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563B1 - Tone wheel for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one wheel for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563B1
KR101229563B1 KR1020100055622A KR20100055622A KR101229563B1 KR 101229563 B1 KR101229563 B1 KR 101229563B1 KR 1020100055622 A KR1020100055622 A KR 1020100055622A KR 20100055622 A KR20100055622 A KR 20100055622A KR 101229563 B1 KR101229563 B1 KR 101229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wheel
tone wheel
suppor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35731A (en
Inventor
여인준
이두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10005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563B1/en
Publication of KR20110135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7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5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9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speed sensor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60Y2400/3032Wheel 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작 과정이 단순하고 제조 원가가 절감된 차량용 톤휠 및 상기 톤휠 제작 시 불량율 발생을 줄이는 차량용 톤휠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톤휠은 휠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차량의 휠 베어링에 장착되며, 상기 휠 베어링에 장착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된 장착부; 상기 장착부의 일단에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의 반대쪽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치를 포함하는 센싱부; 상기 복수개의 치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치들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 상기 장착부의 반대쪽에서 상기 지지부를 잡아주는 환형부; 그리고 상기 환형부 또는 지지부의 내주면에서 반경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연결되어 상기 환형부 또는 지지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개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one wheel having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and a reduction in manufacturing cos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hicle tone wheel which reduces the occurrence of a defective rate when manufacturing the tone wheel.
Vehicle tone whee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wheel bearing of the vehicle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wheel, the moun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to be mounted to the wheel bearing; A connection part of which one end is integrally formed on one end of the mounting part; A sensing part having one end integr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teeth protruding in the opposite axial direction of the mounting part; A support portion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teeth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teeth; An annular portion for holding the suppor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ribs protruding radially inward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portion or the support por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annular portion or the support portion.

Description

차량용 톤휠 및 이의 제조 방법{TONE WHEEL FOR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TONE WHEEL FOR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톤휠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 과정이 단순하고 제조 원가가 절감된 차량용 톤휠 및 상기 톤휠 제작 시 불량율 발생을 줄이는 차량용 톤휠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e whe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tone wheel with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ed manufacturing cost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one wheel for a vehic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defective rate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tone wheel.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휠 베어링은 차체에 휠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차량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Generally, an automotive wheel bearing rotatably connects a wheel to a vehicle body so that the vehicle can move.

이러한 휠 베어링은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륜 휠 베어링과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종동륜 휠 베어링으로 대분된다.These wheel bearings are divided into drive wheel bearings that transmit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and follower wheel bearings that do not transmit the drive force.

구동륜 휠 베어링은 엔진에서 발생하여 변속기를 통과한 토크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륜 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회전 요소와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비회전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요소와 비회전 요소 사이에는 전동체가 개재되어 있다.The driving wheel bearing includes a rotating element connected to rotate together with a driving wheel shaft rotated by a torque generated in the engine through a transmission, and a non-rotating element fixed to the vehicle body. The rolling body is interposed.

종동륜 휠 베어링은 회전 요소가 구동륜 축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뿐 다른 구성은 구동륜 휠 베어링과 동일하다.In the follower wheel bearing, the rotation element is not connected to the drive wheel shaft, but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drive wheel wheel bearing.

최근에는, 차량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량에 ABS(Anti-lock Brake System)가 적용되며, ABS가 적용된 차량은 모든 휠 베어링 또는 모든 휠에 속도 센서가 장착되어 각 휠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게 된다. Recently, the anti-lock brake system (ABS) is applied to the vehicle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operation, and the ABS-applied vehicle is equipped with a speed sensor on all wheel bearings or all wheels to measure the rotational speed of each wheel. do.

톤휠은 자성체로 휠 베어링의 회전 요소에 장착되어 있으며 휠의 회전에 따라 톤휠도 회전한다. 이와 같이, 톤휠이 회전하는 경우 그 회전속도에 따라 센서에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되고 이러한 자기장의 변화를 ECU(Electric Control Unit)가 분석함으로써 각 휠의 회전 속도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검출된 회전 속도를 이용하여 ECU는 ABS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The tone wheel is a magnetic body that is mounted on the rotating element of the wheel bearing and rotates the ton wheel as the wheel rotat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ne wheel rotates,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occurs in the sensor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and the ECU (Electric Control Unit) analyzes the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to detect the rotation speed of each wheel. The ECU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BS by using the detected rotation speed.

이러한 톤휠은 그 치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치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ECU는 휠의 속도 센서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고 ABS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톤휠의 제작은 그 치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These tone wheels must have a constant gap between the teeth. If the teeth do not have a constant distance, the ECU determines that the speed sensor on the wheel is broken and does not activate the ABS. Therefore, the production of the tone wheel is the most important to make the interval of the teeth constant.

종래에는, 소결금속을 톤휠 형상의 주물에 채워 넣은 후, 소결시킴으로써 톤휠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톤휠의 치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나 그 제작 원가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톤휠의 제작 원가를 낮추기 위하여 판재를 이용하여 톤휠을 제작하는 방법들이 연구되었다. Conventionally, a tone wheel was produced by filling a sintered metal into a tone wheel-shaped casting and then sintering. In this method, the distance between the teeth of the tone wheel can be kept constant,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expensive. In order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tone wheel,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tone wheel using sheet materials have been studied.

