력치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므로 각 에너지 저장 장치의 동작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제어 신호 생성부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제1 동작 제어부의 상세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전류 벡터 기준값 생성부의 상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도 5의 S20에 대한 상세 순서도, 및
도 7은 도 5의 S30에 대한 상세 순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설비 출력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설비 출력 시스템(1)은 풍력발전 설비(10), 제1 에너지 저장부(20), 제2 에너지 저장부(30), 제어 신호 생성부(40), 제1 동작 제어부(50), 및 제2 동작 제어부(60)를 포함한다.
풍력 발전 설비(10)는 풍력 발전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을 풍력 발전 설비(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계통(Electric Power System:EPS) 측으로 출력한다.
이때, 풍력 발전 설비(10)는 단위기 또는 복수기 일 수 있다.
제1 에너지 저장부(20)는 풍력 발전 설비(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풍력 발전 설비(10)의 출력 안정화를 위한 에너지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제2 에너지 저장부(30)는 제1 에너지 저장부(20)와 병렬 연결되며 풍력 발전 설비(10)의 출력 안정화를 위한 에너지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에너지 저장부(20)와 제2 에너지 저장부(30)는 서로 다른 서로 다른 충방전 동작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에너지 저장부(20)는 충방전 동작 특성이 비교적 빠르고 저장 용량이 작은 슈퍼 커패시터일 수 있고, 제2 에너지 저장부(30)는 충방전 동작 특성이 비교적 느리고 저장 용량이 큰 납축전지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에너지 저장부(20)는 제2 에너지 저장부(30)와 비교시 상대적으로 빠른 충방전 동작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제2 에너지 저장부(30)는 제1 에너지 저장부(20)와 비교시 상대적으로 느린 충방전 동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40)는 풍력 발전 설비(10)의 순시 출력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한 후 상기 실시간으로 수집된 순시 출력치를 이용하여 제1 에너지 저장부(20) 및 제2 에너지 저장부(30) 각각의 충방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 신호 생성부(40)의 상세 구성은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동작 제어부(50)는 제1 에너지 저장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 신호 생성부(40)에서 생성된 후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제1 에너지 저장부(20)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고, 제2 동작 제어부(60)는 제2 에너지 저장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 신호 생성부(40)에서 생성된 후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제2 에너지 저장부(30)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에너지 저장부(20)와 제1 동작 제어부(50)의 사이 및 제2 에너지 저장부(30)와 제2 동작 제어부(60) 사이에는 제1 에너지 저장부(20) 및 제2 에너지 저장부(30)에 미리 저장된 에너지를 전송받아 직류 전력 형태로 충전하거나 또는 직류 전력 형태로 충전된 에너지를 제1 에너지 저장부(20) 및 제2 에너지 저장부(30) 또는 제1 동작 제어부(50) 및 제2 동작 제어부(60) 측으로 방전하는 커패시터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동작 제어부(50)와 제2 동작 제어부(60)의 상세 구성은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제어 신호 생성부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신호 생성부(40)는 제1 제어 신호 생성부(41), 신호 분기부(43), 제2 제어 신호 생성부(45), 및 제3 제어 신호 생성부(47)를 포함한다.
제1 제어 신호 생성부(41)는 풍력 발전 설비(10)로부터 전력 계통 측으로 출력되는 순시 출력치(P_PCC)를 수집한 후 상기 순시 출력치와 미리 결정된 풍력 발전 설비(10)의 정상 출력치(P_PCC_Ref)의 차를 계산하여 제1 제어 신호(P_cmd)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풍력발전 설비(10)의 순시 출력 안정화를 위해 제1 에너지 저장 장치(20) 및 제2 에너지 저장 장치(30)에 요구되는 총 출력 명령일 수 있다.
