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743B1 -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743B1
KR101234743B1 KR1020110040727A KR20110040727A KR101234743B1 KR 101234743 B1 KR101234743 B1 KR 101234743B1 KR 1020110040727 A KR1020110040727 A KR 1020110040727A KR 20110040727 A KR20110040727 A KR 20110040727A KR 101234743 B1 KR101234743 B1 KR 101234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ow
radioactive waste
level radioactive
sample sam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524A (ko
Inventor
박진백
김주열
김석훈
이선정
Original Assignee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filed Critical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110040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743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2Treating gas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1/00Shield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 G21F1/02Selection of uniform shielding materials
    • G21F1/04Concretes; Other hydraulic hardening material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1/00Shield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 G21F1/02Selection of uniform shielding materials
    • G21F1/08Metals; Alloys; Cermets, i.e. sintered mixtures of ceramics and metal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4Disposal of solid waste
    • G21F9/36Disposal of solid waste by packaging; by b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함유하고 있는 폐기물포장드럼에서 발생되는 기체의 누적유량 및 조성을 평가하고, 액체시료를 채취/분석할 수 있는 실증실험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철제 폐기물포장드럼, 콘크리트 용기, 스테인레스 외부탱크, 제어용기, 기체유량계, 기체유량 측정시스템, 지하수 공급시스템, 기체시료 샘플링시스템, 및 액체시료 샘플링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실제 처분환경 및 지하수 지하학조건을 반영하여 장기간에 걸친 실증실험이 가능하며, 국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함유하고 있는 철제 폐기물포장드럼에서 발생되는 기체의 누적유량 및 조성과 액체시료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처분시설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방법 및 장치{GAS GENERATION EXPERIMENTAL METHOD AND EQUIPMENT FOR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본 발명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함유하고 있는 폐기물포장드럼에서 발생되는 기체의 누적유량 및 조성을 평가하고, 액체시료를 채취/분석할 수 있는 실증실험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물리적 형태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영구처분하기 위한 시설(월성원자력환경관리센터)이 사일로 처분방식으로 건설 중에 있다.
처분대상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대부분은 철제드럼으로 포장되며, 처분시설이 폐쇄된 이후 금속 부식,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질 분해, 방사분해(Radiolysis) 등의 과정을 거쳐 수소, 이산화탄소, 메탄 등의 기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기체 발생에 따라 사일로 내부 가스압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처분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처분시설 폐쇄 이후 기체 발생특성을 실질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이용하여 발생기체의 종합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실제 처분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장기간에 걸친 실증실험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GAMMON(GAs generation from Microbial degradation and Metal corrosiON) 전산코드 및 SMOGG(Simple Model Of Gas Generation) 전산코드를 이용하여 월성원자력환경관리센터의 기체 발생량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편, 유럽의 경우에는 EURATOM(European Atomic Energy Community)의 재정적 지원 하에 GASNET(A Thematic Network on Gas Issues in Safety Assessment of Deep Repositories for Radioactive Waste)을 중심으로 심지층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기체발생 및 이동과 관련한 현안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국내 특허등록 제10-0458317호에는 정화처리약품에 의한 반응을 이용하여 하 · 폐수 내에 포함된 휘발성기체를 효율적으로 탈기정화하여 배기시킬 수 있는 소규모 설비가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 특허등록 제10-0398928호에는 반응조 외부로 유출되는 