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647B1 -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647B1
KR101234647B1 KR1020100112815A KR20100112815A KR101234647B1 KR 101234647 B1 KR101234647 B1 KR 101234647B1 KR 1020100112815 A KR1020100112815 A KR 1020100112815A KR 20100112815 A KR20100112815 A KR 20100112815A KR 101234647 B1 KR101234647 B1 KR 101234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leachate
pump
valve
wat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1397A (ko
Inventor
김치명
고행진
이승용
김학구
김윤석
박용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2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64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1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10Pumping liquid coolant; Arrangements of coolan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04Dra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2Motor-c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4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 F04D29/043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는, 모터실과 펌프실로 구획 형성되는 펌프 바디와, 실링유닛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모터실과 펌프실로 연결되는 샤프트와, 상기 펌프실에서 샤프트에 장착되는 임펠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링유닛을 통하여 상기 펌프실에서 모터실로 누수되는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침출수 배출 통로가 상기 펌프 바디에 형성되어 있는 전동식 워터 펌프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ⅰ)상기 침출수가 배출될 수 있는 밸브 통로를 지니며 상기 침출수 배출 통로 상에 장착되는 밸브 하우징과, ⅱ)상기 밸브 하우징과의 걸림이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중력에 의해 상기 밸브 통로를 개방하고,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밸브 통로를 폐쇄하는 밸브 바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 {WATER PUMP}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차량에 적용되는 전동식 워터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미케니컬 씰과 같은 실링수단을 통해 누수되는 냉각수 또는 증기(이하에서는 편의상 "침출수"라고 한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터 펌프는 엔진의 냉각 및 실내 난방을 위하여 엔진 및 히터에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워터 펌프에서 토출된 냉각수는 엔진, 히터, 또는 라디에이터와 열교환을 하며 순환한 후 워터 펌프로 다시 유입된다.
이러한 워터 펌프는 크게 기계식 워터 펌프와 전동식 워터 펌프(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전기식 워터 펌프" 라고도 한다)로 나뉘어진다.
기계식 워터 펌프는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에 고정된 풀리에 연결되어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즉, 엔진의 회전)에 따라 구동한다. 따라서, 기계식 워터 펌프에서 토출되는 냉각수의 유량은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그런데, 히터 및 라디에이터에서 필요로 하는 냉각수의 유량은 엔진의 회전 속도와 상관없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엔진 회전수가 낮은 영역에서는 히터 및 라디에이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였고, 히터 및 라디에이터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엔진 회전수를 높여야 하였다. 이로 인하여, 차량의 연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생겼다.
전동식 워터 펌프는 제어 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따라서, 전동식 워터 펌프는 엔진의 회전 속도와는 상관 없이 냉각수의 유량을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동식 워터 펌프에 사용되는 부품들은 전기에 의하여 작동하므로,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부품들이 충분한 방수 성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충분한 방수 성능의 확보는 전자식 워터 펌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현재에는 차량에 전동식 워터 펌프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전자식 워터 펌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은 전동식 워터 펌프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터실과, 냉각수를 실질적으로 펌핑하는 펌프실로 구분되며, 모터실을 이루는 펌프 바디 및 펌프실을 이루는 볼류트 하우징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모터실과 펌프실은 펌프실의 냉각수가 모터실로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한 미케니컬 씰로서의 실링수단을 통해 구분될 수 있으며 그 실링수단은 모터실과 펌프실로 연결되는 샤프트에 장착된다. 그리고 펌프실에서 샤프트에는 냉각수를 가압하기 위한 임펠러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동식 워터 펌프의 펌프 바디에는 펌프실에서 실링수단을 통해 모터실로 누수되는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침출수 배출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펌프실에서 실링수단을 통해 모터실로 누수되는 침출수를 단순히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침출수 배출 통로를 형성하므로, 반대로 외부에서 물이 침출수 배출 통로를 통해 펌프 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며 모터의 절연을 저하시키고 베어링을 부식시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실링수단을 통해 누수되는 침출수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고, 외부의 물이 침출수 배출 통로를 통해 펌프 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면서 펌프 바디에 