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572B1 - Operating device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 Google Patents

Operating device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572B1
KR101240572B1 KR1020110049363A KR20110049363A KR101240572B1 KR 101240572 B1 KR101240572 B1 KR 101240572B1 KR 1020110049363 A KR1020110049363 A KR 1020110049363A KR 20110049363 A KR20110049363 A KR 20110049363A KR 101240572 B1 KR101240572 B1 KR 101240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fire extinguisher
automatic fire
elast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3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31300A (en
Inventor
박중화
Original Assignee
박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화 filed Critical 박중화
Priority to KR1020110049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572B1/en
Publication of KR20120131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3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5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6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thermally-expansible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는 그 크기가 커지고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부피와 무게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압전소자를 이용하므로 크기와 무게 및 부피를 줄이고, 설치하는 위치와 방향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취급이 간편한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전소자를 이용하므로 자동소화기의 크기, 무게,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설치하는 위치 및 방향 등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안정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operat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rating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and has a problem in that the size thereof is larg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volume and weight are larg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iezoelectric element, thereby reducing size, weight, and volume, and providing an operation device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which is not restricted by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direction and is easy to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ezoelectric element can be used to reduce the size, weight, and volume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nd can be stably operate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direction.

Figure R1020110049363
Figure R1020110049363

Description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Operating device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Operating device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전소자를 이용하고 열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한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uating device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tuating device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and automatically operating when a heat is sensed.

소화기는 화재가 발생한 지역에 액체, 거품, 가스 등이 포함되는 소화물질(이하, ‘소화약제’라 한다.)을 배출하므로 화재를 쉽게 진압할 수 있는 장치이고, 일반적으로 화재의 발생 가능성이 비교적 많은 장소에 인접한 상태로 비치될 수 있다. A fire extinguisher is a device that can extinguish a fire easily by discharging a fire extinguishing substa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extinguishing agent') containing liquid, foam, and gas in a fire area, and generally has a relatively high possibility of fire. It may be provided adjacent to many places.

소화기의 소화약제는 선택된 용기에 보관되고 화재가 발생할 경우, 용기로부터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배출되어 화재현장에 투입되므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여기서 용기는 개방된 형상과 밀폐된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extinguishing agent of the fire extinguisher is stored in a selected container, and when a fire occurs, it is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and put into the fire site, thereby extinguishing the fire. Here, the container may be used by selecting any one of an open shape and a closed shape.

자동소화기는 화재 등의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해당 소화약제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다. Automatic fire extinguishers can automatically detect the occurrence of fire, etc. and automatically discharge the extinguishing agent.

자동소화기에서 소화약제를 용기로부터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작동 방식에는 기계식, 전기식, 유리벌브식, 이융성금속식, 바이메탈식 등이 있다. 전기식의 경우는 직류 또는 교류의 외부전원을 이용하는 방식과 외부 전원의 공급 없이 자체적으로 발전된 전원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gent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by mechanical, electrical, glass bulb, fusible metal, bimetal, and the like. In the case of the electric type, it can be divided into a method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of direct current or alternating current and a method using a power source generated by itself without supplying an external power source.

종래 기술에 있어서 전기를 자체적으로 발전하는 자동소화기는 코일과 영구자석을 교차시켜 전기를 발전하였다. In the prior art,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that generates electricity by itself generates electricity by crossing a coil and a permanent magnet.

이러한 자동소화기는 발전되는 전기의 용량을 높이기 위하여 영구자석과 코일의 크기를 크게 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자동소화기의 전체적인 부피와 무게가 늘어나며, 영구자석과 코일의 가격이 비싸 제조원가가 올라가고 그 취급 및 관리가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었다. Such automatic fire extinguishers should increase the size of permanent magnets and coils to increase the capacity of electricity generated. Therefore, the overall volume and weight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is increased, the price of the permanent magnet and coil is expensive,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nd its handling and management is difficult.

또한, 영구자석과 코일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는 구성은 비교적 정밀하게 제작될 것을 필요로 하므로 생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a permanent magnet and coil ha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time is long because it needs to be manufactured with a relatively precise.

따라서 자동소화기 장치의 크기와 무게 및 부피를 줄이면서 제조비용을 줄이고 취급과 생산이 용이한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reduces the manufacturing cost, and is easy to handle and produce while reducing the size, weight and volume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devic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전소자를 이용하고 그 크기와 무게 및 부피를 줄이는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rating device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and reducing its size, weight, and volume.

본 발명은 그 설치와 취급이 쉽고 안정적으로 동작하며 대량 생산이 용이한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ration device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that is easy to install and handle, operates stably, and is easy to mass produc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는 외부로부터 충격을 인가받고 전기를 발전하는 발전부; 상기 발전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충격부; 상기 충격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압축된 상태로부터 복원되면서 상기 충격부를 상기 발전부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부; 상기 충격부와 연결하여 상기 충격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어 열을 감지하면 상기 고정부를 상기 충격부와 연결된 상태로부터 분리시키는 바이메탈을 포함 포함한다. Operation apparatus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electric shock received from the outside; An impact unit spaced apart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An elastic par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impact part and generating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impact part toward the power generation part while being restored from a compressed state; And a bimetal that is connected to the impact unit to fix the impact unit so as not to move, and a bimetal that is coupled to the fixing unit to detect heat and separates the fixing unit from the state connected to the impact unit.

