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247B1 - Method and mold for restoration and relocation of building site remained - Google Patents

Method and mold for restoration and relocation of building site remain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247B1
KR101228247B1 KR1020120073078A KR20120073078A KR101228247B1 KR 101228247 B1 KR101228247 B1 KR 101228247B1 KR 1020120073078 A KR1020120073078 A KR 1020120073078A KR 20120073078 A KR20120073078 A KR 20120073078A KR 101228247 B1 KR101228247 B1 KR 101228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ugu
restoration
pillar
plate
di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0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보경
Original Assignee
이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경 filed Critical 이보경
Priority to KR1020120073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2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2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11/00Artists' hand tools for sculpturing, kneading, carving, engraving, guilloching or embossing;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6Separating, lifting, removing of buildings; Making a new sub-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of restoring a mold and relocating a remained site is provided to remarkably reduce the loss width of a separated surface without deforming the shape or soil quality of a surface. CONSTITUTION: A mold for restoring a mold and relocating a remained site comprise a bottom bean, a plurality of column beams(150), a lower support, a supporting plate, an upper support, and a plurality of timbers. The column beam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ottom. The lower support is installed on the bottom beam by punching the lower side of the remained site. The lower support is installed on the bottom beam by punching the bottom of the remained site.

Description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 및 그 형틀{Method and mold for restoration and relocation of building site remained}Method and mold for restoration and relocation of building site remained}

본 발명은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 및 그 형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구의 형태를 변형하지 않고 동일한 주거지의 고고학적 속성을 유지하도록 유구의 표면을 포함하여 하단부의 토양을 경화시켜 통째로 이전할 수 있는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 및 그 형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storing a large-sized circular prototype and a template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harden the soil at the lower part including the surface of the eternal quarter so as to maintain the archaeological properties of the same settlement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eternal quar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storing a large-sized prototype, and a template thereof.

우리 생활의 풍요로운 미래를 위한 국토개발 사업에는 도로시설 확충을 위한 도로공사, 산업시설을 위한 토지 구획정리, 택지 조성공사, 국가시설 기반공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국토개발 사업이 시행되기 전 고고학적인 조사가 진행되고, 발굴 조사를 통해 확인된 모든 자료를 기록으로 보존하고 이들 자료를 학술적으로는 물론 교육적 자료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발굴조사의 성과에 따라 개발지역에 대한 보존, 중요 요구에 대한 이전·복원, 개발사업의 진행 등의 과정으로 구분되어 시행된다.National land development projects for the rich future of our life include road construction to expand road facilities, land readjustment for industrial facilities, housing site construction, and national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are conducted before such land development projects are implemented, and all data identified through excavation surveys are preserved as records, and these data are meaningful for academic and educational u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cavation survey, it is divided into the processes of preservation of the development area, transfer and restoration of important needs, and progress of the development project.

이 과정 중 중요 유구에 대한 이전·복원은 개발사업으로 인해 소멸되는 고고학적 자료를 주변 인근으로 이전하여 복원함으로써 일반인을 위한 교육적인 자료는 물론, 연구자들의 학술적인 자료로 유구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In this process, the relocation and restoration of important estuaries is valuable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eternity as well as educational data for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educational data for the general public by restoring archaeological data that has been destroyed due to development projects. It is used as data.

문화재는 민족이 이룩한 유무형의 모든 문화적 소산을 포괄하는 보존 가치가 있는 문화 유산을 일컫는다. 이중 매장문화재는 땅속이나 바다 밑에 들어 있어 잘 알 수 없으나, 최근 들어 국토 개발과 같은 토지 변경 과정에서 밖으로 실체를 드러내게 되며 발굴 조사를 통해 그 모습이 확인된다. 매장문화재는 유구와 유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유구는 흔적이 남아있는 옛터로 주거지, 고분, 건물지, 요지(가마터) 등이 포함된다.Cultural property refers to a cultural heritage of preservation value covering all cultural and tangible products produced by the people. Among these, buried cultural property is unknown because it is in the ground or under the sea, but recently, it is revealed through the land change process such as land development. Buried cultural property can be divided into yugu and relics, and yugu is a ruins of ancient ruins, including residences, burial mounds, buildings, and pottery.

매장문화재는 오랜 시간 동안 땅속에서 변화하는 환경 속에 묻혀 있었기 때문에 깨지고 부서진 것들도 많지만 아주 중요한 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따라서 고고학자들은 그 성격을 밝히기 위해 정밀한 조사를 하여 역사를 새로 쓸 수도 있게 된다. 매장문화재를 발굴하여 중요유적이 나오면 사적이나 지방기념물로 지정·보존하고, 중요한 유물은 국보나 보물로 지정하기도 한다. Buried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broken and broken because they have been buried in a changing environment in the ground for a long time, but they provide very important information. Thus, archaeologists can write a new history by making a detailed investigation to reveal its character. When important cultural relics are discovered by excavating burial cultural assets, they may be designated and preserved as historic or local monuments, and important relics may be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s or treasures.

종래의 유구 이전복원 방법은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하여 형틀로 본을 떠 이전하는 방법과, 이형 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내부의 형태를 떠서 복원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Conventional relocation restoration method uses a method of moving the bone to the mold using a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fiber reinforced plastic), and a method of restoring the internal shape by using a release urethane foam.

하지만, 이러한 유구 이전복원 방법은 유구를 이전 복원함에 있어 유구의 토질이나 형태 등이 많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유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면의 손실 폭이 너무 크고(예를 들어, 30㎝ 이상 손실 폭이 발생함), 유구의 이송 및 복원 과정에서도 유구의 절단면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method of restoring the old quarters has a problem in that the soil and the shape of the long quarters are damaged in restoring the old quarters. That is, the loss of the cutting surface is too large (for example, a loss width of 30 cm or more) in the process of cutting the yugu,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tting surface of the yugu is lost even during the transfer and restoration of the yugu.

국내 등록특허 제0813497호(등록일: 2008.03.07)Domestic Patent No. 0813497 (Registration Date: 2008.03.07)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구의 형태를 변형하지 않고 동일한 주거지의 고고학적 속성을 유지하도록 유구의 표면을 포함하여 하단부의 토양을 경화시켜 통째로 이전할 수 있는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 및 그 형틀을 제시하는 데 있다.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large size that can be transferred entirely by curing the soil of the lower part, including the surface of the yugu to maintain the archaeological properties of the same residence without modifying the yugu fo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restoration method and a template for the restoration of the eternal circl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표면의 토질이나 형태 등이 전혀 손상되지 않으며 당시 사용되던 표면을 그대로 전시할 수 있는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 및 그 형틀을 제시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restoration method and the form of a large-sized prototype before the surface is not damaged at all, and the surface used at that time can be displayed as it is.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유구를 분할할 때 유구 분할 면의 손실 폭(10 이하)을 기존에 비해 크게 줄일 수 있는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 및 그 형틀을 제시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large-sized ballet restoration restoration method and form that can greatly reduce the loss width (10 or less) of the dividing surface of the mouth when dividing the mouth. .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유구 분할 면의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기둥 빔에 끼움부를 형성하고, 양쪽 기둥 빔의 끼움부에 제1 및 제2 분할 판을 삽입하여 유구 분할 면을 보호할 수 있는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 및 그 형틀을 제시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fitting portion in the pillar beams provided at both corners of the yugu division surface, and insert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plates into the fitting portions of both pillar beams to form the yugu division surf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restoration method and a template for the restoration of a large-sized eternal prototyp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유구의 굴착 면을 경화처리제로 경화 처리하여 1차 보강하고, 유구와 유구 이전복원 형틀 사이의 내부 공간을 우레탄 폼 등으로 완전히 밀폐하여 2차 보강함으로써, 유구의 이전 및 보관 중에 유구 형태의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과 방습처리 효과가 있는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 및 그 형틀을 제시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rden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yugu by a hardening treatment agent to the first reinforcement, and the secondary space by completely sealing the inner space between the yugu and Yugu pre-recovery mold with urethane foam, etc.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storing a large-sized circular prototype transfer method and a template which prevents deformation of the eternal shape during the transfer and storage of the quarter, and has durability and moisture-proof treatment effects.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강제로 사용하는 우레탄 대신에 생석회와 황토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우레탄 사용시 발생하는 화재위험과 하중에 의한 부피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 및 그 형틀을 제시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mixture of quicklime and ocher instead of the urethane used as a reinforcement, large sized ball prototypes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fire risk and volume reduction caused by load when using uretha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toration method and a template thereof.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형틀은, 유구의 측면 바닥에 설치된 바닥 빔(120), 상기 바닥 빔(12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 빔(150), 상기 유구의 하부를 천공하여 상기 바닥 빔(120) 상에 설치되는 하부 받침대(130), 상기 하부 받침대(130) 상에 설치되는 받침판, 상기 기둥 빔(150) 상에 상기 유구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받침대(160) 및, 상기 기둥 빔(150) 사이와 상기 상부 받침대(160) 상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팀버(170)를 포함하며, 상기 유구와 유구 사이를 절단하여 분할한 양쪽 분할 면에는, 상기 분할 면의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기둥 빔의 끼움부를 통해 차례로 삽입된 제1 및 제2 분할 판(191,192)이 상기 분할 면의 상하에 설치되고, 상기 유구의 일 측 및 타 측의 제일 바깥쪽 면에는,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두 개의 기둥 빔에 철판이 용접으로 설치되며, 상기 끼움부는 상기 H빔의 일 측에 기둥 빔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분할 면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large-sized yugu circular transfer restoration tem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beam 120 is installed on the side bottom of the yugu, a plurality of pillar beam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floor beam 120 150, a lower pedestal 130 installed on the bottom beam 120 by drilling a lower portion of the yugu, a supporting plate installed on the lower pedestal 130, and the pillar beam 150 of the An upper pedestal 160 install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imbers 170 respectively provided between the pillar beam 150 and on the upper pedestal 160, and are divided by cutting between the yugu and the yugu. On one of the divided surfaces, first and second partition plates 191 and 192, which are sequentially inserted through fitting portions of the pillar beams provided at both corners of the divided surface, are installed above and below the divided surface, and one side and the other of the yugu.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side Is, the iron plate is installed in the two beams of the beam installed at both corners, the fit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parallel to the split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beam on one side of the H beam.

