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852B1 - Cinerary urn be sealed - Google Patents

Cinerary urn be seal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852B1
KR101236852B1 KR1020110035091A KR20110035091A KR101236852B1 KR 101236852 B1 KR101236852 B1 KR 101236852B1 KR 1020110035091 A KR1020110035091 A KR 1020110035091A KR 20110035091 A KR20110035091 A KR 20110035091A KR 101236852 B1 KR101236852 B1 KR 101236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es
main body
inner cylinder
outer cylind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0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17370A (en
Inventor
강경옥
윤준식
Original Assignee
윤준식
강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준식, 강경옥 filed Critical 윤준식
Priority to KR1020110035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852B1/en
Publication of KR20120117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3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8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2Coffin closures; Packings therefor
    • A61G17/036Packings and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한 유골을 분골화 한 수에 압축 성형과정을 거쳐 보존성과 작업성을 증대시키고, 압축 성형된 유골은 이중 밀봉 구조의 내통에 안치된 후에 진공 배기와 필요에 따라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여 완전히 밀폐함으로써, 유골의 변질(산패, 부패, 곰팡이 번식 등) 방지에 만전을 기함은 물론, 외통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하고, 내통의 표면은 골드나 실버 색상을 갖도록 도금이나 코팅하여 도금층이 형성된 유골함은 투시창을 갖는 별도의 진열함에 내장 수납한 상태에서, 진열함의 하우징 바닥면에 구비된 조명수단을 점등하면 투시창을 통하여 진열함 내부가 잘 보이고, 또한 유골함 주변에는 광채가 서리고 내통은 빛나도록 하여 참배객의 고인에 대한 경건심과 경애심을 고취시켜 추모가 행해질 수 있도록 한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은 유골이 안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내통; 상기 내통이 안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외통; 상기 내통의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내부로 불활성기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통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내통의 투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shes, and more particularly, to increase the preservation and worka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compression molding to the powdered ashes into powdered water, and the compressed molded ashes are placed in the inner cylinder of the double sealing structure and evacuated. By injecting an inert gas and sealing it completely, if necessary, it ensures the prevention of deterioration (rot, decay, mold growth, etc.) of the ashes, and the outer cylinder i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is made of gold or silver color. The ashing box formed by plating or coating to have a plating layer is housed in a separate display box having a see-through window, and when the lighting mean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of the display box is turned on, the inside of the display box can be easily seen through the see-through window. The mourning can be done by making the brilliance shine and the inner barrel shine, inspiring the worshipers' godliness and respect for the deceased. It relates to a rock urn.
The ash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cylinder including a main body in which the ashes are placed and a cover covering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n outer cylinder including a body on which the inner cylinder is seated and a lid covering the opening of the body; Is coupled to the cover of the inner cylinder, the valve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body to the outside, injecting the inert gas into the inside; is made, including the outer cylind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apable of seeing the inner cylinder It is characterized by.

Figure R1020110035091
Figure R1020110035091

Description

산패 방지를 위한 밀폐구조를 갖는 유골함{Cinerary urn be sealed}Ashes with sealed structure to prevent rancidity {Cinerary urn be sealed}

본 발명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shes,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한 유골을 분골화 한 수에 압축 성형과정을 거쳐 보존성과 작업성을 증대시키고, 압축 성형된 유골은 이중 밀봉 구조의 내통에 안치된 후에 진공 배기와 필요에 따라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여 완전히 밀폐함으로써, 유골의 변질(산패, 부패, 곰팡이 번식 등) 방지에 만전을 기함은 물론,More specifically, the cosmetic ashes are granulated in water and compressed to increase preservation and workability. The compressed ashes are placed in an inner cylinder of a double seal structure, and then vacuum evacuation and inert gas are injected as necessary. By completely sealing it, making sure that the bones are not deteriorated (such as rancidity, rot, or mold growth).

외통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하고, 내통의 표면은 골드나 실버 색상을 갖도록 도금이나 코팅하여 도금층이 형성된 유골함은 투시창을 갖는 별도의 진열함에 내장 수납한 상태에서, 진열함의 하우징 바닥면에 구비된 조명수단을 점등하면 투시창을 통하여 진열함 내부가 잘 보이고, 또한 유골함 주변에는 광채가 서리고 내통은 빛나도록 하여 참배객의 고인에 대한 경건심과 경애심을 고취시켜 추모가 행해질 수 있도록 한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The outer cylinde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is plated or coated so as to have a gold or silver color, and the ashes formed with a plating layer are housed in a separate display box having a viewing window. When the light is turned on, the inside of the display box can be seen through the viewing window, and the glow is surrounded around the ashes, and the inner barrel is shining to inspire godliness and reverence for the deceased worshiper so that the mourning can be done.

납골당은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주거지여과 떨어진 지역에 설치될 수밖에 없었다. The ossuary was recognized as a loathing facility and had to be installed in a residential filtration district.

이러한 문제는 매장형태의 장례문화에 대한 인식이 급변하여 화장에 대한 반발감이 짧은 기간에 획기적으로 줄어든 것에 비하여, 새로운 추모 시설은 강렬한 민원 저항에 직면하여 건설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황과 맞물려 수요 공급의 큰 불균형을 일으키고 있다.
The problem is that while the perception of burial-style funeral cultures has changed dramatically, the repulsion for cremation has been drastically reduced in the short term. Causing a large imbalance.

납골함에 관련된 종래기술은 유골함에 안치된 유골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기술과, 가족과 친지 등으로 구성된 다수의 참배단이 방문 시에 제례의 편의성을 높이고 제례 분위기의 조성하는 기술을 위주로 발전하였다.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ossuary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sealing technology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ashes placed in the ashes, and the technique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ritual at the time of visits made up of family and relatives and creating the ritual atmosphere. .

예를 들어, 공개특허 제2003-0025097호 "가스를 봉입한 납골함 및 그 보관방법"과, 등록특허 제O0696970호 "납골 처리방법" 등은 유골함에서 공기를 배출시키고 불활성 기체를 주입한 후에 유골함의 틈새를 시일링부재로 밀봉하여, 유골의 변질을 방지하고 있고,
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25097 "Gas-filled ossuary and its storage method", and Patent No. 00696970 "Caltenoid processing method" and the like are discharged from the ashes and the inert gas is injected after the ashes of the ashes. The gap is sealed with a sealing memb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ashes,

공개특허 제2001-0064660호 "사이버 영상 시스템 및 전자동 수납 시스템이 설치된 납골당"과, 공개특허 제2001-00742909호 "납골당을 겸한 입체영상 추모관" 등은 고인의 유골함이 납골함에서 인출되어 별도의 추모장소로 간편하게 옮겨지고, 추모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 통해 고인의 영정, 생전의 모습과 육성, 회고록 등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엄숙하면서도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에서 참배객들이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0007]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1-0064660 "Cyrus Immobilization System with Cyber Imaging System and Fully Automatic Receiving System", and Patent Publication No. 2001-00742909 "Three-dimensional image memorial service which combines with ossuary", etc. It is easy to move to the place, and the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place of memorial, so that you can watch the life of the deceased, the life and development of the deceased, memoirs, etc., so that worshipers can commemorate the deceased in a solemn, comfortable and comfortable atmosphere.

납골당은 고인의 기일이나 생일 등과 같은 특별한 날에 참배객들이 단체로 방문하여 고인을 기리는 추모행사를 하기도 하지만, The Ossuary is a tribute to the deceased by visiting worshipers in groups on special days such as the date of the deceased or the birthday.