신호 분기부(43)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양측으로 분기하고, 제2 신호 생성부(45)는 신호 분기부(43)에 의해 양측으로 분기된 신호 중 일측으로 분기된 신호(P_cmd1)을 하이 패스 필터링하여 제2 제어 신호(P_STESS_Ref)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풍력 발전 설비의 출력 변동 중 변동이 심한 출력 변동을 의미하는 고주파 성분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명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제1 동작 제어부(50)로 전송되며, 제2 동작 제어부(60)는 상기 전송된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제1 에너지 저장부(20)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3 신호 생성부(47)는 신호 분기부(43)에 의해 양측으로 분기된 신호 중 타측으로 분기된 신호(P_cmd2)를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제3 제어 신호(P_LTESS_Ref)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3 제어 신호는 풍력 발전 설비(10)의 출력 변동 중 변동이 완만한 출력 변동을 의미하는 저주파 성분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명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제어 신호는 제2 동작 제어부(60)로 전송되며, 제1 동작 제어부(50)는 상기 전송된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제2 에너지 저장부(30)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신호 생성부(40)가 제1 제어 신호를 양측으로 분기한 후 하이 패스 필터링 및 로우 패스 필터링에 의해 상기 제2 제어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풍력 발전 설비의 출력 안정화를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총출력 명령을 의미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경우 변동이 심한 고주파 성분과 변동이 완만한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분기한 후 하이 패스 필터링에 의해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로우 패스 필터링에 의해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성분과 저주파 성분을 분리한 후, 에너지 저장 장치의 빠른 충방전 제어가 필요한 고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동특성이 빠르고 충방전 사이클에 제한이 없는 슈퍼 커패시터인 제1 에너지 저장 장치(20)가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에너지 저장 장치의 느린 충방전 제어가 필요한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제3 제어 신호에 의해 동특성이 느린 납축 전지인 제2 에너지 저장 장치(30)가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결국 제1 에너지 저장 장치(20)와 제2 에너지 저장 장치(30)의 협조 제어에 의해 풍력 발전 설비(10)의 출력 안정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단일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와 비교시에 풍력 발전 설비의 출력 안정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동작 제어부의 상세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전류 벡터 기준값 생성부의 상세 블록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작 제어부(50)는 전류 벡터 기준값 생성부(51), 컨버터 전류 제어부(52), 위상 동기부(53), DQ 역변환부(55), 펄스폭 변조부(57), 및 DC/AC 컨버터부(59)를 포함한다.
전류 벡터 기준값 생성부(51)는 제어 신호 생성부(40)에서 생성되는 제2 제어 신호(P_ref, Q_ref)와 제어 신호 생성부(40)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순시 출력치(P_actual, Q_actual)를 이용하여 전류 벡터 기준값(Id_ref, Iq_ref)를 생성한다.
이때, 전류 벡터 기준값 생성부(5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신호 생성부(40)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순시 출력치(P_actual, Q_actual)가 제어 신호 생성부(40)에서 생성되는 제2 제어 신호(P_ref, Q_ref)를 추종하도록 PI 제어부에서 PI 제어를 수행하여 생성될 수 있다.
컨버터 전류 제어부(52)는 전류 벡터 기준값 생성부(51)에서 생성된 전류 벡터 기준값(Id_ref, Iq_ref)과 제어 신호 생성부(40)에서 수집되는 순시 출력치(P_actual, Q_actual)로부터 생성되는 현재 전류 벡터(Id, Iq)의 차이값인 오차 정보를 이용하여 전압 벡터 기준값(Vd_ref, Vq_ref)를 생성한다.
위상 동기부(53)는 제어 신호 생성부(40)에서 수집되는 순시 출력치(P_actual, Q_actual)로부터 생성되는 현재 전압 벡터(Vd, Vq)를 이용하여 위상각 추정 정보(θ)를 생성하며, DQ 역변환부(55)는 컨버터 전류 제어부(52)에서 생성되는 전압 벡터 기준값(Vd_ref, Vq_ref)과 위상 동기부(53)에서 생성된 위상각 추정 정보(θ)를 이용하여 삼상 교류전압 기준파형(Vabc_ref)를 생성한다.
펄스폭 변조부(57)는 DQ 역변환부(55)에서 생성된 삼상 교류전압 기준파형(Vabc_ref)을 펄스폭 변조하여 DC/AC 컨버터부(59)의 동작을 위한 온오프 신호(On/Off)를 생성하며 펄스폭 변조부(57)에서 생성된 온오프 신호에 의해 DC/AC 컨버터부(59)의 각 스위칭 소자가 동작하여 제1 에너지 저장부(20)로부터 커패시터를 통하여 제1 동작 제어부(50)로 전송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 계통(EPS) 측으로 전송한다.