도 1은 종래의 톤휠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각 공정에서 톤휠의 단면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ventional tone wheel manufacturing method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ne wheel in each proces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톤휠 제조 방법은 판재를 1차 드로잉(drawing)하여(S100) 그 지름이 동일한 파이프 형상의 1차 반제품(200)을 제작함으로써 시작된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tone wheel manufacturing method starts by first drawing a plate (S100) and manufacturing a primary semifinished product 200 having a pipe shape having the same diameter.

그 후, 1차 반제품(200)을 2차 드로잉하여(S110) 그 지름이 다른 두 개의 파이프가 일체로 연결된 형상의 2차 반제품(210)을 제작한다. 상기 2차 반제품(210)은 그 지름이 작고 휠 베어링의 회전 요소에 장착되는 장착부(212), 상기 장착부(21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반경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부(214), 그리고 상기 연결부(21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212)의 반대쪽 축방향으로 연장된 센싱부(216)를 포함한다. Thereafter, the primary semifinished product 200 is second drawn (S110) to produce a secondary semifinished product 210 having a shape in which two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integrally connected. The secondary semifinished product 210 has a small diameter and a mounting portion 212 which is mounted to the rotating element of the wheel bearing, a connecting portion 214 integrally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212 and extending radially outward, and the connecting portion ( And a sensing unit 216 integrally formed in 214 and extending in an axial direction opposite to the mounting unit 212.

그 후, 피어싱(Piercing) 공정을 통하여(S120) 상기 센싱부(216)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센싱홀(218)을 형성한다. 그런데, 두께가 얇은 센싱부(216)에 압력을 가하여 센싱홀(218)을 형성하므로 센싱부(216)의 중간부가 반경 내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아이어닝 공정(S130)을 통하여 센싱부(216)를 평평하게 폄으로써 톤휠(220)을 제작하였다. Thereafter, a plurality of sensing holes 218 are formed in the sensing unit 216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rough a piercing process (S120). However, since the sensing hole 218 is form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thinner sensing part 216, the middle part of the sensing part 216 is bent inward to the radius. Therefore, the tone wheel 220 was manufactured by flattening the sensing unit 216 through the ironing process S130.

이러한 종래의 톤휠 제조 방법에 따르면, 그 제조 원가가 소결 금속을 이용하여 톤휠을 제조하는 방법에 비하여 절반 이하로 줄어들게 되었다. 그런데, 피어싱 공정(S120) 후 아이어닝(ironing) 공정(S130)을 통하여 센싱홀(218)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센싱홀(218)의 간격이 일정하게 제작되지 못하였다. 상기 종래의 톤휠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조된 톤휠(220) 중 20% 이상이 불량품이었으며, 불량 원인의 대부분이 센싱홀(218)의 간격 불량이었다.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tone wheel manufacturing metho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to less than half compared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one wheel using a sintered metal. However, since the interval of the sensing hole 218 is adjusted through the ironing process (S130) after the piercing process (S120), the interval of the sensing hole 218 could not be made constant.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one wheel manufacturing method, 20% or more of the manufactured tone wheel 220 was defective, and most of the causes of the failure were gaps in the sensing holes 218.

또한, 피어싱 공정(S120)에서 형성된 센싱홀(218)의 간격을 아이어닝 공정(S130)을 통해 일정하게 맞추는 과정이 복잡하였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constantly matching the interval of the sensing hole 218 formed in the piercing process (S120) through the ironing process (S130) was complic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요한 불량 원인인 센싱홀을 제작하지 않고 복수개의 치를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생성한 후 이를 벤딩하여 톤휠을 제작함으로써 그 제작 과정이 단순한 차량용 톤휠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ducing a plurality of teeth by the press process without producing a sensing hole which is the main cause of failure by bending them to produce a tone wheel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to provide a simple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hicle tone wheel.

또한, 복수개의 치들 사이의 간격을 비자성의 지지부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불량율이 현저히 낮추어지는 차량용 톤휠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of a tone wheel for a vehicle in which manufacturing intervals are maintained by a nonmagnetic support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defective rate.

더 나아가, 상기 지지부를 환형부로 연결하고, 상기 환형부와 상기 지지부를 복수개의 리브로 보강함으로써 톤휠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제조 과정에서 불량율이 더욱 줄어드는 차량용 톤휠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Furtherm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ne wheel for a vehicle in which the support part is connected to the annular part, and the annular part and the support part are reinforced with a plurality of ribs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tone wheel and further reduce the defective rat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톤휠은 휠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차량의 휠 베어링에 장착되며, 상기 휠 베어링에 장착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된 장착부; 상기 장착부의 일단에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의 반대쪽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치를 포함하는 센싱부; 상기 복수개의 치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치들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 상기 장착부의 반대쪽에서 상기 지지부를 잡아주는 환형부; 그리고 상기 환형부 또는 지지부의 내주면에서 반경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연결되어 상기 환형부 또는 지지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개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Vehicle tone whee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mounted to the wheel bearing of the vehicle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wheel, the moun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to be mounted to the wheel bearing; A connection part of which one end is integrally formed on one end of the mounting part; A sensing part having one end integr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teeth protruding in the opposite axial direction of the mounting part; A support portion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teeth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teeth; An annular portion for holding the suppor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ribs protruding radially inward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portion or the support por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annular portion or the support portion.

