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612B1 -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612B1
KR101241612B1 KR1020060010564A KR20060010564A KR101241612B1 KR 101241612 B1 KR101241612 B1 KR 101241612B1 KR 1020060010564 A KR1020060010564 A KR 1020060010564A KR 20060010564 A KR20060010564 A KR 20060010564A KR 101241612 B1 KR101241612 B1 KR 101241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gital broadcast
output
data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9712A (ko
Inventor
최우석
김성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0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6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79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8Flow-control devices, e.g. u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6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6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 B67C2003/2648Inflatable gaskets for sealingly engaging bottle necks o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6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 B67C2003/2651The liquid valve being carried by the vent tube

Landscapes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신된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데이터가 Foreground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화면 출력의 설정을 변경하고, 수신된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반투명화 처리가 가능한 형태인 RGB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한 후, RGB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를 반투명화 처리하여 이를 사용자가 선택한 UI 화면과 함께 출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과 디지털 방송이 동시에 보여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던지 해당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을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고 할지라도, 디지털 방송의 시청을 중단하지 않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UI 화면, 디지털 방송, Foreground 화면, background 화면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CURRENT DISP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DMB) AND APPLICATIONS'S USER INTERFACE}
도 1은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동작 수행시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동작 수행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동작 수행시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방송 수신시 멀티태스킹 동작이 요청될 때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DMB)'이라는 것은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에 무지향성 디지털 방송 수신 안테나를 장착하여 디지털 방송을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건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 및 재생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라고 한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기술은 나날이 발전하여 현재에는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에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구동이 가능한 멀티태스킹(Multimasking)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지털 방송의 시청을 중단하지 않고서도 SMS(Short Messaging Service) 메시지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 등을 작성 또는 확인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등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화면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의 (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SMS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기를 원하다면,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의 출력을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 1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SMS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도 1 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은 UI 화면을 통해 자신이 작성하고자 하는 SMS 문자 메시지를 작성한다. 그리고 SMS 문자 메시지의 작성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SMS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이러한 경우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는 다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표시부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SMS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는 시간 동안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SMS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과 같은 극히 짧은 시간동안이라면 사용자의 디지털 방송 시청에 큰 장애가 될 수는 없겠지만, 상기한 예와 같이 특정 형식의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나, 단순이 메시지의 작성이 아니라 일정 관리와 같이 다소의 시간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상기 작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동안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디지털 방송의 주요 장면을 놓치게 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현재 여러 가지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방안의 예를 들어보면, 예를 들어 SMS 문자 메시지 수신의 경우, 수신된 SMS 문자 메시지를 팝업(Pop-up) 형태의 반투명한 디스플레이 창으로 생성하여 디지털 방송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위에 출력하는 방법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은 현재 디지털 방송 출력시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배터리 또는 수신률등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Icon)을 출력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는 것을 중단하지 않 고서도 상기 문자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디지털 방송과 동시에 상기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는 극히 제한된 몇몇 어플리케이션들만을 위와 같이 사용할 수 있을 뿐이다. 즉, 상기한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는 상기 SMS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을 반투명화하고 이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들 및 작업 절차들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만약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을 반투명하고 이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들 및 작업 절차들을 상기 SMS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과는 별도로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일반적을 UI 화면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과의 동시 출력을 위한 작업 절차들과 데이터들을 각각의 모든 어플리케이션들 별로 모두 저장한다는 것은,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현재 개발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개수만 해도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는 이러한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UI 화면을 디지털 방송과 동시에 출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 도중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더라도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지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 구비된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일지라도,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 도중 실행을 원할 경우 디지털 방송 화면과 동시에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의 UI(User Interface)가 출력되는 화면을 background 화면으로,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가 출력되는 화면을 foreground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화면 출력 설정을 전환하는 화면 전환부를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가 화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반투명화 처리가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반투명화 처리하는 반투명화 처리부와, 상기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선택하면, 상기 화면 출력 설정을 전환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변환 및 반투명화 처리한 후, 상기 UI 출력 화면과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출력 화면을 상기 전환된 화면 출력 설정에 따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가 출력되는 화면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 표시부 화면의 foreground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화면 출력 설정을 전환하는 화면 출력 설정 전환 단계와,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가 화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반투명화 처리가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반투명화 처리하는 반투명화 