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454B1 -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454B1
KR101237454B1 KR1020110016432A KR20110016432A KR101237454B1 KR 101237454 B1 KR101237454 B1 KR 101237454B1 KR 1020110016432 A KR1020110016432 A KR 1020110016432A KR 20110016432 A KR20110016432 A KR 20110016432A KR 101237454 B1 KR101237454 B1 KR 101237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ck
transmission
transmitted
s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090A (ko
Inventor
김종권
박태민
이수철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6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454B1/ko
Priority to US13/243,213 priority patent/US8677195B2/en
Publication of KR20120097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6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payload signals; piggyb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5Adaptation of specific ARQ protocol parameters according to transmiss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4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우선순위가 높은 ACK의 전송기회를 통하여 ACK가 피기백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무선 네트워크상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소정의 STA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채널을 획득하는 단계(S100); 상기 소정의 STA가 무선채널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AP로 전송하는 단계(S200); 상기 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AP가 어느 하나의 STA에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S300); 및 상기 S300단계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상기 데이터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ACK의 전송기회를 통하여 상기 ACK가 피기백(Piggy back)된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STA에 전송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선순위가 높은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하여 ACK가 피기백된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로 인해 ACK의 전송과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채널 경쟁 시간과 DIFS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아 무선 네트워크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ACK transmission opportunity in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선순위가 높은 ACK의 전송기회를 통하여 ACK가 피기백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무선 네트워크상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는 AP(Access point)와 다수의 STA(Station)로 구성되며, AP는 무선채널을 통하여 STA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소정의 STA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STA로부터 AP로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AP는 SIFS(Short interframe space)의 시간 간격 후에 수신응답신호인 ACK(Acknowledge character)를 상기 소정의 STA에 전송한다. 이때, AP가 전송하여야 할 패킷이 ACK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문제되지 않으나, ACK뿐 아니라 전송하여야 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무선 네트워크의 전송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ACK는 데이터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므로 AP는 먼저 ACK를 전송한 후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때 AP는 무선채널 경쟁과 DIFS(DCF interframe space)의 시간이 지난 후에 데이터를 STA에 전송한다. 이러한 채널 경쟁 시간과 DIFS의 시간 간격에 의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지연되며, 이로 인하여 무선 네트워크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량이 현저히 감소하여 전송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CK를 MPDU(MAC Protocol Data Unit)에 피기백하고, ACK 전송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낮은 데이터 비트율로 ACK가 피기백된 MPDU를 전송하였다. 이는 무선 채널의 상황이 양호하여 데이터를 고속의 비트율로 전송할 수 있는 경우에도 ACK 전송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낮은 데이터 비트율로 전송하여야 하므로 무선 네트워크의 전송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우선순위가 높은 ACK의 전송기회를 통하여 ACK가 피기백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무선 네트워크상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소정의 STA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채널을 획득하는 단계(S100); 상기 소정의 STA가 무선채널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AP로 전송하는 단계(S200); 상기 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AP가 어느 하나의 STA에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S300); 및 상기 S300단계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상기 전송할 데이터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ACK의 전송기회를 통하여 상기 ACK가 피기백(Piggy back)된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STA에 전송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300단계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상기 AP의 MAC 계층을 통하여 ACK를 상기 소정의 STA에 전송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400단계는, 상기 AP의 PHY 계층에서 상기 전송할 데이터에 ACK를 피기백하는 단계(S410); 및 상기 ACK가 피기백된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STA에 전송하는 단계(S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100단계는, 다른 STA와 경쟁을 통하여 무선채널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410단계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SFD와 PLCP Header 사이에 ACK를 피기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410단계는, 상기 ACK의 목적지 정보가 특정되는 시그니쳐, STA간의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연속전송카운터 및 Reserved를 포함하는 ACK를 상기 데이터에 피기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420단계는, 상기 AP의 PHY 계층의 데이터 비트율로 ACK를 전송하고 상기 AP의 MAC 계층의 데이터 비트율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선순위가 높은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하여 ACK가 피기백된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로 인해 ACK의 전송과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채널 경쟁 시간과 DIFS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아 무선 네트워크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ACK는 PHY 계층의 데이터 비율로 전송되므로 안정성 및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전송되는 장점이 있으며, 동시에 데이터는 MAC 계층의 데이터 비율로 전송되므로 고속으로 전송되는 장점이 있다. 즉, ACK 전송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므로 무선 네트워크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ACK 프레임이 가지고 있던 오버헤드(Overhead)가 제거된 ACK를 데이터를 피기백하므로, 종래 MAC 계층을 통하여 ACK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비하여 전송 시간이 현저히 감소하며, 이로 인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및 ACK의 전송 흐름을 도시한 구성도.