상기 충격부는 상기 고정부가 연결되는 걸림턱부 또는 홈부를 포함한다. The impact unit includes a locking jaw portion or a groove portion to which the fixing portion is connected.

상기 충격부는 단위 면적당 충격량을 크게 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The impact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that increases the amount of impact per unit area.

상기 탄성부를 내부의 일 측에 배치하고 상기 발전부를 내부의 타측에 배치하며 상기 충격부를 상기 탄성부와 발전부의 사이에 배치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한다.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n accommodating pa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the generator 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and the impact part disposed between the elastic part and the power generating part.

상기 수납부는 상기 충격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가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관통홀을 측면에 포함한다. Th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through hole at a side surface of which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impact part so as not to move is connected or separated.

상기 탄성부가 배치되는 내부의 일 측단에 상기 충격부의 머리부가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타 측단은 개방되면서 내주면에 나사구조를 포함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나사구조와 대응하는 나사구조를 그 울타리의 외주면에 포함하여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나사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한다.
In one side end of the elastic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head of the impact portion can be moved and the other side is open and the screw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crew structur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crew structur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containing the screw structur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t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that is screw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nclu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en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압전소자를 이용하므로 자동소화기의 전체 크기, 무게 및 부피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ezoelectric element can be used to reduce the overall size, weight, and volume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소화기를 설치하는 위치 및 방향 등에 제약을 받지 않고 안정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stably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수직방향 부분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수직방향 부분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대하여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수직방향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수직방향 단면도,
도 5 는 도 4 에서의 A 부분을 확대한 도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4 에서의 A 부분을 확대한 도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 예에 의한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1 is a vertical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ertical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operating device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ng apparatus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4;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4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operating device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수직방향 부분 단면도 이다. 1 is a partial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가 수직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절단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제 1 실시 예에 의한 작동장치(100)는 충격부(110), 고정부(120), 탄성부(130), 발전부(140), 바이메탈(150) 및 수납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is partially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p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mpact unit 110, the fixing unit 120, the elastic unit ( 130, the power generation unit 140, the bimetal 150, and the accommodation unit 160 may be included.

제 1 실시 예에 의한 작동장치(100)는 자동소화 본체부에 내장설치, 외장설치 및 분리설치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op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in any one or more methods selected from an internal installation, an external installation, and a separate installation method on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main body.

충격부(110)는 측면 양쪽의 대응되는 위치에 홈부(112)를 포함하고 도면에서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mpact unit 110 may include a groove 112 at corresponding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impact unit 110, and may include a protrusion 114 protruding downward in the drawing.

돌출부(114)는 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절단된 단면이 사각형상을 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삼각형상, 반원형상 및 사각형상 등이 포함되는 다양한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을 할 수 있다. Protruding portion 114 i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hape of a square, but may have any one of a variety of shapes, including a triangular, semi-circular, and square.

홈부(112)는 삽입된 고정부(120)와 연결되어 걸릴 수 있는 걸림턱(116)을 포함한다. The groove part 112 includes a locking step 116 that can be connected to and hooked with the inserted fixing part 120.

홈부(112)의 절단된 단면의 형상은 걸림턱(116)을 포함하면서 유(U)자, 디귿(ㄷ)자, 기역(ㄱ)자 형상이 포함되는 다양한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을 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cut section of the groove 112 may include any one of a variety of shapes including a U-shaped, a U-shaped, and an air-shaped (a) shape, including a locking jaw 116. have.

도면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절단된 홈부(112)의 단면이 변형된 기역(ㄱ)자 형상을 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In the figure is shown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groove portion 112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has a deformed air force (a) shape.

고정부(120)는 막대형상을 하며 홈부(112)에 삽입되고 걸림턱(116)에 연결되어 걸리므로 탄성부(130)의 탄성력을 받는 충격부(110)가 아래의 방향으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The fixing part 120 has a rod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art 112 and connected to the locking jaw 116 so that the impact part 110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130 no longer moves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be fixed.

탄성부(130)는 스프링류, 고무류 등과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압축된 상태로부터 복원되는 경우에 탄성력을 발생한다. The elastic part 130 is made of an elastic body such as springs, rubbers, etc., and generates an elastic force when it is restored from a compressed state.

도면에서 탄성부(130)가 절단된 상태의 단면으로 도시되지 않고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므로 도면의 설명은 부분 단면도라고 설명하기로 한다. Since the elastic part 130 is shown in a front view rather than a cross section in a cut state,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탄성부(130)는 충격부(110)의 위쪽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며 충격부(110)가 아래의 일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탄성력을 발생한다. The elastic unit 130 is disposed in a compressed state above the impact unit 110 and generates an elastic force that allows the impact unit 110 to move in one direction below.

