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390B1 -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390B1
KR101231390B1 KR1020120117104A KR20120117104A KR101231390B1 KR 101231390 B1 KR101231390 B1 KR 101231390B1 KR 1020120117104 A KR1020120117104 A KR 1020120117104A KR 20120117104 A KR20120117104 A KR 20120117104A KR 101231390 B1 KR101231390 B1 KR 101231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power
electronic product
power
standb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환
김병현
이종윤
Original Assignee
김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환 filed Critical 김병환
Priority to KR1020120117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Landscapes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와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인지 여부를 설정한 후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전자제품은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과, 대기전력이 필요한 전자제품은 커패시터의 충방전주기와 연동해 대기전력을 주기적으로 차단 또는 연결하여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복원스위치 등이 필요없이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ADAPTER FOR SAVING STANDBY POWER}
본 발명은 각종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 있는 상태로 작동하지 않는 도중에 끊임없이 새어나가는 전력인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기전력(standby power)이라 함은 가정 또는 사무용으로 사용되는 AC 220V/60Hz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전자제품이 전원스위치를 차단(OFF)시켜도 전원이 완전히 차단되지 않고, 소량의 전력이 유입되어 소모되는 비생산적인 전력손실을 말한다.
이러한 대기전력의 손실은 대부분의 전자제품이 작동(ON)되는 사용시간보다 전원이 공급되는 가운데 차단(OFF)된 상태로 대기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더욱 커진다.
2011년 정부발표 자료에 따르면 전국 가구당 사용되는 전자제품이 평균 18.5대로 그 외의 관공서, 자영업, 기업 등을 포함하면 전자제품 사용대수는 더욱 늘어난다. 또한 대기전력으로 손실되는 전력이 우리나라 전력 사용량 전체의 6.1%에 이르며 손실액이 1년에 4200억원에 달한다고 한다.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서 정부는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뽑아 놓도록 절전 공익홍보도 하고, 캠페인도 시행하고 있으나 사용자 입장에서는 현실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제품이 평균 18.5대나 되므로 사용할 때마다 콘센트로부터 각각의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접속 및 제거하기는 쉽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대기전력의 손실이 계속적으로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에 따라 대기전력의 손실을 차단 또는 절감하는 대책이 절실하게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최근에는 대기전력 차단 또는 절감장치들이 하기의 종래기술 1(특허문헌 1) 및 2(특허문헌 2)와 같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먼저, 대기전력의 손실을 절감하면서 각종 가전제품에 쉽게 결합이 가능하도록 콘센트 또는 플러그 형태가 가장 좋다. 그러한 점에서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2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각종 전자제품의 플러그에 결합되는 멀티탭 형태를 가진다. 대략적인 세부구성으로서는 각각의 종래기술마다 차이점은 있으나, 크게 전자제품의 작동여부 및 대기전력 상태인지를 전류값을 통해 감지하는 전류센서부와, 콘센트로부터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전원차단부와, 상기 전류센서부로부터 측정되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차단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제어부는 전류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전류값이 전자제품의 작동이 있는 경우로 판단하면 전원차단부를 통해 전원을 연결하고, 전류센서로부터 측정된 전류값이 전자제품의 상태가 대기전력 상태인 경우로 판단하면 전원차단부를 통해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만으로도 각종 전자제품의 대기전력의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각종 전자제품의 작동방식에 따라 상기 구성만으로는 전자제품의 재작동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가정내 가전기기로서 전자제품은 크게 2가지 작동방식을 들 수 있는데, 첫째 ON/OFF 버튼식 전원스위치를 가진 전자제품과, 터치스크린 패널이나 리모컨에 의해 ON/OF되는 전원스위치를 가진 전자제품을 들 수 있다.
먼저, ON/OFF 버튼식 전원스위치를 가진 전자제품의 경우 상술한 구성만으로도 재작동이 가능하다. 즉, 전자제품이 전원이 차단(OFF)된 상태에서 ON버튼을 누르게 되면 전자제품의 내부회로에 전류값이 감지되고, 그에 따라 전류센서부는 전자제품이 작동(ON)되는 상태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는 전원차단부를 작동시켜 콘센트로부터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전자제품이 ON/OFF 버튼식 전원스위치보다는 터치스크린 패널과 함께 사용하는 리모컨에 의해 전원이 ON/OFF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전자제품의 경우에는 대기전력의 손실이 문제가 아니라 대기전력 자체가 필수인 작동방식이다. 예컨대, 리모컨 TV의 경우 TV가 리모컨의 적외선 신호를 언제나 기다리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TV가 꺼진 경우에도 대기전력에 의해 적외선 수신부는 언제나 켜져 있다. 이러한 전자제품은 대기전력 자체를 차단하게 되면, 리모컨에 의한 전원의 ON상태를 이루어낼 수 없다.
