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479B1 -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 - Google Patents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479B1
KR101240479B1 KR1020110060046A KR20110060046A KR101240479B1 KR 101240479 B1 KR101240479 B1 KR 101240479B1 KR 1020110060046 A KR1020110060046 A KR 1020110060046A KR 20110060046 A KR20110060046 A KR 20110060046A KR 101240479 B1 KR101240479 B1 KR 101240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lectromagnetic wave
mobile phone
connecting member
se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40358A (ko
Inventor
정점미
Original Assignee
정점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점미 filed Critical 정점미
Priority to KR1020110060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479B1/ko
Publication of KR20120140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04B1/3838Arrangements for reducing RF exposure to the user, e.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nsceiver while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중 휴대폰 본체를 얼굴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휴대폰의 전자파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형성된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은 전면에 디스플레이 화면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청각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화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화기부는 사용자의 귀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며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청각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가 메인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부재와 메인본체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신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안착부재의 후면에 연결되는 전방연결부재와, 상기 전방연결부재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져 상기 전방연결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간연결부재와, 상기 중간연결부재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져 상기 중간연결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메인본체에 결합되는 후방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두 개 이상의 원통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통체는 전방의 원통체가 후방의 원통체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후방의 원통체가 전방 원통체보다 상대적으로 내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 {Cellular phone that evaded electromagnetic wave}
본 발명은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중 휴대폰 본체를 얼굴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휴대폰의 전자파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형성된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전자, 전기기기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이들 기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에 의한 건강 위해에 관심과 우려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건강 영향에 대한 위험 가능성 연구가 국제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인체와 접촉하여 사용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영향에 대한 우려가 날로 증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이 인체에 밀착하여 사용하는 기기에 대해서 국가기관이나 국제기구에서는 인체의 전자파 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을 기준으로 정하고 있을 정도로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 SAR은 조직내 전기장 강도의 제곱에 비례하며, 입사 전자기장의 매개변수인 주파수, 강도, 전자기장의 방향 및 발생원과 대상물체의 상대적인 위치, 노출된 인체의 특성 조직의 유전적 성질 그리고 지면의 영향 및 노출환경 등에 의해 결정된다.
종래의 전자파에 대한 영향을 줄이기 위한 기술 중의 하나는 무선통신 시스템 단말기의 전자파 차단 케이스에 대한 것으로 도전성 재료를 이용하여 다양 한 디자인으로 케이스를 제작하여 전자파 차단 효과를 준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는 전자파 차폐효과로 단말기 자체의 EMI(전자파 장해), EMS(전자파 내성)에 대한 효과를 줄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 안테나에서 복사되는 전자파에 대한 영향을 줄이지는 못하며, 이론적으로 전자파 차폐재료를 휴대폰에 적용할 경우 이러한 차폐물질에 의해 재반사가 되어 오히려 전자파가 인체로 흡수되는 정도를 높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즉, 휴대폰을 이용한 전화 통화시 휴대폰 본체를 머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킨 상태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휴대폰의 전자파에 의한 인체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은 전면에 디스플레이 화면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청각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화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화기부는 사용자의 귀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며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청각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가 메인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부재와 메인본체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신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안착부재의 후면과 상기 메인본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관체를 포함하되, 전방의 관체가 후방의 관체 내부로 진입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화기부는 상기 메인본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재와 신축부재는 상기 수화기부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수화기부는 통화시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안착부재가 사용자를 향해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안착부재와 상기 메인본체를 연결하는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본체의 하단에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취득하는 마이크가 마련되어 있는 회전키패드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키패드부는 통화시 상기 마이크가 사용자의 얼굴에 인접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본체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키패드부가 인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은 사용이 간편하며, 본체를 인체에서 이격시킨 상태로 통화가 가능하므로 전자파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의 비통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의 다른 실시예의 수화기부의 인출상태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5는 신축부재가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의 부분발췌 사시도,
도 6은 신축부재가 엑스자형 링크 형태로 형성된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의 부분발췌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1의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의 회전키패드부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이다.
도 8은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1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100)은 메인본체(110)와, 메인본체(110)에 마련되어 있는 수화기부(120)와, 메인본체(1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키패드부(150)를 포함한다.
메인본체(11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11)가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휴대폰을 구성하는 전자부품들이 내장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11)와 휴대폰을 구성하는 전자부품의 구성은 일반적인 휴대폰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화기부(120)와 회전키패드부(150)는 사용자가 통화를 할 때, 전자파에 의한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본체(110)를 사용자의 얼굴에서 소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것이다.
