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679B1 - Apparatus for relaying composite sig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laying composite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679B1
KR101229679B1 KR1020110076628A KR20110076628A KR101229679B1 KR 101229679 B1 KR101229679 B1 KR 101229679B1 KR 1020110076628 A KR1020110076628 A KR 1020110076628A KR 20110076628 A KR20110076628 A KR 20110076628A KR 101229679 B1 KR101229679 B1 KR 101229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supply unit
po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6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창식
옥주헌
Original Assignee
옥주헌
강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주헌, 강창식 filed Critical 옥주헌
Priority to KR102011007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6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6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45Details regarding the feeding of energy to the node from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36Repea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2Details regarding a bus interface enhan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PURPOSE: A complex signal relay apparatus is provided to relay both voltage and data signals by using a complex signal on Ethernet. CONSTITUTION: A signal division unit(110) simultaneously receives both a voltage signal and a data signal. The signal division unit divides the voltage signal and the data signal. A first signal supply unit(120) converts the divided voltage signal. The first signal supply unit supplies the converted signal to a data signal relay unit. A second signal supply unit(130) supplies a complex signal having the data signal and the voltage signal mixed to a first device. The second signal supply unit supplies the voltage signal to a second device without converting the divided voltage signal. [Reference numerals] (110) Signal division unit; (120) First signal supply unit; (130) Second signal supply unit; (140) Power unit; (150) Main control unit; (160) Data signal transfer unit

Description

복합 신호 중계 장치 {Apparatus for relaying composite signal}Composite signal relay device {Apparatus for relaying composite signal}

본 발명은 복합 신호를 중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더넷(ethernet)에서 복합 신호를 중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laying a composite signa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laying a composite signal on an Ethernet.

PoE(Power over Ethernet)는 액티브 이더넷이라고도 불리며, 무선 AP(Access Point)나 기타 유선 랜(LAN)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비들에 전원을 별도 공급할 필요가 없도록 고안된 것이다. PoE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CAT5 이더넷 케이블 하나에 데이터와 전원을 동시에 보낼 수 있다. 이는 무선 AP 및 네트워크 장비들의 설치 위치에 커다란 융통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설치 비용도 크게 절감시켜 준다.Power over Ethernet (PoE), also known as Active Ethernet, is designed to eliminate the need to supply power to network devices used in wireless access points (APs) or other wired LANs. With PoE, users can send data and power simultaneously on a single CAT5 Ethernet cable. This not only provides great flexibility in the placement of wireless APs and network equipment, but also greatly reduces installation costs.

