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818B1 -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818B1
KR101238818B1 KR1020120067992A KR20120067992A KR101238818B1 KR 101238818 B1 KR101238818 B1 KR 101238818B1 KR 1020120067992 A KR1020120067992 A KR 1020120067992A KR 20120067992 A KR20120067992 A KR 20120067992A KR 101238818 B1 KR101238818 B1 KR 101238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application
mobile terminal
terminal
th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재
Original Assignee
김희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재 filed Critical 김희재
Priority to KR1020120067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48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갈취당하거나 도난당하였을 경우 모바일 단말을 회수하거나 범인을 검거할 수 있도록 하는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제1 비밀번호 및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화면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화면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화면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화면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도난 대응 루틴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루틴 실행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지정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ALING WITH A ROBBERY OF A MOBILE TERMINAL USING TWO NUMBERS}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도난에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을 갈취당하거나 도난당하였을 경우 모바일 단말을 회수하거나 범인을 검거할 수 있도록 하는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은 이제 유선을 넘어 무선 이동통신 기술로의 급발전을 가져오게 되었고, 실생활에 있어서도 휴대폰, PDA,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 등의 휴대용 단말을 통한 인터넷상에서의 정보 검색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들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일반 휴대폰에서 스마트폰으로 사용자들이 많이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이란 휴대폰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휴대폰으로서, 휴대폰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기능, 인터넷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이 추가되며, 다양한 입력 방식과 터치스크린 등이 구비되어 사용에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팩스, 뱅킹, 게임 등 단말기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의 수용을 위하여 표준화된 운영 체제(OS) 또는 전용 운영 체제를 갖추기도 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 등 다양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 단말 내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전용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들과 콘텐츠(content)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은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기 때문에 분실할 염려가 많으며, 분실된 모바일 단말은 고가에 거래됨으로 인해 주인에게 회수될 확률이 상당히 낮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분실 방지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예컨대, 상기 모바일 단말의 분실 방지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45286호의 "휴대폰의 도난과 도용 방지 장치 및 방법(엘지전자주식회사)"(문헌 1)에는 휴대폰의 고유 번호와 하드웨어 키의 암호화된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하드웨어 키를 통해 휴대폰의 도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난 방지 방법들은 단지 도난된 모바일 단말의 사용을 제한시킬 뿐 근본적으로 도난된 기기를 회수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에 패스워드를 설정하였다고 할지라도 힘이 약한 청소년이나 여성의 경우 범인에게 패스워드를 알려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의 도난 시에 도난된 모바일 단말의 사용을 제한하고 효과적으로 되찾을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45286호 휴대폰의 도난과 도용 방지 장치 및 방법(엘지전자주식회사) 2002.06.19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의 화면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두 개로 설정한 후, 도난 시 알려주는 패스워드에 각종 도난 방지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도난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제1 비밀번호 및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화면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화면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화면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화면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도난 대응 루틴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루틴 실행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지정 단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 지정 단말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사용을 제한하도록 권한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 후, GPS 모듈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위성 정보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응급 메시지를 상기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파일을 삭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 이미지를 상기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상기 사진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진 촬영 시 촬영음을 소거하고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방법으로서,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제1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화면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화면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화면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화면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도난 대응 루틴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도난 대응 루틴 실행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방법을 제공받기 위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 잠금 해제를 위한 패스워드로 두 개의 상이한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모바일 단말의 도난 시 범인에게 미리 설정된 도난 처리 절차를 수행하는 패스워드를 알려줌으로써 효과적인 도난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도난 방지 루틴을 실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에 따라 데이터를 삭제 처리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성 데이터 수신 여부에 따라 응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도난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 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에서 화면 잠금 패스워드를 서로 상이한 두 개의 패스워드로 설정하고, 특정 패스워드로 화면 잠금 해제를 시도할 경우, 도난 대응을 위해 미리 설정된 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도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을 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분실할 경우, 범인에게 도난 대응을 위한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패스워드를 알려줌으로써 범인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도난에 대한 다양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 잠금 상태에서 도난 대응을 위해 설정된 별도의 패스워드가 입력될 경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통해 측정된 현재의 위치 정보가 미리 사용자가 설정한 수신 지정 단말 또는 수사 기관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미리 사용자가 설정한 수신 지정 단말 또는 수사 기관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이때, 카메라 촬영에서 기본적으로 설정된 촬영음은 소거시킨 상태에서 촬영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난 대응을 위해 설정된 별도의 패스워드가 입력될 경우,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측정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특정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주소록, 문자 메시지, 사진 데이터 등)의 사용을 제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별도의 패스워드로 일정 횟수 이상으로 입력할 경우, 설정된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GPS 정보가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수신되지 않을 때, 응급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모바일 단말'은 이동 단말기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MP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휴대성 또는 이동성을 갖는 단말기라면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다. 또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의 장치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서 채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100), 통신 네트워크(110), 도난 관리 서버(120), 수신 지정 단말(130), 수사 기관 단말(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1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난 대응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101)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모바일 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101)을 통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1 패스워드와 도난 시 사용하도록 하는 제2 패스워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난 시 정보를 전송할 수신 지정 단말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00)의 화면 잠금 상태에서 화면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제1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화면 잠금을 해제하여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반면, 도난 시에는 범인에게 제2 패스워드를 알려줌으로써 도난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다.
