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574B1 - Fog intercept screen using air pressure - Google Patents

Fog intercept screen using air press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574B1
KR101226574B1 KR1020100036232A KR20100036232A KR101226574B1 KR 101226574 B1 KR101226574 B1 KR 101226574B1 KR 1020100036232 A KR1020100036232 A KR 1020100036232A KR 20100036232 A KR20100036232 A KR 20100036232A KR 101226574 B1 KR101226574 B1 KR 101226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g
road
curtain
pneumatic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2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6673A (en
Inventor
조용성
이종혁
Original Assignee
이종혁
조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혁, 조용성 filed Critical 이종혁
Priority to KR1020100036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574B1/en
Publication of KR20110116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6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5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3/00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e.g. on roads, on air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02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공압을 이용하여 도로 경계부에 차단막을 형성하여 도로 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 상으로 안개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막을 형성하는 도로의 일측 경계부를 따라 위치하는 커튼과, 상기 커튼이 도로 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차단할 수 있도록 공기압을 통해 상기 커튼을 전개 또는 원상태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을 사용하면, 도로 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차단할 수 있어 안개로 인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교통사고 발생률을 감소시킴은 물론, 안개로 인한 교통체증을 해소할 수 있다.Disclosed is a mist barrier using pneumatic pressure to form a barrier at a road boundary using pneumatic to block mist flowing into a roa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urtain located along one side boundary of the road to form a film to block the flow of fog on the road, and the curtain is developed or deployed through the air pressure to block the fog flowing into the road It provides a mist barrier using a pneumatic pressure including a pump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When using the fog blocker using the pneumatic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lock the fog flowing into the road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due to the fog in advance to reduce the traffic accidents, as well as to solve the traffic jams caused by the fog Can be.

Description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FOG INTERCEPT SCREEN USING AIR PRESSURE}Membrane barrier using pneumatics {FOG INTERCEPT SCREEN USING AIR PRESSURE}

본 발명은 안개 차단막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로 상에 안개 발생 시 도로의 경계부에 공압을 이용해 차단막을 형성하여 도로 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효율적으로 차단토록 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st barr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st barrier using pneumatic to effectively block the fog flowing into the road by forming a barrier using the air pressure at the boundary of the road when fog occurs on the road. .

흔히 안개는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지표(도로 등) 가까이의 차가운 공기와 만나거나 주변에 수증기의 공급원이 많아 습도가 높을 경우 발생된다. 또한, 응결을 촉진시키는 흡습성의 작은 입자의 응결핵이 있으면 상대적으로 낮은 습도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Fog often occurs when warm, moist air meets cold air near the surface (roads, etc.) or when the humidity is high due to the high supply of water vapor around it. In addition, the presence of hygroscopic small particles of condensation nuclei that promotes condensation can occur even at relatively low humidity.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 발생되는 안개가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상에 발생할 경우 운전자의 시계가 떨어져 교통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발생률도 크게 증가된다.If the fog generated under such a condition occurs on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runs, the driver's watch may fall and the traffic flow may not be smooth, and the traffic accident occurrence rate may be greatly increased.

안개의 경우 발생 원인이나 지형, 지물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하여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이러한 안개 중에서 일정 지역에서 발생하여 지면에서 높은 고도까지 정체 상태로 존재하는 안개도 있지만, 다른 지역에서 발생하여 지면을 따라서 진행하는 안개도 있다. In the case of fog, it is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occurrence, topography, and features. Some of these mists occur in certain areas and remain at a high altitude from the ground, while others occur in other areas and progress along the ground.

예전의 경우 안개가 도로 상에 발생할 경우 도로 상의 안개를 제거할 수 있는 다른 특별한 방법이 없어 운전자의 시계가 좁아짐에 따라 차량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에 안개로 인한 차량의 사고를 예방코자 차량의 속도를 줄여 주행하면서 안개가 걷히기만을 기다리는 수밖에 없었다. 이 같은 경우 차량의 주행속도를 줄임으로써 사고를 예방할 수는 있었으나, 차량의 속도 저하로 인해 도로의 교통정체가 수반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In the past, when a fog occurred on the road, there was no other special way to remove the fog on the road, resulting in frequent car accidents as the driver's watch narrowed. In order to prevent the accident of the vehicle caused by the fog, the speed of the vehicle was reduced to the speed of the vehicle was forced to wait for the fog to be removed. In this case, accidents could be prevented by reducing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but there were problems such as traffic congestion on the road due to the decrease in the speed of the vehicle.

이처럼 안개로부터의 무방비 노출에 의해 발생되는 교통사고 및 교통정체를 해결코자 물을 이용하여 도로 상의 안개를 제거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traffic accidents and congestion caused by unprotected exposure from fog, a system for removing fog on roads using water has been developed.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8-269927호 및 평08-269928호에는 ‘도로의 안개제거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Hei 08-269927 and Hei 08-269928 disclose a road mist elimination system.