상기 복수개의 리브는 리브 연결부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rib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rib connecting portion.

상기 복수개의 치들은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일정 간격으로 절삭 성형된 후상기 연결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벤딩되며, 상기 지지부, 환형부, 그리고 복수개의 리브는 비자성체로서 상기 치들에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teeth are cut and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y a press process, and then bent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upport, the annular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ribs may be integrally injected into the teeth as nonmagnetic materials.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톤휠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치들의 타단 일정 부분에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In the vehicle tone whe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art may be integrally injected in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teeth.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톤휠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치들 전체에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In the vehicle tone whe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art may be integrally injected into the entire teeth.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톤휠은, 상기 장착부의 타단에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부; 그리고 상기 보강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부에서 반경 내측으로 벤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Vehicle tone whe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end is integr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the reinforcement portion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seat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and bent radially inward from the reinforcement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톤휠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톤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Vehicle tone whee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one wheel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상기 방법에 따르면, 자성체인 평판 중심부를 축방향으로 드로잉하여 상기 장착부와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에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일정 간격으로 절삭 성형된 복수개의 치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치들을 상기 장착부의 반대쪽 축방향으로 벤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치들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후, 비자성체인 상기 지지부, 환형부, 그리고 복수개의 리브를 상기 치들에 일체로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drawing a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which is a magnetic material in the axial direction to form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Forming a plurality of teeth cut and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y a pressing process on the connection unit; Bending the plurality of teeth in opposite axial directions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fter maintaining the plurality of teeth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tegrally injecting the support, the annular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ribs, which are nonmagnetic materials, to the teeth.

상기 복수개의 리브는 리브 연결부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리브 연결부 역시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rib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rib connecting portion, and the rib connecting portion may also be integrally ejected.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톤휠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는 상기 치들의 타단 일정 부분에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In order to manufacture the vehicle tone whe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may be integrally injected in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teeth.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톤휠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는 상기 치들 전체에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In order to manufacture the vehicle tone whe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ay be integrally injected into the entire tooth.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톤휠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부의 타단을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구부려 보강부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보강부의 끝단을 반경 내측으로 구부려 안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manufacture a vehicle tone whe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ing the reinforcement by bending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nwar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bending the end of the reinforcement part radially inward to form a seating par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치를 형성하고 이 치를 벤딩한 후 비자성의 지지부를 상기 치들에 일체로 사출하므로 그 제작 과정이 단순하고 제작 원가가 줄어들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eth are formed by the pressing process and the teeth are bent, the nonmagnetic support is integrally injected into the teeth,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치들 사이의 간격을 맞춘 후 지지부를 상기 치들에 일체로 사출하므로 톤휠의 제작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량율이 현격하게 줄어들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ortion is integrally injected to the teeth after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the teeth, the defective rate genera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one wheel is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상기 치들 사이에 지지부를 일체로 사출하므로 치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ortion is integrally injected between the teeth, foreign matter may be prevented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teeth.

더 나아가, 상기 지지부를 환형부로 연결하고 상기 환형부와 상기 지지부를 복수개의 리브로 보강하기 때문에 톤휠의 강성이 더욱 증대되고 제조 과정에서 불량율이 더욱 줄어들게 된다.Furthermore, since the suppor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annular portion and the annular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re reinforced with a plurality of ribs, the rigidity of the tone wheel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defective rate is further reduc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도 1은 종래의 톤휠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각 공정에서 톤휠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톤휠이 적용된 휠 베어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톤휠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톤휠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톤휠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톤휠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톤휠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각 공정에서 톤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톤휠의 단면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ventional tone wheel manufacturing method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ne wheel in each process.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heel bearing to which a tone wheel is applie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ne whe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ne whe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the tone whe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ne whe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ne whee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ne wheel in each process.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ne whee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톤휠이 적용된 휠 베어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heel bearing to which a tone wheel is applie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톤휠이 적용된 휠 베어링(1)은 허브(10), 외륜(24), 내륜(38), 제1,2열의 전동체(44, 46), 그리고 톤휠(60, 6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wheel bearing 1 to which the tone wheel is appl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b 10, an outer ring 24, an inner ring 38, and rolling elements 44 in the first and second rows. 46, and tone wheels 60, 60.

본 명세서에서, '바깥쪽'은 휠에 가까운 부분을 의미하며, '안쪽'은 휠의 반대쪽, 즉 차체에 가까운 부분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uter' means a part closer to the wheel, and 'inner' means an opposite part of the wheel, that is, a part near the vehicle body.