도 3a는 종래 방법에 의한 ACK의 전송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CK의 전송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ACK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집약 처리량을 비교한 그래프.
도 6은 공정성 지수를 비교한 그래프.
도 7은 상관성을 비교한 그래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P(Access point)란 무선 네트워크에서 중계기의 기능을 하는 장치를 의미하고, STA(Station)는 무선채널을 통하여 AP와 연결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ACK(Acknowledge character)는 수신응답신호를 의미하고, SIFS(Short interframe space)는 AP와 STA간의 패킷 전송 시간 간격을 의미하고, DIFS(DCF interframe space)와 Backoff는 AP 또는 동일한 STA 내에서 패킷 전송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또한, MAC 계층은 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의 7계층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데이터 링크 계층이라고 하며 물리적 연결을 통하여 인접한 두 장치간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을 담당하고, PHY 계층은 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OSI) 모델의 7계층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물리 계층이라고 하며 전기적, 기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통신 케이블로 전기적 신호(에너지)의 전송을 담당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로,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소정의 STA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채널을 획득하는 단계(S100); 상기 소정의 STA가 무선채널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AP로 전송하는 단계(S200); 상기 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AP가 어느 하나의 STA에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S300); 및 상기 S300단계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상기 전송할 데이터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ACK의 전송기회를 통하여 상기 ACK가 피기백(Piggy back)된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STA에 전송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 네트워크는 AP와 다수의 STA로 구성되며, AP는 무선채널을 통하여 STA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2는 AP, STA1 및 STA2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로, 이하 도 2를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S100단계는 AP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소정의 STA가 무선채널을 획득하는 단계로, 소정의 STA는 다른 STA와 경쟁을 통하여 무선채널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STA1이 AP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STA1은 STA2와 경쟁을 통하여 무선채널을 획득한다.
상기 S200단계는 STA가 무선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AP로 전송하는 단계로, S100단계에서 무선채널을 획득한 STA가 상기 무선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AP로 전송한다. 도 2에 의하면, STA간의 경쟁을 통하여 무선채널을 획득한 STA1이 AP로 데이터(화살표 1)를 전송하며, 이때, 데이터는 STA1의 MAC 계층을 통하여 AP로 전송된다.
상기 S300단계는 데이터를 전송받은 AP가 어느 하나의 STA에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로, 도 2에 의하면 STA1에서 데이터를 전송받은 AP는 STA1, STA2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즉, AP는 STA2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전송한 STA1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상기 S500단계는 S300단계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에 AP의 MAC 계층을 통하여 ACK를 소정의 STA에 전송한다. 도 2에 의하면, STA1에서 데이터를 전송받은 AP가 ACK를 STA1에 전송하며, 이때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고 SIFS의 시간 간격이 지난 후에 ACK를 STA1에 전송한다.
상기 S400단계는 S300단계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에 전송할 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ACK의 전송기회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AP는 STA1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은 후 STA1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STA1으로 전송할 데이터에 ACK를 피기백하고, ACK가 피기백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ACK를 STA1에 전송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STA1에 전송한다. 또한, AP는 STA1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은 후 STA2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STA2로 전송할 데이터에 ACK를 피기백하고, ACK가 피기백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ACK를 STA1에 전송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STA2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우선순위가 높은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하여 ACK가 피기백된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로 인해 ACK의 전송과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채널 경쟁 시간과 DIFS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아 무선 네트워크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S400단계는, 상기 AP의 PHY 계층에서 상기 전송할 데이터에 ACK를 피기백하는 단계(S410); 및 상기 ACK가 피기백된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STA에 전송하는 단계(S420)를 포함한다. 즉, CLACK(Cross-Layer ACK)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PHY 계층에서 ACK를 피기백하여 ACK의 전송과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S420단계는 시그니쳐(Signature), 연속전송카운터(Consecutive TX Counter) 및 Reserved를 포함하는 ACK를 데이터에 피기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ACK는 ADD로 도시되어 있으며 ADD는 시그니쳐(Signature), 연속전송카운터(Consecutive TX Counter) 및 Reserved를 포함하며, 시그니쳐는 8bits, 연속전송카운터는 4bits, Reserved는 4bits를 가진다.
