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611B1 -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611B1
KR101231611B1 KR20110068413A KR20110068413A KR101231611B1 KR 101231611 B1 KR101231611 B1 KR 101231611B1 KR 20110068413 A KR20110068413 A KR 20110068413A KR 20110068413 A KR20110068413 A KR 20110068413A KR 101231611 B1 KR101231611 B1 KR 101231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hollow
wire line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68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834A (ko
Inventor
김영조
Original Assignee
김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조 filed Critical 김영조
Priority to KR20110068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611B1/ko
Priority to PCT/KR2012/005500 priority patent/WO2013009094A2/ko
Publication of KR2013000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완구, 도어락, 가전기기 등과 같은 각종 기기나 장치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건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작동완구, 도어락, 가전기기 등과 같은 각종 기기나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소모품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건전지를 대체하여 영구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대체가능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기기나 장치에 장착되는 전원용 건전지를 대체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충전용 휴대폰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폰 거치대; 상기 휴대폰 배터리와 연결되는 전원젠더; 및 상기 전원젠더와 연결되면서 휴대폰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모형건전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을 통해 주변에 회수가능하며 고가이면서 수명이 긴 휴대폰 폐배터리나 거치대 등을 재활용하여 구성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를 기기나 장치에 장착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건전지 소모에 따른 비용절감 및 폐배터리나 거치대의 재활용을 통한 경제적 효과 및 수많은 폐배터리의 재활용을 통해 이를 폐기처분시 발생될 수 있는 환경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기기나 장치에 형성된 건전지함에 장착가능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모형건전지 조립체의 전원커넥터의 전선라인을 직접 각종 기기나 장치와 납땜 등으로 배선연결되어 구동전압을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기기나 장치에 건전지등의 대체용으로 활용될 뿐 아니라, 신규로 제작되는 기기나 장치에는 직접 전원구동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The connection device for replacing dry cell}
본 발명은 작동완구, 도어락, 가전기기 등과 같은 각종 기기나 장치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건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작동완구, 도어락, 가전기기 등과 같은 각종 기기나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소모품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건전지를 대체하여 반영구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대체가능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 있어, 작동완구, 도어락, 가전기기, 학습기기 등과 같은 많은 기기나 장치 등이 주변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기기나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전원은 대부분 일정 전압을 갖도록 소모용 건전지 또는 충전지를 2개 내지 8개 등이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모용 건전지나 충전지의 경우 용량의 한계로 주기적으로 교체를 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이 상당할 뿐 아니라, 건전지나 충전지 등의 수명이 다하는 경우에 폐기시에 발생될 수 있는 환경문제도 역시 또 다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계적으로 살펴보면, 전 세계적으로 1년에 사용되는 건전지는 약 30만 톤으로 전지 1개 무게를 40그램으로 가정하면 1년에 약 75억 개의 건전지가 쓰이고 있는 셈이다. 이 중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약 1만 5,000톤, 약 10억 개의 건전지가 판매되거나 사용되고 있다.
건전지는 한번 사용 후 폐기되는 1차 건전지와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2차 건전지로 나뉘는데, 1차 전지에는 전체 전지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망간 건전지와 알카라인 건전지, 2차 건전지에는 니켈카드뮴 전지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전지, 산화은 전지, 수은 전지 등이 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1차 건전지의 경우 납과 수은 등의 유해물질은 거의 없지만 망간·아연·철·니켈 등을 포함하고 있어 그대로 매립하게 되면 토양과 지하수가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소각시 망간과 아연 등을 함유한 배기가스로 인하여 대기가 심각하게 오염되기도 하는데, 이보다 더 큰 문제는 1차 건전지와 2차 충전지를 구분하지 못하고 수은과 카드뮴 등의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2차 충전지까지 생활쓰레기로 버리고 있다는 점이다. 