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111B1 - 사용자 식별에 의한 사용자별 적응형 단말 환경 운영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 - Google Patents

사용자 식별에 의한 사용자별 적응형 단말 환경 운영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111B1
KR101242111B1 KR1020110017824A KR20110017824A KR101242111B1 KR 101242111 B1 KR101242111 B1 KR 101242111B1 KR 1020110017824 A KR1020110017824 A KR 1020110017824A KR 20110017824 A KR20110017824 A KR 20110017824A KR 101242111 B1 KR101242111 B1 KR 101242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dentification
personal
informati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8104A (ko
Inventor
류성걸
손세훈
김형덕
김연배
신재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스트리
Priority to KR1020110017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1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8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식별이 가능한 개인 특성 정보를 출력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 등록부; 사용자 등록부에 의해 사전 설정등록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저장한 제1 데이터 저장부;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개인 특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부; 상기 개인 식별부로부터 제공되는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환경 제어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식별에 의한 사용자별 적응형 단말 환경 운영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Smart device with personalized operating environment using user identification process}
본 발명은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식별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 환경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들의 성능이 향상되고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 TV, PMP, 스마트폰 등과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의 형태들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기능들도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에 따라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스마트 TV는 PC와 스마트폰처럼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와 중앙 처리 장치(CPU)를 구비함으로써, 방송 시청뿐만 아니라 인터넷, 주문형 비디오(VOD), 게임, 검색 등과 같이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TV는 방송 시청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쇼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환경에 접속하거나, 학습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는 등 개인화된 프로그램들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쇼셜 네트워크 환경이나 학습 소프트웨어 등은 각 사용자가 자신의 식별 정보(ID) 및 암호(PW)를 입력하여 로그인하여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스마트 TV와 같이 하나의 단말기를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 각 개인별로 단말기의 사용 환경을 재설정하여야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변경될 때마다 새로이 사용자가 식별 정보(ID) 및 암호(PW)를 입력하여 로그인하거나 단말기의 사용 환경을 설정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스마트 TV에서 소셜 사이트(Social web-site)에 접속하는 경우 각 사용자가 키입력을 통해 로그인 과정을 거쳐야 하며, 사용자가 변경될 때마다 다시 키입력을 하여 로그인 과정을 진행해야 된다. 또한, 학습 프로그램과 같이 개인별 레벨이나 진도가 다른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로그인을 통해 개인별 학습 진도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수업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스마트 TV와 같은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변경에 따라 로그인이나 사용자 환경 설정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매번 수행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식별에 따른 사용자별 환경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용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접근된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맞는 환경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용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개인 식별이 가능한 개인 특성 정보를 출력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 등록부; 사용자 등록부에 의해 사전 설정등록되거나 갱신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저장한 제1 데이터 저장부;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개인 특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부; 상기 개인 식별부로부터 제공되는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환경 제어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 등록부; 사용자 등록부에 의해 사전 설정등록되거나 갱신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저장한 제1 데이터 저장부; 개인 식별이 가능한 개인 특성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특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특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부; 상기 개인 식별부로부터 제공되는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환경 제어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는, 입력된 개인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등록부; 사용자 등록부에 의해 사전 설정등록되거나 갱신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들 및 개인 식별용 특징값들을 저장한 제1 데이터 저장부;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 및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환경 제어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는, 입력된 개인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등록부; 사용자 등록부에 의해 사전 설정등록되거나 갱신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들 및 개인 식별용 특징값들을 저장한 제1 데이터 저장부;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부; 상기 개인 식별부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환경 제어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개인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기; 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들을 저장한 제2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개인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개인 특성 정보 획득부; 상기 개인 특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고, 상기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인식 처리부; 인터럽트 신호 및 상기 개인 인식 처리부로부터 제공된 개인 식별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식별 정보 제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 등록부; 사용자 등록부에 의해 사전 설정등록되거나 갱신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저장한 제1 데이터 저장부;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 및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환경 제어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른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들을 저장한 제2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개인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개인 특성 정보 획득부; 상기 개인 특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고, 상기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인식 처리부;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터럽트 신호 및 상기 개인 인식 처리부로부터 제공된 개인 식별 정보를 외부의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식별 정보 제공부; 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른 스마트 텔레비젼은, 개인 식별이 가능한 개인 특성 정보를 출력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텔레비젼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등록부; 사용자 등록부에 의해 사전 설정등록되거나 갱신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저장한 제1 데이터 저장부;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개인 특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부; 상기 개인 식별부로부터 제공되는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환경 제어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스마트 텔레비젼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따른 스마트 텔레비젼은, 개인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텔레비젼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등록부; 사용자 등록부에 의해 사전 설정등록되거나 갱신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저장한 제1 데이터 저장부;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 및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등록부에 의해 설정 등록되거나 갱신된 사용자 등록 정보들을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환경 제어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스마트 텔레비젼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에 따른 스마트 텔레비젼은, 사용자 등록부; 사용자 등록부에 의해 사전 설정등록되거나 갱신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저장한 제1 데이터 저장부; 개인 식별이 가능한 개인 특성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특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특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부; 상기 개인 식별부로부터 제공되는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환경 제어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스마트 텔레비젼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구비한다.