더욱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는, 모터실과 펌프실로 구획 형성되는 펌프 바디와, 실링유닛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모터실과 펌프실로 연결되는 샤프트와, 상기 펌프실에서 샤프트에 장착되는 임펠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링유닛을 통하여 상기 펌프실에서 모터실로 누수되는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침출수 배출 통로가 상기 펌프 바디에 형성되어 있는 전동식 워터 펌프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ⅰ)상기 침출수가 배출될 수 있는 밸브 통로를 지니며 상기 침출수 배출 통로 상에 장착되는 밸브 하우징과, ⅱ)상기 밸브 하우징과의 걸림이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중력에 의해 상기 밸브 통로를 개방하고,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밸브 통로를 폐쇄하는 밸브 바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밸브 통로와 중력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침출수 배출 통로에 상하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밸브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밸브 바디가 결합될 수 있는 스커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스커트부와 연결되는 장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는 상기 장착홀에 끼워지며 상기 중앙 부분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가이드 바아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아는 상단부에 상기 중앙 부분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헤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의 상단부에는 상기 침출수 배출 통로 상에 후크 결합될 수 있는 고정 클립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에는 오-링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단면 직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에 의하면, 자중 및 외력에 의해 밸브 하우징의 밸브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 바디를 구성하므로, 실링유닛을 통해 모터실로 누수되며 침출수 배출 통로로 유입되는 침출수를 펌프 바디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외부의 물이 침출수 배출 통로를 통해 모터실의 내부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침출수로 인한 베어링 등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 하우징을 이의 고정 클립을 통해 펌프 바디의 침출수 배출 통로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전체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침출수 배출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침출수 배출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침출수 배출장치(100)는 전기식으로 작동하며 냉각수를 펌핑하고 그 냉각수를 차량의 냉각이 필요한 부분으로 압송할 수 있는 전동식 워터 펌프(200)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동식 워터 펌프(200)는 연료전지 차량, 하이브리드 차량, 및 일반적인 내연기관 차량 등에 구성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연료 전지 차량에서 연료 전지 스택을 냉각시키기 위한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동식 워터 펌프(200)는 기본적으로, 고정자와 회전자를 구성하는 모터실(110)과, 냉각수를 펌핑하는 펌프실(120)로 구분되며, 모터실(110)과 펌프실(120)이 구획 형성되는 펌프 바디(111)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 바디(111)는 모터실(110)을 이루는 케이스(112a)와, 펌프실(120)을 이루며 케이스(112a)에 결합되는 커버(11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모터실(110)과 펌프실(120)은 그 펌프실(120)에서의 냉각수가 모터실(110)로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한 실링유닛(130: 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미케니컬 씰" 이라고 한다)을 통해 구분될 수 있으며, 그 실링유닛(130)은 모터실(110)과 펌프실(120)로 연결되는 샤프트(14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실(120)에서 샤프트(140)에는 냉각수를 가압하기 위한 임펠러(15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200)에 있어 언급한 바 있는 펌프 바디(111)의 케이스(112a: 이하에서는 편의 상 "펌프 바디"라고 한다)에는 펌프실(120)에서 실링유닛(130)을 통해 모터실(110)로 누수되는 침출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침출수 배출장치(100)가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침출수 배출장치(100)는 실링유닛(130)을 통해 누수되는 침출수를 펌프 바디(11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그 펌프 바디(111)에 형성되는 침출수 배출 통로(160)에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침출수 배출장치(100)는 침출수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고, 워터펌프(200)의 외부에서 물이 침출수 배출 통로(160)를 통해 펌프 바디(111)의 내부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침출수 배출장치(100)는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면서 펌프 바디(111)에 더욱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밸브 하우징(10)과 밸브 바디(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하우징(10)은 펌프 바디(111)에 형성되는 침출수 배출 통로(160)에 장착되며, 침출수 배출 통로(160)를 통해 배출되는 침출수가 유입될 수 있는 밸브 통로(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하우징(10)은 펌프 바디(111)의 침출수 배출 통로(160)에 대하여 밸브 통로(11)와 중력 방향이 일치하도록 그 침출수 배출 통로(160)에 상하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 하우징(10)은 통로부(21)와 스커트부(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상기 통로부(21)는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밸브 통로(11)를 형성한다.
