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878B1 -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878B1
KR101239878B1 KR1020120055313A KR20120055313A KR101239878B1 KR 101239878 B1 KR101239878 B1 KR 101239878B1 KR 1020120055313 A KR1020120055313 A KR 1020120055313A KR 20120055313 A KR20120055313 A KR 20120055313A KR 101239878 B1 KR101239878 B1 KR 101239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ember
image
lower body
upper body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영
Original Assignee
(주)브이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알코리아 filed Critical (주)브이알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055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는 상부와 하부로 서로 분리 또는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영상을 생성시키며, 상기 생성된 영상이 스크린부재에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출력부; 및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된 영상이 설정된 각도로 입사되어 상기 영상을 입체화시키는 스크린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영상출력부는 영상을 생성시키는 영상생성부와, 상기 영상생성부에서 생성된 영상이 상기 스크린부재에 입사되어 입체화되도록 변환시키는 영상변환부와, 상기 영상변환부에서 변환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부재로 출력시키는 영상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서류가방의 형태로 제작되어 부피가 작아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쉽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쉽게 휴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세일즈, 마케팅 또는 프리젠테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손쉽게 홍보 또는 광고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하드웨어적 구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조작이 간단할뿐만 아니라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으며, 별도의 특수안경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스크린부재로 인해 비쳐지는 다양한 입체영상을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FOR PORTABLE}
본 발명은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언제 어디서나 휴대가 용이하며 홀로그램을 이용한 입체영상을 쉽게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른 정보 통신 분야의 폭발적인 성장은 개개인에게 전달되는 정보의 양과 질을 한 단계 향상시켰다. 따라서, 이제는 무엇을 전달할 것인가라는 정보의 내용 못지 않게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라는 정보의 표현 방식에 많은 관심들이 모아지고 있다. 가장 효과적인 정보 전달 방식 중 하나인 영상 정보 서비스는 2차원 화상을 통해 표현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보다 더 사실적이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영상 정보를 3차원 화상으로 표현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그 중, 특수 안경이나 혹은 헬멧과 같은 특별한 관측 보조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입체 영상을 관측하기 위한 영상 표시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상 오토-스테레오스코픽(auto-stereoscopic) 방식이라 한다.
상기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방식으로는, 양안 시차를 이용하는 렌티큘라(lenticular) 방식, 물체파와 기준파의 간섭 패턴을 이용하는 홀로그래피(holography) 방식, 및 배경 화면을 멀리 보이게 하고 전경 화면을 가까이 보이도록 하는 영상 합성(image compositing)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물체파와 기준파의 간섭 패턴을 이용하는 홀로그래피 방식은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장비 자체가 대형화되어 한번 설치된 장비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데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홀로그래피 방식은 고가의 생산비용이 요구되며, 주변기기와의 복잡한 연결이 필요하여 장치의 구성 자체가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방식에 의해 투영된 영상은 외부 환경 변화와 태양 또는 불빛 등의 밝기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영상출력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언제 어디서나 휴대가 용이하며 홀로그램을 이용한 입체영상을 쉽게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는 상부와 하부로 서로 분리 또는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영상을 생성시키며, 상기 생성된 영상이 스크린부재에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출력부; 및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된 영상이 설정된 각도로 입사되어 상기 영상을 입체화시키는 스크린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영상출력부는 영상을 생성시키는 영상생성부와, 상기 영상생성부에서 생성된 영상이 상기 스크린부재에 입사되어 입체화되도록 변환시키는 영상변환부와, 상기 영상변환부에서 변환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부재로 출력시키는 영상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의 일단 및 상부몸체의 내측의 일단과 대향되는 하부몸체의 내측의 일단을 연결시키는 제 1연결부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의 타단과 상부몸체의 내측의 타단과 대향되는 하부몸체의 내측의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2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연결부와 상기 제 2연결부는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사이에서 접히는 동시에 펴질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스크린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 1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스크린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 2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될 때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와 서로 평행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분리될 때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상부몸체 또는 상기 하부몸체와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일측은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내측의 둘레를 따라 상기 