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034B1 - block pier - Google Patents
block p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8034B1 KR101228034B1 KR1020120114344A KR20120114344A KR101228034B1 KR 101228034 B1 KR101228034 B1 KR 101228034B1 KR 1020120114344 A KR1020120114344 A KR 1020120114344A KR 20120114344 A KR20120114344 A KR 20120114344A KR 101228034 B1 KR101228034 B1 KR 1012280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pillar
- shear key
- pier
- block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 교각에 관한 것으로, 교각 기둥의 평단면을 분할한 형상의 평단면을 가지는 다수의 기둥블록이 상호 측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하나의 단을 이루고, 상기 단이 다수 적층되어 상기 교각 기둥을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단 사이에 판형의 연결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블록의 테두리에 상기 연결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비해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되어 기둥 블록과 연결블록의 경계면을 둘러싸는 보강벽체가 형성되어 소형화 및 규격화된 블록을 조합하여 기둥을 건설하는 것이므로 교각의 크기, 높이, 지지하중 등 다양한 설계 사양 변화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고 설계 후 즉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pier, a plurality of pillar blocks having a flat cross section of the shape divided by the flat cross section of the pier pillars are combined in a state in which the sid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single stage, the plurality of stages are stacked Forming a pier pillar, the plate-shaped connection block is coupled between the plurality of stages, and protrudes upward and downward relative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block to the edge of the connection block to form a boundary between the pillar block and the connection block, respectively. As a reinforcing wall is formed to build a column by combining miniaturized and standardized blocks, it is possible to respond quickly and easily to various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bridge size, height, support load, etc.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의 교각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프리캐스트 블록으로 이루어진 블록 교각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ridge piers, and more particularly to block pier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recast blocks.
교량의 상부구조물(도로가 건설되는 부분)은 교각에 의해 지지된다.The superstructure of the bridge (the part where the road is built) is supported by the bridge.
일반적으로 교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에 설치되는 기초부(1)와, 상기 기초부(1) 상부에 설치되는 기둥(2)과, 상기 기둥(2)의 상부에 설치되어 거더를 지지하는 코핑(3)으로 구성된다.Generally, as shown in FIG. 1, the piers are provided with a foundation part 1 installed on the ground, a
상기 기초부(1)는 땅 속에 박히는 보강파일(4)에 연결되도록 타설된다.The foundation 1 is pour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한편, 상기 교각을 철근 콘크리트로 건설할 경우, 철근 배근, 거푸집 형성,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에 매우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이에 교량 건설 공사의 공기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ridge is constructed of reinforced concrete, very much time is consumed in reinforcing reinforcement, formwork, concrete pouring and curing,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ir of the bridge construction work is increased.
따라서, 상기 교각의 기둥(2)을 몇 개의 단으로 나누어 미리 제작한 기둥세그먼트(2a,2b,2c)를 현장에서 적층하여 조립하는 방식의 조립식 교각이 개발되었다.Accordingly, a prefabricated pier has been developed in which the
그러나, 상기의 경우 건설하고자 하는 교량에 따른 교각 설계(형상, 하중, 높이 등)가 완성되어야만 그에 맞추어 기둥(2) 전체를 적당한 단수로 분할한 크기의 기둥세그먼트(2a,2b,2c)를 제작할 수 있다.However, in the above case, the pier design (shape, load, height, etc.) according to the bridge to be constructed should be completed, so that the
즉, 설계 이후 시공까지 상기 기둥세그먼트(2a,2b,2c)를 제작하기 위한 시간이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re was a problem that it takes more time to manufacture the column segment (2a, 2b, 2c) from design to construction.
또한, 상기 기둥세그먼트(2a,2b,2c)가 비록 전체 기둥(2)을 적절히 분할한 크기의 것이라 하여도 대형 및 고중량 구조물이기 때문에 운반과 시공이 난해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the column segment (2a, 2b, 2c) is a large and heavy structure, even if the size of the proper division of the entire pillar (2),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is difficult and takes a lot of time.
따라서, 교각의 크기가 매우 커서 상기 기둥세그먼트(2a,2b,2c)가 운반이 불가능한 정도의 크기가 될 경우에는 조립식 공법의 적용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when the size of the pier is very large, the column segment (2a, 2b, 2c) is a size that is impossible to carr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pplication of the prefabricated method itself is impossible.
상기와 같이 종래의 조립식 교각은 설계가 종료된 이후에 기둥세그먼트(2a,2b,2c)를 제작하는 후공정이 필수적이므로 기둥세그먼트(2a,2b,2c) 제작기간이 별도로 소요되고, 기둥세그먼트(2a,2b,2c)의 크기가 커서 운반 및 시공이 난해하며, 기둥세그먼트(2a,2b,2c)의 크기가 과도할 경우에는 운반 및 시공이 불가하여 조립식 교각의 건설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piers require a post-process to manufacture th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작과 운반 및 조립이 용이한 크기의 블록을 선제작하여 두었다가 건설하고자 하는 교각의 기둥 설계 사양에 맞추어 상기 블록을 조립하여 교각 기둥을 건설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공사기간이 대폭 단축될 수 있도록 된 블록 교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duction of a block of easy size, easy to manufacture, transport and assembly, the assembly of the block to the column design specifications of the column to be constructed to the piers to pier pillar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lock pier that can be easily constructed by construction,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교각 기둥의 평단면을 분할한 형상의 평단면을 가지는 다수의 기둥블록이 상호 측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하나의 단을 이루고,A plurality of pillar blocks having a flat cross section of the shape divided by the flat cross section of the pier pillar are combined in a state where the side surfac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single stage,
상기 단이 다수 적층되어 상기 교각 기둥을 형성하며, The plurality of ends are stacked to form the pier pillar,
상기 다수의 단 사이에 판형의 연결블록이 결합되고, The plate-shaped connecting block is coupled between the plurality of stages,
상기 연결블록의 테두리에 상기 연결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비해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보강벽체가 형성되고,Reinforcing walls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block are formed on the edge of the connecting block, respectively.
상기 보강벽체는 기둥블록과 연결블록의 경계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inforcing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urrounds the boundary surface of the pillar block and the connection block.
또한, 상기 기둥블록은 호형 평단면 또는 사각형 평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llar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rc-shaped flat cross section or a rectangular flat cross section.
또한, 상기 기둥블록은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전단키와 전단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illar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ar key and shear key groov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또한, 상기 기둥블록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전단키와 전단키홈은 상기 기둥블록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연속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ear key and the shear key groove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continuously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illar block.
또한, 상기 기둥블록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전단키와 전단키홈은, 상기 전단키에 비하여 상기 전단키홈의 폭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hear key and the shear key groov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shear key groove is wider than the shear key.
또한, 상기 기둥블록에 강선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블록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강선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강선구멍에 강선이 삽입되며, 상기 강선에 의해 상,하로 배치된 기둥블록과, 같은 단에 배치된 기둥블록이 상호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teel wire hole is formed in the pillar block, and a steel wire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s formed in the connection block so that the steel wire is inserted into the steel wire hole, and the pillar block is arranged up and down by the steel wi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llar blocks arranged in the stage is boun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기둥블록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전단키와 전단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블록의 상면에 기둥블록의 하면 전단키홈에 삽입되는 전단키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블록의 하면에 기둥블록의 상면 전단키를 수용하는 전단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llar block has a shear key and a shear key groove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respectively, a shear key is inserted into the lower shear key groove of the pillar block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the upper shear key of the pillar block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ar key groove is formed to accommodate.