이러한 리모컨 작동방식의 전자제품에 대한 대기전력 손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기의 특허문헌 1에서는 별도의 복원스위치를 구성한 것으로서, 전자제품이 대기전력 상태인 것을 감지하면 대기전력을 일단 차단하고, 이후 전자제품을 재가동하고자 할 경우 복원스위치를 ON시켜 전자제품에 대기전력이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별도의 RF통신에 의한 리모컨을 구성한 것으로서, 대기전력이 차단된 전자제품의 재가동시 제어부와 RF통신이 가능한 리모컨을 통해 전자제품에 대기전력이 연결되도록 한 후 전자제품을 재가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대기전력의 손실을 절감할 수는 있겠지만, 전자제품의 재가동시 전자제품의 플러그에 결합된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의 복원스위치를 ON시켜야 하는 불편함은, 결국 콘센트로부터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꽂고 뽑는 것만큼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특허문헌 2의 경우에도 특허문헌 1보다는 편리할지라도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과 RF통신이 가능한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RF리모컨을 분실할 우려 및 전자제품의 재가동시 언제나 이 RF리모컨을 찾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KR 10-0994869 B
(특허문헌 2) KR 10-0912004 B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ON/OFF 버튼식 전자제품의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과, 리모컨 작동식 전자제품의 경우 전원공급장치로 사용되는 커패시터의 충방전주기와 연동해 대기전력을 주기적으로 차단 또는 연결하여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복원스위치 등이 필요없이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는, 상용 교류전원인 주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탈착되는 플러그를 통해 주전원을 공급받아 커패시터의 충방전에 의해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작동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을 절감하도록 상기 콘센트 및 플러그 사이에 설치되는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로부터 주전원을 공급받는 주전원 공급부와, 상기 주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자제품의 플러그로 주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 연결부와, 상기 주전원 공급부로로부터 상기 주전원 연결부로 주전원의 연결 또는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주전원 차단부와, 상기 주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주전원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자제품으로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센서부와, 상기 전자제품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와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인지 여부를 설정한 후 상기 전류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전류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주전원 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주전원 공급부로부터 주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에 내부전원을 공급하는 내부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제품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로 설정되면, 상기 전류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전자제품의 온(ON)시 측정되는 기설정된 전류값의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주전원 차단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전자제품의 오프(OFF)시 측정되는 기설정된 대기전력 전류값의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주전원 차단부를 차단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제품이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로 설정되면, 상기 전류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전자제품의 온(ON)시 측정되는 기설정된 전류값의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주전원 차단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전자제품의 오프(OFF)시 측정되는 기설정된 대기전력 전류값의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전자제품의 커패시터에 충전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커패시터의 충방전 주기에 맞추어 상기 주전원 차단부의 연결 및 차단하는 동작이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제품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와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인지 여부를 설정하는 작동방식 설정부와, 상기 주전원 차단부의 연결 및 차단하는 반복 동작의 주기를 설정하는 작동주기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제품이 작동(ON)하는 경우와, 상기 전자제품이 차단(OFF)된 후 대기전력 상태인 경우 및 대기전력까지 차단된 경우를 각각 나누어 발광하는 표시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방식 설정부 및 작동주기 설정부는, 하나의 회전식 조절스위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식 조절스위치는, '0'을 포함하여 시계방향으로 '1'부터 '9'까지의 숫자와 'A'부터 'F'까지의 영자로 스위치를 회전시킬 수 있고, '0'에 스위치가 맞춰진 경우 상기 전자제품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로 설정되고, '0' 이외의 숫자나 영자에 스위치가 맞춰진 경우 상기 전자제품이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로 설정되며, 상기 주전원 차단부의 연결 및 차단하는 반복 동작의 주기가 기설정된 숫자나 영자의 주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는, 전자제품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와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인지 여부를 설정한 후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전자제품은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과, 대기전력이 필요한 전자제품은 커패시터의 충방전주기와 연동해 대기전력을 주기적으로 차단 또는 연결하여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복원스위치 등이 필요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의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의 제1 실시예를 기능별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의 제2 실시예를 기능별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실시예를 멀티탭과 같은 제품형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결합된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실시예 중 회전식 조절스위치만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실시예를 멀티콘센트와 같은 제품형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 교류전원인 주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100)에 탈착되는 플러그(210)를 통해 주전원을 공급받아 커패시터(미도시)의 충방전에 의해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작동하는 전자제품(200)의 대기전력을 절감하도록 상기 콘센트(100) 및 플러그(210) 사이에 설치된다.
