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294B1 - 전기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294B1
KR101229294B1 KR1020090048359A KR20090048359A KR101229294B1 KR 101229294 B1 KR101229294 B1 KR 101229294B1 KR 1020090048359 A KR1020090048359 A KR 1020090048359A KR 20090048359 A KR20090048359 A KR 20090048359A KR 101229294 B1 KR101229294 B1 KR 101229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ignal
control signal
generat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813A (ko
Inventor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90048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29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9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전기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 판단부; 및 상기 수광부에서 수신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인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입력하고, 상기 터치 판단부에서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입력하는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적외선 신호가 전기적인 제어 신호로 변환되는 포맷과 동일한 포맷의 터치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콘과 터치감지 장치를 모두 입력 장치로 구비한 전기/전자 장치에서 회로의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전기/전자 장치의 부하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터치, 센서, 리모콘, 적외선, 신호

Description

전기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LECTRICAL AN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는 전기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많은 전기/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서 터치 센서와 같은 터치를 감지하는 장치를 이용한 터치 입력 장치가 존재하며 개발되고 있다.
원칙적으로 터치 감지 장치는 터치 자체를 인식하는 장치이고,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 감지를 수행하여 감지된 터치를 신호로 출력하여 입력 수단으로 이용되는 장치이나 실제로 큰 구별없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감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다양하나 실제로 터치가 이루어지는 감지부에 전극을 설치하고 감지부를 손가락 등으로 터치하면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신호로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마이크로컴퓨터 등에 전달하는 방법 등이 널 리 사용된다.
또한, 직접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도 근접한 경우 미세한 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이용하기도 하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치 모두 터치 또는 접촉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터치 감지 방법은 종래의 기계식 버튼의 누름에 의한 입력 방법과 비교하여 입력이 용이하고 기계적 동작을 포함하지 않아 기계적 마모의 염려가 없는 이점이 있어 최근 그 이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터치 감지 장치 이외에도 전기/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 또는 입력부로서 원격으로 전기/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한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원격 제어 장치인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troller)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모트 콘트롤러는 줄여서 흔히 리모콘(remo-con)이라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이하 '리모콘'이라 함), TV나 비디오 등의 가전 제품의 제어를 위한 부가적인 장치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모콘은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적외선 신호를 TV나 비디오 등의 전기/전자 제품에 포함된 수광부에서 수신하여 해당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TV나 비디오 등의 전기/전자 제품에 포함된 입력부 예를 들면, 전원, 채널, 음량 등의 입력부를 터치 감지 장치로 구현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에 전기/전자 제품에 터치 감지 장치와 리모콘을 모두 입력부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경우 그 구성을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전자 제품에 터치 감지 장치와 리모콘을 모두 입력부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경우 수광부(100), 리모콘 신호 발생부(110), 정전 용량 검출부(120), 터치 감지부(130), 터치 신호 발생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터치의 감지가 정전 용량 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감지 방법이나 장치 외에도 저항막 방식 등의 터치 감지 장치도 가능하다.
먼저 수광부(100)는 리모콘으로부터 발신되는 빛 신호 예를 들면,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다.
수광부(100)에서 수신된 적외선 신호는 리모콘 신호 발생부(110)에서 MCU(Micro Control Unit)와 같은 제어부(150)에서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적외선 신호는 MCU와 같은 리모콘 신호로서 제어부(150)로 입력되어 수신된 리모콘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명령 예를 들면, 전원의 온/오프(on/off)와 같은 입력 신호인지 판단하여 판단된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가 수행된다.
한편, 터치에 의한 입력 신호의 처리는 전기/전자 장치에 키 등의 형태로 구현된 부분에 사용자가 터치를 하는 경우 정전 용량 검출판(120)에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정전 용량 변화에 대하여 터치 여부를 터치 감지부(130)에 판단한다.