토양과 지하수, 공기 등이 오염될 경우 오염된 환경은 인간에게도 고스란히 영향을 미쳐 망간폐렴, 카드뮴 중독, 수은중독 등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수은 전지의 경우 생산과 수입이 금지돼 있으나 중국과 동남아산 건전지가 아이들 장난감 등에 내장되어 들어와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전지의 폐기시 환경문제는 더욱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많은 기기나 장치마다 각각 장착되는 건전지나 충전지의 사이즈는 다양할 수 있는데, 건전지등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기나 장치에 사용되던 건전지 등의 굵기나 사이즈에 맞추어서 그에 매칭되는 건전지를 사용해야만 구동할 수 있는 불편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변에서 회수가능하며 수명이 길며 충전가능한 고가의 휴대폰 폐배터리나 상기 휴대폰 폐배터리 거치대 등을 재활용하여 기존 또는 신규로 제작되는 기기나 장치에 장착가능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에 건전지 등을 구동전원으로 제작된 기기나 장치에 아답타나 축전지 등으로 연결하여 전원을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 전원인 소모용 건전지등을 대체시켜 기기나 장치에 전원을 반영구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기나 장치에 형성된 건전지함에 장착되는 건전지의 굵기나 길이 사이즈에 무관하게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기기나 장치에 장착되는 전원용 건전지를 대체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충전용 휴대폰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폰 거치대; 상기 휴대폰 배터리와 연결되는 전원젠더; 및 상기 전원젠더와 연결되면서 휴대폰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모형건전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모형건전지 조립체에는, 상기 전원젠더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커넥터가 구성되며, 상기 전원커넥터에는 각종 기기나 장치와 연결되어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전선라인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형건전지 조립체에는, 상기 전원젠더와 연결되며, 전선라인이 포함된 전원커넥터; 상기 전원커넥터의 전선라인이 인입되는 중공형상의 모형건전지본체; 건전지의 전체길이를 신축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모형건전지본체와 나사결합된 길이조절탭; 상기 모형건전지본체에 인입되는 전선라인을 압착고정시키도록 압착부를 가지며, 상기 압착부와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형부를 포함하는 중공압착짹; 상기 중공압착짹을 상기 모형건전지본체의 일단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길이조절탭을 통해 삽입되어 중공압착짹의 원형부로 삽입되는 볼트; 및 상기 중공압착짹의 원형부로 삽입된 볼트를 조이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커넥터에는 구동전압을 선택하기 위하여 가변저항 또는 딥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압크기를 조절하는 전압셀렉터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폰 거치대와 전원젠더를 내장시키며, 상기 전원젠더와 연결되는 전원커넥터의 전선라인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홀이 형성된 외장케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형건전지 본체에는, 상기 모형건전지 본체를 뒤집는 경우에 상기 전선라인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모형건전지본체로 인입된 상기 전원커넥터의 전선라인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기기나 장치에 장착되는 전원용 건전지를 대체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축전지 또는 어댑터로부터 출력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축전지 또는 어댑터에 형성된 DC잭과 연결가능하며, 전선라인이 포함된 전원커넥터; 상기 전원커넥터의 전선라인이 인입되는 중공형상의 모형건전지본체; 건전지의 전체길이를 신축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모형건전지본체와 나사결합된 길이조절탭; 상기 모형건전지본체에 인입되는 전선라인을 압착고정시키도록 압착부를 가지며, 상기 압착부와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형부를 포함하는 중공압착짹; 상기 중공압착짹을 상기 모형건전지본체의 일단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길이조절탭을 통해 삽입되어 중공압착짹의 원형부로 삽입되는 볼트; 및 상기 중공압착짹의 원형부로 삽입된 볼트를 조이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은 주변에 회수가능하며 고가이면서 수명이 긴 휴대폰 폐배터리나 거치대 등을 재활용하여 구성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를 기기나 장치에 장착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건전지 소모에 따른 비용절감 및 폐배터리나 거치대의 재활용을 통한 경제적 효과 및 수많은 폐배터리의 재활용을 통해 이를 폐기처분시 발생될 수 있는 환경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의 기기나 장치에 형성된 건전지함에 장착가능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전원커넥터의 전선라인을 직접 납땜 등을 통하여 각종 기기나 장치와 배선연결되어 구동전압을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기기나 장치에 건전지등의 대체용으로 활용될 뿐 아니라, 신규로 제작되는 기기나 장치에는 직접 전원구동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인 모형건전지조립체를 기기나 장치에 형성된 건전지함 에 장착하고 전원커넥터를 기존의 아답타나 축전지 등으로 연결하여 전원을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 전원인 소모용 건전지등을 대체시켜 기기나 장치에 전원을 반영구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네 번째로, 기존의 기기나 장치에 형성된 건전지함의 길이나 굵기에 대응하여 동일한 사이즈의 건전지를 장착되야만 했던 불편을 모형건전지 조립체의 길이조절탭을 이용하여 건전지함에 장착되는 건전지의 굵기나 길이에 무관하게 신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폐배터리를 이용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의한 모형건전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건전지 조립체의 전원커넥터에 구성된 전압셀렉터의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형건전지 조립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폐배터리를 이용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축전지를 이용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답타를 이용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는 기존에 제작되거나 신규로 제작되는 각종 기기나 장치에 장착되는 전원용 건전지를 대체하기 위한 연결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폐배터리를 이용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휴대폰 폐배터리를 이용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는 기존에 제작된 기기나 장치의 건전지함에 장착되는 모형건전지 조립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휴대폰 폐배터리를 이용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에는 충전용으로 사용되는 휴대폰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폰 거치대(100) 구성된다.