콘센트(100)는 건물 안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선을 끌어들여 벌여 놓은 시설인 옥내배선과 연결되어 한전으로부터 공급되는 국내의 상용 교류전원인 220V/60Hz 주전원을 공급한다. 가전기기와 같은 각종 전자제품(200)은 이러한 콘센트(100)에 플러그(210)를 삽입 결합시켜 내부에 구비된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주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여기서 모든 전자제품(200)은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작동하므로, 전자제품(200)의 전원공급장치를 이루는 구성으로 커패시터(미도시)가 구비된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제품(200)의 전원공급장치를 이루는 구성인 커패시터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함은 물론 충전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고, 방전되면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다.
또한, 전자제품(200)은 대기전력과의 관계에서 온오프(ON/OFF) 작동방식에 따라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와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전자제품(200)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전자제품(200)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는 대기전력을 소모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제품의 노후나 누전으로 인한 대기전력의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제품(200)은 대기전력을 차단함으로써 대기전력의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대부분의 전자제품(200)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 보다는 터치스크린 패널과 함께 사용하는 리모컨에 의해 전원이 온오프되는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이다. 이러한 전자제품의 경우에는 대기전력의 손실이 문제가 아니라 대기전력 자체가 필수인 작동방식이다. 예컨대, 리모컨 TV의 경우 TV가 리모컨의 적외선 신호를 언제나 기다리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TV가 꺼진 경우에도 대기전력에 의해 적외선 수신부는 언제나 켜져 있다. 이러한 전자제품은 대기전력 자체를 차단하게 되면, 리모컨에 의한 전원의 ON상태를 이루어낼 수 없기 때문에 대기전력의 손실이 필수불가결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300)는 상기 전자제품(200)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와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인지 여부를 설정한 후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전자제품(200)은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과, 대기전력이 필요한 전자제품(200)은 커패시터의 충방전주기와 연동해 대기전력을 주기적으로 차단 또는 연결하여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복원스위치 등이 필요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원 공급부(310), 주전원 연결부(320), 주전원 차단부(330), 전류센서부(340), 제어부(350) 및 내부전원 공급부(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전원 공급부(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100)로부터 상용 교류전원인 주전원을 공급받는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300)가 멀티플러그 형태인 경우, 주전원 공급부(310)는 상기 콘센트(100)에 삽입되는 어댑터 플러그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300)가 멀티콘센트 형태인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별도의 어댑터 플러그로 구현되거나, 상기 콘센트(100)와 일체화되어 옥내배선으로부터 주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즉, 주전원 공급부(310)는 상용교류 전원인 주전원을 콘센트(1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으면 족하다.
주전원 연결부(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전원 공급부(310)로부터 상기 전자제품(200)의 플러그(210)로 주전원을 공급한다. 즉, 주전원 공급부(310)에 의해 콘센트(100)로부터 주전원을 공급받고, 주전원 공급부(310)와 연결된 주전원 연결부(320)를 통해 전자제품(200)의 플러그(210)로 주전원이 공급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300)가 멀티플러그 형태인 경우, 주전원 연결부(310)는 상기 플러그(210)가 삽입되는 어댑터 콘센트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300)가 멀티콘센트 형태인 경우에도 상기 플러그(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어댑터 콘센트로 구현된다. 즉, 주전원 연결부(320)는 상용교류 전원인 주전원을 주전원 공급부(310)로부터 공급받아 전자제품(200)의 플러그(210)로 공급할 수 있으면 족하다.
주전원 차단부(3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전원 공급부(310)로부터 상기 주전원 연결부(320)로 주전원의 연결 또는 차단 기능을 수행한다. 주전원 차단부(330)는 릴레이 형태의 스위치 작동방식으로서, 후술할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주전원 공급부(310)로부터 주전원 연결부(320)로 주전원의 연결 또는 차단 기능을 수행한다.