즉, 상기 통로부(21)는 밸브 하우징(10)의 상측에 형성되며, 복수의 밸브 통로(11)가 중앙 부분에 대하여 방사 상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밸브 통로(11)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스커트부(31)와 연결되게 형성되는 바, 통로부(21)의 중앙 부분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리브(27)를 통해 구획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로부(21)의 중앙 부분에는 스커트부(31)와 연결되는 장착홀(25)이 형성되는 바, 이 장착홀(25)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밸브 바디(60)와 결합되는 가이드 바아(41)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가이드 바아(41)는 통로부(21)의 장착홀(25)에 끼워지며 그 통로부(21)의 중앙 부분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바, 그 가이드 바아(41)의 상단부에는 통로부(21)의 중앙 부분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헤드(4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스커트부(31)는 통로부(21)의 하단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결되며, 뒤에서 더욱 설명될 밸브 바디(6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스커트부(31)는 고깔 형태로서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바디(60)는 밸브 하우징(10)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그 밸브 하우징(10)의 밸브 통로(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밸브 바디(60)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가이드 바아(41)가 통로부(21)의 장착홀(25)에 끼워지며 그 가이드 바아(41)의 걸림 헤드(43)가 통로부(21)의 중앙 부분과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로, 가이드 바아(41)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 바디(60)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밸브 하우징(10)의 스커트부(31)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예를 들면 스커트부(31)의 형상에 대응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그 단면 직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밸브 바디(60)는 통로부(21)의 장착홀(25)에 끼워지는 가이드 바아(41)에 결합되는 바, 그 가이드 바아(41)의 걸림 헤드(43)가 통로부(21)의 중앙 부분과 걸림이 이루어지므로, 평상 시 자중에 의해 하측 방향(중력 방향)으로 이동하며 스커트부(3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통로부(21)의 밸브 통로(11)를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링유닛(130)을 통해 누수되며 펌프 바디(111)의 침출수 배출 통로(160)로 유입되는 침출수는 통로부(21)의 밸브 통로(1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바디(60)는 위와 같은 상태에서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그 외력에 의해 상측 방향(중력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스커트부(31)에 결합됨으로써 통로부(21)의 밸브 통로(11)를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력은 예컨대 워터 펌프(200)의 침수 시, 펌프 바디(111)의 침출수 배출 통로(160)로 유입(역류)되는 물의 압력(펌프 내외부의 압력차) 및 외부의 물에 의한 밸브 바디(60)의 부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 펌프(200)의 침수 시, 펌프 바디(111)의 침출수 배출 통로(160)로 유입(역류)되는 물은 밸브 바디(60)가 중력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스커트부(31)에 결합됨으로써 통로부(21)의 밸브 통로(11)가 폐쇄되기 때문에 모터실(110)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밸브 하우징(10)의 상단부에는 펌프 바디(111)의 침출수 배출 통로(160)에 체결될 수 있는 고정 클립(8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클립(80)은 밸브 하우징(10)의 통로부(21)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바, 침출수 배출 통로(160)에 형성된 결착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 가장자리에 대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진 돌기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 클립(80)에는 오-링(85)이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오-링(85)은 침출수 배출 통로(160)와 통로부(21)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실리콘 고무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100)의 작동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 밸브 바디(60)는 평상 시, 도 3에서와 같이 자중에 의해 하측 방향(중력 방향)으로 이동하며 스커트부(31)로부터 분리되면서 통로부(21)의 밸브 통로(11)를 개방하고 있다.
