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356B1 -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356B1
KR101237356B1 KR1020110064052A KR20110064052A KR101237356B1 KR 101237356 B1 KR101237356 B1 KR 101237356B1 KR 1020110064052 A KR1020110064052 A KR 1020110064052A KR 20110064052 A KR20110064052 A KR 20110064052A KR 101237356 B1 KR101237356 B1 KR 101237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ontrast
protective cap
contrast ratio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848A (ko
Inventor
박철순
서우석
추맹수
정일식
박철
Original Assignee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filed Critical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to KR1020110064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35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다수의 발광소자에 씌워지는 명암비개선부를 구비하여 발광소자를 보호함은 물론 발광소자에서 발생되는 빛의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Description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CONTRAST IMPROVEMENT 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명암비를 향상시켜 선명도를 높이고, 방수되는 구조에 의해 야외에서도 사용 가능한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엘이디를 기판에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엘이디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구현하는 표시장치이다.
이러한 엘이디 디스플레이장치는 공연장, 전시장, 옥외 광고판 등의 공공장소에 여러 개의 엘이디 디스플레이장치를 상하좌우로 서로 결합하여 대형화면을 만들어서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엘이디 디스플레이장치를 실외 또는 실내에서 사용할 때, 주위의 조명이나, 햇살의 반사광 또는 간섭광으로 인하여 엘이디 디스플레이장치의 명암비가 저하될 경우, 선명도가 떨어지고, 화질이 나빠져서 깨끗한 화면을 볼 수 없는 단점을 지닌다.
이 명암비(contrast ratio)는, 가장 어두울 때와 가장 밝을 때의 밝기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흑백의 비율이 클수록 좋은 제품이고, 명암비가 클수록 화면의 구분이 뚜렷하고 보다 정확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엘이디 디스플레이장치 명암비를 개선하기 위하여, 블랙 엘이디패키지의 경우 블랙 반투명 실리콘 레진(black semitransparence silicon resin)을 주입하여 명암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명암비를 약간 개선할 수는 있지만 대폭적으로 개선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이외에도 엘이디 디스플레이장치의 명암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시도를 하고 있지만, 획기적으로 달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다수의 발광소자에 씌워지는 명암비개선부를 구비하여 발광소자를 보호함은 물론 발광소자에서 발생되는 빛의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안착되고, 인쇄회로기판 상에 복수개의 발광소자가 배열되어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모듈과, 발광소자에 전측에 구비되어 발광소자를 보호하고,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의 명암비를 향상시키는 명암비개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명암비개선부는 발광소자와 대응되도록 상호 일정 간격 정렬되고,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명암비개선부는 발광소자에 씌워져 발광소자를 보호하는 보호캡 및 보호캡에 형성되어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의 명암비를 향상시키는 코팅부를 포함한다.
또한, 코팅부는 보호캡의 전면 또는 내면에 블랙도장층이 도포되고, 블랙도장층은 발광소자에서 조사되는 빛의 발광각도에 맞게 광투과부가 형성되는 일부가 제거되어 광투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투과부는 레이저마킹에 의해 블랙도장층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명암비개선부는 블랙카본이 함유된 투명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보호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명암비개선부의 전면에는 보호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명암비개선부는 발광모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부는 프레임에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전측으로 노출되며, 결속홈을 형성하는 고정돌기와, 고정돌기의 결속홈에 결속되도록 가장자리에 후크를 형성하고, 명암비개선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구 형성되는 고정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명암비개선부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고정틀의 내측면과 접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틀에는 차양막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방법은: 보호캡의 외면 또는 내면에 블랙도장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블랙도장층의 일부를 레이저마킹으로 제거하여 광투과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발광모듈의 발광소자가 보호되도록 보호캡을 씌우는 단계 및 보호캡이 발광모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광소자에 보호캡을 씌운 후에, 보호캡의 투명도를 유지하고, 블랙도장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은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실장된 다수의 발광소자가 명암비개선부에 의해 씌워짐으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방수되게 하여 설치장소의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의 명암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명암비개선부가 발광소자를 개별적으로 감싸고,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명암비개선부가 고정틀에 의해 고정됨으로, 그 결합이 용이하여 설치가 간편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틀에 차양막이 형성되어 햇빛 또는 다른 조명에 의해 명암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명암비개선부를 보인 도면,
도 5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명암비개선부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도 3의 A-A단면도,
도 7은 도 3의 B-B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명암비개선부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명암비개선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5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명암비개선부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A-A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B-B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크게, 프레임(110), 발광모듈(120) 및 명암비개선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10)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면, 발광모듈(120)이 안착되는 베이스프레임(112)과, 베이스프레임(112)의 후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발광모듈(120)에 신호 및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는 커버프레임(118)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프레임(112)의 후면에는 보스(114)가 형성되어 커버프레임(118)과 나사결합되며, 보스(114)의 길이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됨으로써, 제어부의 설치공간을 갖는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12)의 가장자리에는 발광모듈(120)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편(116)이 절곡 형성된다.
