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503B1 - 티브이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티브이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503B1
KR101227503B1 KR1020060049459A KR20060049459A KR101227503B1 KR 101227503 B1 KR101227503 B1 KR 101227503B1 KR 1020060049459 A KR1020060049459 A KR 1020060049459A KR 20060049459 A KR20060049459 A KR 20060049459A KR 101227503 B1 KR101227503 B1 KR 101227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microphone
microphone
turned
wireless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270A (ko
Inventor
김교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9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503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04R2410/03Reduction of intrinsic noise in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V의 전원을 온시킬 경우 무선 마이크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무선 마이크에서 유입되는 초기의 불필요한 노이즈의 출력을 방지하는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마이크의 "켜짐" 또는 "꺼짐", "실행" 또는 "취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TV 시스템이 온될 경우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꺼짐"일 경우 마이크를 오프시키는 단계;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가 "켜짐"일 경우에는, 혼신 방지 기능의 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취소"일 경우 마이크를 온 시키고, "실행"일 경우 마이크를 오프 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혼신 방지 기능이 "실행"으로 설정되어 마이크를 오프시킨 경우에는, TV 시스템이 온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시킨 후 상기 마이크를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마이크, 노이즈, 음성신호, TV, 방지, 설정, 꺼짐, 켜짐

Description

티브이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eventing noise of wireless micro-phone of TV syste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a 내지 2c는 종래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제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제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NT : 안테나 101, 105 : IF 필터
102 : LNA 103 : RX 믹서
104 : IF 앰프 106 : RX 발진부
107 : PLL 발진부 108 : IF 검파 및 음성신호 분리부
109 : OP 앰프 110 : 오디오 잭
111 : 메인 콘트롤러 112 : 음성 압축부
113 : 제어부(CPU) 201 : TX 앰프
202 : SAW 필터 203 : TX 믹서
204 : TX 발진부 205 : PLL 발진부
206 : IF 검파 및 음성신호 분리부 207 : 메인 콘트롤러
208 : 제어부(CPU) 209 : 음성 압축부
210 : OP 앰프 211 : 마이크로폰
본 발명은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마이크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출력을 방지하기 위한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종래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ANT)에 수시된 방송신호를 선국하는 튜너부(1)와, 선국된 방송신호의 영상 및 음성 중가 주파수 신호를 검파하는 영상/음성 IF 검파부(2)와, 상기 영상/음성 IF 검파부(2)에서 검파출력된 영상신호 및 외부 영상신호를 스위칭 선택하는 영상 스위칭부(SW1)와, 영상/음성 IF 검파부(2)에서 검파출력된 음성 신호 및 외부 음성신호를 스위칭 선택하는 음성 스위칭부(SW2)와, 상기 영상 스위칭부(SW1)에서 스위칭 출력 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시키는 영상처리부(3)와, 마이크(MIC)에서 출력된 음성을 증폭하는 증폭부(4)와, 상기 증폭출력된 음성을 송신안테나(ANT)를 통해 송신시키는 FM송신부(5)와, 수신안테나(ANT)에 수신된 FM 음성신호를 선국하는 FM튜너부(6)와, 상기 선국된 FM음성신호를 검파하는 FM 검파부(7)와, 검파출력된 FM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노래 반주기능의 음장효과를 위한 에코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에코처리부(8)와, 상기 에코처리부(8)에서 에코처리되어 출력된 음성신호와 음성스위칭부(SW2)에서 스위칭 출력된 음성신호를 믹서하여 음성 증폭부(10)에 인가하는 음성믹서부(9)와, 음성 믹서부(9)에서 혼합출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SP)를 통해 외부로 출력시키는 음성증폭부(10)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장치는, 주로 TV 노래 반주 장치로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ANT) 에 방송신호가 수신되면 튜너부(1)는 안테나에 수신된 방송신호를 선국하여 영상/음성 IF 검파부(2)에 인가함으로써 선국된 방송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검파하여 출력한다.