수화기부(120)는 안착부재(121)와, 신축부재(124)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재(121)는 통화시 사용자의 귀에 가까이 댈 수 있도록 된 것이며, 내부에 스피커(122)가 장착되어 있어서, 통화하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스피커(122)에서 출력하면 안착부재(121)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을 통해 사용자가 청각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피커(122)가 안착부재(121)에 설치되어 있고, 케이블(123)을 통해 메인본체(110) 내부의 제어회로와 스피커(122)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스피커(122)가 메인본체(1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신축부재(124)는 메인본체(110)와 안착부재(121)를 연결하는 것이며 안착부재(121)를 메인부재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수화기부(120) 내부의 케이블(123)을 유선전화기용 케이블처럼 스프링식 나선형으로 배치하여 통화 전후 안착부재(121)를 당기고 밀어넣을 때 내부에서 유연하게 수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신축부재(124)는 상기 안착부재(121)와 연결되는 전방연결부재(125)와, 전방연결부재(125)의 후방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중간연결부재(126)와, 중간연결부재(126)의 후방에 설치되어 중간연결부재(126)와 메인본체(110)를 연결하는 후방연결부재(127)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연결부재(125)와 중간연결부재(126) 및 후방연결부재(127)는 모두 중공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의 원통체가 후방 원통체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전방 원통체의 외경이 후방원통체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전방 원통체의 후단은 외측을 향하는 방사상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후방 원통체의 전단은 원통체의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어서, 안착부재(121)의 인출시 전방원통체가 후방원통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방연결부재(125)와 중간연결부재(126) 및 후방연결부재(127)가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전방의 부재가 후방 부재의 내부로 진입하여 전체 길이의 신축이 가능할 수만 있다면 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 4에 중간 연결부재(126)가 하나의 원통체로만 이루어진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중간연결부재(126)의 개수는 신축부재(124)의 전체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가감될 수 있다.
통화 중 전자파의 회피를 위해서 상기 신축부재(124)는 전방연결부재(125)와 중간연결부재(126) 및 후방연결부재(127)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길이(h1)가 8~12cm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키패드부(150)의 길이(h2)도 7~9cm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부재(131)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엑스자형 링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의 엑스자형 링크 형태의 신축부재(141)는 엑스자형으로 교차되는 두 개의 링크부재(142)의 단부가 각각 안착부재(121)와 메인본체(110)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안착부재(121)를 인출할 때에는 링크부재(142)들의 양 단부가 상호 인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안착부재(121)가 메인본체(110)의 전방으로 인출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링크부재(142)가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안착부재(121)가 메인본체(110)의 측으로 진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신축부재(124,131,141)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시한 복수개의 원통체 형상, 주름관 형상 또는 엑스자형 링크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키패드부(150)는 메인본체(1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전화번호 또는 문자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버튼(15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키버튼(151)이 일반적인 전화기와 같이 12개의 번호 버튼과, 통화 및 종료 버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회전키패드부(150)의 크기가 충분히 큰 경우 컴퓨터용 키보드의 문자입력판과 같이 다수의 키버튼(151)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키패드부(150)의 단부에는 통화시에 사용자의 음성을 취득하기 위한 마이크(미도시)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가 음성을 취득할 수 있도록 구멍(15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회전키패드부(150)는 회전을 통해 메인본체(110)의 후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메인본체(110)의 후면에는 안착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112)의 깊이는 회전키패드부(15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어서 회전키패드부(150)가 안착홈(112)에 안착되면 메인본체(110)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휴대시 두툼한 이물감이 생기지 않게 한다.
아울러 통화를 할 때에는 회전키패드부(150)의 단부가 사용자의 입을 향해 회전하게 함으로써 상기 신축부재(124)에 의해 메인본체(110)가 얼굴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키패드부(150)가 통화버튼과 연동되게 함으로써 전화를 받을 때 상기 회전키패드부(150)를 회전시켜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100)은 통화를 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수화기부(120)가 메인본체(110) 측으로 진입되어 있는 상태이고, 회전키패드부(150)도 메인본체(110)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며, 통화를 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메인본체(11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이격시켜줄 수 있도록 신축부재(124)가 신장되고, 회전키패드부(150)도 단부가 사용자의 얼굴쪽을 향하도록 회전된다.