돌출부(114)는 충격부(110)의 하단에 구성되고 수평절단에 의한 단면적은 충격부(110)의 그것보다 작다. The protrusion 114 is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impact unit 110 and the cross-sectional area due to horizontal cutting is smaller than that of the impact unit 110.

충격부(110)는 그 상측부에 배치된 탄성부(130)가 압축된 상태로부터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아래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전부(140)와 충돌하므로 발전부(140)에 충격을 전달한다. Since the impact unit 110 collides with the power generating unit 140 while mov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generated while the elastic unit 130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from the compressed state, the power generating unit 140 Shock).

이때, 충격부(110)는 돌출부(114)를 통하여 발전부(140)와 충돌하므로, 발전부(140)는 해당 위치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 충격량이 더 크게 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impact unit 110 collides with the power generation unit 140 through the protrusion 114, the power generation unit 140 may have a larger impact amount per unit area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즉, 충격부(110)의 큰 체적과 넓은 단면적에 의하여 발생된 충격량이 돌출부(114)의 작은 단면적을 통하여 발전부(140)에 전달된다. That is, the impact amount generated by the large volume and the wid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mpact unit 110 is transmitted to the power generation unit 140 through the small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trusion 114.

돌출부(114)의 단면적이 충격부(110)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돌출부(114)가 단위 면적당 전달하는 충격량은 충격부(110)가 단위 면적당 전달하는 충격량보다 크게 된다.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trusion 114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mpact unit 110, the amount of impact that the protrusion 114 transmits per unit area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impact that the impact unit 110 transmits per unit area.

발전부(140)는 단위 면적당 큰 충격량을 발생하는 돌출부(114)를 통하여 충격을 받으므로 충격부(110)가 직접 충돌하는 경우보다 더 큰 전력을 발전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power generation unit 140 receives an impact through the protrusion 114 generating a large impact amount per unit area, the power generation unit 140 may generate more power than the impact unit 110 directly collides with.

이러한 돌출부(114)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수가 구성될 수 있으며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One or more of these protrusions 114 may or may not be configured.

발전부(140)는 로셀염, 티탄산바륨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를 포함하며 발전된 전기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전극(142)을 포함한다. The power generation unit 140 includes a piezoelectric element made of a material such as rossel salt and barium titanate, and includes an electrode 142 for outputting generated electricity to the outside.

발전부(140)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기계적인 변형이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전기분극이 발생되고 전기분극에 의하여 발전된 전기를 출력한다. 발전부(140)는 단위 면적당 충격량이 클수록 전기분극이 크게 일어난다. The power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electric polarization when mechanical deformation is instantaneously generated by an impac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outputs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electric polarization. In the power generation unit 140, the greater the amount of impact per unit area, the greater the electrical polarization.

즉, 발전부(140)는 충격부(110)가 아래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달하는 충격에 의하여 전기를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는 전극(142)을 통하여 출력한다. That is, the power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electricity by the impact transmitted while the impact unit 110 moves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generated electricity is output through the electrode 142.

바이메탈(150)은 열을 감지하는 경우 한쪽 방향으로 휘어지는 성질이 있는 이종금속의 결합체이다. The bimetal 150 is a combination of dissimilar metals having a property of bending in one direction when sensing heat.

바이메탈(150)은 열에 의하여 팽창이 잘되는 금속과 팽창이 잘 되지 않는 금속을 각각 얇게 접착한 구조이고 열을 감지하면 한쪽 방향으로 휘는 특성이 있다. The bimetal 150 has a structure in which a metal that is well expanded by heat and a metal that is not expanded well is thinly bonded to each other, and bent in one direction when heat is sensed.

바이메탈(150)은 그 물리적 길이를 길게 할수록 열을 감지하는 경우에 큰 값으로 휘게 할 수 있다. The bimetal 150 may be bent to a larger value when heat is detected as the physical length thereof is increased.

바이메탈(150)은 제한된 면적 안에서 그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하여 유(U)자, 엠(M)자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할 수 있다. The bimetal 150 may have any one selected from various shapes including U and M characters in order to lengthen the length within a limited area.

바이메탈(150)은 각각의 양쪽 끝단에 고정부(120)가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고, 도면에는 바이메탈(150)이 디귿(ㄷ)자 형상을 하며 열을 감지하지 아니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The bimetals 150 are coupled in a state where the fixing parts 120 are fixed to both ends thereof, and in the drawing, the bimetals 150 have a diagonal shape and are not shown to sense heat.

수납부(160)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 형상을 하고 내부의 상측에 탄성부(130)가 배치되며 그 하측에는 발전부(140)가 배치된다. The accommodating part 160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n elastic part 130 is disposed on an upper side thereof, and a power generation part 140 is disposed below the accommodating part 160.