이때 영상 스위칭부(SW1)는 영상/음성 IF 검파부(2)에서 검파출력된 방송영상신호 및 외부영상신호 중 하나를 스위칭 선택하여 출력하면 영상처리부(3)는 영상 스위칭부(SW1)에서 선택출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음성 스위칭부(SW2)는 영상/음성 IF 검파부(2)에서 검파출력된 방송 음성 신호 및 외부음성 신호 중 하나를 스위칭 선택하여 출력하면 음성 믹서부(9)는 음성 스위칭(SW2)에서 선택출력된 음성신호를 음성 증폭부(10)에 인가하므로서 상기 음성신호는 스피커(SP)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따라서 시청자는 안테나(ANT)에 수신된 방송신호를 선국하여 시청할 수 있다.
이때 시청자가 무선마이크를 통해 TV를 노래반주장치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사용자가 마이크(MIC)를 이용하여 노래를 부르면 상기 마이크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는 마이크 증폭부(4)에서 증폭출력되어 FM송신부(5)에 인가된다.
따라서 FM송신부(5)는 증폭출력된 음성신호를 송신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면 수신안테나는 송신된 FM음성을 수신하여 FM 튜너부(6)에 인가하므로서 상기 FM 튜너부(6)는 수신된 FM음성신호를 선국하여 출력한다.
선국 출력된 FM음성신호는 FM 검파부(7)에서 검파되어 에코 처리부(8)에 인가하면 상기 에코 처리부(8)는 검파출력된 음성을 노래반주기능의 음장효과를 위한 에코동작을 조절하여 음성 믹서부(9)에 인가하므로서 음성 믹서부(9)는 무선마이크(MIC)에서 입력된 음성신호와 음성 스위칭부(SW2)에서 스위칭 선택된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음성 증폭부(10)에 인가하면 음성 증폭부(10)는 혼합 출력된 음성신호를 증폭 출력시켜 스피커(SP)를 통해 외부로 음성을 확산출력시킨다.
도 2a 내지 2c는 종래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제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구성도이다.
종래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의 구현기술은 무선마이크에서 음성신호를 변조하고, 740~752Mhz주파수 대역에서 250Khz 단위로 48개의 채널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TV 시스템에서는 수신되는 채널별 설정 주파수의 RF신호를 전압 레벨로 변환하여 수신전계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put)를 체크하고, 미리 설정된 특정 기준 레벨(threshold)과 비교 판단하여 음성신호의 유무를 판단한다.
종래의 TV 시스템에서는 상기와 같은 무선 마이크의 기능을 "켜짐" 또는 "꺼짐" 상태로 설정하여 선택적으로 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마이크의 기능을 "꺼짐" 상태로 설정하였을 경우에는 TV의 전원을 온시키더라도 무선 마이크는 동작하지 않는다.
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마이크의 기능을 "켜짐" 상태로 설정하였을 경우에는 TV의 전원을 온시킴과 동시에 무선 마이크도 바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장치는, 특히 무선 마이크가 "켜짐"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TV의 전원을 온시킬 경우에, TV의 전원 공급과 동시에 무선 마이크도 바로 동작하기 때문에 무선 마이크에서 유입되는 초기의 불필요한 노이즈가 그대로 스피커로 출력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종래 무선 마이크의 기능 설정은 TV의 전원을 오프시키더라도 계속 유효하게 되므로, 무선 마이크의 기능이 "켜짐"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TV의 전원을 온시킬 때마다 마이크가 온상태로 노이즈가 출력되어 매번 불편함을 겪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TV의 전원을 온시킬 경우 무선 마이크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무선 마이크에서 유입되는 초기의 불필요한 노이즈의 출력을 방지하는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방법은, 무선 마이크의 동작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 TV 시스템이 온될 경우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와 관계없이 마이크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TV 시스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TV 시스템이 온되면,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시킨 후 미리 선택된 기능 설정에 따라 마이크를 온 시키거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전원이 온된 시점으로부터 최소 400ms 경과 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무선 마이크의 "켜짐" 또는 "꺼짐", "실행" 또는 "취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TV 시스템이 온될 경우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꺼짐"일 경우 마이크를 오프시키는 단계;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가 "켜짐"일 경우에는, 혼신 방지 기능의 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취소"일 경우 마이크를 온 시키고, "실행"일 경우 마이크를 오프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에서 혼신 방지 기능이 "실행"으로 설정되어 마이크를 오프시킨 경우에는, TV 시스템이 온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시킨 후 상기 마이크를 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전원이 온된 시점으로부터 최소 400ms 경과 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는, 동작 상태가 설정된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TV 시스템이 온될 경우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와 관계없이 마이크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TV 시스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차단시키는 음성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TV 시스템을 온시킨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시킨 