전술한 제7 내지 제9 특징에 따른 스마트 텔레비젼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는 카메라, 마이크 및 마이크가 내장된 카메라 중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개인 특성 정보는 상기 카메라, 마이크, 마이크가 내장된 카메라 중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얼굴에 대한 화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스마트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얼굴 인식, 음성 인식, 지문 인식 혹은 리모트 콘트롤러의 명령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변화에 따라 단말기의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단말기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개인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스마트 단말기를 다수의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변경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사용자를 인식하고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맞게 신속하게 그리고 자동으로 단말의 환경을 개인화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종래의 스마트 텔레비젼과 같은 단말기에서 소셜 사이트를 이용하는 경우 개인별로 키입력을 통해 로그인 과정을 거치며 사용자가 변경될 때 마다 다시 키입력을 통한 로그인 과정을 진행하여야 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는 소셜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변경되면, 별도의 키입력없이 사용자 식별 및 개인 사용 환경을 자동으로 통합적으로 변환시켜 주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를 스마트 텔레비젼에 응용하는 경우, 사용자 인식과 식별, 이에 따른 사용 환경 변환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되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 및 이와 연동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CPU와 같은 중앙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단말기로서, 그 예로서 스마트 텔레비젼, 멀티미디어 재생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등이 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10)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100), 제1 데이터 저장부(110), 개인 식별부(130), 개인 환경 제어부(140), 중앙 제어부(150) 및 사용자 등록부(160)를 구비한다. 이하, 전술한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등록부(160)는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 개인 특성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등록 정보를 등록하거나 사전에 제1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등록 정보들을 갱신하며, 새로이 등록되거나 갱신된 정보들은 제1 데이터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상기 사용자 등록부(160)는 사용자 등록 정보에 대한 설정 등록 또는 갱신시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100)를 통해 개인 특성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개인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사용자의 개인 식별 정보 및 개인 특성 정보에 대응되도록 제1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다.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110)는 사전 설정 등록된 사용자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되는데, 상기 저장된 정보들에는 사전 설정 등록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포함한다. 상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은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들을 통해 획득되는 개인 특성 정보들로부터 다양한 데이터 처리과정을 통해 얻게 되는 값으로서, 각 개인마다 서로 다른 값을 갖는 값이므로 이를 통해 각 개인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은 개인 특성 정보들의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되므로, 한 명의 사용자에 대하여 각 개인 특성 정보에 대응되는 다수 개의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인 특성 정보 및 상기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카메라로부터 사용자 얼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 경우, 개인 특성 정보는 사용자 얼굴에 대한 영상 정보이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은 개인 특성 정보인 얼굴에 대한 영상 정보로부터 얼굴 인식을 위해 추출된 얼굴 특징에 대한 수치 데이터들로 구성된다. 한편, 마이크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획득한 경우, 개인 특성 정보는 음성 정보이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은 개인 특성 정보인 음성 정보로부터 추출된 파형 특징 데이터들로 구성된다. 또한, 스캐너를 통해 지문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 개인 특성 정보는 지문 영상이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은 개인 특성 정보인 지문 영상으로부터 지문 인식을 위해 추출된 지문 특징 데이터들이 된다. 한편,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단축키가 입력되는 경우, 개인 특성 정보인 단축키 정보가 개인 식별용 특징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를 전술한 입력 장치들 외의 다른 입력 장치도 사용가능할 것이며, 전술한 입력 장치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전술한 입력 장치들 중 둘 이상을 함께 사용하여 사용자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개인 식별부(130)는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개인 환경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140)는 상기 개인 식별부(130)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중앙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환경 정보'는 스마트 단말기에서 운영되는 다양한 종류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요구하는 각 사용자별 필요 정보 및 환경 제어 정보를 의미하며, 각 사용자별로 설정되는 정보들이 된다. 단말기 환경 정보들은, 예를 들면, 특정 소셜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위한 로그인 정보들이나, 특정 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하여 필요한 사용자의 현재 레벨 및 기타 환경 구성 제어값들, 및 단말기 환경 설정을 위한 개인화된 위젯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150)는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14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단말기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한다. 