허브(10)의 바깥쪽 끝단에는 휠(도시하지 않음)을 장착하기 위한 파일럿(16)이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제1플랜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플랜지(12)에는 볼트 구멍(14)이 형성되어 휠이 볼트(18)에 의하여 상기 제1플랜지(12)에 장착된다. 상기 허브(10)의 안쪽에는 단차면(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에는 변형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내륜(38)이 상기 허브(10)의 단차면(20)에 장착되면 상기 변형부(22)를 반경 외측으로 소성 변형시켜 내륜(38)을 고정한다. 또한, 상기 허브(10)의 중간부에는 제1이너 레이스웨이(inner raceway)(34)가 형성되어 있다. At the outer end of the hub 10, a pilot 16 for mounting a wheel (not shown) protrudes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first flange 12 protruding radially outward is formed. A bolt hole 14 is formed in the first flange 12 so that a wheel is mounted to the first flange 12 by a bolt 18. A stepped surface 20 is formed inside the hub 10, and a deformable portion 22 is formed at an end thereof. When the inner ring 38 is mounted on the stepped surface 20 of the hub 10, the inner ring 38 is fixed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deformable portion 22 to the outside of the radius. In addition, a first inner raceway 34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hub 10.

여기에서는, 종동륜의 휠 베어링(1)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톤휠은 구동륜의 휠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도 장착될 수 있다. 구동륜의 휠 베어링은 상기 허브(10)의 내면에 구동축(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되는 축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구멍에 구동축이 삽입되어 상기 허브(10)와 스플라인 결합한다. Here, although the wheel bearing 1 of the driven wheel is shown, the tone whe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mounted to a wheel bearing (not shown) of the drive wheel. The wheel bearing of the driving wheel has a shaft hole (not shown) in which a drive shaft (not shown) is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ub 10, and a drive shaft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to spline with the hub 10. .

외륜(24)은 상기 허브(10)의 외측에서 허브(10)를 감싸고 있으며, 그 중간부에는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제2플랜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플랜지(26)에는 볼트 구멍(28)이 형성되어 차량의 서스펜션을 구성하는 너클(도시하지 않음)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상기 제2플랜지(26)에 장착된다. 상기 외륜(24)의 바깥쪽 내주면에는 상기 제1이너 레이스웨이(34)에 대향하는 제1아우터 레이스웨이(outer raceway)(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륜(24)의 안쪽 내주면에는 제2아우터 레이스웨이(32)가 형성되어 있다. The outer ring 24 surrounds the hub 10 at the outside of the hub 10, and a second flange 26 protruding radially outward is formed at the middle portion thereof. A bolt hole 28 is formed in the second flange 26 so that a knuckle (not shown) constituting a suspension of the vehicle is mounted to the second flange 26 by bolts (not shown). A first outer raceway 30 is formed on the out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ring 24 to face the first inner raceway 34, and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ring 24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ring 24. An outer raceway 32 is formed.

내륜(38)은 상기 허브(10)의 단차면(20)에 압입된다. 상기 내륜(38)에는 상기 제2아우터 레이스웨이(32)에 대향하는 제2이너 레이스웨이(36)가 형성되어 있다. The inner ring 38 is pressed into the step surface 20 of the hub 10. The inner race 38 is formed with a second inner raceway 36 facing the second outer raceway 32.

제1열의 전동체(44)는 복수개의 전동체들이 제1케이지(48)에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이너 레이스웨이(34)와 상기 제1아우터 레이스웨이(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The rolling elements 44 of the first row are formed by inserting a plurality of rolling elements at regular intervals into the first cage 48, between the first inner raceway 34 and the first outer raceway 30. Is placed on.

제2열의 전동체(46)는 복수개의 전동체들이 제2케이지(5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2이너 레이스웨이(36)와 상기 제2아우터 레이스웨이(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The rolling elements 46 of the second row are formed by inserting a plurality of rolling elements at regular intervals into the second cage 50, between the second inner raceway 36 and the second outer raceway 32. Is placed on.

이와 같이 배치된 상기 제1,2열의 전동체들(44, 46)은 상기 허브(10)의 상기 외륜(24)에 대한 회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마찰, 소음, 진동을 줄이게 된다. The rolling elements 44 and 46 of the first and second rows disposed as described above reduce friction, noise, and vibration by smoothly rotating the outer ring 24 of the hub 10.

휠 베어링(1) 내부로 이물질 및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허브(10)와 외륜(24) 사이 및 상기 내륜(38)과 외륜(24) 사이에는 각각 실링부재(40, 42)가 게재되어 있다.Sealing members 40 and 42 are placed between the hub 10 and the outer ring 24 and between the inner ring 38 and the outer ring 24 to prevent the ingress of foreign matter and water into the wheel bearing 1, respectively. It is.