그런데, 기존 PoE 방식은 수백미터 이상 떨어진 지점에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100미터마다 스위칭 허브를 두고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기 위해 스위칭 허브에 전원을 별도 공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하는 방법도 있으나, 고가의 광장비를 사용해야 하기에 비용이 과다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existing PoE method, when transmitting data at a distance of more than a few hundred meters, there was a difficulty in separately supplying power to the switching hub in order to retransmit data packets with a switching hub every 100 meters. There is also a method of connecting via an optical cabl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is excessive because the use of expensive square ratio.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와이파이 존(WiFi Zone)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기존 PoE 방식은 PoE 스위치(switch)에서 각각의 AP로 랜 케이블(LAN Cable)을 1대1 연결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PoE 스위치로부터 반경 100m까지만 AP를 랜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Recently, the demand for the Wi-Fi Zone is increasing due to the spread of smart phones. However, the existing PoE method is inconvenient to connect one to one LAN cable from each PoE switch to each AP.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AP can be connected to the LAN cable only up to a radius of 100m from the PoE switch.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더넷(ethernet)에서 복합 신호로 전압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모두 중계하는 복합 신호 중계 장치를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omposite signal relay apparatus for relaying both a voltage signal and a data signal as a composite signal in Ethernet.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압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함께 수신되면 상기 전압 신호와 상기 데이터 신호를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 분리된 상기 전압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중계하는 데이터 신호 중계부로 공급하는 제1 신호 공급부; 및 상기 데이터 신호와 상기 전압 신호가 복합된 복합 신호를 제1 기기로 공급하거나, 분리된 상기 전압 신호를 변환하지 않은 채 제2 기기로 공급하는 제2 신호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신호 중계 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ignal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the voltage signal and the data signal when received together with the voltage signal and the data signal; A first signal supply unit for converting the separated voltage signal and supplying the data signal to a data signal relay that relays the data signal; And a second signal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a complex signal obtained by combining the data signal and the voltage signal to a first device or to supply a second signal without converting the separated voltage signal. We propose a relay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신호 공급부는 상기 제1 기기 또는 상기 제2 기기가 인식될 때 상기 공급을 수행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신호 공급부는 출력단에 접속된 기기를 공급 대상 기기로 인식한다.Preferably, the second signal supply unit performs the supply when the first device or the second device is recognized. More preferably, the second signal supply unit recognizes the devic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as the supply target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신호 공급부는 전압 레벨이 하강되게 상기 전압 신호를 변환한다.Preferably, the first signal supply converts the voltage signal so that the voltage level is lower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신호 중계 장치는 이더넷 스위치 기능을 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 중계부를 내장한다.Advantageously, said composite signal relay includes said data signal relay functioning as an Ethernet switch.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신호 중계 장치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손실 없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최대 거리 이내에 위치한다.Advantageously, said composite signal relay is located within the maximum distance at which data transmission is possible without loss from said first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신호 공급부는 상기 제1 기기로 PSE(Power Sourcing Equipment) 기능을 하는 PSE 장치 또는 다른 복합 신호 중계 장치에게 상기 공급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2 기기로 PD(Powered Device) 기능을 하는 PD 장치에게 상기 공급을 수행한다.Preferably, the second signal supply unit performs the supply to a PSE device or another composite signal relay device that performs a power sourcing equipment (PSE) function to the first device, or a PD (powered device) function to the second device. The supply is performed to the PD device.

본 발명은 이더넷에서 전압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모두 중계함으로써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PoE와 스위칭 허브 기능을 결합하여 100m마다 있는 스위칭 허브에 PoE로 전원을 공급하고 스위칭 허브 포트에 PoE 기능을 다시 추가하여 LAN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장비를 통해 PoE 스위치 1 포트에서 나온 랜 케이블을 본 장비에 연결한 후 본 장비에서 다시 다수의 PoE 기능을 통해 복수의 AP를 연결하여 최초 PoE 스위치로부터 연결되는 AP의 최대 거리를 수백m 이상으로 확장하고 늘어나는 AP만큼 와이파이 존을 넓힘으로써 와이파이 존을 쉽게 구성하고 고가의 PoE 스위치 및 랜 케이블 포설 비용를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by relaying both a voltage signal and a data signal in Ethernet. First, by combining PoE and switching hub functions, the LAN area can be expanded by supplying PoE power to the switching hub every 100 meters and adding the PoE function to the switching hub ports again. Second, after connecting the LAN cable from the PoE switch 1 port to the device through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Ps through a plurality of PoE functions again to determine the maximum distance of the AP connected from the initial PoE switch. By extending beyond Wi-Fi zones and extending Wi-Fi zones by an increasing number of APs, Wi-Fi zones can be easily configured and the cost of deploying expensive PoE switches and LAN cables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신호 중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신호 중계 장치의 일실시 예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신호 중계 장치의 핀 맵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신호 중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신호 중계 장치에서 각 부품 간 연결 구성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신호 중계 장치를 PoE에 적용할 때 거리 연장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plex signal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mposite signal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pin map of a composite signal re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signal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in a composite signal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tance extension effect when a composite signal relay device is applied to P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신호 중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복합 신호 중계 장치(100)는 신호 분리부(110), 제1 신호 공급부(120), 제2 신호 공급부(130), 전원부(140) 및 주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복합 신호 중계 장치(100)는 데이터 신호 중계부(16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plex signal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1, the complex signal relay device 100 includes a signal separation unit 110, a first signal supply unit 120, a second signal supply unit 130, a power supply unit 140, and a main control unit 150. The complex signal relay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data signal relay unit 160.

