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113B1 -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동적 간섭 관리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동적 간섭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113B1
KR101234113B1 KR1020107028321A KR20107028321A KR101234113B1 KR 101234113 B1 KR101234113 B1 KR 101234113B1 KR 1020107028321 A KR1020107028321 A KR 1020107028321A KR 20107028321 A KR20107028321 A KR 20107028321A KR 101234113 B1 KR101234113 B1 KR 101234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wireless communications
metric
transmissions
process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0257A (ko
Inventor
산토쉬 아브라함
아나스타샤스 스타모울리스
아쉬윈 삼파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20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동적 간섭 관리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이 개시된다. 무선 네트워크 내의 노드는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1 노드가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동적 간섭 관리{DYNAMIC INTERFERENCE MANAGEMENT FOR WIRELESS NETWORKS}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그러나 비-배타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들에서의 동적 간섭 관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IEEE 802.11 등과 같은 무선 랜(WLAN)의 이용에 있어서 대단한 성장이 있어 왔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이 보다 널리 퍼지게 되고 서로 보다 근접하게 동작하기 시작하면서, 주파수 재사용은 효율적인 매체 활용을 보장하기 위해 점점 더 중요해 질 것이다. 현재, 몇몇 WLAN들에서의 패킷 충돌들을 회피하고 간섭을 줄이기 위해 송신/수신 노드 쌍의 근처에 있는 모든 노드들이 송신/수신 쌍 사이에서 전송되는 프레임의 지속 기간 동안 모든 송신들을 중지하도록 요구되기 때문에, 특히 보다 큰 패킷들에 대해 주파수 재사용은 이러한 WLAN들에서 심각하게 제한된다. 그러나, 이러한 네트워크들에 있어서 완전한 주파수 재사용을 허용하게 되면 정전(outage)이 증가되고 시스템 내의 몇몇 노드들에 대한 처리량이 매우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정전 및 낮은 처리량과 같은 영향들을 완화시키면서 주파수 재사용의 이득을 결합하는 WLAN들에 있어서의 동적 간섭 관리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는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1 노드가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송신들을 중단(cease)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은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1 노드가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는 제 1 노드가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추가적인 양상에서, 통신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1 노드가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액세스 단말은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1 노드가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시스템 및 상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단말을 위해 백홀 접속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시스템은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1 노드가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통신 시스템의 다양한 양상들이 첨부된 도면들에서 예를 통해, 비제한적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이 명세서 및 도면들을 통해 유사한 특징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도면에서:
도 1은 무선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적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무선 네트워크의 단순화된 예를 도시하는 개념적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노드의 기능에 대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노드에 대한 처리 시스템의 기능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통례에 따라, 도면들에서 도시된 다양한 특징들은 네트워크들 및 네트워크-관련 엔티티들의 다양한 양상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의도되고, 청구 범위 내의 유일한 양상들을 표현하고자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면들은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관련 엔티티에 대해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기술된 네트워크들 및 네트워크-관련 엔티티들의 다양한 양상들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도 구현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잘-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본 개시내용을 통해 기술되는 다양한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도시된다.