개인적으로 불현듯 고인이 생각나고 그리울 때는 개인이 또는 소수의 참배객이 방문하여 특별한 추모행사 없이 고인의 납골함 앞에서 유골이 안치된 유골함을 보면서 고인을 생각하며 명복을 빈다.
When you think and miss the deceased personally and personally, a person or a small number of worshipers visit and think about the deceased by looking at the deceased in front of the deceased's ossuary without special mourning.

이처럼 납골당을 방문은 고인의 추모행사를 위한 경우도 있고, 특별한 추모행사 없이 고인이 생각나서 방문하는 경우도 있는데, 종래기술에서는 고인의 추모행사에 관련한 편의성이나 분위기 고취에만 집중을 하고 있고, 고인을 위한 단순 방문은 등한시하고 있다.
As such, the visit to the Ossuary is for a memorial event of the deceased, or the deceased may be visited without a special memorial event. In the prior art, only the convenience and atmosphere related to the memorial service of the deceased are concentrated. Simple visits are neglected.

다시 말해, 납골당 내에서 설치되는 납골함은 유골이 안치되는 유골함과, 유골함이 수납되고 납골당 내에서 적재되어 진열되는 진열함으로 구성된다. In other words, the ossuary installed in the ossuary is composed of an ossuary where the ashes are placed, and a display box where the ossuaries are stored and loaded in the ossuary.

그리고 납골당을 방문한 참배객은 고인의 유골이 안치되어 있는 유골함을 보면서 고인을 기리게 되는데, 종래기술에서는 대부분이 진열함 내부를 직접 조명하는 조명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납골당 내에 설치된 조명수단을 통해 간접적으로 조명을 하고 있어 유골함이 불선명하게 보이고, And worshipers who visited the ossuary are honoring the deceased while seeing the remains of the deceased's remains. I'm lighting, so the ashes look unclear,

참배객이 고인을 기림에 있어서 고인에 대한 경건심과 경애심을 고취시킴으로써, 고인을 기리는 과정과 방문 후 돌아가면서 납골당 방문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필요가 있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진열함 내부나 외부에서 고인의 영정이나 생전 모습의 사진이나 영상을 단순히 보여줄 뿐이다. 고인의 사진이나 영상은 고인에 대한 기억이 떠오르게는 하지만 고인에 대한 경건심이나 경애심을 유발하기에는 약하다. 고인에 대한 경건심이나 경애심은 고인의 유골이 직접 안치되어 있는 유골함에서 강력하게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유골함을 통해 경건심이나 경애심을 유발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할 것인데,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By worshiping the deceased, the worshipers need to inspire godliness and respect for the deceased, thus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the deceased's visit to the process of honoring the deceased and returning after the visit. Just show a picture or video of your life. The photograph or video of the deceased reminds me of the memory of the deceased, but it is weak enough to cause reverence or love for the deceased. Reverence or love for the deceased can be strongly induced in the remains of the deceas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means that can induce piety or loveliness through ashes, but the prior art does not have such means.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불현듯 고인이 생각나 방문한 참배객이 납골함 앞에서 고인을 기림에 있어서, 고인의 유골이 직접 안치되어 있는 유골함의 내통이 투시되어 보일 수 있도록 하여 고인을 생각하는 애틋한 마음이 유발되도록 하고, 유골함의 하부에는 조명수단을 배치하여 진열함 내에 수납된 유골함이 잘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조명수단이 발하는 조명광이 투명한 유골함의 외통으로 조사되어 외통 주변에 광채가 서리고, 금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는 내통은 조사되는 조명광에 의해 빛나도록 함으로써 고인에 경건심과 경애심이 고취되도록 함으로써, 불현듯 고인이 생각나 납골당에 방문한 참배객이 납골당 방문에 충분한 만족감을 얻고 돌아갈 수 있도록 한 유골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deceased thoughtless visitor visits the deceased in front of the ossuary, so that the ashes of the deceased are directly placed in the remains of the deceased. In order to induce a tender feeling of thinking about the deceased, the lighting means is placed at the bottom of the ashes so that the ashes stored in the display box can be seen well, and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by the lighting means is irradiated by the outer shell of the transparent ashes. The inner barrel, with its brilliance and gold-plated layer, is illuminated by the illuminated illumination light to inspire godliness and respect for the deceased, and the worshipers who visited the ossuary can be fully satisfied with their visit to the ossuary. It is aimed at providing the ashes to be made.

또한, 본 발명은 유골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통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는 과정이나 주입한 후에, 본체 내부 기체의 팽창 압력에 의해 커버가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조명수단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의 서지나 과전압을 차단하는 과전압 차단기를 구비하여 서지나 과전압에 의해 파워서플라이와 LED모듈이 손상을 방지하는 유골함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cover by the expansion pressure of the gas inside the main body after the process or injecting an inert gas into the inner cylinder in order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ashes, the lighting means is a commercial AC input from the outside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ash box for preventing a power supply and an LED module from being damaged by a surge or an overvoltage by providing an overvoltage circuit breaker that blocks a surge or an overvoltage of a power sourc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패 방지를 위한 밀폐구조를 갖는 유골함은Ashes having a sealed structure for preventing rancid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유골이 안치되는 본체와, The body where the remains are placed,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내통;
An inner cylinder including a cover covering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상기 내통이 안착되는 몸체와, A body on which the inner cylinder is seated;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외통;
An outer cylinder including a lid covering an opening of the body;

상기 내통의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내부로 불활성기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Is coupled to the cover of the inner cylinder, the valve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body to the outside, injecting inert gas into the inside;

상기 외통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내통의 투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uter cylinde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spective of the inner cylinder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유골은 And the ashes are

손상 방지를 위해 상기 본체의 외면을 완충부재로 감싼 상태로 본체를 금형에 투입한 후에 분골 형태의 유골이 안치되어 있는 본체 내부를 프레스로 압착하여 압축 성형되고, In order to prevent damage, the main body is put into a mold while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wrapped with a cushioning member, and the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where the ashes in the form of powder are placed is compressed and pressed into a press.

상기 본체에 압축 성형되어 안치된 후에는 본체와 커버의 틈새가 실링부재로 실링되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After the compression molded and placed in the main body, the gap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is sealed with a seal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상기 내통의 표면에는 골드나 실버 색상의 도금층이 형성되고Gold or silver plated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상기 외통의 하부에는 조명수단이 구비되어,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is provided with lighting means,

상기 조명수단의 조명시에, 상기 외통은 입사되는 조명광에 의해 주변에 광채가 서리고, 상기 내통은 입사되는 조명광을 반사시켜 빛나도록 함으로써, 고인에 대한 추모의 마음을 고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In the illumination of the luminaire, the outer cylinder is radiant to the surroundings by the incident illumination light, and the inner cylinder reflects the incident illumination light to shine, thereby inspiring the feeling of remembrance for the deceased,

상기 조명수단은 The lighting means

빛을 발하는 LED와, 상기 LED가 실장되는 PCB를 포함하는 LED모듈과, An LED module including an LED emitting light and a PCB on which the LED is mounted;

상기 LED모듈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외통이 얹혀지는 투명판과, A transparent plate disposed on the LED module and mounted on the outer cylinder;

상기 LED모듈을 내장하고, 상기 투명판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지지체와, A support having a built-in LED module and supporting the transparent plate thereon;

외부에서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LED모듈에 공급하는 파워서플라이와, A power supply for converting commercial AC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into driving power and supplying it to the LED module;

상기 파워서플라이의 입력측에 연결되고, 입력되는 상용전원에 서지 및 과전압을 차단하여 보호하는 과전압 차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onnected to the input side of the power suppl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ver-voltage circuit breaker to protect the surge and over voltage to the commercial power input.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은 유골이 화장후 분골과 압축 성형과정을 거쳐 보존성이 증대되고, 또한 진공 포장을 통한 1차 밀봉되고, 내통 내부의 진공(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불활성기체 주입) 배기 후 실링부재를 통한 2차 밀봉되어, 유골이 부패, 산패, 곰팡이 번식 등으로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sh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are the preservation of bone ashes after the cremation and compression molding process after the cremation is increased, and also the primary seal through the vacuum packaging, the vacuum inside the inner cylinder (addition of inert gas if necessary) Secondary sealing through the sealing member after the exhaus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nes from deterioration due to decay, rancidence, mold growth, and the like.