여기서, 상기 끼움부는, 소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끼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Here, the fitting portion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fitting portions protruding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제1 및 제2 분할 판과 상기 팀버는, 사각형의 판 형상을 가지며, 금속판, 금속도금 판, 목재 판, PVC 판 중 어느 하나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plit plates and the timber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metal plate, a metal plated plate, a wood plate, and a PVC plate.

상기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형틀은, 상기 유구의 측면에 충전하여 1차 보강하는 경화처리제 및, 상기 유구와 상기 팀버 사이의 공간과, 상기 유구의 하부와 상기 받침판 사이의 공간에 각각 충전하여 2차 보강하는 보강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강제는, 우레탄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생석회와 황토가 1:3∼10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arge yugu circular transfer restoration mold, the secondary curing by filling in the side of the yugu to the primary reinforcement, and the space between the yugu and the timber, and the space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yugu and the support plate, respectively The reinforcing agent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agent, and the reinforcing agent may be composed of urethane or a mixture of quicklime and loess mixed in a volume ratio of 1: 3 to 10.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은, (a) 이전 및 복원할 유구를 예비조사하는 단계, (b) 상기 유구의 표면을 경화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유구의 주변 지형을 형틀을 이용하여 그대로 복제하는 단계, (d) 상기 유구의 측면을 굴착하는 단계, (e) 상기 굴착 된 유구의 측면을 보강하고 보호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f) 상기 유구의 하부를 천공한 후 하부 받침대를 설치하고, 상기 보호프레임 상에 상부 받침대를 설치하여, 유구 보호 틀을 제작하는 단계, (g) 상기 유구 보호 틀로 유구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유구를 복수 개로 분할 및 이전하는 단계, (h) 상기 이전된 분할 유구를 순서에 맞게 설치 및 조립하는 단계, (i) 상기 유구의 분할부와 유실부의 틈새 공간에 보강제를 충전한 후 상기 유구와 동일한 재질을 상기 보강제 상부에 덮어서 복원하는 단계, (j) 상기 유구의 전후좌우에 상기 형틀을 설치하여 복원하는 단계 및, (k) 상기 유구가 설치된 전시보호각 상에 강화유리를 설치하고, 훈증소독을 실시한 후 주변정리 및 안내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g)단계에서 분할된 상기 유구의 분할 면에는, 상기 분할 면의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기둥 빔의 끼움부를 통해 차례로 삽입된 제1 및 제2 분할 판이 상기 분할 면의 상하에 설치되고, 상기 유구의 일 측 및 타 측의 제일 바깥쪽 면에는,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두 개의 기둥 빔에 철판이 용접으로 설치되며, 상기 끼움부는 상기 H빔의 일 측에 기둥 빔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분할 면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large-size round shape restoration resto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irradiating the prior to and to be restored restoration, (b) hardening the surface of the mouth Step, (c) duplicating the surrounding topography of the yugu as it is using a template, (d) excavating the side of the yugu, (e) reinforcing the side of the excavated yugu and installing a protective frame (f) installing a lower pedestal after dril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outhpiece, and installing an upper pedestal on the protection frame to produce a mouthpiece protection frame, (g) while fixing the mouthpiece with the mouthpiece protection frame. Dividing and transferring the yugu into a plurality of pieces, (h) installing and assembling the transferred yugu in order, (i) filling a reinforcing agent in the gap space between the divided part and the lost part of the yugu; Restoring by covering the same material o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ement, restoring (j) by installing the mold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mouth, and (k) installing tempered glass on the exhibition protection angle is installed And, after performing fumigation, the peripheral cleaning and installing the guide plate, comprising the step of inserting through the fitting portion of the pillar beam installed on both edges of the divided surface in the divided surface of the yugu divided in the step (g) First and second dividing plates are installed above and below the dividing surface, and iron plates are welded to two pillar beams provided at both corners on the outermost surfac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yugu, and the fitting portion One side of the H beam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parallel with the split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beam.

상기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은, 상기 유구와 상기 유구 보호 틀 사이의 공간에 보강제를 충전하여 보강할 수 있고, 상기 보강제는, 우레탄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생석회와 황토가 1:3∼10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estoration method for the large-scale yugu prototype transfer can be reinforced by filling a reinforcement in the space between the yugu and the yugu protection frame, the reinforcement is composed of urethane, or the volume ratio of quicklime and loess 1: 3-10 It can consist of a mixture mixed with.

본 발명에 따르면, 유구의 형태를 변형하지 않고 동일한 주거지의 고고학적 속성을 유지하도록 유구의 표면을 포함하여 하단부의 토양을 경화시켜 통째로 이전할 수 있다. 따라서, 표면의 토질이나 형태 등이 전혀 손상되지 않으며 당시 사용되던 표면을 그대로 전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il of the lower part including the surface of the moth can be hardened so as to maintain the archaeological properties of the same dwelling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moth. Therefore, the soil quality or form of the surface is not damaged at a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display the surface used at that time as it is.

또한, 유구를 분할할 때 유구 분할 면의 손실 폭(10㎝ 이하)을 기존에 비해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dividing the yugu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reatly reduce the loss width (10cm or less) of the yugu division surfa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또한, 유구의 굴착 면을 경화처리제로 경화 처리하여 1차 보강하고, 유구와 유구 이전복원 형틀 사이의 내부 공간을 우레탄 폼 등으로 완전히 밀폐하여 2차 보강함으로써, 유구의 이전 및 보관 중에 유구 형태의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과 방습처리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hardening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eternal quarters with a hardening agent, the internal space between the eternal quarters and the former former restoration frame is completely sealed with urethane foam, etc. Prevents deformation, durability and moisture proofing effect.

또한, 유구의 분할 면을 보호하기 위해, 제1 및 제2 분할 판을 기둥 빔의 끼움부에 삽입하여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tect the dividing surface of the retainer,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plates can be inserted simply by inserting into the fitting portions of the pillar beams.

또한, 보강제로 사용하는 우레탄 대신에 생석회와 황토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우레탄 사용시 발생하는 화재위험과 하중에 의한 부피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a mixture of quicklime and loess instead of the urethane used as a reinforcing agen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fire risk and volume reduction caused by the load when using the urethan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국내에서 발견된 가마터의 예를 보인 유구 사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가마터 유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에 의한 이전공사(a)와 복원공사(b)의 현장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을 나타낸 작업 순서도
도 5는 유구 이전 작업의 예비조사 단계로, 유구 이전 처리 전 전경(a)과 처리 전 항공전경(b)의 사진
도 6은 유구 이전 작업의 FRP형틀 제작 단계로, 형틀 제작과정(a)과 형틀 제작 모습(b)의 사진
도 7은 유구 이전 작업의 가마 측면부 굴착 단계로, 굴착 면 설정(a)과 굴착 작업(b) 모습의 사진
도 8은 유구 이전 작업의 유구 보강 단계로, 1차 보강(a), 2차 보강(b), 우레탄 충전(c), 1차 및 2차 보강 상태(d)의 사진
도 9는 유구 이전 작업의 하부 천공 및 받침대 제작 단계로, 하부 천공(a), 천공 상태(b), 받침대 삽입 및 고정(c), 우레탄 충전 과정(d), 받침대 설치 상태(e), 받침대 제작 상태(f)의 사진
도 10은 유구 이전 작업의 유구 이전복원 형틀 제작 단계로, 유구 이전복원 형틀(100)의 측면도
도 11은 유구 이전복원 형틀(100) 제작을 위한 H빔 프레임 설치(a) 및 유구 이전복원 형틀 제작(b) 모습의 사진
도 12는 유구 이전 작업의 유구 분할 단계로, 유구 이전복원 형틀(100)의 유구 분할 평면도
도 13은 유구 분할의 평면(a) 및 측면(b)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14는 유구 이전복원 형틀의 평면도
도 15 및 도 16은 유구 이전복원 형틀의 측면도
도 17은 유구 분할된 유구 이전복원 형틀의 제1 실시 예의 평면도
도 18은 유구 분할된 유구 이전복원 형틀의 제2 실시 예의 평면도
도 19는 유구 분할 면에 분할 벽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유구 이전 작업의 유구 분리(a), 유구 견인(b), 유구 상차(c), 유구 포장 및 이동(d) 모습의 사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을 나타낸 작업 순서도
도 22는 유구 복원 작업의 유구 설치 및 조립 단계로, 유구 설치 및 조립 모습의 측면도
도 23은 유구 설치 및 조립 단계에서 가마 설치 과정을 나타낸 사진
도 24는 유구 설치 및 조립 단계에서 유구 미세조정(a)과 분할 유구 조립(b) 모습의 사진
도 25는 유구 복원 작업의 분할부 복원 단계로, 우레탄 충전(a) 및 복원과정(b)의 사진
도 26은 유구 복원 작업의 보호 프레임 해체 단계로, 유구 보강제 제거(a)와 상단부 보호 프레임 해체(b) 모습의 사진
도 27은 유구 복원 작업의 FRP 형틀 설치 단계로, FRP 형틀의 설치 평면도
도 28은 유구 복원 모습을 나타낸 사진
1 is a yugu picture showing an example of a kiln found in Korea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kiln mower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field photo of the relocation construction (a) and the restoration construction (b) by the large-scale prototype transfer resto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storing a large-sized circular prototy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step of the pre-perpetual work, a photograph of the foreground (a) and the pre-treatment aerial view (b)
Figure 6 is a production step of the FRP mold of the pre-gut work, a picture of the mold production process (a) and the mold production state (b)
Figure 7 is the excavation stage of the kiln side portion of the pre-gut work, a picture of the excavation surface setting (a) and excavation operation (b)
8 is a photoreinforcement step of the preliminary reinforcement operation, a photo of the primary reinforcement (a), secondary reinforcement (b), urethane filling (c), primary and secondary reinforcement (d)
9 is a lower perforation and pedestal manufacturing step of the pre-gut operation, the lower perforation (a), the drilling state (b), the insertion and fixing of the pedestal (c), urethane filling process (d), pedestal installation state (e), pedestal Photograph of production state (f)
10 is a step of restoring the former before restoration template production step of the former before, the side view of the former restoration restoration template 100
Figure 11 is a photograph of the appearance of the H beam frame installation (a) and the former restoration restoration template (b) for the production of the former restoration restoration template 100
12 is a process of dividing the yugu prior to the yugu preliminary operation, the yugu division restoration plan 100
Figure 1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plane (a) and side (b) appearance of the yugu division
14 is a plan view of the former restoration restoration template
Figure 15 and Figure 16 is a side view of the former former restoration template
Figure 17 is a plan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yugu divided restoration template
18 is a plan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yugu divided restoration template
1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the dividing wall on the dividing face.
Figure 20 is a photograph of the yugu separation (a), yugu traction (b), yugu loading (c), yugu packing and moving (d) of the pre-gut work
2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storing a large-sized ball round prototy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yugu installation and assembly step of the yugu restoration work, side view of the yugu installation and assembly
Figure 2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kiln installation process in the installation and assembly stage
Figure 24 is a photograph of the state of fine-tuning (a) and divided yugu assembly (b) in the installation and assembly stage of the yugu
FIG. 25 is a partial restoration step of the restoration process of urethane, and a photograph of urethane filling (a) and restoration process (b)
FIG. 26 is a process of dismantling a protective frame in the process of restoring a moth.
Fig. 27 is an FRP template installation step of the permanent ball restoration work;
28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of restor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가마터 유구의 예Example of Garter Yugu