이들 안개제거시스템은 펌프를 구동시켜 저수조의 물을 배관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배관으로 유입된 물은 배관의 살수노즐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수막을 형성토록 함으로써, 도로 상으로 안개의 유입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se mist elimination systems drive pumps to allow the water in the reservoir to flow into the pipes, and the water that flows into the pipes is spr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ray nozzles of the pipes to form a water film, thereby preventing the inflow of fog onto the road. It's about technology.

그러나 이 같은 기술들은 도로 외측 경계면을 따라 배관이 위치한 상태에서 배관의 살수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토록 하는 구조로 인해, 살수노즐을 통해 분사된 물이 도로 상으로 유입되게 된다. 도로 상으로 유입된 물은 차량의 타이어와 도로와의 수막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어 차량 운행에 있어 사고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se technologies have a structure in which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spray nozzles of the pipes while the pipes are located along the outer boundary of the road, and the water sprayed through the spray nozzles flows onto the road. Water introduced on the road may cause a water film phenomenon between the tire and the road of the vehicle, which may cause an accident in driving the vehicle.

또한, 도로 상으로 유입된 물은 기상조건에 따라 결빙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결빙은 차량 운행에 있어 사고를 유발시키는 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In addition, water introduced on the road may freeze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s, and this freezing may cause an accident in driving a vehicle.

또한, 미국특허 제4,781,326호에는 ‘물 분사를 통해 안개 소실시키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U. S. Patent No. 4,781, 326 discloses a system for eliminating fog by spraying water.

이는 펌프의 구동에 의해 저수지의 용수를 급수 파이프의 노즐을 통해 활주로로 분사시킴으로써, 활주로 상에 발생되는 안개를 소실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is relates to a technique for discharging mist on the runway by injecting water from the reservoir by the drive of the pump through the nozzle of the feed pipe to the runway.

그러나 이 기술 역시 용수를 이용하여 활주로 상에 발생되는 안개를 소실시킴으로써, 분사된 용수가 활주로 상에 유입되어 비행기의 바퀴와 활주로와의 수막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어 이착륙 시 비행기 사고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However, this technique also uses water to dissipate the fog generated on the runway, and the sprayed water can flow onto the runway, creating a hydroplaning phenomenon between the wheels of the plane and the runwa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또한, 활주로 상으로 유입된 물이 기상조건에 의해 결빙될 수 있어 비행기의 이착륙 시 사고를 유발시키는 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In addition, the water flowing onto the runway can be frozen due to weather conditions, which can not only cause accidents during takeoff and landing of the plane.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막을 이용한 안개제거시스템의 경우 도로 또는 활주로 상에 발생되는 안개를 제거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안개를 제거시키는 과정에서 용수가 도로 또는 활주로 상으로 유입됨에 따라 발생되는 수막 또는 용수의 결빙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fog removal system using the water film has an effect of removing fog generated on the road or the runway, but the water of the water film or water generated as the water flows on the road or the runway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og is used. There are problems such as accidents caused by freezing.

이에 도로 상에 발생되는 안개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다.Accordingly, methods for more efficiently removing fog generated on roads have been developed.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3412호(2001년08월07일 등록)에 “압축공기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방지 및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3412 (registered on August 07, 2001) discloses a fog prevention and removal device of the runway using compressed air.

이는 활주로의 주변에 소정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압축기를 다수 구비하여 한 건물에 압축공기실을 설치하고 여기서 생산되는 압축공기를 활주로와 주변에 설치된 에어파이프 라인을 통해 신선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활주로 주면에 발생되는 안개를 제거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방지 및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It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air compressors for compressing a predetermined air around the runway, and installs a compressed air chamber in a building, and discharges fresh air through the runway and the air pipe line installed around the runw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and removing fog of a runway using compressed air to remove generated fog.

이 기술의 경우 압축된 공기를 에어파이프를 통해 토출시킴으로서, 활주로 상의 안개를 제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방대한 공간의 활주로 상으로 발생된 안개가 제거될 때까지 압축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technique, the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pipe, and the effect of removing the mist on the runway can be expected. However, by discharging the compressed air until the mist generated on the runway of a large space is remov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conomical.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7100호(2004년11월17일 공개)에 “활주로 및 도로안개제거시스템과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97100 (published November 17, 2004) discloses a "runway and road fog removal system and method".