그리고 유골이 직접 안치되어 있는 내통이 투시되어 보이고, 조명수단이 투명한 유골함의 외통을 조명하여 유골함 주변에 광채가 서리고, 내통은 표면의 도금층에서 반사하는 광에 의해 빛나도록 함으로써, 유골이 안치되어 있는 유골함을 바라보는 참배객에게 고인에 대한 애틋한 마음과 견건심과 경애심을 유발 고취되어 고인을 기리고, 납골당 방문에 충분한 만족을 얻을 수 있다.
And the inner cylinder where the ashes are directly placed is visible, and the lighting means illuminates the outer cylinder of the transparent ashes, causing the glow to shine around the ashes, and allowing the inner cylinders to shine by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plating layer on the surface. The worshipers who see the remains of the remains can be inspired by a feeling of tenderness, solidarity, and love for the deceased, and can be fully satisfied with the visit to the ossuary.

그리고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통해 커버가 본체에 견고하게 결함됨으로써, 주된 불활성 기체의 팽창 압력에 의해 커버가 본체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본체와 커버의 틈새를 매우는 실링부재의 밀봉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유골의 변질을 보다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ver is firmly def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locking groove and the engaging protrusion, thereby preventing the cov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by the expansion pressure of the main inert gas, and also the sealing force of the sealing member which fills the gap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is reduced. By preventing the weakening can be more surely prevented degeneration of the bones.

또한, 조명수단은 과전압 차단기를 통해 상용 교류전원의 서지나 과전압으로부터 보호되어 손상이나 화재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ghting means is protected from surges or overvoltages of commercial AC power through an overvoltage breaker to prevent damage or fire risk.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합이 진열함에 수납되어 있는 납골함의 사시도.
도 2 는 도1에 도시된 납골함의 단면도.
도 3 은 도1에 도시된 납골함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이 진열함에 수납되어 있는 납골함이 납골당에 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수단의 블럭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전압 차단기의 회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ssuary box in which the ash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re stored in a display box.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ssuary shown i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ssuary shown in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ssuary installed in the ossuary of the ossuary is stored in the display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diagram of an overvoltage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과, 유골함이 수납되는 진열함과, 유골함을 조명하는 조명수단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ash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box in which the ashes are accommodated, and the lighting means for illuminating the ashes.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은 유골함(A), 진열함(D), 조명수단(L)이라는 대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ossu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large components such as ashes (A), display boxes (D), and lighting means (L).

상기 유골함(A)은 고인의 유골이 안치되는 함체로서, 내통(10)과 외통(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ash box (A) is a housing in which the remains of the deceased are placed, and includes an inner cylinder 10 and an outer cylinder 20.

상기 내통(10)은 유골이 안치되는 안치부(11a)를 갖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커버(13)와, 상기 커버(13)에 장착되어 본체(11)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진공 상태로 만듬과 동시에 내부에 질소나 헬륨과 같은 불활성 기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inner cylinder 10 includes a main body 11 having a settled portion 11a in which ashes are placed, a cover 13 covering an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11, and a main body 11 mounted on the cover 13. ) And a valve 15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and injecting an inert gas such as nitrogen or helium into the vacuum.

상기 본체(11)는 금속, 도자기,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치수 안정성이 뛰어나고, 소화성과 내산성을 가지고, 내후성과 내충격성이 강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변형이 적고, 내부에 채워진 불활성 기체에 강하도록 하였다. The main body 11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porcelain, synthetic resin,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mensional stability is excellent, and it has a high digestibility and acid resistance, and deforms using polycarbonate synthetic resin having strong weather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It was made to be strong with little inert gas filled inside.

상기 본체(11)의 표면은 금도금(11b)을 하여 투명한 외통(20)을 통해 투시되는 내통(10)의 고급스러움과 신비감을 높이고, 고인에 대한 경건심과 경애심의 보다 고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1 is gold-plated (11b) to increase the luxury and mystery of the inner cylinder 10 through the transparent outer cylinder 20, it is preferable to inspire more godliness and love for the deceased Can be.

상기 본체(11)의 상단 개부구 내면에는 상기 커버(13)가 걸려 안착되는 단턱(1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턱(11c)은 상기 커버(13)와 본체(11) 간의 틈새를 좁히고, 틈새 경로를 꺽어 외부 공기가 본체(1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11, a step 11c is formed on which the cover 13 is caught. The step 11c narrows the gap between the cover 13 and the main body 11 and breaks the gap path to prevent the outside air from flowing into the main body 11.

그리고 상기 커버(13)와 본체(11) 간의 결합 틈새에는 에폭시나 실리콘 등의 실링부재(17)가 발사되어 밀봉함으로써, 틈새를 통해 외부 공기가 본체(11) 안치부(11a)로 유입되거나 내부의 불활성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In addition, a sealing member 17 such as epoxy or silicone is fired and sealed in the coupling gap between the cover 13 and the main body 11 so that outside air flows into the main body 11 and the inner part 11a through the gap or is inside. Block outflow of inert gas to the outside.

상기 커버(13)는 상기 본체(11)의 상부 단턱(11c)에 안착 지지되어 본체(11)의 개구부를 덮는다. The cover 13 is seated and supported by the upper step 11c of the main body 11 to cover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1.

상기 커버(13)에는 밸브(15)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삽입홀(13a)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상기 삽입홀(13a) 주변에 상기 밸브(15)의 상부확장부(15a)가 밀착되어 안착되는 오목홈(13b)이 형성되어 있다.
The cover 13 has an insertion hole 13a through which the valve 15 is inserted and mounted, and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valve 1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ertion hole 13a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recessed groove 13b is formed to be seated.

그리고 커버(13)의 하부면 가장자리에는 걸림돌기(13d) 다수가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1)의 내면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걸림홈(11d)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13d are radially arranged and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edge of the cover 13, and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11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그리하여 상기 커버(13)를 상기 본체(11)의 개구부로 삽입시키면 상기 걸림돌기(13d)가 상기 걸림홈(11d)에 후크식으로 걸려 상기 커버(13)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고, 특히 본체(11)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할 때 주입된 기체의 압력에 의해 커버(13)가 분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Thus, when the cover 13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1, the locking projection 13d is hooked to the locking groove 11d to prevent separation and detachment of the cover 13, in particular, the main body ( When the inert gas is injected into 11), the cover 13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and separated by the pressure of the injected gas.