이하, 상기 중앙 제어부의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특정 소셜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 정보들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로그인 정보들을 이용하여 해당 소프트웨어 구동에 사용하거나,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특정 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정보들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소프트웨어로 전달하거나,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단말기 환경 설정을 위한 개인화된 위젯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설정 정보들을 시스템에 제공하여 단말기의 환경을 개인화시키거나 특정 하드웨어 장치를 개인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실시예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를 내부에 구비하지 않으며 외부의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특성 정보를 수신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는 외부의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20)는 제1 데이터 저장부(210), 제1 인터페이스부(220), 개인 식별부(230), 개인 환경 제어부(240), 중앙 제어부(250) 및 사용자 등록부(26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20)는 제1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외부의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22)와 연결되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특성 정보를 수신하여 개인 식별부(23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개인 식별부, 개인 환경 제어부, 제1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 등록부 및 중앙 제어부의 구조 및 동작은 제1 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는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의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특성 정보를 수신하고, 개인 식별부가 개인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개인 환경 제어부가 개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 환경 정보를 판독하고, 중앙 제어부가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게 된다.
제3 실시예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를 내부에 구비하지 않으며 외부의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는 외부의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송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외부의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와 연결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수신된 사용자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 저장부 및 개인 식별 인식 기능을 구비하고, 개인 특성 정보를 획득한 후, 개인 특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제2 데이터 저장부로 판독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 및 이와 연동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30)는 제1 데이터 저장부(310), 제1 인터페이스부(320), 개인 환경 제어부(340), 중앙 제어부(350) 및 사용자 등록부(36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는 제1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외부의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32)와 연결되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32)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 및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다.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인터럽트 신호와 개인 식별 정보를 수신되면 개인 식별 정보를 개인 환경 제어부(340)로 전송하며, 또한 사전 설정등록되거나 갱신된 사용자 등록 정보를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32)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개인 환경 제어부, 제1 데이터 저장부 및 중앙 제어부의 구조 및 동작은 제1 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는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의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개인 환경 제어부가 개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 환경 정보를 판독하고, 중앙 제어부가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게 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중앙 제어부는 스마트 단말기의 제1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외부의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여 스마트 단말기의 제1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들과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의 제2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동기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등록부(360)는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 개인 특성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등록 정보를 등록하거나 사전에 제1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등록 정보들을 갱신하며, 새로이 등록되거나 갱신된 정보들은 제1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등록부(360)는 설정 등록시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를 통해 개인 특성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개인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사용자의 개인 식별 정보 및 개인 특성 정보에 대응되도록 제1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32)는 제2 데이터 저장부(390), 개인 특성 정보 획득부(392), 개인 인식처리부(394), 식별 정보 제공부(396) 및 제2 인터페이스부(398)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398)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 개인 식별용 특징값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등록 정보들은 상기 제2 데이터 저장부(390)에 저장하거나 기저장된 정보들을 갱신한다.