복합 신호 중계 장치(100)는 PoE(Power over Ethernet)의 PSE(Power Source Equipment)로부터 공급된 전원과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 복합 신호 중계 장치(100)는 PD(Powered Device) 기능과 PSE 기능을 한다. PD 기능은 스위칭 허브처럼 이더넷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게 스위칭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PSE 기능은 스위칭 모듈의 랜 포트(LAN Port)와 합해져 전원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복합된 복합 신호를 중계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최초 PSE로부터 LAN Cable 하나로 연결되어 본 장치(100)를 통해 다수의 PSE로 재분배함으로써 전송 거리를 기존 대비 2배 이상으로 확장함과 동시에 이더넷 스위칭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복합 신호 중계 장치(100)는 다른 복합 신호 중계 장치로부터 전압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복합된 복합 신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mposite signal relay 100 receives power and data signals supplied from a power source equipment (PSE) of power over Ethernet (PoE). The complex signal relay device 100 has a PD function and a PSE function. The PD function refers to the power supply to the switching module to relay Ethernet data like a switching hub. The PSE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of relaying a composite signal in which a power signal and a data signal are combined with a LAN port of a switching module. It is connected to one LAN cable from the first PSE, and redistributed into multiple PSEs through the device 100, thereby extending the transmission distance more than twice as compared to the existing one and providing Ethernet switching function. Meanwhile, the composite signal relay device 100 may receive a composite signal of a voltage signal and a data signal from another composite signal relay.

신호 분리부(110)는 전압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함께 수신되면 전압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ignal separator 110 separates the voltage signal and the data signal when the voltage signal and the data signal are received together.

제1 신호 공급부(120)는 분리된 전압 신호를 변환하여 데이터 신호를 중계하는 데이터 신호 중계부(160)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1 신호 공급부(120)는 전압 레벨이 하강되게 전압 신호를 변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DC 48V에서 DC 12V로 전압 신호를 변환시킬 수 있다.The first signal supply unit 120 converts the separated voltage signal to supply the data signal relay 160 to relay the data signal. In this case, the first signal supply unit 120 may convert the voltage signal so that the voltage level is lowered. For example, a voltage signal can be converted from DC 48V to DC 12V.

데이터 신호 중계부(160)는 스위칭 허브 형태로 복합 신호 중계 장치(10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복합 신호 중계 장치(100)에 내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합 신호 중계 장치(100)에 데이터 신호 중계부(160)가 장착될 경우 전압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모두 중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데이터 신호 중계부(160)는 이더넷 스위칭 기능을 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합 신호 중계 장치(100)가 PoE(Power over Ethernet)에 적용되는 것임을 고려할 때, 데이터 신호 중계부(160)는 예컨대 이더넷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ata signal relay 16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mposite signal relay 100 in the form of a switching hub,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ta signal relay 160 may be embedded in the composite signal relay 100. When the data signal relay 160 is mounted on the composite signal relay 100, it is possible to relay both the voltage signal and the data signal. The data signal relay 160 may be implemented to perform an Ethernet switching function. Considering that the composite signal relay 100 is applied to Power over Ethernet (PoE), the data signal relay 160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n Ethernet switch.

제2 신호 공급부(130)는 데이터 신호와 전압 신호가 복합된 복합 신호를 제1 기기로 공급하거나, 분리된 전압 신호를 변환하지 않은 채 제2 기기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기기에는 PSE(Power Sourcing Equipment) 기능을 하는 PSE 장치, 다른 복합 신호 중계 장치 등이 있다. 제2 신호 공급부(130)는 제1 기기로 복합 신호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PSE 장치에는 예컨대 PoE 라우터(router), PoE 허브(hub), 스플리터(splitter), PoE 스위치(switch) 등이 있다. 제2 기기에는 PD(Powered Device) 기능을 하는 PD 장치 등이 있다. 제2 신호 공급부(130)는 제2 기기로 전압 신호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PD 장치에는 예컨대 IP 웹 카메라(web camera), VoIP 폰(phone),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 등이 있다.The second signal supply unit 130 supplies a complex signal in which the data signal and the voltage signal are combined to the first device or to the second device without converting the separated voltage signal. The first device includes a PSE device having a power sourcing equipment (PSE) function, another composite signal relay device, and the like. The second signal supply unit 130 may perform a complex signal supply to the first device. PSE devices include, for example, PoE routers, PoE hubs, splitters, PoE switches, and the like. The second device includes a PD device having a PD function. The second signal supply unit 130 may supply a voltage signal to the second device. PD devices include, for example, IP web cameras, VoIP phones, wireless access points (APs), and the like.