상기 커버(13)의 삽입홀(13a)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상기 밸브(15)는 연질의 탄성을 갖는 엘라스토머 재질을 갖고, 커버(13)의 내면에 접촉되어 걸리는 하부확장부(15b)와, 커버(13)의 외면에 접촉되어 걸리는 상부확장부(15a)와, 상기 하부확장부(15b)와 상부확장부(15a)를 연결하고 상기 삽입홀(13a)에 삽입 관통되는 관통부(15c)와, 상기 상부확장부(15a)에서 하부확장부(15b)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공기의 배출 또는 불활성기체의 주입을 위한 노즐이 삽입되는 삽입부(15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valve 15 inserted into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a of the cover 13 has an elastomeric material having a soft elasticity, and has a lower extension part 15b that is caught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13; An upper extension part 15a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13 and a through part 15c connecting the lower extension part 15b and the upper extension part 15a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a. And an insertion part 15d formed through the lower extension part 15b in the upper extension part 15a and into which a nozzle for discharging internal air or injecting an inert gas is inserted therein.

상기 삽입부(15d)는 선절개 방식으로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절개된 양측면이 밀착되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노즐이 삽입되면 노즐의 외면을 밀착하면서 벌어져 노즐의 삽입을 허용하면서 노즐과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공기의 유출입을 차단한다. The insertion part 15d is formed by a pre-dissection method so that both sides of the incision are normally kep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nozzle is inserted, the gap between the nozzle and the nozzle is opened while allowing the nozzle to be inserted in close contact. Block outflow and inflow of air by preventing generation.

상기 밸브(15)는 도면과 같이 커버(13)에 하나만 장착될 수도 있으나, 공기의 배출용과 불활성 기체의 주입용을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Only one valve 15 may be mounted to the cover 13 as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be provided separately for discharging air and injecting inert gas.

그리고 상기 밸브(15)와 커버(13)와의 결합 틈새와 노즐이 삽입되는 삽입부(15d)에는 에폭시나 실리콘 등의 실링부재가 발사되어 밀봉함으로써, 틈새를 통해 외부 공기가 본체(11) 안치부(11a)로 유입되거나 내부의 불활성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In addition, a sealing member such as epoxy or silicon is fired and sealed in the inserting portion 15d into which the coupling gap between the valve 15 and the cover 13 and the nozzle are inserted, so that the outside air is placed through the gap. Block 11 flow into or out of the inert gas inside.

참고로, 상기 내통(10) 본체(11)에 안치되는 유골은 화장, 분골, 압축성형의 과정을 거쳐 안치된다. For reference, the ashes placed in the inner cylinder 10 main body 11 is placed through the process of makeup, powder, compression molding.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화장 후 가루형태로 분골된 유골을 상기 본체(11)에 넣고, 상기 본체(11)를 금형(미도시)에 투입한 후에 프레스(미도시) 본체의 내부 안치부를 압착하여 분골된 유골을 압축 성형한다. 그리하여 본체(11)에 안치된 유골의 부피를 줄이고, 유골의 보존성을 증대시킨다. In more detail, after putting the ashes powdered in the form of powder into the main body 11 and putting the main body 11 into a mold (not shown), after pressing the inner settled portion of the press (not shown) main body By compression molding the powdered ashes. Thus, the volume of the ashes placed in the main body 11 is reduced, and the preservation of the ashes is increased.

이때, 상기 금형은 프레스로 압착 하는 과정에서 본체 외면을 지지하여 본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 외면과 금형의 내면 사이에는 압착하는 과정에서 본체 외면이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직물 등과 같은 완충부재를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부재는 상기 본체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금층의 손상도 방지한다.
At this time, the mold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process of pressing with a press to prevent the main body from being damaged, and between the main body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through the buffer member such as fabric so as not to damage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process of pressing. It is preferable to make it. The buffer member also prevents damage to the plat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압축 성형으로 유골이 본체(11)에 안치된 후에는 본체(11)에 커버(13)를 덮은 후에, 틈새를 실링부재(17)로 밀봉하고, 밸브(15)를 통해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진공 상태로 만들어 유골의 변질을 방지한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킨 후에 본체(11) 안치부(11a)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여 유골의 변질(부패, 산폐, 곰팡이 번식 등)를 보다 안정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  After the ashes are placed in the main body 11 by compression molding, the cover 13 is covered with the main body 11, and then the gap is sealed with a sealing member 17, and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is sealed through the valve 15. To evacuate to a vacuum to prevent degeneration of the ashes. And if necessary, after exhausting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11 injecting an inert gas into the settled portion (11a)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ashes (corruption, acidification, mold breeding, etc.).

상기 외통(20)은 상기 내통(10)이 안착되는 안착부(21a)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outer cylinder 20 includes a body 21 in which a seating portion 21a on which the inner cylinder 10 is mounted is formed, and a lid 23 covering an opening of the body 21.

상기 외통(20)은 하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입사되고 투광되어 주변에 광채가 서리도록 하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된다. 본 발명은 외통(20)의 투명한 재질로 크리스탈을 사용한다. The outer cylinder 2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allow light radiated from the bottom to be incident and transmitted to frost the surroundings.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rystal as a transparent material of the outer cylinder (20).

그리고 외통(20)의 몸체(21)와 뚜껑(23)에는 고인 또는 참배객의 종교나 신앙 등에 관련된 상징물(25)을 부착하거나 인쇄하여 고인을 추모하는 마음이 참배객에게 한층 고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21 and the lid 23 of the outer cylinder 20 may be preferably attached or printed with symbols 25 related to the religion or faith of the deceased or worshipers so that the heart of the deceased may be further inspired by the worshipers. have.

상기 뚜껑(23)의 하부면에는 상기 몸체(21)의 상부 개구부에 삽입되어 안착부(21a) 내면에 접촉되는 돌출부(2a)가 형성되어, 뚜껑(23)이 흔들림 없이 제 위치에서 몸체(21)에 결합되도록 한다.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3 is formed with a protrusion 2a inserted into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21 an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21a, so that the lid 23 is in place without shaking. )

상기 진열함(D)은 상기 유골함(A)이 수납되는 함체로서, 하우징(30)과, 탈착캡(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display box (D) is a housing in which the ashes (A) are accommodated, and includes a housing (30) and a detachable cap (40).

상기 하우징(30)은 상기 유골함(A)이 수납되는 수납부(31)를 갖고, 다른 하우징(30)과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접촉되면서 적재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housing 30 has an accommodating portion 31 in which the ashes A are accommodated, and is formed in a gener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o that the housing 30 can be stacked and coupled with the other housing 30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상기 하우징(30)은 전방이 개방되어 있고, 후면판(32)에는 납골당 벽체에 하우징(30)을 고정시키는 고정핀이 삽입되는 고정홀(32a)이 천공되어 있다. The front of the housing 30 is open, the back plate 32 is perforated with a fixing hole (32a)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for fixing the housing 30 to the wall per ossuary.

상기 하우징(30)은 일정 두께를 갖도록 내면판(33)과 외면판(34)으로 이루어지고, 내면판(33)과 외면판(34)은 다수의 보강판(35)으로 연결되어 보강 지지된다. The housing 30 is composed of an inner plate 33 and an outer plate 34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inner plate 33 and the outer plate 34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35 to be reinforced and supported. .