그리고 터치 신호 발생부(140)에서 정전 용량 변화가 감지된 키의 정보와 함께 터치 신호가 MCU와 같은 제어부(150)로 입력된다.
제어부(150)는 수신된 터치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키 정보와 매칭하여 예를 들면, 전원의 on/off와 같은 키에 해당하는 터치였는지 판단된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가 수행된다.
한편, 이러한 리모콘의 입력 신호나 터치 감지부(130)로 구현된 키의 입력 신호 모두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리모콘으로 전원의 온/오프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전기/전자 장치에 구현된 전원 온/오프 키를 터치하는 것도 역시 전원의 온/오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제어부(150)에서는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리모콘 신호와 터치 신호 발생부(14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신호를 모두 입력 받아야만 하고 또한 리모콘 신호와 터치 신호를 모두 분석하여 특정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회로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또한 MCU와 같은 제어부 등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의 처리량이 증가하여 전기/전자 장치의 부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리모콘과 터치감지 장치를 모두 입력 장치로 구비한 전기/전자 장치에서 회로의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전기/전자 장치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는 전기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전기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 판단부; 및 상기 수광부에서 수신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인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입력하고, 상기 터치 판단부에서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입력하는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적외선 신호가 전기적인 제어 신호로 변환되는 포맷과 동일한 포맷의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터치 판단부는 정전 용량 방식으로 상기 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판단부는 저항막 방식으로 상기 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것은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키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것은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기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터치 판단부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터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판단부에 의해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신호 발생부는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생되는 터치 신호는 수광부가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수신한 적외선 신호를 신호 발생부에서 전기적인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포맷과 동일한 포맷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터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정전 용량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터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저항막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키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기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터치 판단부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터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판단부에 의해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신호 발생부는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생되는 터치 신호는 수광부가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수신한 적외선 신호를 신호 발생부에서 전기적인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포맷과 동일한 포맷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터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정전 용량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터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저항막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키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리모콘과 터치감지 장치를 모두 입력 장치로 구비한 전기/전자 장치에서 회로의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전기/전자 장치의 부하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 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 제품에 터치 감지 장치와 리모콘을 모두 입력부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경우 전기/전자 장치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전기/전자 제품에 터치 감지 장치와 리모콘을 모두 입력부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경우 그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 제품에 터치 감지 장치와 리모콘을 모두 입력부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경 우 전기/전자 장치에는 수광부(100), 정전 용량 검출부(120), 터치 감지부(130), 신호 발생부(20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1의 경우와 같이 도 2는 터치의 감지가 정전 용량 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감지 방법이나 장치 외에도 저항막 방식 등의 터치 감지 장치도 가능하며, 이러한 터치 감지 방식의 장치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먼저 수광부(100), 정전 용량 검출부(120) 및 터치 감지부(130)는 전술한 도 1의 경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도 1의 종래와 달리 하나의 신호 발생부(200)만을 포함하여 전기/전자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신호 발생부(200)에서 발생되는 신호는 종래의 리모콘 신호 발생부(110)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인 입력 신호와 동일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의 신호 발생부(20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신호의 예시를 도 3 및 도 4의 예시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종래의 리모콘 신호 발생부(11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발생부(20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텔레비전 리모콘을 통해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발생되는 신호의 형식을 예시한 것으로서 TC9012형 포맷으로 불 리운다.