전류센서부(3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전원 공급부(310)로부터 상기 주전원 연결부(320)를 통해 상기 전자제품(200)으로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한다. 예컨대, 전류센서부(340)는 전류센서용 변류기(CT)와 다이오드, 평활 콘덴서, 제너다이오드 및 저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센서로서, 변류기(CT)가 전자제품(200)에 공급되는 전원에 비례하여 부하들의 전류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다이오드 및 평활 콘덴서가 검출된 부하들의 전류를 직류 신호로 정류 및 변환하여 저항을 통해 검출된 부하들의 전류들이 전압으로 변환되어 후술할 제어부(350)의 AD 컨버터로 들어간다. 즉, 전류센서부(340)의 변류기(CT)를 통해 들어오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제어부(350)에서 비교를 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전류센서부(340)를 통해 측정된 전류값이 작으면 제어부(350)에 들어오는 전압값이 낮기 때문에 전자제품(200)의 대기전력 또는 오프상태라고 판단하고, 전류값이 크면 전압값이 높기 때문에 전자제품(200)이 작동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350)에서는 변환된 전압값으로 비교하지만 전류센서부(340)에서 측정되는 신호는 전류값이 된다.
제어부(3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제품(200)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와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인지 여부를 설정한 후 상기 전류센서부(340)로부터 측정된 전류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주전원 차단부(330)를 제어한다. 제어부(350)는 회로기판 상에 각종 전자소자와 더불어 마이콤(micom)이 구비된 것으로서, 먼저 전류센서부(340)로부터 측정된 전류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주전원 차단부(330)를 연결 및 차단함으로써, 전자제품(200)이 온(ON) 상태인 경우 주전원 차단부(330)를 연결하고, 전자제품(200)이 오프(OFF)되어 대기전력 상태인 경우 주전원 차단부(330)를 차단하여 대기전력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제품(200)이 온(ON) 상태인 경우 전류센서부(340)로부터 측정되는 전류값이 확연히 크므로 제어부(350)는 전자제품(200)이 온(ON) 상태임을 판단하고, 주전원 차단부(330)를 계속 연결시킨다. 반대로, 전자제품(200)이 오프(OFF)되어 대기전력 상태인 경우 전류센서부(340)로부터 측정되는 전류값이 작으므로 제어부(350)는 전자제품(200)이 오프(OFF)되어 대기전력 상태임을 판단하고, 주전원 차단부(330)를 차단시킨다.
다만, 상기 제어부(350)는 전자제품(200)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인지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인지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를 살펴본다. 이 역시 전류센서부(340)로부터 측정되는 전류값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전자제품(200)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보다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에 더 많은 대기전력 소모가 발생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전류센서부(340)로부터 측정되는 전류값의 범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전자제품(200)이 오프(OFF)되어 대기전력 상태인 경우라도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이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보다 전류센서부(340)로부터 측정되는 전류값의 범위가 작으므로 제어부(350)는 대기전력이 필요한 전자제품(200)인지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전자제품(200)인지를 기설정된 전류값의 범위에 전류센서부(340)로부터 측정되는 전류값을 비교하여 전자제품(200)의 작동방식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350)는 상기 전자제품(200)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로 설정되면, 상기 전류센서부(340)로부터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전자제품(200)의 온(ON)시 측정되는 기설정된 전류값의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주전원 차단부(330)를 연결시키고, 상기 전자제품(200)의 오프(OFF)시 측정되는 기설정된 대기전력 전류값의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주전원 차단부(330)를 차단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50)는 상기 전자제품(200)이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로 설정되면, 상기 전류센서부(340)로부터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전자제품(200)의 온(ON)시 측정되는 기설정된 전류값의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주전원 차단부(330)를 연결시키고, 상기 전자제품(200)의 오프(OFF)시 측정되는 기설정된 대기전력 전류값의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전자제품(200)의 커패시터에 충전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커패시터의 충방전 주기에 맞추어 상기 주전원 차단부(330)의 연결 및 차단하는 동작이 반복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350)는 전자제품(200)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주전원 차단부(330)를 제어하여 전자제품(200)이 온(ON)인 경우 주전원을 연결하고, 전자제품(200)이 오프(OFF)인 경우 대기전력 상태로 판단하여 주전원 차단부(330)를 차단작동시켜 주전원을 차단한다.