상기 휴대폰 배터리는 3.7V ~ 4.2V 출력을 갖는 일반적인 고가의 충전가능한 휴대폰용 폐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5V 전압을 출력하는 스마트폰용 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에는 상기 휴대폰 거치대(100)의 내장된 휴대폰배터리와 연결되는 전원젠더(200)가 구성되며, 상기 전원젠더(200)는 휴대폰배터리에 매칭되는 일반적으로 24핀을 갖는 전원젠더(20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에는 상기 전원젠더(200)와 연결되면서 휴대폰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모형건전지 조립체(3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휴대폰 거치대(100)와 전원젠더(200)를 내장시키며, 상기 전원젠더와 연결되는 모형건전지 조립체(300)의 전원커넥터(300a)의 전선라인(300a-1)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홀(400a)이 형성된 외장케이스(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외장케이스(400)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모형건전지 조립체(300)를 기존 기기나 장치의 건전지함에 장착하면서, 외장케이스(400)에 내장된 휴대폰 거치대(100)는 주기적으로 뚜껑(400b)을 개폐하면서 착탈시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의한 모형건전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100)에 내장된 휴대폰 배터리에 연결되는 모형건전지 조립체(300)에는 상기 휴대폰 배터리와 연결되며, 전선라인(300a-1)이 포함된 전원커넥터(300a)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커넥터(300a)의 전선라인은 신축가능한 재질, 이를 테면 전화선과 같은 탄성재질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기존 작동완구와 같은 운행체의 내부 건전지함에 모형건전지 조립체(300)가 장착이 되는 경우에, 운행체의 움직임을 따라 함께 이동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전원커넥터(300a)의 전선라인(300a-1)은 신축가능한 재질이 바람직하며, 특히 기존 작동완구와 같은 운행체를 무선으로 조작하는 무선조절장치에 상기 모형건전지가 장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일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모형건전지 조립체(300)에는 상기 전원커넥터(300a)의 전선라인이 인입되는 중공형상의 모형건전지본체(300b)가 구성되며, 건전지의 전체길이를 신축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모형건전지본체(300b)와 나사결합된 길이조절탭(300c)이 구성된다.
따라서, 기존 기기나 장치의 건전지함에 장착되는 모형건전지 본체(300b)의 경우, 기존 장치등의 내부 건전지함에 장착되는 경우에 건전지의 사이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건전지함에 장착되는 표준건전지의 사이즈에 무관하게 장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게 되어, 기존의 건전지함에 장착되는 건전지나 충전지의 사이즈에 따라 대응되는 건전지 등을 장착해야만 했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모형건전지 조립체(300)에는 상기 모형건전지본체(300b)에 인입되는 전원커넥터(300a)의 전선라인(300a-1) 일단의 절연커버를 벗긴 구리선을 압착고정시키기 위한 압착부(300d-1)를 가지며, 상기 압착부와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형부(300d-2)를 포함하는 중공압착짹(300d)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전원커넥터(300a)의 전선라인(300a-1)을 압착고정하기 위하여 압착부(300d-1)에 전원라인(300a-1)을 넣고 니퍼나 터미널을 이용하여 압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압착짹(300d)을 상기 모형건전지본체(300b)의 일단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길이조절탭(300c)을 통해 삽입되어 중공압착짹의 원형부(300d-2)로 삽입되는 볼트(300e) 및 상기 중공압착짹의 원형부(300d-2)로 삽입된 볼트를 조이는 너트(300f)가 포함된다.