이러한 신호의 형식에 따라 신호의 앞 부분에 leader code가 위치하고 이후 custom code와 data code가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신호가 MCU와 같은 제어부(150)로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해당 신호에 포함되는 코드를 읽어 해당하는 입력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입력에 해당하는 동작이 수행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리모콘과 터치 감지 장치를 모두 입력부 또는 입력 장치로 포함하는 전기/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감지 장치에서는 도 3과 같이 리모콘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와 동일한 형태의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한편, 본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신호 또는 동일한 형태의 신호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제어부(150)에서 리모콘이나 터치 감지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인 입력 신호를 모두 동일한 신호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신호를 나타내는 표현임은 자명하다.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도 3과 비교하여 리모콘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신호가 발생되어 MCU와 같은 제어부(150)로 입력되면 MCU(150)는 해당 신호에 포함되는 코드를 읽어 해당하는 입력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입력에 해당하는 동작이 수행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2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여부만을 판단하는 구성 요소를 터치 감지부(130)로 도시하고 하나의 신호 발생부(200)만을 도시하였으나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 감지부(130)와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200)를 하나의 장치나 칩의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도 제어부(150)에서는 리모콘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와 동일한 형태의 신호만을 처리하면 되므로 제어부(150)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장치나 칩의 형태로 구현하여 전기/전자 장치의 구성 등을 보다 단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리모콘과 터치 감지 장치를 모두 입력 장치로 구비한 전기/전자 장치의 경우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리모콘을 입력 장치로 구비하지 않고 터치 감지 장치만을 입력 장치로 구비한 경우에도 본 발명과 같이 리모콘 신호와 동일한 신호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리모콘 신호 발생과 터치 감지로 인한 신호 발생이 동일한 구성 요소에서 같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나 터치 감지로 인하여 발생되는 신호가 리모콘 신호와 동일하게 함으로써 제어부로 입력되는 신호의 종류 및 구성을 보다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즉, 제어부로의 입력이 각각의 코드로 구성되는 하나의 입력으로 단순하게 입력될 수 있으므로 터치 감지 장치만을 입력 장치로 구비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회로의 구성이나 제어부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감지를 처리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순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콘트롤러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감지를 처리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정전 용량 검출판(120)에서 터치가 이루어져 정전 용량의 변화가 발생하여 정전 용량의 변화가 입력되면(S500), 입력된 정전 용량의 변화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터치 여부를 판단한다(S502).
그리고 터치가 입력된 정전 용량 검출판(120)에 해당하는 키 정보와 함께 터치 입력 신호를 신호 발생부(200)로 전송하면 신호 발생부(200)에서는 키 정보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S504).
이때 발생되는 신호는 리모콘 신호와 동일한 신호가 발생되게 되어 발생된 신호는 제어부(150)로 전송된다(S506).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리모콘 신호를 이용한 터치 감지 방법을 예를 들어 살펴본다.
예를 들어, TV의 전원 온/오프 버튼이 터치 감지 장치로 구현된 것으로 가정한다.
종래에는 전원 온/오프 버튼을 누르는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터치 여부를 판단하고 터치로 판단되면, 전원 온/오프 버튼이라는 키 정보와 함께 터치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송하여, 제어부(150)에서 이러한 신호와 정보를 이용하여 전원 온/오프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리모콘을 이용하여 전원 온/오프 버튼을 누르는 경우 예를 들면 도 3 에서 예시한 것과 같은 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150)로 수신되고 제어부(150)에서 이러한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 온/오프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원 온/오프 버튼을 누르는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터치 여부를 판단하고 터치로 판단되면 전원 온/오프 키 정보를 이용하여 신호 발생부(200)에서 도 4에서 예시한 것과 같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부(150)에서 실제로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입력인지 리모콘으로부터의 전원 온/오프 신호인지 판단할 필요없이 전원 온/오프에 상응하는 신호 하나만을 인식하고 처리하여 전원 온/오프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면 된다.