수납부(160)의 내부에 배치된 탄성부(130)와 발전부(140) 사이에는 충격부(110)가 위 또는 아래의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The impact unit 110 is disposed between the elastic unit 130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140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ng unit 160 so that the impact unit 110 may move in the up or down direction.

수납부(160)는 측면에 관통홀(162)이 포함되고, 관통홀(162)은 고정부(120)가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한다. The accommodating part 160 includes a through hole 162 on the side, and the through hole 162 has a size and a shape in which the fixing part 120 can be easily moved.

수납부(160)는 밀폐되지 않을 수 있으나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관통홀(16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밀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ccommodating part 160 may not be sealed, but in order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remaining part except the through hole 162 to be sealed.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수직방향 부분 단면도 이다. 2 is a partial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작동장치(100)의 바이메탈(150)이 허용된 레벨 이상의 열을 감지하여 디귿(ㄷ)자 형상으로부터 변형되어 벌어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bimetal 150 of the operating device 100 is shown in a state of being deformed and deformed from the Di-shaped (c) shape by detecting heat above an allowable level.

바이메탈(150)이 벌어진 상태로 변형되면 바이메탈(150)의 양쪽 끝단에 결합되어 고정된 고정부(120)가 충격부(110)의 홈부(112)로부터 분리되어 걸림턱(116)을 고정하지 않는 동시에 관통홀(162)로부터도 분리된다. When the bimetal 150 is deformed in the open state, the fixing part 12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imetal 150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part 112 of the impact part 110 so as not to fix the locking jaw 116. At the same time, it is also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162.

고정부(120)가 홈부(112)로부터 분리되면서 걸림턱(116)을 더 이상 고정하지 않으면 충격부(110)는 탄성부(1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아래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When the fixing part 120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part 112 and the locking jaw 116 is no longer fixed, the impact part 110 moves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130.

충격부(110)는 고정부(120)가 걸림턱(116)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충격부(110)는 탄성부(130)의 탄성력을 전달받아 발전부(140)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전부(140)와 충돌한다. The impact unit 110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unit 120 is freely movable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locking jaw 116, and the impact unit 110 receive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unit 130 to generate the power unit 140. It collides with the power generation unit 140 while moving in the direction.

이때, 충격부(110)는 발전부(140)와 직접 충돌하지 않고 돌출부(114)를 통하여 충돌한다. In this case, the impact unit 110 does not directly collide with the power generation unit 140 but collides through the protrusion 114.

발전부(140)는 충돌에 의하여 충격을 받는 순간 기계적으로 변형되면서 단위 면적당 충격량의 크기에 비례하여 전기를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는 전극(142)을 통하여 작동장치(100)의 외부로 출력된다.
The power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electricity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impact amount per unit area while being mechanically deformed at the time of impact by the collision, and the generated electricity is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operating device 100 through the electrode 142.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대하여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수직방향 단면도 이다.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operating device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을 참조하면 자동소화기(10)는 작동장치(100)와 소화기 본체(2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10 includes an operating device 100 and a fire extinguisher body 200.

작동장치(100)는 팽창제(210)를 인접한 상태로 포함하고 소화기 본체(200)의 선택된 위치에 장착되며, 소화기 본체(200)는 소화약제(220)를 내장한다. The operating device 100 includes the inflator 210 in an adjacent state and is mounted at a selected posi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body 200, and the fire extinguisher body 200 contains the extinguishing agent 220.

작동장치(100)는 소화기 본체(200)에 내장상태, 외장상태, 일부 외장상태(일부 내장상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The operating device 100 may be mounted in the fire extinguisher main body 200 in any one or more manner selected from an internal state, an external state, and some external state (some internal state).

작동장치(100)를 일부 외장상태로 장착한 소화기 본체(200)는 열을 감지하기 쉬운 위치의 벽면 또는 천장에 부착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The fire extinguisher main body 200 in which the operating device 100 is mounted in a part of an external state may be fixed to a wall or ceiling in a position where heat is easily detected.

소화기 본체(200)에 구비된 작동장치(100)는 열을 감지하는 경우에 전기를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는 팽창제(210)에 공급된다. The operating device 100 provided in the fire extinguisher main body 200 generates electricity when it senses heat, and the generated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expansion agent 210.

팽창제(210)는 점화약제를 포함하고 작동장치(100)로부터 공급된 전기에 의하여 점화약제가 점화되면서 팽창약제를 작용시키고 팽창약제는 작용되면서 그 부피를 팽창시켜 공기의 압력을 발생시킨다. The expansion agent 210 includes an ignition agent and acts on the expansion agent while the ignition agent is ignited by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operating device 100, and the expansion agent acts to expand its volume to generate air pressure.

팽창제(210)에 의하여 발생된 공기압력은 소화기 본체(200)의 전면부 또는 특정한 부분을 파괴시키면서 내장되었던 소화약제(220)를 배출시키게 된다. The air pressure generated by the expansion agent 210 discharges the extinguishing agent 220 that was built up while destroying the front portion or the specific por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body 200.