처리 단계와, 상기 반투명화 처리된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와 상기 UI 화면을 상기 전환된 화면 출력 설정 상태에 따라 출력하는 화면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시 사용자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반투명 처리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신된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데이터가 Foreground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화면 출력의 설정을 변경하고, 수신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반투명화 처리가 가능한 형태인 RGB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한 후, RGB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를 반투명화 처리하여 이를 사용자가 선택한 UI 화면과 함께 출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과 디지털 방송이 동시에 보여지도록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던지 해당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을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고 할지라도, 디지털 방송의 시청을 중단하지 않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는 메모리부(202), 키 입력부(204), 표시부(206), 베이스밴드 처리부(210), 전화 코덱(CODEC: Coder-Decoder)(212), 디지털 방송 수신부(216), 그리고 DMB 화면 처리부(224)와 화면 전환부(226), 및 RGB 변환부(228)가 제어부(2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전화 통화나 데이터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디지털 방송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고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부(216)로부터 EPG 데이터들 및 디지털 방송 데이터들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의 시청을 선택한 경우라면, DMB 멀티미디어부(218)의 DMB 비디오 코덱(220) 및 DMB 오디오 코덱(222)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들을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로 디코딩하고, 이를 표시부(206) 또는 증폭부(214)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키 입력부(204)로부터 받아서 이에 따라 표시부(206)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화상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현재 디지털 방송의 출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한 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선택한 경우라면 제어부(200)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화면 출력 설정과 UI 화면의 출력 설정을 서로 전환하여,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표시부(206)에 출력되는 화면의 foreground 화면으로, 그리고 UI 화면을 표시부(206)에 출력되는 화면의 background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foreground 화면과 background 화면은 상기 표시부(206)에 화상을 생성하는 레이어(layer)에 대한 것으로 foreground 화면은 background 화면의 위에 생성되는 레이어를 말한다.
이는 UI 화면이 아닌 디지털 방송의 출력 화면을 반투명화 처리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투과하여 상기 UI 화면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UI 화면이 아닌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반투명화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더라도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방송 화면과 함께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을 같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데이터는 YCbCr 형식의 데이터로 화면에 출력된다. 그런데 이러한 YCdCr 형식의 데이터는 일반적인 RGB 형식의 데이터와는 달리 반투명화를 시킬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RGB 변환부(228)를 이용하여 상기 YcbCr 형식의 데이터, 즉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RGB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RGB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를 Alpha Blending과 같은 반투명화 기법을 사용하여 반투명화시킨 후에 표시부(206)의 foreground 화면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을 표시부(206)의 background 화면으 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출력 화면을 투과하여 비쳐 보이게 되고,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을 계속 시청하면서 자신이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202)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롬은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은 제어부(2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그리고 표시부(206)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 및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06)는 화면 전환부(226)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른 화면 출력 데이터의 출력을 전환하여 상기 UI 화면의 데이터 또는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foreground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를 background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RGB 변환부(228)는 YCbCr 형식으로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RGB 형식의 화면 출력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는 상기 YCbCr 형식의 데이터가 반투명화 처리가 힘들기 때문이며, 이와 대조적으로 RGB 데이터는 반투명화 처리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화면 출력 데이터라는 것은 실제로 UI 화면 또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상기 표 시부(206)에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DMB 화면 처리부(224)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술한 바와 같이 반투명화 처리를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DMB 화면 처리부(224)는 Alpha Blending과 같은 방식을 통해 제어부(200)에 의해 주어지는 Alpha 값에 따라 상기 RGB 데이터로 변환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반투명화한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Alpha 값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Alpha 값을 변경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가 반투명화되는 정도를 자신의 취향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키 입력부(20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그리고 RF부(208)는 기지국과 전화 통화 및 메시지 교환을 위한 RF 신호를 송, 수신하는 역할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한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처리부(210)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210)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수신을 선택하는 경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연결된 베이스밴드 처리부(210)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210)는 제어부(200)와 RF부(208)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2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부(208)에 인가하며, RF부(208)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2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수신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200)로부터 인가되는 키 입력에 따라 설정된 채널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디지털방송 데이터를 디지털 방송 수신부(216)로 출력한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부(216)는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210)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역다중화한다. 그리고 역다중화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인가한다. 그러면 제어부(200)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DMB 멀티미디어부(218)에 인가하고, DMB 멀티미디어부(218)는 DMB 비디오 코덱(220)과 DMB 오디오 코덱(222)을 이용하여 이들을 각각 디코딩한다. 그리고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표시부(206) 및 증폭부(214)로 출력한다. 그러면 표시부(206)에서는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증폭부(114)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볼륨(Volume) 이득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00)와 연결된 전화 코덱(212)은 증폭부(214)를 통해 마이크 및 스피커와 접속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출력하고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하여 증폭부(214)를 통해 스피커로출력한다. 그리고 증폭부(214)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데, 스피커의 음량과 마이크의 이득을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동작 수행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30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따른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3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고 이를 출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외에 별도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302단계의 체크 결과 상기 사용자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경우라면, 제어부(200)는 304단계로 진행하여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는 화면이 foreground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화면 출력을 전환한다.