도 1은 국내에서 발견된 가마터의 예를 보인 유구 사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가마터 유구의 단면도이다.1 is a yugu picture showing an example of a kiln found in the country,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kiln mogu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보인 가마터는 경기도 광주시 실촌읍 신대리 부근 성남∼장호원 고속화도로 3공구 구간에서 발견되어 경기문화재단 경기도 자박물관 학예연구실에서 발굴조사된 유구이다. 1 and 2 are found in Seongnam-Janghowon Expressway section 3 near Sindae-ri, Silchon-eup, Gwangju-si, Gyeonggi-do.

상기 가마터는 활석이 포함된 황갈색 사질 점토층에 바닥을 조성하고 점토로 가마를 조성한 반지하식 등요로 평면형태는 15m가량의 번조실이 일정한 너비로 이어지다가 굴뚝부에 이르러 너비가 넓어지는 일자형(一字刑)이다. 가마는 단실구조로 전체 길이는 21.8m, 번조실 양 벽면간 너비가 1.4∼1.7m, 가마의 전체 경사도는 약 20°이다.The kiln is a ring-shaped elongated path consisting of talc-containing yellowish brown clay layer and a kiln made of clay, and the flat form is a 15m-long forging chamber leading to a constant width and reaching the chimney. Iii). The kiln has a single thread structure and the total length is 21.8m, the width between both walls of the chamber is 1.4 ~ 1.7m and the overall slope of the kiln is about 20 °.

아궁이는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넓어지는 타원형의 형태로 규모는 330×170㎝(길이×최대너비)이다. 좌우 벽에서 활석이 확인되는 점으로 보아 활석을 이용해서 조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궁이에서 번조실로 이어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너비가 약 140㎝로 일정한 일자형이다. 번조실 내부에는 3m 간격으로 불기둥이 5군데 확인되며, 이 불기둥이 번조실의 내부를 구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불기둥의 뒤쪽이 급경사를 이루며 이 부분에 출입시설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번조실의 중간지점(2번째∼4번째 칸)에서는 원주형 도지미가 다량으로 확인되며 일부 원반형 도지미도 노출되었다. 가마 바닥은 대부분 파괴되었으며, 불기둥의 뒤쪽에서만 확인되고 있다. 가마 벽은 아궁이에서 볼 때 좌측의 훼손 정도가 심한 편이며, 좌측 가마 벽에 원주형 도지미가 붙어 있는 곳도 확인된다. 굴뚝부는 파괴되어 알 수 없으며, 소토흔만 일부 확인되었다. The mythology is elliptical in shape that expands from bottom to top, and its size is 330 × 170㎝ (length × maximum width). Talc is found on the left and right walls, and it is believed that it was created using talc. Except for the part that leads to the spatula from the head of the tree, the width is about 140cm and the shape is constant. Five fire pillars are identified in the counter chamber at 3m intervals,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pillars partition the inside of the counter chamber. In addition, the back of the pillar of fire was steep incline, it is believed that there was an entrance facility. In the middle of the chamber (2nd through 4th column), a large amount of columnar dojimi was identified, and some discoid dojimi were also exposed. The bottom of the kiln has been mostly destroyed and is only visible at the back of the pillar of fire. The wall of the kiln is severely damaged on the left side of the kiln and the place where the columnar dojimi is attached to the wall of the kiln on the left. The chimney was destroyed and unknown, and only small traces of soil were identified.

본 발명의 유구 이전복원 방법은 유구의 형태를 변형하지 않고 동일한 주거지의 고고학적 속성을 유지하도록 유구의 표면을 포함하여 하단부의 토양을 경화시켜 통째로 이전함을 원칙으로 하였다. 이는 종래에 흔히 실시되어오던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하여 형틀로 본을 떠 이전하는 방법이나, 이형 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내부의 형틀을 떠서 복원하는 방식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공법으로, 표면의 토질이나 형태 등이 전혀 손상되지 않으며 당시 사용되던 표면을 그대로 전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restoring the eternal qua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rdens the entire soil by hardening the soil at the bottom including the surface of the eternal quarter so as to maintain the archaeological properties of the same settlement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eternal quarter. This method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method of moving the bone into the mold using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which has been commonly practiced in the past, or the method of restoring the inner mold by using a release urethane foam. As a result, the soil and form of the surface are not damaged at all,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rface used at the time can be displayed as it is.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의 실시 예Embodiment of the restoration method before the eternal circle

도 3은 본 발명의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에 의한 이전공사(a)와 복원공사(b)의 현장 사진이다. Figure 3 is a photograph of the site of the previous construction (a) and the restoration construction (b) by the large-scale prototype transfer resto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은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크게 유구 이전공사(a)와 유구 복원공사(b)로 나누어진다. 상기 유구 이전공사(a)는 도 4의 유구 이전 작업순서와 같이, 예비조사, 경화처리, FRP 형틀제작, 유구 주변 굴토, 유구 보강 및 보호프레임 설치, 하부 천공 및 받침대 설치, 유구 이전복원 형틀 제작, 유구 분할, 유구 견인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구 복원공사(b)는 도 15의 유구 복원 작업순서와 같이, 유구 설치 및 조립, 분할부 복원, 보호프레임 해체, FRP형틀 설치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large-sized yugu prototype transfer resto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yugu transfer construction (a) and a yugu restoration construction (b). The yugu relocation work (a) i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hardening treatment, fabrication of the FRP mold, pit around the yugu, installation of the reinforcement and protection frame, installation of the lower perforation and pedestal, production of the yugu relocation mold as shown in FIG. It is made of the yugu segmentation, yugu traction, etc. The yugu restoration construction (b) is made of yugu installation and assembly, restoration of the partition, disassembly of the protective frame, installation of the FRP frame,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15.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방법을 나타낸 작업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arge-scale round shape transfer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방법은 도 4와 같이, 예비조사 단계(S100), 경화처리 단계(S110), FRP 형틀제작 단계(S120), 유구 주변 굴토 단계(S130), 유구 보강 및 보호프레임 설치 단계(S140), 하부 천공 및 받침대 설치 단계(S150), 유구 이전복원 형틀 제작 단계(S160), 유구 분할 단계(S170), 유구 견인 단계(S18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면, 상기 유구 이전 방법에 대해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large-sized yugu prototype transfer method, as shown in Figure 4, the preliminary irradiation step (S100), the curing treatment step (S110), FRP mold production step (S120), around the yugu periphery step (S130), the yugu reinforcement and protective frame installation step ( S140), the lower perforation and pedestal installation step (S150), the former before restoration mold manufacturing step (S160), the yugu division step (S170), the yugu traction step (S180) and the like. Next, the method for transferring the bal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4.

먼저, 이전 및 복원할 유구에 대해 예비조사를 실시한다(도 4의 단계 S100).First, a preliminary survey is carried out for transfer and restoration to be restored (step S100 of FIG. 4).

상기 예비조사는 이전 작업 전 자료조사와 현장기록을 목적으로 유구의 구조형식, 상태조사 및 사진촬영을 통하여 보존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고자료 및 학술 사적인 자료의 손실을 방지하고, 보존처리 과정 및 방법 결정의 중요한 단계로 현 상태를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서술하여 자료로 기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prevents the loss of archaeological and academic data that may occur during the preservation process through the structural form, condition survey and photography of the structures for the purpose of preliminary data survey and field records. An important step in determining a method is to document the current state objectively and accurately.

상기 예비조사는 유구의 종류, 연대, 유구의 보존상태, 유구의 크기, 유구의 형태 및 특징 등에 대해 조사하고, 복원위치, 공사기간, 조성규모, 공사범위 등을 계획 및 수립한다. 도 5는 예비조사 단계에서, 유구 이전 처리 전 전경(a)과 처리 전 항공전경(b)을 나타낸 사진이다.The preliminary survey investigates the type, age, preservation state of the yugu, the size of the yugu,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the yugu, and plans and establishes the restoration location, construction period, construction scale, construction scope, and the like. Figure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foreground (a) before the treatment before the mogu and the aerial view before the treatment (b) in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step.

상기 예비조사를 한 후에는 경화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110). After the preliminary irradiation, a curing treatment is performed (step S110).

지하에 매몰되어 습한 상태에 놓여있던 유물이나 유구들은 자연에 노출되어 건조되면서 급격히 수축 또는 균열되어 손상된다.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구의 구조 및 형태에 따라 적절한 경화제를 선택하여 경화 처리하여야 한다. 하지만 유구는 지하수의 영향도 거의 없을뿐더러 가마 유구의 특성상 표면이 열 처리되어 유구 자체에 수분을 거의 내포하고 있지 않은 상태였다. 따라서 유구 내부에 경화제를 침투시키지 않고, 3% 이내 저농도로 희석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수지(예를 들어, 상품명: Primer MC-76)으로 분무하여 표면에만 경화 처리를 할 수 있다.Relics and drifts that were buried and moist in the basement are damaged and contracted or cracked rapidly as they are exposed to nature and dried. In order to prevent such damage, an appropriate curing agent should be selected and cur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retainer. However, there is little effect of the groundwater, and due to the nature of the kiln, the surface is heat-treated and contains little moisture. Therefore, without penetrating the curing agent into the inside of the mouth, it is diluted to a low concentration within 3% can be sprayed with a resin that is generally widely used (for example, trade name: Primer MC-76) can be cured only on the surface.

