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947B1 -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947B1
KR101228947B1 KR1020120026272A KR20120026272A KR101228947B1 KR 101228947 B1 KR101228947 B1 KR 101228947B1 KR 1020120026272 A KR1020120026272 A KR 1020120026272A KR 20120026272 A KR20120026272 A KR 20120026272A KR 101228947 B1 KR101228947 B1 KR 101228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led module
emitting surface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재
Original Assignee
(주) 대한라이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한라이팅 filed Critical (주) 대한라이팅
Priority to KR1020120026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옥외에 설치되는 옥외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면부를 갖고 상기 발광면부에는 엘이디 모듈로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저전력, 저 비용으로 옥외를 충분히 광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엘이디 모듈을 옥외등으로 사용함으로써 환경 오염 물질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 오염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OUTDOOR LAMP USING A LED}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수 개의 엘이디 모듈을 특정 형상의 몸체부에 결합시키고, 이와 함께, 엘이디 모듈이 형성되지 않는 특정 부분에는 그 상부에 엘이디 모듈을 형성시킴으로써, 값비싼 엘이디 모듈을 효율적으로 배치시켜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지 않으면서도, 밝기 등에서 충분한 휘도를 얻을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에 관한 것이다.
옥외등이라 함은 공원이나 정원, 각종 도로변 및 조경공간을 비롯한 장소에 구비되어, 주위를 밝히거나 특정지점의 신비감을 높이도록 설치되는 조명등의 일종으로, 이러한 옥외등은 통상적으로 백열전구, 할로겐 램프, 고압 나트륨 램프 또는 수은 램프 등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각종 램프를 매개로 옥외등을 구현하는 경우, 램프의 특성상 원하는 고휘도의 광원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램프들은 많은 전력을 소비할 뿐만 아니라, 램프의 짧은 수명에 따른 잦은 교체로 인해 유지 관리에 번거로움 및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현재 국내,외적으로 환경적인 관점에서도 종래의 옥외등에 사용된 백열전구, 할로겐, 나트륨, 수은 등은 환경오염의 문제를 발생하게 되므로 환경오염 문제가 없는 그린 라이트(green light)의 요구가 점차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서, 그린 라이트로서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옥외등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일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엘이디(LED)는 반도체의 p-n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캐리어(전자 또는 양공)를 만들어내고,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자발광물질에서 이들이 재결합(再結合)하여 발광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엘이디는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소모되어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므로, 종래의 광원에 비하여 소형이어도 충분한 광 휘도를 확보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이 기존의 형광등이나 백열등보다 길고, 환경오염 물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오염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엘이디를 응용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고휘도의 특성을 갖는 파워 엘이디는 수명이 반영구적이면서도 소비전력이 매우 낮은 장점을 갖고 있으므로, 모듈형태의 램프로 제조되어 기존의 형광등이나 백열등, 가로등 등을 비롯한 다양한 조명장치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엘이디 모듈은 자체가 고가이므로, 옥외등 전면에 형성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상기 엘이디 모듈을 덮는 투명판 역시 시설 조건에 따라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이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빛이 직진되는 특성을 갖는 엘이디는 평탄면에 배열됨으로써 빛의 확산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조명범위가 극히 협소하여 가로등의 경우에는 조명 효율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엘이디를 사용하면서도 비용이 저렴하고, 또한 파손의 염려가 없으면서 충분히 고휘도의 광원을 형성할 수 있는 엘이디를 사용하는 옥외등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다수 개의 엘이디 모듈을 결합시켜 옥외등을 구현하면서도 값비싼 엘이디 모듈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옥외등이 설치되는 해당 공간에 충분한 광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외부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옥외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옥외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환경 오염을 발생하지 않는 그린 라이트로서 친환경적인 옥외등을 제공한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하단에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동심원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면부와 비발광면부를 교호로 구비하고, 상기 발광면부에 제 1 엘이디 모듈부와 투광판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상기 제 1 엘이디 모듈부를 보호하고 상기 비발광면부에 빛을 조사하는 제 2 엘이디 모듈부를 구비하는 헤드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제 1 엘이디 모듈부와, 상기 헤드부의 제 2 엘이디 모듈부에 전원은 공급하는 스위칭모드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의 비발광면부에는 상부에 제 2 엘이디 모듈부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의 비발광면부에는 사물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의 발광면부는 3개 내지 6개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헤드부는 몸체부의 개구부에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는 램프틀; 상기 램프틀을 삽입하여 몸체부에 고정되고 제 1 엘이디 모듈부를 보호하는 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램프틀은 제 2 엘이디 모듈을 설치 고정되는 다수의 램프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옥외에 설치되는 옥외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면부를 갖고 상기 발광면부에는 엘이디 모듈로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저전력, 저 비용으로 옥외를 충분히 광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엘이디 모듈을 옥외등으로 사용함으로써 환경 오염 물질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 오염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옥외용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에 대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의 결합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옥외등(100)은 하단에 받침부(10)를 구비한 몸체부(20), 상기 몸체부(20)의 상단에 구비되는 헤드부(30), 상기 몸체부(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SMPS)(5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0)는 중앙에 개구부(21)를 개구하고, 상기 몸체부(2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구부(21)의 동심원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된 발광면부(22)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면부(22)간에는 비발광면부(23)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면부(22)에는 내측으로 제 1 엘이디 모듈부(24)를 구비하여 주변의 환경을 조명하고 밝혀주게 된다. 이때, 제 1 엘이디 모듈부(24)에는 다수개의 엘이디 모듈이 구비된다.