또한, 상기 기둥블록들의 사이에 중간블록이 개재되어 대단면 기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n intermediate block is interposed between the pillar blocks to form a large cross-section pillar.
또한, 상기 중간블록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상기 기둥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전단키및 전단키홈과 결합되는 전단키와 전단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상기 기둥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전단키 및 전단키홈과 결합되는 전단키와 전단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블록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강선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shear key and a shear key groove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block coupled to the shear key and the shear key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pillar block,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illar block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block. A shear key and a shear key groove which are combined with the formed shear key and the shear key groove are formed, and a steel wire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block is formed.
또한, 상기 중간블록이 연속 배치되어 상기 대단면 기둥의 단면적이 더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block is arranged in a continuo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arge cross-section pillar is further extended.
또한, 상기 중간블록은 상기 대단면 기둥의 평면상에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inuous arrangemen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large cross-section pilla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교각 기둥용 블록을 소형으로 규격화하여 미리 생산해 두고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므로 교각 설계 후, 설계 사양에 맞춘 교각 블록을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설계 후 즉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된다.Since the pier column block is standardized to small size and pre-produced and used according to the need, it is not necessary to manufacture the pier block according to the design specification after the pier design, so that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immediately after the design.
또한, 교각의 기둥 조립에 이용되는 블록 즉, 기둥블록과 연결블록들이 소형이어서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다.In addition, the blocks used for the pillar assembly of the piers, that is, the pillar blocks and the connecting blocks are small, so that they are easy to transport and construct.
또한, 소형화 및 규격화된 블록을 조합하여 기둥을 건설하는 것이므로 교각의 크기, 높이, 지지하중 등 다양한 설계 사양 변화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다. 따라서, 설계 변경에 따른 축소 및 확장 시공이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pillars are constructed by combining miniaturized and standardized blocks,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appropriately respond to various design specification changes such as pier size, height, and support load. Therefore, it is easy to reduce and expand th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design change.
또한, 기둥 조립에 있어서, 전단키 및 강선을 매개로 한 건식 접합이 가능하다.In the column assembly, dry joining via a shear key and a steel wire is possib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교각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교각 기둥의 구성도,
도 3의 (a) 내지 (e)는 상기 기둥을 구성하는 기둥블록의 평면도,
도 4의 (a) 내지 (d)는 상기 기둥의 평면도,
도 5의 (a),(b)는 원형 기둥에 4각 중공이 형성되고, 사각 기둥에 원형 중공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기둥의 평면도,
도 6은 상기 기둥블록을 강선으로 결속한 모습을 도시한 기둥의 평면도,
도 7의 (a) 내지 (d)는 기둥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전단키와 전단키홈의 실시예,
도 8은 조립성 향상을 위한 상기 전단키홈의 변형 실시예,
도 9의 (a) 내지 (f)는 기둥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전단키의 위치 및 수가 다른 실시예,
도 10의 (a) 내지 (d)는 대단면 기둥을 구성하는 중간블록과, 이를 이용하여 구성된 대단면 기둥의 평면도,
도 11의 (a) 내지 (d)는 중간블록의 수 증가에 따른 대단면 기둥의 단면적 확장 예시도,
도 12의 (a),(b)는 원판형 연결블록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3의 (a),(b)는 상기 원판형 연결블록에 보강벽체가 더 형성된 실시예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4는 원형 클립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5의 (a),(b)는 사각판형 연결블록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6의 (a),(b)는 상기 사각판형 연결블록에 보강벽체가 더 형성된 실시예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7는 사각 클립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8의 (a) 내지 (c)는 상기 단순 판형 연결블록과, 보강벽체가 형성된 연결블록과, 클립의 설치 상태도,
도 19의 (a) 내지 (f)는 대단면 기둥용 연결블록 및 클립의 실시예,
도 20의 (a),(b)는 장주형 기둥블록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장주형 기둥블록으로 이루어진 기둥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21의 (a),(b)는 상기 클립의 평면도와 상기 장주형 기둥블록의 클립 설치 상태도,
도 22의 (a),(b)는 상기 기둥불록들의 또 다른 조립 형태를 도시한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pier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of a block pier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 (e) is a plan view of the pillar block constituting the pillar,
(A) to (d) is a plan view of the pillar,
(A), (b) of FIG. 5 is a plan view of a column showing a state in which a quadrangular hollow is formed in a circular pillar, and a circular hollow is formed in a square pillar,
6 is a plan view of a colum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llar block is bound with a steel wire,
Figure 7 (a) to (d) is an embodiment of the shear key and shear key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pillar block,
8 i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hear key groove for improving the assembly;
9 (a) to 9 (f) are embodiments in which the position and number of shear key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ar block are different;
10 (a) to (d) is a plan view of a middle block constituting a large cross-section pillar, and a large cross-section pillar using the same,
Figure 11 (a) to (d)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rge cross-section pillar as the number of intermediate blocks increase,
12 (a) and 12 (b)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a disc-shaped connecting block,
Figure 13 (a), (b) is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inforcing wall is further formed in the disc-shaped connecting block,
14 is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a circular clip,
(A), (b) is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a square plate-shaped connecting block,
(A) and (b) of FIG. 16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 reinforcing wall is further formed in the rectangular plate-shaped connecting block;
17 is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a square clip,
(A) to (c) is a simple plate-shaped connection block, a connection block formed with a reinforcing wall, and a state diagram of the installation of the clip,
19 (a) to (f) is an embodiment of a connection block and a clip for a large cross-section pillar,
(A) and (b) of FIG. 20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a columnar pillar block, and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a column composed of a columnar pillar block,
(A), (b) is a plan view of the clip and a clip installation state of the column-shaped pillar block,
(A) and (b) of FIG. 22 are assembled perspective views showing yet another assembling form of the pillar blocks.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교각은 지반에 설치된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교량의 높이를 형성하고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어 교량 상판이 놓여지는 거더를 지지하는 코핑을 포함한다.The bridge includes a foundation installed on the ground, a pillar installed vertical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to support the height of the bridge and supporting the load, and a coping installed on the pillar to support the girders on which the bridge deck is placed. do.
본 발명은 상기 기둥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기둥블록(10)이 상호간의 측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한 단(段)을 이루고, 그러한 단이 다수 층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다수의 단 사이에 판형의 연결블록(2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기둥블록(10)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단 상부에 상기 연결블록(20)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블록(20)의 상부에 또 다른 기둥블록(10)들로 이루어진 또 다른 단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late-shaped
상기 기둥블록(10)은 기둥의 평단면을 등분할한 평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제작된다.The
즉, 상기 기둥블록(10)은 도 3의 (a),(b)와 같이 원형 기둥의 평단면을 등분할한 호형 평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또한, (c),(d),(e)와 같이 사각 기둥의 평단면을 등분할한 사각형 평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4등분할의 경우를 예시하였다.)That is, the
즉, 상기 호형 기둥블록(11,12)은 등분할수 만큼의 개수가 서로 결합하여 원기둥을 형성하고, 상기 사각형 기둥블록(13,14,15)은 등분할 수 만큼의 개수가 서로 결합하여 사각기둥을 형성하게 된다.That is, the arc-shaped pillar blocks 11 and 12 are combined in equal numbers to form a cylinder, and the rectangular pillar blocks 13, 14 and 15 are combined in equal numbers to form a square pillar. Will form.