여기서, 가이드 바아(41)는 이의 걸림 헤드(43)가 통로부(21)의 중앙 부분과 걸림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실링유닛(130)을 통해 누수되며 펌프 바디(111)의 침출수 배출 통로(160)로 유입되는 침출수는 통로부(21)의 밸브 통로(1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워터 펌프(200)가 침수되는 등으로 인해 외부의 물이 펌프 바디(111)의 침출수 배출 통로(160)로 유입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 밸브 바디(60)는 도 4에서와 같이 물에 의해 상측 방향(중력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밸브 하우징(10)의 스커트부(31)에 결합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 바디(60)가 스커트부(31)에 결합됨으로 통로부(21)의 밸브 통로(11)가 폐쇄되기 때문에, 외부의 물은 펌프 바디(111)의 침출수 배출 통로(160)를 통해 모터실(110)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100)는 자중 및 외력에 의해 밸브 하우징(10)의 밸브 통로(11)를 개폐하는 밸브 바디(60)를 구성하므로, 실링유닛(130)을 통해 모터실(110)로 누수되며 침출수 배출 통로(160)로 유입되는 침출수를 펌프 바디(111)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외부의 물이 침출수 배출 통로(160)를 통해 모터실(110)의 내부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실링유닛(130)을 통해 모터실(110)로 누수되는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외부의 물이 모터실(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모터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침출수로 인한 베어링 등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 하우징(10)을 이의 고정 클립(80)을 통해 펌프 바디(111)의 침출수 배출 통로(160)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전체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침출수 배출장치(100)는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200)에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용 제어기류 및 램프류 등에 적용되면서 작은 면적 대비 통기성이 우수하고, 제어기 등의 열 방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밸브 하우징 11... 밸브 통로
21... 통로부 25... 장착홀
27... 리브 31... 스커트부
41... 가이드 바아 43... 걸림 헤드
60... 밸브 바디 80... 고정 클립
85... 오-링 110... 모터실
111... 펌프 바디 120... 펌프실
130... 실링유닛 140... 샤프트
150... 임펠러 160... 침출수 배출 통로

Claims (9)

  1. 모터실과 펌프실로 구획 형성되는 펌프 바디와, 실링유닛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모터실과 펌프실로 연결되는 샤프트와, 상기 펌프실에서 샤프트에 장착되는 임펠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링유닛을 통하여 상기 펌프실에서 모터실로 누수되는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침출수 배출 통로가 상기 펌프 바디에 형성되어 있는 전동식 워터 펌프에 있어서,
    상기 침출수가 배출될 수 있는 밸브 통로를 지니며 상기 침출수 배출 통로 상에 별도로 장착되는 밸브 하우징; 및
    상기 밸브 하우징과의 걸림이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중력에 의해 상기 밸브 통로를 개방하고,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밸브 통로를 폐쇄하는 밸브 바디
    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밸브 통로와 중력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침출수 배출 통로에 상하 방향으로 장착되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밸브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밸브 바디가 결합될 수 있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스커트부와 연결되는 장착홀이 형성되는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는,
    상기 장착홀에 끼워지며 상기 중앙 부분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가이드 바아가 결합되는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아는 상단부에 상기 중앙 부분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헤드를 형성하는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의 상단부에는 상기 침출수 배출 통로 상에 후크 결합될 수 있는 고정 클립이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에는 오-링이 설치되는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단면 직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
KR1020100112815A 2010-11-12 2010-11-12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 KR101234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815A KR101234647B1 (ko) 2010-11-12 2010-11-12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815A KR101234647B1 (ko) 2010-11-12 2010-11-12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397A KR20120051397A (ko) 2012-05-22
KR101234647B1 true KR101234647B1 (ko) 2013-02-19

Family

ID=4626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815A KR101234647B1 (ko) 2010-11-12 2010-11-12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6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7571A (ja) * 2007-11-26 2009-06-11 Yamada Seisakusho Co Ltd ウォータポン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7571A (ja) * 2007-11-26 2009-06-11 Yamada Seisakusho Co Ltd ウォータ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397A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7647B2 (en) Electronic water pump with cooling unit for vehicles
CN100554661C (zh) 带有冷却剂保养系统的机油-冷却剂-模块
US9618011B2 (en) Electric water pump with coolant passage
JP2011052569A (ja) ウォータポンプ及びその組付方法
US10024219B2 (en) Engine system having coolant control valve
JP2013504717A (ja) 機械的な冷却材ポンプ
US9255616B2 (en) Fan clutch for vehicle
KR20100011279A (ko) 차량용 유체 팬 클러치
CN106609714A (zh) 混合动力车的防水进气系统
KR20090110645A (ko) 차량용 바이메탈 팬클러치
KR101234647B1 (ko)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
KR101189242B1 (ko)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
US20070269320A1 (en) Fuel Pump
CN109425122B (zh) 车辆用冷却剂加热装置
KR20100051512A (ko) 주행풍에 의해 동작하는 드레인 밸브를 구비한 차량용 물저장장치
CN105715698A (zh) 一种风扇离合器总成
US9254905B1 (en) Cooling fluid pump for cooling a marine engine
KR20120051522A (ko)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침출수 배출장치
CN213185731U (zh) 一种电机散热装置和管道泵
WO2008014556A1 (en) Electric pump-motor design
KR101142629B1 (ko) 전수로형 배수 펌프
CN113153705A (zh) 一种具有防水透气结构的隔膜泵
KR101558347B1 (ko)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증기 배출장치
KR101456597B1 (ko) 전동식 워터 펌프의 모터 접속 구조
JP5470803B2 (ja) 局部洗浄用の温水タン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