미생물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써 혐기성 처리만으로도 호기성 처리에 버금가는 처리가 가능한 혐기성 반응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특허등록 제10-0595109호에는 침적층을 구성하는 혐기성 미생물로 이루어진 알갱이 또는 그 전구체(소립자 직경의 알갱이)인 오니를 이용하여 유기성 배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혐기성 가스로 분해/제거한 후 유기물의 분해가 완료된 처리수를 처리과정에서 발생한 혐기성 가스 및 오니로부터 분리해서 뽑아내는 상향류 슬러지 블랭킷(UASB)식 혐기성 처리장치가, 국내 특허등록 제10-0178374호에는 깨끗한 대기에서 휘발성 성분의 연속적인 감시를 하는 기체 분석용 장치와 방법 및 후속 기체 분석을 위하여 기체 샘플을 채취하는 장치가, 국내 특허등록 제10-0292123호에는 가압경수로(PWR) 핵연료봉 내의 공간체적(void volume), 봉내압(internal pressure) 및 핵분열기체량을 측정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20419호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자연분해함과 동시에 그 분해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더욱이, 미국특허등록 제6,663,777호에는 산업 슬러지, 슬러리 폐기물, 농업 찌꺼기와 같은 젖은 유기물질로 이루어진 생물량(biomass)의 신속하고 완전한 혐기성 가수분해와 가용성 및 기체 부산물이 메탄(궁극적으로는 열 또는 전기에너지)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시스템이, 미국특허등록 제5,578,214호에는 호기성 및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폐수를 처리할 수 있으며 동시에 질소를 포함한 분해하기 어려운 화학물질 및 질소 화합물을 높은 기준으로 처리할 수 있는 폐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미생물을 이용한 다양한 유기물질의 분해 처리, 휘발성 기체의 샘플 채취 및 분석 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처분에 적용되는 기술에 대해서는 어떠한 개시나 교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에서의 기체 발생특성을 실질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이용하여 발생기체의 종합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실제 처분환경 및 지하수 지하학조건을 반영한 장기간에 걸친 실증실험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함유하고 있는 폐기물포장드럼에서 발생되는 기체의 누적유량 및 조성을 평가하고, 액체시료를 채취/분석할 수 있는 실증실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함유하고 있는 폐기물포장드럼에서 발생되는 기체의 누적유량 및 조성을 평가하고, 액체시료를 채취/분석할 수 있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하여 철제 폐기물포장드럼, 콘크리트 용기, 스테인레스 외부탱크, 제어용기, 기체유량계, 기체유량 측정시스템, 지하수 공급시스템, 기체시료 샘플링시스템, 및 액체시료 샘플링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실제 처분환경 및 지하수 지화학조건을 반영하여 장기간에 걸친 실증실험이 가능하며, 국내에서 발생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함유하고 있는 철제 폐기물포장드럼에서 발생되는 기체의 누적유량 및 조성과 액체시료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처분시설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용기 및 폐기물포장드럼 내부 배치도로, 도 2a는 200리터 드럼에 대한 콘크리트 용기 및 폐기물포장드럼 내부 배치도이고, 도 2b는 320리터 드럼에 콘크리트 용기 및 폐기물포장드럼 내부 배치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발생기체를 포집하는 과정에서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발생기체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위조절 및 발생기체 유로를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어용기의 특정 수위까지 지하수로 충수하는 단계(단계 1); 폐기물포장드럼에서 발생한 기체의 유량률 및 누적유량을 측정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발생 기체를 기체시료 샘플링용기에서 포집하여 조성을 분석하는 단계(단계 3); 및 콘크리트 용기 또는 폐기물포장드럼 내부에 채워진 지하수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함유하고 있는 철제 폐기물포장드럼(3), 이를 정치하는 콘크리트 용기(2), 지하수로 포화된 상기 폐기물포장드럼(3) 및 콘크리트 용기(2)를 포함하는 스테인레스 외부탱크(1), 수위조절 및 발생기체의 유로를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어용기(4), 기체 누적유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직접방식 기체유량계(5), 기체 누적유량을 간접적으로 환산하여 상기 직접방식 기체유량계(5)의 측정결과와 비교할 수 있는 간접방식 기체유량 측정시스템(S1), 상기 외부탱크(1) 및 제어용기(4)의 수위를 원하는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는 지하수 공급시스템(S2), 기체시료를 샘플링하여 그 조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체시료 샘플링시스템(S4), 및 상기 외부탱크(1) 및 콘크리트 용기(2) 내부에 채워진 지하수 시료를 샘플링하여 그 조성을 분석하기 위한 액체시료 샘플링시스템(S3)으로 구성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탱크(1)는 내식성의 스테인레스강 재질, 예를 들면, SA240-316LN, A240-TP316L 등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최소 10년 이상 구조적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용기(2)는 시공기술규격서 CP-C2에 따라 생산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하되, 최소 압축강도는 390 ㎏f/㎠이며, 단위중량은 2.5 