이때, 제2 동작 제어부(60)의 상세 구성 및 동작 방법은 제1 동작 제어부(5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에서 제어 신호 생성부(40)가 풍력 발전 설비(10)의 풍력 발전 설비(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계통(EPS) 측으로의 순시 출력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S20에서 제어 신호 생성부(40)가 상기 실시간으로 수집된 순시 출력치를 이용하여 풍력발전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다른 충방전 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충방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S20의 상세 단계는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S30에서 제1 동작 제어부(50) 및 제2 동작 제어부(60)가 제어 신호 생성부(4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각각 동작하여 서로 다른 충방전 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인 제1 에너지 저장부(20) 및 제2 에너지 저장부(30)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면 종료가 이루어진다.
이때, S30의 상세 단계는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5의 S20에 대한 상세 순서도 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2에서 제1 제어 신호 생성부(41)가 풍력 발전 설비(10)로부터 수집되는 순시 출력치(P_PCC)와 미리 결정된 풍력 발전 설비(10)의 정상 출력치(P_PCC_Ref) 간의 차를 계산하여 제1 제어 신호(P_cmd)를 생성한다.
S24에서 신호 분기부(43)가 제1 제어 신호를 양측으로 분기시킨다.
S26에서 제2 제어 신호 생성부(45)가 상기 양측으로 분기된 신호 중 일측으로 분기된 신호(P_cmd1)를 하이 패스 필터링하여 제2 제어 신호(P_STESS_Ref)를 생성하고, 제3 제어 신호 생성부(47)가 상기 양측으로 분기된 신호 중 타측으로 분기된 신호(P_cmd2)를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제3 제어 신호(P_LTESS_Ref)를 생성하면 종료가 이루어진다.
이때, S24 내지 S26에서와 같이 제어 신호 생성부(40)가 상기 순시 출력치와 상기 정상 출력치 간의 차를 계산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제1 제어 신호를 양측으로 분기시키고 각각을 하이 패스 필터링 및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제1 동작 제어부(50)의 동작을 위한 상기 제2 제어 신호 및 제2 동작 제어부(60)의 동작을 위한 상기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이유는 위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5의 S30에 대한 상세 순서도 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2에서 전류 벡터 기준값 생성부(51)가 제2 제어 신호(P_ref, Q_ref)로부터 전류 벡터 기준값(Id_ref, Iq_ref)를 생성한다.
이때, 전류 벡터 기준값 생성부(51)가 전류 벡터 기준값(Id_ref, Iq_ref)를 생성하는 상세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S34에서 컨버터 전류 제어부(53)가 전류 벡터 기준값과 순시 출력치로부터 생성되는 현재 전류 벡터값(Id, Iq)의 차를 이용하여 전압 벡터 기준값(Vd_ref, Vq_ref)를 생성한다.
S36에서 DQ 역변환부(55)가 전압 벡터 기준값과 위상 동기부(53)에서 생성되는 위상각 정보(θ)를 이용하여 삼상 교류전압 기준 파형(Vabc_ref)를 생성한다.
S38에서 펄스폭 변조부(57)가 삼상 교류전압 기준 파형을 이용하여 온/오프 제어 신호(On/Off)를 생성하고 온/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 DC/AC 컨버터부(59)가 제1 에너지 저장부(20)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면 종료가 이루어진다.
이때, 제2 동작 제어부(60)가 제어 신호 생성부(40)로부터 전송되는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제2 에너지 저장부(30)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S32 내지 S38에 따른 제1 동작 제어부(50)가 제어 신호 생성부(40)로부터 전송되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제1에너지 저장부(20)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과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며, 제2 동작 제어부(60)의 상세 동작 과정은 제1 동작 제어부(50)의 상세 동작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풍력 발전 설비(10)의 순시 출력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한 후 상기 순시 출력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충방전 특성을 갖는 제1 에너지 저장부(20)와 제2 에너지 저장부(30)가 각각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와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2 제어 신호와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동작 제어부(50) 및 제2 동작 제어부(60)가 제1 에너지 저장부(20) 및 제2 에너지 저장부(30)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동작 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협조 제어를 통해 풍력발전 설비의 출력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풍력발전 설비의 과도한 출력 변동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해진다.