이는 중앙통제실에서 각종 관측수단을 통해 원격검측한 안개발생정보에 따라 히팅된 공기를 컴프레서를 거쳐 압축시켜 에어라인을 통해 압축고온공기를 분무노즐을 통해 분사시킴으로써, 안개를 제거하도록 하는 활주로 및 도로안개제거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is a runway and road fog to remove fog by spraying compressed high temperature air through the spray nozzle through the air compressor by compressing the heated air according to the fog generation information remotely detected through various observation means in the central control room. It relates to a removal system and method.

이 기술의 경우 압축공기를 이용해 활주로 및 도로주변에 발생되는 안개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술 역시 방대한 공간의 활주로 및 도로주변으로 안개가 제거될 때까지 압축공기를 분사시켜야됨에 따라 경제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is technology can be expected to remove the mist generated on the runway and roads by using compressed air. However, this technology also has an economic problem, as compressed air must be injected until the mist is removed around the runway and roads of a large space.

이에 안개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다 경제적으로 공기압(공압)을 이용한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method using air pressure (pneumatic) more economically as a method for removing the fo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압을 이용하여 도로 경계부에 차단막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으로 도로 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g barrier using pneumatic to block the fog flowing into the road more economically by forming a barrier on the road boundary using pneumatic.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 상으로 안개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막을 형성하는 도로의 일측 경계부를 따라 위치하는 커튼; 및 상기 커튼이 도로 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차단할 수 있도록 공기압을 통해 상기 커튼을 전개 또는 원상태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tain located along one side boundary of the road to form a film to block the flow of fog onto the road; And it provides a mist blocking film using a pneumatic pressure including a pump for deploying or returning the curtain to the original state through the air pressure to block the fog flowing into the road on the road.

본 발명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을 사용하면, 도로 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차단할 수 있어 안개로 인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교통사고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When using the fog blocker using the pneumatic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lock the fog flowing into the road can be expected to prevent the traffic accidents due to the fog in advance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traffic accident occurrence rate.

그리고 도로 상의 안개로 인한 차량의 주행속도 저하로 인해 발생되는 교통체증 등을 해소하여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g barrier using a pneumatic to anticipate the effect of smoothly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by eliminating the traffic jam caused by the deterioration of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due to the fog on the road.

나아가 공압을 이용해 안개 차단막을 설치한 후, 추가적인 공압이 필요치 않아 공압을 대기중으로 분사시키는 방법에 비해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urthermore, after the mist barrier is installed using pneumatics, no additional pneumatic pressure is required, so the economic effect can be expected compared to the method of spraying pneumatics into the atmosphe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을 설명하기 위한 커튼 전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을 설명하기 위한 커튼 전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의 커튼을 보관하는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의 커버의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for explaining a mist barrier using pneuma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of the curtain development for explaining the mist barrier using pneuma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of a curtain development for explaining a fog barrier using pneumati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a storage box for storing the curtain of the fog barrier membrane using pneuma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mbodiment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cover of the fog barrier membrane using pneuma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fog barrier using pneumatic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은 공압(공기압)을 이용해 차단막을 형성함으로써, 도로 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사전에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mist blocking film using the pneumatic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blocking film using pneumatic pressure (air pressure), and serves to block mist entering into the road in advance.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은 도로 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차단하는 커튼(100), 및 상기 도로 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상기 커튼(100)을 통해 차단할 수 있도록 커튼(100)을 전개 또는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펌프(20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fog barrier layer using the pneumatic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urtain 100 for blocking the fog flowing into the road, and a curtain 100 to block the fog flowing into the road through the curtain 100. It includes a pump 200 to expand or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은 도로 상의 안개를 측정하는 안개센서(400), 도로 상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400), 및 상기 안개센서(400) 및 풍속센서(400)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펌프(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통제부(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And the fog block using the pneumatic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fog sensor 400 for measuring the fog on the road, the wind speed sensor 400 for measuring the wind speed on the road, and the fog sensor 400 and the wind speed sensor 400 The controller 5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ump 200 according to the measured data.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for explaining a mist barrier using pneuma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은 커튼(100), 및 펌프(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fog barrier layer using pneumatic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urtain 100 and a pump 200.

상기 커튼(100)은 도로(150) 상으로 안개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차단막 역할을 수행한다. The curtain 100 serves as a barrier to block the inflow of fog onto the road 150.

이를 위해 상기 커튼(100)은 도로의 일측 경계부를 따라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로의 일측 경계부를 따라 위치된 상태에서 도로 상에 안개가 발생할 경우 상기 커튼(100)은 도로로 유입되는 안개를 차단하도록 상 방향으로 전개된다. To this end, the curtain 100 is preferably located along one side of the road. When the fog occurs on the road in a state located along one side boundary of the road, the curtain 100 is developed upward to block the fog flowing into the road.