시그니쳐는 ACK의 목적지 정보를 특정하며, 28개의 노드를 나타내기 위하여 8bits를 할당한다. 연속전송카운터는 노드의 공정성(Fairness)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최대값으로 ßmax 를 가지며, 각 노드는 현재 연속적인 전송 카운터(ß)가 ßmax 보다 작은지 분석하여 데이터에 ACK를 피기백하여 송신할지 정상 ACK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불연속적인 송신기회(TXOP) 후에 노드들이 다시 무선채널의 경쟁을 하므로 종래에 비하여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공정성을 악화시키지 않는다. 또한, ßmax 는 적응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420단계는, 상기 S410단계에서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SFD와 PLCP Header 사이에 ACK를 피기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데이터 프레임은 Preamble, SFD(Starting Frame Delimiter), PLCP Header, MAC Date, FCS를 포함하며, Preamble은 80bits, SFD는 16bits, PLCP Header는 32bits를 가진다. Preamble은 데이터 프레임의 동기 등을 위한 것이며, STA는 진행중인 전송을 검출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상기 Preamble을 검출한다. SFD는 비트열부터는 바이트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리는 프레임 동기용 비트열로 Preamble의 바로 뒤에 붙여진다. STA는 SFD의 수신을 완료한 후 PLCP Header를 디코딩하여 이러한 전송이 무선채널을 얼마나 점유할지를 예측한다.
즉, Preamble과 SFD는 데이터 프레임의 동기를 위한 것이므로, ACK는 데이터 프레임의 SFD와 PLCP Header 사이에 피기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420단계는, 상기 AP의 PHY 계층의 데이터 비트율로 ACK를 전송하고 상기 AP의 MAC 계층의 데이터 비트율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ACK는 PHY 계층의 데이터 비율로 전송되므로 안정성 및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전송되는 장점이 있으며, 동시에 데이터는 MAC 계층의 데이터 비율로 전송되므로 고속으로 전송되는 장점이 있다. 즉, ACK 전송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므로 무선 네트워크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CK의 전송 흐름을 도시한 도면으로, 먼저 경쟁을 통하여 무선채널을 획득한 STA1이 데이터를 AP로 전송하고, 데이터를 전송받은 AP는 SIFS의 시간 간격 후에 ACK가 피그백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STA1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에 따른 ACK는 STA1로 전송하고 데이터는 STA2로 전송한다.
또한, AP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은 STA2는 SIFS의 시간 간격 후에 ACK가 피그백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AP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에 따른 ACK는 AP로 전송하고 데이터도 AP로 전송하므로, ACK와 데이터의 목적지가 동일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노드에서 ACK와 데이터의 전송시 채널 경쟁 시간과 DIFS+Backoff 시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데이터의 전송 시간이 현저히 감소하며, 이로 인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평균 집약 처리량을 비교한 그래프로, Legacy와 Aggregation-like는 종래 방법에 따른 결과이고 CLACK는 본 발명에 따른 결과이다. 평균 집약 처리량을 비교한 그래프에 의하면, CLACK의 평균 집약 처리량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Aggregation-like의 평균 집약 처리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Legacy를 기준으로 한 CLACK의 상대 집약 처리량은 152.0%이고, Aggregation-like를 기준으로 한 CLACK의 상대 집약 처리량은 106.9%이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평균 집약 처리량이 많으므로, 무선 네트워크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공정성 지수를 비교한 그래프로, 제인의 공정성 지수(Jain's fairness index)를 이용하였다.