또한, 풍력발전 설비의 순시 출력치를 수집한 후 수집된 순시 출력치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므로 각 에너지 저장 장치의 동작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시스템 (10) : 풍력발전 설비
(20) : 제1 에너지 저장부 (30) : 제2 에너지 저장부
(40) : 제어신호 생성부 (50) : 제1 동작 제어부
(60) : 제2 동작 제어부

Claims (12)

  1. (a) 풍력발전 설비의 상기 풍력발전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계통 측으로의 순시 출력치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집된 순시 출력치를 이용하여 상기 풍력발전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다른 충방전 특성을 갖는 제1 에너지 저장 장치와 제2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충방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에너지 저장 장치와 상기 제2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수집된 순시 출력치와 미리 결정된 상기 풍력발전 설비의 정상 출력치 간의 차를 계산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b2)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신호를 양측으로 분기시키는 단계; 및
    (b3) 상기 양측 중 일측으로 분기된 신호를 하이패스 필터링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양측 중 타측으로 분기된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하여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에너지 저장 장치는 납축 전지이고, 상기 제2 에너지 저장 장치는 슈퍼 커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제2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3 제어 신호로부터 전류 벡터 기준값을 생성하는 단계;
    (c2) 상기 전류 벡터 기준값과 상기 순시 출력치로부터 생성되는 현재 전류 벡터값의 차를 이용하여 전압 벡터 기준값을 생성하는 단계;
    (c3) 상기 전압 벡터 기준값과 상기 순시 출력치로부터 생성되는 위상각 정보를 이용하여 삼상 교류전압 기준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 및
    (c4) 상기 삼상 교류전압 기준 파형을 이용하여 온/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온/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2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에너지 저장 장치와 상기 제2 에너지 저장 장치는 서로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7. 풍력 발전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에너지 저장부;
    상기 제1 에너지 저장부와 병렬 연결되는 제2 에너지 저장부;
    상기 풍력 발전 설비의 순시 출력치를 수집한 후 상기 순시 출력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충방전 특성을 갖는 상기 제1 에너지 저장부 및 상기 제2 에너지 저장부 각각의 충방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제1 에너지 저장부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동작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제2 에너지 저장부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순시 출력치와 미리 결정된 상기 풍력 발전 설비의 정상 출력치 간의 차를 계산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 신호 생성부,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후 양측으로 분기시키는 신호 분기부, 상기 양측 중 일측으로 분기된 신호를 입력받아 하이패스 필터링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제어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양측 중 타측으로 분기된 신호를 입력받아 로우패스 필터링하여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3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시스템.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에너지 저장부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에너지 저장부는 슈퍼 커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에너지 저장부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에너지 저장부는 납축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로부터 전류 벡터 기준값을 생성하는 전류 벡터 기준값 생성부, 상기 전류 벡터 기준값과 상기 순시 출력치로부터 생성되는 현재 전류 벡터값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전압 벡터 기준값을 생성하는 전류 제어부, 상기 전압 벡터 기준값과 상기 순시 출력치로부터 생성되는 위상각 정보를 이용하여 삼상 교류전압 기준 파형을 생성하는 DQ 역변환부, 상기 삼상 교류전압 기준 파형으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폭 변조부, 및 상기 온오프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제1 에너지 저장부부터 전송되는 에너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DC-AC 컨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시스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3 제어 신호로부터 전류 벡터 기준값을 생성하는 전류 벡터 기준값 생성부, 상기 전류 벡터 기준값과 상기 순시 출력치로부터 생성되는 현재 전류 벡터값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전압 벡터 기준값을 생성하는 전류 제어부, 상기 전압 벡터 기준값과 상기 순시 출력치로부터 생성되는 위상각 정보를 이용하여 삼상 교류전압 기준 파형을 생성하는 DQ 역변환부, 상기 삼상 교류전압 기준 파형으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폭 변조부, 및 상기 온오프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제2 에너지 저장부로부터 전송되는 에너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DC-AC 컨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시스템.