상기 커튼(100)의 경우 도로 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차단하기 위해 상 방향으로 전개되어 안개 차단막을 형성토록 하는 것은 상기 펌프(20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압(공기압)을 통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curtain 100, it is possible to develop a mist blocking film in the upward direction to block the mist flowing into the road through the pneumatic pressure (air pressur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pump 20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펌프(200)를 통해 발생되는 공압이 상기 커튼(100)으로 주입됨에 따라 공압에 의해 상기 커튼(100)이 상 방향으로 전개된다. In more detail, as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ed through the pump 200 is injected into the curtain 100, the curtain 100 is developed upward by pneumatic pressure.

상기 커튼(100)에 상기 펌프(20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공압이 주입되어 커튼(100)이 상 방향으로 전개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튼(100)은 상기 펌프(200)를 통한 공압이 내부 전체에 주입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the method in which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pump 200 is injected into the curtain 100 to expand the curtain 100 in the upward direction, the curtain 100 has a pneumatic pressure through the pump 200. It can be formed to be injected into the entire interior.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을 설명하기 위한 커튼 전개의 예시도이다.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of the curtain development for explaining the mist barrier using pneuma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의 커튼(100)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예를 들어 튜브 형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내부 공간을 가지는 튜브 형상의 일체형 커튼(100)으로 제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urtain 100 of the fog barrier layer using the pneumatic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for example, a tube type having an internal space. That is, it can manufacture with the tube-shaped integral curtain 100 which has an internal space.

단, 상기 커튼(100)의 외형은 도로 경계부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커튼(100)의 직사각형 형상은 하나의 예를 들었을 뿐, 도로(150) 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차단하고 차량 운행에 저해가 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어떠한 형상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hape of the curtain 1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o as to be located vertically at a road boundary.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curtain 100 is just an example, and may be manufactured in any shape within a range that blocks the fog flowing into the road 150 and does not impede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그리고 상기 커튼(100)은 도로 경계부에 설치되되, 설치하고자 하는 구간의 길이에 따라 하나의 커튼(100)을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여러 개의 커튼(100)을 연속적으로 연이어 설치할 수도 있다. 이는 최초 설계 목적에 따라 결정된다.
In addition, the curtain 100 may be installed at the road boundary, and may be provided with one curtain 100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ection to be installed, or several curtains 100 may be continuously installed in succession. This depends on the initial design purpose.

또한, 상기 커튼(100)은 내부 전체에 공압이 주입되는 것이 아닌 특정 공간에만 공압이 주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urtain 100 may be such that the pneumatic pressure is injected only to a specific space, not to be injected into the entire interior.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을 설명하기 위한 커튼 전개의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of a curtain development for explaining a fog barrier using pneumati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의 커튼(100)은, 상기 커튼(100)을 전개하여 안개를 차단하는 차단막의 베이스 역할을 하는 두개 이상의 기둥(110), 및 상기 각각의 기둥(110)을 연결하는 막(115)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urtain 100 of the mist barrier layer using the pneumatic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wo or more pillars 110 serving as a base of the barrier membrane to block the mist by expanding the curtain 100, and each of the above-described pillars 100. A membrane 115 connecting the pillars 110.

상기 기둥(110)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에 펌프(20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압이 주입됨에 따라 상기 기둥(110)이 상 방향으로 전개된다. 상기 기둥(100)은 설치하고자 하는 도로의 구간 길이에 따라 최소 2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The pillar 110 has an inner space, and as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pump 200 is injected into the inner space, the pillar 110 is developed upward. At least two pillars 100 may be install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section of the road to be installed.

상기 막(115)은 상기 최소 2개 이상의 기둥(110)과 기둥(110)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막(115)은 상기 각각의 기둥(110) 측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막(115)은 상기 각각의 기둥(110)이 내부에 공압이 주입되어 상 방향으로 전개될 경우 동일한 높이까지 막(115) 또한 전개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기둥(110)의 상단 측면부터 하단 측면까지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membrane 115 is connected between the at least two pillars 110 and the pillars 110. The membrane 115 preferably connects the side and the side of each pillar 110. In addition, the membrane 115 has an upper side surface of each pillar 110 so that the membrane 115 may also be deployed up to the same height when the pillars 110 are inflated with the pneumatic pressure therein. It would be desirable to connect from to the bottom side.

또한, 상기 커튼(100)의 기둥(110)의 외형은 도로 경계부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기둥(110)의 직사각형 형상은 하나의 예를 들었을 뿐, 도로(150) 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차단하고 차량 운행에 저해가 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어떠한 형상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hape of the pillar 110 of the curtain 1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o as to be located vertically at a road boundary.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pillar 110 is just an example, and may be manufactured in any shape within a range that blocks the fog flowing into the road 150 and does not impede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전체에 공압이 주입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기둥(110)에만 공압이 주입되도록 형성된 상기 커튼(100)의 경우 표면을 평평하게 제작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urtain 100 formed to inject pneumatic pressure into the entire interior, or to inject pneumatic pressure only into the pillar 110, the surface may be made flat.