여기서 소화기 본체(200)는 발생된 공기 압력에 의하여 전면부가 파쇄되는 대신에 소화약제(220)를 배출하는 다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e extinguisher main body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s for discharging the extinguishing agent 220 instead of crushing the front part by the generated air pressure.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수직방향 단면도 이고, 도 5 는 도 4 에서의 A 부분을 확대한 도시도 이다.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in FIG. 4.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 2 실시 예에 의한 작동장치(3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작동장치(300)는 충격부(310), 고정부(320), 탄성부(330), 발전부(340), 바이메탈(350), 수납부(360) 및 체결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he operating device 300 is the impact unit 310, the fixing unit 320, the elastic unit 330, the power generation unit 340, a bimetal 350, an accommodating part 360, and a fastening part 370 may be included.

제 2 실시 예에 의한 작동장치(300)는 자동소화 본체부와 분리되어 별도 설치되는 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러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작동장치(300)는 자동소화 본체부에 내장, 외장 또는 일부 외장 방식으로도 설치될 수 있다. The operat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used separately from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main body. However, the operat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installed in a built-in, external or some external method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main body.

도면에서 충격부(310)는 직선의 막대 형상을 하는 몸통부(311), 몸통부(311)의 상측에 홈부(312)를 사이에 두고 구성된 머리부(313), 몸통부(311)의 하측에 구성된 돌출부(314), 몸통부(311)와 돌출부(314)의 사이에 구성되고 몸통부(311) 및 돌출부(314)의 수평절단에 의한 단면적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받침부(315)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In the drawing, the impact part 310 includes a body part 311 having a straight rod shape, and a head part 313 and a lower part of the body part 311 formed with the groove part 31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upport 315 configured between the protrusion 314, the body 311, and the protrusion 314 and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dy 311 and the protrusion 314 by horizontal cutting. It is shown.

고정부(320)는 막대 형상을 하고 바이메탈(350)의 양쪽 끝단부에 결합되며 홈부(312)에 삽입 및 연결되어 충격부(31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The fixing part 320 has a rod shape and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imetal 350 and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groove part 312 to fix the impact part 310 so as not to move.

도 5 에는 탄성부(330)로부터 아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탄성력을 전달받은 충격부(310)가 홈부(312)에 삽입 및 연결된 고정부(320)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움직이지 못하고 있는 상태가 확대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In FIG. 5, since the impact part 310 that receives the elastic force moving downward from the elastic part 330 is fixed by the fixing part 320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groove part 312, the state in which it cannot move is expanded. Is shown.

여기서 홈부(312)의 상측면이 경사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경사진 것은 고정부(320)가 홈부(312)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쉽게 분리되도록 한다. Here,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groove 312 is shown in an inclined state, so that the inclined portion is easily separated when the fixing portion 320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312.

발전부(340) 및 전극(342)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발전부(140) 및 전극(142)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하고, 바이메탈(350)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바이메탈(150)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하므로 중복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The power generation unit 340 and the electrode 342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the power generation unit 140 and the electrode 14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bimetal 350 has the bimetal 1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the above will not be repeated.

탄성부(330)는 제 1 실시예의 탄성부(1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탄성력을 발생하는 그 기능이 동일하며 도면에는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The elastic portion 33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elastic portion 130 of the first embodiment and its function of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s the same, and is shown in cross-sectional view in the drawing.

여기서 탄성부(330)는 몸통부(311)의 외주면 둘레에 삽입되고 수납부(360)의 내부 상측면과 충격부(310)의 받침부(315)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생한다. 탄성부(330)는 충격부(310)가 수납부(360)의 내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는 탄성력을 발생한다. Here, the elastic portion 330 is insert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11 and generates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360 and the support portion 315 of the impact portion 310. The elastic part 330 generates an elastic force in which the impact part 310 is moved downward in the accommodating part 360.

수납부(360)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 형상을 하고 상측에는 관통홀(362)이 포함되어 있으며 관통홀(362)은 머리부(313)가 쉽게 들락날락할 수 있는 구조이다. The accommodating part 360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 through hole 362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the through hole 36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ead 313 can be easily moved in and out.

수납부(360)의 통 형상은 기계적인 강도를 보완하고 구조적으로 안정되기 위하여 일부 위치에서 더 두꺼워지는 등과 같이 보강될 수 있다. The tubular shape of the housing 360 may be reinforced, such as thicker at some locations to compensate for mechanical strength and to be structurally stable.

또한, 수납부(360)는 하측 내부의 내주면에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구조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housing 360 includes a screw structure that can be screw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side.

체결부(370)는 울타리(372)와 안착부(374)를 포함한다. The fastening part 370 includes a fence 372 and a seating part 374.