상기 하우징(30)의 내부 바닥면(즉, 내면판(33))에는 상기조명수단(L)이 안착되어 장착되는 장착홈(36)이 형성되고, 전방 외면(즉, 외면판(34))에는 삽입결합되는 상기 탈착캡(40)이 돌출되지 않도록 단차진 단차부(34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면판(33)과 외면판(34)이 연결되는 전면에는 상기 탈착캡(40) 후방에 구비되는 보강살(43c)이 삽입 수용되는 수용홈(34b)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An inner bottom surface (ie, inner plate 33) of the housing 3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36 on which the lighting means L is seated and mounted, and a front outer surface (ie, outer plate 34). Stepped portion 34a is formed so that the detachable cap 40 to be inserted is not protruded, and the rear surface of the detachable cap 40 is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to which the inner surface plate 33 and the outer surface plate 34 are connected.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34b into which the reinforcing teeth 43c provided in the insert are accommodated are formed.

상기 하우징(30)의 외부 상부면에는 좌우에 적재돌기(37)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외부 하부면에는 좌우에 다른 하우징(30)의 상기 적재돌기(37)에 삽입되는 적재홈(38)이 형성되어 있다. The loading protrusions 37 protrud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0, and the loading grooves 38 inserted into the loading protrusions 37 of the other housing 3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lower surface thereof. Formed.

그리고 상기 적재홈(38)은 전후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적재돌기(37)가 어느 적재홈(38)에 삽입 결합되는지에 따라 상하로 배치되는 두 하우징(30)은 서로 일치하여 적재되거나, 일정한 길이만큼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 적재될 수 있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stacking grooves 38 are formed in a pluralit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two housings 30 arranged up and down according to which stacking grooves 38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each other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t can be stacked, or can be stacked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y a certain length.

그리하여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어셈블리의 진열함들(D)은 서로 적재됨에 있어서, 적재돌기와 적재홈을 통해 서로 전후방향으로 어긋나 적재가 가능하여, Thus, as shown in Figure 4, the display boxes (D) of the cryp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on each other, the stacking protrusions and the loading grooves can be shifted back and forth with each other,

일면에 적재된 진열함(D)들은 어느 것은 나오고 어느 것은 들어가, 전체적으로 특정한 상징물을 입체적으로 표현을 할 수 있다. The display boxes (D) loaded on one side of which one comes out and which one enters, can express a specific symbol in three dimensions as a whole.

도면에서는 일면에 적재된 진열함(D)들 중에서 후방으로 들어가 있는 진열함들이 십자가를 표현하고 있다.
In the drawing, the display boxes entering the rear of the display boxes (D) loaded on one surface represent a cross.

상기 하우징(30)의 전면 상하의 좌우에는 마그넷(또는 금속)(39)이 구비되고, 상기 탈착캡(40) 후방에는 상기 마그넷(39)과 자속결합되는 대응마그넷(또는 금속)(49)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넷(39)과 대응마그넷(49)은 자속결합될 뿐만 아니라 암수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마그넷(39)은 오목홈 형상을 하고 대응마그넷(49)은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는 볼록돌기 형상을 한다.
Magnets (or metals) 39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30, and corresponding magnets (or metals) 49 ar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magnets 39 at the rear of the detachable cap 40. do. The magnet 39 and the corresponding magnet 49 are not only magnetically coupled but also coupled in a male and female coupling mann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and the magnet 39 has a concave groove shape, and the corresponding magnet 49 is formed in the concave groove. The convex protrusion is inserted.

상기 탈착캡(40)은 상기 하우징(30)의 전방 개구부를 간편하게 탈착 가능하게 덮는다. The detachable cap 40 covers the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30 in a detachable manner.

상기 탈착캡(40)은 상기 하우징(30)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있도록 하는 투시창(41)과, 상기 투시창(41)의 테두리를 감싸고 상기 하우징(30)의 전방에 결합되는 홀더(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detachable cap 40 has a see-through window 41 for viewing and see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30, and a holder 43 surrounding the edge of the see-through window 41 and coupled to the front of the housing 30. It is made to include.

상기 홀더(43)는 상기 하우징(30)의 전방 테두리 내외면을 덮도록 내면부(43a)와 외면부(43b)로 구성되고, 상기 내면부(43a)와 외면부(43b)는 보강살(43c)들로 연결되어 보강 지지된다. The holder 43 is composed of an inner surface portion 43a and an outer surface portion 43b so as to cover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front edge of the housing 30,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43a and the outer surface portion 43b are reinforcement bars ( 43c) to be reinforced and supported.

상기 홀더(43)의 외면 하부에는 누름부(81)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상기 누름부(81)의 눌러짐을 감지하는 센서(83)가 장착된다. 상기 누름부(81)와 센서(83)는 상기 조명수단(L)의 버튼(80)을 구성한다. 상기 센서(83)는 상기 누름부(81)의 가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나, 누름부(81)의 손가락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일 수 있다. A pressing part 81 is provided below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er 43, and a sensor 83 that detects pressing of the pressing part 81 is mounted inside. The pressing part 81 and the sensor 83 constitute a button 80 of the lighting means (L). The sensor 83 may be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art 81 or a touch sensor for detecting a finger touch of the pressing part 81.

상기 투시창(41)을 브라켓(45)을 통해 상기 홀더(43)의 후방에 결합된다. The see-through window 41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holder 43 through the bracket 45.

상기 브라켓(45)은 상기 투시창(41)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45a)와, 상기 지지부(45a) 단부에서 전방으로 수직 연결되어 투시창(41)의 상부면을 지나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부(45b)와, 상기 연결부(45b) 단부에서 상부로 수직연결된 수직부(45c)와, 상기 연결부(45b) 양측에서 상기 투시창(41)의 전면에서 상부로 수직 연결되는 체결부(45d)로 구성된다. The bracket 45 is a support part 45a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see-through window 41 and a connecting part 45b vertically connected forward from the end of the support part 45a to protrude forwar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ee-through window 41. ), A vertical portion 45c vertically connected upward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45b, and a fastening portion 45d vertically connected up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viewing window 41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45b.

그리고 상기 체결부(45d)에는 체결홀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홀더(43)의 후방에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한 볼트가 삽입되어 투시창(41)을 홀더(43)에 결합시키는 보스(43d)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fastening hole is drilled in the fastening part 45d, and a boss 43d for inserting a bolt penetrating the fastening hole into the rear of the holder 43 to couple the viewing window 41 to the holder 43 is provided. Formed.

그리고 상기 브라켓(45)의 수직부(45c) 후면에는 상기 하우징(30)의 마그넷(39)에 자속결합되는 대응자석(또는 금속)(49)이 결합되어 있다. And the corresponding magnet (or metal) 49 which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magnet 39 of the housing 3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portion (45c) of the bracket (45).

상기 조명수단(L)은 상기 하우징(30)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유골함(A)을 하부에서 조명한다. The lighting means (L)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0, and illuminates the ash box (A) from the bottom.

상기 조명수단(L)은 도3 및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체(70), LED모듈(50), 투명판(60), 버튼(80), 파워서플라이(110), 과전압 차단기(200), 스위치(100), 타이머(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lighting means (L) is shown in Figures 3 and 5, the support 70, the LED module 50, the transparent plate 60, the button 80, the power supply 110, the overvoltage breaker 200, It comprises a switch 100, a timer 90.

상기 지지체(70)는 상기 하우징(30)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홈(36)에 안착되어 장착된다. The support 70 is mounted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36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0.

상기 LED모듈(50)은 발광하는 LED(53)와, 상기 LED(53)가 실장되는 PCB(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체(70)에 내장된다. The LED module 50 includes a light emitting LED 53 and a PCB 51 on which the LED 53 is mounted, and is embedded in the support 70.