휠 베어링(1)을 조립하기 위하여, 제1,2열의 전동체(44, 46)를 제1이너 레이스웨이(34)와 제1아우터 레이스웨이(30) 사이 및 제2아우터 레이스웨이(32)에 위치시키고, 내륜(38)을 허브(10)의 단차면(20)에 압입한다. 그 후, 허브(10)의 변형부(22)를 내륜쪽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허브(10)에 외륜(24), 내륜(38), 그리고 전동체들(44, 46)을 장착한다. In order to assemble the wheel bearing 1, the rolling elements 44 and 46 in the first and second rows are placed between the first inner raceway 34 and the first outer raceway 30 and the second outer raceway 32. The inner ring 38 is pressed into the step surface 20 of the hub 10. Thereafter, the deformable portion 22 of the hub 10 is deformed toward the inner ring to mount the outer ring 24, the inner ring 38, and the rolling elements 44 and 46 on the hub 10.

이러한 휠 베어링(1)은 작동 성능의 안정성 및 수명 향상을 위하여 전동체들(44, 46)에 예압(preload)이 발생되도록 제작된다.The wheel bearing 1 is manufactured so that preload is generated in the rolling elements 44 and 46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life of the operating performance.

상기와 같이, 휠 베어링(1)을 제작한 후, 톤휠(60, 60)을 상기 휠 베어링(1)에 장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톤휠(60, 60)이 내륜(38)의 바깥쪽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톤휠(60, 60)은 휠 베어링(1)의 회전 요소에 장착되어 휠 베어링(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면 충분하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wheel bearing 1 is manufactured, the tone wheels 60 and 60 are mounted on the wheel bearing 1. In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tone wheels 60 and 60 are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ring 38,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one wheels 60, 60 are sufficient to be mounted on a rotating element of the wheel bearing 1 and mounted in a position capable of rotating with the wheel bearing 1.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톤휠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tone whee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톤휠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톤휠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톤휠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톤휠의 일부 단면도이다.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ne whe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ne whe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tone whe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ne whe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톤휠(60, 60)은 장착부(62), 연결부(64), 센싱부(66), 지지부(68), 환형부(69), 복수개의 리브(73), 그리고 리브 연결부(71)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3 to 6, the tone wheels 60 and 6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mounting portion 62, a connection portion 64, a sensing portion 66, a support portion 68, and an annular portion ( 69, a plurality of ribs 73, and rib connecting portion 71.

장착부(62)는 휠 베어링(1)의 내륜(38) 외주면에 장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The mounting portion 62 is cylindrical in shape to be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ring 38 of the wheel bearing 1 and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연결부(64)는 그 일단이 상기 장착부(62)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센서(도시하지 않음)는 외륜(24)의 안쪽 외주면에 장착되는데, 캡 형상을 지니고 있다. 상기 연결부(64)가 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센싱부(66)가 센서와 미리 설정된 거리의 에어 갭을 가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결부(64)의 구조는 본 명세서에서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일 센서의 외주면이 상기 장착부(62)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다면 상기 연결부(64)는 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연결부(64)는 상기 센싱부(66)와 센서 사이의 에어 갭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어떠한 구조도 가능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64 is integrally formed with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62 and extends in the radial direction outward. In general, a sensor (not shown) is mounted on the inn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ring 24, and has a cap shape. The connecting portion 64 extends radially outward so that the sensing portion 66 has an air gap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nsor. The structure of such a connecting portion 64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is specification. I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nsor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mounting portion 62, the connecting portion 64 should extend radially inward.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connection portion 64 may be any structure that serves to adjust the air gap between the sensing portion 66 and the senso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센싱부(66, 66')는 그 일단이 상기 연결부(64)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62)의 반대쪽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치(67)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치(67)들은 그 일단 사이가 상기 연결부(64)에 의하여 막혀 있으며, 그 타단 사이는 뚫려 있다. 상기 센싱부(66, 66')에서 휠의 회전 속도에 따른 자기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는, 상기 복수개의 치(67)들의 두께 및 치(67)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여야 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The sensing parts 66 and 66 ′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64 and include a plurality of teeth 67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opposite to the mounting part 62.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teeth 67 are blocked between the one end by the connecting portion 64, the other end is drille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hickness of the plurality of teeth 67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eeth 67 must be constant in order to generate the magnetic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wheel in the sensing units 66 and 66 '. Do.

지지부(68, 68')는 상기 복수개의 치(67)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치(67)들의 타단을 잡아준다. 상기 지지부(68, 68')는 비자성체로 만들어져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하여 치들 사이의 간격이 바뀌는 것을 방지한다. Supports 68, 68 ′ hold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teeth 67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teeth 67. The supports 68, 68 ′ are made of nonmagnetic material and prevent the gaps between the teeth from changing due to external impact.

상기 지지부(68, 6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67)들 전체에 일체로 사출될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67)들의 타단 일정 부분에 일체로 사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부(68, 68')는 자기 신호를 생성시키지 않고 치(67)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치(67)들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만을 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다른 형상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As shown in FIG. 3, the supports 68 and 68 ′ may be integrally injected into the entirety of the teeth 67, and as shown in FIG. 6,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ther end of the teeth 67 is provided. It may be injected integrally in the. Such supports 68 and 68 'maintain the constant spacing between the teeth 67 without generating a magnetic signal and serve only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teeth 67. It may be manufactured in different shape.