울타리(372)의 외주면은 수납부(360)의 하단 내부에 포함된 나사구조와 대응되는 나사구조를 포함한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nce 372 includes a screw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crew structure included in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360.

안착부(374)는 울타리(372)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확장되고 나사 또는 볼트 등을 삽입할 수 있는 고정공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The seating portion 374 extends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nce 372 and includes one or more fixing holes into which screws or bolts can be inserted.

제 2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면 탄성부(330)는 몸통부(311)의 외주면 둘레에 삽입되고 그 한쪽 끝 부분은 받침부(315)에 의하여 이동될 수 없는 상태로 고정된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elastic portion 330 is insert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11 and one end portion thereof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it cannot be moved by the support portion 315.

충격부(310)는 몸통부(311)에 탄성부(330)를 삽입한 상태에서 머리부(313)를 수납부(360)의 내부로부터 관통홀(362)을 통하여 상측 외부로 돌출시킨 후에 홈부(312)를 고정부(320)와 연결시킨다. The impact portion 310 protrudes the head portion 313 from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360 through the through hole 362 to the upper side in the state where the elastic portion 330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311, and then the groove portion. The 312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320.

고정부(320)가 수납부(360)의 상측 외부에서 홈부(312)와 연결되므로 충격부(310)가 관통홀(362)을 통하여 수납부(36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Since the fixing part 320 is connected to the groove part 312 outside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360, the impact part 310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360 through the through hole 362.

한편, 탄성부(330)는 수납부(360)의 내부 상측에서 받침부(315)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portion 330 generates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315 i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360.

그러므로 충격부(310)는 수납부(360)의 내부에서 아래의 방향으로 이동하려 하고, 고정부(320)에 의하여 수납부(360)의 관통홀(362)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Therefore, the impact unit 310 tries to move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360, and is fixed to the through hole 362 of the accommodating part 360 by the fixing part 320, thereby preventing it from moving. .

체결부(370)는 울타리(372)와 안착부(374)를 포함하고, 울타리(372)는 내부 중앙 위치에 발전부(34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The fastening part 370 includes a fence 372 and a seating part 374, and the fence 372 fixes the power generation part 340 at an internal central position so as not to move.

울타리(372)는 외주면에 포함된 나사구조를 이용하여 수납부(360)의 대응되는 나사구조와 나사결합한다. The fence 372 is screwed with the corresponding screw structure of the housing 360 using a screw structure includ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이러한 상태에서 바이메탈(350)이 주변으로부터 허용된 레벨 이상의 열을 감지하면 디귿(ㄷ)자 모양이 변형되어 벌어지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bimetal 350 detects heat above a level permitted from the surroundings, the di-shaped (c) shape is deformed and opened.

바이메탈(350)이 변형되어 벌어지면 그 양쪽 끝단에 각각 결합된 고정부(320)가 홈부(312)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한다. When the bimetal 350 is deformed and opened, fixing parts 320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thereof are separated from the groove part 312 and separated.

고정부(320)가 홈부(312)로부터 분리되면 충격부(310)의 머리부(313)는 탄성부(330)의 탄성력에 의하여 관통홀(362)을 통과하고 수납부(360)의 내부에서 아래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When the fixing part 320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part 312, the head part 313 of the impact part 31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6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330, an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360. Move in the direction below.

그러므로 충격부(310)의 돌출부(314)가 발전부(340)와 충돌하여 전기를 발전하며 발전된 전기는 전극(342)을 통하여 출력된다.
Therefore, the protrusion 314 of the impact unit 310 collides with the generator 340 to generate electricity, and the generated electricity is output through the electrode 342.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4 에서의 A 부분을 확대한 도시도 이다.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4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6 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 의한 작동장치(3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작동장치(300)는 충격부(310), 고정부(320), 탄성부(330), 발전부(340), 바이메탈(350), 수납부(360) 및 체결부(37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6 the operating device 300 is an impact unit 310, a fixing unit 320, an elastic unit 330, a power generation unit 340, a bimetal 350, an accommodating part 360, and a fastening part 370.

제 3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는 충격부(310)의 구성에 차이가 있다.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have a difference in configuration of the impact unit 310.

제 3 실시예에 의한 충격부(310)는 몸통부(311), 머리부(313), 돌출부(314), 받침부(315) 및 걸림턱(316)을 포함하므로 제 2 실시예에 의한 충격부(110)와는 걸림턱(316)에 차이가 있다. Since the impact part 3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body part 311, a head part 313, a protrusion part 314, a support part 315, and a locking step 316, the impact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ngaging jaw 316 from the unit 110.

그러므로 제 3 실시예의 설명은 걸림턱(316)을 설명하면서 필요한 구성만을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은 중복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only the necessary configuration while explaining the locking step 316,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will not be repeated.