제2 신호 공급부(130)는 제1 기기 또는 제2 기기가 인식될 때 복합 신호 공급, 전압 신호 공급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신호 공급부(130)는 출력단에 접속된 기기를 공급 대상 기기로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first device or the second device is recognized, the second signal supply unit 130 may perform a complex signal supply, a voltage signal supply,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second signal supply unit 130 may recognize the devic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as the supply target device.

본 실시예에서 복합 신호 중계 장치(100)는 제1 기기로부터 손실 없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최대 거리 이내에 위치할 수 있다. 데이터가 이더넷 데이터(ethernet data)인 경우 최대 거리는 90m ~ 110m(바람직하게는 100m)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posite signal relay 100 may be located within a maximum distance from which the data can be transmitted without loss from the first device. If the data is Ethernet data, the maximum distance is 90m to 110m (preferably 100m).

PoE(Power over Ethernet)는 액티브 이더넷이라고도 불리며, 무선 AP(Access Point)나 기타 유선 랜(LAN)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비들에 전원을 별도 공급할 필요가 없도록 고안된 것이다. PoE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CAT5 이더넷 케이블 하나에 데이터와 전원을 동시에 보낼 수 있다. 이는 무선 AP 및 네트워크 장비들의 설치 위치에 커다란 융통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설치 비용도 크게 절감시켜 준다.Power over Ethernet (PoE), also known as Active Ethernet, is designed to eliminate the need to supply power to network devices used in wireless access points (APs) or other wired LANs. With PoE, users can send data and power simultaneously on a single CAT5 Ethernet cable. This not only provides great flexibility in the placement of wireless APs and network equipment, but also greatly reduces installation costs.

PoE는 직류 전원을 CAT5 케이블에 넣어주는 CAT5 인젝터에서 시작된다. 인젝터는 대개 이더넷 스위치나 허브 근처에 설치된다. 일부 무선 AP와 네트워크 장비들은 CAT5 케이블로부터 자신의 RJ-45 잭을 통해 직류 전원을 직접 받아들인다. 이러한 장비들을 PoE 호환 장비 또는 액티브 이더넷 호환 장비라고 부른다.PoE begins with a CAT5 injector that feeds DC power into a CAT5 cable. Injectors are usually installed near Ethernet switches or hubs. Some wireless APs and network equipment accept DC power directly from their CAT5 cable through their RJ-45 jacks. These devices are called PoE compatible devices or Active Ethernet compatible devices.

PoE 호환 장비가 아닌 경우에는 DC 픽커 또는 탭이라고 불리는 방법을 통해 PoE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때로 액티브 이더넷을 위한 스플리터(splitter)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장비들은 CAT5 케이블에 실려 있는 직류 전원을 분리해내서 일반 직류 전원 잭을 통해 장비에 공급한다.If the device is not PoE compatible, it can be converted to PoE via a method called DC picker or tap. These are sometimes called splitters for Active Ethernet. These devices disconnect the DC power from the CAT5 cable and supply it to the equipment through a standard DC power jack.