상기 환형부(69)는 상기 지지부(68, 68')의 타단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환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환형부(69)는 상기 지지부(68, 68')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The annular portion 69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o serve to hold the other ends of the support portions 68 and 68 '. The annular portion 69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upport portion 68, 68 '.

상기 복수개의 리브(73)는 상기 환형부(69) 또는 상기 지지부(68, 68')의 내주면에서 반경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리브(73)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복수개의 리브(73)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환형부(69) 또는 상기 지지부(68, 68')의 강성을 보강한다. The plurality of ribs 73 protrude radially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annular portion 69 or the support portions 68, 68 ′. These ribs 73 are preferab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ribs 73 thus forme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annular portion 69 or the support portions 68 and 68 '.

상기 리브 연결부(71)는 상기 복수개의 리브(73)의 내주면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강성을 보강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리브 연결부(71)과 환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리브 연결부(71) 중앙의 구멍에는 구동륜 축이 끼워지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톤휠(60, 60')이 종동륜 휠 베어링에 장착되는 경우, 이러한 리브 연결부(71)는 환형으로 제작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리브 연결부(71)를 제거하고 상기 복수개의 리브(73)를 직접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The rib connecting portion 71 reinforces rigidity by conne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ribs 73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ib connecting portion 71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e driving wheel shaft is fitted into the hole in the center of the rib connecting portion 71. Of course, in the case where the tone wheels 60 and 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to the driven wheel wheel bearing, the rib connecting portion 71 may not be manufactured in an annular shape. In addition, the rib connecting portion 71 may be removed to directly connect the plurality of ribs 73.

이하, 도 7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톤휠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7, a manufacturing method of a tone whee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톤휠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각 공정에서 톤휠의 단면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ne whee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ne wheel in each proces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톤휠(60, 60')을 제작하기 위하여 준비된 평판의 중심부를 축방향으로 드로잉하여 1차 반제품(70)을 형성한다(S300). 이 경우, 드로잉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된 평판의 중심부에는 장착부(62)가 형성되고, 드로잉되지 않은 평판의 가장자리에는 연결부(6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64)에 자기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치(67)를 형성하므로 상기 평판은 자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As illustrated in FIG. 7, the central semifinished portion of the flat plate prepared for manufacturing the tone wheels 60 and 60 ′ is axially drawn to form a primary semifinished product 70 (S300). In this case, the mounting portion 6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lat plate drawn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64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non-drawn flat plate. In addition, since the teeth 67 for generating a magnetic signal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64, the flat plate is preferably a magnetic material.

그 후, 연결부(64)의 가장자리를 프레스 가공하여 2차 반제품(72)을 형성한다(S310). 이 경우, 연결부(64)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선으로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치(67)들이 절삭 성형된다. 종래의 톤휠 제조 방법에 따라 센싱홀(또는 치)을 피어싱 공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 센싱홀(또는 치)의 개수만큼 피어싱 가공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치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한 번의 공정만이 필요하므로 공정 수가 감소하게 된다. Thereafter, the edge of the connecting portion 64 is pressed to form a secondary semifinished product 72 (S310). In this case, the connecting portion 64 is cut-molded with a plurality of teeth 67 protruding radially out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en the sensing holes (or teeth) are formed by a piercing proces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one wheel manufacturing method, the number of sensing holes (or teeth) should be pierced. However, in the case of forming the tooth by the pressing step, only one step is required, so the number of steps is reduced.

그 후, 상기 복수개의 치(67)들을 상기 장착부의 반대쪽 축방향으로 벤딩하여 3차 반제품(74)을 형성한다(S320). 이 때, 치(67)들은 상기 장착부(62)와 평행하며 상기 연결부(64)에는 수직으로 형성된다.Thereafter, the plurality of teeth 67 are bent in the axial direction opposite to the mounting portion to form a tertiary semifinished product 74 (S320). At this time, the teeth 67 are parallel to the mounting portion 62 and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ng portion (64).

마지막으로, 상기 복수개의 치(67)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맞춘 후, 상기 지지부(68), 환형부(69), 리브(73), 그리고 리브 연결부(71)를 상기 치(67)들에 일체로 사출하여 톤휠(60)을 형성한다(S330). 이 경우, 치(67)들 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맞춘 후 지지부(68), 환형부(69), 리브(73), 그리고 리브 연결부(71)를 상기 치(67)들에 일체 사출하므로 톤휠(60)의 불량율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Finally, after uniformly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teeth 67, the support 68, the annular portion 69, the rib 73, and the rib connecting portion 71 are replaced with the teeth 67. Injecting integrally to form a tone wheel 60 (S330). In this case, the tone wheel is precisely matched between the teeth 67, and then the support 68, the annular 69, the rib 73, and the rib connecting portion 71 are integrally injected to the teeth 67. The defective rate of 60 is significantly reduced.