이는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표시부(206)에 화면을 출력하는 설정이,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을 foreground 화면으로, 그리고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를 background 화면으로 출력하기 때문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을 출력하는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만을 구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배터리(Battery)의 잔량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안테나의 수신 감도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등과 같이, 기본적으로 구동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함께 구동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디지털 방 송의 화면 출력 설정이 foreground 화면으로 되어 있으면 이러한 배터리 잔량의 표시 또는 안테나의 수신 감도 표시등이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에 의해 보여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는 background 화면으로 설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을 foreground 화면으로 그대로 둔채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UI 화면과 디지털 방송의 화면이 겹쳐진 상태에서도 상기 UI 화면과 디지털 방송의 화면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게 하려면, UI 화면을 반투명화 처리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304단계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가 표시부(206)에 foreground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UI 화면이 표시부(206)에 background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을 전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각 어플리케이션들마다 서로 다른 UI 화면을 모두 반투명화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및 처리 과정등이 없이도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만을 가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고 할지라도 UI 화면과 디지털 방송이 겹쳐진 상태에서도 상기 UI 화면과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이 사용자에게 모두 보여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UI 화면이 RGB 형식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통해 표시부(206)에 화상으로 생성되는 반면,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은 YCbCr 형식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통해 표시부(206)에 화상으로 생성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YCbCr 데이터는 반투명화 처리가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RGB 형식의 화면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상기 304단계에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화면 출력이 foreground 화면으로 설정이 전환되면, 306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반투명화 처리가 가능한 RGB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상기 RGB 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화면 출력 데이터를 Alpha Blending과 같은 반투명화 처리 기법을 사용하여 반투명화시킨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상기 반투명 처리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화면 출력 데이터와 사용자가 상기 302단계에서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상기 304단계에서 전환된 화면 출력 설정에 따라 표시부(206)의 화면에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10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UI 화면의 화면 출력 데이터는 상기 표시부(206)에 출력되는 화면의 background 화면으로, 그리고 상기 반투명화 처리가 완료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화면 출력 데이터는 상기 표시부(206)에 출력되는 화면의 foreground 화면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화면 출력 데이터는 상기 308단계에서 반투명화 처리가 되어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UI 화면의 화면 출력 데이터에 의해 생성되는 UI 화면은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에 겹쳐져서 표시부(206)에 출력되게 된다. 이러한 예를 하기 도 4를 참조하여 보이기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방송이 출력되고 있는 도중, 사용자가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더라도, 상기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계속 시청하면서 상 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일지라도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면서 상기 메시지에 삽입될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메시지 생성 어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일정관리 또는 계산기 등등과 같은 기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는 것을 중단하지 않고서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10단계에서 상기 반투명 처리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와 UI 화면의 데이터를 출력하면, 제어부(200)는 31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상기 302단계에서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시켰는지 여부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312단계의 체크 결과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시킨 경우라면 제어부(200)는 다시 306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RGB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반투명화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312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한 경우라면 제어부(200)는 314단계로 진행하여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출력 설정을 복원한다. 그러면 다시 상기 디지털 방송은 표시부(206)의 background 화면으로 출력되게 되고, 상기 UI 화면은 표시부(206)의 foreground 화면으로 출력되게 된다.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동작 수행시 출력되는 화면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가 디지털 방송 데이터만을 출력하고 있는 도면이고, 도 4의 (b) 는 상기 도 4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이러한 도 4를,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경우를 보인 도 1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도 1의 (b)에서와 같이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없으나, 도 4의 (b)에서는 상기 UI 화면이 상기 디지털 방송 화면을 투과하여 보여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면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디지털 방송 도중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예로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만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의 경우 데이터의 변환이나 반투명화 처리등을 하지 않으므로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던지 간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 도중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 행시키더라도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지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구동 가능한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일지라도,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 도중 실행을 원할 경우 디지털 방송 화면과 동시에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디지털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 단말기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의 UI(User Interface)가 출력되는 화면을 background 화면으로,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가 출력되는 화면을 foreground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화면 출력 설정을 전환하는 화면 전환부를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가 화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반투명화 처리가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반투명화 처리하는 반투명화 처리부와,
    상기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선택하면, 상기 화면 출력 설정을 전환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변환 및 반투명화 처리한 후, 상기 UI 출력 화면과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출력 화면을 상기 전환된 화면 출력 설정에 따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RGB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화 처리부는,
    Alpha Blending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받은 Alpha 값에 따라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반투명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투명화 처리부에 기 설정된 Alpha 값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Alpha 값을 상기 반투명화 처리부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장치.