기존 PoE 방식은 전원과 데이터를 랜선 하나에 동시 공급하여 전송한다. 전원의 경우 300m 이상 떨어진 지점에서 초기 DC 48V에 대하여 DC 42V 이상 공급되어 PoE PD의 허용 입력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더넷 데이터(ethernet data)의 경우 100m마다 패킷을 중계하는 허브 장치나 스위칭 장치를 추가해야 한다.The existing PoE method transmits power and data simultaneously to one LAN line. In the case of power, more than 42V DC is supplied with respect to the initial DC 48V at a distance of 300m or more to allow the PoE PD's allowable input power. However, in case of Ethernet data, a hub device or a switching device that relays packets every 100m needs to be added.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신호 중계 장치(100)는 PoE 기능과 스위칭 허브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PoE에서 100m마다 추가되어 LAN 전송 거리를 수백m 이상으로 확대할 수 있다. 또한, PD에 입력되는 DC 전원을 PSE 모듈을 통해 패킷 중계하는 모든 스위칭 포트에 연결함으로써 각 스위칭 포트는 PoE 입력 하나로 4개의 PoE 출력 기능을 할 수 있다. PSE 모듈은 DC 48V 전원을 받아 48V로 공급하기 이전에 LAN Cable로 직접 연결된 장비의 PD가 인식되면 DC 전원을 공급하는 모듈로 Short 및 무부하 시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장치이다.The composite signal rel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perform both a PoE function and a switching hub function, and may be added every 100m in the PoE to extend the LAN transmission distance to several hundred meters or more. 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DC power input to the PD to all switching ports for packet relay through the PSE module, each switching port can function as four PoE outputs with one PoE input. PSE module receives DC 48V power and supplies DC power when PD of equipment directly connected with LAN cable is recognized before supplying to 48V. It is a device that stops power supply at short and no loa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복합 신호 중계 장치(100)는 기존 802.3af 및 802.3at에서 최대 전송 거리가 약 100미터 내외에서만 가능하였던 것을 200미터 혹은 300미터 이상으로 더 멀리 전송할 수 있게 함은 물론이고 패킷 데이터를 스위칭함과 동시에 PoE 기능을 추가하여 하나의 PoE 입력을 받아 복수의 PoE 출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osite signal relay device 100 may transmit packet data as well as transmit a distance of 200 meters or more than 300 meters that the maximum transmission distance of the existing 802.3af and 802.3at was possible only within about 100 meters. In addition to switching, the PoE function can be added to accept a single PoE input to enable multiple PoE outputs.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신호 중계 장치의 일실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일례의 복합 신호 중계 장치(100)를 PoE 리피터(repeater)로 정의한다. 도 2는 PoE 리피터의 내부 블록도를 그린 것이다. 도 2 (a)에서 PoE In(210)으로 전원 및 데이터가 입력되면 DC 전원 성분은 PSE 기능부(220)와 PD 기능부(230)로 입력되고 데이터는 스위칭 모듈(240)로 입력된다. PSE 기능부(220)는 DC 48V를 입력받아 DC 48V 그대로 출력하는 것으로 출력단에 PD(Powered Device)가 인식되어야만 DC 48V를 출력 가능하게 해주는 모듈이다. PD 기능부(230)는 DC 48V를 입력받아 DC 12V로 변환하여 스위칭 모듈(240)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PSE 기능부(220)와 스위칭 모듈(240)에서 나온 데이터가 POE OUT(250)의 RJ-45 커넥터의 각 핀으로 연결된다. 도 2 (a)는 PSE 기능부(220)가 단일개인 경우를 고려한 것이며, 도 2 (b)는 PSE 기능부(220)가 복수개일 때를 고려한 것이다. 한편, 도 2 (a)와 (b)에 도시된 핀 번호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신호 중계 장치 즉 PoE 리피터의 핀 맵(pin map)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mposite signal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Hereinafter, an exemplary composite signal relay apparatus 100 is defined as a PoE repeater. 2 illustrate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PoE repeater. When power and data are input to the PoE In 210 in FIG. 2A, the DC power component is input to the PSE function unit 220 and the PD function unit 230, and the data is input to the switching module 240. The PSE function unit 220 receives the DC 48V and outputs the DC 48V as it is. The module enables the output of the DC 48V only when the PD (Powered Device) is recognized at the output terminal. The PD function unit 230 receives DC 48V and converts the DC into 12V to supply power to the switching module 240. Data from the PSE function 220 and the switching module 240 is connected to each pin of the RJ-45 connector of the POE OUT 250. FIG. 2 (a) considers a case where there is a single PSE function unit 220, and FIG. 2 (b) consider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SE function units 220. Referring to FIG. 