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780B1 -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 - Google Patents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780B1
KR101236780B1 KR1020100071284A KR20100071284A KR101236780B1 KR 101236780 B1 KR101236780 B1 KR 101236780B1 KR 1020100071284 A KR1020100071284 A KR 1020100071284A KR 20100071284 A KR20100071284 A KR 20100071284A KR 101236780 B1 KR101236780 B1 KR 10123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stal
artificial stone
permeable
shape
permeable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9240A (ko
Inventor
김기동
정상만
이병식
한동석
하종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7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7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통수공을 가지는 복수개의 형상유지용 프레임과 상기 형상유지용 프레임들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복수개의 투수성 인공사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므로 투수성이 우수하여 파랑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침식과 퇴적 현상을 적절하게 배제할 수 있으며, 폐 자재를 활용하여 콘크리트 사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투수성이 크게 향상되며, 시멘트 콘크리트 생산에 따른 CO2 발생량을 저감시켜 대기오염 방지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Coastal region shore protection structure using porous artificial riprap}
본 발명은 연안역 호안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수성이 우수하여 파랑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침식과 퇴적 현상을 적절하게 배제할 수 있는 연안역 호안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절감과 원자재 절감을 기할 수 있고, 시멘트 콘크리트 생산에 따른 CO2 발생량을 저감시켜 대기오염 방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역에는 파도와 이안류(離岸流) 등에 의해 사구(砂丘), 토사포락(土砂浦落), 호안구조물 붕괴, 자갈화 해빈(海濱) 침식, 침식과 퇴적의 불균형 해빈 등에 의해 연안역의 훼손이 심각한 상태에 이르고 있으며, 예로부터 이러한 연안역의 훼손을 방지하고 연안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연안역 호안구조물을 설치해왔다.
최근에는 연안역에 설치된 방파제와 도류제(道流堤) 또는 해안도로 등의 인공구조물에 의해 파도와 이안류 및 연안류의 세기와 방향에 변화가 생겨 예기치 못했던 침식과 퇴적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연안역의 심각한 훼손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연안역의 훼손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연안역에 잡석이나 돌망태 등의 투수층을 설치하여 침식과 퇴적 현상을 저감시키는 연안역 호안구조물을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안역 호안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잡석이나 사석 등이 필요하며, 이러한 잡석이나 사석은 자연에서 채취하고 있기 때문에 연안역 호안구조물 구축에 따라 육지의 훼손이 불가피하게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연안역 호안구조물의 구축을 위해 사용하는 잡석이나 사석 등은 그 자체로서는 투수성이 전무하기 때문에 투수에 의한 침식과 퇴적 현상 배제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연에서 채취하는 잡석이나 사석 등을 사용하지 않고 시멘트 콘크리트로 구축되는 호안구조물이 설치되고 있으나, 자재비에 따른 시공비용 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를 사용함에 따라 시멘트 콘크리트 제조시 발생하는 CO2의 대량 발생을 초래하게 되며, 이에 따라 대기오염이 가중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수성이 우수하여 파랑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침식과 퇴적 현상을 적절하게 배제할 수 있도록 한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 자재를 활용하여 콘크리트 사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투수성이 크게 향상되며, 시멘트 콘크리트 생산에 따른 CO2 발생량을 저감시켜 대기오염 방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밑변과 육지측 수직변 및 빗변을 가지며 해안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복수개의 통수공을 구비한 복수개의 형상유지용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형상유지용 프레임들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복수개의 투수성 인공사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형상유지용 프레임들에 의해 형성되는 충전공간을 구획하며 복수개의 통수공을 구비한 칸막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형상유지용 프레임의 최상단에는 보차도와 자전거도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투수성 인공사석은 폐 콘크리트나 바텀 애시 등의 폐 자재로 된 복수개의 골재부재로 성형된 집합체로 구성되며, 복수개의 투수공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수성 인공사석은 상기 골재부재들 사이에 골재부재들의 외곽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미세공극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은 복수개의 통수공을 가지는 복수개의 형상유지용 프레임과 상기 형상유지용 프레임들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복수개의 투수성 인공사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므로 투수성이 우수하여 파랑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침식과 퇴적 현상을 적절하게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은 폐 자재를 활용하여 콘크리트 사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투수성이 크게 향상되며, 시멘트 콘크리트 생산에 따른 CO2 발생량을 저감시켜 대기오염 방지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형상유지용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의 종단 측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투수성 인공사석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
도 4는 투수성 인공사석의 사시도,
도 5는 투수성 인공사석의 종단 측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투수성 인공사석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도 8은 투수성 인공사석의 사시도,
도 9는 투수성 인공사석의 종단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C-C선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D-D선 단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의 사시도,
도 13은 형상유지용 프레임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의 종단 측면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의 사시도,
도 16은 형상유지용 프레임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의 종단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을 첨부한 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안역 호안구조물은, 밑변(11)과 육지측 수직변(12) 및 빗변(13)을 가지며 해안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형상유지용 프레임(10)과; 상기 복수개의 형상유지용 프레임(10)들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공간(S)에 충전되는 복수개의 투수성 인공사석(20)을 포함한다.