표면이 평평한 커튼(100)의 경우, 도로 상으로 안개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튼(100)을 전개한 후, 안개가 모두 제거되어 상기 커튼(100)을 원상태로 복귀 시 상기 커튼(100)이 원상태로 복귀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curtain 100 having a flat surface, after the curtain 100 is deployed to prevent the inflow of fog onto the road, all the fog is removed to return the curtain 100 to its original state. The problem of not returning to this state may occur.

이에 상기 커튼(100)의 원상태로의 복귀가 보다 용이하도록 커튼(100)의 표면을 굴곡진 자라바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the surface of the curtain 100 may be manufactured in a curved jara bar shape so that the curtain 100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more easily.

상기 커튼(100)의 표면을 외형이 굴곡진 자바라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서, 상기 커튼(1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즉, 커튼(100) 내부로 공압이 주입되면 상기 커튼(100) 표면이 굴곡진 자바라 형상으로 되어 있어 내부로 주입되는 공압에 따라 커튼(100)이 상 방향으로 전개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By manufacturing the surface of the curtain 100 in a curved bellows shap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urtain (100). That is, when pneumatic pressure is injected into the curtain 100, the surface of the curtain 100 has a curved bellows shape, and according to the pneumatic pressure injected into the curtain 100, the curtain 100 is developed in an upward direction so that height can be adjusted.

상기 커튼(100)은 견고하고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기 커튼(100)의 전개 또는 원상태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상태로의 복귀 시 상기 커튼(100)이 좌우(도로 경계부 좌우)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urtain 10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a rigid and flexible material (flexible). This not only facilitates the unfolding or returning of the curtain 100 to its original state, but also prevents the curtain 100 from falling down left and right (right and left of the road boundary) upon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은 보관함(3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fog barrier using pneumatic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box (30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로 일측 경계부를 따라 위치한 커튼(100)의 경우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각종 이물질, 눈, 및 비 등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보관함(300)을 통해 상기 커튼(100)을 보관할 수도 있다.In more detail, in the case of the curtain 100 positioned along one side of the road, the curtain 1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such that durability may be reduced due to various foreign matters, snow, and rain. In this case, the curtain 100 may be stored through the storage box 30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의 커튼을 보관하는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a storage box for storing the curtain of the fog barrier membrane using pneuma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보관함(300)은 하우징 역할을 하는 틀(310), 보관함의 커버역할을 하는 보관커버(315), 및 상기 보관커버(315) 하단면과 상기 틀(310)의 하부면을 연결하는 제1 와이어(3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storage box 300 has a housing 310 serving as a housing, a storage cover 315 serving as a cover of the storage box, and a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cover 315 and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It includes a first wire 320 for connecting.

상기 보관커버(315)는 상기 틀(310) 상부에 위치하되, 틀(310) 상부에 부착되지 않고 단순히 거치되는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storage cover 315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310, it may be preferable to form in a manner that is simply mounted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310).

상기 제1 와이어(320)는 탄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 와이어(320)는 탄성을 지닌 고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고무 이외에도 탄성을 지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The first wire 32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wire 320 uses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any material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ther than rubber.

상기 보관커버(315)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 와이어(320)에 의해 상기 보관함(300) 내부에 위치한 커튼(100)이 전개된 후, 원상태로 복귀 시 보다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다.After the curtain 100 located inside the storage box 300 is developed by the first wire 320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ver 315, it may be more easily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상기 보관함(300) 내부에는 커튼(100) 만이 보관될 수도 있고, 커튼(100)과 함께 상기 커튼(100)의 전개 또는 원상태로 복귀시키도록 구동하는 펌프(200)가 보관될 수도 있다. 이는 최초 설계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Only the curtain 10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box 300, or the pump 200 may be stored together with the curtain 100 to drive the curtain 100 to be deployed or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his may be optional depending on the initial design purpose.

또한, 상기 커튼(100)은 전개 시 도로 상으로 안개가 유입되지 않도록 예를 들어 지상으로부터 4m 내지 5m 정도의 높이로 상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커튼(100)의 전개 시 높이는 도로가 위치해 있는 지형에 따라 안개가 발생되는 높이가 달리질 수 있는 바, 최초 설계 시 주위 환경을 고려하여 높이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curtain 100 may be deployed in an upward direction, for example, at a height of about 4 m to 5 m from the ground so that fog does not flow onto the road during deployment. When the height of the curtain 100 is deployed, the height of the fog may vary according to the terrain where the road is located.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determine the height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ring the initial desig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의 커튼(100)은 상 방향으로 전개되는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바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The curtain 100 of the fog screen using the pneumatic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ffected by the wind as the height that is developed in the upward direction increase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의 커버의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실시예이다.Figure 5 is an embodiment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cover of the fog barrier membrane using pneuma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의 커버(100)는 일측면(도로 방향 측면의 타측면)에 제2 와이어(120)를 설치하여 풍속에 의해 상기 커튼(100)이 도로 쪽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over 100 of the fog barrier layer using the pneumatic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cond wire 120 on one side (the other side of the side of the road direction), so that the curtain 100 is driven by the wind speed. It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in the side direction.