즉, 범인이 화면 잠금 상태에서 제2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화면 잠금을 해제할 경우 모바일 단말(100)의 일반적인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나, 범인이 모르는 사이에 미리 설정된 도난 대응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예컨대, 상기 제2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화면 잠금이 해제될 경우 모바일 단말(100)에서 GPS 모듈을 통해 측정된 현재 위치 정보가 통신 네트워크(110)를 통해 수신 지정 단말(130) 또는 수사 기관 단말(140)로 전송될 수 있다. 아울러, 도난 관리 서버(120)로 전송되어 도난 단말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00)의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 지정 단말(130) 또는 수사 기관 단말(14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패스워드 및 제2 패스워드는 별도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도 변경 및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 단말(예컨대, PC)에서 도난 관리 서버(120)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제1 패스워드 및 제2 패스워드를 설정하면, 도난 관리 서버(120)에서는 상기 설정된 제1 패스워드 및 제2 패스워드 정보를 해당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상기 전송된 제1 패스워드 및 제2 패스워드 정보를 기기에 반영하여 수정 및 설정한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11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110)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101)의 세부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101)은 버튼 감지부(201), 패스워드 입력부(202), 패스워드 설정부(203), 입력 계수부(204), 파일 삭제부(205), 패스워드 비교부(206), 권한 설정부(207), 저장부(208), 수신 단말 정보 설정부(209), 잠금 해제부(210), 위치값 생성부(211), GPS 모듈(212), 카메라 모듈(213), 카메라 제어부(214), 정보 전송부(215), 시간 계수부(216), 주기 검사부(21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애플리케이션(101)을 실행하면 패스워드 설정부(20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패스워드(즉, 제1 패스워드 및 제2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1 패스워드 설정부(203a)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스워드값을 저장부(208)에 제1 패스워드로 저장하고, 제2 패스워드 설정부(203b)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스워드값을 저장부(208)에 제2 패스워드로 저장한다. 또한, 수신 단말 정보 설정부(209)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도난 상황 시 정보를 전송할 수신 단말에 대한 정보(예컨대,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저장부(208)에 수신 지정 단말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패스워드는 일반적인 화면 잠금 해제를 위한 패스워드로서, 화면 잠금의 해제 기능만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패스워드는 도난 시 설정된 일련의 루틴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도난 대응용 패스워드로서 화면 해제의 기능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각종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애플리케이션(101)의 실행 화면에서 패스워드 및 수신 지정 단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도록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100)이 아닌 다른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각 정보를 입력하여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01)에서는 상기 전송된 각 입력 정보를 저장부(208)에 저장 또는 갱신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버튼 감지부(201)는 모바일 단말(100)이 잠긴 상태에서 임의의 버튼이 눌러진 것을 감지한다. 상기 버튼 감지부(201)의 버튼 감지에 따라 패스워드 입력부(202)에서는 패스워드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화면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받도록 한다.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패스워드는 패스워드 비교부(206)에서 저장부(208)에 저장된 패스워드들과 비교한다. 즉,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가 설정된 제1 패스워드와 일치할 경우 잠금 해제부(210)를 통해 화면 잠금을 해제하고 기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반면,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가 설정된 제2 패스워드와 일치할 경우 상기 잠금 해제부(210)를 통해 화면 잠금을 해제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제2 패스워드의 입력에 따라 위치값 생성부(211)에서는 GPS 모듈(212)을 통해 수신된 정보로 기기의 현재 위치값을 생성하고 정보 전송부(215)를 통해 상기 현재 위치값을 상기 저장부(208)에 기 저장된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위치값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의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시간 계수부(216)에서는 주기적으로 GPS 모듈(212)을 검사하고, 정보 전송부(215)에서는 상기 수신된 정보로 생성된 현재 위치값을 설정된 주기마다 전송한다. 한편, 시간 계수부(216)에서는 상기 GPS 모듈(212)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 정보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응급 메시지를 생성하고 정보 전송부(215)를 통해 생성된 응급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가 설정된 제2 패스워드와 일치할 경우, 화면 잠금이 해제되더라도 권한 설정부(207)를 통해 단말의 특정 기능들은 사용할 수 없도록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가 설정된 제2 패스워드와 일치할 경우, 카메라 제어부(214)를 통해 카메라 모듈(213)을 제어하여 사진을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사진 이미지를 정보 전송부(215)를 통해 상기 설정된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주기 검사부(217)를 통해 설정된 주기만큼 상기 카메라 제어부(214)에 시간을 통보하고, 카메라 제어부(214)에서는 상기 통보된 시간 주기마다 카메라 모듈(213)을 제어함으로써 촬영된 사진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 모듈(213)을 통한 사진 촬영시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정된 촬영 소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가 설정된 제2 패스워드와 일치할 경우, 입력 계수부(204)에서는 이를 카운트하고, 제2 패스워드의 입력이 미리 설정된 일정 횟수 이상이 될 경우, 파일 삭제부(205)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이 삭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스워드 비교부(206)의 비교 결과, 입력된 패스워드가 제1 패스워드 및 제2 패스워드 중 어떤 것과도 일치하지 않을 경우, 화면을 계속 잠금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제1 패스워드(PW1) 및 제2 패스워드(PW2)를 설정(S310, S302)한다. 