상기 각 기둥블록(11,12,13,14,15)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전단키(11a,12a,13a,14a,15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하면의 동일한 위치에는 하부 단을 구성하는 기둥블록의 상면 전단키(11a,12a,13a,14a,15a)가 삽입되는 전단키홈(11e,12e,14e,15e)이 형성된다.(전단키홈은 도 7 참조)
또한 상기 전단키홈(11e,12e,14e,15e)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상면에 형성된 전단키(21a,22a,23a,24a)가 삽입될 수 있다.(도 10,11,13,14 참조)In addition,
또한, 상기 기둥블록(11,12,13,14,15)에는 상하방향으로 강선구멍(11b,12b,13b,14b,15b)이 관통 형성되어, 상부 단의 기둥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 및 하부 단의 기둥블록(10)을 강선으로 결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llar block (11, 12, 13, 14, 15) is formed through the steel wire holes (11b, 12b, 13b, 14b, 15b)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또한, 상기 강선구멍(11b,12b,13b,14b,15b)에 삽입되는 강선을 매개로 같은 단의 기둥블록(11,12,13,14,15)들도 상호 결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llar blocks 11, 12, 13, 14, and 15 of the same stage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teel wires inserted into the wire holes 11b, 12b, 13b, 14b, and 15b.
또한, 상기 기둥블록(11,12,13,14,15)의 일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전단키(11c,12c,13c,14c,15c)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전단키홈(11d,12d,13d,14d,15d)이 오목하게 형성된다.In addition,
또한, 내부에 중공이 존재하는 중공형 기둥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3의 (b),(e)와 같이 기둥블록(12,15)의 내측(기둥 중심쪽) 모서리 부분에 호형 또는 사각형의 중공(12f,15f)이 형성될 수 있다.(정확히는 기둥의 중공을 형성하기 위한 절개부이지만, 편의상 중공으로 지칭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form a hollow pillar having a hollow therein, as shown in (b) and (e) of FIG. 3, an arc-shaped or rectangular hollow ( 12f, 15f) may be formed (exactly an incision for forming the hollow of the pillar, but will be referred to as hollow for convenience).
또한, 사각형 기둥블록(14,15)의 경우에는 도 3의 (d),(e)와 같이 기둥의 외측면쪽 모서리가 모따기될 수 있다. 이는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여 안전성 및 미관을 향상시키고, 시공 및 운반 중에 기둥블록의 모서리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ctangular pillar blocks 14 and 15, the outer side edges of the pillar may be chamfered as shown in (d) and (e) of FIG. 3. This is to remove the sharp part to improve the safety and aesthetics, and to prevent the edge of the pillar block is easily broken during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또한, 상기 사각형 기둥블록(15)에 형성된 사각형 중공(15f)의 경우에는 내주면에 날카로운 모서리가 존재하지 않도록 직각의 모서리 부위가 충진 형성되어 둔각의 모서리들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모서리에 응력 집중으로 인한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ctangular hollow 15f formed in the
도 4에는 상기와 같은 형상의 기둥블록(11,12,14,15)들이 상호 결합되어 기둥을 형성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illar blocks 11, 12, 14, and 15 of the above shap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pillar.
도 4의 (a),(b)는 각각 호형 기둥블록(11,12)들의 측면이 상호 결합되어 원형 기둥을 형성한 예이고, (c),(d)는 사각형 기둥블록(14,15)들의 측면이 상호 결합되어 사각형 기둥을 형성한 예이다.(A) and (b) of FIG. 4 are examples in which side surfaces of the arc-shaped pillar blocks 11 and 12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circular column, and (c) and (d) are rectangular pillar blocks 14 and 15. The sides of these fields are combined to form a rectangular column.
상기와 같이 기둥블록(11,12,14,15)들이 상호 결합될 때 서로 맞닿는 측면들에서는 일측 기둥블록의 전단키홈(11d,12d,14d,15d)에 타측 기둥블록의 전단키(11c,12c,14c,15c)가 삽입되어 기둥블록 사이의 횡방향 유동을 억제해준다.When the pillar blocks 11, 12, 14, and 15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도 4의 (b)와 (d)는 중공(12f,15f)이 형성된 중공형 기둥의 예이다.4 (b) and 4 (d) are examples of hollow pillars in which hollows 12f and 15f are formed.
상기 도 4의 (b),(d)와 같이 원형 기둥에는 원형의 중공(12f)이 형성되고 사각형 기둥에는 사각형 중공(15f)가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기둥에 사각형 중공(12f′)이 형성되고 사각형 기둥에 원형 중공(15f′)이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b) and (d) of FIG. 4, a circular hollow 12f may be formed in the circular pillar, and a rectangular hollow 15f may be formed in the square pillar. As shown, a rectangular hollow 12f 'may be formed in the circular pillar, and a circular hollow 15f' may be formed in the square pillar.
한편, 상기와 같이 같은 단을 이루는 기둥블록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구멍(11b)에 강선(30)을 삽입하여 긴장시킴으로써 상호 완전히 결속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강선(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단과 하부 단의 기둥블록 및 그 사이에 배치된 연결블록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중공이 형성되지 않은 호형 기둥블록(11)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형태의 기둥블록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pillar blocks forming the same stag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6, can be completely engaged with each other by inserting the
한편, 도 7의 (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블록(11,14)의 측면에 형성되는 전단키(11c,14c)와 전단키홈(11d,14d)은 기둥블록(11,14)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기까지 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7A and 7C, the
또한, 도 7의 (b),(d)의 경우와 같이, 상기 전단키(12c,15c)와 전단키홈(12d,15d)은 기둥블록(12,15)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단키(12c,15c)와 전단키홈(12d,15d)의 형성 위치와 개수는 동일하다.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b) and (d) of FIG. 7, the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키홈(11d)은 전단키(11c)에 비하여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8, the shear
이와 같이 전단키홈(11d)이 전단키(11c)에 비하여 넓게 형성됨으로써 전단키나 전단키홈의 크기 및 위치의 허용 오차가 증가하여 기둥블록(11) 결합시 전단키와 전단키홈 간에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감소하므로 기둥블록(11)을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단. 이때 전단키와 전단키홈의 외측단부(기둥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의 단부)의 위치는 상호 일치하여 결합상태에서 상호 밀착될 수 있어야 한다. 그와 같은 필요조건이 만족되어야만 기둥블록 상호간의 유동이 방지되어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도면에는 중공이 형성되지 않은 호형 기둥블록(11)만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사항은 다른 형태의 기둥블록(12,14,15)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Since the shear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키(11a,14a)는 기둥블록(11,14)의 상면에 1개만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2개 이상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호형 기둥블록(11)의 경우, 상기 전단키(11a)는 (a)와 같이 기둥블록(11)의 외측 원주면에 인접하여 동심 원주선상의 중간 부분에 1개 형성될 수도 있고, (b)와 같이 동일 반경선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강선구멍(11b)은 외측에 위치한 전단키와 동일 원주선상에서 그 전단키의 양측 옆에 동 수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9, only one
또한, 상기 전단키(11a)는 (c)와 같이 동일 원주선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단키(11a)의 사이에도 강선구멍(11b)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wo
한편, 사각형 기둥블록(14)의 경우에는 (d)와 같이 기둥블록 상면의 외측 중앙 모서리에 인접하여 1개의 전단키(11a)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 외측면과 평행하게 강선구멍(14b)들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또한, (e)와 같이 대각선상에 2개의 전단키(14a)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wo
또한, (f)와 같이, 상면의 외측 중앙 모서리에 인접하여 강선구멍(14b)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외측면과 평행하게 각각 1개씩의 전단키(14a)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 the
상기 도 9와 같이 기둥블록(11,14)의 상면에 전단키(11a,14a)가 형성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기둥블록(11,14)의 하면에는 상면과 동일한 위치에 전단키홈(11e,14e)이 형성된다.(도 7참조)As shown in FIG. 9, the shear
한편, 도 9의 (a),(d)에서는 도 3의 (a),(d)의 경우와는 다른 형태 즉,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전단키 및 전단키홈이 형성된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그 도번을 도 3의 11c,11d,14c,14d와 구별하여 11c′,11d′,14c′,14d′로 표시하였다.Meanwhile, in FIGS. 9A and 9D, a different shape from that of FIGS. 3A and 3D, that is, a plurality of shear keys and shear key grooves sp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Are distinguished from 11c, 11d, 14c, and 14d of FIG. 3 and denoted as 11c ', 11d', 14c 'and 14d'.