반면, 제어부(350)는 전자제품(200)이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주전원 차단부(330)를 제어하여 전자제품(200)이 온(ON)인 경우 주전원을 연결하지만, 전자제품(200)이 오프(OFF)인 경우 대기전력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전자제품(200)의 커패시터에 충전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커패시터의 충방전 주기에 맞추어 상기 주전원 차단부(330)의 연결 및 차단하는 동작이 반복되도록 제어한다. 전자제품(200)의 커패시터에 충전상태가 유지된다는 것은 전자제품(200)의 리모컨 온오프 작동이 가능하도록 온오프 작동에 필요한 전력은 꾸준히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즉, 전자제품(200)의 커패시터는 전원의 공급에 따라 충전되고, 전원의 차단에 따라 방전되므로 커패시터의 충전에 의해 전자제품(200)의 온오프 작동에 필요한 전력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전자제품(200)의 커패시터가 온오프 작동에 필요한 전력 공급이 힘들 정도로 방전되기 전에 제어부(350)에서 주전원 차단부(330)를 다시 연결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주전원 차단부(330)의 연결시 전자제품(200)의 커패시터가 충전되고, 주전원 차단부(330)의 차단시 전자제품(200)의 커패시터가 방전되는데 커패시터의 충전 후 방전되기까지 전자제품(200)의 온오프 작동에 필요한 전력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커패시터의 충방전 주기에 맞추어 주전원 차단부(330)의 연결 및 차단을 반복한다.
예컨대, 전자제품(200)의 온오프 작동에 필요한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충전 후 방전되는 시간, 즉 커패시터의 충방전 주기는 각각의 전자제품(200)에 사용되는 커패시터에 따라 다르지만, 작게는 0.5초에서 많게는 10초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물론, 최근에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는 슈퍼커패시터의 경우 상기 충방전 주기가 수분까지도 가능하다. 그렇다면, 제어부(350)를 통해 주전원 차단부(330)의 연결 및 차단되는 반복 동작의 주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커패시터의 경우 0.5초 내지 10초까지 사용될 수 있고, 슈퍼커패시터의 경우 수분까지도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곧 전자제품(200)에 온오프 작동에 필요한 전력은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도 제어부(350)의 제어를 통해 주전원 차단부(330)를 차단한 후 연결하는 반복 동작의 주기인 0.5초 내지 10초 동안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고, 슈퍼커패시터의 경우 수분동안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렇다면, 전자제품(200)의 커패시터의 충방전 주기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를 살펴보면, 전자제품(200)의 커패시터는 전력이 공급되는 순간 급격하게 충전이 이루어지며 충전이 완료되면 전류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충전하는 시점에는 전류출력값이 상승하였다가 방전 시에는 전류 출력값이 하강되는 신호를 전류센서부(340)를 통해 감지할 수 있으며, 이 구간에 재기동 가능한 구간이 존재하며 이 시점 이후에는 전자제품(200)의 온오프 동작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전자제품(200)의 온오프 동작이 불가능해지기 전에 재기동 가능한 구간 내에 재충전, 즉 주전원 차단부(330)의 연결 동작하는 주기를 도출하여 연속공급하면 전자제품(200)의 온오프 동작에 필요한 전력은 유지하면서 차단 후 연결까지의 주기 동안 대기전력의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50)가 주전원 차단부(330)의 차단 후 연결하는 반복 주기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재기동 가능한 전력이 유지되는 구간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최소 주기부터 시작하여 최대 주기까지 점차 늘려나가되, 피드백을 통해 재기동 가능한 전력이 유지되는 구간을 넘어갈 경우 그 전 단계의 재기동이 가능한 주기로 설정하는 것이다. 예컨대, 위상동기제어기(PLL)에 분주신호를 최소값부터 순차적으로 입력시키고 제어부(350)의 변류기(CT)의 출력을 궤환하여 재기동이 이루어지는 충전주기를 지정하는 것이다. 즉, 최초 주전원 차단부(330)의 차단 후 연결되는 주기를 최소 주기인 0.5초를 입력하고, 순차적으로 1초부터 10초 또는 그 이상까지 입력한다. 이때 점차적으로 주기를 늘려나가면서 재기동이 불가능한 구간이 5초의 주기로 출력된다면 이 신호를 피드백하여 그 전의 재기동 가능한 전력이 유지되는 주기인 4초의 주기로 설정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제어부(350)는 주전원 차단부(330)를 제어하여 4초간 차단한 후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재기동 즉 주전원 차단부(330)를 연결하여 전자제품(200)의 커패시터를 충전한 다음 다시 차단한 후 4초간 대기전력을 절감하는 방식으로 반복 작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3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방식 설정부(351) 및 작동주기 설정부(351)로 구분할 수 있다. 