  5. 디지털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 단말기가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 화면의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가 출력되는 화면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 표시부 화면의 foreground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화면 출력 설정을 전환하는 화면 출력 설정 전환 단계와,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가 화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반투명화 처리가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반투명화 처리하는 반투명화 처리 단계와,
    상기 반투명화 처리된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와 상기 UI 화면을 상기 전환된 화면 출력 설정 상태에 따라 출력하는 화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가 출력되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 화면의 foreground 화면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UI가 출력되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 화면의 background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화면 출력을 설정하는 단계임을 특징 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단계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RGB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화 처리 단계는,
    기 설정된 Alpha 값에 따라 상기 변환된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반투명화하는 Alpha Blending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반투명화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화 처리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Alpha 값을 입력받는 Alpha 값 입력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Alpha 값에 따라 상기 변환된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반투명화하는 Alpha Blending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반투명화하는 Alpha Blending 반투명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방법.
KR1020060010564A 2006-02-03 2006-02-03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41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564A KR101241612B1 (ko) 2006-02-03 2006-02-03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564A KR101241612B1 (ko) 2006-02-03 2006-02-03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712A KR20070079712A (ko) 2007-08-08
KR101241612B1 true KR101241612B1 (ko) 2013-03-08

Family

ID=3860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564A KR101241612B1 (ko) 2006-02-03 2006-02-03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6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759B1 (ko) * 2007-12-17 201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정보 저장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713B1 (ko) * 1995-12-15 1999-06-15 전주범 디지탈 dbs수신기에 있어서 반투명배경 출력기능을 갖는 osd구현장치 및 그 구현방법
KR20050044839A (ko) * 2004-06-19 200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수신된 문자메시지를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방법
KR20050091246A (ko) * 2004-03-11 2005-09-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기에서 복수의 화면을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 및장치
KR20050106076A (ko) * 2003-03-05 2005-11-0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방송 수신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713B1 (ko) * 1995-12-15 1999-06-15 전주범 디지탈 dbs수신기에 있어서 반투명배경 출력기능을 갖는 osd구현장치 및 그 구현방법
KR20050106076A (ko) * 2003-03-05 2005-11-0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방송 수신 장치
KR20050091246A (ko) * 2004-03-11 2005-09-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기에서 복수의 화면을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 및장치
KR20050044839A (ko) * 2004-06-19 200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수신된 문자메시지를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712A (ko)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700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음성통화 방법
EP1746829A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video communications thereof
US20170054841A1 (en) Dmb terminal for enabling simultaneous dmb viewing and phone call and method therefor
JP4845518B2 (ja) 放送受信方法および装置
US200800722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gital broadcast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241612B1 (ko) 디지털 방송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의 동시 출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2202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713355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멀티비젼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724860B1 (ko)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작 모드 전환 방법
JP4359246B2 (ja) 出力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通信装置
US20070072592A1 (en) Method of receiving a cal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665615B1 (ko) 휴대폰 모드와 dmb 방송 수신 모드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의 모드 변환 방법 및 장치
JP4610943B2 (ja) 携帯可能な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547706B1 (ko) 티브이폰의 배경화면 등록방법
KR101199860B1 (ko) 가로모드에서 한뼘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KR101181765B1 (ko) 전화번호 인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584414B1 (ko) 티브이 폰의 배경화면 등록방법
KR20080046810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멀티화면 제공방법
JP2006054613A (ja) Tv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におけるtv駆動方法
KR20050121528A (ko) 동영상 확대처리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제어방법
KR20070034201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sms 메시지 처리방법
KR100469854B1 (ko) 지역별 채널검색을 통한 tv폰 예약 방송 방법
KR100672360B1 (ko)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및 디지털방송용 단말기의 유저인터페이스 표출 방법
KR100879685B1 (ko)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의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652505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인식기능을 이용한 배경을자동설정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