하나 이상의 방법들 및 장치들의 다양한 양상들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본원의 교시들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과 본원에서 개시된 임의의 특정 구조, 기능, 또는 양자 모두는 단지 대표적인 것임이 명백해야 한다. 본원의 교시들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개시된 양상이 다른 양상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양상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제시된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제시된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부가하여 또는 이들 이외의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을 통해 기술되는 임의의 장치 또는 방법의 양상은 임의의 청구항의 단일 엘리먼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청구항들 내의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하나 이상의 방법들 및 장치들의 다양한 양상들은 IEEE 802.11 WLAN의 맥락에서 기술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을 통해 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이 네트워크 및 통신 프로토콜들의 광범위한 배열로 확장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IEEE 802.11 WLAN에 대한 임의의 언급은, 양상들이 다양한 응용들을 가진다는 점에 대한 이해와 함께, 단지 네트워크의 다양한 양상들을 예시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적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IEEE 802.11 네트워크와 같은 WLAN,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네트워크일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몇몇의 노드들(102)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고, 이러한 것들은 네트워크(100)의 특정 구성에 따라 이동가능하고/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노드(102)는 모바일 전화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랩탑 컴퓨터,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게임 콘솔,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100)에서 무선 접속을 지원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드들(102)은 본 개시내용을 통해 액세스 단말들로 지칭될 수 있지만, 당업자에 의해 핸드셋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용자 단말들, 사용자 장비, 이동국들, 모바일 유닛들, 가입자 유닛들, 가입자국들, 모바일 라디오들, 무선 전화기들, 무선국들, 무선 디바이스들, 또는 어떤 다른 용어로도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을 통해 기술되는 다양한 양상들은 이들의 특정 명칭에 상관없이 모든 액세스 단말들에 적용되도록 의도된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또한 몇몇의 인프라구조 노드들(104)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노드들은 고정-사이트 송수신국들로 도시되지만 다른 구성들에서는 모바일 노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노드들(104)은 본 개시내용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들로 지칭될 수 있지만, 당업자에 의해 노드B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들, e노드B들, 기지국 제어기(BSC)들, 기지 송수신국(BTS)들, 기지국(BS)들, 송수신기 기능(TF)들, 무선 라우터들, 무선 송수신기들, 기본 서비스 세트(BSS)들,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들, 무선 기지국(RBS)들, 또는 어떤 다른 적합한 용어로도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기술된 것처럼, 본 개시내용을 통해 기술된 다양한 개념들은 특정 명칭과 무관하게 모든 액세스 포인트들에 적용되도록 의도된다.
액세스 단말(102)은 액세스 포인트(104), 또는 네트워크(100) 내의 임의의 다른 액세스 단말(102)에,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노드들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중간 노드는 액세스 단말(102), 액세스 포인트(104), 또는 어떤 다른 네트워크 관련 엔티티일 수 있다. 무선 토폴로지는, 액세스 단말들(102)이 커버리지 영역을 통해 이동하고 액세스 포인트들(104)에 대한 부하가 변화함에 따라 접속을 유지시키도록 동적으로 재구성가능하다. 네트워크(100)의 일 구성에서, 액세스 포인트들(104)은 Wi-Max, 에벌루션-데이터 최적화(EV-DO), 울트라 모바일 광대역(UMB), 또는 어떤 다른 적합한 무선 표준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에서의 경우일 수 있는 것과 같이, 무선 광역 네트워크(WWAN)를 통해 분산될 수 있다. 네트워크(100)의 또 다른 구성에서, 액세스 포인트들(104)은 가정, 사무실 빌딩, 공항, 호텔, 커피숍, 또는 다른 적합한 사적 또는 공적 장소에서 WLAN을 통해 분산될 수 있다.
네트워크(100)의 지리학적 범위는 인터넷 등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WAN)(106)을 통해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임의의 수의 액세스 포인트들(104), 그리고 몇몇 경우들에서 액세스 단말들(102)은 다른 액세스 단말들을 위해 WAN(106)으로의 무선 백홀을 제공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단일한 액세스 포인트(104A)가 도 1에 도시되는 것처럼 유선 접속을 통해 WAN(106)으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임의의 수의 액세스 포인트들(104)이 WAN(106)으로의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가질 수 있다.
동적인 간섭 관리를 위한 방법의 예는 도 2에 관해 도시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는 도 1의 무선 네트워크(100)와 유사한, 네트워크의 단순화된 버전을 도시하고, 여기서 노드들(Tj, Rj, 및 k(k1-k3))은 도 1에서 노드들(102 및 104)로 지정된 무선 노드들 중 임의의 것을 표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들에서, "Tj"로 지정된 노드는 송신하는 노드이고, "Rj"로 지정된 노드는 송신하는 노드(Tj)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노드이다. 그러나 송신 노드 및 수신 노드 양자 모두는 송신 기능 및 수신 기능 양자 모두를 수행할 수도 있다. 노드들의 근접성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에 따라, 임의의 노드들(k)에 의한 송신은 잠재적으로 수신 노드(Rj)에서의 수신과 간섭할 수 있다.