작동방식 설정부(35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제품(200)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와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인지 여부를 설정하고, 작동주기 설정부(351)는 상기 주전원 차단부(330)의 연결 및 차단하는 반복 동작의 주기를 설정한다. 상술한 제어부(350)의 작동방식 설정부(351) 및 작동주기 설정부(351)의 설정방식은 각각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식이고, 이를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도 4, 6,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300)를 멀티플러그 형태로 사용하든 멀티콘센트 형태로 사용하든 상관없이 상기 작동방식 설정부(351) 및 작동주기 설정부(352)를 하나의 회전식 조절스위치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 조절스위치(380)는 '0'을 포함하여 시계방향으로 '1'부터 '9'까지의 숫자와 'A'부터 'F'까지의 영자로 스위치를 회전시킬 수 있고, '0'에 스위치가 맞춰진 경우 상기 전자제품(200)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로 설정된다. 반면에, '0'이외의 숫자나 영자에 스위치가 맞춰진 경우 상기 전자제품(200)이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로 설정되며, 상기 주전원 차단부(330)의 연결 및 차단하는 반복 동작의 주기가 기설정된 숫자나 영자의 주기에 따라 변화한다.
상기 회전식 조절스위치(380)를 통해 사용자는 전자제품(200)이 온오프 버튼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인지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인지 미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제품(200)이 온오프 버튼식인 경우 스위치를 '0'에 맞춰 놓아 상술한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전자제품(200)이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인 경우 스위치를 '0'을 넘어 '9'까지 또는 그 넘어 영자까지 천천히 회전시키면서 리모컨의 온오프 작동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고 가능한 영역에 스위치를 맞추어 놓는다. 그에 따라 회전식 조절스위치(380)에 맞추어진 주기를 통해 주전원 차단부(330)의 연결 및 차단하는 반복 동작의 주기가 설정되고 차단된 후 연결되는 그 주기만큼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식 조절스위치(380)의 숫자표시는 '0'을 넘어 '9'까지는 일반적인 초단위 주기이고, 'A'부터 'F'까지는 전자제품(200)이 슈퍼커패시터를 사용할 경우 분단위 주기를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300)는 상기 주전원 공급부(310)로부터 상용 교류전원인 주전원을 제어부(350)에 바로 공급할 수는 없으므로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전원 공급부(360)를 통해 AC 220V 전원을 받아 AC 12V로 변환하여 제어부(350)에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300)가 콘센트(100) 및 전자제품(200)의 플러그(210) 사이에 설치되어 대기전력을 차단 또는 절감할 경우, 전자제품(200)의 온(ON)상태인 경우와 오프(OFF)시 대기전력 상태인지 및 대기전력이 차단된 상태인지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즉, 도 2, 4, 6,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300)는 상기 제어부(350)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제품(200)이 작동(ON)하는 경우와, 상기 전자제품(200)이 차단(OFF)된 후 대기전력 상태인 경우 및 대기전력까지 차단된 경우를 각각 나누어 발광하는 표시램프(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제품(200)이 작동(ON)하는 경우 전자제품(200)을 보더라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표시램프(370)는 꺼지고, 전자제품(200)이 오프(OFF)되어 대기전력 상태인 경우는 적색으로 발광하며, 대기전력까지 차단 및 절감되는 경우는 녹색으로 발광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300)의 작동과정을 도 3 및 5의 순서도를 통해 각각 나누어 살펴본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300)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350)의 작동방식 설정부(351)와 작동주기 설정부(352)가 각각 자동으로 설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즉, 콘센트(100)에 주전원 공급부(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자제품(200)의 플러그(210)가 주전원 연결부(320)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전자제품(200)이 연결되면(YES) 제어부(350)에 내부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부(350)는 주전원 차단부(330)를 연결시킨다. 그에 따라 전자제품(200)으로 주전원이 공급되어 현재 전자제품(200)은 오프(OFF) 상태로서 대기전력이 공급된다.