상기 투명판(60)은 상기 지지체(70)의 상부에 얹혀져 개구부를 덮고, 상기 LED(53)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유골함(A)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The transparent plate 6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70 to cover the opening, an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ED 53 can be transmitted to the ashes A.

상기 버튼(80)은 상기 진열함(D)의 탈착캡(40) 외면에 구비된다. 상기 버튼(80)은 상기 탈착캡(40) 외면에 구비되는 누름부(81)와, 상기 하우징(30)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누름부의 누름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83)로 구성된다. The button 8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tachable cap 40 of the display box (D). The button 80 is composed of a pressing portion 8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tachable cap 40 and a sensor 83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30 to sense whether the pressing portion is pressed.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LED모듈(50)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온오프하여 LED(53)를 점소등 시킨다.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버튼(80)이 눌려지면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LED(53)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고, LED의 점등상태가 일정 시간(예; 10분) 이상 지속되어 상기 타이머(90)가 작동하면 오프되어 상기 LED를 소등시킨다. The switch 100 turns on and off the power line connected to the LED module 50 to turn on the LED 53. The switch 100 is turned on or off when the button 80 is pressed to turn on or turn off the LED 53, and the lighting state of the LED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minutes) so that the timer 90 When off, it turns off to turn off the LED.

상기 파워서플라이(11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원라인을 통해 상기 LED모듈(50)에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110 converts commercial AC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into driving power and supplies the power to the LED module 50 through a power line.

상기 과전압 차단기(200)는 상기 파워서플라이(110)의 입력측에 연결되고,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에 서지나 과전압이 포함되어 있는 때에 이를 차단하여 파워서플라이(110)와 LED모듈(50)의 손상을 방지한다. The overvoltage circuit breaker 200 is connected to the input side of the power supply 110, and when the surge or overvoltage is included in the input commercial AC power supply, the overvoltage circuit breaker 200 damages the power supply 110 and the LED module 50. prevent.

상기 파워서플라이(110)와 과전압 차단기(200)는 각 납골함의 상기 지지체(70)에 내장될 수도 있지만, 외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납골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The power supply 110 and the overvoltage breaker 200 may be embedded in the support 70 of each crypt, but may be provided outsi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rypts to supply power.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과전압 차단기(200)는 As shown in Figure 6, the overvoltage breaker 200

입력 상용 교류전원의 서지를 흡수 차단하는 서지차단부(210)와, A surge blocking unit 210 for absorbing and blocking a surge of an input commercial AC power source,

상기 서지차단부를 통과한 상용 교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제거부(220)와, A noise removing unit 220 for removing noise of commercial AC power passing through the surge blocking unit;

출력단에 구비되며, 온오프 스위칭동작으로 상기 노이즈제거부를 통과한 상용 교류전원을 상기 파워서플라이(110)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부(230)와, A switching unit 230 provided at an output terminal and supplying or blocking commercial AC power passing through the noise removing unit to the power supply 110 by an on / off switching operation;

상기 노이즈제거부에서 출력되는 교류전원의 세기를 감지하는 감지부(240)와, A detection unit 240 for detecting the strength of the AC power output from the noise removing unit;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 스위칭동작을 제어하여 과전압을 차단하는 제어부(250)와,A control unit 250 which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and controls an on / off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to cut off the overvoltage;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파워서플라이(60)에서 역으로 유입되는 역기전력을 차단하는 역기전력차단부(270)와,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blocking unit 270 for blocking back electromotive force introduced into the power supply 60 through the switching unit;

상기 노이즈제거부의 출력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기동전원을 공급하는 기동전원공급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a starting power supply unit 260 for rectifying and smoothing the output AC power of the noise removing unit to supply the starting power to the switching unit.

상기 서지차단부(210)는 입력단에 병렬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직렬 연결되어 있는 바리스터(MOV1)와 어레스터(A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urge blocking unit 210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input terminal, and comprises a varistor (MOV1) and the arrester (A1)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서지차단부(210)의 입력측에는 상용 교류전원으로 과전류가 인가되는 때에 이를 차단하는 퓨즈(F1)가 연결되어 있다.
A fuse F1 is connected to an input side of the surge interrupter 210 to block an overcurrent when a commercial AC power is applied.

상기 바리스터(MOV1)는 특정 전압 이하에서는 높은 저항 값으로 오픈(OFF)되어 있는 것과 같은 작동을 하지만, 특정 전압 이상에서는 저항 값이 낮아져 쇼트(ON)된 것과 같은 작동을 한다. 그리하여 입력단에 서지 과전압이 입력되는 때에는 온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The varistor MOV1 operates as if it is open (OFF) with a high resistance value below a specific voltage, but operates as if it is shorted because the resistance value is lowered above a specific voltage. Thus, when a surge overvoltage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it is turned on so that a current can flow.

상기 어레스터(A1)는 상기 바리스터(MOV1)가 온되어 유입되는 서지 과전압에 해당하는 전류를 흡수 차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력되는 전류를 접지로 도피시켜 상용 교류전원의 서지 과전압 성분이 후방측으로 더 이상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The arrester A1 absorbs and blocks a current corresponding to a surge overvoltage introduced by the varistor MOV1 turned on. More specifically, the input current is avoided to ground so that the surge overvoltage component of the commercial AC power supply is no longer transmitted to the rear side.

상기 노이즈제거부(232)는 라인필터(LF1)와, 상기 라인필터(LF1) 양측에 각각 병렬 연결되어 있는 캐패시터(C1, C2)와, 상기 라인필터(LF1)의 출력측에 병렬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 지점이 접지(FG)되어 있는 한 쌍의 캐패시터(C3, C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noise removing unit 232 is connected to the line filter LF1, the capacitors C1 and C2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line filter LF1, and parallel to the output side of the line filter LF1. The point comprises a pair of capacitors C3 and C4 with ground FG.

상기 라인필터(LF1)는 서로 역방향으로 감긴 두 코일로 구성되어, 동상 성분의 노이즈를 서로 상쇄시켜 제거하고, 고주파 성분을 차단하는 저역통과 필터의 역할을 한다.
The line filter LF1 is composed of two coils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and cancels noise of the in-phase component from each other and serves as a low pass filter that blocks high frequency components.

상기 라인필터(LF1) 양측에 각각 병렬 연결되어 있는 캐패시터(C1, C2)는 상기 라인필터(LF1)가 보다 넓은 대역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Capacitors C1 and C2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line filter LF1 allow the line filter LF1 to remove noise in a wider band.

상기 라인필터(LF1)의 출력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라인필터(LF1)의 출력측에 구비되어 있는 캐패시터(C2)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캐패시터(C3, C4)는 중간지점이 접지되어, 상용 교류전원의 교류 특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전자파 노이즈를 제거한다. A pair of capacitors C3 and C4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side of the line filter LF1, more specifically, the capacitor C2 provided on the output side of the line filter LF1, has an intermediate point grounded thereto. Eliminates electromagnetic noise caused by the AC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AC power supplies.

즉, 상기 한 쌍의 캐패시터(C3, C4)는 전도 노이즈를 제거하여, EMC(전자파 양립성)를 강화함으로써 EMI(전자파 장해)를 10 dB 정도 낮추고, EMS(전자파 내성)를 10kV 이상 서지에 내성을 갖도록 한다.
That is, the pair of capacitors C3 and C4 remove conduction noise, enhance 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lower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about 10 dB, and resist EMS (electromagnetic immunity) by more than 10 kV. Have it.