수신 노드(Rj)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송신 노드(Tj)는 어떤 시간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요청하는 수신 노드(Rj)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매체(채널)를 예약(reserve)한다. 수신 노드(Rj)가 이러한 시간에 송신을 수락할 수 있는 경우, 수신 노드(Rj)는 승인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 요청에 응답하고 송신 노드(Tj)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수신 노드(Rj)가 송신 노드(Tj)로 승인 메시지를 송신할 때 근처의 노드들(k1-k3) 또한 승인 메시지를 "청취(hear)"(감지)한다. 근처의 노드들(k1-k3)이 승인 메시지를 감지할 때, 이들 각각은 송신 노드(Tj)가 수신 노드(Rj)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동안 사일런트(silent) 상태로 남아 있어야 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노드들(k1-k3)은 이하 설명되는 것처럼 수신 노드(Rj)에서의 수신과 간섭할 가능성에 기초하여 이러한 결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각각의 노드(k)는 노드(k)가 송신 노드(Tj)와 수신 노드(Rj) 사이의 송신과 간섭하지 않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항(term)(qkj)에 기초하여 송신 노드(Tj)로부터 수신 노드(Rj)로의 송신 동안 사일런트 상태로 남아 있어야 할지(즉,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항(qkj)은 (1) 송신 노드(Tj)와 수신 노드(Rj) 사이의 하나 이상의 채널 파라미터들에 관한 메트릭, 및 (2) 노드(k)와 수신 노드(Rj) 사이의 경로 손실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채널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송신 노드(Tj)와 수신 노드(Rj) 사이의 채널 이득, 수신 노드(Rj)에서의 요구되는 신호-대-잡음 비(SN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노드(Tj)와 수신 노드(Rj) 사이의 채널 이득이 높고, 수신 노드(Rj)에서의 요구되는 SNR이 낮으며, 노드(k)와 수신 노드(Rj) 사이의 경로 손실이 높은 경우, 노드(k)에 의한 송신이 송신 노드(Tj)와 수신 노드(Rj) 사이의 송신과 간섭할 가능성은 낮다. 역으로, 송신 노드(Tj)와 수신 노드(Rj) 사이의 채널 이득이 낮고, 수신 노드(Rj)에서의 요구되는 SNR이 높으며, 노드(k)와 수신 노드(Rj) 사이의 경로 손실이 낮은 경우, 노드(k)에 의한 송신이 송신 노드(Tj)와 수신 노드(Rj) 사이의 송신과 간섭할 가능성은 높다.
항(qkj)을 결정하기 위한 수식에 대한 예가 이제 아래에서 식 1 및 식 2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다음의 식들에서, γ는 수신 노드(Rj)에서의 요구되는 SNR을 나타내고; hjj는 송신 노드(Tj)와 수신 노드(Rj) 사이의 채널 이득을 나타내며; hkj는 노드(k)와 수신 노드(Rj) 사이의 경로 손실을 나타낸다. 이러한 항들을 이용하여, 송신 노드(Tj)와 수신 노드(Rj) 사이의 신호 전력은 (hjj)(γ)에 의해 표현될 수 있고 수신 노드(Rj)에서의 전체 간섭은 (hkj)(qkj)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수신 노드(Rj)에서의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신호 전력은 수신 노드(Rj)에서의 전체 간섭보다 커야 함이 요구된다. 따라서, 모든 k에 대해, 다음이(식 1) 요구된다:
Figure 112010083082387-pct00001
식 1로부터, qkj에 대한 다음의 수식이 다음과 같이(식 2)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10083082387-pct00002
여기서 f는 로그 함수와 같은 단조 증가 함수이고, g()는 수신 노드(Rj)의 근접도(neighborhood)에 의존할 수 있는 함수이다. 이러한 예에서, qkj=0인 경우, 송신 노드(Tj)로부터 수신 노드(Rj)로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 동안 노드(k)는 사일런트 상태이다. 역으로 qkj=1인 경우, 송신 노드(Tj)로부터 수신 노드(Rj)로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 동안 노드(k)는 송신할 수 있다. qkj가 0과 1 사이인 경우, 노드(k)가 사일런트 상태이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임계값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k)는 qkj<0.5인 경우 사일런트 상태일 수 있고, qkj>0.5인 경우 송신할 수 있다. 임의의 노드(k)에 대해 이용되는 정확한 수식 및/또는 임계값은 전체 시스템에 부가되는 전체 설계 제한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노드(k)는 수신 노드(Rj)로부터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그 자신과 수신 노드(Rj) 사이의 경로 손실 hkj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노드(Rj)로부터의 패킷이 일정한 송신 전력으로 송신되는 경우, 노드(k)는 전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력으로부터 노드(k)와 수신 노드(Rj) 사이의 이득, 또는 경로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송신 노드(Tj)와 수신 노드(Rj) 사이의 하나 이상의 채널 파라미터들에 관한 메트릭이 수신 노드(Rj)에 의해 노드(k)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채널 파라미터들이 수신 노드(Rj)에 의해 노드(k)로 제공될 수 있다. 이전에 기술된 것처럼, 채널 파라미터들은 송신 노드(Tj)와 수신 노드(Rj) 사이의 채널 이득(hjj) 및 수신 노드(Rj)에서의 요구되는 SNR γ를 포함할 수 있다. 메트릭, 또는 채널 파라미터들은 수신 노드(Rj)에 의해 송신 노드(Tj)로 전송되는 승인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메트릭, 또는 채널 파라미터들은 공통 채널 상에서 별개의 브로드캐스트에서, 전용 오버헤드 채널 상에서 노드(k)로의 송신에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수단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몇몇 구성들에서, 노드(k)가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 쌍(Tj, Rj) 사이의 메트릭, 또는 하나 이상의 채널 파라미터들을 수신할 때, 노드(k)는 장래의 이용을 위해 메모리에 메트릭, 또는 채널 파라미터(들)를 저장할 수 있다. 수신된 메트릭 또는 채널 파라미터(들)는 소스 및 목적지 어드레스들, 또는 승인 메시지 또는 다른 브로드캐스트에서의 송신 및 수신 노드 쌍(Tj, Rj)의 다른 식별자들에 따라 저장될 수 있다. 검색(look-up) 테이블은 주변에 있는 모든 송신 및 수신 노드 쌍(Tj, Rj)들에 대해 메트릭, 또는 채널 파라미터(들)를 이용하여 노드(k)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노드(k)는 단지 송신 노드(Tj)로부터의 송신 시간을 나타내는 브로드캐스트를 수신 노드(Rj)로부터 수신할 필요가 있다. 노드(k)가 또한 동일한 시간에 송신하도록 스케줄링 되어 있는 경우, 그것은 송신 및 수신 노드 쌍(Tj, Rj)에 대한 메트릭, 또는 채널 파라미터(들)를 리트리빙(retrieve)하기 위해 메모리에 신속히 액세스할 수 있고, 항(qkj)을 계산할 수 있다. 