전류센서부(340)에서는 주전원이 연결된 전자제품(200)을 통해 전류값을 측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전자제품(200)을 바로 작동, 즉 온(ON)시킬 수도 있고, 오프(OFF)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전자제품(200)이 온(ON) 상태인 경우에는 주전원 차단부(330)를 계속 연결시키고, 전류센서부(340)에서는 전류값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반대로 전자제품(200)이 오프(OFF)되어 대기전력 상태인 경우에는, 제어부(350)의 작동방식 설정부(351)에서 전자제품(200)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인지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인지를 설정한다. 양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전력이 소모되는 양에 차이가 있으므로 상기 전류센서부(340)에서 측정되는 전류값을 비교하여 기설정된 범위를 통해 나누어 구분할 수 있다.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전자제품(200)인 경우 전류센서부(340)의 전류값 측정을 통해 전자제품(200)이 온(ON)상태인 경우 주전원 차단부(330)를 연결하고, 전자제품(200)이 오프(OFF)되어 대기전력 상태인 경우 주전원 차단부(330)를 차단하여 대기전력의 손실을 차단할 수 있다.
반대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전자제품(200)인 경우 전류센서부(340)의 전류값 측정을 통해 전자제품(200)이 온(ON)상태인 경우 주전원 차단부(330)를 연결하고, 전자제품(200)이 오프(OFF)되어 대기전력 상태인 경우에는 전자제품(200)의 커패시터 충방전 주기에 맞추어 주전원 차단부(330)의 차단 및 연결의 반복 주기를 상술한 제어부(350)의 반복주기 설정부(352)를 통해 설정한다. 그에 따라, 전자제품(200)의 커패시터가 충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전원 차단부(330)의 차단 및 연결의 반복 작동을 수행한다. 이는 주전원 차단부(330)가 차단된 주기 동안은 대기전력의 손실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300)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부(350)의 작동방식 설정부(351)와 작동주기 설정부(352)가 수동으로 설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즉, 콘센트(100)에 주전원 공급부(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자제품(200)의 플러그(210)가 주전원 연결부(320)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전자제품(200)이 연결되면(YES) 제어부(350)에 내부전원을 공급하고, 도 6 및 8에 도시된 제어부(350)의 작동방식 설정부(351) 및 작동주기 설정부(352)가 일체로 구현된 회전식 조절스위치(380)를 통해 사용자는 전자제품(200)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인지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인지를 미리 설정한다.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전자제품(200)인 경우, 예컨대 도 8의 회전식 조절스위치(380)에서 스위치가 '0'을 지시하고 있는 경우는 전류센서부(340)의 전류값 측정을 통해 전자제품(200)이 온(ON)상태인 경우 주전원 차단부(330)를 연결하고, 전자제품(200)이 오프(OFF)되어 대기전력 상태인 경우 주전원 차단부(330)를 차단하여 대기전력의 손실을 차단할 수 있다.
반대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전자제품(200)인 경우 예컨대 도 8의 회전식 조절스위치(380)에서 스위치가 '0'을 제외한 숫자나 영자에 있는 경우는 전류센서부(340)의 전류값 측정을 통해 전자제품(200)이 온(ON)상태인 경우 주전원 차단부(330)를 연결한다. 하지만, 전자제품(200)이 오프(OFF)되어 대기전력 상태인 경우에는 전자제품(200)의 커패시터 충방전 주기에 맞도록 사용자가 직접 회전식 조절스위치(380)의 스위치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주전원 차단부(330)의 차단 및 연결의 반복 주기를 설정한다. 그에 따라, 전자제품(200)의 커패시터가 충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전원 차단부(330)의 차단 및 연결의 반복 작동을 수행한다. 이는 주전원 차단부(330)가 차단된 주기 동안은 대기전력의 손실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콘센트
200 : 전자제품 210 : 플러그
300 :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
310 : 주전원 공급부 320 : 주전원 연결부
330 : 주전원 차단부 340 : 전류센서부
350 : 제어부
351 : 작동방식 설정부 352 : 작동주기 설정부
360 : 내부전원 공급부 370 : 표시램프
380 : 회전식 조절스위치

Claims (5)

  1. 상용 교류전원인 주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탈착되는 플러그를 통해 주전원을 공급받아 커패시터의 충방전에 의해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작동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을 절감하도록 상기 콘센트 및 플러그 사이에 설치되는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로부터 주전원을 공급받는 주전원 공급부와,
    상기 주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자제품의 플러그로 주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 연결부와,
    상기 주전원 공급부로로부터 상기 주전원 연결부로 주전원의 연결 또는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주전원 차단부와,
    상기 주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주전원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자제품으로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센서부와,
    상기 전자제품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와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인지 여부를 설정한 후 상기 전류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전류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주전원 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주전원 공급부로부터 주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에 내부전원을 공급하는 내부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제품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로 설정되면, 상기 전류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전자제품의 온(ON)시 측정되는 기설정된 전류값의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주전원 차단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전자제품의 