ton/㎥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폐기물포장드럼(3)은 처분대상 폐기물의 불균질성을 모사하기 위해 국내에서 발생되는 대표적인 잡고체폐기물을 함유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어용기(4)는 수위조절 및 효율적인 기체 유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외부탱크(1)와 별도로 설치되는 것으로, 내식성의 스테인레스강 재질(SA240-316LN, A240-TP316L 등)을 사용하여 최소 10년 이상 구조적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직접방식 기체유량계(5)는 수소, 이산화탄소, 메탄 등으로 구성된 낮은 유량의 혼합기체 유량률 및 누적유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간접방식 기체유량 측정시스템(S1)은 유리구(6), 압력변환기(7) 및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8)로 구성되며, 누적유량을 간접적으로 환산하여 상기 직접방식 기체유량계(5)의 측정결과와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 동시에, 상기 직접방식 기체유량계(5)에 대한 유지/보수 및 교환작업이 필요한 경우, 상기 간접방식 기체유량 측정시스템(S1)과 연결될 수 있게 기체 바이패스유로(18)를 설치하여 연속 측정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위제어장치(9)는 레벨 전송기(transmitter), 레벨 스위치(switch), 레벨 컨트롤러(controller), 레벨 표시장치(indicator) 등으로 구성되며, 수위조절용 펌프(10), 지하수 보충탱크(11), 지하수 시추공(12), 지하수 공급배관밸브(27), 지하수 시추공 연결배관밸브(28)로 이루어진 지하수 공급시스템(S2)과 연계하여 외부탱크(1) 및 제어용기(4)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속적으로 현지 지하수를 공급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실제 처분환경과 유사한 조건을 모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탱크 내부가 충수되는 경우, 부력에 의해 상기 폐기물포장드럼(3)이 부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용기(2) 상부에 지지대(17)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테인레스강 및 동등 이상의 내식성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기체시료 샘플링시스템(S4)은 1차 기체시료 샘플링밸브(19), 1차 기체시료 샘플링용기(20), 2차 기체시료 샘플링밸브(21), 및 2차 기체시료 샘플링용기(22)로 구성되며, 기체시료를 샘플링하여 조성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액체시료 샘플링시스템(S3)은 상기 콘크리트 용기(2) 및 폐기물포장드럼(3) 내부에 채워진 지하수 시료를 각각 샘플링하여 그 조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용기(2)에 채워진 액체시료 샘플링배관(13), 상기 폐기물포장드럼(3)에 채워진 액체시료 샘플링배관(14), 액체시료 샘플링밸브(15), 액체시료 샘플링용기(16)로 구성되는데, 상기 액체시료 샘플링배관(13, 14)은 이음 및 접합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최소 10년의 설계수명을 만족할 수 있도록 방사선조사 및 화학적/생물학적 부식에 의한 기능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 스테인레스강 재질(SA240-316LN, A240-TP316L 등)로 제작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를 제작/설치한 후 설치현장 지하수로 스테인레스 외부탱크(1) 및 제어용기(4)를 초기 수위(4A)까지 충수한다.
지하수로 포화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폐기물포장드럼(3) 내부에 트랩(trap)되어 있던 기체가 방출되며, 이후 금속의 부식,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질 분해, 방사분해(Radiolysis) 등의 과정을 통해 수소, 이산화탄소, 메탄 등의 기체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발생된 기체는 뾰족한 형상으로 제작된 스테인레스 외부탱크(1) 상부에 모인 후 연결배관을 따라 제어용기(4)의 상부공간으로 계속 상승하게 되며, 실증실험 시 항상 개방되어 있는 전단 직접방식 기체유로밸브(23)를 지나 직접방식 기체유량계(5)를 통과하면서 유량률 및 누적유량이 측정된다. 상기 발생기체는 이어 실증실험 시 항상 개방되어 있는 후단 직접방식 기체유로밸브(24)를 따라 간접방식 기체유량 측정시스템(S1)으로 전달된다.
기체 바이패스유로밸브(25, 26)는 실증실험 시 항상 폐쇄된 상태로, 기체유량계(5)에 대한 별도의 유지/보수 및 교환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만 개방되어 기체 바이패스유로(18)을 따라 간접방식 기체유량 측정시스템(S1)과 연결되고, 해당 작업 시 전단 직접방식 기체유로밸브(23)와 후단 직접방식 기체유로밸브(24)는 폐쇄된다.
발생기체를 포집하는 과정에서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8)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간접방식 기체유량 측정시스템(S1) 유리구(6)에 발생기체가 점진적으로 채워지면서 압력이 증가할 것이다.
간접방식 기체유량측정시스템(S1)의 압력변환기(7)의 출력값이 사전 설정치에 도달하면 밸브는 제어회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도 3b와 같은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면서 기체가 대기배출구(29)로 방출된다. 이때, 간접방식 기체유량 측정시스템(S1) 유리구(6)의 내부 압력은 대기압까지 감소하며, 그 후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8)는 도 3a의 위치로 복귀하고 기체 발생에 따라 이러한 사이클이 반복된다. 유량률 값은 배출되는 기체 혼합물에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적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1차 기체시료 샘플링밸브(19)와 2차 기체시료 샘플링밸브(21)는 실증실험 시 항상 폐쇄된 상태에 있으며, 필요시 밸브를 개방하여 일정량의 기체시료를 1차 기체시료 샘플링용기(20)와 2차 기체시료 샘플링용기(22)에 각각 포집한 후 조성을 분석하게 된다.