도 10의 (a) 내지 (d)에는 상기 호형 기둥블록(11,12)과 사각형 기둥블록(14,15)을 중간블록(40,41,42,43)과 조합하여 대단면 원형(정확히는 일측방향으로 확장되어 양측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된 기둥) 기둥이나 대단면 사각형 기둥을 형성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10 (a) to 10 (d), the arc-shaped pillar blocks 11 and 12 and the square pillar blocks 14 and 15 are combined with the
상기 중간블록으로는 중공이 형성되지 않은 기둥에 사용되는 대(大)중간블록(40,42)과, 중공(12f,15f)이 형성되는 기둥에 사용되는 소(小)중간블록(41,43)이 마련된다.The intermediate block is a large middle block (40, 42) used for the pillar is not formed hollow, and a small medium block (41, 43) used for the pillar formed hollow (12f, 15f) ) Is prepared.
상기 대중간블록(40,42)은 중공이 없는 호형 및 사각형 기둥블록(11,14)으로 구성되는 원형 기둥 및 사각형 기둥의 지름 또는 세로길이와 같은 세로길이를 가지고, 가로길이는 호형 기둥블록(11)의 반경이나 사각형 기둥블록(14)의 일측 변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가로길이는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The inter-block 40, 42 has a vertical length, such as the diameter or vertical length of the circular column and the rectangular column consisting of arc-shaped and rectangular pillar blocks (11, 14) without hollow, the horizontal length arc arc block ( A radius of 11) or a length equal to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대중간블록(40,42)는 양측 세로변의 상부에 각각 전단키(40c,42c)와 전단키홈(40d,42d)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부의 것과 반대 방향으로(같은 변에서) 전단키(40c,42c)와 전단키홈(40d,42d)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ter-block 40, 42 is formed with
또한,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단키(40a,42a)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면의 전단키(40a,42a)와 동일한 위치에 전단키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In addition,
또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강선구멍(40b,42b)이 형성된다.In addition, steel wire holes 40b and 42b are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따라서, 상기 대중간블록(40,42)의 양측면에 각각 서로 결합된 2개의 호형 기둥블록(11)이나 사각형 기둥블록(14)을 결합(대중간블록의 전단키(40c,42c)가 호형 기둥블록(11) 또는 사각형 기둥블록(14)의 전단키홈(11d,14d)에 삽입되고, 호형 기둥블록(11) 또는 사각형 기둥블록(14)의 전단키(11c,14c)가 대중간블록(40,42)의 전단키홈(40d,42d)에 삽입된다.)됨으로써 중공 없는 대단면의 원형 또는 사각형 기둥이 조립된다.Therefore, two arc-shaped pillar blocks 11 or quadrangular pillar blocks 14 coupled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inter-block 40 and 4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한편, 상기 소중간블록(41,43)은 가로길이가 상기 대중간블록(40,42)의 가로길이와 동일하고, 세로길이는 상기 중공(12f,15f)이 형성된 호형 기둥블록(12)이나 사각형 기둥블록(15)의 일측 내측변 길이와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the small medium block (41, 43) has a horizontal length is the same a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inter-block 40, 42, the vertical length is an arc-shaped
또한, 상기 소중간블록(41,43)의 양측 면(세로 변)에는 각각 전단키(41c,43c)와 전단키홈(41d,43d)이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에도 각각 동일한 위치에 전단키(41a,43a)와 전단키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강선구멍(41b,43b)이 형성된다.In addition,
따라서, 상기 소중간블록(41,43) 2개를 상호 평행하게 이격시켜 배치한 후, 그 양측부에 각각 상호 연결된 2개씩의 중공(12f,15f)이 형성된 호형 또는 사각형 기둥블록(12,15)을 결합하면 내부에 중공(12f,15f)이 존재하는 대단면의 원형 또는 사각형 기둥이 조립된다.Accordingly, the two small
한편, 상기 사각형 기둥에 사용되는 대중간블록(42)과 소중간블록(43)은 기둥의 외측면을 이루는 면의 양단 모서리가 모따기 될 수 있다. 또한 사각형 중공(15f)의 모서리부는 충진 성형된다. 모따기 및 충진 성형의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중간블록(40,42)과 소중간블록(41,43)을 복수 개 적용하여 상기 대단면기둥의 단면적을 보다 더 확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1, by applying a plurality of the inter-block 40, 42 and the small medium block (41, 43) can be further expande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arge cross-section pillar.
상기 도 11의 (a),(c)와 같이 상기 대중간블록(40,42)은 그 적용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기둥의 단면적을 장축(횡축) 방향으로 더 확장할 수 있다.As shown in (a) and (c) of FIG. 11, the inter-blocks 40 and 42 can further exp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llar in the direction of the major axis (horizontal axi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applications.