상기 빗변(13)은 연안역의 설치 지역의 설치 공간에 따라 경사도가 결정된다. 즉, 연안역의 설치 지역의 설치 공간이 좁을 경우에는 빗변(13)의 경사도가 커지고 설치 공간이 넓을 경우에는 빗변(13)의 경사도가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형상유지용 프레임(10)은 콘크리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형상유지용 프레임(10)에는 복수개의 통수공(14)을 천공하여 해수의 유입, 유출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유지용 프레임(10)들에 의해 형성되는 충전공간(S)을 구획하는 칸막이(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칸막이(15)는 충전공간(S)에 충전되는 복수개의 투수성 인공사석(20)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칸막이(15)에도 복수개의 통수공(16)을 형성하여 해수의 유입, 유출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수성 인공사석(20)들은 모두 동일한 크기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하층은 비교적 작은 것으로, 상층은 비교적 큰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형상유지용 프레임(10)의 최상단에는 보차도와 자전거도로(30)를 시공할 수 있다.
상기 투수성 인공사석(2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골재부재(21)로 성형된 집합체로 구성되며, 상기 집합체의 성형과정에서 형성된 복수개의 투수공(22)을 포함한다.
상기 골재부재(21)는 폐 콘크리트나 바텀 애시 등의 폐 자재를 활용한다.
이 경우 시멘크 콘크리트를 생산하는 데 수반되는 CO2를 발생을 배제할 수 있으며, 시멘트 콘트리트 1ton을 생산하는 데 수반되는 CO2가 1.3ton임을 감안할 때,, 골재부재(21)를 시멘트 콘크리트에서 폐 콘크리트나 바텀 애시 등의 폐 자재로 대체할 경우 CO2 3.05 ton/m3의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투수공(22)들 중 중심부에 형성되는 투수공을 통하여 그 나머지 투수공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복수개의 투수공(12)들이 각각 독립적인 투수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골재부재(21)들 사이에는 골재부재(21)들의 외곽 형상에 따라 골재부재(21)들 사이에 미세공극(23)이 형성된다.
상기 골재부재(21)는 폐 콘크리트 입자 또는 바텀 애시 입자가 사용된다.
상기 인공사석(20)의 외주면에 원주를 따라 요홈부(24)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인공사석(20)이 적층되었을 때 인공사석(20)과 인공사석(20)들 사이에 해수가 유통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공사석(20)의 외곽 형상이 마치 장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형상은 원통형, 타원형, 구형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용 투수성 인공사석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본 에서는 인공사석(20)의 외곽 형상을 8각형 단면으로 형성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공사석(20)의 외곽 형상을 8각형 단면으로 형성하였으나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은 콘크리트로 구축되는 복수개의 형상유지용 프레임(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 내에 투수성 인공사석(20)을 충전하는 것으로, 파도가 밀려올 때 투수성 인공사석(20)의 투수공(12)과 미세공극(23)에 의해 파도를 제어하여 파랑 에너지를 저감시켜 연안역을 보호할 수 있으며, 파도가 쓸려나갈 때에는 연안역 호안구조물(10)을 휘덮고 있던 해수가 형상유지용 프레임(10)에 형성된 통수공(14)과 칸막이(15)의 통수공(16) 및 투수성 인공사석(20)의 투수공(22)과 미세공극(23)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빠져나가게 되어 연안역의 쇄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형상유지용 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에 투수성 인공사석(20)을 충전하는 것으로, 형상유지용 프레임(10)에 의해 투수성 인공사석(20)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은,
상기 형상유지용 프레임(10)의 빗변(13)을 설치 지역의 파랑 에너지 및 설치 지역의 설치 공간을 고려하여 2단 또는 그 이상의 여러 단으로 구성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형상유지용 프레임(10)들에 의해 형성되는 충전공간(S)을 구획하는 칸막이(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칸막이(15)는 충전공간(S)에 충전되는 복수개의 투수성 인공사석(20)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칸막이(15)에도 복수개의 통수공(16)을 형성하여 해수의 유입, 유출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은 형상유지용 프레임(10)에 칸막이(15)를 설치한 것이므로 투수성 인공사석(20)이 유실되는 것을 더욱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은 빗변(13)을 급경사로 형성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은 중, 저 파랑 에너지 발생 지역과, 설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지역에 적합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형상유지용 프레임 14 : 통수공
15 : 칸막이 16 : 통수공
20 : 투수성 인공사석 22 : 투수공
23 : 미세공극

Claims (8)

  1. 밑변(11)과 육지측 수직변(12) 및 빗변(13)을 가지며 해안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복수개의 통수공(14)을 구비한 복수개의 형상유지용 프레임(10)과;