상기 제2 데이터 저장부(390)는 사전 설정등록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들을 저장한다. 상기 개인 특성 정보 획득부(392)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개인 특성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한다. 상기 개인 특성 정보 획득부는 촬상 장치, 음성 입력 장치, 스캐너, 지문 인식용 스캐너, 리모트 콘트롤러 및 키입력장치 중 하나 또는 둘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마이크를 내장한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인 인식 처리부(394)는 상기 개인 특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고, 상기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한다. 상기 식별 정보 제공부(396)는 상기 개인 인식 처리부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외부의 스마트 단말기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인터럽트 신호 및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 정보를 외부의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한다.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는 개인 특성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정보들을 압축 부호화하는 압축 부호화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의 개인 특성 정보 획득부가 마이크를 내장한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개인 특성 정보 획득부는 카메라와 마이크로부터 각각 영상과 음성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압축 부호화부는 상기 영상과 음성 정보를 각각 압축 부호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개인 인식 처리부는 상기 영상과 음성으로부터 얼굴 인식 및 음성 인식을 실행하여 개인 식별 정보를 얻고, 상기 식별 정보 제공부는 상기 개인 식별 정보 및 상기 압축부호화된 영상과 음성 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
제4 실시예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를 내부에 구비하지 않으며 외부의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수신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는 외부의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외부의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와 연결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는 제2 데이터 저장부 및 개인 식별 인식 기능을 구비하고, 개인 특성 정보를 획득한 후, 개인 특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 및 이와 연동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40)는 제1 데이터 저장부(410), 제1 인터페이스부(420), 개인 식별부(430), 개인 환경 제어부(440), 중앙 제어부(450) 및 사용자 등록부(46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는 제1 인터페이스부(420)를 통해 외부의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42)와 연결되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42)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수신하여 개인 환경 제어부(44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개인 식별부, 개인 환경 제어부, 제1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 등록부 및 중앙 제어부의 구조 및 동작은 제1 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는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의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수신하고, 개인 식별부가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이용하여 개인 식별 정보를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고, 개인 환경 제어부가 개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 환경 정보를 판독하고, 중앙 제어부가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게 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42)는 개인 특성 정보 획득부, 개인 인식처리부, 식별 정보 제공부를 구비하고, 개인 특성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정보들을 압축 부호화하는 압축 부호화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인 특성 정보 획득부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개인 특성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한다. 상기 개인 인식 처리부는 상기 개인 특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여 제공한다. 상기 압축 부호화부는 상기 개인 특성 정보 획득부로부터 출력되는 개인 특성 정보들을 압축 부호화하여 제공한다. 상기 식별 정보 제공부는 상기 개인 인식 처리부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수신하면, 외부의 스마트 단말기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상기 압축 부호화된 개인 특성 정보를 외부의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스마트 단말기는 특히 스마트 텔레비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는 스마트 텔레비젼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삭제
  2.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설정 등록하거나 갱신하는 사용자 등록부;
    상기 사용자 등록부에 의해 설정 등록되거나 갱신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저장한 제1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접근하는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이 가능한 개인 특성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특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특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부;
    상기 개인 식별부로부터 제공되는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환경 제어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부는 촬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 특성 정보는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얼굴에 대한 영상 정보이며,
    상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은 상기 사용자 얼굴에 대한 영상 정보로부터 얼굴 인식을 위해 추출된 얼굴 특징에 대한 수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
  3. 삭제
  4. 삭제
  5. 촬상 장치를 통해 입력된 개인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에 있어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설정 등록하거나 갱신하는 사용자 등록부;
    상기 사용자 등록부에 의해 설정 등록되거나 갱신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저장한 제1 데이터 저장부;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부;
    상기 개인 식별부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환경 제어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 특성 정보는 촬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얼굴에 대한 영상 정보이며,
    상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은 상기 사용자 얼굴에 대한 영상 정보로부터 얼굴 인식을 위해 추출된 얼굴 특징에 대한 수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
  6. 삭제
  7. 삭제
  8.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접근하는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기; 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및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들을 저장한 제2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개인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개인 특성 정보 획득부;
    상기 개인 특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고, 상기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인식 처리부;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인터럽트 신호 및 상기 개인 인식 처리부로부터 제공된 개인 식별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식별 정보 제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설정 등록하거나 갱신하는 사용자 등록부;
    상기 사용자 등록부에 의해 설정 등록되거나 갱신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저장한 제1 데이터 저장부;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 및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환경 제어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 특성 정보 획득부는 촬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 특성 정보는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얼굴에 대한 영상 정보이며,
    상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은 상기 사용자 얼굴에 대한 영상 정보로부터 얼굴 인식을 위해 추출된 얼굴 특징에 대한 수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시스템.
  9. 삭제
  10. 외부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 및 개인 식별용 특징값들을 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들을 저장한 제2 데이터 저장부;
    촬상 장치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접근한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이 가능한 개인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개인 특성 정보 획득부;
    상기 개인 특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고, 상기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인식 처리부;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인터럽트 신호 및 상기 개인 인식 처리부로부터 제공된 개인 식별 정보를 외부의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식별 정보 제공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 특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하는 상기 개인 특성 정보는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얼굴에 대한 영상 정보이며,
    상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은 상기 사용자 얼굴에 대한 영상 정보로부터 얼굴 인식을 위해 추출된 얼굴 특징에 대한 수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식별 정보 인식 장치.
