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160B1 -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160B1
KR101242160B1 KR1020120110631A KR20120110631A KR101242160B1 KR 101242160 B1 KR101242160 B1 KR 101242160B1 KR 1020120110631 A KR1020120110631 A KR 1020120110631A KR 20120110631 A KR20120110631 A KR 20120110631A KR 101242160 B1 KR101242160 B1 KR 101242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identifier
input
user inpu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헌
Original Assignee
김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헌 filed Critical 김정헌
Priority to KR1020120110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means for recording information, e.g. telephone number during a conver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 식별자와 해당 메모 식별자의 저장 영역 간의 매핑 정보를 메모 식별자별로 저장하는 단계,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또는 그림판 기능 사용 중,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입력된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또는 그림판 기능 사용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소정의 특정 메모 식별자(예: 패턴)가 입력된 경우, 그 특정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상기 특정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및 그 장치{Apparatus for saving memo data real-time using a memo function of mobile termina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또는 그림판 기능 사용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소정의 특정 메모 식별자(예: 패턴)가 입력된 경우, 그 특정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상기 특정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예: 스마트 폰)는 메모나 그림판을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메모하고, 메모된 내용(예: 전화번호 또는, 스케쥴 등)을 미리 지정된 일정 영역에 저장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메모된 내용이 그 내용과 상관 없이 일정 영역에 저장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메모된 내용을 다시 복사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으로 다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 등이 발생될 수 있다.
관련 기술은 다음과 같다.
즉, 관련 기술(국내특허출원 제10-2001-0077245호, 발명의 명칭: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메모 기능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메모 모드를 설정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메모 모드 선택에 따라 실행되는 메모 모드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메모 내용을 입력받고, 입력된 메모 내용을 대기모드(IDLE MODE)에서 단말기의 표시부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모기능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메모 모드 선택에 따라 모드 전환되는 메모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메모 내용을 입력받는 메모내용 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된 메모내용에 대한 알람기능을 입력받아 입력된 메모내용에 설정하고,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메모내용 저장단계와; 상기 저장된 메모 내용을 대기 모드에서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메모내용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긴급한 사항을 쉽고 빠르게 메모하며 표시부를 통해 수시로 표시되는 메모 내용으로 메모내용을 계속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 및 특정 날짜에 의존적이지 않아 날짜를 검색하여 메모 내용을 입력하거나 조회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기술을 포함하여 종래 기술은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모된 내용이 그 내용과 상관없이 일정 영역에 저장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메모된 내용을 다시 복사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으로 다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 등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또는 그림판 기능 사용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소정의 특정 메모 식별자(예: 패턴)가 입력된 경우, 그 특정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상기 특정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함으로써, 메모된 내용을 편리하고 신속히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영역에 자동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은,
메모 식별자와 해당 메모 식별자의 저장 영역 간의 매핑 정보를 메모 식별자별로 저장하는 단계,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또는 그림판 기능 사용 중,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입력된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동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 중, 미리 설정된 사용자 특정 표시가 있는 경우, 그 사용자 특정 표시가 있는 메모된 내용만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특정 이메일이나 웹하드 또는 SNS의 주소나 식별자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한 특정 주소나 식별자에 대응되는 주소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미리 설정된 인터넷 검색 표시가 입력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으로 인터넷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 식별자는 패턴, 동작 양태(제스처), 이미지, 텍스트 중 어느 하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장치는,
메모 식별자와 해당 메모 식별자의 저장 영역 간의 매핑 정보를 메모 식별자별로 저장하는 매핑 정보 저장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또는 그림판 기능 사용 중,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입력된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를 판별하는 메모 식별자 판별모듈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하는 제1 메모 기능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메모 기능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 중, 미리 설정된 사용자 특정 표시가 있는 경우, 그 사용자 특정 표시가 있는 메모된 내용만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특정 이메일이나 웹하드 또는 SNS의 주소나 식별자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한 특정 주소나 식별자에 대응되는 주소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 전송하는 제2 메모 기능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미리 설정된 인터넷 검색 표시가 입력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으로 인터넷 검색하는 제3 메모 기능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 식별자는 패턴, 동작 양태(제스처), 이미지, 텍스트 중 어느 하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또는 그림판 기능 사용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소정의 특정 메모 식별자(예: 패턴)가 입력된 경우, 그 특정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상기 특정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함으로써, 예를 들어 메모된 내용이 연락처일 경우 전화번호부에 곧바로 자동 저장할 수 있고, 메모된 내용이 스케쥴일 경우 "메모장", 혹은 "일정표"에 곧바로 자동 저장할 수 있게 된다.