한편, 상기 지지부(68)로는 비자성체인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68)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지도 않고 치(67)들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지도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형부(69), 리브(73), 그리고 리브 연결부(71)를 통하여 상기 지지부(68)의 강성을 보강하므로 더 큰 외부 충격에도 견딜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ortion 68 may be used a non-magnetic plastic.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68 preferably has sufficient strength so that it is not broken by an impact from the outside and the gap between the teeth 67 is not changed. In addition, through the annular portion 69, the rib 73, and the rib connecting portion 71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support portion 68 can withstand a greater external impact.

또한, 치(67)들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67)들 전체에 지지부(68)가 일체로 사출될 수도 있으나,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센싱되는 부분에만 지지부(68)가 일체로 사출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teeth 67, 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68 may be integrally injected into the entire teeth 67, but a sensor (not shown) may be used. Only the portion that is sensed by the support portion 68 may be integrally injected.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톤휠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톤휠(60)은 휠 베어링(1)에의 장착의 편의성을 위한 것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ne whee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e wheel 60 shown in FIG. 8 is for ease of mounting on the wheel bearing 1.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톤휠(60)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들에 따른 톤휠(60, 60)과 동일하게 장착부(62), 연결부(64), 센싱부(66), 지지부(68), 환형부(69), 리브(73), 그리고 리브 연결부(71)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보강부(61)와 안착부(63)를 더 포함한다. The tone wheel 6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62, the connecting portion 64, the sensing unit 66, the same as the tone wheels 60, 6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Support portion 68, annular portion 69, ribs 73, and rib connecting portion 71, in addition to the reinforcement portion 61 and the seating portion (63).

상기 보강부(61)는 상기 장착부(62)의 타단을 상기 장착부(62)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구부려 형성되는데, 톤휠(60)이 휠 베어링(1)의 내륜(38)에 압입될 때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여 톤휠(60)의 휠 베어링(1)에의 고정을 돕게 된다. The reinforcing portion 61 is formed by bending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62 inwardl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62, when the tone wheel 60 is pressed into the inner ring 38 of the wheel bearing (1) Sufficient rigidity is provided to help fix the tone wheel 60 to the wheel bearing 1.

안착부(63)는 상기 보강부(61)의 끝단을 반경 내측으로 구부려 형성하는데, 톤휠(60)이 휠 베어링(1)의 내륜(38)에 압입될 때 상기 안착부(63)가 내륜(38)의 안쪽 끝단에 안착되어 톤휠(60)의 축방향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상기 톤휠(60)의 축방향 위치는 센서가 센싱하기 좋은 위치로, 휠 베어링(1) 및 센서의 사양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The seating portion 63 is formed by bending the end of the reinforcing portion 61 radially inwardly. When the tone wheel 60 is press-fitted into the inner ring 38 of the wheel bearing 1, the seating portion 63 is formed by the inner ring ( 38) it is seated on the inner end to set the axial position of the tone wheel (60). The axial position of the tone wheel 60 is a position suitable for sensing by the sensor, and is preset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wheel bearing 1 and the sensor.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to the scope that are deemed to be valid.

Claims (11)