단, 여기에서 특별히 주의하여야 할 점은 Primer MC-76은 고농도가 되면 처리된 표면에 흑화 현상과 함께 광택이 날 우려가 있어 예비실험을 통해 안전성 검토 후 사용하도록 한다.However, special attention should be given here that Primer MC-76 may be glossed with blackening on the treated surface at high concentrations.

이후, 상기 유구의 크기와 형태를 본 뜬 FRP 형틀을 제작한다(도 4의 단계 S120). After that, to produce the FRP mold modeled after the size and shape of the yugu (step S120 of Figure 4).

형틀의 제작은 유구의 주변 지형을 그대로 복제하여 복원 후 전시 시 이전한 유구가 최대한 본래의 형태를 잃지 않고 이질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다. 처리과정은 난연제가 포함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를 충전제(탈크)와 혼합하여 점도를 높인 후 바닥면에 한지를 부착하고 화공약품으로부터 토양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 후, 수지도포, 유리섬유 부착의 과정을 3회 반복하여 형틀을 제작한다. 제작된 형틀은 이동 및 복원작업이 용이하도록 여러 조작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도에 맞춰 지지 다리를 제작할 수 있다.The production of the mold is made with the purpose of duplicating the surrounding topography as it is, and restoring it after the restoration so as not to lose its original shape and to prevent heterogeneity. The treatment process mixes unsaturated polyesters containing flame retardants with fillers (talc) to increase the viscosity, attaches hanji to the bottom, and prevents soil contamination from chemicals. Thereafter,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resin coating cloth and glass fiber is repeated three times to produce a mold. The manufactured mold is preferably divided into several operations to facilitate the movement and restoration work,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upport leg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형틀 제작에 사용된 FRP는 유리섬유·탄소섬유·케블라 등의 방향족 나일론섬유와 불포화 폴리에스터·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결합한 물질이다.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우며 녹슬지 않고 가공하기 쉽다는 것이 장점이다.FRP used in the mold fabrication is a combination of aromatic nylon fibers such as glass fibers, carbon fibers and kevlar and thermosetting resins such as unsaturated polyester and epoxy resins. Its advantages are stronger than iron, lighter than aluminum, and easier to process without rust.

도 6은 형틀 제작과정(a)과 형틀 제작 모습(b)을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FRP 형틀은 반드시 필요한 공정은 아니며 생략해도 무방하다.Figure 6 is a picture showing the mold manufacturing process (a) and the mold manufacturing appearance (b). The FRP template is not necessarily a process and may be omitted.

그 다음, 이전 및 복원할 유구의 크기를 설정한 다음, 유구 주변을 굴토(또는, 굴착)한다(도 4의 단계 S130). 이때, 예비조사 시 미리 설정해 놓은 구획선을 따라 가마의 형태유지와 보호를 위해 가마의 제원을 레벨기와 레이저자 등을 이용하여 면밀히 조사한다. 굴착 폭은 가마 벽체 끝에서부터 30∼50㎝ 정도 간격을 두었으며, 굴착 깊이는 레벨이 가장 낮은 연소부 바닥면을 기준으로 가마경사 약 20°를 유지하여 수직으로 토양근절기와 중장비를 사용하여 굴토한다. 또한 하부 천공작업 과정에서 유구에 붕괴 및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계획을 수립하여 진행한다. Then, after setting the size of the ball to be moved and restored, and then excavated (or excavated) around the ball (step S130 of Fig. 4). At this time, carefully inspect the specifications of the kiln using a leveler and a laser ruler to maintain the shape and protection of the kiln along the pre-set partition line. Excavation width is spaced 30 ~ 50㎝ away from the end of the kiln wall, and excavation depth is about 20 ° of the slope of the lower part of the burner, and is excavated vertically using soil root and heavy equipment. . In addition, it is planned to proceed thoroughly in order to prevent collapse and damage to the ball in the lower drilling process.

굴착은 유구로부터 충분한 여유 공간을 두고 굴착기 등을 이용하여 굴착 면을 설정한 다음 포크레인, 굴삭기 등으로 굴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굴착 면 설정(a)과 굴착 작업(b)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In the excavation, it is preferable to set an excavation surface by using an excavator or the like with sufficient free space from the mouth, and then excavate with a fork lane, an excavator, or the like. 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excavation surface setting (a) and excavation operation (b).

이후, 수분에 의한 유구의 손상을 막기 위해 배수로 설치 및 주변정리 작업을 한 후 기후 및 외부환경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비닐하우스 등으로 작업장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at,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workshop in a plastic house, etc.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climate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drainage and the surrounding cleanup work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permanent quarters due to moisture.

이때, 유구 이전 및 보존시 표면탈락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유구의 굴착 면 전체에 경화처리제를 사용하여 경화 처리를 할 수 있다(1차 보강 작업).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surface dropping phenomenon before and during the preservation, the entire surface of the excavation of the perimeter may be cured using a curing agent (primary reinforcing operation).

이후, 유구 보강 및 보호프레임을 설치한다(도 4의 단계 140).After that, install the reinforcement and protection frame (step 140 of Figure 4).

굴착 된 유구는 유구 측면의 면 정리를 한 후 1차로 FRP를 이용하여 유구전체를 감싸 보강하고, 2차로 압축력, 휨 응력, 수평력 등 외압에 견딜 수 있는 토목용 토류판과 강철제 H형강을 결속하여 보강한다. 그 후, 빈공간은 우레탄 폼으로 충전하여 마감한다. 또한 소성부는 벽체가 높고 내부는 돌이 박혀있어 이동시 붕괴의 위험이 있어 우레탄 폼으로 충전한다.Excavated yugu cleans the surface of the yugu side first and then wraps and reinforces the whole yugu by using FRP. Secondly, it binds civil engineering earth plate and steel H-beam that can withstand external pressure such as compressive force, bending stress and horizontal force. Reinforce. After that, the empty space is filled with urethane foam to finish. In addition, the plastic part is filled with urethane foam because the wall is high and the inside is studded with stones, and there is a risk of collapse when moving.

상기 보호프레임의 설치과정은 강철제 H형강을 기본 골격으로 하여 유구길이 전체를 복수로 등분한 후 바닥면에 복수의 기초 빔을 세로로 놓고 볼트로 결속하고, 유구 가로 양끝으로 기초 빔 2개를 연결하여 기초 빔을 설치한다. 그 후, 기초 빔 위에 보조 빔을 수직으로 세워 일정한 간격으로 기초 빔과 결속하여 원형이전 시 유구를 외압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한다. 프레임은 강철제 소재로 장기간 유구 보존 시 프레임이 부식 등의 손상을 입었을 때 부재의 교제가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설계하였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유구의 정확한 제원을 측정한 후 보호프레임을 제작 및 설치한다.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protective frame is made of steel H-shaped steel as the basic skeleton, and the whole length of the mout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then a plurality of foundation beams are vertically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and bound by bolts. To install the foundation beam. After that, the auxiliary beam is placed vertically on the foundation beam to bind the foundation beam at regular intervals to protect the retainer from external pressure during circular transfer. The frame is made of steel and is prefabricated so that the members can be exchanged when the frame is damaged by corrosion during long-term preservation.

상기 유구 보강 및 보호프레임의 설치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installing the retaining reinforcement and the protective fr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경화 처리가 완료된 유구를 이전하기 위해 표면에 유구의 틀이 될 박스를 제작한다. 즉, 상기 유구의 측면(절단면 하부)에 바닥 빔(도 10의 120 참조)과 기둥 빔(도 10의 150 참조)을 설치하고, 상기 기둥 빔(150) 사이에 팀버(Timber; 도 10의 170 참조)를 설치하여 유구 이전복원 형틀(도 10의 100 참조)을 제작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 빔(120)과 기둥 빔(150)은 H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transfer the hardened sandballs, a box is formed on the surface. That is, a bottom beam (see 120 in FIG. 10) and a pillar beam (see 150 in FIG. 10) are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lower cutting surface) of the ball, and a timber (170 in FIG. 10) is provided between the pillar beams 150. To make a permanent transfer restoration template (see 100 in FIG. 10). Here, the bottom beam 120 and the pillar beam 150 preferably uses an H beam.

이후, 상기 유구의 측면과 상기 팀버(170) 사이의 공간에 보강제(도 10의 140 및 도 8c 참조)를 충전(充塡)하여 내부의 공간을 완전히 밀폐시킨다(2차 보강 작업). 이때, 상기 보강제(140)는 우레탄 폼 등을 사용하여 내부의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우레탄 폼은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유구 복원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after, the space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ball and the timber 170 is filled with a reinforcing agent (see 140 and FIG. 8C of FIG. 10) to completely seal the space inside (second reinforcement work).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agent 140 may be sealed in the space using a urethane foam or the like. The urethane foam has the advantage of easy installation and easy removal upon restoration of the mouth.

또한, 상기 보강제는 생석회와 황토가 1:3∼10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강제로 생석회와 황토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이유는, 우레탄 사용시 발생하는 화재위험과 하중에 의한 부피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agent may use a mixture of quicklime and ocher in a volume ratio of 1: 3 to 10. Here, the reason why the mixture of quicklime and loess is used as a reinforcing agent is because it can solve the fire risk and the volume reduction problem caused by the use of urethane.

상기 1차 및 2차 보강 작업을 통해 유구 측면을 보강하는 이유는 유구를 이전 및 보관할 때 유구 형태의 변형을 막고, 내구성 및 방습처리에도 유리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reinforcing the yugu side by the primary and secondary reinforcement work is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yugu form when transferring and storing the yugu, and also advantageous in durability and moisture proof treatment.

