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037B1 -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037B1
KR101240037B1 KR1020120096479A KR20120096479A KR101240037B1 KR 101240037 B1 KR101240037 B1 KR 101240037B1 KR 1020120096479 A KR1020120096479 A KR 1020120096479A KR 20120096479 A KR20120096479 A KR 20120096479A KR 101240037 B1 KR101240037 B1 KR 101240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map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대은
Original Assignee
김이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삭 filed Critical 김이삭
Priority to KR1020120096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의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터넷통신 기능과 카메라부를 이용한 촬영기능 및 지피에스 기능을 구비하는 제1휴대용단말; 인터넷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제1휴대용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휴대용단말; 및, 상기 제1휴대용단말과 상기 제2휴대용단말 사이에서 연동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휴대용단말의 제1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휴대용단말은 상기 제1인증정보로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1휴대용단말의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인증정보로 제1휴대용단말기에 접속하여 상기 제1휴대용단말기의 제어권한을 획득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휴대용단말기를 제어하여 상기 지피에스 기능에 의해 획득한 위치정보 및 상기 촬영기능을 이용한 영상정보를 상기 제2휴대용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제2휴대용단말이 상기 제1인증정보로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1휴대용단말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휴대용단말에서 상기 제2휴대용단말로 전송되는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영상정보에 날짜정보와 시간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IMAGE TRANSMITING SYSTEM FOR POSITIONING CHECK}
본 발명은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스마트폰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의 위치정보와 함께 영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은 유심(USIM) 칩을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유심(USIM) 칩에 내장된 암호화된 휴대폰 번호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유심(USIM) 칩을 이용한 방식은 미주나 유럽등지에서 활발히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대한민국도 유심(USIM) 칩을 활용한 방식이 활발히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최근 스마트폰은 과거 휴대폰에 휴대폰 번호 내역이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형태에서 탈피하여, 유심(USIM) 칩만으로 자신의 고유 휴대폰 번호를 인증받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심(USIM) 칩이 장착되는 스마트폰들은 통신 기능을 가진 단말기로써의 역할만을 구현할 뿐, 통신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인증정보가 없기 때문에 단순 통신기기의 역할만을 구현할 뿐이다.
한편, 최근에 보급되는 있는 스마트폰은 성능이 가정용 피씨나 노트 피씨의 수준에 버금가는 형태로 개발되어 보급됨에 따라 구매 비용이 매우 고가를 형성하게 된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고가의 스마트폰을 노리는 절도범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을 분실하게 되면, 분실된 스마트폰에 기장착된 유심(USIM) 칩을 분리한 후, 새로운 유심(USIM) 칩을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분실된 스마트폰은 단순히 유심(USIM) 칩을 교체한 것만으로 새것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현재 스마트폰의 분실시에 분실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와 분실된 곳의 장소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대안이 필요한 실정에 있다.
다른 한편, 최근 스마트폰은 지피에스(GPS)를 활용한 위치정보 전송 서비스를 구현하는 위치확인용 어플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위치확인용 어플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추적하고자 하는 스마트폰의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래 선행문헌으로써,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2000-0056429호에서는 무선통신 단말장치의 위치 추적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무선통신 단말장치는 지피에스(GPS)를 이용하여 서버에서 위치를 추적하는 것에 관한 기술내용이다.