계산된 항에 기초하여, 노드(k)는 그것의 스케줄링된 시간 동안 송신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을 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알고리즘은 애플리케이션 특정일 수 있고 다수의 다른 요인들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k)는 각각의 송신 및 수신 노드 쌍(Tj, Rj)에 대해 계산된 항(qkj)이 임계값(예를 들어, 0.5)을 넘어서는 경우, 또는 송신 및 수신 노드 쌍(Tj, Rj)들의 어떤 다수에 대해 계산된 항(qkj)이 임계값을 넘어서는 경우에만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계값은 고정되거나 또는 동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임계값은 각각의 송신 및 수신 노드 쌍(Tj, Rj)에 대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후자의 예로서 각각의 높은 우선순위 송신 및 수신 노드 쌍(Tj, Rj)에 대한 항(qkj)이 1이고 각각의 낮은 우선순위 송신 및 수신 노드 쌍(Tj, Rj)에 대한 항(qkj)이 0.5를 넘는 경우에만 노드(k)가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높은 우선순위 송신 및 수신 노드 쌍(Tj, Rj)은 텔레포니(telephony)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낮은 우선순위 송신 및 수신 노드 쌍(Tj, Rj)은 텍스트 메시징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각 노드(k)에 대해 송신 기준들을 쉽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노드의 기능에 대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노드(300)에 대한 다음 설명은 본질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각각의 블록의 기능을 넓게 규정한다. 단지 본원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개념들에 관한 기능만이 기술될 것이다. 당업자는 이러한 기능 블록들이 본원에서 기술되지 않는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노드(300)는 적어도 2개의 기능 블록들: 무선 인터페이스(302) 및 처리 시스템(304)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302)는 송신 및 수신 기능 양자 모두를 제공하는 송수신기로 구성될 수 있다. 송신 기능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반송파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신 기능은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 반송파를 복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302)는 또한 RF 프런트-엔드 처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타이밍 및 주파수 추정, 채널 추정, 터보 코딩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요약하면, 무선 인터페이스(302)는 노드(300)의 완전한 물리적 계층 구현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시스템(304)은, 홀로 또는 노드(300) 내의 다른 엔티티들과 조합하여, 물리적 계층 위의 모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처리 시스템(304)은 또한 물리 계층의 모두 또는 일부를 구현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용어로, 처리 시스템(304)은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302)의 송신 및 수신 기능들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처리 시스템(304)은 하나 이상의 송신 노드들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수신 노드들로 송신하고 있을 때 일정 시간 기간 동안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드(300)는 액세스 단말, 액세스 포인트, 릴레이 포인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기능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로 기능하는 노드(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06)는 디스플레이, 키패드, 스피커, 마이크로폰, 및/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킬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06)는 무선 인터페이스(302)에 의해 유지되는 무선 업링크 접속을 통해 처리 시스템(304)에 의해 송신 및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액세스 포인트로 기능하는 노드(300)는 액세스 단말들 및/또는 릴레이 포인트들과 임의의 적합한 수의 무선 다운링크 접속들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홀을 지원하도록 하나 이상의 업링크 접속들을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302)를 포함한다. 업링크 접속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릴레이 포인트로 무선 업링크 접속을 지원할 수 있고 또 다른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로 유선 업링크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처리 시스템(304)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처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IC)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IC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전기적 컴포넌트들, 광학적 컴포넌트들, 기계적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서 기술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IC 내부에, IC 외부에, 또는 양자 모두에 상주하는 코드들 또는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이러한 범용 프로세서는 임의의 기존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처리 시스템은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코드 또는 명령들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도록 하나 이상의 기계-판독가능 매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이와 다르게 지칭되더라도 명령들, 프로그램들, 코드, 또는 임의의 다른 전자 매체 컨텐츠를 의미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될 것이다.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ASIC의 경우와 같이, 프로세서와 통합된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가능 ROM (PROM), 삭제가능 PROM(EPROM),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휴대용 디스크, CD-ROM, DVD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신호를 인코딩하는 반송파 또는 송신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처리 시스템을 위해 기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몇몇 양상들에서 임의의 적합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관한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또는 기계-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처리 시스템(304)의 기능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러한 예에서, 처리 시스템(304)은 제 1 노드가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을 식별하기 위한 모듈(402), 및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404)을 포함한다.