상기 제2 와이어(120)는 일측면이 상기 커버(100)와 연결되고, 타측면은 와이어 고정부(125)와 연결된다.One side of the second wire 120 is connected to the cover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wire 120 is connected to the wire fixing part 125.

상기 제2 와이어(120)는 상기 커버(100)의 일측면에 종방향으로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보다는 커버(100)의 전개 후, 원상태로의 복귀 시 상기 제2 와이어(120)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wire 120 is not vert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ver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fter the deployment of the cover 100, so that the second wire 120 does not get tangled with each other upon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It is preferred to be connec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또한, 상기 커튼(100)의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연결된 제2 와이어(120)의 타측면은 상기 고정부(125)에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125)는 상기 제2 와이어(120)의 일측면을 고정시켜 제2 와이어(120)의 타측면이 연결된 상기 커튼(100)이 도로 쪽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도로 경계부에 위치한 상기 커튼(100)을 기준으로 도로 쪽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wire 1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urtain 10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125). The fixing part 125 fixes the one side of the second wire 120 so that the curtain 1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wire 120 does not fall toward the road so that the curtain 100 is located on the road boundary. It is preferable to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oad.

또한, 상기 고정부(125)는 상기 도로 쪽 반대편에 위치하되, 상기 커튼(100)이 풍속의 영향을 받아도 도로 쪽으로 쓰러지지 않고 수직으로 전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로 경계부에 위치한 커버(100)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토록 한다. 상기 커버(100)와의 소정거리는 상기 제2 와이어(120)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In addition, the fixing part 125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oad, and the cover 100 is located on the road boundary so that the curtain 100 is maintained vertically deployed without falling down toward the road ev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wind speed. Position i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ver 100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second wire 120.

상술한 바와 같이 도로 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차단하기 위해 상 방향으로 전개되거나 또는 안개가 제거된 후 원상태로 복귀하는 상기 커튼(100)의 동작은 상기 펌프(200)의 구동에 의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urtain 100 may be operated by the pump 200 to expand in the upward direction to block the fog flowing into the road or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fter the fog is removed.

상기 펌프(200)는 공압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써, 공압 발생이 가능한 장치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The pump 200 is a device for generating pneumatic pressure, and any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pneumatic pressure may be used.

또한, 상기 펌프(200)는 도로 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커튼(100)을 전개시킨 후, 안개가 제거되어 상기 커튼(100)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펌프(200)가 역회전 구동을 함으로써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ump 200 may deploy the curtain 100 to block the fog flowing into the road, and then the fog may be removed to return the curtain 100 to its original state. To this end, the pump 200 may be driven by reverse rotation.

즉, 상기 펌프(200)가 정회전 구동을 하는 경우에는 공압을 배출해 상기 커튼(100)을 상 방향으로 전개시키고, 상기 펌프(200)가 역회전 구동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개된 커튼(100)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That is, when the pump 200 drives forward rotation, the air is discharged to expand the curtain 100 upward, and when the pump 200 drives reverse rotation, the unfolded curtain 100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상기 펌프(200)의 정/역회전 구동을 위해 극성을 스위치 할 수 있는 DC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공압의 주입 또는 배출을 위한 각각의 AC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설계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달리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A DC motor capable of switching polarity may be used for forward / reverse rotation driving of the pump 200, or each AC motor may be used for injecting or discharging pneumatic pressure. This may optionally be desig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esign purpose.

또한, 상기 펌프(200)의 경우 커튼(100)으로의 공압의 주입 또는 배출을 동시에 겸할 수도 있고, 또는 주입 또는 배출을 위한 각각의 펌프를 달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ump 200 may simultaneously serve as the injection or discharge of pneumatic pressure to the curtain 100, or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or each pump for injection or discharge.