발광모듈(120)은 인쇄회로기판(121)과 인쇄회로기판(121)의 전면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발광소자(125)로 이루어진다.
즉, 베이스프레임(112)의 전면에는 인쇄회로기판(121)이 안착되는 것이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21)의 후면에는 외부신호를 연결하도록 커넥터(미도시)가 형성되고, 커넥터는 베이스프레임(112)을 관통하여 후측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125)는, 표면 실장형 엘이디, 기판 삽입형 엘이디 및 칩형 엘이디 중에 표면 실장형 엘이디를 적용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그리고, 발광소자(125)의 전측에는 발광소자(125)를 보호하고, 발광소자(125)에서 발광되는 빛의 명암비를 향상시키는 명암비개선부(130)가 구비된다.
명암비개선부(130)는 발광소자(125)와 대응되도록 상호 일정 간격 정렬되고, 연결부(134)에 의해 연결된다.
명암비개선부(13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125)에 씌워져 발광소자(125)를 보호하는 보호캡(132) 및 보호캡(132)에 형성되어 발광소자(125)에서 발광되는 빛의 명암비를 향상시키는 코팅부(140)를 포함한다.
보호캡(132)은 일측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발광소자(125)를 개별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보호캡(132)은 연결부(134)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보호캡(132)은 투명수지재로 이루어진다. 투명수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발광소자(125)에서 발광되는 빛은 투과되어 전측으로 조사된다.
코팅부(140)는 도 4 또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132)의 외면 또는 내면에 블랙도장층(142)이 도포되고, 블랙도장층(142)은 발광소자(125)에서 조사되는 빛의 발광각도(θ)에 맞게 일부가 제거되어 광투과부(144)가 형성된다.
광투과부(144)는 레이저마킹에 의해 블랙도장층(142)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보호캡(132)의 전면에는 보호코팅층(150)이 형성된다. 보호코팅층(150)은 보호캡(132)의 투명도를 유지하고, 블랙도장층(142)을 보호한다.
보호코팅층(150)은 UV코팅으로 이루어져 야외 사용시 햇빛에 의한 보호캡(132)의 변형 및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캡(132)은 발광모듈(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부(160)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부(160)는 프레임(110)에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21)을 관통하여 전측으로 노출되며, 결속홈(163)을 형성하는 고정돌기(162) 및 고정돌기(162)의 결속홈(163)에 결속되도록 가장자리에 후크(166)를 형성하고, 보호캡(132)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틀(1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인쇄회로기판(121)에는 고정돌기(162)가 전측으로 노출되도록 관통홀(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호캡(13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단턱부(136)가 형성되어, 고정틀(164)의 내측면에 접하여 가압된다.