그런 다음, 화면 잠김 상태에서 버튼이 감지(S303)되면, 패스워드 입력창을 생성(S304)한다.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을 통해 패스워드가 입력(S305)되고, 입력된 패스워드가 제2 패스워드일 경우(S30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도난 방지 루틴(즉, 도난 대응 절차)을 실행(S309)한다. 또한, 잠금 해제(S310)를 하고 단말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을 취득 또는 갈취한 범인이 도난 방지 루틴의 실행을 알 수 없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가 제1 패스워드일 경우(S307), 상기 도난 방지 루틴은 실행하지 않으며, 잠금 해제(S310)만 수행된다. 만약,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가 제1 패스워드 및 제2 패스워드 중 어느 것과도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잠금 해제를 하지 않고 계속 화면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도 3의 도난 방지 루틴 절차의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도난 방지 루틴을 실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패스워드가 입력되고 도난 방지 루틴이 실행되면, GPS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값을 산출(S401)한다. 그런 다음, 산출된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S402)한다. 또한,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무음 모드로 사진 촬영(S403)을 수행한 후, 상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S404)한다. 아울러, 주소록, 통화 기록, 사진 등의 데이터 접근 권한 제한을 설정(S405)함으로써 범인이 개인 정보를 취득할 수 없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에 따라 데이터를 삭제 처리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된 패스워드가 제2 패스워드일 경우(S501), 이를 카운트하고, 상기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설정된 도난 방지 루틴을 실행(S504)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패스워드의 입력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예컨대, 5회)를 초과할 경우(S502), 지정된 데이터를 자동 삭제 처리(S503)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성 데이터 수신 여부에 따라 응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잠금 해제(S601)를 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위치 확인 주기가 도래하면(S602), 위성 데이터를 수신(S603)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미리 지정된 단말로 위치 정보를 전송(S606)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S063), 미수신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미수신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TG)을 초과(S604)하면, 응급 메시지를 자동으로 전송(S605)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도난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난 방지 애플리케이션(700)을 실행함으로써, 제1 비밀번호(710), 제2 비밀번호(720), 수신 지정 단말(730) 등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두 개의 비밀번호에 따라 각 비밀 번호를 입력할 경우 상이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 비밀번호 및 제2 비밀번호는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비밀번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다른 비밀번호를 설정할 경우, 이미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번호가 입력되면 재입력하도록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비밀번호로 잠금 해제를 할 경우 일반적인 잠금 해제 절차만 수행되며, 제2 비밀번호로 잠금 해제를 할 경우, 잠금 해제 기능과 동시에 도난 방지 절차를 자동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단말을 도난 또는 갈취당하거나 분실하였을 경우,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알려줌으로써 범인이 모르는 상황에서 도난 대응 절차를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모바일 단말 101 : 애플리케이션
110 : 통신 네트워크 120 : 도난 관리 서버
130 : 수신 지정 단말 140 : 수사 기관 단말
201 : 버튼 감지부 202 : 패스워드 입력부
203 : 패스워드 설정부 203a : 제1 패스워드 설정부
203b : 제2 패스워드 설정부 204 : 입력 계수부
205 : 파일 삭제부 206 : 패스워드 비교부
207 : 권한 설정부 208 : 저장부
209 : 수신 단말 정보 설정부 210 : 잠금 해제부
211 : 위치값 생성부 212 : GPS 모듈
213 : 카메라 모듈 214 : 카메라 제어부
215 : 정보 전송부 216 : 시간 계수부
217 : 주기 검사부

Claims (20)

  1.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제1 비밀번호 및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화면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화면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화면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화면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도난 대응 루틴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루틴 실행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지정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 지정 단말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사용을 제한하도록 권한을 설정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 후, GPS 모듈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위성 정보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응급 메시지를 상기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파일을 삭제 처리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 이미지를 상기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상기 사진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