액체시료 샘플링밸브(15)는 실증실험 시 항상 폐쇄된 상태에 있으며, 필요시 밸브를 개방한 후 콘크리트 용기(2) 또는 폐기물포장드럼(3) 내부에 채워진 일정량의 지하수를 액체시료 샘플링용기(16)에 담아 특성을 분석하게 된다.
지하수 시추공 연결배관밸브(28)는 실증실험 시 폐쇄된 상태이며, 지하수 보충탱크(11)에 충수되어 있는 물을 보충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개방된다.
기체발생에 따라 제어용기(4) 내부의 수위가 변동되며, 수위제어장치(9)를 통해 사전에 설정된 범위에서 조절된다. 지하수 공급배관밸브(27)는 실증실험 시 폐쇄된 상태로, 상기 수위제어장치(9)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필요에 따라 개방되어 수위조절용 펌프(10)를 이용하여 제어용기(4)로 지하수가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함유하고 있는 폐기물포장드럼에서 발생되는 기체의 누적유량 및 조성을 연속적으로 평가하고, 액체시료를 채취/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 외부탱크 2: 콘크리트 용기
3: 폐기물포장드럼 4: 제어용기
5: 직접방식 기체유량계 6: 유리구
7: 압력변환기 8: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
9: 수위제어장치 10: 수위조절용 펌프
11: 지하수 보충탱크 12: 지하수 시추공
13, 14: 액체시료 샘플링배관 15: 액체시료 샘플링밸브
16: 액체시료 샘플링용기 17: 지지대
18: 기체 바이패스유로 19, 21: 기체시료 샘플링밸브
20, 22: 기체시료 샘플링용기 23, 24: 직접방식 기체유로밸브
25, 26: 기체 바이패스유로 밸브 27: 지하수공급배관밸브
28: 지하수시추공연결배관밸브 29: 대기배출구
S1: 간접방식 기체유량시스템(6, 7, 8)
S2: 지하수 공급시스템(9, 10, 11, 12, 27, 28)
S3: 액체시료 샘플링시스템(13, 14, 15, 16)
S4: 기체시료 샘플링시스템(19, 20, 21, 22)

Claims (16)

  1. 삭제
  2.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함유하고 있는 철제 폐기물포장드럼(3), 이를 정치하는 콘크리트 용기(2), 지하수로 포화된 상기 폐기물포장드럼(3) 및 콘크리트 용기(2)를 포함하는 스테인레스 외부탱크(1), 수위조절 및 발생기체의 유로를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어용기(4), 기체 누적유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직접방식 기체유량계(5), 기체 누적유량을 간접적으로 환산하여 상기 직접방식 기체유량계(5)의 측정결과와 비교할 수 있는 간접방식 기체유량 측정시스템(S1), 상기 외부탱크(1) 및 제어용기(4)의 수위를 원하는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는 지하수 공급시스템(S2), 기체시료를 샘플링하여 그 조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체시료 샘플링시스템(S4), 및 상기 콘크리트 용기(2) 및 폐기물포장드럼(3) 내부에 채워진 지하수 시료를 샘플링하여 그 조성을 분석하기 위한 액체시료 샘플링시스템(S3)으로 구성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탱크(1)는 내식성의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용기(2)는 시공기술규격서 CP-C2에 따라 생산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되되, 최소 압축강도는 390 ㎏f/㎠이며, 단위중량은 2.5 t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포장드럼(3)은 처분대상 폐기물의 불균질성을 모사하기 위해 국내에서 발생되는 잡고체폐기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기(4)는 수위조절 및 효율적인 기체 유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외부탱크(1)와 별도로 설치되며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방식 기체유량계(5)는 수소, 이산화탄소, 메탄으로 구성된 혼합기체 유량률 및 누적유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방식 기체유량 측정시스템(S1)은 유리구(6), 압력변환기(7) 및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8)로 구성되며, 누적유량을 간접적으로 환산하여 상기 직접방식 기체유량계(5)의 측정결과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방식 기체유량 측정시스템(S1)은 상기 직접방식 기체유량계(5)에 대한 유지/보수 및 교환작업을 위해 기체 바이패스유로(18)를 설치하여 연속 측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 공급시스템(S2)는 수위조절용 펌프(10), 지하수 보충탱크(11), 지하수 시추공(12), 지하수 공급배관밸브(27), 지하수 시추공 연결배관밸브(28)로 이루어지며, 레벨 전송기(transmitter), 레벨 스위치(switch), 레벨 콘트롤러(controller), 레벨 표시장치(indicator)로 구성되는 수위제어장치(9)와 연계하여 상기 외부탱크(1) 및 제어용기(4)의 수위를 조절하고, 지속적으로 현지 지하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탱크 내부가 충수될 때 부력에 의해 상기 폐기물포장드럼(3)이 부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용기(2) 상부에 지지대(1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7)는 스테인레스강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시료 샘플링시스템(S4)은 1차 기체시료 샘플링밸브(19), 1차 기체시료 샘플링용기(20), 2차 기체시료 샘플링밸브(21), 및 2차 기체시료 샘플링용기(22)로 구성되며, 기체시료를 샘플링하여 조성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시료 샘플링시스템(S3)은 상기 콘크리트 용기(2) 및 폐기물포장드럼(3) 내부에 채워진 지하수 시료를 각각 샘플링하여 그 조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용기(2)에 채워진 액체시료 샘플링배관(13), 상기 폐기물포장드럼(3)에 채워진 액체시료 샘플링배관(14), 액체시료 샘플링밸브(15), 액체시료 샘플링용기(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
  15. 삭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시료 샘플링배관(13, 14)은 이음 및 접합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방사선조사 및 화학적/생물학적 부식에 의한 기능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장치.