상기 스위칭부(230)는 과전압 차단기의 출력단에 구비되고, 스위칭동작으로 온오프되어 상용 교류전원이 일정 전압 이상의 과전압인 경우에 오프되어 상기 파워서플라이(110)로 과전압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The switching unit 230 is provided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overvoltage circuit breaker, and is turned on and off by a switching operation to be turned off when the commercial AC power is an overvoltag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so that the overvoltage is not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110.

본 발명에서는 상용 교류전원이 AC 380V를 넘어서면 상기 스위칭부(230)가 오프되어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mercial AC power exceeds AC 380V, the switching unit 230 is turned off to cut off.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위칭부(230)로 릴레이를 사용하였으나, 스위칭동작이 가능한 트랜지스터, 싸이리스터, 트라이악 등이 스위칭부로 사용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relay is used as the switching unit 230, a transistor capable of switching operation, a thyristor, a triac, and the like may be used as the switching unit.

상기 스위칭부(230)로서 상기 릴레이는 구동코일(RC)과, 상기 구동코일(RC)의 전자기력에 의해 온오프되는 마그넷스위치(RS)로 구성된다.
As the switching unit 230, the relay includes a driving coil RC and a magnet switch RS turned on and off by an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driving coil RC.

상기 감지부(240)는 변류기(CT1), 브릿지다이오드(BD1), 캐패시터(C8), 저항(R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detector 240 includes a current transformer CT1, a bridge diode BD1, a capacitor C8, and a resistor R9.

상기 변류기(CT1)는 출력라인에 구비되는 1차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권선비에 따라 2차코일로 유기시켜, 상기 노이즈제거부(220)에서 출력되는 교류전원의 세기를 감지한다.
The current transformer CT1 induces a current flowing in the primary coil provided in the output line to the secondary coil according to the turns ratio, and detects the strength of the AC power output from the noise removing unit 220.

상기 브릿지다이오드(BD1)는 상기 변류기(CT1)의 2차코일에 유기된 전원을 정류한다. 그리고 상기 변류기(CT1)와 상기 브릿지다이오드(BD1) 사이에는 캐패시터(C7)가 연결되어 상기 변류기(CT1) 2차코일에 유기된 교류전원을 평활한다.
The bridge diode BD1 rectifies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ary coil of the current transformer CT1. A capacitor C7 is connected between the current transformer CT1 and the bridge diode BD1 to smooth the AC power induced in the secondary coil of the current transformer CT1.

상기 브릿지다이오드(BD1) 출력측에 연결되어 있는 캐패시터(C8)는 상기 브릿지다이오드(BD1)에서 정류된 전원을 평활하여 직류화 한다.
The capacitor C8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bridge diode BD1 smoothes and directs the power rectified by the bridge diode BD1.

상기 캐패시터(C8)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9)은 상기 캐패시터(C8)에서 직류화된 전원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The resistor R9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capacitor C8 transfers the power DC-directed by the capacitor C8 to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250)는 제너다이오드(ZD3), 에스씨알(U1), 제1트랜지스터(Q1), 제2트랜지스터(Q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ontroller 250 includes a zener diode ZD3, an S1 U1, a first transistor Q1, and a second transistor Q2.

상기 제너다이오드(ZD3)는 상기 저항(R9)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감지부(240)의 감지신호, 즉, 상기 노이즈제거부(220)에서 출력되는 교류전원이 감지부(240)를 통해 직류화된 전원이 일정 전압(예, AC 380V) 이상의 과전압이 되면 도통되어 이를 상기 에스씨알(U1)으로 전달한다.
The zener diode (ZD3) is a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or 240, which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sistor (R9), that is, the AC power output from the noise removing unit 220 is converted into a DC through the detector 240 When the supplied power becomes an overvoltage of a predetermined voltage (for example, AC 380V) or more, the power is turned on and transferred to the SR U1.

상기 에스씨알(U1)은 상기 제너다이오드(ZD3)가 도통되어 전원이 게이트단자를 통해 입력되면 트리거되어 이를 상기 제1트랜지스터(Q1)로 전달한다. 에스씨알(U1)은 실리콘 컨트롤 정류기(SCR)로서 신뢰성이 높고 안정적인 동작을 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The SR U1 is triggered when the zener diode ZD3 is turned on and the power is input through the gate terminal, and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istor Q1. SLC (U1) is a silicon control rectifier (SCR) and is a semiconductor device with high reliability and stable operation.

상기 에스씨알(U1)의 게이트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캐패시터(C9)와 저항(R3)은 상기 제너다이오드(ZD3)가 도통되어 전달되는 전원을 평활하고 안정화하여 상기 에스씨알(U1)로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에스씨알(U1)을 보호하며 트리거 동작의 정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The capacitor C9 and the resistor R3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SR U1 smooth and stabilize the power transmitted by the zener diode ZD3, and input the same to the SR U1. It protects the SRC (U1) and increases the accuracy of the trigger action.

상기 제1트랜지스터(Q1)는 상기 에스씨알(U1)이 트리거되면 상기 감지부(240)의 출력전원이 게이트단자로 인가되어 온된다.When the SR U1 is triggered, the first transistor Q1 is turned on by applying the output power of the sensing unit 240 to the gate terminal.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단자측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들(R4, R5, R6)은 제1트랜지스터를 보호하며 온오프 동작의 안정성을 높인다.
The resistors R4, R5, and R6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side of the first transistor Q1 protect the first transistor and increase the stability of on-off operation.

상기 제2트랜지스터(Q2)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Q1)가 온되면 제1트랜지스터의 출력전원이 게이트단자로 인가되어 온된다. When the first transistor Q1 is turned on, the second transistor Q2 is turned on by applying the output power of the first transistor to the gate terminal.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단자측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7, R8)과 드레인단자와 소스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D6)는 제2트랜지스터(Q2)를 보호하며 온오프 동작의 안정성을 높인다. The resistors R7 and R8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side of the second transistor Q2 and the diode D6 connected between the drain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protect the second transistor Q2 and perform on / off operation. Increase stability

그리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Q2)가 온되면 상기 기동전원공급부(260)의 기동전원이 상기 제2트랜지스터(Q2)를 거쳐 상기 스위칭부의 구동코일(RC)에 공급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230)의 마그넷스위치(RS)는 오프되어 과전압의 상용교류전원이 파워서플라이(6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When the second transistor Q2 is turned on, the starting power of the starting power supply unit 260 is supplied to the driving coil RC of the switching unit through the second transistor Q2, and thus the switching unit 230. Magnet switch (RS) is turned off to block the over-voltage commercial AC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60).

상기 역기전력차단부(270)는 상기 스위칭부(230)의 구동코일(RC)을 통해 역으로 파워서플라이(60)에서 역기전력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back EMF blocker 270 blocks back EMF from the power supply 60 through the driving coil RC of the switching unit 230.

상기 역기전력차단부(270)는 상기 구동코일(RC)에 병렬 연결된 다이오드(D5) 및 바리스터(MOV2)와 직렬 연결된 두 제너다이오드(ZD1, ZD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back EMF blocking unit 270 includes two zener diodes ZD1 and ZD2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diode D5 and the varistor MOV2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driving coil RC.

상기 기동전원공급부(260)는 상기 노이즈제거부(220)의 출력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스위칭부(230)에 기동전원을 공급한다. The starting power supply unit 260 rectifies and smoothes the output AC power of the noise removing unit 220 to supply the starting power to the switching unit 230.