상기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청구의 범위는 여기에 제시된 양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언어 청구항(language claim)들과 일관되도록 최광의의 범위에서 부합해야 하고, 여기에서 구성요소를 단수형으로 언급하더라도 그렇게 명시되지 않는 한 "하나 및 단지 하나"를 의미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그렇게 명시되지 않는 한, 용어 "몇몇"은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당업자에게 공지되거나 또는 이후에 공지될, 본 개시내용을 통해 기술된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균등한 모든 것들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명시적으로 통합되고 청구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본원에서 개시되는 어떠한 것도 그러한 개시내용이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으로 기재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공중에게 헌납하려는 것이 아니다. 어떠한 청구항 엘리먼트도, 이러한 구성요소가 "~하기 위한 수단"의 문구를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또는 방법 청구항의 경우 "~하기 위한 단계"를 사용하여 기재되지 않는 한, 35 U.S.C. 제 112 조, 제 6 패러그래프의 조항들 하에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36)

  1.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노드가 상기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송신들을 중단(cease)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3 노드에서의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제 3 노드 간의 경로 손실을 계산하고 그리고 송신을 중단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상기 계산된 경로 손실을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 이득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 2 노드에서의 요구되는 신호-대-잡음 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 2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킷에 포함된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 2 노드로부터의 메트릭에 기초하여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메트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시스템은 상기 메트릭을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 1 노드가 상기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노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메트릭에 기초하여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 1 노드 및 제 2 노드를 식별하고, 상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저장된 메트릭을 리트리빙(retrive)하기 위해 상기 제 1 노드 및 제 2 노드의 신원(identity)을 이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 이득 및 상기 제 2 노드에서의 요구되는 신호-대-잡음 비를 포함하고, 상기 메트릭은 상기 요구되는 신호-대-잡음 비에 대한 상기 채널 이득의 비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장치와 상기 제 2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및 상기 메트릭에 기초하여 항(term)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항에 기초하여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시스템은 상기 계산된 항을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2.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노드가 상기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제 3 노드에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 간의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의 결정은 상기 계산된 경로 손실에 추가로 기반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 이득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 2 노드에서의 요구되는 신호-대-잡음 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5. 삭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손실은 상기 제 2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킷에 포함된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드로부터 메트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메트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함 ―; 및
    상기 메트릭에 기초하여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릭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노드가 상기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된 메트릭은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 1 노드 및 제 2 노드를 식별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노드 및 제 2 노드의 신원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메트릭을 리트리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 이득 및 상기 제 2 노드에서의 요구되는 신호-대-잡음 비를 포함하고, 상기 메트릭은 상기 요구되는 신호-대-잡음 비에 대한 상기 채널 이득의 비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드에 대한 경로 손실 및 상기 메트릭에 기초하여 항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산된 항은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항을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산된 항과 상기 임계값 사이의 비교는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3.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노드가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제 3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계산된 경로 손실에 추가로 기초하여 이러한 결정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 이득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 2 노드에서의 요구되는 신호-대-잡음 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6. 