하지만, 상기한 위치확인용 어플 및 종래 선행문헌은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만을 전송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이 위치가 어느 쪽인지를 확인할 수 있을 뿐, 해당 위치의 어느 장소에 스마트폰이 위치해 있는지를 판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분실하여 분실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장소에 찾아간 경우, 해당 장소의 어떤 위치 또는 해당 장소의 어떤 인물이 분실된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는지 판가름 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의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치 확인용 영상 정보 전송 시스템은 인터넷통신 기능과 카메라부를 이용한 촬영기능 및 지피에스 기능을 구비하는 제1휴대용단말; 인터넷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제1휴대용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휴대용단말; 및, 상기 제1휴대용단말과 상기 제2휴대용단말 사이에서 연동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휴대용단말의 제1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휴대용단말은 상기 제1인증정보로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1휴대용단말의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인증정보로 제1휴대용단말기에 접속하여 상기 제1휴대용단말기의 제어권한을 획득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휴대용단말기를 제어하여 상기 지피에스 기능에 의해 획득한 위치정보 및 상기 촬영기능을 이용한 영상정보를 상기 제2휴대용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제2휴대용단말이 상기 제1인증정보로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1휴대용단말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휴대용단말에서 상기 제2휴대용단말로 전송되는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영상정보에 날짜정보와 시간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찾고자 하는 휴대용단말이 어느 곳에 위치해 있는지를 알 수 있으며,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의 주변 영상 정보 또는 인물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휴대용단말이 위치한 곳이 어느 곳인지와 어떤 장소에 있는지 또는 어떤 인물이 주변에 있는지를 알 수 있으므로, 휴대용단말의 위치에 따른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이에 대한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이 위치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관리서버에서 기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단말이 관리서버에 기록된 내용을 근거로하여 증거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이 위치한 위치정보에 근거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서버에 스트리밍하므로, 이에 대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휴대용단말의 사용자를 실시간으로 추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서버에서 맵데이타를 제공하고, 맵데이타에 상에 추적하고자 하는 휴대용단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한 상태에서 맵데이타에 영상정보를 연동시킴으로써, 휴대용단말의 사용자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자 하는 자가 사용하는 휴대용단말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시켜 매우 용이하게 휴대용단말의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의 구동에 관한 순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휴대용단말의 터치형디스플레이부 화면에 맵데이타가 나타낸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의 구동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은 제1휴대용단말(10), 제2휴대용단말(20) 및, 관리서버(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휴대용단말(10)은 음성통신, 화상통신 및, 데이터 통신과 같은 다양한 유무선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기기이다. 제1휴대용단말(10)의 예들로써, 제1휴대용단말(10)은 단말기의 형태별로 구분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스마트폰 및, 타블릿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휴대용단말(10)은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 기능, 인터넷통신 기능, 카메라부를 이용한 촬영기능, 지피에스 기능 및 터치형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통신방식은 무선 인터넷 망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통신망과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 및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휴대용단말(20)은 음성통신, 화상통신 및, 데이터 통신과 같은 다양한 유무선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기기이다. 제1휴대용단말(10)의 예들로써, 제1휴대용단말(10)은 단말기의 형태별로 구분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스마트폰 및, 타블릿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휴대용단말(20)은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 기능, 인터넷통신 기능, 카메라부를 이용한 촬영기능, 지피에스 기능 및 터치형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휴대용단말(20)은 상기한 제1휴대용단말(10)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제1휴대용단말(10)과 상기 제2휴대용단말(20) 각각은 통신기능 또는 내부 각각의 장치와 연동하는 프로그램인 어플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어플은 어플리케이션의 준말로써, 그 의미는 앱이나 하드웨어 연동형 프로그램과 동질한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휴대용단말(10)과 상기 제2휴대용단말(20) 각각에 위치정보와 영상정보 전송을 위한 위치영상 전송어플이 설치되는데, 위치영상 전송어플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 전송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위치영상 전송어플에는 관리서버(30)와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주소, 예를 들어 URL주소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휴대용단말(10)은 위치영상 전송어플을 설치되는 경우, 위치영상 전송어플의 의해 제어권한을 가지는 제1인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권한은 제1휴대용단말(10)에 설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권한이다. 또한, 제1인증정보는 인증된 접속자만 제어권한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접속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며, 접속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한 경우에만 구동된다. 나아가, 제1인증정보는 인증된 접속자만 제어권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권한으로서, 상기한 접속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한 방식 이외에 암호화키 입력방식, 공인인증서 사용방식 또는, 핀코드 방식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관리서버(30)는 제1휴대용단말(10)과 제2휴대용단말(20) 사이에서 연동된다. 이러한 관리서버(30)는 제1휴대용단말(10)과 제2휴대용단말(20) 각각에 설치된 위치영상 전송어플 내에 저장된 접속주소를 통해 제1휴대용단말(10)과 제2휴대용단말(20)이 연동되도록 하며, 위치 및 영상 정보 저장부(31)를 구비하여 위치정보와 영상정보에 관한 데이터의 저장하고, 이를 제2휴대용단말(2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관리서버(30)는 인증정보저장부(32)를 구비함으로써, 제1휴대용단말(10)에서 제공하는 제1인증정보를 저장하게 되는데, 제1인증정보는 제1휴대용단말(10)에서 위치영상 전송어플을 설치한 후,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 제공을 동의하는 경우에 관리서버(3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제1인증정보는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인증정보로 이용된다. 또한, 관리서버(30)는 상기한 제1인증정보의 획득을 위하여 이름, 전화번호, 주소등과 같은 개인신상정보로 이루어지는 회원가입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은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휴대용단말(10)을 분실하여 다른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경우나 제1휴대용단말(10)의 사용자의 동의하에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휴대용단말(20)은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 획득을 위해 위치영상 전송어플을 이용하여 관리서버(30)에 접속하게 된다.