삭제
상기 발광면부(22)는 상기 몸체부(20)의 전체면에 구비하게 되면, 제 1 엘이디 모듈부(24)에 배치되는 엘이디 모듈의 수가 많아져, 옥외등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므로, 제조원가를 고려하면서도 발광 휘도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발광면부(22)를 돌출된 형태로 3개 이상 구비하고, 6개 이상이 넘지 않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면부(22)를 6개 이상 구비하는 것은 거의 원형에 가까우므로 엘이드 모듈의 사용 갯수를 줄임에 따른 원가 하락을 유도할 수 없어 최대 6개까지 구비한다.
상기 발광면부(22)의 제 1 엘이디 모듈부(24)에는 전방으로 상기 몸체부(2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홈(25)을 구비하고, 상기 홈(25)에는 투광판(26)을 삽입 구비한다.
그러므로 상기 투광판(26)은 상기 발광면부(22)의 제 1 엘이디 모듈부(24)를 외력 및 주위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투광판(26)은 제 1 엘이디 모듈부(24)를 보호하고, 발광되는 광원을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투광판(26)은 통상 사용하는 합성수지재로 사용한다.
상기 헤드부(30)는 몸체부(20)의 개구부(21)에 하부가 삽입되고 상부는 상기 개구부(21)에 재치되어 체결 고정되는 램프틀(31), 상기 램프틀(31)을 삽입하여 몸체부(20)에 고정되고 제 1 엘이디 모듈부(24)를 보호하는 뚜껑(32)으로 구비한다.
그러므로 상기 헤드부(30)는 옥외에 시설시 자연환경 또는 외력으로부터 몸체부(20) 및 상기 제 1 엘이디 모듈부(24)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램프틀(31)에는 다수의 램프공(33)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램프공(33)에는 제 2 엘이디 모듈부(34)를 구비하여 몸체부(20)의 비발광면부(23)에 비추어주게 되고, 상기 비발광면부(23)에는 상기 제 2 엘이디 모듈부(34)에서 발광되는 광원을 반사하는 반사판(40)을 구비한다.
이때, 제 2 엘이디 모듈부(34)를 구비하는 이유는, 발광면부(22)에 구비된 제 1 엘이디 모듈부(24)에서 발광하는 빛이 조사되지 않는 사각지역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므로, 사각지역에 빛이 조사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므로 최대한 적은 수의 엘이디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로 반사판(40)을 구비함으로써 제 2 엘이디 모듈부(34)에 구비할 엘이드 모듈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40)은 제 2 엘이디 모듈부(34)가 구비되는 램프틀(31)의 저면에 구비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몸체부(20)의 비발광면부(23)에서도 제 2 엘이디 모듈부(34)에 의해 발광되어 한층더 주변환경을 밝게 조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발광면부(23)에는 사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60)를 더 구비하여 주위의 사물 움직임을 감지하여 점소등하도록 함으로써, 주위에 사람이 없을 때에는 소등이 되도록 하고, 사람이 있는 경우 점등이 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비발광면부(23)의 동작감지센서(60) 상부에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동작감지센서(60)에 의하여 주위의 사물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낮에는 스피커만이 동작하여 음악이 흐르도록 하고, 밤에는 스피커 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엘이디 모듈부(24, 34)에 구비된 엘이디 모듈이 발광하여 음악 뿐만 아니라 빛을 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엘이디 모듈부(24, 34)에 구비된 엘이디 모듈은 타이머에 의하여 일정시간 동안에만 동작하도록 되므로, 해가 진 밤에만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SMPS)(40)는 상기 램프틀(31)의 하부에 결합하여 몸체부(20)의 내측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 1 엘이디 모듈(24) 및 상기 제 2 엘이디 모듈(34)에 안정된 구동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횡단면도로서, 도 2의 몸체부(20)에 구비되는 발광면부(22)을 4개, 5개, 6개로 구비함으로써, 몸체부(20)로부터 보다 많은 광원을 조사하게 되므로, 옥외의 정원, 각종 도로변 및 조경공간을 비롯한 장소의 주위을 보다 훤하게 밝혀줌은 물론 특정지점의 신비감을 높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옥외등을 구현함으로써 거의 반영구적인 옥외등을 제공하면서도 충분한 광원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백열전구, 할로겐 램프, 고압 나트륨 램프 또는 수은 램프 등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오염 물질의 발생이 없으므로 친환경적인 옥외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받침부 20; 몸체부
21; 개구부 22; 발광면부
23; 비발광면부 24; 제 1 엘이디 모듈
25; 홈 26; 투광판
30; 헤드부 31; 램프틀
32; 뚜껑 33; 램프공
34; 제 2 엘이디 모듈 40; 반사판
50;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60; 동작감지센서

Claims (6)