KR1020110077047A 2011-08-02 2011-08-02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243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047A KR101243192B1 (ko) 2011-08-02 2011-08-02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047A KR101243192B1 (ko) 2011-08-02 2011-08-02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185A KR20130015185A (ko) 2013-02-13
KR101243192B1 true KR101243192B1 (ko) 2013-03-25

Family

ID=4789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047A KR101243192B1 (ko) 2011-08-02 2011-08-02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418B1 (ko) 2015-11-20 2016-01-28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풍력발전시스템의 출력 안정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293A1 (ja) * 2015-07-22 2017-01-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電力システム
KR102225611B1 (ko) 2019-06-18 2021-03-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파수 안정도 향상을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기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0987A (ja) 2002-08-01 2004-03-11 I Hitsutsu Kenkyusho:Kk 分散給電システム
KR100704963B1 (ko) 2006-04-04 2007-04-09 (주) 피에스디테크 태양광-풍력 발전 시스템의 제어장치
KR20090132905A (ko) * 2008-06-23 2009-12-3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이중층콘덴서를 이용한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시스템
KR20110071157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전기연구원 풍력 복합발전 시스템을 위한 통합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0987A (ja) 2002-08-01 2004-03-11 I Hitsutsu Kenkyusho:Kk 分散給電システム
KR100704963B1 (ko) 2006-04-04 2007-04-09 (주) 피에스디테크 태양광-풍력 발전 시스템의 제어장치
KR20090132905A (ko) * 2008-06-23 2009-12-3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이중층콘덴서를 이용한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시스템
KR20110071157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전기연구원 풍력 복합발전 시스템을 위한 통합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418B1 (ko) 2015-11-20 2016-01-28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풍력발전시스템의 출력 안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185A (ko) 201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219B1 (ko) 풍력 발전 설비 출력 안정화 방법 및 시스템
Mandic et al. Lithium-ion capacitor energy storage integrated with variable speed wind turbines for power smoothing
JP4715624B2 (ja) 電力安定化システム、電力安定化制御プログラム、電力安定化制御方法
Boora et al. Multi-output buck–boost converter with enhanced dynamic response to load and input voltage changes
CN103124077B (zh) 抑制发电机组次同步谐振的系统和方法
US20210257839A1 (en) Grid system,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for grid system, and power conversion device
CN103812135A (zh) 提高lcl型并网逆变器对弱电网适应能力的控制方法
CN106950512B (zh) 一种储能变流器并离网特性一体化检测系统及方法
CN103441512A (zh) 基于模块化多电平变流器的无功补偿(mmc-statcom)方法
KR101243192B1 (ko) 풍력발전 설비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665436B1 (ko) Cascade H-bridge Multi-level 구조의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의 SOC 균형 제어 방법
JP2015082954A (ja) 自立運転システム、自立運転制御装置および蓄電池システム
CN110061488A (zh) 考虑直流微网不平衡电流变化率的混合储能分频控制方法
JP2020068650A (ja) 系統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系統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5490320B (zh) 光伏电站储能方法和系统
Jayasinghe et al. A battery energy storage interface for wind power systems with the use of grid side inverter
KR101413537B1 (ko) 풍력 발전 출력 보상 방법 및 시스템
CN103457501A (zh) 基于pam+pwm级联多电平逆变器的svg调制方法
CN104811025A (zh) 具有多重保护的辅助变流器
CN103633659A (zh) 无直流电流传感器的储能变流器充放电控制系统
CN110854899A (zh) 一种用于hvdc的储能-调相机功率支撑系统及其功率分配方法
Pulikanti et al. Control of five-level flying capacitor based active-neutral-point-clamped converter for grid connected wind energy applications
Hassan et al. Direct model predictive control for medium voltage modular multi-level STATCOM with and without energy storage
Arazm et al. Model predictive control on grid connected fifteen-level packed U-Cell (PUC15) inverter
CN115276443A (zh) 逆变器并机系统及其零序电流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