다시 말해, 길이조절탭(300c)에 형성된 홀(300c-1)과 모형건전지본체(300b)에 형성된 홀(300b-1)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300e)는 중공압착짹의 원형부(300d-2)로 삽입된 상태로 너트(300f)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모형건전지본체(300b)의 일단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전원커넥터(300a)에는 구동전압을 선택하기 위하여 가변저항 또는 딥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압크기를 조절하는 전압셀렉터(300a-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휴대폰 거치대(100)에 내장되는 휴대폰 배터리는 3.7V ~ 4.2V 출력을 갖는 일반적인 휴대폰용 폐배터리나 전류용량이 크고 5V의 전압을 출력하는 스마트폰용 배터리가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압을 기기나 장치에 가용되는 전압, 이를 테면 6V 정도로 승압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건전지 조립체의 전원커넥터에 구성된 전압셀렉터의 회로도이다.
일반 기기나 장치에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용 전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전원커넥터(300a)는 휴대폰 배터리에서 공급받는 전원을 각각의 기기등의 구동용 모터에 공급되는 전압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변경전압을 선택하기 위한 전압셀렉터(300a-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도시된 바를 참조할 때, 전압셀렉터(300a-2)의 회로부에서는 휴대폰 배터리에서 인가되는 전압은 변경되도록 설정되며, 출력용 전압은 1.5V에서 6V로 가변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어, 각각의 기기나 장치에 구동모터전압에 필요하도록 적합하게 출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변저항을 대체하여 딥스위치를 이용하여 출력전압을 가변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며, 참고적으로, 모터의 구동전압이 6V인 경우에 출력전압을 4.2V ~ 5V로 선택하게 하여 모터의 구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형건전지 조립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기존 작동완구나 도어락 등과 같은 기기나 장치에 구성된 건전지함이 2개의 건전지가 장착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모형건전지 조립체(300)의 사용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모형건전지 조립체(300)를 기존 작동완구등과 같은 기기의 내부 건전지함에 장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먼저 펀치나 간단한 도구 등을 이용해 건전지함에 모형건전지의 전선라인이 관통할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건전지함이 3개의 건전지가 장착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모형건전지 조립체(300)의 사용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모형건전지 조립체의 모형건전지 본체(300b)는 +/- 극을 가진 두개의 단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은 w장치의 건전지함에 삽입하는 경우에 한쌍의 모형건전지본체(300b)에서 하나의 모형건전지본체(300b)를 뒤집는 경우가 발생되어 전원커넥터(300a)의 전선라인(300a-1)이 꼬임 및 장착의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이렇게 모형건전지 본체(300b)를 뒤집는 경우에 전선라인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모형건전지본체(300b)로 인입된 상기 전원커넥터(300a)의 전선라인(300a-1)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부(300b-2)가 모형건전지본체(300b)에 더 형성된다.
즉, 기존 기기나 장치의 건전지함이 3개의 건전지가 장착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모형건전지 본체(300b)를 뒤집어 장착시키는 경우에 상기 모형건전지본체(300b)로 인입된 전원커넥터(300a)의 전선라인(300a-1)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부(300b-2)를 더 구성함으로써 전선라인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폐배터리를 이용한 건전지대체용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의 실시예의 구성은 앞서 기술된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나, 모형건전지 조립체의 구성에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해, 모형건전지 조립체(300)에는 전원젠더(20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커넥터(300a)가 구성되며, 상기 전원커넥터(300a)에는 각종 기기나 장치와 연결되어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전선라인(300a-1)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물론, 앞서 기술한 전압셀렉터 등이 장착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에 이미 건전지함의 건전지를 구동전압으로 하는 완성된 기기나 장치가 아닌, 신규로 제작하는 기기나 장치일 경우에는 모형건전지 본체(300b)등이 필요없이 직접 전원커넥터(300)의 전선라인(300a-1)으로 배선연결 및 납땜 등을 통해 기기나 장치의 전원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기존의 기기나 장치에 형성된 건전지함에 장착가능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전원커넥터의 전선라인을 직접 각종 기기나 장치와 연결되어 구동전압을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기기나 장치에 건전지등의 대체용으로 활용될 뿐 아니라, 신규로 제작되는 기기나 장치에는 직접 전원구동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축전지를 이용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답타를 이용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축전지를 이용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에는 DC잭이 형성된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로부터 출력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축전지에 형성된 DC잭과 연결되는 전원커넥터(300a)가 구성된다.