따라서 회로적으로는 그 구성이 단순하게 되며 전기/전자 장치에서의 부하도 줄어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터치 감지 장치가 정전 용량 방식인 경우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다른 방식 예를 들면, 저항막 방식 등의 터치 감지 장치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터치 여부를 판단하고 키 정보를 이용하여 신호 발생부(200)에서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키 정보뿐만 아니라 터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의 경우 터치 여부 판단 뿐만 아니라 터치 위치에 따라 터치 위치에 상응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터치 감지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전자 제품에 터치 감지 장치와 리모콘을 모두 입력부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경우 그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따라 전기/전자 제품에 터치 감지 장치와 리모콘을 모두 입력부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경우 그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리모콘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입력 신호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입력 신호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콘트롤러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감지를 처리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Claims (13)

  1.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 판단부; 및
    상기 수광부에서 수신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인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입력하고, 상기 터치 판단부에서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입력하는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적외선 신호가 전기적인 제어 신호로 변환되는 포맷과 동일한 포맷의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판단부는 정전 용량 방식으로 상기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판단부는 저항막 방식으로 상기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것은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키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것은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전기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터치 판단부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터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판단부에 의해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신호 발생부는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생되는 터치 신호는 수광부가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수신한 적외선 신호를 신호 발생부에서 전기적인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포맷과 동일한 포맷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터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정전 용량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터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저항막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키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3. 전기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터치 판단부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터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판단부에 의해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신호 발생부는 상기 터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생되는 터치 신호는 수광부가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수신한 적외선 신호를 신호 발생부에서 전기적인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포맷과 동일한 포맷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90048359A 2009-06-02 2009-06-02 전기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29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359A KR101229294B1 (ko) 2009-06-02 2009-06-02 전기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359A KR101229294B1 (ko) 2009-06-02 2009-06-02 전기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813A KR20100129813A (ko) 2010-12-10
KR101229294B1 true KR101229294B1 (ko) 2013-02-22

Family

ID=4350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359A KR101229294B1 (ko) 2009-06-02 2009-06-02 전기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088B1 (ko) * 2020-05-08 2022-09-06 주식회사 아트뷰 터치패널 타입 자동 인식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757A (ko) * 2004-11-30 2006-06-05 엘지엔시스(주) 여러 종류의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
KR20070035831A (ko) * 2005-09-28 2007-04-0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접촉감지 신호 처리 기능을 개선한 접촉 감지 장치
KR20080060718A (ko) * 2006-12-27 2008-07-02 (주) 아우토스트라세 터치패널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컨트롤 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757A (ko) * 2004-11-30 2006-06-05 엘지엔시스(주) 여러 종류의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
KR20070035831A (ko) * 2005-09-28 2007-04-0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접촉감지 신호 처리 기능을 개선한 접촉 감지 장치
KR20080060718A (ko) * 2006-12-27 2008-07-02 (주) 아우토스트라세 터치패널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컨트롤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813A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9618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323383B2 (en) Method of identifying edge swipe gesture and method of opening window control bar using the identifying method
EP2488932B1 (en) Touch interface having microphone to determine touch impact strength
JP5332519B2 (ja) タッチパネル、操作検出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20060279551A1 (en) Method for object detection on a capacitive touchpad
US9715823B2 (en) Remote control device
KR20170072904A (ko) 터치 신호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의 조작을 실현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JP4073449B2 (ja) タッチパネルのハンドジェスチャー検出方法
US7804490B2 (en) Method for multiple gesture detection and verification on a touchpad
WO2012075732A1 (zh) 一种应用于数字终端的输入方法及装置
CN105303172A (zh) 一种指纹传感器的校准参数的获取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1984737B1 (ko) 광 터치 패널과 터치 펜을 포함하는 터치 시스템 및 터치 시스템에서 간섭 광신호 제어 방법
US201302301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olume using distance sensors
JP2015041189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022561A (zh) 触摸屏控制装置、方法和移动终端
US7982717B2 (en) Method for gesture detection on a touchpad
CN104898839A (zh) 一种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501930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touch pressure of touch panel and touch sen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229294B1 (ko) 전기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919285A (zh) 一种终端
US20200050314A1 (en) Touch sen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device
KR101833790B1 (ko) 포스 입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드들을 실현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2159323A1 (zh) 用电容屏手写笔模拟左右键输入的方法、电容屏手写笔及终端
WO2013172820A1 (en) Capacitive touch button with guard
US10042462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ode control method and touch sens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