  11. 삭제
  12.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접근한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이 가능한 개인 특성 정보를 출력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텔레비젼에 있어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설정 등록하거나 갱신하는 사용자 등록부;
    상기 사용자 등록부에 의해 설정 등록되거나 갱신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저장한 제1 데이터 저장부;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개인 특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부;
    상기 개인 식별부로부터 제공되는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환경 제어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스마트 텔레비젼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 특성 정보는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얼굴에 대한 영상 정보이며,
    상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은 상기 사용자 얼굴에 대한 영상 정보로부터 얼굴 인식을 위해 추출된 얼굴 특징에 대한 수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텔레비젼.
  13. 삭제
  14.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설정 등록하거나 갱신하는 사용자 등록부;
    상기 사용자 등록부에 의해 설정 등록되거나 갱신된 각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들, 각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용 특징값 및 단말기 환경 정보들을 저장한 제1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접근한 사용자에 대한 개인 식별이 가능한 개인 특성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개인 특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특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개인 식별용 특징값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식별부;
    상기 개인 식별부로부터 제공되는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제공하는 개인 환경 제어부;
    상기 개인 환경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단말기 환경 정보에 따라 스마트 텔레비젼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 식별 정보 획득 장치는 촬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 특성 정보는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얼굴에 대한 영상 정보이며,
    상기 개인 식별용 특징값은 상기 사용자 얼굴에 대한 영상 정보로부터 얼굴 인식을 위해 추출된 얼굴 특징에 대한 수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적응형 환경 운영 기능을 갖는 스마트 텔레비젼.

  15. 삭제
KR1020110017824A 2011-02-28 2011-02-28 사용자 식별에 의한 사용자별 적응형 단말 환경 운영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 KR101242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824A KR101242111B1 (ko) 2011-02-28 2011-02-28 사용자 식별에 의한 사용자별 적응형 단말 환경 운영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824A KR101242111B1 (ko) 2011-02-28 2011-02-28 사용자 식별에 의한 사용자별 적응형 단말 환경 운영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104A KR20120098104A (ko) 2012-09-05
KR101242111B1 true KR101242111B1 (ko) 2013-03-12

Family

ID=4710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824A KR101242111B1 (ko) 2011-02-28 2011-02-28 사용자 식별에 의한 사용자별 적응형 단말 환경 운영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359B1 (ko) 2014-03-04 2021-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영 환경에 따라 목표 시스템을 적응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0637444A (zh) * 2017-07-27 2019-12-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控制共享设备的方法和终端
WO2021107186A1 (ko) * 2019-11-28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월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831A (ko) * 2004-07-14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셋탑 박스 및 사용자 인증 방법
KR20090069385A (ko) * 2007-12-26 2009-07-01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Iptv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셋탑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831A (ko) * 2004-07-14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셋탑 박스 및 사용자 인증 방법
KR20090069385A (ko) * 2007-12-26 2009-07-01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Iptv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셋탑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104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4629B1 (en) Picture display device, and setting modification method and setting modification program therefor
KR101917182B1 (ko) 영상처리장치, 음성취득장치, 그 음성인식방법 및 음성인식시스템
CN108648431B (zh) 遥控器功能的配置方法、装置、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327779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88429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554588B (zh) 支持闭路字幕的内容接收装置和显示装置
EP275779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er-built information using the same
CN103777862A (zh) 用户界面自适应呈现方法及终端
TW201921275A (zh) 使用者識別設備及使用者識別方法
CN106254913A (zh) 多媒体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EP2869584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distributed remote control, and televisio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20110027246A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영상 인식을 이용한 무선 연결 방법 및 장치
US202002017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KR101242111B1 (ko) 사용자 식별에 의한 사용자별 적응형 단말 환경 운영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
KR20120130466A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CN111385624B (zh) 一种基于语音的数据传输控制方法、智能电视及存储介质
KR20150029254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동작방법
CN109600647A (zh) 一种电视遥控方法、移动终端、电视和系统
WO2016131325A1 (zh) 一种实现无线连接的方法及系统
CN110865853B (zh) 云服务的智能操作方法和装置以及电子设备
US20130165074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Depari et al. Using smartglasses for utility-meter reading
TWM573480U (zh) System that provides predefined functions using encrypted images
JP6094626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164450B (zh) 登录方法、装置、播放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