내측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내측의 둘레를 따라 상기 내측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사이에서 접히는 동시에 펴질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의 일단에서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의 일면으로 일정한 각도로 연결되는 제 1스크린부재;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의 일단의 우측단에서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의 일면으로 일정한 각도로 연결되는 동시에 일측이 상기 제 1스크린부재의 일측과 접하는 제 2스크린부재; 및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의 일단의 좌측단에서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의 일면으로 일정한 각도로 연결되는 동시에 일측이 상기 제 1스크린부재의 타측과 접하는 제 3스크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2스크린부재 및 상기 제 3스크린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스크린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내측과 대향되어 개방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될 때 상기 제 1스크린부재, 상기 제 2스크린부재 및 상기 제 3스크린부재는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스크린부재는 하프미러(HALF MIRRO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서류가방의 형태로 제작되어 부피가 작아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쉽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쉽게 휴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세일즈, 마케팅 또는 프리젠테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손쉽게 홍보 또는 광고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하드웨어적 구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조작이 간단할뿐만 아니라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으며, 별도의 특수안경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스크린부재로 인해 비쳐지는 다양한 입체영상을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접혀 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펴져 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펴져 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펴져 있을 때의 측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접혀 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펴져 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펴져 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펴져 있을 때의 측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접혀 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펴져 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펴져 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펴져 있을 때의 측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접혀 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펴져 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펴져 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펴져 있을 때의 측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10)는 몸체부(100), 영상출력부(200), 스크린부재(300), 제 1연결부(400) 및 제 2연결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0)는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몸체(110)와 상기 하부몸체(120)는 상부와 하부로 서로 분리 또는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는 평상시에는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로 결합되어 휴대가 용이한 상태가 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몸체부(100)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를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는 입체영상표시를 위한 장치로 사용하기 위해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를 쉽게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간단한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가 자동으로 상하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영상출력부(200)는 상기 하부몸체(1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영상을 생성시키며, 상기 생성된 영상이 후술할 스크린부재(300)에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영상출력부(200)를 통하여 스크린부재(300)의 후면에 표시되는 영상은 각기 다른 광고용 영상이거나 동일한 광고용 영상일 수 있으며, 영상의 종류도 정지영상, 슬라이드영상, 동영상 등 다양한 영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영상출력부(200)는 영상생성부(210), 영상변환부(220) 및 영상패널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생성부(210)는 영상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영상생성부(210)에서 생성되는 영상에 대해 살펴보기 전에 홀로그래피에 의한 영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홀로그래피란 파동의 간섭현상을 이용해 원래의 상을 재현하는 사진기법으로서, 빛의 세기뿐만 아니라 파동으로써 빛이 갖는 위상까지도 기록함으로써 원래의 3차원 상을 재현하게 된다. 특히 물체에 간섭성 광원인 레이저 광선을 입사시켜 이로부터 반사 및 회절되는 빛(물체파)을 감광재료에 입사시키고 동시에 레이저 광선의 일부를 거울을 통해서 물체파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해 감광재료에 바로 입사시킨다(참조파). 이때 물체파는 물체에 부딪힌 후 바로 반사 및 회절되어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고 감광재료에 부딪히기 때문에 물체파와 참조파는 서로 간섭해 감광재료 위에 미세한 간섭무늬를 남기게 된다. 이렇게 기록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이라고 부르며, 홀로그램 그 자체로는 대상 물체를 닮지 않았지만 물체에서 반사된 광선의 모든 위상과 세기에 대한 정보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영상생성부(210)에서 생성되는 영상은 위에서 언급한 홀로그래피에 의한 영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영상변환부(220)는 상기 영상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영상이 상기 스크린부재(300)에 입사되어 입체화되도록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영상변환부(220)는 영상패널부(230)를 거쳐 스크린부재(300)에 입사된 영상이 입체화될 수 있도록 상기 영상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영상을 변환시킨다.