2.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특정 이메일이나 웹하드 또는 SNS의 주소나 식별자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한 특정 주소나 식별자에 대응되는 주소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 전송함으로써, 특정 메모 또는 그림판 내용을 외부(예: 이메일, 웹하드, SNS 등)로 신속히 전송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미리 설정된 인터넷 검색 표시가 입력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으로 인터넷 검색함으로써, 특정 메모 내용에 대한 인터넷 검색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예: 스마트 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양태의 제1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양태의 제2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예: 스마트 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매핑 정보 저장부(101), 메모 식별자 판별모듈(102) 및, 제1 메모 기능 제어부(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추가로, 제2 메모 기능 제어부(104)와, 제3 메모 기능 제어부(10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매핑 정보 저장부(101)는 메모 식별자와 해당 메모 식별자의 저장 영역 간의 매핑 정보를 메모 식별자별로 저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모 식별자는 패턴, 동작 양태(제스처), 이미지, 텍스트 중 어느 하나로 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 식별자가 패턴 A(△ 모양), B(□ 모양), C(○ 모양), .... 로 된 경우 패턴 A(△ 모양)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은 제1 저장 영역(예: 전화번호부)에 저장되도록 매핑하고, 패턴 B(□ 모양)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은 제2 제2 저장 영역(예: 주소록)에 저장되도록 매핑하며, 패턴 C(○ 모양)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은 제3 저장 영역(예: 일정표)에 저장되도록 매핑할 수 있다.
메모 식별자 판별모듈(102)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메모 또는 그림판 기능 사용 중인지 확인하여, 메모 또는 그림판 사용 중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메모 또는 그림판 상에서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입력된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가 무엇인지를 판별하는 것이다.
제1 메모 기능 제어부(103)는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모 식별자가 패턴 A(△ 모양), B(□ 모양), C(○ 모양), .... 로 설정된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식별자(즉,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가 패턴 A(△ 모양)인 경우, 패턴 A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제1 저장 영역(예: 전화번호부)에 저장한다. 반면,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가 패턴 B(□ 모양)인 경우에는 패턴 B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제2 저장 영역(예: 주소록)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메모 기능 제어부(103)는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 중, 미리 설정된 사용자 특정 표시가 있는 경우, 그 사용자 특정 표시가 있는 메모된 내용만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예: 패턴) 입력 후 메모된 내용 중, 특정 내용(예: 연락처)에 사용자가 밑줄이나 박스 형태 등으로 영역을 지정하여 그릴 경우, 지정된 해당 내용만을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할 수 있다.
제2 메모 기능 제어부(104)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메모 또는 그림판 기능 중인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특정 이메일이나 웹하드 또는 SNS의 주소나 식별자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한 특정 주소나 식별자에 대응되는 주소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 전송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특정 이메일 주소(예: xxxx@hanmail. net)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한 특정 이메일 주소(xxxx@hanmail. net)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 전송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제3 메모 기능 제어부(105)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메모 또는 그림판 기능 중인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예: 패턴 A(△ 모양)) 입력 후 미리 설정된 인터넷 검색 표시(예: @)가 입력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으로 설정 사이트를 이용해 인터넷 검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하,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먼저 메모 식별자와 해당 메모 식별자의 저장 영역 간의 매핑 정보를 메모 식별자별로 매핑 정보 저장부에 저장한다(S201).
상기 메모 식별자는 패턴, 동작 양태(제스처), 이미지, 텍스트 중 어느 하나로 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 식별자가 패턴 A(△ 모양), B(□ 모양), C(○ 모양), .... 로 된 경우 패턴 A(△ 모양)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은 제1 저장 영역(예: 전화번호부)에 저장되도록 매핑하고, 패턴 B(□ 모양)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은 제2 저장 영역(예: 주소록)에 저장되도록 매핑하며, 패턴 C(○ 모양)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은 제3 저장 영역(예: 일정표)에 저장되도록 매핑할 수 있다.