몸통부(311)와 머리부(313)는 걸림턱(316)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걸림턱(316)은 계단 형상을 하고, 수평절단에 의한 머리부(313)의 단면적은 수평절단에 의한 몸통부(311)의 단면적보다 크다. The trunk portion 311 and the head 313 is coupled through the locking jaw 316 and the locking jaw 316 has a step shap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d 313 by the horizontal cutting is the body by the horizontal cutting. It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ortion 311.

걸림턱(316)은 고정부(320)와 연결되어 충격부(31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The locking jaw 316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320 to fix the impact part 310 so as not to move.

걸림턱(316)이 머리부(313)와 인접한 부분은 라운드(round) 형상을 하고, 이러한 라운드 형상에 의하여 고정부(320)는 걸림턱(316)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The portion of the locking jaw 316 adjacent to the head 313 has a round shape, and the fixing portion 32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locking jaw 316 by the round shape.

그리고 탄성부(330)는 제 2 실시 예와 동일하게 몸통부(311)의 외주면에 삽입된다. The elastic portion 330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11 as in the second embodiment.

걸림턱(316)은 수납부(360)의 내부로부터 관통홀(362)을 통하여 수납부(360)의 상측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고정부(320)와 연결되므로 충격부(310)는 수납부(360)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가 된다. Since the locking jaw 316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320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jaw 316 is exposed from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360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360 through the through hole 362, the impact part 310 is the accommodating part. It is not able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360 and becomes a fixed state.

한편, 수납부(360)의 내부에서 탄성부(330)가 받침부(315)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므로 충격부(310)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려 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elastic portion 330 generates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315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360, the impact portion 310 tries to move downward.

이때, 충격부(310)는 걸림턱(316)에 연결된 고정부(320)에 의하여 충격부(310)가 이동하지 못한다. In this case, the impact unit 310 may not move the impact unit 310 by the fixing unit 320 connected to the locking step 316.

나머지 구성들에 의한 동작은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Operation by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is the same as in the third embodiment and will not be redundantly described.

제 3 실시예에 의한 충격부(310)는 제 2 실시 예에 의한 충격부(310)보다 비교적 단순한 구조이므로 작동장치(300)의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성이 높은 등의 장점이 있다.
Since the impact unit 3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than the impact unit 3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such as easy manufacturing of the operating device 300 and high productivity.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 예에 의한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operating device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 을 참조하면 자동소화기(20)는 다수의 작동장치(300)와 하나의 소화기 본체(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20 includes a plurality of operating devices 300 and one fire extinguisher body 400.

작동장치(300)는 소화기 본체(400)와 분리되어 그 주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설치하고, 소화기 본체(400)는 내부에 팽창제(410)와 소화약제(420)를 포함한다. The operating device 300 is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body 400 and installs one or two or more around the fire extinguisher body 400, and the fire extinguisher body 400 includes an expanding agent 410 and an extinguishing agent 420 therein.

작동장치(300)는 소화기 본체에 내장 또는 일부 외장상태로 장착될 수도 있다.Actuator 300 may be mounted in the built-in or part of the exterior of the fire extinguisher body.

작동장치(300)는 화재 등에 의한 열을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체결나사(375)를 이용하여 고정되고 전극(342)을 연장시켜 소화기 본체(400)의 팽창제(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operating device 300 is fixed to the position to easily detect the heat caused by the fire using a fastening screw 375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pansion agent 410 of the fire extinguisher body 400 by extending the electrode 342. .

작동장치(300)가 주변으로부터 허용된 레벨 이상의 열을 감지하면 전기를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는 전극(342)을 통하여 팽창제(410)에 공급된다. When the actuator 300 senses heat above the permitted level from the surroundings, it generates electricity, and the generated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expanding agent 410 through the electrode 342.

팽창제(410), 소화약제(420) 및 소화기 본체(400)는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팽창제(210), 소화약제(220) 및 소화기 본체(200)와 동일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The expansion agent 410, the extinguishing agent 420, and the fire extinguisher main body 400 are similar to the expansion agent 210, the extinguishing agent 220, and the extinguisher main body 20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will not be redundantly describ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20 : 자동소화기
100, 300 : 작동장치 110, 310 : 충격부
112, 312 : 홈부 114, 314 : 돌출부
116, 316 : 걸림턱 120, 320 : 고정부
130, 330 : 탄성부 140, 340 : 발전부
142, 342 : 전극 150, 350 : 바이메탈
160, 360 : 수납부 162, 362 : 관통홀
200, 400 : 소화기 본체 210, 410 : 팽창제
220, 420 : 소화약제 311 : 몸통부
313 : 머리부 315 : 받침부
370 : 체결부 372 : 울타리
374 : 안착부 375 : 체결나사
10, 20: automatic fire extinguisher
100, 300: operating device 110, 310: impact part
112 and 312 grooves 114 and 314 protrusions
116, 316: locking jaw 120, 320: fixing part
130, 330: elastic portion 140, 340: power generation portion
142, 342: electrode 150, 350: bimetal
160, 360: storage part 162, 362: through hole
200, 400: fire extinguisher body 210, 410: expansion agent
220, 420: extinguishing agent 311: body part
313: head 315: support
370: fastening portion 372: fence
374: seating part 375: tightening screw