삭제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손실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2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킷에 포함된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이러한 경로 손실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드로부터 메트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트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며, 상기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이러한 결정을 수행하는데 상기 메트릭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릭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노드가 상기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노드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이러한 결정을 수행하는데 상기 저장된 메트릭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 1 노드 및 상기 제 2 노드를 식별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노드 및 상기 제 2 노드의 신원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메트릭을 리트리빙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 이득 및 상기 제 2 노드에서의 요구되는 신호-대-잡음 비를 포함하고, 상기 메트릭은 상기 요구되는 신호-대-잡음 비에 대한 상기 채널 이득의 비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와 상기 제 2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및 상기 메트릭에 기초하여 항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이러한 결정을 수행하는데 상기 계산된 항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항을 임계값과 비교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이러한 결정을 수행하는데 상기 계산된 항과 상기 임계값 사이의 비교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4. 통신을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노드가 상기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시스템은 제 3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 간의 경로 손실을 계산하고, 송신을 중단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상기 계산된 경로 손실을 이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통신을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5. 액세스 단말로서,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노드가 상기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시스템 ― 상기 처리 시스템은, 제 3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 간의 경로 손실을 계산하고, 송신을 중단할지 결정하는데 있어서 상기 계산된 경로 손실을 이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및
    상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36. 액세스 포인트로서,
    액세스 단말을 위해 백홀 접속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시스템은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채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노드가 상기 제 2 노드로 송신하도록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송신들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처리 시스템은, 제 3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 간의 경로 손실을 계산하고, 송신을 중단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상기 계산된 경로 손실을 이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액세스 포인트.
KR1020107028321A 2008-05-16 2008-05-19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동적 간섭 관리 KR101234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22,480 US8498578B2 (en) 2008-05-16 2008-05-16 Dynamic interference management for wireless networks
US12/122,480 2008-05-16
PCT/US2008/064128 WO2009139781A1 (en) 2008-05-16 2008-05-19 Dynamic interference management for wireless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257A KR20110020257A (ko) 2011-03-02
KR101234113B1 true KR101234113B1 (ko) 2013-02-20

Family

ID=4035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321A KR101234113B1 (ko) 2008-05-16 2008-05-19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동적 간섭 관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98578B2 (ko)
EP (1) EP2298019B1 (ko)
JP (1) JP5373063B2 (ko)
KR (1) KR101234113B1 (ko)
CN (1) CN102017761B (ko)
TW (1) TW200950411A (ko)
WO (1) WO20091397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2459B2 (en) * 2010-10-06 2014-07-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joint scheduling of peer-to-peer links and wireless wide area network links in cellular networks
CN103270784B (zh) * 2011-01-28 2016-08-10 三菱电机株式会社 无线通信装置及无线通信系统
GB2493508B (en) * 2011-07-27 2014-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acket data network
US8842692B2 (en) 2011-09-06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multiple devices to share a data transmission period
US9544904B2 (en) 2013-05-03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use of a wireless medium for high efficiency wifi
US10306672B2 (en) 2013-05-03 2019-05-28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opportunity (TXOP) based channel reuse