다음, 메모 식별자 판별모듈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메모 또는 그림판 기능 사용 중인지 확인하여(S202), 메모 또는 그림판 사용 중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메모 또는 그림판 상에서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입력된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가 무엇인지를 판별한다(S203).
다음, 제1 메모 기능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가 판별된 경우, 판별된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한다(S204).
예를 들어, 메모 식별자가 패턴 A(△ 모양), B(□ 모양), C(○ 모양), .... 로 설정된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식별자(즉,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가 패턴 A(△ 모양)인 경우, 패턴 A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제1 저장 영역(예: 전화번호부)에 저장한다.
반면,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가 패턴 B(□ 모양)인 경우에는 패턴 B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제2 제2 저장 영역(예: 주소록)에 저장하게 된다.
추가로, 상기 제1 메모 기능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 중, 미리 설정된 사용자 특정 표시가 있는 경우, 그 사용자 특정 표시가 있는 메모된 내용만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예: 패턴) 입력 후 메모된 내용 중, 특정 내용(예: 연락처)에 사용자가 밑줄이나 박스 형태 등으로 영역을 지정하여 그릴 경우, 지정된 해당 내용만을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메모 또는 그림판 기능 중인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특정 이메일이나 웹하드 또는 SNS의 주소나 식별자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한 특정 주소나 식별자에 대응되는 주소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 전송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특정 이메일 주소(예: xxxx@hanmail. net)를 입력한 경우, 제2 메모 기능 제어부를 사용해 상기 입력한 특정 이메일 주소(xxxx@hanmail. net)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메모 또는 그림판 기능 중인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예: 패턴 A(△ 모양)) 입력 후 미리 설정된 인터넷 검색 표시(예: @)가 입력된 경우, 제3 메모 기능 제어부를 사용해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으로 설정 사이트를 이용해 인터넷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예: 스마트 폰)의 메모 또는 그림판 기능 사용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소정의 특정 메모 식별자(예: 패턴)가 입력된 경우, 그 특정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상기 특정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함으로써, 예를 들어 메모된 내용이 연락처일 경우 전화번호부에 곧바로 자동 저장할 수 있고, 메모된 내용이 스케쥴일 경우 "메모장", 혹은 "일정표"에 곧바로 자동 저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특정 이메일이나 웹하드 또는 SNS의 주소나 식별자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한 특정 주소나 식별자에 대응되는 주소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 전송함으로써, 특정 메모 또는 그림판 내용을 외부(예: 이메일, 웹하드, SNS 등)로 신속히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미리 설정된 인터넷 검색 표시가 입력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으로 인터넷 검색함으로써, 특정 메모 내용에 대한 인터넷 검색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양태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메모 식별자가 패턴 A(△ 모양), B(□ 모양), C(○ 모양), .... 로 된 경우 패턴 A(△ 모양)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은 제1 저장 영역(예: 전화번호부)에 저장되고, 패턴 B(□ 모양)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은 제2 제2 저장 영역(예: 주소록)에 저장되며, 패턴 C(○ 모양)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은 제3 저장 영역(예: 일정표)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 중, 미리 설정된 사용자 특정 표시가 있는 경우, 그 사용자 특정 표시가 있는 메모된 내용만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예: 패턴) 입력 후 메모된 내용 중, 특정 내용에 사용자가 밑줄이나 박스 형태 등으로 영역을 지정하여 그릴 경우, 지정된 해당 내용만을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에서는 메모 식별자를 패턴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작 양태(제스처), 이미지, 텍스트 중 어느 하나로 된 것일 수 있다.