상기 영상패널부(230)는 상기 영상변환부(220)에서 변환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부재(300)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영상패널부(230)는 최종적으로 영상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영상을 영상변환부(220)를 거친 후 스크린부재(300)에 출력시키기 위한 모니터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스크린부재(300)는 상기 영상출력부(200)에서 출력된 영상이 설정된 각도로 입사되어 상기 영상을 입체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크린부재(300)는 하프미러(HALF MIRRO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프미러는 투명유리의 일측면에 일정한 투명도를 가진 거울막을 코팅하여 한쪽은 거울로 다른 쪽은 유리로 보일 수 있도록 가공한 것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부재(300)는 설정된 각도로 입사된 영상만을 반사시키고, 그 외의 각도로 입사된 영상은 상기 스크린부재(300)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부재(3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영상출력부(200)에 의해 출력된 영상 가운데 설정된 각도로 상기 스크린부재(300)에 입사된 영상만 반사되어 상기 스크린부재(300)의 후면에 입체영상이 맺히게 된다.
특히 상기 스크린부재(300)는 상기 상부몸체(110) 또는 상기 하부몸체(120)와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는데, 상기 스크린부재(300)와 하부몸체(120)가 45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45도의 각도로 구성되는 경우 스크린부재(300) 후면에 입체영상이 보다 선명하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 1연결부(400)는 상기 상부몸체(110)의 내측의 일단 및 상부몸체(110)의 내측의 일단과 대향되는 하부몸체(120)의 내측의 일단을 연결시킨다.
상기 제 2연결부(500)는 상기 상부몸체(110)의 내측의 타단과 상부몸체(110)의 내측의 타단과 대향되는 하부몸체(120)의 내측의 타단을 연결시킨다. 상기 제 1연결부(400)와 상기 제 2연결부(500)는 상기 상부몸체(110)와 상기 하부몸체(120)의 사이에서 접히는 동시에 펴질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연결부(400)와 제 2연결부(500)는 쉽게 접히는 동시에 펴질 수 있는 구조로서 주름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린부재(300)의 일단은 상기 제 1연결부(400)에 연결되며, 상기 스크린부재(300)의 타단은 상기 제 2연결부(500)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가 결합될 때 상기 스크린부재(300)는 상기 상부몸체(110) 및 상기 하부몸체(120)와 서로 평행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가 분리될 때 상기 스크린부재(300)는 상기 상부몸체(110) 또는 상기 하부몸체(120)와 일정한 각도로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1연결부(400)와 제 2연결부(500)의 일면에는 스크린부재(300)가 일정한 각도로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제 1지지체(410) 및 제 2지지체(420)가 결합되어 있다. 특히 제 1지지체(410)의 내측에는 스크린부재(300)의 일단 및 타단이 결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지지체(410)에 결합 및 지지되어 있는 스크린부재(300)는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가 접힐 경우 하부몸체(120)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가 펴질 경우 일정한 각도(특히 45도 각도)로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연결부(400) 및 상기 제 2연결부(500)는 주름관 형태로 설치되어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의 양 측면으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기 때문에 스크린부재(300)의 후면에 맺히는 영상을 사람들이 스크린부재(300)의 정면에서 보다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10)는 몸체부(100), 영상출력부(200), 스크린부재(300) 및 연결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0) 및 상기 영상출력부(200)는 위에서 언급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크린부재(300)는 제 1스크린부재(310), 제 2스크린부재(320) 및 제 3스크린부재(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스크린부재(310)는 상기 하부몸체(120)의 내측의 일단에서 상기 상부몸체(110)의 내측의 일면으로 일정한 각도로 연결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스크린부재(310)는 하부몸체(120)의 내측의 일단에서 상부몸체(110)의 내측의 일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1스크린부재(310)와 하부몸체(120)는 일정한 각도 특히 45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내용과 동일하다.