상기 전원커넥터에는 전원을 출력하는 전선라인이 포함되며, 상기 전선라인에 인가되는 구동전압을 선택하기 위하여 가변저항 또는 딥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압크기를 조절하는 전압셀렉터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도 8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어댑터를 이용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에는 DC잭이 형성된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로부터 출력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어댑터에 형성된 DC잭과 연결되는 전원커넥터(300a)가 구성된다.
상기 전원커넥터에는 전원을 출력하는 전선라인이 포함되며,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전선라인으로 인가되는 구동전압을 선택하기 위하여 가변저항 또는 딥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압크기를 조절하는 자체 전압셀렉터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커넥터는 모형건전지 조립체를 이루어서 기존의 기기나 장치에 형성된 건전지함에 장착가능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기존 전원인 소모용 건전지등을 대체시켜 기기나 장치에 전원을 반영구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신규로 제작하는 기기나 장치일 경우에는 모형건전지 본체등이 필요없이 직접 전원커넥터의 +/- 전선라인으로 배선연결 및 납땜 등을 통해 기기나 장치의 전원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어댑터 또는 축전지를 이용하여 기존의 기기나 장치에 형성된 건전지함에 장착가능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전원커넥터의 전선라인을 직접 각종 기기나 장치와 배선연결 및 납땜 등을 통하여 구동전압을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기기나 장치에 건전지등의 대체용으로 활용될 뿐 아니라, 신규로 제작되는 기기나 장치에는 직접 전원구동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들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이 전술한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100: 휴대폰 거치대 200: 전원젠더
300: 모형건전지 조립체 300a-1: 전선라인
300a-2: 전압셀렉터
300b: 모형건전지본체 300b-1: 홀
300b-2: 인출부
300c: 길이조절탭 300c-1: 홀
300d: 중공압착짹 300d-1: 압착부
300d-2: 원형부
300e: 볼트 300f: 너트
400: 외장케이스 400a: 홀
400b: 뚜껑

Claims (10)

  1. 각종 기기나 장치에 장착되는 전원용 건전지를 대체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충전용 휴대폰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폰 거치대;
    상기 휴대폰 배터리와 연결되는 전원젠더; 및
    상기 전원젠더와 연결되면서 휴대폰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전선라인이 포함된 전원커넥터와, 상기 전원커넥터의 전선라인이 인입되는 중공형상의 모형건전지본체와, 건전지의 전체길이를 신축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모형건전지본체와 나사결합된 길이조절탭과, 상기 모형건전지본체에 인입되는 전선라인을 압착고정시키도록 압착부를 가지며, 상기 압착부와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형부를 포함하는 중공압착짹과, 상기 중공압착짹을 상기 모형건전지본체의 일단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길이조절탭을 통해 삽입되어 중공압착짹의 원형부로 삽입되는 볼트 및 상기 중공압착짹의 원형부로 삽입된 볼트를 조이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형건전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건전지 본체에는,
    상기 모형건전지 본체를 뒤집는 경우에 상기 전선라인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모형건전지본체로 인입된 상기 전원커넥터의 전선라인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
  3. 각종 기기나 장치에 장착되는 전원용 건전지를 대체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DC잭이 형성된 축전지;
    상기 축전지로부터 출력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축전지에 형성된 DC잭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전원을 출력하는 전선라인이 포함되며, 상기 전선라인에 인가되는 구동전압을 선택하기 위하여 가변저항 또는 딥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압크기를 조절하는 전압셀렉터가 포함되어 구성된 전원커넥터;
    상기 전원커넥터의 전선라인이 인입되는 중공형상의 모형건전지본체;
    건전지의 전체길이를 신축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모형건전지본체와 나사결합된 길이조절탭;
    상기 모형건전지본체에 인입되는 전선라인을 압착고정시키도록 압착부를 가지며, 상기 압착부와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형부를 포함하는 중공압착짹;
    상기 중공압착짹을 상기 모형건전지본체의 일단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길이조절탭을 통해 삽입되어 중공압착짹의 원형부로 삽입되는 볼트; 및
    상기 중공압착짹의 원형부로 삽입된 볼트를 조이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