다음, 관리서버(30)는 제2휴대용단말(20)에 제1인증정보에 포함된 접속ID 및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청하고, 제2휴대용단말(20)은 관리서버(30)에 저장된 제1휴대용단말(10)의 제1인증정보의 접속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그러면, 관리서버(30)는 제1인증정보로 제1휴대용단말(10)기에 접속함으로써, 제1휴대용단말(10)기의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위치정보와 영상정보 전송 기능을 실행시키게 된다.
이 경우, 제1휴대용단말(10)기는 지피에스 기능에 의해 획득한 위치정보 및 촬영기능을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정보를 제2휴대용단말(20)로 전송하게 된다.
즉, 제2휴대용단말(20)을 이용한 사용자는 관리서버(30)로부터 전송된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제1휴대용단말(10)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제1휴대용단말(10)이 위치한 장소 형태나 인물등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은 찾고자 하는 휴대용단말이 어느 곳에 위치해 있는지를 알 수 있으며,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의 주변 영상 정보 또는 인물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휴대용단말이 위치한 곳이 어느 곳인지와 어떤 장소에 있는지 또는 어떤 인물이 주변에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휴대용단말(10)과 제2휴대용단말(20)간에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복수 개의 휴대용단말간에 상기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한편, 제2휴대용단말(20)이 제1인증정보로 관리서버(30)에 접속하여 제1휴대용단말(10)로부터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관리서버(30)는 제1휴대용단말(10)에서 제2휴대용단말(20)로 전송되는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 경우, 관리서버(30)는 위치정보와 영상정보에 날짜정보와 시간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제2휴대용단말(20)의 사용자는 관리서버(30)에 접속하여 기록된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증거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날짜정보와 시간정보를 참조하여 증거자료로써의 활용도를 높힐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제1휴대용단말(10)은 관리서버(30)와 연동하는 경우 제1인증정보의 미인증시에 카메라부의 제어권한을 자체적으로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휴대용단말(20)이 제1인증정보로 인증하여 관리서버(30)에 접속한 상태에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카메라부의 제어권한을 관리서버(30)의 카메라제어부(34)로 넘기게 된다. 이때, 관리서버(30)는 제1휴대용단말(10)의 카메라부의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카메라부에서 촬영하는 영상정보를 제2휴대용단말(20)의 요청시마다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즉, 관리서버(30)는 평상시에는 제1휴대용단말(10)이 카메라부를 자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제1휴대용단말(10)을 영상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 관리서버(30)에 제어권한을 넘김으로써, 제2휴대용단말(20)의 영상정보 요청시마다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관리서버(30)는 제1휴대용단말(10)로부터 제어권한을 넘겨받은 경우, 제1휴대용단말(10)의 카메라부의 촬영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정지영상 및 동영상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서버(30)는 제2휴대용단말(20)이 제1휴대용단말(10)의 영상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 정지영상 및 동영상 모두를 기록하여 저장함으로써, 영상정보를 요구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영상 판독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휴대용단말(20)은 관리서버(30)로부터 제1휴대용단말(10)의 영상정보를 동영상으로 요청하는 경우, 관리서버(30)에서는 제1휴대용단말(10)의 카메라부를 실시간으로 구동시켜 제1휴대용단말(10)로부터 실시간의 입력되는 동영상 형태의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게 되며, 실시간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스트리밍 기능 또는 스트리밍 서버를 연동시켜 동영상 형태의 영상정보를 제2휴대용단말(20)로 실시간으로 전송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휴대용단말(20)의 사용자는 제1휴대용단말(10)이 위치한 곳에 위치정보와 제1휴대용단말(10)의 카메라부가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실시간으로 제1휴대용단말(10)의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 관리서버(30)는 맵데이타(30a)를 더 포함하여 맵데이타(30a)를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와 연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휴대용단말(20)의 터치형디스플레이부(21) 화면에 맵데이타가 나타낸 상태를 도시된 구성도이다. 