참고로, 도 8은 1차 보강 작업(a), 2차 보강 작업(b), 우레탄 충전 모습(c), 1차 및 2차 보강 상태(d)를 나타낸 사진이다.For reference, Figure 8 is a photograph showing the primary reinforcement operation (a), secondary reinforcement operation (b), urethane filling appearance (c), primary and secondary reinforcement state (d).

그 다음, 상기 유구의 하부를 굴착기 등을 이용하여 천공한 다음, 천공된 구멍을 통해 하부 받침대(도 10의 130 참조)를 삽입하여 상기 유구의 양쪽 측면에 설치된 상기 바닥 빔(120)에 고정한다(도 4의 단계 S150). 이어서, 상기 하부 받침대(130) 상에 받침판(도 12의 200 참조)을 설치한 후 상기 유구와 상기 받침판(200) 사이의 공간에 우레탄 등의 보강제를 충전하여 내부의 공간을 밀폐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받침대(130)는 H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받침판(200)은 철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n, the lower part of the yugu is drilled using an excavator, etc., and then the lower pedestal (see 130 of FIG. 10) is inserted through the punched hole and fixed to the bottom beam 12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yugu. (Step S150 of FIG. 4). Subsequently, after installing the support plate (see 200 of FIG. 12) on the lower pedestal 130, a space between the yugu and the support plate 200 is filled with a reinforcing agent such as urethane to seal the interior space. Here, the lower pedestal 130 preferably uses an H beam, and the support plate 200 preferably uses an iron plate.

하부천공은 지면과 유구를 분리하기 위한 작업으로 유구의 경사도와 수평에 맞춰 진행하는 것이 좋으며, 천공 시 진동 및 충격 방지를 위해 천공장비에 캐싱날을 장착하여 무진동 회전공법으로 하부를 천공한다. 받침대 제작은 유구의 하중계산을 통해 부식방지 처리가 된 강철 H형강으로 철판을 용접하여 제작한다. 받침대 설치 과정은 하부천공, 받침대 삽입, 기초 빔과 받침대 결속, 빈공간 우레탄 충전 순으로 구조적 안전에 유의하여 받침대를 설치한다. 천공 시 유구의 붕괴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외각 끝에서부터 반대편 끝까지 받침대 크기에 맞춰 차례대로 한 칸씩 천공하여 받침대를 설치한다.It is recommended to proceed with the inclination and horizontality of the mouth of the lower drilling as the work for separating the ground and the mouth, and to drill the lower part by the vibration-free rotating method by attaching a caching blade to the drilling equipment to prevent vibration and impact during the drilling. The pedestal is manufactured by welding the steel plate with the H-shaped steel, which is corrosion-resistant, through the calculation of the weight of the permanent quarter. Pedestal installation process is based on structural safety in order of bottom perforation, pedestal insertion, base beam and pedestal binding, and empty urethane filling. In order to prevent the collapse and damage of the retaining holes, install the pedestal by drilling one by one according to the pedestal size from the outermost end to the opposite end.

참고로, 도 9는 하부 천공 모습(a), 천공 상태(b), 받침대 삽입 및 고정 모습(c), 우레탄 충전 과정(d), 받침대 설치 상태(e), 받침대 제작 상태(f)를 나타낸 사진이다.For reference, Figure 9 shows the lower drilling (a), the drilling (b), pedestal insertion and fixing (c), urethane filling process (d), pedestal installation state (e), pedestal manufacturing state (f) It is a photograph.

계속해서, 상기 기둥 빔(150) 상에 상부 받침대(도 10의 160 참조)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 받침대(160) 상에 팀버(170)를 설치하여 박스 형태의 유구 이전복원 형틀(100)의 제작을 완료한다(도 4의 단계 S160). 여기서, 상기 상부 받침대(160)는 H빔이나 'ㄱ'자형의 빔을 사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an upper pedestal (see 160 of FIG. 10) is installed on the pillar beam 150, and a timber 170 is installed on the upper pedestal 160 to form a box-type eternal restoration restoration form 100. The production is completed (step S160 of FIG. 4). Here, the upper pedestal 160 is preferably installed using an H beam or a 'b' shaped beam.

이와 같이, 상기 유구 이전복원 형틀(100)로 내부 밀폐가 완료된 유구는 이전하기 위하여 유구 하단부에 유구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자재(H빔)로 하단 및 기둥을 보강하고 있다.As such, after the internal sealing is completed to the yugu transfer restoration template 100, the yugu is reinforcing the lower end and the pillar with a material (H beam) capable of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yugu on the lower end of the yugu.

한편, 도 10은 유구 이전복원 형틀(100)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유구 이전복원 형틀(100)의 유구 분할 평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0 is a side view of the yugu rehabilitation mold 100, Figure 12 is a yugu division plan of the yugu rehabilitation mold 100.

상기 유구 이전복원 형틀(또는 '유구 이전복원 형틀'이라고도 함; 100)은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구의 측면 바닥에 설치된 바닥 빔(120)과, 상기 바닥 빔(12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 빔(150)과, 상기 유구의 하부를 천공하여 설치되며 상기 바닥 빔(120)에 설치되는 하부 받침대(130)와, 상기 하부 받침대(130) 상에 설치되는 받침판(200)과, 상기 기둥 빔(150) 상에 설치되는 상부 받침대(160)와, 상기 기둥 빔(150) 사이와 상기 상부 받침대(160) 상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팀버(170)를 포함하고 있다. The eternal restoration restoration template (also referred to as 'eternal restoration restoration template') 100 is a bottom beam 120 installed on the side bottom of the mouth, and the bottom beam 120, as shown in Figs. A plurality of pillar beams 150 installed vertically, a lower pedestal 130 installed by drilling a lower portion of the yugu and installed on the bottom beam 120, and a support plate installed on the lower pedestal 130; 200, an upper pedestal 160 provided on the pillar beam 150, and a plurality of timbres 170 provided between the pillar beam 150 and on the upper pedestal 160, respectively. .

상기 유구 이전복원 형틀(100)은 상기 유구와 상기 팀버(170) 사이의 공간과 상기 유구의 하부와 상기 받침판(200) 사이의 공간에 각각 보강제(140)가 충전되어 내부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강제(140)는 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제(140)는 생석회와 황토가 1:3∼10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강제로 생석회와 황토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이유는, 우레탄 사용시 발생하는 화재위험과 하중에 의한 부피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yugu relocation mold 100 is configured to seal the space inside the reinforcing agent 140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yugu and the timber 170 and the space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yugu and the support plate 200, respectively. It is.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agent 140 may use a urethane. In addition, the reinforcing agent 140 may use a mixture of quicklime and ocher in a volume ratio of 1: 3 to 10. Here, the reason why the mixture of quicklime and loess is used as a reinforcing agent is because it can solve the fire risk and the volume reduction problem caused by the use of urethane.

참고로, 도 11은 유구 이전복원 형틀(100) 제작을 위한 H빔 프레임 설치 모습(a)과 유구 이전복원 형틀 제작 모습(b)을 나타낸 사진이다.For reference, Figure 1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H beam frame installation (a) and the former restoration restoration mold (b) for the production of the former restoration restoration template 100.

다음으로, 상기 유구 이전복원 형틀(100)의 제작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유구를 전시장소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유구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하게 된다(단계 S170). 이때, 상기 유구 이전복원 형틀(100)을 복수의 등분으로 분할하는 이유는 유구의 구조적 안전과 도로 및 교량의 하중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불가피하게 분할하여 이송한다.Next, after the production of the yugu pre-recovery template 100 is completed, the yugu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to transfer the yugu to the exhibition place (step S170). In this case, the reason for dividing the eternal restoration restoration template 100 into a plurality of equal parts is inevitably divided and transported by various complex factors such as structural safety of the eternal quarter and the load of the road and bridge.

상기 유구를 분할하는 위치에는 유구의 길이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2개의 기둥 빔(150)이 나란히 붙어있고, 상기 2개의 기둥 빔(150) 사이를 절단하여 분할하게 된다. 이때, 유구의 분할 면 유실폭은 각 분할 면 당 10㎝ 이내로 하고, 전체 유실폭은 40㎝ 이내로 대형 유구의 이전 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인위적인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한다.At the position of dividing the yugu, two pillar beams 150 are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yugu, and are cut and divided between the two pillar beams 150. At this time, the partition width of the quarters is less than 10cm for each partition, the total width of the partitions is less than 40cm to minimize the artificial damage that occurs most frequently during the transfer of large quarters.

상기 유구의 분할 면(또는, 절단면)은 유구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분할 판(19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분할 판(190)은 도 14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구(300)의 분할 면의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기둥 빔(151)의 끼움부(151a) 사이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 분할 판(191,192)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 분할 판(191)은 상기 분할 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분할 판(192)은 상기 제1 분할 판(191)의 상부, 즉 상기 분할 면의 상부에 설치된다.The dividing surface (or cut surface) of the yugu is provided with a divider plate 190 to prevent loss of the yugu. As shown in FIGS. 14 and 19, the dividing plate 190 is sequentially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fitting portions 151a of the pillar beam 151 installed at both edges of the dividing surface of the yugu 300. First and second partition plates 191 and 192 are included. In this case, the first dividing plate 191 is installed below the dividing surface, and the second dividing plate 192 is installed above the first dividing plate 191, that is, above the dividing surface.

상기 유구 이전복원 형틀(100)은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구의 분할 위치에 2개의 기둥 빔(150)이 나란히 붙어있다. 참고로, 도 13은 유구 분할의 평면(a) 및 측면(b)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14는 유구 이전복원 형틀의 평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유구 이전복원 형틀의 측면도이다.In the former restoration restoration template 100, two pillar beams 150 are side by side attached to the divided position of the eternal quarter as shown in FIGS. 13 to 14. For reference, FIG. 13 is a photograph showing a plane (a) and a side (b) of the yugu division, FIG. 14 is a plan view of the yugu pre-recovery template, and FIG. 15 and FIG.

상기 기둥 빔(150)과 기둥 빔(150) 사이로 절단기를 이용하여 상기 유구를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절단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절단된 면에 분할 판(도 14의 190, 도 19의 190 참조)을 각각 삽입하여 상기 기둥 빔(150)에 각각 설치한다. Between the pillar beam 150 and the pillar beam 150 using a cutter to cut the yugu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bsequently, split plates (190 of FIG. 14 and 190 of FIG. 19)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ut surfaces to be installed on the pillar beams 150, respectively.