도 8 및 도 9에는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10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화기부(160)가 메인본체(11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신축부재(164)와 안착부재(161)는 수화기부(16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화기부(160)는 통화를 하지 않을 때에는 메인본체(110)와 일체인 것처럼 상방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통화시에 수화기부(160)를 상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면 수화기부(160)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는 안착부재(161)가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방향이 되며, 이 상태에서 신축부재(164)를 인출하여 신축부재(164)의 길이를 늘인다.
최근 휴대폰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고 있는 추세임을 감안할 때, 본 실시예의 경우 수화기부(160)를 절곡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신축부재(164)를 구성하는 원통체들 각각의 길이를 길게하여 적은 수의 원통체로도 원하는 길이의 긴 신축부재(164)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
110; 메인본체
111; 디스플레이부 112; 안착홈
120; 수화기부
121; 안착부재
124; 신축부재
125; 전방연결부재 126; 중간연결부재
126; 후방연결부재
150; 회전키패드부
151; 키버튼 152; 구멍

Claims (6)

  1. 삭제
  2. 전면에 디스플레이 화면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청각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화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화기부는 사용자의 귀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며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청각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가 메인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부재와 메인본체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신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안착부재의 후면과 상기 메인본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관체를 포함하되, 전방의 관체가 후방의 관체 내부로 진입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
  3. 전면에 디스플레이 화면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청각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화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화기부는 사용자의 귀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며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청각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가 메인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부재와 메인본체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신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화기부는 상기 메인본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재와 신축부재는 상기 수화기부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수화기부는 통화시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안착부재가 사용자를 향해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
  4. 삭제
  5.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본체의 하단에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취득하는 마이크가 마련되어 있는 회전키패드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키패드부는 통화시 상기 마이크가 사용자의 얼굴에 인접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본체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키패드부가 인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
KR1020110060046A 2011-06-21 2011-06-21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 KR101240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046A KR101240479B1 (ko) 2011-06-21 2011-06-21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046A KR101240479B1 (ko) 2011-06-21 2011-06-21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358A KR20120140358A (ko) 2012-12-31
KR101240479B1 true KR101240479B1 (ko) 2013-03-06

Family

ID=47906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046A KR101240479B1 (ko) 2011-06-21 2011-06-21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4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798A (ko) * 1990-07-13 1992-02-29 예-밍 차오 신축식 스피커 박스
JPH0974438A (ja) * 1995-09-05 1997-03-18 Oki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の受話部構造
KR20010063752A (ko) * 1999-12-24 2001-07-09 오길록 무선 통신용 단말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798A (ko) * 1990-07-13 1992-02-29 예-밍 차오 신축식 스피커 박스
JPH0974438A (ja) * 1995-09-05 1997-03-18 Oki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の受話部構造
KR20010063752A (ko) * 1999-12-24 2001-07-09 오길록 무선 통신용 단말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358A (ko) 201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186B1 (ko) 안전 이어폰
CN110913048B (zh) 电子设备
CN110933211B (zh) 电子设备
US20100226518A1 (en) Mu-METAL BARRIER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RECEIVER CASING LID ASSEMBLY
CN111031163B (zh) 电子设备
CN101548430B (zh) 用于便携式通信装置的集成电视天线
CN102413219A (zh) 用于移动电子设备中的麦克风的电磁屏蔽和声学腔
CN110944079A (zh) 电子设备
CN104683902A (zh) 具有金属外壳的无线耳机
CN103580709A (zh) 移动卫星通信系统手持终端
KR101240479B1 (ko) 전자파 회피형 휴대폰
CN107889003B (zh) 一种无线耳机
KR101620372B1 (ko) 이에스디 강화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CN204465804U (zh) 具有金属外壳的无线耳机
CN105307432B (zh) 电子设备及其制造方法
CN205596282U (zh) 一种耳机
CN112311926B (zh) 电子设备及其听筒装置
CN103330361A (zh) 电子设备保护套和电子设备
KR100510355B1 (ko) 압전형 스피커를 장착한 폴더형 휴대폰
JP2006287721A (ja) イヤホンマイクロホン
CN108470982B (zh) 用于移动终端的天线模组和移动终端
CN106993251B (zh) 电子设备
KR100677500B1 (ko)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5843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팝 업 타입 스피커/마이크 장치
JP2005333292A (ja)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