또한, 도 11의 (b),(d)와 같이 상기 소중간블록(41,43)은 가로변과 세로변에 적용되는 수를 자유로이 조절함으로써 기둥의 단면적을 횡축 및 종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예는 횡축 및 종축에 모두 2개씩의 소중간블록(41,43)이 적용된 예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b) and (d) of FIG. 11, the small middle blocks 41 and 43 can freely exp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lum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by freely adjusting the number appli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des. Do. In the illustrated example, two small
도 12 내지 도 14에는 원형 기둥의 상부 단과 하부 단을 연결하는 원판형 연결블록(21,22)과 원형 클립(50)이 도시되어 있다.12 to 14 show disc-shaped connecting
도 12의 (a)는 단순 원형판 형상의 연결블록(21)으로서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전단키(21a)와 전단키홈(21e)이 형성되고, 상하를 관통하는 강선구멍(21b)들이 형성된다.12 (a) illustrates a simple circular plate-shaped connecting
상기 전단키(21a)와 전단키홈(21e) 및 강선구멍(21b)들은 연결블록(21)의 테두리에 근접한 동심원 상에 형성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된 전단키(21a)의 양쪽 측부에 동수의 강선구멍(21b)들이 형성된다.The
도 12의 (b)는 중공형 원형 기둥에 사용되는 중공 원판형 연결블록(22)으로서, 연결블록(22)의 중심에 원형의 중공(22f)이 형성되고, 그 나머지(전단키(22a), 전단키홈(22e), 강선구멍(22b)) 구성에 관한 사항은 상기 단순 원판형 연결블록(21)과 동일하다.12 (b) is a hollow disk-shaped connecting
도 13의 (a),(b)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 도 12의 (a),(b)의 연결블록(21,22)의 테두리 부분에 보강벽체(21g,22g)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13 (a) and 13 (b) shows that the reinforcing
상기 보강벽체(21g,22g)는 상기 원판형 연결블록(21,22)들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상단과 하단이 상기 연결블록(21,22)의 상면과 하면에 대해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연장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The reinforcing wall (21g, 22g)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k-shaped connecting blocks (21, 22),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block (21, 22), respectively, It is a shape extended in the state which protruded below.
따라서, 상기 연결블록(21,22)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기둥의 상부 단과 하부 단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nection blocks 21 and 22 are formed with spaces into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illars are inserted.
도 14는 원형 클립(50)으로서, 상기 보강벽체(21g,22g)와 같은 폭(여기서는 상하길이를 의미)을 가지는 철판이 원형으로 구부려진 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단에는 상호 맞대지는 플랜지(51)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51)가 볼트(52)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된다.Fig. 14 is a
도 15 내지 도 17에는 사각형 기둥의 상부 단과 하부 단을 연결하는 사각판형 연결블록(23,24)과 사각형 클립(60)이 도시되어 있다.15 to 17 illustrate rectangular
도 15의 (a)는 단순 사각판 형상의 연결블록(23)으로서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전단키(23a)와 전단키홈(23e)이 형성되고, 상하를 관통하는 강선구멍(23b)들이 형성된다.FIG. 15A illustrates a simple square plate-shaped connecting
상기 전단키(23a)와 전단키홈(23e)은 연결블록(23)의 모서리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각 전단키(23a)의 양쪽 측부에 동수의 강선구멍(23b)들이 형성되되, 상기 강선구멍(23b)들은 사각판형 연결블록(23)의 변과 평행하게 배열된다.The front end key 23a and the front end
또한, 상기 연결블록(23)의 각 테두리면의 중앙에는 모서리가 모따기된 사각형 기둥블록(14,15)이 결합되어 기둥을 이룰 때 기둥 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V형상의 요홈과 일치하는 형상을 이루도록 동일한 V형상의 요홈(23h)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23h)은 상기 기둥 중앙의 요홈 형상과 일치하여 일관된 외형을 이루므로 교각 기둥의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center of each of the rim surface of the connecting
도 15의 (b)는 중공형 사각형 기둥에 사용되는 중공 사각판형 연결블록(24)으로서, 연결블록(24)의 중심에 사각형의 중공(24f)이 형성되고, 그 나머지(전단키(24a), 전단키홈(24e), 강선구멍(24b), 요홈(24h) 등) 구성에 관한 사항은 상기 단순 사각판형 연결블록(23)과 동일하다.15 (b) is a hollow rectangular plate-shaped connecting
도 16의 (a),(b)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 도 15의 (a),(b)의 연결블록(23,24)의 테두리 부분에 보강벽체(23g,24g)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16A and 16B show that the reinforcing
상기 보강벽체(23g,24g)는 상기 사각판형 연결블록(23,24)들의 테두리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상단과 하단이 상기 연결블록(23,24)의 상면과 하면에 대해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연장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The reinforcing wall (23g, 24g)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im surface of the rectangular plate-shaped connecting blocks (23, 24),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block (23, 24), respectively And extending in a state of protruding downward.
따라서, 상기 사각판형 연결블록(23,24)의 상부와 하부에도 사각형 기둥블록으로 이루어진 상부 단과 하부 단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Accordingly, a space into which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rectangular pillar block are inserted is also formed at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square plate-shaped connecting
또한, 상기 보강벽체(23g,24g)의 내측면 각 변의 중앙에는 상기 요홈(23h,24h)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부(23i,24i)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3i,24i)는 상기 보강벽체(23g,24g)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수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벽체(23g,24g) 및 돌출부(23i,24i)가 형성된 사각판형 연결블록(23,24)의 경우에는 테두리면의 중앙에 상기 요홈(23h,24h)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Further,
상기 돌출부(23i,24i)가 형성됨으로써 보강벽체(23g,24g)의 내부 공간으로 사각형 기둥블록(14,15)들이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23i,24i)에 상기 기둥블록(14,15)들의 모따기면이 밀착되어 걸려짐으로써 기둥블록(14,15)의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기둥의 안정성이 향상된다.The
한편, 상기 연결블록의 경우에도 원형 연결블록에 사각형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고, 사각형의 연결블록에 원형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어떤 형상의 연결블록을 사용할 건인지는 기둥에 형성된 중공의 형태에 따른다. 즉, 기둥과 연결블록의 중공 형상은 상호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case of the connecting block may be a circular hollow formed in the circular connecting block, a circular hollow may be formed in the rectangular connecting block is a matter of course. Which type of connection block is to be used depends on the shape of the hollow formed in the colum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low shapes of the pillar and the connection block coincide with each other.