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the pin number shown in Figs. 2 (a) and 2 (b) refers to FIG. 3 is a pin map of a composite signal relay, that is, a PoE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는 PoE 리피터 설계도를 바탕으로 제작된 내부 PCB 보드의 케이스를 디자인한 도면이다. 도 4에서 (a)는 PoE 리피터의 결합 사시도이고, (b)는 분해 사시도이다. (b)에서 도면번호 410이 케이스 윗 부분이고 도면부호 420이 케이스 아랫부분이다. 도면부호 430은 PoE 리피터의 보드 부분으로 RJ-45 커넥터(431) 5개와 플레이트(432)로 구성된다. 플레이트(432)에는 도 5와 같이 설계된 PoE 리피터 본체가 장착된다. 도 5는 PoE 리피터를 설계한 PCB 캐드 도면으로 각 부품 간 연결 구성도를 나타낸다. (a)가 PCB 상면을 나타내는 것이고 (b)가 PCB 하면을 나타내는 것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of an internal PCB board manufactured based on a PoE repeater schematic. In Figure 4 (a)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PoE repeater, (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b), the reference numeral 410 is the upper part of the case and the reference numeral 420 is the lower part of the case. Reference numeral 430 denotes a board portion of the PoE repeater and is composed of five RJ-45 connectors 431 and a plate 432. The plate 432 is equipped with a PoE repeater body designed as shown in FIG. FIG. 5 is a PCB CAD diagram in which a PoE repeater is designed. (a) shows the upper surface of the PCB and (b) shows the lower surface of the PCB.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PoE 리피터를 PoE에 적용할 때 거리 연장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a)와 같이 이더넷 통신망(600)에서 100m마다 PoE 리피터(610)를 연결 구성할 경우 PoE 스위치(620)로부터 PSE(630)나 PD(640)까지의 거리를 연장시킬 수가 있다. 또한, PoE 리피터(610)의 경우 남아있는 이더넷 포트에 PC를 연결해서 데이터 통신용으로 사용 가능한 장점도 있다.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E 리피터(610)를 이용할 경우 거리 연장 효과와 더불어 PSE 입력 개수를 늘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PSE 입력 개수가 증가하는 것은 PoE 리피터(610)마다 여러 개의 PSE(630)를 연결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tance extension effect when applying the PoE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PoE. As shown in FIG. 6A, when the PoE repeater 610 is connected to the Ethernet communication network 600 every 100m, the distance from the PoE switch 620 to the PSE 630 or the PD 640 may be extended. In addition, the PoE repeater 610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for data communication by connecting a PC to the remaining Ethernet port. As shown in FIG. 6B, when the PoE repeater 610 is used, an effec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PSE inputs in addition to the distance extension effect can be obtaine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SE inputs is because a plurality of PSEs 630 can be connected to each PoE repeater 61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기존 AP 설치시 고가의 PoE Switch를 사용하여 제한적인 설치에 의하여 고비용 저효율적인 시스템으로 운용하였으나, 본 발명을 사용시에는 최소의 비용과 인원으로 효율적인 AP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sting AP is installed in a high-cost and low-efficiency system by using a limited installation by using expensive PoE switches, but when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n efficient AP environment with minimum cost and personnel is provided. You can make i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복합 신호 중계 장치 110 : 신호 분리부
120 : 제1 신호 공급부 130 : 제2 신호 공급부
140 : 전원부 150 : 주제어부
160 : 데이터 신호 중계부 210 : PoE IN
220 : PSE 기능부 230 : PD 기능부
240 : 스위칭 모듈 250 : PoE OUT
100: composite signal relay device 110: signal separation unit
120: first signal supply unit 130: second signal supply unit
140: power supply unit 150: main control unit
160: data signal relay 210: PoE IN
220: PSE function unit 230: PD function unit
240: switching module 250: PoE OUT