상기 펌프(200)와 상기 커튼(100)의 연결은 공압 파이프(미도시)로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는 상기 공압 파이프 없이 상기 펌프(200)를 상기 커튼(100)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Connection of the pump 200 and the curtain 100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by a pneumatic pipe (not shown). Alternatively, the pump 2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urtain 100 without the pneumatic pip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은 안개센서(400), 풍속센서(500), 및 통제부(6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Mist blocking film using the pneumatic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g sensor 400, wind speed sensor 500, and the control unit 600.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은 안개를 측정하는 안개센서(400),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센서(500), 및 상기 안개센서(400)와 풍속센서(500)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펌프(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통제부(60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fog barrier using the pneumatic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fog sensor 400 for measuring the fog, the wind speed sensor 500 for detecting the wind speed, and the fog sensor 400 and the wind speed sensor 500 The control unit 600 further controls the driving of the pump 200 according to the measured data.

상기 안개센서(400)는 도로 상에 발생되는 일정농도 이상의 안개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통제부(6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개센서(400)는 도로 상에 발생되는 안개를 감지토록 도로 주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fog sensor 400 detects fog over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generated on the road and transmits the fog to the control unit 600. To this end, the fog sensor 400 may be located around the road to detect the fog generated on the road.

상기 풍속센서(500)는 도로 상에 부는 바람의 속도(풍속)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통제부(6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풍속센서(500)는 도로 상에 부는 바람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곳에 위치하여도 무방할 것이다.The wind speed sensor 500 detects the speed of the wind blowing on the road (wind speed)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600. The wind speed sensor 500 may be located anywhere as long as it can detect the speed of the wind blowing on the road.

상기 통제부(600)는 상기 안개센서(40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도로 상에 안개가 발생하였을 경우 커튼(100)이 상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펌프(200)의 구동을 제어하고, 안개가 제어되었을 경우 상기 커튼(100)이 원상태로 복귀 하도록 상기 펌프(200)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pump 200 to expand the curtain 100 in the upward direction when the fog occurs on the road based on the data measured from the fog sensor 400, the fog When the control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pump 200 so that the curtain 10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그리고 상기 통제부(600)는 상기 풍속센서(50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도로 상에 부는 바람의 속도가 상 방향으로 전개되어 있는 커튼(100)에 영향을 미칠 경우 전개되어 있는 커튼(100)이 원상태로 복귀 하도록 상기 펌프(200)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600 expands the curtain 100 when the speed of the wind blowing on the road affects the curtain 100 deployed in the upward direction based on the data measured from the wind speed sensor 500. ) Controls the driving of the pump 200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상기 통제부(600)는 상기 안개센서(400)와 풍속센서(500)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비교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인 자동 시스템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0 may be an unmanned automatic system including comparative data capable of comparing and analyzing data measured by the fog sensor 400 and the wind speed sensor 500.

상기 비교 데이터는 상기 안개센서(400)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가 차량의 도로 주행에 지장을 주는 정도의 데이터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안개 비교 데이터이고, 또한, 상기 풍속센서(500)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가 전개되어 있는 커튼(10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데이터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풍속 비교 데이터이다.The comparison data is fog comparison data capable of distinguishing whether the data measured through the fog sensor 400 is a data that affects the road running of the vehicle, and also the data measured through the wind speed sensor 500. Is wind speed comparison data that can be distinguished whether the data that can affect the unfolded curtain (100).

상기 비교 데이터(안개 비교 데이터, 풍속 비교 데이터)는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번 내지 수십번 이상의 실험데이터를 통해 축출된 비교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arison data (fog comparison data, wind speed comparison data) use comparison data extracted through several to several tens of experiment data in order to improve reliability.

또한, 상기 통제부(600)는 상기 안개센서(400), 풍속센서(500)를 통해 측정된 도로 상의 안개 발생 및 풍속 등의 데이터를 원격지에서 전달받아 전달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펌프(200)의 구동을 제어토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통제부(600)와 상기 안개센서(400), 풍속센서(500), 및 펌프(200) 등이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송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 receives the data such as the fog generation and the wind speed on the road measured through the fog sensor 400, the wind speed sensor 500 based 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remote receiving the pump 200 It may be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600 and the fog sensor 400, wind speed sensor 500, and the pump 20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wired or wireless to enable transmission and control.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0 : 커튼 110 : 기둥
115 : 막 120 : 제2 와이어
125 : 고정부 150 : 도로
200 : 펌프 300 : 보관함
310 : 틀 315 : 보관커버
320 : 제1 와이어 400 : 안개센서
500 : 풍속센서 600 : 통제부
100 curtain 110 pillar
115: membrane 120: second wire
125: fixing part 150: road
200: pump 300: storage
310: frame 315: storage cover
320: first wire 400: fog sensor
500: wind speed sensor 600: control unit

Claims (6)