도 17은 사각형 클립(60)으로서, 상기 보강벽체(23g,24g)와 같은 폭(여기서는 상하길이를 의미)을 가지는 철판이 사각형으로 절곡된 형상(기둥 모서리의 모따기 형상부 포함)으로 되어 있고, 양단에는 상호 맞대지는 플랜지(61)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61)가 볼트(62)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된다.FIG. 17 is a
또한, 상기 사각형 클립(60)의 내측면 각 변의 중앙에는 상기 연결블록(23,24)의 외측면의 각 중앙에 형성된 요홈(23h,24h)에 대응되는 돌출부(63)가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부(63)는 상기 보강벽체(23g,24g)의 돌출부(23i,24i)와 동일한 형상으로서 동일한 작용을 수행한다.In addition, a
도 18은 상기 연결블록(20) 및 클립(50,60)을 이용하여 기둥블록(10)으로 이루어진 기둥의 상부 단과 하부단을 연결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 18 illustrates a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pillar formed of the
평단면의 형상과는 상관없이(원형이던 사각형이던 상관없이) 단순 평판형 연결블록인 경우에는 (a)와 같이 기둥블록(1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하부 단의 상부에 연결블록(20)을 올려놓고, 그 상부에 또 다른 기둥블록(10)들로 이루어진 상부 단을 올려놓는다. 이때 하부 단의 상면에 형성된 전단키는 연결블록(20)의 하면에 형성된 전단키홈에 삽입되고, 연결블록(20)의 상면에 형성된 전단키는 상부 단의 하면에 형성된 전단키홈에 삽입되어 기둥을 이루는 기둥블록(10)들 및 연결블록(20)의 횡방향 거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flat section (regardless of whether it is circular or rectangular), in the case of a simple flat connection block, the
(b)는 테두리에 보강벽체(21g,22g,23g,24g)가 형성된 연결블록(20)을 이용하는 경우로서, 이 경우 상기 보강벽체(21g,22g,23g,24g)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로 기둥블록(10)으로 이루어진 상부 단과 하부 단이 삽입된다.(b) is a case of using the connecting
즉, 하부 단의 상단이 연결블록(20)의 하부 공간으로 삽입되고, 상부 단의 하단이 연결블록(20)의 상부 공간으로 삽입된다.That is, the upper end of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lower space of the
따라서, 기둥의 상부 단과 연결블록과 하부 단의 경계면을 상기 보강벽체(21g,22g,23g,24g)가 감싸주게 되므로 기둥블록(10)들과 연결블록(20) 상호 간의 횡방향 거동이 완전히 억제됨으로써 기둥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Therefore, since the reinforcing
(c)는 상기 연결블록(20)을 사용하지 않고, 기둥블록(10)으로 이루어진 상부 단과 하부 단을 직접 연결하는 구조로서, 하부 단의 전단키가 상부 단의 전단키홈에 직접 삽입되고, 상기 상부 단과 하부 단의 경계면을 상기 클립(50,60)이 감싸서 상부 단과 하부 단 사이의 횡방향 유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c) is a structure for directly connecting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consisting of the
상기 클립(50,60)은 기둥을 둘러싼 후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51,61)가 맞대어져 볼트(52,62)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됨으로써 기둥에서 상부 단과 하부 단의 경계면 둘레를 강하게 조여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따라서, 클립(50,60) 자체의 설치 상태가 견고히 유지됨은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단과 하부 단의 기둥블록(10)들 간의 횡방향 거동을 억제하여 기둥의 구조적 강도를 더욱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한편, 상기 클립(50,60)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부 단과 하부 단 사이에 연결블록(20)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18(a)의 구조에 상기 클립(50,60)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클립(50,60)의 폭(상하길이)이 상기 보강벽체(21g,22g,23g,24g)의 상하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 단과 연결블록 및 연결블록과 하부 단 사이의 경계면을 상기 클립(50,60)이 안정적으로 감싸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using the clip (50, 60), of course, the
도 19는 대단면 기둥에 적용되는 연결블록과 클립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19 illustrates embodiments of a connection block and a clip applied to a large cross-section pillar.
도 19의 (a)는 도 10의 (a),(b)에 도시된 대단면 원형 기둥에 적용되는 중공이 없는 연결블록(25)과 중공(26f)이 있는 연결블록(26)을 도시한 것이고, 도 19의 (b)는 상기 대단면용 원판형 연결블록(25,26)의 테두리에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와 기능을 갖는 보강벽체(25g,26g)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19의 (c)는 대단면 원형 기둥에 적용되는 클립(50′)을 도시한 것이다.FIG. 19 (a) shows a hollow
또한, 도 19의 (d)는 도 10의 (c),(d)에 도시된 대단면 사각형 기둥에 적용되는 중공이 없는 연결블록(27)과 중공(28f)이 있는 연결블록(28)을 도시한 것이고, 도 19의 (e)는 상기 대단면용 사각판형 연결블록(27,28)의 테두리에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와 기능을 갖는 보강벽체(27g,28g)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19의 (f)는 대단면 사각형 기둥에 적용되는 클립(60′)을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Figure 19 (d) is a hollow
도시된 바와 같이, 대단면 기둥의 경우에도 상기 도 12 내지 도 18에서 설명한 단순 연결블록(21,22,23,24)과 보강벽체(21g,22g,23g,24g)가 형성된 연결블록(21,22,23,24) 및 클립(50,60)과 동일한 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even in the case of a large cross section, the
단, 도시된 바와 같이 대단면 기둥의 확대된 단면 형상과 면적에 맞추어 연결블록의 단면적이 확장되고, 클립의 둘레길이가 증가하였을 뿐이다.Howev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ion block is expanded to match the enlarged cross-sectional shape and area of the large cross-section pillar, and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lip is increased.
한편, 도 20의 (a),(b)는 장주(長柱)형 기둥블록을 도시한 것으로, (a)는 호형 평단면을 갖는 장주형 기둥블록(70)이고, (b)는 사각형 평단면을 갖는 장주형 기둥블록(71)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20 (a), (b) shows a columnar pillar block, (a) is a
상기 장주형 기둥블록(70,71)은 이상에서 설명한 단주형 기둥블록(10)과 평단면 형상 및 면적이 동일하고, 또한 전단키(70a,70c,71a,71c), 전단키홈(70d,70e,71d,71e), 강선구멍(70b,71b) 등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columnar columnar blocks 70 and 71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nd area as the columnar columnar blocks 10 described above, and also have
또한, 기둥블록(70,71)의 측면에 형성된 전단키(70c,71c)가 인접한 다른 기둥블록(70,71)의 전단키홈(70d,71d)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기둥블록(70,71)간 횡방향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도 동일하다.Further, between the pillar blocks 70 and 71 in such a manner that the
또한, 이들 장주형 기둥블록(70,71)에도 중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 hollow may also be formed in these columnar pillar blocks 70 and 71.
상기와 같은 장주형 기둥블록(70,71)은 한 단의 기둥블록만으로 교각의 기둥을 구성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는 교각 기둥의 높이가 낮은 경우로서 사용되는 기둥블록의 수가 감소됨으로써 기둥 건설을 보다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columnar pillar blocks 70 and 71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pillar of a pier using only one column block. In this case, when the height of the pier pillar is low, the number of pillar blocks to be used can be reduced, so that the pillar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이 경우 각 기둥블록(70,71)간의 결속 및 좌굴 방지를 위하여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50,60)을 이용한다. 상기 클립(50,60)을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블록(70,71)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상기 기둥블록(70,71)의 길이가 더욱 증가된 경우에는 상부와 하부 사이에도 적절한 간격마다 필요한 수의 클립(50,60)을 설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1, the
한편, 교각 기둥의 높이가 매우 높아서 단주형 기둥블록의 적층만으로 기둥을 건설하기에 부적절한 경우, 상기 장주형 기둥블록(70,71)을 다수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연결블록 및 클립을 이용하여 도 18의 (b) 또는 (c) 또는 (a)와 (c)를 조합한 구조로 장주형 기둥블록을 적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height of the pier pillar is very high to inappropriate to construct the pillar only by stacking the columnar pillar block, a plurality of columnar pillar blocks (70, 71) can be used, in this case using the connection block and clip Thus, the columnar pillar blocks may be stacked in a structure in which (b) or (c) or (a) and (c) of FIG. 18 are combined.
또한, 상기 장주형 기둥블록 역시 도 10과 같이 중간블록을 이용하여 대단면 기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중간블록도 장주형으로 제작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columnar pillar block may also form a large cross-section pillar using an intermediate block as shown in Figure 10,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block is of course made of a columnar shape.
한편, 도 22는 상기 기둥불록들의 또 다른 조립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장주형 기둥블록(70)을 예시하였으나 단주형 기둥블록(10)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Meanwhile, FIG. 22 illustrates another assembling form of the column blocks, but illustrates the
이 실시예는 상호 측면이 결합되는 기둥블록(70)간에 높이차가 존재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즉, 상호 측면이 결합되는 기둥블록(70)간에 단차가 존재하도록 상호 상하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ide blocks are assembled in a state where they are shifted up and down in a mutually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step exists between the column blocks 70 coupled to each other.