상기 분할 판(19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유구의 절단면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분할 판(191)과, 상기 유구의 절단면 상부에 설치되는 제2 분할 판(192)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유구와 유구 사이를 절단하여 분할한 양쪽 분할 면에는, 상기 분할 면의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두 개의 기둥 빔(151,152)의 끼움부(151a,152a) 사이에 제1 및 제2 분할 판(191,192)을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기 분할 면의 상하에 각각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viding plate 190 includes a first dividing plate 191 disposed below the cutting surface of the yugu, and a second dividing plate 192 provided above the cutting plane of the yugu.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plates (between the fitting portions 151a and 152a of the two pillar beams 151 and 152 provided at both corners of the dividing surface are divided on both divided surfaces cut and divided between the yugu and the yugu. 191 and 192 are vertically inserted and installed above and below the dividing surface.

그리고, 상기 유구의 일 측 및 타 측의 제일 바깥쪽 면에는,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두 개의 기둥 빔(150)에 철판(250)이 용접으로 설치된다. 상기 끼움부는 상기 H빔의 일 측에 기둥 빔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분할 면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And, on the outermost surface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yugu, the iron plate 250 is installed by welding to the two pillar beams 150 provided at both corners. The fit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parallel with the split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beam on one side of the H beam.

상기와 같이, 상기 유구 이전복원 형틀(100)로 상기 유구를 고정한 상태에서 분할 위치에 마주보고 설치된 2개의 기둥 빔(150) 사이를 절단할 경우 분할 면의 손실 폭을 10㎝ 이하로 크게 줄일 수 있다. 참고로, 기존과 같이 유구 분할 면을 고정 및 지지 프레임 없이 절단할 경우 분할 면의 손실 폭이 30㎝ 이상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cutting between the two pillar beams 150 facing the divided pos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retaining fixture is fixed with the former former restoration template 100, the loss width of the divided surface can be greatly reduced to 10 cm or less. have. For refere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ss width of the split surface occurs more than 30cm when cutting the quarterly partition surface without fixing and supporting frame as before.

도 17은 유구 분할된 유구 이전복원 형틀의 제1 실시 예의 평면도이고, 도 18는 유구 분할된 유구 이전복원 형틀의 제2 실시 예의 평면도이며, 도 19는 유구 분할 면에 분할 벽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7 is a plan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eternally divided molecular reconstruction template, FIG. 18 is a plan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eternally reconstituted molecular restoration template, and FIG. One drawing.

도 17 및 도 19를 참조하면, 문화재의 유구 이전복원 형틀의 제1 실시 예는, 유구의 측면 바닥에 설치된 바닥 빔(120)과, 상기 바닥 빔(12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 빔(150)과, 상기 유구의 하부를 천공하여 상기 바닥 빔(120)에 설치되는 하부 받침대(도 10의 130 참조)와, 상기 하부 받침대(130) 상에 설치되는 받침판(미도시)과, 상기 기둥 빔(150) 상에 상기 유구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받침대(도 10의 160 참조)와, 상기 기둥 빔(150) 사이와 상기 상부 받침대(160) 상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팀버(170)와, 상기 유구의 분할 면의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기둥 빔(151)의 끼움부(151a) 사이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 분할 판(191,19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둥 빔(151)은 H빔(beam)으로 구성되며, 상기 끼움부(151a)는 상기 H빔의 일 측에 기둥 빔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분할 면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다.17 and 19,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ermanent relocation template of the cultural property, the bottom beam 120 is installed on the side bottom of the yugu, and a plurality of pillar beam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floor beam 120 150, a lower pedestal (see 130 of FIG. 10) installed in the bottom beam 120 by drilling a lower portion of the yugu, a support plate (not shown) provided on the lower pedestal 130, and the An upper pedestal (see 160 in FIG. 10) installed on the pillar beam 1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ll, and a plurality of timbers 170 respectively provided between the pillar beam 150 and on the upper pedestal 160. And first and second dividing plates 191 and 192 which are sequentially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fitting portions 151a of the pillar beams 151 provided at both edges of the dividing surface of the retainer. At this time, the pillar beam 151 is composed of an H beam (beam), the fitting portion 151a is formed to protrude in parallel with the split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beam on one side of the H beam.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문화재의 유구 이전복원 형틀의 제2 실시 예는, 유구의 측면 바닥에 설치된 바닥 빔(120)과, 상기 바닥 빔(12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 빔(150)과, 상기 유구의 하부를 천공하여 상기 바닥 빔(120)에 설치되는 하부 받침대(도 10의 130 참조)와, 상기 하부 받침대(130) 상에 설치되는 받침판(미도시)과, 상기 기둥 빔(150) 상에 상기 유구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받침대(도 10의 160 참조)와, 상기 기둥 빔(150) 사이와 상기 상부 받침대(160) 상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팀버(170)와, 상기 유구의 분할 면의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기둥 빔(152)의 제1 및 제2 끼움부(152a,152b) 사이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 분할 판(191,19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둥 빔(151)은 H빔(beam)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끼움부(152a,152b)는 상기 H빔의 일 측에 기둥 빔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분할 면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고 소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18 and 19,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ermanent relocation template of cultural assets includes a bottom beam 120 installed on the side bottom of the eternal ball, and a plurality of pillar beam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beam 120. 150, a lower pedestal (see 130 of FIG. 10) installed in the bottom beam 120 by drilling a lower portion of the yugu, a support plate (not shown) provided on the lower pedestal 130, and the An upper pedestal (see 160 in FIG. 10) installed on the pillar beam 1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ll, and a plurality of timbers 170 respectively provided between the pillar beam 150 and on the upper pedestal 160. ) And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plates 191 and 192 which are sequentially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ortions 152a and 152b of the pillar beam 152 provided at both edges of the split surface of the retainer. Include. At this time, the pillar beam 151 is composed of an H beam (beam),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ortion (152a, 152b) is parallel to the split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beam on one side of the H beam. Protrudingly formed and formed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유구와 유구 사이를 절단하여 분할한 양쪽 분할 면에는, 상기 분할 면의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두 개의 기둥 빔(151,152)의 끼움부(151a,152a) 사이에 제1 및 제2 분할 판(191,192)을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기 분할 면의 상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유구의 일 측 및 타 측의 제일 바깥쪽 면에는,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두 개의 기둥 빔(150)에 철판(250)이 용접으로 설치된다. 상기 끼움부는 상기 H빔의 일 측에 기둥 빔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분할 면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First and second dividing plates 191 and 192 are provided between the fitting portions 151a and 152a of the two pillar beams 151 and 152 provided at both corners of the dividing surface. Is vertically inserted and installed above and below the dividing surface, respectively, and on the outermost surfac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yugu, the iron plate 250 is installed by welding to two column beams 150 installed at both corners. do. The fit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parallel with the split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beam on one side of the H beam.

상기 제1 및 제2 분할 판(191,192)은 사각형의 판 형상을 가지며, 금속판, 금속도금 판, 목재 판, PVC 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도금 판은 아연도금 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plates 191 and 192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metal plate, a metal plated plate, a wood plate, and a PVC plate. Here, the metal plate may include a galvanized plate.

또한, 상기 팀버(170)는 금속판, 금속도금 판, 목재 판, PVC 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도금 판은 아연도금 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ber 170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metal plate, a metal plate plate, a wood plate, PVC plate, the metal plate may include a galvanized plate.

상기 유구 이전복원 형틀은, 상기 유구의 측면에 충전하여 1차 보강하는 경화처리제와, 상기 유구와 상기 팀버 사이의 공간과, 상기 유구의 하부와 상기 받침판 사이의 공간에 각각 충전하여 2차 보강하는 보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yugu transfer restoration template is to fill the side of the yugu first reinforcement, and the secondary reinforcement by filling in the space between the yugu and the timber, and the space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yugu and the support plate, respectively It may further comprise an adjuvant.

상기 보강제는 우레탄을 사용하거나 또는 생석회와 황토가 1:3∼10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강제로 생석회와 황토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이유는, 우레탄 사용시 발생하는 화재위험과 하중에 의한 부피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inforcing agent may be a urethane or a mixture of quicklime and ocher in a volume ratio of 1: 3 to 10. Here, the reason why the mixture of quicklime and loess is used as a reinforcing agent is because it can solve the fire risk and the volume reduction problem caused by the use of urethane.

상기 유구 이전복원 형틀(100)로 각각 포장된 분할 유구는 크레인으로 견인하여 트레일러로 옮겨 싣게 된다. 이때, 크레인과 트레일러는 상기 유구의 하중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분할된 유구도 상기 크레인과 트레일러 및 도로와 교량의 최대 하중을 고려하여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vided yugu respectively packed in the yugu relocation mold 100 is towed by a crane and carried to the trailer. In this case, the crane and the trailer are preferab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of the yugu, and the divided yugu is also preferably di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load of the crane, the trailer, the road and the bridge.

도 20은 유구 이전 작업의 유구 분리 모습(a), 유구 견인 모습(b), 유구 상차 모습(c), 유구 포장 및 이동 모습(d)을 나타낸 사진이다.
Figure 20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yugu (a), the yugu traction (b), the yugu loading state (c), the yugu packing and moving (d) of the pre-gut work.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의 실시 예Embodiment of the restoration method before the eternal circle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을 나타낸 작업 순서도이다.2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storing a large-sized circular prototy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관 건축공사(S200), 부대공사(S210), 유구 설치(S220), 분할부 및 유실부 복원(S230), FRP형틀 설치(S240), 전시보호각 공사 마무리(S250), 유구 밀폐훈증 소독(S260), 주변정리 및 안내판 설치(S270)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8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상기 유구 복원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large-scale yugu circular restoration method is shown in Figure 21, the exhibition hall building construction (S200), auxiliary construction (S210), yugu installation (S220), partition and lost part restoration (S230), FRP frame installation (S240) ), Finishing of the exhibition protection angle construction (S250), seal closure fumigation disinfection (S260), surrounding clearance and guide plate installation (S270). Hereinafter, the method of restoring the ba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to 25.