  10. 청구항 1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진 촬영 시 촬영음을 소거하고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
  11.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방법으로서,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제1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화면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화면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화면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화면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도난 대응 루틴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도난 대응 루틴 실행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 지정 단말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사용을 제한하도록 권한을 설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 후, GPS 모듈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위성 정보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응급 메시지를 상기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파일을 삭제 처리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 이미지를 상기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상기 사진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수신 지정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방법.
  20. 청구항 11 또는 19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진 촬영 시 촬영음을 소거하고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방법.
KR1020120067992A 2012-06-25 2012-06-25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123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992A KR101238818B1 (ko) 2012-06-25 2012-06-25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992A KR101238818B1 (ko) 2012-06-25 2012-06-25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818B1 true KR101238818B1 (ko) 2013-03-11

Family

ID=4818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992A KR101238818B1 (ko) 2012-06-25 2012-06-25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8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812A (ko) * 2002-09-09 2004-03-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중 비밀 번호를 이용한 신변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9296112A (ja) * 2008-06-03 2009-12-17 Nec Corp 携帯端末装置、不正使用防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80398A (ko) * 2010-01-05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프라이버시 정보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812A (ko) * 2002-09-09 2004-03-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중 비밀 번호를 이용한 신변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9296112A (ja) * 2008-06-03 2009-12-17 Nec Corp 携帯端末装置、不正使用防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80398A (ko) * 2010-01-05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프라이버시 정보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72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unauthorized users of an electronic device
JP5955956B2 (ja) 紛失した電子デバイスを検出して対処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248237B2 (en) System for mitigating the unauthorized use of a device
US10545660B2 (en) Multi touch combination for viewing sensitive information
KR101567137B1 (ko) 컴퓨팅 장치의 분실 모드를 원격으로 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031536B2 (en) Method for mitigating the unauthorized use of a device
KR20060122966A (ko) 이동 장치 기능 제한 시스템 및 방법
US98005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rresponding communications terminal
JP5494661B2 (ja) 電子機器、そのセキュリティ方法、そのセキュリティ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2447772A (zh) 移动设备通信中的保密
CN107533624B (zh) 检测和防止设备的非法使用
US11202526B2 (en) Porch piracy parcel theft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CN103974249A (zh) 基于验证信息通信的方法及其设备
US11341218B2 (en) Messag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providing messaging interface for messaging application
KR101545142B1 (ko) 원격 단말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238818B1 (ko) 투 넘버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도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JP2012114699A (ja) 携帯端末管理システム
US20050272410A1 (en) Monitoring system for use status of computer apparatus
WO2017181550A1 (zh) 用于账号防盗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0117561A1 (en) Deceptive mobile communications
JP2005012417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KR20080073802A (ko) 인터넷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CN107819752B (zh) 一种文件保护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534157A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终端
Agbonifo et al. Design of a mobile smartphone anti-thef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