후 미리 선택된 기능 설정에 따라 상기 마이크를 온 시키거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전원이 온된 시점으로부터 최소 400ms 경과 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3은 수신파트(RX PART)를 나타내고, 도 4는 송신파트(TX PART)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파트(RX PART)는, 안테나(ANT), IF 필터(101)(105), LNA(102), RX 믹서(103), IF 앰프(104), RX 발진부(106), PLL 발진부(107), IF 검파 및 음성신호 분리부(108), OP 앰프(109), 오디오 잭(110), 메인 콘트롤러(111), 음성 압축부(112) 및 제어부(CPU)(113)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안테나(ANT), IF 필터(101)(105), LNA(102), RX 믹서(103), IF 앰프(104)는 음성신호 수신수단을 구성한다. PLL 발진부(107), IF 검파 및 음성신호 분리부(108), 메인 콘트롤러(111), 음성 압축부(112) 및 제어부(CPU)(113)는 제어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OP 앰프(109) 및 오디오 잭(110)은 이후로 연결되는 스피커(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음성 출력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음성신호 수신수단은 무선 마이크의 송신파트로부터 RF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제어수단은 무선 마이크의 동작상태를 미리 설정한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스템이 온될 경우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와 관계없이 마이크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TV 시스템을 온시킨다.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미리 선택된 기능 설정에 따라 마이크를 온 시키거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상기 제어수단에서 IF 검파 및 음성신호 분리부(108)는 특정 주파수 신호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하고, 메인 콘트롤러(111)는 IF 전계 세기를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put)전압으로 변환시키고, 이 RSSI를 제어부(CPU)(113)로 전송한다. 제어부(113)는 음성 신호를 판단하여 해당 음성을 출력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부(113)는 무선 마이크의 "켜짐" 또는 "꺼짐", "실행" 또는 "취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한다. 또한, TV 시스템이 온될 경우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꺼짐"일 경우 마이크를 오프시킨다. 한편,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가 "켜짐"일 경우에는, 혼신 방지 기능의 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취소"일 경우 마이크를 온 시키고, "실행"일 경우 마이크를 오프시킨다.
상기 음성 출력수단은 상기 제어부(113)의 제어에 따라 출력될 음성신호를 OP 앰프(109) 및 오디오 잭(110)을 거쳐 이후로 연결되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13)는 혼신 방지 기능이 "실행"으로 설정되어 마이크를 오프시킨 경우에는, TV 시스템이 온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마이크를 온시킴으로써, 혼신음이 방지된 이후에는 자동으로 마이크를 온시켜 정상적으로 마이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전원이 온되어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개시하는 시점으로부터 최소 400ms 경과 후가 되도록 설정한다. 특히, TV 시스템이 마이크의 전원이 온되었을 경우, 최소 400ms 이내에 초기 노이즈가 발생되므로, 상기 시간을 경과시킨 후 마이크를 온시켜 노이즈 및 기타 혼신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파트(TX PART)는 TX 앰프(201), SAW 필터(202), TX 믹서(203), TX 발진부(204), PLL 발진부(205), IF 검파 및 음성신호 분리부(206), 메인 콘트롤러(207), 제어부(CPU)(208), 음성 압축부(209), OP 앰프(210) 및 마이크로폰(211)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송신파트(TX PART)의 작용은 통상의 송신시스템의 작용과 대동소이하므로 여기서 무선 송신의 세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고,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제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마이크의 "켜짐" 또는 "꺼짐", "실행" 또는 "취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단계(S101~S102); TV 시스템이 온될 경우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꺼짐"일 경우 마이크를 오프시키는 단계(S103~S104);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가 "켜짐"일 경우에는, 혼신 방지 기능의 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취소"일 경우 마이크를 온 시키고, "실행"일 경우 마이크를 오프 시키는 단계(S105~S107); 및 상기 단계에서 혼신 방지 기능이 "실행"으로 설정되어 마이크를 오프시킨 경우에는, TV 시스템이 온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시킨 후 상기 마이크를 온시키는 단계(S108~S11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TV 온 스위치가 입력되면(S101), TV 상태를 설정하거나 또는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즉, TV 상태를 설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마이크의 "켜짐" 또는 "꺼짐", "실행" 또는 "취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113)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무선 마이크의 "켜짐" 또는 "꺼짐", "실행" 또는 "취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한다(S101~S102).