먼저, 전시관 건축공사(S200)는 휀스 설치, 오수관 이설 등의 가설공사와, 터파기, 암 파쇄 등의 토공사와, 잡석 부설 및 다짐, 바닥 제물치장, 철근 가공조립, 거푸집 조립, 거푸집 해체 등의 철근콘크리트 공사와, 철골 앙카작업, 철골 설치 등의 철골공사와, 방수 바탕처리, 방수 프라이머, 방수 부직포 설치, 방수 마감 등의 방수공사와, 미장, 도색 등의 미장공사와, 창호 및 금속공사와, 상부 철골을 설치한 후 유리를 설치하는 강화유리 설치공사와, 조명 등을 설치하는 전기 및 설비공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부대공사(S210)는 조각상 이전 및 설치, 수목 이식, 상수도 이설 등을 포함한다.First, the exhibition hall building construction (S200) is a temporary construction, such as the installation of fence, sewage pipe relocation, earthwork, such as dig, rock crushing, rubble laying and compaction, floor milling, rebar processing assembly, formwork assembly, formwork disassembly, etc. Steel frame construction such as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steel anchor construction, steel frame installation, waterproof construction such as waterproof base treatment, waterproof primer, waterproof non-woven fabric, waterproof finish, plastering, plastering, painting, etc. , Installation of tempered glass to install glass after installing the upper steel frame, and electrical and facility construction to install lighting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auxiliary construction (S210) includes a statue transfer and installation, tree transplantation, water relocation and the like.

이전이 완료된 유구는 대형 크레인을 설치한 후 전시보호각의 경사도를 감안하여 유구를 분리할 때와 반대로 앞에 1번부터 차례로 견인하여 설치한다(S220의 유구 설치).After the transfer is completed, after installing the large crane, the tow is installed in order from the front in order to separate the yugu in consideration of the inclination of the wartime protection angle (installation of the yugu of S220).

설치장소인 전시관의 경사에 따라 견인시 수평이 틀어지지 않도록 체인블록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한다. 유구의 설치 및 조립은 0.5㎜ 이하로 정밀하게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인력으로는 조립이 불가하다. 따라서 유압공구를 이용하여 미세조정 후 연결판(180)과 연결볼트를 이용하여 분할 면과 분할 면을 고정하여 설치 완료한다.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pavilion, which is the installation place, adjust the angle with the chain block so that the horizontal does not shift during towing. Since the installation and assembly of the ball must be installed precisely to 0.5 mm or less, it cannot be assembled by manpower. Therefore, after the fine adjustment using the hydraulic tool using the connecting plate 180 and the connection bolt to fix the split surface and the split surface is completed installation.

참고로, 도 22는 유구 설치 단면도이고, 도 23은 가마 설치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4는 유구 미세조정(a)과 분할 유구 조립(b)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For reference, FIG. 2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yugu installation, FIG. 23 is a picture showing the kiln installation process, and FIG. 24 is a picture showing the yugu fine adjustment (a) and the divided yugu assembly (b).

도 22의 유구 설치 단면도는 상기 유구의 전후좌우에 공간을 두어 형틀(도 27의 240 참조)을 설치한 전시장의 측면으로서, 상기 유구의 상부에 가마 전시면(230)이 설치되어 있고, 철판(220)과 H빔(210)으로 상기 유구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다. 22 is a side surface of the exhibition hall in which a mold (see 240 in FIG. 27) is provided with spaces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yugu, and a kiln display surface 230 is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the yugu, and the iron plate ( 220 and the H beam 210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yugu.

이어서, 상기 분할 유구의 절단면에 부착된 상부 분할 판을 제거한 다음, 분할 유구 사이의 틈새 공간에 우레탄 등의 보강제를 충전한 후 상기 유구와 동일한 재질의 토양을 덮어서 복원한다(단계 S230). 참고로, 도 22는 우레탄 충전 모습(a)과 복원과정(b)을 나타낸 사진이다.Subsequently, after removing the upper partition plate attached to the cut surface of the split quarters, the reinforcing agent such as urethane is filled in the gap space between the split quarters, and then rests by covering the soil of the same material as the quarters (step S230). For reference, Figure 2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urethane filling appearance (a) and the restoration process (b).

분할된 경계면 4곳의 유실폭은 10㎝ 이내이며 깊이는 약 1∼1.5m이다. 따라서 복원재료 선택시 분할부 메움에는 내구성이 강하면서 작업이 용이한 발포우레탄을 사용하고, 표면 연출에는 이전 시 채취한 주변토양으로 재질 및 색상이 같고 내구성이 있으며 경도가 강한 황토몰탈을 혼합하여 복원한다.The loss widths of the four divided interfaces are within 10cm and the depth is about 1 ~ 1.5m. Therefore, when selecting the restoration material, use foam urethane that is durable and easy to work for filling the partition, and restores by mixing ocher mortar with the same material, color, durability and hardness as the surrounding soil collected before do.

유실부의 복원은 발굴을 담당했던 관계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하여 추정복원하며, 복원 방법은 분할부의 복원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Restoration of lost parts is presumed to be restored through consultation with related experts who were in charge of excavation. Restoration method is the same as restoration of division.

이후, 상기 유구의 전후좌우에 공간을 두어 FRP 형틀(240)을 설치한다(단계 S240). 참고로, 도 27은 FRP 형틀(240)의 설치 평면도이고, 도 28은 유구 복원 모습(a)(b)을 나타낸 사진이다.Subsequently, a space is installed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yugu to install the FRP mold 240 (step S240). For reference, FIG. 27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FRP mold 240, and FIG. 28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tate of restoration (a) and (b).

형틀은 유구 좌우로 설치하며, 각각의 폭이 예를 들어, 1.8미터, 1미터로 유구 보호틀 위에 약간 중첩되게 설치한다. 형틀은 유구의 주변 토양형태를 그대로 복제하여 유구와 조화를 이루게 하며, 퇴적폐기물(예를 들어, 도자기편)을 복원한 형틀 위에 전시하여 관람시 이질감이 들지 않도록 연출한다.The mold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th, and the width of each is, for example, 1.8 meters and 1 meter, slightly above the mouth guard frame. The mold reproduces the surrounding soil form as it is, making it harmonious with the yugu, and displaying sediment waste (for example, pottery pieces) on the restored mold to prevent heterogeneity during viewing.

이후, 전시보호각 공사 마무리를 실시한다(S250).After that, the exhibition protection angle construction finishes (S250).

유구정비 종료 후 지붕 강화유리는 예를 들어, 12㎜ 두께로 설치하며, 보호각과 강화유리 사이는 스테인레스 소재인 타공판에 방충망을 접착하여 보호각 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보호각 내부에도 급배기 휀을 설치하여 공기의 강제순환도 이루어지게 한다. 이는 흔히 유리에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와의 온·습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After finishing the maintenance, the roof tempered glass is installed with a thickness of, for example, 12 mm, and the screen is attached to the perforated plate made of stainless steel between the protective angle and the tempered glass to smoothly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protective angle. In addition, air supply and exhaust 휀 is installed inside the protection angle to allow forced circulation of air. This aims to preven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ifference from occurring outside in order to prevent condensation that often occurs on the glass.

이후, 유구 밀폐훈증 소독을 실시한다(S260).Thereafter, the eternal seal fumigation disinfection (S260).

문화재는 보존환경 요인에 의하여 충과 균, 미생물 등의 생물피해로 손상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생물피해를 받게 되면 다른 요인에 의한 것보다 손상 비중이 클 뿐만 아니라 원형복원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예방에 철저를 기해야 하며 만약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생물학적 환경조사를 실시하고 가해생물의 방제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신대리가마의 전시보호각은 밀폐훈증법을 적용하여 훈증소독을 실시한다. Cultural assets are often damaged by biological damages such as insects, bacteria, and microorganisms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In case of biological damage, the damage is more serious than other factors, and it is impossible to restore the prototype. Therefore, the biological environment should be thoroughly investigated and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harmful organisms should be taken immediately.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exhibition protection angle of Shin Dae Kiln performs the fumigation disinfection by applying the closed fumigation method.

이후, 주변정리 및 안내판을 설치한다(S270).Thereafter, the peripheral clearance and guide plate is installed (S270).

유구 설치 및 보호각 공사 종료 후 보호각 주변은 기존에 야외전시장에 분포되어 있는 잔디와 동일한 잔디를 식재하고 관람로를 따라 회양목과 주목을 식재한다.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yugu and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protection angle, the area around the protection angle is planted with the same grass that is distributed in the outdoor exhibition hall, and the boxwood and the attention are planted along the path.

모든 주변정리가 완료된 후 문화재청에서 권고하는 문화재안내판 가이드를 참고하여 안내판 제작 후 설치 완료한다.After all surrounding arrangements have been completed, refer to the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Guide recommend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complete the installa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구 이전복원 형틀은 유구의 형태를 변형하지 않고 동일한 주거지의 고고학적 속성을 유지하도록 유구의 표면을 포함하여 하단부의 토양을 경화시켜 통째로 이전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The eternal restoration restor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rdens the soil of the lower part including the surface of the eternal quarter so as to maintain the archaeological properties of the same residence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eternal quarter, thereby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numb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n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dditions, etc.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etc. will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유구 이전복원 형틀 110 : 유구면
120 : 바닥 빔(H빔)
130 : 하부 받침대 또는 유구면 지지 빔(H빔)
131 : 연결볼트 132 : 연결판
140 : 보강제 또는 우레탄 150 : 기둥 빔(H빔)
151, 152 : 기둥 빔
160 : 상부 받침대 161 : 가로 상부 받침대
162 : 세로 상부 받침대 163 : 접시머리 볼트
170 : 팀버(Timber) 180 : 연결판
190 : 분할 판 191 : 제1 분할 판
192 : 제2 분할 판 210 : H빔
220 : 철판 230 : 가마 전시면
240 : FRP 형틀 250 : 철판
260 : 보강제 또는 석회와 황토의 혼합물
100: Yugu relocation template 110: Yugu-myeon
120: floor beam (H beam)
130: lower pedestal or posterior support beam (H beam)
131: connecting bolt 132: connecting plate
140: reinforcing agent or urethane 150: pillar beam (H beam)
151, 152: pillar beam
160: upper pedestal 161: horizontal upper pedestal
162: vertical upper pedestal 163: countersunk bolt
170: Timber 180: connecting plate
190: split plate 191: first split plate
192: second partition plate 210: H beam
220: iron plate 230: kiln display surface
240: FRP mold 250: iron plate
260: reinforcing agent or a mixture of lime and ocher