따라서, 고정틀(164)의 고정에 의해 고정틀(164)의 내측면이 보호캡(132)의 단턱부(136)를 가압하여 보호캡(132)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틀(164)에는 차양막(168)이 돌출 형성된다. 차양막(168)은 고정틀(164)의 개구된 부위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햇빛이나 조명을 차단함으로써, 명암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의 명암비개선부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명암비개선부(230)는 블랙카본이 함유된 투명수지재의 보호캡(2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캡(232)은 투명수지재로 이루어짐으로 발광소자(125)에서 발광되는 빛은 투과되어 전측으로 조사되며, 블랙카본의 함유량에 따라 탁도는 조절 가능하다. 블랙카본이 함유됨에 따라 굴절률이 낮고 빛의 흡수 기능까지 발휘할 수 있어 낮은 반사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반사 색상이 무채색이므로 디스플레이 색상을 변질시키지 않으며, 외광의 흡수 효율이 뛰어나 명암비를 높일 수 있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방법은 보호캡(132)의 외면 또는 내면에 블랙도장층(142)을 형성하는 단계(S10)와, 블랙도장층(142)의 일부를 레이저마킹으로 제거하여 광투과부(144)를 형성하는 단계(S20)와, 발광모듈(120)의 발광소자(125)가 보호되도록 보호캡(132)을 씌우는 단계(S30) 및 보호캡(132)이 발광모듈(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또한, 발광소자(125)에 보호캡(132)을 씌운 후에, 보호캡(132)의 투명도를 유지하고, 블랙도장층(142)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코팅층(150)을 형성하는 단계(S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투명수지재로 이루어진 보호캡(132)의 외면 또는 내면에 블랙도장층(142)을 형성한다(S10).
도 4는 블랙도장층(142)이 보호캡(132)의 외면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블랙도장층(142)가 내면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호캡(132)에 블랙도장층(142)이 형성되면, 블랙도장층(142)의 일부를 레이저마킹으로 제거하여 광투과부(144)를 형성한다(S20).
광투과부(144)는 발광소자(125)의 형태에 따라 타원, 사각 등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한편, 발광모듈(120)은 프레임(110)에 안착된다. 베이스프레임(112)의 전면에 발광소자(125)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21)을 안착시킨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12)의 가장자리에는 인쇄회로기판(121)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편(116)이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12)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12)의 전면에는 고정돌기(162)가 돌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21)의 관통홀(122)에 끼워짐으로 인쇄회로기판(12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가 구비된 커버프레임(118)이 베이스프레임(112)의 후면에 결합된다.
베이스프레임(112)의 후면에는 보스(114)가 돌출 형성되어, 커버프레임(118)과 나사 결합되고, 보스(114)의 길이만큼 이격됨으로써, 제어부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12)의 후면으로 인쇄회로기판(121)의 커넥터가 노출됨으로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프레임(110) 전측에 형성된 발광모듈(120)에는 블랙도장층(142)과 광투과부(144)로 이루어진 코팅부(140)가 형성된 보호캡(132)이 커버링된다(S30).
보호캡(132)은 일측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발광소자(125)에 끼워짐으로, 발광소자(125)의 둘레는 커버된다.
또한, 보호캡(132)가 발광소자(125)에 씌워지면, 보호캡(132)의 투명도를 유지하고, 블랙도장층(142)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코팅층(150)을 형성하는 단계(S40)를 더 포함한다.
보호코팅층(150)은 UV코팅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보호캡(132)의 전면에 블랙도장층(142)이 형성될 경우, 블랙도장층(142)의 전면에 적층되어 외부의 긁힘으로부터 블랙도장층(142)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UV코팅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코팅층(150)에 의해 햇빛이나 조명에 의한 보호캡(132)의 변형 및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보호캡(132)을 발광모듈(120)의 발광소자(12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S50).
보호캡(132)을 고정하는 단계(S50)는 보호캡(132)이 일부 노출되도록 개구 형성된 고정틀(164)이 발광모듈(120)의 전측으로 노출되는 고정돌기(162)에 결속되어 보호캡(132)의 이탈을 방지한다.