이후, TV 시스템이 온되면, TV 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무선 마이크의 상태를 "꺼짐"으로 설정하였을 경우에는, 제어부(113)는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가 "꺼짐"인 것을 확인하여 마이크의 출력 기능을 오프시킨다(S103~S104).
한편, 상기 단계에서, 무선 마이크의 상태를 "켜짐"으로 설정하였을 경우에는, TV 시스템이 온되면 제어부(113)는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가 "켜짐"인 것을 확인하고, 다음 단계로 혼신 방지 기능 설정상태를 재차 확인한다(S105).
이때,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혼신 방지 기능의 설정 상태가 "취소"일 경우에는 마이크를 온 시키고, "실행"일 경우 마이크를 오프 시킨다(S106~S107).
즉, 혼신 방지 기능이 "취소"일 경우에는 상기 IF 검파 및 음성신호 분리부(108)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특정 주파수 신호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하고, 메인 콘트롤러(111)는 IF 전계 세기를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put)전압으로 변환시키고, 이 RSSI를 제어부(CPU)(113)로 전송한다. 제어부(113)는 음성 신호를 판단하여 해당 음성을 출력시킨다.
상기 음성 출력수단은 상기 제어부(113)의 제어에 따라 출력될 음성신호를 OP 앰프(109) 및 오디오 잭(110)을 거쳐 이후로 연결되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출력한다.
한편, 혼신 방지 기능이 "실행"일 경우에는 제어부(113)는 무선 마이크의 입력 신호 유무와 상관없이 음성 출력수단의 OP 앰프(109) 및 오디오 잭(110) 등의 기능을 정지시켜 그 출력 기능을 차단시킨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혼신 방지 기능이 "실행"으로 설정되어 마이크를 오프시킨 경우에는, TV 시스템이 온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시킨 후 상기 마이크를 온시키는 단계(S108~S110)를 더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113)는 TV 시스템이 온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마이크를 온시킴으로써, 혼신음이 방지된 이후에는 자동으로 마이크를 온시켜 정상적으로 마이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전원이 온되어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개시하는 시점으로부터 최소 400ms 경과 후가 되도록 설정하여 초기 노이즈 발생 시간을 경과시킨 후 마이크를 온시켜 노이즈 및 기타 혼신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무선 마이크를 갖는 통상의 TV 오디오 시스템, 일예로서 PDP 및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물론이고, 프로젝션 TV, 일반 TV, 모니터 및 기타 영상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및 위성 TV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NTSC, PAL, SECAM방식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TV의 전원을 온시킬 경우 무선 마이크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무선 마이크에서 유입되는 초기의 불필요한 노이즈의 출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 마이크의 기능이 "켜짐" 상태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혼신방지기능이 실행되어 있으며, TV의 전원을 온시킬 경우 마이크가 오프 상태로 되어 노이즈 출력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무선 마이크의 동작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
    TV 시스템이 온될 경우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무선 마이크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TV 시스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V 시스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TV 시스템이 온되면,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시킨 후 미리 선택된 기능 설정에 따라 상기 무선 마이크를 온 시키거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전원이 온된 시점으로부터 최소 400ms 경과 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방법.