Claims (6)

외부로부터 충격을 인가받고 전기를 발전하는 발전부;
상기 발전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단위 면적당 충격량을 크게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충격부;
상기 충격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압축된 상태로부터 복원되면서 상기 충격부를 상기 발전부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부;
상기 충격부와 연결하여 상기 충격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어 열을 감지하면 상기 고정부를 상기 충격부와 연결된 상태로부터 분리시키는 바이메탈; 을 포함하는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
A power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electricity by receiving an impact from the outside;
An impact par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ower generation part and including a protrusion to increase an amount of impact per unit area;
An elastic par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impact part and generating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impact part toward the power generation part while being restored from a compressed state;
A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impact part to fix the impact part not to move; And
A bimetal that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and detects heat to separate the fixing part from the state connected to the impact part; Operat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부는,
상기 고정부가 연결되는 걸림턱부 또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mpact portion
And an engaging jaw portion or a groove portion to which the fixing portion is connect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를 내부의 일 측에 배치하고 상기 발전부를 내부의 타측에 배치하며 상기 충격부를 상기 탄성부와 발전부의 사이에 배치하는 수납부; 를 더 포함하는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ccommodating part disposed on the side of the elastic 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generating part, and disposed between the elastic part and the power generating part; Operat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further compri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충격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가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관통홀을 측면에 포함하는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rein,
Actuator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omprising a through hole in the side to allow the fixed portion to be connected or separated to fix the impact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가 배치되는 내부의 일 측단에 상기 충격부의 머리부가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타 측단은 개방되면서 내주면에 나사구조를 포함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나사구조와 대응하는 나사구조를 그 울타리의 외주면에 포함하여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나사결합하는 체결부; 를 더 포함하는 자동소화기용 작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ccommodating part includ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ead of the impact part is movable at one side end of the inside in which the elastic part is disposed, and the other side end being open, the screw including a screw structure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fastening part including a screw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crew structure of the accommodating par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nce and screwing into the accommodating part; Operat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further comprising.

KR1020110049363A 2011-05-25 2011-05-25 Operating device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KR1012405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363A KR101240572B1 (en) 2011-05-25 2011-05-25 Operating device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363A KR101240572B1 (en) 2011-05-25 2011-05-25 Operating device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300A KR20120131300A (en) 2012-12-05
KR101240572B1 true KR101240572B1 (en) 2013-03-11

Family

ID=4751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363A KR101240572B1 (en) 2011-05-25 2011-05-25 Operating device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5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573B1 (en) * 2014-09-02 2015-03-27 강운공업주식회사 Solid aerosol fire-extinguishing system with electric power generator using piezo senser
KR102506556B1 (en) * 2020-10-23 2023-03-0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Sprinkler
KR20220061600A (en) * 2020-11-06 2022-05-13 안광훈 Fire extinguishing device using piezoelectric el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14B1 (en) * 2008-07-21 2009-12-21 고려화공 주식회사 Operating device for the electrically operated automatic fire extinguish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14B1 (en) * 2008-07-21 2009-12-21 고려화공 주식회사 Operating device for the electrically operated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300A (en)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572B1 (en) Operating device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JP4915473B1 (en) Cutting device
KR102295232B1 (en) Capsule type fire extinguisher for preventing battery explosion and battery having the fire extinguisher
KR101274406B1 (en) Aerosol Extinguisher Having Duplicative Ignition Unit and Ignition Unit Therefor
KR102316190B1 (e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support device with abnormality detection function
JP6684170B2 (en) Electrical circuit breaker
WO2008048019A1 (en) An ionizer using soft x-ray and a method for removing electric charges of a charged body
JP2012138286A (en) Cutting apparatus
KR100823990B1 (en) A photo ionizer
KR101666037B1 (en)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er on the all-in-one is attached to the glass bulb using self developed operating device
KR101292512B1 (en) Actuator of a condensed aerosol fire extinguisher
JP3215506U (en) Fire extinguisher
JP4914071B2 (en) High expansion foam generating device having an expansion / contraction mechanism
CN216902706U (en) Pyrotechnic excitation device and switching device with pyrotechnic excitation device
JP2005509835A5 (en)
KR102375443B1 (en) A earthquake resistant distributing board
JP6054232B2 (en) Gas generator
CN105764572B (en) Chemical oxygen generator with compact ignition system that can be used in an aircraft
KR20150025840A (en) Operating device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KR101146529B1 (en) Operated automatic fire extinguisher having a piezoelectric generator
KR102012079B1 (en) Wall-mounted shock absorber on the building structures
JP2012231939A (en) Holder stand for cylindrical container
JP5297131B2 (en) Hermetic compressor,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WO2023125092A1 (en) Switching device with pyrotechnic actuation apparatus
KR20190137236A (en) Self-extinguishing device with no electri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