  4. 각종 기기나 장치에 장착되는 전원용 건전지를 대체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출력전원의 구동전압을 선택하기 위하여 가변저항 또는 딥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압크기를 조절하는 전압셀렉터가 포함되며, DC잭이 형성된 어댑터;
    상기 어댑터로부터 출력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어댑터에 형성된 DC잭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전원을 출력하는 전선라인이 포함된 전원커넥터;
    상기 전원커넥터의 전선라인이 인입되는 중공형상의 모형건전지본체;
    건전지의 전체길이를 신축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모형건전지본체와 나사결합된 길이조절탭;
    상기 모형건전지본체에 인입되는 전선라인을 압착고정시키도록 압착부를 가지며, 상기 압착부와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형부를 포함하는 중공압착짹;
    상기 중공압착짹을 상기 모형건전지본체의 일단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길이조절탭을 통해 삽입되어 중공압착짹의 원형부로 삽입되는 볼트; 및
    상기 중공압착짹의 원형부로 삽입된 볼트를 조이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110068413A 2011-07-11 2011-07-11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 KR101231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8413A KR101231611B1 (ko) 2011-07-11 2011-07-11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
PCT/KR2012/005500 WO2013009094A2 (ko) 2011-07-11 2012-07-11 폐배터리를 이용한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8413A KR101231611B1 (ko) 2011-07-11 2011-07-11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834A KR20130007834A (ko) 2013-01-21
KR101231611B1 true KR101231611B1 (ko) 2013-02-12

Family

ID=4750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68413A KR101231611B1 (ko) 2011-07-11 2011-07-11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31611B1 (ko)
WO (1) WO2013009094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324Y1 (ko) 2004-07-05 2004-10-01 김남현 배터리 삽입부를 이용한 외부 전원 공급 장치와 충전장치
KR20050032956A (ko) * 2003-10-02 2005-04-08 김대욱 휴대폰배터리 재활용 장치
KR20100135178A (ko) * 2009-06-16 2010-12-24 김영조 작동완구를 이용한 무빙 학습게임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49Y1 (ko) * 2009-11-27 2011-03-04 임영삼 다종다양한 충전 밧데리용 만능 충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956A (ko) * 2003-10-02 2005-04-08 김대욱 휴대폰배터리 재활용 장치
KR200363324Y1 (ko) 2004-07-05 2004-10-01 김남현 배터리 삽입부를 이용한 외부 전원 공급 장치와 충전장치
KR20100135178A (ko) * 2009-06-16 2010-12-24 김영조 작동완구를 이용한 무빙 학습게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9094A3 (ko) 2013-04-11
WO2013009094A2 (ko) 2013-01-17
KR20130007834A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79847B (zh) 无线耳机充电系统及无线耳机充电方法
CN101751160B (zh) 触控笔
RU2007133519A (ru) Перезаряжаемое 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TW200627750A (en) Power supply system comprising rechargeable battery pack and attachment apparatus
JP5813135B2 (ja) 移動充電器
TW200725962A (en) Secondary battery
US7579810B2 (en) Portable power supplying device
CN205960150U (zh) 一种带USB输出及MicroUSB输入接口的锂电池
CA2608293A1 (en) An energy storage mobile charging adapter
CN203592441U (zh) 电动螺丝批
KR20150094974A (ko) 배터리 충전거치대에 장착되어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기능과 멀티 아답타기능을 제공하는 배터리장치
KR101231611B1 (ko)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
WO2002041464A3 (en) High capacity compact power source
EP1699131A3 (en) Portable hand powered generator
CN205376595U (zh) 一种电子设备的电池结构
CN206977122U (zh) 一种蓝牙耳机移动电源盒
CN207542840U (zh) 一种无线充电插座
CN101281988A (zh) 日用小电器共享手机电池作为电源的方法
JPH10308200A (ja) 電池ケース
EP2378625A2 (en) Backup power supply for a vehicle
CN204651426U (zh) 充电电池
CN112271774B (zh) 充电盒及电子组件
CN201039140Y (zh) 手机外接电池盒
CN202034453U (zh) 一种改进型电池、嵌套电池及一种遥控器
CN216903154U (zh) 一种便携式电池充放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