US9729299B2 (en) 2013-05-03 2017-08-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on in dense wireless environments
US9537688B2 (en) 2013-07-05 2017-01-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lear channel assessment
US9860921B2 (en) * 2014-05-30 2018-01-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aggressive spatial re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2639A1 (en) * 2006-04-14 2007-10-18 Alexander Leonidov Overhead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008147A1 (en) * 2006-07-07 2008-01-10 Nec Corporation Wireless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2077A (en) 1995-11-13 1998-03-24 Lucent Technologies Inc. Resource allocation system for wireless networks
US6295285B1 (en) 1997-04-17 2001-09-25 Lucent Technologies Inc. Global packet dynamic resource allocation for wireless networks
US6967944B2 (en) 2001-03-30 2005-11-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creasing link capacity via concurrent transmissions in centralized wireless LANs
JP4407126B2 (ja) * 2003-01-09 2010-02-03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971540B1 (ko) 2003-02-03 2010-07-21 소니 주식회사 통신방법 및 통신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080144493A1 (en) 2004-06-30 2008-06-19 Chi-Hsiang Yeh Method of interference management for interference/collision prevention/avoidance and spatial reuse enhancement
US7609670B2 (en) 2004-09-29 2009-10-27 Mest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low-overhead, high spatial reuse medium access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CN100477613C (zh) 2004-11-25 2009-04-08 都科摩(北京)通信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基于网络分配矢量表的分布式无线接入方法和设备
US7885287B2 (en) 2005-03-29 2011-02-0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network allocation
JP4838316B2 (ja) 2005-10-26 2011-12-14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ソース利用マスクを用いた無線チャネルの加重公平共有
US20070201412A1 (en) 2006-02-28 2007-08-30 Lusheng Ji Protocol for improved utilization of a wireless network using interference estimation
US7756055B2 (en) 2006-05-05 2010-07-13 Roke Manor Research Limited Method of transmission
US8416762B2 (en) * 2006-08-07 2013-04-09 Qualcomm Incorporated Message exchange scheme for a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US20110003280A1 (en) 2008-02-29 2011-01-06 Sysmex Corporatrion Immunoassay apparatus and immunoassay method
JP2010081360A (ja) 2008-09-26 2010-04-08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1555557B1 (ko) 2008-12-29 2015-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의 아이들 상태 동작 방법
TWI387381B (zh) 2009-08-14 2013-02-21 Ind Tech Res Inst 基於鄰近覺察之同時傳輸的媒介存取控制協定裝置與方法
CN102656941B (zh) 2009-11-13 2015-03-25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多信道无线通信
KR101341192B1 (ko) 2010-02-09 201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에서 채널 접근 방법 및 장치
EP2534772B1 (en) 2010-02-10 2019-12-18 Marvell World Trade Ltd. Transmission prote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9025544B2 (en) 2010-02-10 2015-05-05 Lg Electronics Inc. Channel access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8355389B2 (en) 2010-03-12 2013-01-15 Nokia Corporation Simultaneous transmissions during a transmission opportunity
US8842692B2 (en) 2011-09-06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multiple devices to share a data transmission peri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2639A1 (en) * 2006-04-14 2007-10-18 Alexander Leonidov Overhead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008147A1 (en) * 2006-07-07 2008-01-10 Nec Corporation Wireless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98019B1 (en) 2020-01-08
US20090286481A1 (en) 2009-11-19
JP2011521554A (ja) 2011-07-21
US8498578B2 (en) 2013-07-30
WO2009139781A1 (en) 2009-11-19
JP5373063B2 (ja) 2013-12-18
CN102017761A (zh) 2011-04-13
KR20110020257A (ko) 2011-03-02
TW200950411A (en) 2009-12-01
CN102017761B (zh) 2013-11-13
EP2298019A1 (en)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113B1 (ko)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동적 간섭 관리
JP6147935B2 (ja) アクセスポイントとワイヤレスデバイスとの間のリンク確立に関するシグナリング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ときのオーバーヘッドを削減するための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ワイヤレスデバイス
US95449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use of a wireless medium for high efficiency wifi
EP2436206A2 (en) Communication access technology management
TW202008848A (zh) 無線通訊之方法及用於無線通訊之設備
CA2773551C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wlan radio receiver gain in a wireles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