도 22의 (a)에는 4등 분할된 원호형 기둥블록 중에서 2개씩 쌍을 이루어 같은 쌍의 기둥블록은 동일 높이로 결합되고, 각 쌍이 상호 단차를 두고 결합된 조립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22 (a) shows an assembly form in which two pairs of quadrangular arc-shaped pillar blocks are divided into two pairs at the same height, and the pairs are coupled with the same height.
또한, 도 22의 (b)에는 4등 분할된 원호형 기둥블록 모두가 상호 단차를 두고 결합된 조립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원호형 기둥블록을 예시하였으나 사각형 기둥블록 등 기둥의 평면을 등분할한 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기둥블록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FIG. 22 (b) shows an assembly form in which all four quadrangular arc-shaped pillar blocks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a step difference. Although an arc-shaped pillar block is illustrated, it can be applied to all pillar blocks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by dividing the plane of the pillar such as a rectangular pillar block.
상기와 같이 높이차를 두고 기둥블록이 결합되는 실시예에서도 기둥블록(7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전단키(70a)와 전단키홈(70e)이 형성되어 기둥블록간 상하 결합이 가능하고, 양쪽 측면에도 각각 전단키(70c)와 전단키홈(70d)이 형성되어 기둥블록간 횡방향 결합이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column blocks are coupled with the height difference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측면의 전단키(70c)와 전단키홈(70d)은 기둥블록의 상하 길이에 있어서 일정 거리마다 다수 개 형성되거나 또는 기둥블록의 상하 길이 전체에 걸쳐서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shear key 70c and the shear
또한, 상기와 같이 결합된 기둥블록(70)들의 외주에는 상기 클립(50)이 체결되어 기둥 전체의 결속을 견고히 해준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와 같이 기둥블록들이 단차를 두고 상하방향으로 어긋나게 결합된 경우, 최상단의 기둥블록들과 코핑의 사이 및 최하단의 기둥블록들과 기초부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빈 공간을 메꿔 주기 위해 기둥블록과 동일한 평단면 형상을 가진 스페이서블록(80)이 해당 위치에 조립된다.In addition, when the pillar block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 step as described above, an empty space is generated between the uppermost pillar blocks and the coping and between the lower pillar blocks and the base portion.
상기 스페이서블록(80)은 평단면 형상뿐만 아니라 상면과 하면 및 양 측면의 형상과 강선구멍도 기둥블록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기둥블록들이 상하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어긋나게 결합된 경우 동일 단의 기둥블록들이 모두 같은 높이로 일치하여 결합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부단과 하부단의 경계가 하나의 평면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여러 위치(높이)에 분산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횡방향 하중(충격)에 대한 기둥의 전단저항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기둥의 구조적 강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illar blocks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a ste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is not formed in one plane, but the position of the blocks is the same. Height), the shear resistance of the column against lateral load (impact) from the outside is increased, thereby improving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column.
또한, 이 경우에도 기둥블록의 사이에 중간블록을 배치하여 기둥의 단면적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Also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llar by arranging the intermediate block between the pillar block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상기 기둥블록과 연결블록 및 중간블록은 규격화되어 대량 생산되는 제품이다. 이들의 규격 즉, 제품의 크기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대형 트럭을 이용하여 운반할 수 있는 정도로서, 제조 공장에서 건설 현장으로의 용이하고 신속한 운송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illar block, the connecting block, and the intermediate block,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andardized and mass produced. Their size, that is, the size of the product is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transported by using a large truck used in the construction site,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transport from the manufacturing plant to the construction site.
즉, 교각 건설에 사용될 자재는 미리 준비 완료된 상태에서, 교각 설계가 완료되면 상기 기둥블록과 연결블록 및 중간블록들을 필요한 만큼 조합하여 설계 사양을 만족하는 교각을 즉시 조립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material to b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is ready in advance, when the bridge design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assemble the pier satisfying the design specifications by combining the column block, connecting blocks and intermediate blocks as necessary.
기존의 조립식 교각이 공통적으로 프리캐스트 제품을 이용하고 있지만, 기존에는 교각 설계 후, 그 설계 사양에 따라 기둥세그먼트를 제조해야만 하였고, 본 발명 블록교각은 교각 설계 후 별도의 기둥세그먼트를 제조하는 공정 없이 즉시 필요한 기둥블록과 연결블록 및 중간블록을 구입하여 교각 기둥 조립을 실시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Existing prefabricated bridge piers commonly use precast products, but in the past, after the bridge design, the column segment had to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design specification. The difference is that you can purchase the required pillar block, connecting block and intermediate block to carry out the pier pillar assembly.
즉, 본 발명은 교각 설계 후 시공까지의 사이에 기둥세그먼트를 제작하는 별도의 기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교각 설계 후 즉시 시공에 착수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air can be greatly reduced since the construction can be started immediately after the bridge design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period for producing column segments between the bridge design and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기둥블록과 연결블록 및 중간블록은 종래 조립식 교각의 세그먼트에 비하여 소형이기 때문에 운반 및 현장에서의 적층 작업이 용이하고, 이 또한 공기를 단축시키는데 도움이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illar block, the connecting block, and the intermediat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maller than the segments of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bridge piers, it is easy to transport and stack in the field, which also helps to shorten the air.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소형으로 미리 제작된 블록을 다수 조합하여 교각을 조립하는 것이다. 또한, 현장 여건에 따라서 기둥블록과 연결블록 및 중간블록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둥블록과 연결블록을 순차적으로 반복 적층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기둥블록과 기둥블록, 또는 연결블록과 연결블록을 상호 연속하여 적층하는 방식으로 조립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ssemble the pier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locks produced in advance relatively smal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pillar block, the connecting block and the intermediate block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ite conditions. Although only the case of sequentially repeating stacking of the pillar block and the connection block has been describ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pillar block and the pillar block, or the connection block and the connection block may be assembled in a manner of sequentially stacking each other.
따라서, 건설하고자 하는 교각의 크기, 높이, 지지하중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최적의 조합을 통한 맞춤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계 변경에 따른 축소 및 확장 시공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not only the custom assembly is possible through the optimal combination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size, height, support load of the pier to be constructed, but also the reduction and expansion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design change can be easily performed.
한편, 상기 기둥블록과 기둥블록의 사이, 기둥블록과 연결블록의 사이 등, 개별 부재들이 상호 연결된 경계면에는 방수재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apply a waterproof material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individual blocks, such as between the pillar block and the pillar block, between the pillar block and the connecting block.
상기와 같이 블록 간의 연결 경계면에 방수재를 도포하여 기둥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기둥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pplying a waterproof material to the connection interface between the blocks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moisture into the interior of the pillar can be reduced durability of the pillar.