Claims (6)

유구의 측면 바닥에 설치된 바닥 빔(120);
상기 바닥 빔(12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 빔(150);
상기 유구의 하부를 천공하여 상기 바닥 빔(120) 상에 설치되는 하부 받침대(130);
상기 하부 받침대(130) 상에 설치되는 받침판;
상기 기둥 빔(150) 상에 상기 유구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받침대(160); 및
상기 기둥 빔(150) 사이와 상기 상부 받침대(160) 상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팀버(170);를 포함하며,
상기 유구와 유구 사이를 절단하여 분할한 양쪽 분할 면에는, 상기 분할 면의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기둥 빔의 끼움부를 통해 차례로 삽입된 제1 및 제2 분할 판(191,192)이 상기 분할 면의 상하에 설치되고,
상기 유구의 일 측 및 타 측의 제일 바깥쪽 면에는,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두 개의 기둥 빔에 철판이 용접으로 설치되며,
상기 끼움부는 상기 H빔의 일 측에 기둥 빔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분할 면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형틀.
A bottom beam 120 installed on the side bottom of the mouthpiece;
A plurality of pillar beams 150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floor beams 120;
A lower pedestal (130) installed on the bottom beam (120) by drilling a lower portion of the yugu;
A support plate installed on the lower pedestal 130;
An upper pedestal (160) installed on the pillar beam (1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yugu; And
And a plurality of timbers 170 installed between the pillar beams 150 and on the upper pedestal 160,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dividing plates 191 and 192, which are sequentially inserted through fitting portions of pillar beams provided at both corners of the dividing surface,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ividing surface formed by cutting the dividing portion between the quarters and the quarters. Become,
On the outermost side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yugu, the iron plate is welded to two pillar beams installed at both corners,
The fitt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in parallel with the split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beam on one side of the H beam,
The large restoration of the former round prototy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소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끼움부를 포함하는,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형틀.
The method of claim 1,
The fitting por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fitting portions formed to protrude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arge restoration of the former round prototy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할 판과 상기 팀버는,
사각형의 판 형상을 가지며, 금속판, 금속도금 판, 목재 판, PVC 판 중 어느 하나로 각각 구성된,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형틀.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plate and the timbre,
It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consists of any one of a metal plate, a metal plated plate, a wood plate, and a PVC plate,
The large restoration of the former round prototy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형틀은,
상기 유구의 측면에 충전하여 1차 보강하는 경화처리제; 및
상기 유구와 상기 팀버 사이의 공간과, 상기 유구의 하부와 상기 받침판 사이의 공간에 각각 충전하여 2차 보강하는 보강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제는, 우레탄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생석회와 황토가 1:3∼10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물로 구성된,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형틀.
The method of claim 1,
The large eternal round former restoration template,
A hardening treatment to fill the side surface of the yugu first reinforcement; And
And a reinforcing agent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yugu and the timber, and the space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yugu and the support plate, respectively, for secondary reinforcement.
The reinforcing agent is composed of urethane or a mixture of quicklime and ocher in a volume ratio of 1: 3 to 10,
The large restoration of the former round prototype.
(a) 이전 및 복원할 유구를 예비조사하는 단계;
(b) 상기 유구의 표면을 경화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유구의 주변 지형을 형틀을 이용하여 그대로 복제하는 단계;
(d) 상기 유구의 측면을 굴착하는 단계;
(e) 상기 굴착 된 유구의 측면을 보강하고 보호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f) 상기 유구의 하부를 천공한 후 하부 받침대를 설치하고, 상기 보호프레임 상에 상부 받침대를 설치하여, 유구 보호 틀을 제작하는 단계;
(g) 상기 유구 보호 틀로 유구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유구를 복수 개로 분할 및 이전하는 단계;
(h) 상기 이전된 분할 유구를 순서에 맞게 설치 및 조립하는 단계;
(i) 상기 유구의 분할부와 유실부의 틈새 공간에 보강제를 충전한 후 상기 유구와 동일한 재질을 상기 보강제 상부에 덮어서 복원하는 단계;
(j) 상기 유구의 전후좌우에 상기 형틀을 설치하여 복원하는 단계; 및
(k) 상기 유구가 설치된 전시보호각 상에 강화유리를 설치하고, 훈증소독을 실시한 후 주변정리 및 안내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g)단계에서 분할된 상기 유구의 분할 면에는,
상기 분할 면의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기둥 빔의 끼움부를 통해 차례로 삽입된 제1 및 제2 분할 판이 상기 분할 면의 상하에 설치되고,
상기 유구의 일 측 및 타 측의 제일 바깥쪽 면에는,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두 개의 기둥 빔에 철판이 용접으로 설치되며,
상기 끼움부는 상기 H빔의 일 측에 기둥 빔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분할 면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the quarters to be transferred and restored;
(b) hardening the surface of the tuyere;
(c) replicating the surrounding terrain of the yugu as it is using a template;
(d) excavating the side surface of the yugu;
(e) reinforcing the sides of the excavated yugu and installing a protective frame;
(f) installing a lower pedestal after dril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yugu, and installing an upper pedestal on the protection frame to manufacture the yugu protection frame;
(g) dividing and transferring the yugu into plural pieces while the yugu is fixed with the yugu protection framework;
(h) installing and assembling the transferred split mouths in order;
(i) filling the reinforcing agent in the gap space between the division part and the loss part of the yugu and restoring the same material as the yugu by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agent;
(j) restoring the mold by installing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yugu; And
(k) installing the tempered glass on the exhibition protection angle is installed, the fumigation, and after the fumigation disinfection, and the surrounding cleanup and guide plate installation;
On the divided surface of the yugu divided in the step (g),
First and second partition plates sequentially inserted through fitting portions of the pillar beams provided at both corners of the partition surface are installed above and below the partition surface.
On the outermost side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yugu, the iron plate is welded to two pillar beams installed at both corners,
The fitt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in parallel with the split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beam on one side of the H beam,
Method of restoring a large eternal circ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은,
상기 유구와 상기 유구 보호 틀 사이의 공간에 보강제를 충전하여 보강하며,
상기 보강제는, 우레탄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생석회와 황토가 1:3∼10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물로 구성된,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arge yugu circular restoration method,
Reinforcement is filled with a reinforcing agent in the space between the yugu and the yugu protection frame,
The reinforcing agent is composed of urethane or a mixture of quicklime and ocher in a volume ratio of 1: 3 to 10,
Method of restoring a large eternal circle.

KR1020120073078A 2012-07-04 2012-07-04 Method and mold for restoration and relocation of building site remained KR1012282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078A KR101228247B1 (en) 2012-07-04 2012-07-04 Method and mold for restoration and relocation of building site remain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078A KR101228247B1 (en) 2012-07-04 2012-07-04 Method and mold for restoration and relocation of building site remain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247B1 true KR101228247B1 (en) 2013-01-30

Family

ID=4784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078A KR101228247B1 (en) 2012-07-04 2012-07-04 Method and mold for restoration and relocation of building site remain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2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462B1 (en) * 2019-11-26 2020-05-25 대한민국 The method of field conservation treatment of cultural properties for Separated Multi-Dimensional Storage Ca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497B1 (en) 2007-10-16 2008-03-13 (주)한빛조형 Method of transcripting and restoring stratu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497B1 (en) 2007-10-16 2008-03-13 (주)한빛조형 Method of transcripting and restoring strat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462B1 (en) * 2019-11-26 2020-05-25 대한민국 The method of field conservation treatment of cultural properties for Separated Multi-Dimensional Storage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wby Early reinforced concrete
Barroso et al. Vernacular schist farm walls: materials, construction techniques and sustainable rebuilding solutions
KR101228247B1 (en) Method and mold for restoration and relocation of building site remained
Majcherek KOM EL-DIKKA. EXCAVATION AND PRESERVATION WORK PRELIMINARY REPORT, 2004/2005
León et al. Design of stone masonry bridges in European treatises: part 2–the construction process
Benin et al. Geotechnical analysis of structural behaviour under complex geological engineering conditions
Orton Heritage impact assessment for a proposed photovoltaic energy plant on the farm Klipgats Pan near Copperton, Northern Cape
KR101143254B1 (en) Mold for restoration and relocation of building site remained, and method for restoration and relocation of building site remained using the same
Terlikowski et al. Approach to conservation of irregular stone masonry based on archaeological excavations in the Black Sea basin
Miltiadou-Fezan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for the structural restoration of the Katholikon of Dafni Monastery in Attica Greece
Chmielewski Analysis of retaining wall stability in areas specified in register of objects of cultural heritage
Krentowski et al. Initial research on the condition of the 16th-century catacombs located in Suprasl (Poland)
Pearlman et al. Deep underground basements for major urban building construction
Williams et al. The Ancient Merv Project, Turkmenistan Preliminary Report on the Second Season (2002)
Apostolopoulos et al. Venetian churches of Lefkada, Greece Construction documentation and seismic behaviour “Virgin Mary of the Strangers”
Joffroy Moenjodaro UNESCO Emergency Mission Following Disastrous Rainfall in 2022: Final report, May 2023
Daniels Graveyard Memorials
McComish Archaeological Excavations at the General Accident Site, 24-30 Tanner Row, York
Schaffer et al. Structural and conservation solutions for the treatment of the sea front walls of old Akko (Acre), Israel
Ibrahim Construction project of comprehensive school in Cairo City, Egypt (Arab Republic of Egypt)
Orlenko et al. Study of foundations in Ukraine from the eleventh to eighteenth centuries and their preservation and conservation methods: Experiences.
Bojarski et al. Early medieval fortified settlements of the Pomeranian-Kuyavia limesis–archaeology and conservation issues
Martínez et al. Diagnosis and structural intervention of an old estate hull in the Tarímbaro County, Michoacán
Mangushev et al. Integrated approach to shoring of the foundation of a historical building using injection technologies
Frere Excavations at Verulamium 1959. Fifth Interim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