또한, 관리서버(30)는 맵데이타(30a)를 포함하는 서버로 연동하여 맵데이타(30a)를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와 연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맵데이타(30a)는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정보로써, 지형 및 건물에 관한 지도데이타를 그래픽으로 연출하고 해당 건물의 상호등을 기입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휴대용단말(20)은 맵데이타(30a)를 영상출력하기 위하여 터치형디스플레이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맵데이타(30a)를 응용하기 위하여 관리서버(30)는 제1휴대용단말(10)로부터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맵데이타(30a)에 제1휴대용단말(10)의 실시간 위치에 따른 위치정보를 아이콘(30b)으로 표시되도록 형성하여 제2휴대용단말(2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제2휴대용단말(20)의 터치형디스플레이부(21) 화면에는 맵데이타(30a)에 위치정보가 아이콘(30b) 형태로 출력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 경우, 제2휴대용단말(20)은 터치형디스플레이부(21)에 맵데이타(30a)와 위치정보를 출력하되, 맵데이타(30a)의 화면 일부에 중첩되도록 제1휴대용단말(10)의 영상정보(30c)를 관리서버(30)로부터 입력받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2휴대용단말(20)에는 맵데이타(30a)상에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휴대용단말(20)의 사용자는 맵데이타(30a)를 보고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 변동에 관한 상태를 확인한 상태에서 제1휴대용단말(10)의 촬영한 영상정보(30c)를 즉각적으로 판독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제2휴대용단말(20)의 사용자는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한 곳을 실시간으로 추적시에 맵데이타(30a) 상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판독할 수 있으므로,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 및 장소가 가변되는 경우에도 매우 용이하게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 및 사용자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휴대용단말(20)이 맵데이타(30a)와 연동하는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판독하는 다른 방식으로써, 제2휴대용단말(20)은 맵데이타(30a)에서 아이콘(30b)이 위치한 곳의 터치형디스플레이부(21)를 클릭하여 입력하는 경우, 제2휴대용단말(20)은 관리서버(30)로 영상정보의 요청하는 신호를 보내고, 관리서버(30)는 영상정보를 제2휴대용단말(20)의 터치형디스플레이부(21)에 출력하게 된다. 즉, 제2휴대용단말(20)의 사용자가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에 맵데이타(30a)에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2휴대용단말(20)의 사용자가 터치형디스플레이부(21)에 형성된 아이콘(30b)을 클릭시, 현재 제1휴대용단말(10)의 카메라부가 촬영한 정지영상 또는 실시간 동영상을 제2휴대용단말(20)로 전송하게 되고, 다시 터치형디스플레이부(21)를 터치하는 경우 맵데이타(30a)로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제2휴대용단말(20)의 사용자는 맵데이타(30a)를 보고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 변동에 관한 상태를 확인한 상태에서 아이콘(30b)을 클릭시에 제1휴대용단말(10)의 촬영한 영상정보를 즉각적으로 판독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제2휴대용단말(20)의 사용자는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한 곳을 실시간으로 추적시에 맵데이타(30a) 상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판독할 수 있으므로,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 및 장소가 가변되는 경우에도 매우 용이하게 제1휴대용단말(10)의 위치 및 사용자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위치정보만을 제공함으로써 휴대용단말이 위치한 곳의 장소 및 인물을 판독할 수 없어 실제 휴대용단말의 이용자를 찾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기술된 구성요소들의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휴대용단말 20 ; 제2휴대용단말
30 ; 관리서버

Claims (8)

  1. 인터넷통신 기능과 카메라부를 이용한 촬영기능 및 지피에스 기능을 구비하는 제1휴대용단말; 인터넷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제1휴대용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휴대용단말; 및, 상기 제1휴대용단말과 상기 제2휴대용단말 사이에서 연동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휴대용단말의 제1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휴대용단말은 상기 제1인증정보로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1휴대용단말의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인증정보로 제1휴대용단말기에 접속하여 상기 제1휴대용단말기의 제어권한을 획득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휴대용단말기를 제어하여 상기 지피에스 기능에 의해 획득한 위치정보 및 상기 촬영기능을 이용한 영상정보를 상기 제2휴대용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제2휴대용단말이 상기 제1인증정보로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1휴대용단말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휴대용단말에서 상기 제2휴대용단말로 전송되는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영상정보에 날짜정보와 시간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휴대용단말은 상기 관리서버와 연동하는 경우 제1인증정보의 미인증시에 상기 카메라부의 제어권한을 자체적으로 할당하여 사용하고,
    상기 제2휴대용단말이 제1인증정보로 인증하여 관리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카메라부의 제어권한을 관리서버로 넘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휴대용단말로부터 제어권한을 넘겨받은 경우, 상기 제1휴대용단말의 카메라부의 촬영시간을 조절하여 정지영상 및 동영상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휴대용단말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제1휴대용단말의 영상정보를 동영상으로 요청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휴대용단말의 카메라부를 실시간으로 구동시켜 상기 제1휴대용단말로부터 실시간의 입력되는 동영상 형태의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게 되며,