    상기 복수개의 형상유지용 프레임(10)들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공간(S)에 충전되는 복수개의 투수성 인공사석(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인공사석(20)은 폐 콘크리트나 바텀 애시 등의 폐 자재로 된 복수개의 골재부재(21)로 성형된 집합체로 구성되며, 복수개의 투수공(22)을 포함하되, 상기 투수성 인공사석(20)은 상기 골재부재(21)들 사이에 골재부재들의 외곽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미세공극(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공사석(20)은 외주면에 원주를 따라 요홈부(24)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인공사석(20)이 적층되었을 때 인공사석(20)들 사이에 해수가 유통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투수공(22)들은 중심부에 형성되는 투수공을 통하여 그 나머지 투수공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용 프레임(10)의 빗변(13)이 완경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용 프레임(10)의 빗변(13)이 급경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용 프레임(10)의 빗변(13)이 2단 또는 그 이상의 여러 단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용 프레임(10)들에 의해 형성되는 충전공간(S)을 구획하며 복수개의 통수공(16)을 구비한 칸막이(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용 프레임(10)의 최상단에는 보차도와 자전거도로(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인공사석(20)은 폐 콘크리트나 바텀 애시 등의 폐 자재로 된 복수개의 골재부재(21)로 성형된 집합체로 구성되며, 복수개의 투수공(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인공사석(20)은 상기 골재부재(21)들 사이에 골재부재들의 외곽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미세공극(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
KR1020100071284A 2010-07-23 2010-07-23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 KR10123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284A KR101236780B1 (ko) 2010-07-23 2010-07-23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284A KR101236780B1 (ko) 2010-07-23 2010-07-23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240A KR20120009240A (ko) 2012-02-01
KR101236780B1 true KR101236780B1 (ko) 2013-02-25

Family

ID=4583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284A KR101236780B1 (ko) 2010-07-23 2010-07-23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170B1 (ko) * 2015-04-01 2017-03-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형 파랑에너지 저감 연안 시설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9508A (ja) * 1998-01-29 1999-08-03 Shigeo Ishihara 廃プラを利用したくり石及びその製造方法又はその利用方法
KR200224547Y1 (ko) * 2000-12-19 2001-05-15 양원회 다단계의 계단식 경사면을 가진 호안의 조립구조
KR200364410Y1 (ko) * 2004-07-09 2004-10-08 유성개발(주) 사방 또는 호안 공사용 조립식 프레임 축조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9508A (ja) * 1998-01-29 1999-08-03 Shigeo Ishihara 廃プラを利用したくり石及びその製造方法又はその利用方法
KR200224547Y1 (ko) * 2000-12-19 2001-05-15 양원회 다단계의 계단식 경사면을 가진 호안의 조립구조
KR200364410Y1 (ko) * 2004-07-09 2004-10-08 유성개발(주) 사방 또는 호안 공사용 조립식 프레임 축조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240A (ko)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83604B (zh) 河流碎屑截留结构
CN106012973B (zh) 一种玄武岩纤维制固沙消浪型吹填岛礁护坡
CN212103878U (zh) 一种防波堤构件及其防波堤结构
KR101461515B1 (ko) 해안 양빈 시공용 친환경 구조체를 사용한 친환경 양빈 시공 방법
KR101236780B1 (ko) 투수성 인공사석을 이용한 연안역 호안구조물
CN218233334U (zh) 一种可防控滨海海岸水土流失蜂窝结构
CN111074847A (zh) 一种框式护岸护坡预制块体及其使用方法
KR101170789B1 (ko) 친환경 복합 사방댐
KR20140015808A (ko) 원기둥형 파랑에너지 감소 모듈이 적용된 호안 구조물
CN203256689U (zh) 一种防护勾连体及由其组成的堆砌空间结构
KR20160124390A (ko) 해안 침식 방지용 개비온 구조
JP4400931B2 (ja) 人工干潟の造成方法及び干潟造成用土留め潜堤
CN206667290U (zh) 底部排水的护岸挡土墙
KR200333396Y1 (ko) 식생 호안용 블록
KR200413124Y1 (ko)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KR101529176B1 (ko) 원형의 마이크로 블록형 사방댐
CN110939100A (zh) 一种防波堤构件及其应用
CN105442502B (zh) 一种用于吹填工程的自升式模块化拦污系统
JP2007217876A (ja) 廃タイヤによる堤防法面保護方法
CN216474823U (zh) 一种预制块水利消浪护坡结构
CN106012961A (zh) 一种玄武岩纤维复合材料制潜式拦沙坝
CN213625436U (zh) 一种河堤的堤脚防护结构
KR101172904B1 (ko) 효율적인 파랑에너지 감소형 호안 구조물
RU2773499C1 (ru) Габион для укрепления береговых откосов (варианты)
KR101227459B1 (ko) 투수성 인공사석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투수성 인공사석 및 연안역 호안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