상기 기동전원공급(260)부는 상기 서지차단부(220)의 출력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브짓지다이오드(D1~D4)와, 상기 브릿지다이오드(D1~D4)에서 정류된 전원을 평활하는 캐패시터(C5, C6)와, 상기 캐패시터(C5, C6)에서 평활된 기동전원을 상기 스위칭부(233)에 인가하는 저항(R1, R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tarting power supply 260 is a bridge diode (D1 ~ D4) for rectifying the output AC power of the surge blocking unit 220, and the capacitor (C5) for smoothing the rectified power from the bridge diode (D1 ~ D4) , C6 and resistors R1 and R2 for applying the starting power smoothed by the capacitors C5 and C6 to the switching unit 233.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산패 방지를 위한 밀폐구조를 갖는 유골함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shes having a sealed structure for preventing rancidity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 유골함
10 : 내통 20 : 외통
D : 진열함
30 : 하우징 40 : 탈착캡
L : 조명수단
50 : LED모듈 60 : 투명판
70 : 지지체 80 : 버튼
90 : 타이머 100 : 스위치
110 : 파워서플라이 200 : 과전압차단기
A: Ashes
10: inner cylinder 20: outer cylinder
D: showcase
30: housing 40: removable cap
L: Lighting means
50: LED module 60: transparent plate
70: support 80: button
90: timer 100: switch
110: power supply 200: overvoltage breaker

Claims (4)

유골이 안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고, 본체와의 틈새는 실링부재로 밀봉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내통;

상기 내통이 안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외통;

상기 내통의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내부로 불활성기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통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내통의 투시가 가능하고,

상기 내통의 표면에는 도금 또는 코팅 공정을 통해 골드나 실버 색상의 도금층이 형성되고,
상기 외통의 하부에는 조명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조명수단의 조명시에, 상기 외통은 입사되는 조명광에 의해 주변에 광채가 서리고, 상기 내통은 입사되는 조명광을 반사시켜 빛나도록 함으로써, 고인에 대한 추모의 마음을 고취시키고,

상기 조명수단은
빛을 발하는 LED와, 상기 LED가 실장되는 PCB를 포함하는 LED모듈과,
상기 LED모듈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외통이 얹혀지는 투명판과,
상기 LED모듈을 내장하고, 상기 투명판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지지체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LED모듈에 공급하는 파워서플라이와,
상기 파워서플라이의 입력측에 연결되고, 입력되는 상용전원에 서지 및 과전압을 차단하여 보호하는 과전압 차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패 방지를 위한 밀폐구조를 갖는 유골함.
The body where the remains are placed,
An inner cylinder covering an opening of the main body, the gap with the main body including a cover sealed with a sealing member;

A body on which the inner cylinder is seated;
An outer cylinder including a lid covering an opening of the body;

Is coupled to the cover of the inner cylinder, the valve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body to the outside, injecting inert gas into the inside;

The outer cylinde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possible to see the inner cylinder,

On the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is formed a plating layer of gold or silver color through a plating or coating process,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is provided with lighting means,
At the time of illumination of the luminaire, the outer cylinder is radiated to the surroundings by the incident illumination light, and the inner cylinder reflects the incident illumination light to shine, thereby inspiring a feeling of mourning for the deceased,

The lighting means
An LED module including an LED emitting light and a PCB on which the LED is mounted;
A transparent plate disposed on the LED module and mounted on the outer cylinder;
A support having a built-in LED module and supporting the transparent plate thereon;
A power supply for converting commercial AC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into driving power and supplying it to the LED module;
Remains having a sealed structure for preventing rancid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input side of the power supply, and comprises an over-voltage circuit breaker to protect the input commercial power by blocking surge and over-volt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은
손상 방지를 위해 상기 본체의 외면을 완충부재로 감싼 상태로 본체를 금형에 투입한 후에 분골 형태의 유골이 안치되어 있는 본체 내부를 프레스로 압착하여 압축 성형되고,
상기 본체에 압축 성형되어 안치된 후에는 본체와 커버의 틈새가 실링부재로 실링되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패 방지를 위한 밀폐구조를 갖는 유골함.
The method of claim 1,
The ashes are
In order to prevent damage, the main body is put into a mold while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wrapped with a cushioning member, and the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where the ashes in the form of powder are placed is compressed and pressed into a press.
After the compression molded in the main body is placed ashes having a sealed structure for preventing rancid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is sealed by a sealing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35091A 2011-04-15 2011-04-15 Cinerary urn be sealed KR1012368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091A KR101236852B1 (en) 2011-04-15 2011-04-15 Cinerary urn be seal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091A KR101236852B1 (en) 2011-04-15 2011-04-15 Cinerary urn be seal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370A KR20120117370A (en) 2012-10-24
KR101236852B1 true KR101236852B1 (en) 2013-02-26

Family

ID=47285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091A KR101236852B1 (en) 2011-04-15 2011-04-15 Cinerary urn be seal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85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710A (en) * 2013-05-30 2014-12-10 오용화 Ur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885A (en) * 2004-07-22 2006-01-26 신홍대 A chest for laying ashes to rest
KR100619234B1 (en) * 2005-10-07 2006-09-01 (주)지구통신건설 (Gk) Person's ashes having structure for closeness of vacuum pressurization type
KR100931638B1 (en) * 2009-06-08 2009-12-14 (주)두손모아 Urn for deceased ashes
KR20100008586U (en) * 2009-02-20 2010-08-30 권금자 Cinerary ur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885A (en) * 2004-07-22 2006-01-26 신홍대 A chest for laying ashes to rest
KR100619234B1 (en) * 2005-10-07 2006-09-01 (주)지구통신건설 (Gk) Person's ashes having structure for closeness of vacuum pressurization type
KR20100008586U (en) * 2009-02-20 2010-08-30 권금자 Cinerary urn
KR100931638B1 (en) * 2009-06-08 2009-12-14 (주)두손모아 Urn for deceased ash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370A (en)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91728A (en) Hand-powered flashlight
FR2679987B1 (en) REFRIGERATION SYSTEM WITH OVERHEAT PROTECTION OF THE COMPRESSOR AT ALL OPERATING MODES.
EG23306A (en) Vacuum cleaner with reusable filter.
HUP0104946A3 (en) Hbv core antigen particles with multiple immunogenic components attached via peptide ligands
PL363759A1 (en) Extracting device with integrated capsule loading system
KR101236852B1 (en) Cinerary urn be sealed
GB2397217B (en) Canister vacuum cleaner
GB0230229D0 (en) Fuel treating canister
KR20160118569A (en) Cinerary urn assembly equipped with led
KR101236853B1 (en) Cinerary urn assembly equipped with lighting unit
US20010009270A1 (en) Solenoid valve with programmable electronic control device, particularly for watering systems
AU2003294220A8 (en) Ii-key/antigenic epitope hybrid peptide vaccines
EP1558628A4 (en) Antigenic peptides
EP1336751A4 (en) In-tank solenoid fuel pump
KR101930993B1 (en) Welding mask lighting equipment
KR100459634B1 (en) Ashs box
GB2255033B (en) Submersible well pump gas separator
AU138961S (en) Canister vacuum cleaner
GB2384693B (en) Filter-supporting structure for an upright-type vaccum cleaner
KR20120075922A (en) Ashs box
JP3988529B2 (en) Security light
GB0202299D0 (en) Light cover
DE10345198A1 (en) Control module for cooking hob has electronic control circuitry contained within housing shell assembled from cooperating upper and lower housing shells
CN104973175B (en) Luminescent kettle frame
GB0126864D0 (en) Resonance suppres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