오프(OFF)시 측정되는 기설정된 대기전력 전류값의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주전원 차단부를 차단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제품이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로 설정되면, 상기 전류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전자제품의 온(ON)시 측정되는 기설정된 전류값의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주전원 차단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전자제품의 오프(OFF)시 측정되는 기설정된 대기전력 전류값의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전자제품의 커패시터에 충전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커패시터의 충방전 주기에 맞추어 상기 주전원 차단부의 연결 및 차단하는 동작이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제품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와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인지 여부를 설정하는 작동방식 설정부와,
    상기 주전원 차단부의 연결 및 차단하는 반복 동작의 주기를 설정하는 작동주기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제품이 작동(ON)하는 경우와, 상기 전자제품이 차단(OFF)된 후 대기전력 상태인 경우 및 대기전력까지 차단된 경우를 각각 나누어 발광하는 표시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방식 설정부 및 작동주기 설정부는,
    하나의 회전식 조절스위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조절스위치는,
    '0'을 포함하여 시계방향으로 '1'부터 '9'까지의 숫자와 'A'부터 'F'까지의 영자로 스위치를 회전시킬 수 있고,
    '0'에 스위치가 맞춰진 경우 상기 전자제품이 온오프 버튼형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없는 경우로 설정되고, '0' 이외의 숫자나 영자에 스위치가 맞춰진 경우 상기 전자제품이 리모컨 온오프 작동식으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로 설정되며, 상기 주전원 차단부의 연결 및 차단하는 반복 동작의 주기가 기설정된 숫자나 영자의 주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
KR1020120117104A 2012-10-22 2012-10-22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 KR101231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104A KR101231390B1 (ko) 2012-10-22 2012-10-22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104A KR101231390B1 (ko) 2012-10-22 2012-10-22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390B1 true KR101231390B1 (ko) 2013-02-07

Family

ID=4789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104A KR101231390B1 (ko) 2012-10-22 2012-10-22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399B1 (ko) 2014-10-27 2016-04-11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에어컨용 통신장치, 이를 이용한 저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812A (ko) * 2004-10-26 200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KR20070106912A (ko) * 2006-05-01 2007-11-06 이효영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장치
KR20090129531A (ko) * 2008-06-13 2009-12-17 김동룡 대기전력 차단용 멀티탭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812A (ko) * 2004-10-26 200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KR20070106912A (ko) * 2006-05-01 2007-11-06 이효영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장치
KR20090129531A (ko) * 2008-06-13 2009-12-17 김동룡 대기전력 차단용 멀티탭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399B1 (ko) 2014-10-27 2016-04-11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에어컨용 통신장치, 이를 이용한 저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9364B2 (en) Energy-saving charger capable of automatically powering off
KR101769474B1 (ko)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KR100912004B1 (ko)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및 멀티탭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US9985454B2 (en) Power source device having standby power-cutoff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121150B1 (ko)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방법
CN101398674B (zh) 电源电路及其控制方法
KR101512478B1 (ko)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20090093569A (ko) 콘센트
CN203119224U (zh) 多功能遥控插线板
US8373958B2 (en) Combined power meter and outlet device
KR101231390B1 (ko) 대기전력 절전 어댑터
KR20110071397A (ko)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 및 대기전력 차단 방법
KR101711198B1 (ko) 절전형 디지털 타이머 콘센트
CN110213514B (zh) 分体电视的供电电路及分体电视
CN205427505U (zh) 零功耗待机电路及电子产品
KR101448695B1 (ko) 인공지능형 절전제어 콘센트
KR101903850B1 (ko) 직류 전력을 사용하는 멀티 콘센트 장치
CN105444351A (zh) 变频外机安全掉电电路和方法
CN2932733Y (zh) 家用电器智能化待机节电插座
KR20110017949A (ko)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CN202076818U (zh) 无待机损耗的usb充电器
CN201285947Y (zh) 电磁炉节能插座
KR101020511B1 (ko) 대기전력 차단용 전원 자동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10011895A (ko) 가정용 전자제품의 초절전 대기전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정용 전자제품의 전원공급장치
KR200264054Y1 (ko) 절전형 멀티탭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