도로 상으로 안개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막의 베이스 역할을 하도록 도로의 일측 경계부를 따라 최소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기둥과, 상기 각각의 기둥을 연결하는 막으로 이루어진 커튼;
상기 커튼이 도로 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차단할 수 있도록 공기압을 상기 기둥에 주입시켜 상기 커튼을 전개 또는 원상태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펌프;
도로 경계부에 위치한 상기 커튼을 기준으로 도로 쪽 반대편에 위치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일측면이 연결되고, 상기 커튼에 타측면이 연결되어 상기 커튼이 도로쪽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커튼을 지지하는 제 2 와이어를 포함하는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
A curtain including at least two pillars provided along one side boundary of the road to serve as a base of the membrane to block fog from entering the road, and a membrane connecting the pillars;
A pump for injecting air pressure into the column to prevent the curtain from entering fog onto the road and returning the curtain to its original state;
A fixing part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oad with respect to the curtain located at the road boundary;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urtain fog barrier using a pneumatic pressure comprising a second wire for supporting the curtain so that the curtain does not fall toward the roa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외형이 굴곡진 자바라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차단막.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urtain
Blocking using pneumatic,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hape is bent bellows shape to enable height adjust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은 견고하고 플렉시블한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
The method of claim 1,
The curtain is a fog barrier using pneumatic,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durable and flexible synthetic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도로 상에 발생되는 일정농도 이상의 안개를 감지하는 안개센서;
도로 상에 부는 바람의 속도를 감지하는 풍속센서; 및
상기 안개센서 및 풍속센서를 통해 감지된 안개 및 풍속의 측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통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
The method of claim 1,
A fog sensor for detecting fog over a certain concentration occurring on the road;
Wind speed sensor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wind blowing on the road;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ump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data of the fog and the wind speed detected by the fog sensor and the wind speed sensor.
KR1020100036232A 2010-04-20 2010-04-20 Fog intercept screen using air pressure KR1012265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232A KR101226574B1 (en) 2010-04-20 2010-04-20 Fog intercept screen using air pres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232A KR101226574B1 (en) 2010-04-20 2010-04-20 Fog intercept screen using air press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673A KR20110116673A (en) 2011-10-26
KR101226574B1 true KR101226574B1 (en) 2013-01-28

Family

ID=4503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232A KR101226574B1 (en) 2010-04-20 2010-04-20 Fog intercept screen using air press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57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3683A1 (en) * 2014-04-22 2015-10-29 솔루션테크 주식회사 Remotely controlled fog dissipation system including mesh form of fil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9060A (en) * 2017-01-17 2017-05-31 刘宝雨 control mist air curtai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7119A (en) * 1998-07-07 2000-01-25 Nkk Corp Rotary shelter fence and bridge
KR20090025758A (en) * 2007-09-07 2009-03-11 (주)대하기업 Safety air fence
KR20100034430A (en) * 2008-09-24 2010-04-01 조용성 Fog isolation system using water curta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7119A (en) * 1998-07-07 2000-01-25 Nkk Corp Rotary shelter fence and bridge
KR20090025758A (en) * 2007-09-07 2009-03-11 (주)대하기업 Safety air fence
KR20100034430A (en) * 2008-09-24 2010-04-01 조용성 Fog isolation system using water curta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3683A1 (en) * 2014-04-22 2015-10-29 솔루션테크 주식회사 Remotely controlled fog dissipation system including mesh form of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673A (en)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702B1 (en) Intelligent unmanned system for spraying liquid type snow removal agent
US20210253067A1 (en) System for cleaning an optical sensor, assembly comprising a system of said type, and associated motor vehicle
JP2014507579A (en) Fog removal system
CN102233912B (en) Inflatable vehicle air dam with bidirectional deploy/stow system
KR101212281B1 (en) The balustrade having cleaning autonomously
KR100844582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entrance of tunnel
KR101226574B1 (en) Fog intercept screen using air pressure
JP2016074415A (en) Windscreen wiper, wiping system, and wiping method for wiping glazed motor vehicle surface
KR101941784B1 (en) Fine dust and dust and fog removal equipment
KR20180007803A (en) Clean road system
KR101559546B1 (en) Fog dissipating means
KR101204359B1 (en) A fog remove device for expressway
KR101246249B1 (en) Variable-type safety bollard having impact absorbing function
KR101215145B1 (en) Fog removal system by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KR20150109796A (en) a system for Ventilation and Smoke Evacuation on Subway Train Vehicle
KR20120030178A (en) Apparatus of fog reduction on road and bridge by water roof formation and the method thereof
CN205768379U (en) Automobile-used anti-skid cloth sand system
KR1014285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vehicle window
KR20150093545A (en) Air curtain system equipped the with windshield of a vehicle
JP3277368B2 (en) Demisting method and demisting equipment
KR20140018056A (en) Traffic signal device comprising of cleaning means
JP5573711B2 (en) Vehicle spray test equipment
CN106087807A (en) Intelligent spraying isolated column
US20240181996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sensor cleaning system
CN118144731A (en) Method of controlling a sensor clea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