휠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차량의 휠 베어링에 장착되며, 자성체인 평판을 드로잉한 후 절삭 가공으로 복수개의 치를 형성하여 제작된 톤휠에 있어서,
상기 휠 베어링에 장착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된 장착부;
상기 장착부의 일단에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의 반대쪽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복수개의 치를 포함하는 센싱부;
상기 복수개의 치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치들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
상기 장착부의 반대쪽에서 상기 지지부를 잡아주는 환형부; 그리고
상기 환형부 또는 지지부의 내주면에서 반경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연결되어 상기 환형부 또는 지지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개의 리브;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리브는 리브 연결부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휠.
In the tone wheel is mounted on the wheel bearing of the vehicle so as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wheel, and produced a plurality of teeth by drawing a flat plate which is a magnetic material, and then cutting,
A moun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to be mounted to the wheel bearing;
A connection part of which one end is integrally formed on one end of the mounting part;
A sensing part having one end integr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and including the plurality of teeth protruding in the opposite axial direction of the mounting part;
A support portion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teeth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teeth;
An annular portion for holding the suppor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ribs protruding radially inward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portion or the support por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annular portion or the support portion;
Including;
And the plurality of rib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rib connecting por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들은 등간격으로 절삭 성형되고 상기 휠 베어링의 회전축과 평행을 이루도록 벤딩되며,
상기 지지부, 환형부, 그리고 복수개의 리브는 비자성체로서 상기 치들에 일체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휠.
The method of claim 1,
The teeth are cut and shaped at equal intervals and bent to be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wheel bearing,
And the support, the annular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ribs are integrally injected into the teeth as a nonmagnetic materia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치들의 타단 일정 부분에 일체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휠.
The method of claim 3,
The support portion is a tone wheel,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ly inject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teeth.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치들 전체에 일체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휠.
The method of claim 3,
Tone wh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integrally injected into the entire tooth.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타단에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부; 그리고
상기 보강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부에서 반경 내측으로 벤딩되는 안착부;
를 더 포함하는 톤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One end of which is integr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the reinforcing portion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seat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and bent radially inward from the reinforcement portion;
Tone wheel including more.
차량용 톤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톤휠은 휠 베어링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의 반대쪽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치를 포함하는 센싱부, 상기 복수개의 치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잡아주는 지지부, 상기 장착부의 반대쪽에서 상기 지지부를 잡아주는 환형부, 그리고 상기 환형부 또는 지지부의 내주면에서 반경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환형부 또는 지지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개의 리브를 포함하되,
자성체인 평판 중심부를 축방향으로 드로잉하여 상기 장착부와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센싱부에 등간격으로 절삭 성형된 복수개의 치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치들을 상기 장착부의 반대쪽 축방향으로 벤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치들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후, 비자성체인 상기 지지부, 환형부, 그리고 복수개의 리브를 상기 치들에 일체로 사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리브는 리브 연결부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리브 연결부 역시 일체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톤휠의 제조 방법.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vehicle tone wheel,
The tone wheel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mounted to a wheel bearing, a connecting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unting portion, a sensing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teeth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and protruding in an axial direction opposite to the mounting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teeth. A support portion for holding the constant space, an annular portion for holding the support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protruding radially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portion or support portion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annular portion or the support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ribs,
Drawing a central portion of a plate, which is a magnetic body, in an axial direction to form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Forming a plurality of teeth cut and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sensing unit;
Bending the plurality of teeth in opposite axial directions of the mounting portion; And
Injecting the support, the annular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ribs integrally into the teeth after the plurality of teeth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Including;
The plurality of rib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rib connecting portion, the rib connecting portion is also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vehicle tone wheel,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ly ejected.
삭제delet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치들의 타단 일정 부분에 일체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톤휠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upport por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vehicle tone wheel,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ly inject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teeth.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치들 전체에 일체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톤휠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upport part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vehicle tone wheel,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ly injected into the entire tooth.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타단을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구부려 보강부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보강부의 끝단을 반경 내측으로 구부려 안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톤휠의 제조 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Forming a reinforcement part by bending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part inwardl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And
Bending the end of the reinforcement part radially inward to form a seating part;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hicle tone wheel further comprising a.
KR1020100055622A 2010-06-11 2010-06-11 Tone wheel for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295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622A KR101229563B1 (en) 2010-06-11 2010-06-11 Tone wheel for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622A KR101229563B1 (en) 2010-06-11 2010-06-11 Tone wheel for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731A KR20110135731A (en) 2011-12-19
KR101229563B1 true KR101229563B1 (en) 2013-02-04

Family

ID=4550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622A KR101229563B1 (en) 2010-06-11 2010-06-11 Tone wheel for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56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4107A (en) * 1995-08-11 1997-02-25 Nippon Seiko Kk Tone wheel for detecting rotational speed and its manufacture
KR20030084280A (en) * 2002-04-26 2003-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tone wheel for wheel speed detecting of vehicles
KR100872830B1 (en) 2007-08-27 2008-12-09 주식회사 유성에프티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tone wheel for vehicle
KR20090129213A (en) * 2008-06-12 2009-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obile tone whe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4107A (en) * 1995-08-11 1997-02-25 Nippon Seiko Kk Tone wheel for detecting rotational speed and its manufacture
KR20030084280A (en) * 2002-04-26 2003-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tone wheel for wheel speed detecting of vehicles
KR100872830B1 (en) 2007-08-27 2008-12-09 주식회사 유성에프티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tone wheel for vehicle
KR20090129213A (en) * 2008-06-12 2009-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obile tone wh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731A (en)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69686B (en) Hub bearing unit configured for mounting on a knuckle of a suspension
CN101743133A (en) Wheel bearing apparatus for a vehicle
JP2009516147A5 (en)
JP2005231535A (en) Bearing ring member constituting hub unit for supporting wheel,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hub unit for supporting wheel
US7044563B2 (en) Wheel supporting roller bearing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EP3546777B1 (en) Hub unit bea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229563B1 (en) Tone wheel for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273670B2 (en) Hub unit bearing
JP5228343B2 (en) Double row rolling bearing unit for wheel suppor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6054746A1 (en) Rolling bearing device
JP4078945B2 (en) Rolling bearing device
EP1800898B1 (en) Hub unit for vehicle
JP5087901B2 (en) Rolling bearing device for wheels
KR20100099992A (en) Tone wheel for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515774B2 (en) Double row tapered roller bearing unit for wheel support
JP2013067323A (en) Bearing device for axle
JP4042528B2 (en) Rolling bearing device
JP4693388B2 (en) Cover with sensor for wheel bearing device
JP2013018338A (en) Hub unit for wheel support
JP542303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wheel bearing device
JP2004116716A (en) Rolling bearing device
CN102418738B (en) High-rigidity long-life wheel hub bearing unit
CN210196284U (en) Automobile hub bearing unit
JP6855685B2 (en) Hub unit
JP4595582B2 (en) Hub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