Claims (7)

전압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함께 수신되면 상기 전압 신호와 상기 데이터 신호를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
분리된 상기 전압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중계하는 데이터 신호 중계부로 공급하는 제1 신호 공급부; 및
상기 데이터 신호와 상기 전압 신호가 복합된 복합 신호를 제1 기기로 공급하거나, 분리된 상기 전압 신호를 변환하지 않은 채 제2 기기로 공급하는 제2 신호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공급부는 상기 제1 기기로 PSE(Power Sourcing Equipment) 기능을 하는 PSE 장치 또는 다른 복합 신호 중계 장치에게 상기 공급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2 기기로 PD(Powered Device) 기능을 하는 PD 장치에게 상기 공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신호 중계 장치.
A signal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voltage signal and the data signal when the voltage signal and the data signal are received together;
A first signal supply unit converting the separated voltage signal and supplying the data signal to a data signal relay that relays the data signal; And
A second signal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a complex signal obtained by combining the data signal and the voltage signal to a first device or to supply a second signal without converting the separated voltage signal;
The second signal supply unit performs the supply to a PSE device or another composite signal relay device that performs a power sourcing equipment (PSE) function to the first device, or a PD device that functions as a powered device (PD) function to the second device. And the supply to the composite signal re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공급부는 상기 제1 기기 또는 상기 제2 기기가 인식될 때 상기 공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신호 중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ignal supply unit performs the supply when the first device or the second device is recogniz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공급부는 출력단에 접속된 기기를 공급 대상 기기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신호 중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econd signal supply unit recognizes a devic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as a supply targe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공급부는 전압 레벨이 하강되게 상기 전압 신호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신호 중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ignal supply unit converts the voltage signal so that the voltage level is lowe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신호 중계 장치는 이더넷 스위치 기능을 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 중계부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신호 중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posite signal relay device includes a built-in data signal relay functioning as an Ethernet swit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신호 중계 장치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손실 없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최대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신호 중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posite signal relay device is located within the maximum distance that can be transmitted data without loss from the first device.
삭제delete
KR1020110076628A 2011-08-01 2011-08-01 Apparatus for relaying composite signal KR1012296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628A KR101229679B1 (en) 2011-08-01 2011-08-01 Apparatus for relaying composite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628A KR101229679B1 (en) 2011-08-01 2011-08-01 Apparatus for relaying composite sig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679B1 true KR101229679B1 (en) 2013-02-04

Family

ID=4789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628A KR101229679B1 (en) 2011-08-01 2011-08-01 Apparatus for relaying composite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6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0809A1 (en) * 2022-06-08 2023-12-13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Splitting unit for a single pair ethernet hybrid line and hybrid ethernet power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244B1 (en) * 2006-06-26 2007-09-07 (주)메티스커뮤니케이션 Lan repeater based power over ethernet and power over ethernet hybrid reapeater
KR20080084915A (en) * 2006-01-17 2008-09-22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Power over ethernet controller integrated circuit archite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915A (en) * 2006-01-17 2008-09-22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Power over ethernet controller integrated circuit architecture
KR100756244B1 (en) * 2006-06-26 2007-09-07 (주)메티스커뮤니케이션 Lan repeater based power over ethernet and power over ethernet hybrid reape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0809A1 (en) * 2022-06-08 2023-12-13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Splitting unit for a single pair ethernet hybrid line and hybrid ethernet powe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414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power over communication cabling
US10333722B2 (en) Network system for configurable delivery of combined power and data signals over twisted pair wiring
US20130003696A1 (en) Device handing over communication session from wireless communication to powerline communication
JP2009535877A (en) Assembly to enable power-over-Ethernet connection
CN105245302A (en) Multifunctional telephone broadcast system for train
CN102801535B (en) Power over Ethernet transmission system
US11799771B2 (en) Circuitry for demarcation devices and methods utilizing same
CN103347096A (en) IP intelligent cluster monitoring system based on EOC
US9143233B2 (en) Intercom transceiver with fiber optic link
KR102124531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optical intergrated wired and wireless service at in-building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wired optical signal
KR101229679B1 (en) Apparatus for relaying composite signal
CN102710425A (en) Ethernet power relay system, feeder device and access bridging device
CN207596269U (en) A kind of elevator intercommunication phone system based on security protection net
CN111682950B (en) Photoelectric adapter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CN102123070A (en) System for realizing master/slave frame cascade protection and load sharing
EP3163794B1 (en) Power supply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210867687U (en) Mixed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mixed signal transmission system
CN203606648U (en) Multifunctional central control unit having wireless function
CN202261279U (en) Carrier broadband networking system used on ship power line
KR20080057614A (en) Network using utp cable for the combined voice and data
KR200300664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for network camera system
CN103079216A (en) Multi-network fusion access indoor signal coverage system
CN203659205U (en) Data transmission device
KR102054396B1 (en) Repeater and Power/Communication Data Transferring System
CN207753717U (en) A kind of distribution intercommunication relaying over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