10,11,12,13,14,15 : 기둥블록 11a,12a,14a,15a : 전단키
11b,12b,14b,15b : 강선구멍 11c.12c,14c,15c : 전단키
11d,12d,14d,15d : 전단키홈 11e,12e,14e,15e : 전단키홈
12f,15f : 중공 20,21,22,23,24 : 연결블록
21a,22a,23a,24a : 전단키 21b,22b,23b,24b : 강선구멍
21e,22e,23e,24e : 전단키홈 22f,24f : 중공
22g,24g : 보강벽체 23h,24h : 요홈
23i,24i : 돌출부 25,26,27,28 : 대단면용 연결블록
26f,28f : 중공 25g,26g,27g,28g : 보강벽체
30 : 강선 40,41,42,43 : 중간블록
40a,41a,42a,43a : 전단키 40b,41b,42b,43b : 강선구멍
40c,41c,42c,43c : 전단키 40d,41d,42d,43d : 전단키홈
50,60 : 클립 51,61 : 플랜지
52,62 : 볼트 63 : 돌출부
70,71 : 장주형 기둥블록10, 11, 12, 13, 14, 15:
11b, 12b, 14b, 15b: Steel wire hole 11c.12c, 14c, 15c: Shear key
11d, 12d, 14d, 15d:
12f, 15f:
21a, 22a, 23a, 24a: Shear key 21b, 22b, 23b, 24b: Steel wire hole
21e, 22e, 23e, 24e:
22g, 24g:
23i, 24i:
26f, 28f:
30:
40a, 41a, 42a, 43a: Shear key 40b, 41b, 42b, 43b: Steel wire hole
40c, 41c, 42c, 43c: Shear key 40d, 41d, 42d, 43d: Shear key groove
50,60:
52, 62: bolt 63: protrusion
70,71: Long column pillar block
Claims (11)
상기 단이 다수 적층되어 상기 교각 기둥을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단 사이에 판형의 연결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블록의 테두리에 상기 연결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비해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보강벽체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벽체는 기둥블록과 연결블록의 경계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A plurality of pillar blocks having a flat cross section of the shape divided by the flat cross section of the pier pillar are combined in a state where the side surfac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single stage,
The plurality of ends are stacked to form the pier pillar,
The plate-shaped connecting block is coupled between the plurality of stages,
Reinforcing walls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block are formed on the edge of the connecting block, respectively.
The reinforcing wall block pier, characterized in that surrounding the boundary surface of the column block and the connecting block.
상기 기둥블록은 호형 평단면 또는 사각형 평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llar block is a block pi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rc planar cross section or a rectangular planar cross section.
상기 기둥블록은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전단키와 전단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llar block is a block p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ar key and shear key groov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상기 기둥블록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전단키와 전단키홈은 상기 기둥블록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연속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Shear key and shear key groov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block respectively block pi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continuously from the top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illar block.
상기 기둥블록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전단키와 전단키홈은,
상기 전단키에 비하여 상기 전단키홈의 폭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Shear keys and shear key grooves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block,
Block pi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shear key groove is formed wider than the shear key.
상기 기둥블록에 강선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블록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강선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강선구멍에 강선이 삽입되며,
상기 강선에 의해 상,하로 배치된 기둥블록과, 같은 단에 배치된 기둥블록이 상호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블록.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teel wire holes are formed in the pillar block,
Steel wire holes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block so that steel wires are inserted into the steel wire holes.
The pier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pillar block arranged up and down by the steel wire, and the pillar block arranged in the same stage are bound to each other.
상기 기둥블록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전단키와 전단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블록의 상면에 기둥블록의 하면 전단키홈에 삽입되는 전단키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블록의 하면에 기둥블록의 상면 전단키를 수용하는 전단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llar block is formed with a shear key and a shear key groove on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Shear key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lock is a shear key is inserted into the front shear key groove of the column block, the block p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ar key groove for receiving the top shear key of the column block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block.
상기 기둥블록들의 사이에 중간블록이 개재되어 대단면 기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lock p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mediate block is interposed between the pillar blocks to form a large cross-section pillar.
상기 중간블록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상기 기둥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전단키및 전단키홈과 결합되는 전단키와 전단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상기 기둥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전단키 및 전단키홈과 결합되는 전단키와 전단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블록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강선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Shear keys and shear key grooves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block coupled to the shear key and shear key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pillar block,
Shear keys and shear key grooves are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block and are coupled to the shear key and shear key grooves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pillar block.
And a steel wire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block.
상기 중간블록이 연속 배치되어 상기 대단면 기둥의 단면적이 더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nd the intermediate block is continuously arrang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arge cross-section pillar is further extended.
상기 중간블록은 상기 대단면 기둥의 평면상에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The method of claim 10,
The intermediate block is a block pi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large cross-section pilla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4344A KR101228034B1 (en) | 2012-10-15 | 2012-10-15 | block p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4344A KR101228034B1 (en) | 2012-10-15 | 2012-10-15 | block pi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6241A Division KR101284198B1 (en) | 2010-11-22 | 2010-11-22 | block pi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9213A KR20120119213A (en) | 2012-10-30 |
KR101228034B1 true KR101228034B1 (en) | 2013-02-07 |
Family
ID=4728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4344A KR101228034B1 (en) | 2012-10-15 | 2012-10-15 | block p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8034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33714A (en) * | 1995-06-09 | 1996-12-17 | P S Co Ltd | Constructing method of columnar structure used with hybrid prefabricated segments |
KR100905317B1 (en) | 2009-03-17 | 2009-07-02 | (주)유림이엔디 | Precast segment fo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2012
- 2012-10-15 KR KR1020120114344A patent/KR10122803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33714A (en) * | 1995-06-09 | 1996-12-17 | P S Co Ltd | Constructing method of columnar structure used with hybrid prefabricated segments |
KR100905317B1 (en) | 2009-03-17 | 2009-07-02 | (주)유림이엔디 | Precast segment fo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9213A (en) | 2012-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0419B1 (en) | Joint structure of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 |
JP5517516B2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building | |
KR101067001B1 (en) | Slave constructing method of steel box girder bridge using steel reinforcement | |
KR101288293B1 (en) | block pier | |
KR101985676B1 (en) |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ing 3d printer | |
KR20130043324A (en) | Steel plate weir for one united manufacturing concrete | |
KR100987762B1 (en) | Joint structure of vertical member and andhorizontal member | |
KR100967734B1 (en) | Steel concrete composite crossbeam | |
KR10216095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girder using PC composite beam, PC composite beam and column joint structure and PC composite beam | |
KR101284198B1 (en) | block pier | |
JP2007254974A (en) | Prestressed concrete floor slab bridge of composite structure of steel/concrete using shape stee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tressed concrete floor slab bridge | |
KR20120032332A (en) | Multi-column type modular pier | |
KR100889338B1 (en) | An Assembly Type panel for mold | |
KR101228034B1 (en) | block pier | |
KR101779449B1 (en) | A hollow box type steel built up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AU770799B2 (en) | Method of constructing formwork and an element for casting concrete components | |
JP2016033318A (en) | Assembly-type unit bridge kit | |
KR101170897B1 (en) | Composite Beam not to require the additional Fire Resistant Coating and Beam-Slab Joint Using the same | |
KR100990967B1 (en) | Assembled bridge and method for constucting an assembled bridge | |
JP6966208B2 (en) | Column-beam joint structure | |
KR101010109B1 (en) | Concrete filled composite lining board of assembly type | |
KR20090001058U (en) | Stone pannel for building | |
KR101043086B1 (en) | Precast formwork structure | |
KR101272001B1 (en) | Body of underground storage container fabricating precast segments and method constructing thereof | |
KR101457796B1 (en) | Hybrid Structures Using Steel Framework and Precast Concrete Slab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