고정틀(164)을 보호캡(120)에 결합시키게 되면, 보호캡(132)의 전면이 개구된 고정틀(164) 사이사이로 노출되게 되고, 고정틀(164)의 내측면이 보호캡(132)의 단턱부(136)를 가압한 상태로 후크(166)와 고정돌기(164)의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즉, 후크(166)의 끝단부가 고정돌기(162)의 결속홈(163)에 체결됨에 따라 고정틀(164)에 의해 보호캡(13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틀(164)의 개구된 부위의 상단부에는 각각 차양막(168)이 형성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야외 사용시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의 명암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한편, 도 9에서 도시된 제2실시예와 같이 명암비개선부(230)는 블랙카본이 함유된 보호캡(232)로 이루어져 명암비를 개선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발광소자를 명암비개선부에 의해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광소자에서 발생되는 빛의 명암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보호캡을 고정틀에 의해 간단히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콘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110 : 프레임
112 : 베이스프레임 114 : 보스
116 : 지지편 118 : 커버프레임
120 : 발광모듈 121 : 인쇄회로기판
122 : 관통홀 125 : 발광소자
130, 230 : 명암비개선부 132, 232 : 보호캡
134 : 연결부 136 : 단턱부
140 : 코팅부 142 : 블랙도장층
144 : 광투과부 150 : 보호코팅층
160 : 고정부 162 : 고정돌기
163 : 결속홈 164 : 고정틀
166 : 후크 168 : 차양막

Claims (13)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고, 인쇄회로기판 상에 복수개의 발광소자가 배열되어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모듈; 및
    상기 발광소자에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를 보호하고,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의 명암비를 향상시키는 명암비개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명암비개선부는 상기 발광소자에 씌워져 상기 발광소자를 보호하는 보호캡; 및
    상기 보호캡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의 명암비를 향상시키는 코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암비개선부는 상기 발광소자와 대응되도록 상호 일정 간격 정렬되고,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상기 보호캡의 전면 또는 내면에 블랙도장층이 도포되고;
    상기 블랙도장층은 상기 발광소자에서 조사되는 빛의 발광각도에 맞게 광투과부가 형성되는 일부가 제거되어 광투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레이저마킹에 의해 상기 블랙도장층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암비개선부는 블랙카본이 함유된 투명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보호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암비개선부의 전면에는 보호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암비개선부는 상기 발광모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전측으로 노출되며, 결속홈을 형성하는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의 결속홈에 결속되도록 가장자리에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명암비개선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구 형성되는 고정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명암비개선부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틀의 내측면과 접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에는 차양막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12. 보호캡의 외면 또는 내면에 블랙도장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블랙도장층의 일부를 레이저마킹으로 제거하여 광투과부를 형성하는 단계;
    발광모듈의 발광소자가 보호되도록 상기 보호캡을 씌우는 단계; 및
    상기 보호캡이 상기 발광모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에 상기 보호캡을 씌운 후에, 상기 보호캡의 투명도를 유지하고, 상기 블랙도장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10064052A 2011-06-29 2011-06-29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7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052A KR101237356B1 (ko) 2011-06-29 2011-06-29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052A KR101237356B1 (ko) 2011-06-29 2011-06-29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848A KR20130002848A (ko) 2013-01-08
KR101237356B1 true KR101237356B1 (ko) 2013-02-28

Family

ID=4783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052A KR101237356B1 (ko) 2011-06-29 2011-06-29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3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454A1 (ko) * 2020-09-04 2022-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865A (ko) * 2000-04-12 2001-11-07 존노아박 엘이디 패널
KR200329593Y1 (ko) * 2003-06-20 2003-10-10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050005688A (ko) * 2003-07-07 2005-01-14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865A (ko) * 2000-04-12 2001-11-07 존노아박 엘이디 패널
KR200329593Y1 (ko) * 2003-06-20 2003-10-10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050005688A (ko) * 2003-07-07 2005-01-14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848A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4196B (zh) 显示装置
US9052426B2 (en) Display module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7728365A (zh) 窄边框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5555445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311058B1 (ko) 표시 장치
KR10245130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203052434U (zh) 一种背光源模组及显示装置
CN103676408A (zh) 电子装置
CN107976841A (zh) 显示面板
US20140055976A1 (en) Display device
KR101237356B1 (ko)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40055975A1 (en) Display Device
KR20060065743A (ko) Led 전광판 및 그 제조 방법
CN209281807U (zh) 一种采用电致变色玻璃的led电子显示屏保护与调节装置
KR101237357B1 (ko) 컨트라스트 개선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205954A1 (zh) 背光模组、液晶显示模组以及液晶显示装置
KR101342543B1 (ko) 광학용 필름을 실장한 칩엘이디 렌즈형 전광판모듈
KR10252294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6846877B2 (ja) 表示ユニット装置及び表示装置
US20140055711A1 (en) Display device
CN214704236U (zh) 减少蓝边或暗边的背光模组及电子设备
CN205227061U (zh) 一种背光模组、显示模组及显示设备
KR20040019640A (ko) 발광다이오드 전광판
US20140055916A1 (en) Display Device
CN105431674B (zh) 光源装置和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