    상기 동영상 형태의 영상정보를 스트리밍하여 상기 제2휴대용단말로 실시간으로 전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맵데이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휴대용단말은 상기 맵데이타를 영상출력하는 터치형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휴대용단말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맵데이타에 상기 위치정보를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제2휴대용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2휴대용단말은 상기 터치형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맵데이타와 상기 위치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맵데이타의 화면 일부에 중첩되도록 상기 제1휴대용단말의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맵데이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휴대용단말은 상기 맵데이타를 영상출력하는 터치형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휴대용단말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맵데이타에 상기 위치정보를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제2휴대용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2휴대용단말은 상기 맵데이타에서 상기 아이콘이 위치한 곳의 터치형디스플레이부의 입력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맵데이타상에서 상기 제1휴대용단말의 영상정보를 상기 터치형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
KR1020120096479A 2012-08-31 2012-08-31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 KR10124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479A KR101240037B1 (ko) 2012-08-31 2012-08-31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479A KR101240037B1 (ko) 2012-08-31 2012-08-31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037B1 true KR101240037B1 (ko) 2013-03-11

Family

ID=4818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479A KR101240037B1 (ko) 2012-08-31 2012-08-31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0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637B1 (ko) 2003-08-21 2006-03-31 주식회사 팬택 지피에스 및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통지 방법
KR20060080738A (ko) * 2005-01-06 2006-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49664A (ko) * 2010-11-09 2012-05-17 최종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637B1 (ko) 2003-08-21 2006-03-31 주식회사 팬택 지피에스 및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통지 방법
KR20060080738A (ko) * 2005-01-06 2006-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49664A (ko) * 2010-11-09 2012-05-17 최종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79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 rights to resources using cryptography and the blockchain
KR101968512B1 (ko) Nfc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RU2704750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идентификации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KR100635627B1 (ko) 휴대폰에 저장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399076B2 (en) Profile information sharing
US20140137206A1 (en) Password-free, token-based wireless access
RU2013106924A (ru) Связь между устройствами
CN101573944A (zh) 元数据代理
KR102559827B1 (ko) 블록체인과 해쉬 암호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영상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990400B (zh) 基于nfc标签的场景服务方法、装置及系统
JP2009075688A (ja) 携帯装置の位置に関する情報とファイル用暗号鍵とを管理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US10581836B2 (en) Method for accessing a service and a corresponding server
JP2015108866A (ja)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32007B1 (ko) 컴퓨팅 장치의 위치 기반 파일 접근 제어 방법
CN115767515B (zh) 一种无基站实时噪声大数据的加密共享方法及系统
KR101240037B1 (ko) 위치 확인용 영상 전송 시스템
US20120303441A1 (en)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40011525A1 (en) Information aggreg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location based service
CN104113511A (zh) 一种接入ims网络的方法、系统及相关装置
JP2012147398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体通信端末、移動体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u et al. Research of eid mobile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Adams et al. Combining social authentication and untrusted clouds for private location sharing
KR101535952B1 (ko) 인식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CN104079536A (zh) 一种移动阅读客户端以及客户端登录服务器的方法
CN114205099B (zh) 网页鉴权方法、电子设备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