101 : 매핑 정보 저장부 102 : 메모 식별자 판별모듈
103 : 제1 메모 기능 제어부 104 : 제2 메모 기능 제어부
105 : 제3 메모 기능 제어부

Claims (10)

  1. 메모 식별자와 해당 메모 식별자의 저장 영역 간의 매핑 정보를 메모 식별자별로 저장하는 단계;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또는 그림판 기능 사용 중,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입력된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기능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 중, 미리 설정된 사용자 특정 표시가 있는 경우, 그 사용자 특정 표시가 있는 메모된 내용만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기능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특정 이메일이나 웹하드 또는 SNS의 주소나 식별자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한 특정 주소나 식별자에 대응되는 주소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기능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미리 설정된 인터넷 검색 표시가 입력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으로 인터넷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기능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식별자는
    패턴, 동작 양태(제스처), 이미지, 텍스트 중 어느 하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기능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6. 메모 식별자와 해당 메모 식별자의 저장 영역 간의 매핑 정보를 메모 식별자별로 저장하는 매핑 정보 저장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또는 그림판 기능 사용 중,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입력된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를 판별하는 메모 식별자 판별모듈;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하는 제1 메모 기능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기능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 기능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 중, 미리 설정된 사용자 특정 표시가 있는 경우, 그 사용자 특정 표시가 있는 메모된 내용만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에 매핑된 저장 영역에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기능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특정 이메일이나 웹하드 또는 SNS의 주소나 식별자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한 특정 주소나 식별자에 대응되는 주소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 전송하는 제2 메모 기능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기능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미리 설정된 인터넷 검색 표시가 입력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 메모 식별자 입력 후 메모된 내용을 실시간으로 인터넷 검색하는 제3 메모 기능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기능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식별자는
    패턴, 동작 양태(제스처), 이미지, 텍스트 중 어느 하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기능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장치.
KR1020120110631A 2012-10-05 2012-10-05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KR101242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631A KR101242160B1 (ko) 2012-10-05 2012-10-05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631A KR101242160B1 (ko) 2012-10-05 2012-10-05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160B1 true KR101242160B1 (ko) 2013-03-11

Family

ID=4818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631A KR101242160B1 (ko) 2012-10-05 2012-10-05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1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340A (ko) * 2004-11-09 200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모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32420A (ko) * 2007-09-28 2009-04-0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의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메모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메모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90199130A1 (en) 2008-02-01 2009-08-06 Pillar Llc User Interface Of A Small Touch Sensitive Display For an Electronic Data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100035638A1 (en) 2008-08-08 2010-02-11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 System and method of mobile phones for sending predetermined message to associated phon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340A (ko) * 2004-11-09 200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모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32420A (ko) * 2007-09-28 2009-04-0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의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메모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메모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90199130A1 (en) 2008-02-01 2009-08-06 Pillar Llc User Interface Of A Small Touch Sensitive Display For an Electronic Data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100035638A1 (en) 2008-08-08 2010-02-11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 System and method of mobile phones for sending predetermined message to associated pho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09905B (zh) 用于管理消息的方法和设备和用于发送消息的方法和设备
JP697415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94007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a word to be defin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lectronic dictionary
KR102289706B1 (ko) 후보 단어 표시 방법 및 장치,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9003283B2 (en) Copying text using parameters displayed on a clipboard
US20130325844A1 (en) Causing display of search results
CN105867734A (zh) 一种移动设备上资源入口的显示方法、装置及移动设备
CN105551492A (zh) 语音控制的方法、装置与终端
CN103309560A (zh) 多界面显示信息的方法及终端
CN102622400A (zh) 电子书的扩展阅读标记生成方法及相关设备
KR102253453B1 (ko)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N103324436A (zh) 一种任务处理方法及装置
CN106155721A (zh) 应用程序的打开方法、推荐页面的生成方法及装置
CN106506771B (zh) 联系人对象分类展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2413233A (zh) 移动终端的联系人信息拓展处理方法及装置
CN102306084A (zh) 应用程序的管理方法和装置
EP1883210A3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integration search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3970471A (zh) 一种信息发送方法、设备和终端
CN105205066B (zh) 一种图片查找方法和装置
CN107423012B (zh) 一种数据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2135812B (zh) 一种多音汉字的输入方法及装置
KR1012421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 사용 중 데이터 실시간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CN105808089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第一电子设备
CN104239283A (zh) 文字编辑系统及方法
US2014017342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porting email onto editing interfa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