Figure 112011013402949-pat00001
상기 수학식 1은 제인의 공정성 지수이고, n은 노드의 개수, xi는 i노드에 대한 처리량을 나타낸다. 수학식 1에 따른 결과는 1/n(최악의 경우)에서 1(최상의 경우) 사이의 값을 나타내며, 모든 노드가 동일한 할당을 수신할 때 최대값 1을 가진다. 공정성 지수를 비교한 그래프에 의하면, CLACK, Aggregation-like, Legacy 모두가 0.99 값을 가지며, 이는 CLACK가 무선 네트워크의 공정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데이터 레이트의 변화에 따른 집약 처리량의 상관성을 비교한 그래프로, CLACK는 DCF에 비하여 데이터 레이트 증가에 따른 성능 이득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ACK 프레임의 시그니쳐가 1바이트인 CLACK 보다 ACK 프레임의 시그니쳐가 5바이트인 CLACK의 성능 이득이 더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PHY 계층이 낮은 레이트로 전송하기 때문에 시그니쳐의 크기에 따라 CLACK의 성능 이득이 달라지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일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7)

  1. AP, 다수의 STA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소정의 STA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채널을 획득하는 단계(S100);
    상기 소정의 STA가 무선채널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AP로 전송하는 단계(S200);
    상기 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AP가 어느 하나의 STA에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S300); 및
    상기 S300단계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상기 전송할 데이터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ACK의 전송기회를 통하여 상기 ACK가 피기백(Piggy back)된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STA에 전송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00단계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상기 AP의 MAC 계층을 통하여 ACK를 상기 소정의 STA에 전송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400단계는,
    상기 AP의 PHY 계층에서 상기 전송할 데이터에 ACK를 피기백하는 단계(S410); 및
    상기 ACK가 피기백된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STA에 전송하는 단계(S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100단계는,
    다른 STA와 경쟁을 통하여 무선채널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410단계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SFD와 PLCP Header 사이에 ACK를 피기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410단계는,
    상기 ACK의 목적지 정보가 특정되는 시그니쳐, STA간의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연속전송카운터 및 Reserved를 포함하는 ACK를 상기 데이터에 피기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420단계는,
    상기 AP의 PHY 계층의 데이터 비트율로 ACK를 전송하고 상기 AP의 MAC 계층의 데이터 비트율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110016432A 2011-02-24 2011-02-24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237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432A KR101237454B1 (ko) 2011-02-24 2011-02-24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US13/243,213 US8677195B2 (en) 2011-02-24 2011-09-23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ACK transmission opportunity in wirel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432A KR101237454B1 (ko) 2011-02-24 2011-02-24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090A KR20120097090A (ko) 2012-09-03
KR101237454B1 true KR101237454B1 (ko) 2013-02-26

Family

ID=4671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432A KR101237454B1 (ko) 2011-02-24 2011-02-24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77195B2 (ko)
KR (1) KR1012374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2741B2 (en) 2013-05-22 2016-11-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reless gaming protocol
EP3011698B1 (en) * 2013-06-21 2020-06-17 Convida Wireless, LLC Cross-layer and cross-application acknowledgment for data transmission
US10554368B2 (en) 2015-10-07 2020-0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reless data-acknowledgement communication using frame aggregation
CN111107608A (zh) * 2018-10-29 2020-05-05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管理方法、接入点和站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302A (ko) * 2003-06-18 200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무선네트워크 통신 방법
KR20060106899A (ko) * 2005-04-04 2006-10-12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랜에서의 프레임 교환시의 응답성을 개선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80039778A (ko) * 2006-11-0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갱신 기반의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080097831A (ko) * 2007-05-03 2008-1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채널 멀티인터페이스 무선네트워크에서의 패킷전송을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22132D0 (en) * 2003-09-22 2003-10-22 Synad Technologies Ltd Method of data handling in a wlan
JP4005974B2 (ja) * 2004-01-09 2007-11-14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4331088B2 (ja) * 2004-11-01 2009-09-16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7796545B2 (en) * 2006-01-10 2010-09-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976741B2 (en) * 2009-02-27 2015-03-10 Qualcomm Incorporated Piggybacking information in transmit opportunit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302A (ko) * 2003-06-18 200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무선네트워크 통신 방법
KR20060106899A (ko) * 2005-04-04 2006-10-12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랜에서의 프레임 교환시의 응답성을 개선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80039778A (ko) * 2006-11-0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갱신 기반의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080097831A (ko) * 2007-05-03 2008-1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채널 멀티인터페이스 무선네트워크에서의 패킷전송을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77195B2 (en) 2014-03-18
KR20120097090A (ko) 2012-09-03
US20120218949A1 (en)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9288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frame
US9807794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ynamically setting response indication deferral in wireless networks
US97816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decoding short control fram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3637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decoding short control fram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234004B1 (ko) 여러 단말과 동시에 통신하는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EP2618518B1 (en)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KR101973743B1 (ko)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194732A1 (ko) 프레임을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8139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adaptation of channel access or transmission parameters
WO2015194727A1 (ko)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6026888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the capability of WLAN control frames
US10128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information about transmission failure frame
KR20180059858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가변 길이 블록 확인응답 필드들을 시그널링하고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IL175002A (en) Fast protocol for controlling access to media and direct connection
IL174944A (en) High-speed media access control with an interoperable farm system
KR20180100566A (ko) 가변 길이 블록 확인응답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237454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341669B1 (ko)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단말 및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