상기 제 2스크린부재(320)는 상기 하부몸체(120)의 내측의 일단의 우측단에서 상기 상부몸체(110)의 내측의 일면으로 일정한 각도로 연결되는 동시에 일측이 상기 제 1스크린부재(310)의 일측과 접한다.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스크린부재(320)는 제 1스크린부재(310)와 접한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로 세워진다.
상기 제 3스크린부재(330)는 상기 하부몸체(120)의 내측의 일단의 좌측단에서 상기 상부몸체(110)의 내측의 일면으로 일정한 각도로 연결되는 동시에 일측이 상기 제 1스크린부재(310)의 타측과 접한다. 도 8b에 제대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3스크린부재(330)는 제 1스크린부재(310)와 접한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로 세워진다.
상기 제 2스크린부재(320) 및 상기 제 3스크린부재(330)는 후술할 연결부(60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스크린부재(310)는 연결부(600)의 내측과 대향되어 개방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가 결합될 때 상기 제 1스크린부재(310), 상기 제 2스크린부재(320) 및 상기 제 3스크린부재(330)는 상기 하부몸체(120)의 내측에 삽입된다.
상기 제 1스크린부재(310), 제 2스크린부재(320) 및 제 3스크린부재(330)는 하프미러(HALF MIRROR)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출력부(200)에서 출력된 영상은 제 1스크린부재(310), 제 2스크린부재(320) 및 제 3스크린부재(330)에 각각 반사되어 제 1스크린부재(310), 제 2스크린부재(320) 및 제 3스크린부재(330) 내부에 영상이 맺히게 된다. 상기 영상출력부(200)에서 출력된 영상은 제 1스크린부재(310), 제 2스크린부재(320) 및 제 3스크린부재(330) 각각에 반사되어 보다 선명한 영상이 재현된다. 이때, 후술할 연결부(600)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의 양측면과 후면이 막혀 있어 몸체부(100)의 양측면과 후면으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기 때문에 스크린부재(300)의 내부에 맺히는 영상을 사람들이 스크린부재(300)의 정면에서 보다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600)의 일측은 상기 상부몸체(110)의 내측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내측의 둘레를 따라 상기 내측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600)의 타측은 상기 하부몸체(120)의 내측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내측의 둘레를 따라 상기 내측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600)의 일측과 타측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600)는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의 사이에서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의 양측면과 후면이 서로 연결되어 지지된다.
상기 연결부(600)는 상기 상부몸체(110)와 상기 하부몸체(120)의 사이에서 접히는 동시에 펴질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부(600)는 쉽게 접히는 동시에 펴질 수 있는 구조로서 주름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스크린부재(310), 제 2스크린부재(320) 및 제 3스크린부재(330)가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 사이에서 일정한 각도로 세워지도록 상부몸체(110)의 지지체(11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
100: 몸체부
110: 상부몸체
111: 지지체
120: 하부몸체
200: 영상출력부
210: 영상생성부
220: 영상변환부
230: 영상패널부
300: 스크린부재
310: 제 1스크린부재
320: 제 2스크린부재
330: 제 3스크린부재
400: 제 1연결부
410: 제 1지지체
420: 제 2지지체
500: 제 2연결부
600: 연결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는 상부와 하부로 서로 분리 또는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영상을 생성시키며, 상기 생성된 영상이 스크린부재에 출력되도록 하되, 영상을 생성시키는 영상생성부와, 상기 영상생성부에서 생성된 영상이 스크린부재에 입사되어 입체화되도록 변환시키는 영상변환부와, 상기 영상변환부에서 변환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부재로 출력시키는 영상패널부를 포함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된 영상이 설정된 각도로 입사되어 상기 영상을 입체화시키되,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의 일단에서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의 일면으로 일정한 각도로 연결되는 제 1스크린부재와,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의 일단의 우측단에서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의 일면으로 일정한 각도로 연결되는 동시에 일측이 상기 제 1스크린부재의 일측과 접하는 제 2스크린부재와,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의 일단의 좌측단에서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의 일면으로 일정한 각도로 연결되는 동시에 일측이 상기 제 1스크린부재의 타측과 접하는 제 3스크린부재;를 포함하는 스크린부재; 및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사이에서 접히는 동시에 펴질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며, 일측은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내측의 둘레를 따라 상기 내측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내측의 둘레를 따라 상기 내측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스크린부재 및 상기 제 