KR1020110040727A 2011-04-29 2011-04-29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방법 및 장치 KR101234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727A KR101234743B1 (ko) 2011-04-29 2011-04-29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727A KR101234743B1 (ko) 2011-04-29 2011-04-29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524A KR20120122524A (ko) 2012-11-07
KR101234743B1 true KR101234743B1 (ko) 2013-02-19

Family

ID=4750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727A KR101234743B1 (ko) 2011-04-29 2011-04-29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7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319B1 (ko) * 2021-11-29 2024-02-23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폐기물의 심층처분 가스 거동 모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795Y1 (ko) * 2002-07-31 2002-10-31 김조천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석장치의 시료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795Y1 (ko) * 2002-07-31 2002-10-31 김조천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석장치의 시료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524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arse et al. Towards developing a representative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BMP) assay for landfilled municipal solid waste–A review
Fellner et al. Comparing field investigations with laboratory models to predict landfill leachate emissions
Mannina et al.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integrated urban drainage systems: where do we stand?
Siddiqui et al.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ly biologically treated wastes
CN111562354A (zh) 一种基于固化/稳定化重金属污染土壤修复剂长效性评价方法及装置
Small et al. Experimental and modelling investigations of the biogeochemistry of gas production from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
Small et al. The biogeochemistry of gas generation from low-level nuclear waste: Modelling after 18 years study under in situ conditions
Aljaradin et al. The emission potential from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in Jordan
KR101234743B1 (ko)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기체발생 실증실험방법 및 장치
Woodman et al. Quantifying the effect of settlement and gas on solute flow and transport through treated municipal solid waste
Martin et al. A solar photocatalytic floating reactive barrier for aqueous gas emissions interception and treatment
Luabanya et al. Radiotracer investigation in an aerobic digester of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Siddiqui Biodegradation and settlement behaviour of mechanically biologically treated (MBT) waste
CN106219747A (zh) 一种地下水中反硝化模拟系统气体产物的收集装置
Beentjes Intercepting landfill leachate for recirculation: an initial assessment of experimental design parameters.
Jiang et al. A new method applied for the evalua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stabilization
CN220056408U (zh) 一种地下水污染修复实验装置
Xiaoxin et al. Research on standards and regulations of the operation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Kim et al. Planning of large-scale in-situ gas generation experiment in Korean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CN217127051U (zh) 一种实验室用污染地下水的生物prb原位修复装置
Ishii et al. Numerical model for a watering plan to wash out organic matter from the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bottom ash layer in closed system disposal facilities
Zekkos et al. Coupled process modeling for energy generation from municipal solid waste degradation: Laboratory-scale and field-scale simulations
Patil et al. Mimicking a Bioreactor Landfill and Monitoring MSW Decomposition under Aerobic Conditions
Small et al. Testing of a near-field biogeochemical model against data from a large-scale gas generation experiment
Staub et al. Bio-hydro-mechanical behaviour of MSW in large-scale compression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