  1. 하단에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동심원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면부와 비발광면부를 교호로 구비하고, 상기 발광면부에 제 1 엘이디 모듈부와 투광판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상기 제 1 엘이디 모듈부를 보호하고 상기 비발광면부에 빛을 조사하는 제 2 엘이디 모듈부를 구비하는 헤드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제 1 엘이디 모듈부와, 상기 헤드부의 제 2 엘이디 모듈부에 전원은 공급하는 스위칭모드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비발광면부에는 상부에 제 2 엘이디 모듈부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비발광면부에는 사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 센서와 음악을 틀기 위한 스피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발광면부는 3개 내지 6개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몸체부의 개구부에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는 램프틀;
    상기 램프틀을 삽입하여 몸체부에 고정되고 제 1 엘이디 모듈부를 보호하는 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틀은 제 2 엘이디 모듈부를 설치 고정되는 다수의 램프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
KR1020120026272A 2012-03-14 2012-03-14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 KR101228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272A KR101228947B1 (ko) 2012-03-14 2012-03-14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272A KR101228947B1 (ko) 2012-03-14 2012-03-14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947B1 true KR101228947B1 (ko) 2013-02-01

Family

ID=47898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272A KR101228947B1 (ko) 2012-03-14 2012-03-14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9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0124A (ja) 1998-03-09 1999-09-24 Nippon Exterior Kenkyusho:Kk 強力な発光性を有するライティングポール
KR20110005198A (ko) * 2009-07-09 2011-01-17 씨스켐건설(주) 대나무 구조물
JP2011028890A (ja) 2009-07-22 2011-02-10 Nec Lighting Ltd 屋外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0124A (ja) 1998-03-09 1999-09-24 Nippon Exterior Kenkyusho:Kk 強力な発光性を有するライティングポール
KR20110005198A (ko) * 2009-07-09 2011-01-17 씨스켐건설(주) 대나무 구조물
JP2011028890A (ja) 2009-07-22 2011-02-10 Nec Lighting Ltd 屋外照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0022Y1 (ko) 고휘도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US8602585B1 (en) Pathway and landscape lights with perimeter spaced apart LEDs (light emitting diodes)
US20110058376A1 (en) LED illumination device capability of increasing brightness of illumination
KR20060034676A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수단
JP5700288B2 (ja) 照明器具
CN101608764A (zh) 发光二极管照明装置
JP2010218714A (ja) 螺旋状led発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led照明器具
US20150362137A1 (en) Lamp with led light bulb
KR20110076399A (ko) Led 조명장치
KR20110012288A (ko) 광범위한 조사각을 갖는 엘이디 가로등
JP3154158U (ja) 発光ダイオードを光源とする全方向電球
KR20130101697A (ko) 엘이디 조명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 램프
KR101228947B1 (ko)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옥외등
KR100919995B1 (ko) 표면적 증대 및 통풍 효율이 높은 방열 구조체가 적용된 led 조명 기구
KR100945173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20110014733A (ko) 엘이디 옥외등
KR101325080B1 (ko) 엘이디 촛대전구
KR101305070B1 (ko) 형광등 소켓에 연결가능한 엘이디 조명등
CN201606737U (zh) 一种大功率led路灯
KR200448152Y1 (ko) 발광다이오드용 매입등의 조명장치
JP2000294002A (ja) 発光体及び信号灯
JP3199742U (ja) Led照明装置
KR200468298Y1 (ko) 후사광 및 반사광을 이용한 led 조명등
KR20130039833A (ko) 선박용 led 조명장치
KR101325793B1 (ko) 직관형 엘이디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