3스크린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스크린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내측과 대향되어 개방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될 때 상기 제 1스크린부재, 상기 제 2스크린부재 및 상기 제 3스크린부재는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는 하프미러(HALF MIRRO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0120055313A 2012-05-24 2012-05-24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239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313A KR101239878B1 (ko) 2012-05-24 2012-05-24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313A KR101239878B1 (ko) 2012-05-24 2012-05-24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878B1 true KR101239878B1 (ko) 2013-03-06

Family

ID=4818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313A KR101239878B1 (ko) 2012-05-24 2012-05-24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8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660B1 (ko) * 2014-09-04 2015-07-22 황재성 입체영상장치
WO2016047914A1 (ko) * 2014-09-22 2016-03-31 주식회사딜루션 홀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는 접이식 케이스
KR20220000887U (ko) * 2020-10-16 2022-04-25 민상규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
KR102521146B1 (ko) 2021-11-02 2023-04-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형상 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666B1 (ko) * 2001-12-14 2004-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로그램 스크린을 이용한 표시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단말기
KR100946319B1 (ko) * 2008-03-28 2010-03-08 정상경 광고용 홀로그램 영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666B1 (ko) * 2001-12-14 2004-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로그램 스크린을 이용한 표시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단말기
KR100946319B1 (ko) * 2008-03-28 2010-03-08 정상경 광고용 홀로그램 영상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660B1 (ko) * 2014-09-04 2015-07-22 황재성 입체영상장치
WO2016047914A1 (ko) * 2014-09-22 2016-03-31 주식회사딜루션 홀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는 접이식 케이스
JP2018501499A (ja) * 2014-09-22 2018-01-18 ディル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Dilussion Inc. ホログラムを実現可能な折畳式ケース
KR20220000887U (ko) * 2020-10-16 2022-04-25 민상규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
KR200496499Y1 (ko) 2020-10-16 2023-02-09 민상규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
KR102521146B1 (ko) 2021-11-02 2023-04-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형상 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Three-dimensional displays, past and present
CN104704821A (zh) 扫描双向光场相机和显示器
KR100901866B1 (ko) 배경을 가지는 3차원 플로팅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KR101239878B1 (ko) 휴대용 입체영상 표시장치
CN105611278A (zh) 防裸眼3d观看眩晕感的图像处理方法及系统和显示设备
CN104407440A (zh) 具有视线跟踪功能的全息显示装置
JP2001235708A (ja) 背景付き立体像再生装置
Gołoś et al. Fourier RGB synthetic aperture color holographic capture for wide angle holographic display
KR20160030034A (ko) 홀로그램과 다시점 영상을 이용한 3차원 영상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38660B1 (ko) 입체영상장치
Cserkaszky et al. Light-field capture and display systems: limitations, challenges, and potentials
Date et al. Real-time viewpoint image synthesis using strips of multi-camera images
CN111708180A (zh) 一种文旅观景系统
CN209167806U (zh) 一种悬浮式的3d成像系统
CN103376543A (zh) 具有动态全息图像再现单元的显微镜系统
US10593102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for smart home device
JP5817407B2 (ja) 表示装置
CN212229353U (zh) 一种文旅观景系统
Héricz et al. Investigation of a 3D head-mounted projection display using retro-reflective screen
Vogt et al. Stereo pairs in astrophysics
KR20160080901A (ko) 영상 제공 장치 및 시스템
KR101008938B1 (ko) 포일을 이용한 3디 영상 디스플레이어
Geng Design of a single projector multiview 3D display system
TWI608255B (zh) 立體浮空影像顯示裝置
KR20150008727A (ko) 양방향 슈도 홀로그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