  4. 무선 마이크의 "켜짐" 또는 "꺼짐", "실행" 또는 "취소"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TV 시스템이 온될 경우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꺼짐"일 경우 상기 무선 마이크를 오프시키는 단계;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가 "켜짐"일 경우에는, 혼신 방지 기능의 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취소"일 경우 상기 무선 마이크를 온 시키고, "실행"일 경우 상기 무선 마이크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일 경우 상기 무선 마이크를 오프시키는 단계에서, 혼신 방지 기능이 "실행"으로 설정되어 상기 무선 마이크를 오프시킨 경우에는, 상기 TV 시스템이 온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시킨 후 상기 무선 마이크를 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시간은 전원이 온된 시점으로부터 최소 400ms 경과 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방법.
  7. 동작 상태가 설정된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는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TV 시스템이 온될 경우 상기 무선 마이크의 현재 설정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무선 마이크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TV 시스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차단시키는 음성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TV 시스템을 온시킨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시킨 후 미리 선택된 기능 설정에 따라 상기 무선 마이크를 온 시키거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전원이 온된 시점으로부터 최소 400ms 경과 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
KR1020060049459A 2006-06-01 2006-06-01 티브이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227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459A KR101227503B1 (ko) 2006-06-01 2006-06-01 티브이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459A KR101227503B1 (ko) 2006-06-01 2006-06-01 티브이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270A KR20070115270A (ko) 2007-12-06
KR101227503B1 true KR101227503B1 (ko) 2013-01-29

Family

ID=3914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459A KR101227503B1 (ko) 2006-06-01 2006-06-01 티브이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5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681A (ko) * 1993-09-25 1995-04-24 배순훈 영상가요반주시스템의 마이크삽입시 팝노이즈(Pop Noise)뮤트장치
KR19980058843A (ko) * 1996-12-30 1998-10-07 배순훈 개선된 노래 반주 시스템
KR20010107372A (ko) * 2000-05-27 2001-12-07 이경호 휴대용 노래방기기
KR20040007161A (ko) * 2002-07-16 2004-01-24 (주)디지탈컴 무선 마이크 송수신기의 팝-노이즈 제거 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681A (ko) * 1993-09-25 1995-04-24 배순훈 영상가요반주시스템의 마이크삽입시 팝노이즈(Pop Noise)뮤트장치
KR19980058843A (ko) * 1996-12-30 1998-10-07 배순훈 개선된 노래 반주 시스템
KR20010107372A (ko) * 2000-05-27 2001-12-07 이경호 휴대용 노래방기기
KR20040007161A (ko) * 2002-07-16 2004-01-24 (주)디지탈컴 무선 마이크 송수신기의 팝-노이즈 제거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270A (ko)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503B1 (ko) 티브이 시스템의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686082B1 (ko) 무선 마이크 노이즈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767871B1 (ko) 무선 마이크 시스템의 음성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809790B1 (ko) 무선마이크가 적용된 영상표시기기의 혼신 방지장치
KR20080013469A (ko) 무선 마이크 시스템의 음성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6121729A (ja) 告知放送受信機
KR19990042203A (ko) 티브이의 방송 수신장치 및 방법
KR20050000087A (ko) 자동이득제어에 의한 볼륨 균일화장치
JP2002135141A (ja) 受信機
JP4345257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771617B1 (ko) 영상기기의 리모콘 자동무음장치 및 그 방법
JP2002158935A (ja) テレビワイヤレス伝送システム
KR100435551B1 (ko) 뮤트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마이크 수신장치
KR20000034291A (ko) 텔레비젼/라디오 겸용 튜닝방법
KR100232816B1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음성출력 제어장치
KR100203263B1 (ko) 채널자동전환장치 및 그 방법
KR100213484B1 (ko) 방송모드 자동전환방법
KR0180342B1 (ko) Tv방송 무신호채널에서의 화면조정방지장치
KR100222322B1 (ko) 텔레비전 수상기에서의 무선 스피커 제어 장치
JP2949895B2 (ja) ステレオセット
KR100726407B1 (ko) 도어록 장치
KR100192879B1 (ko) 온/오프 타이머 기능이 내장된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
KR20000032218A (ko) 에프엠라디오를 내장한 텔레비젼
KR20070058925A (ko)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KR19980041429A (ko) 지역별 긴급 방송이 가능한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