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372B1 -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handling password input window thereof - Google Patents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handling password input window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372B1
KR101226372B1 KR1020090092855A KR20090092855A KR101226372B1 KR 101226372 B1 KR101226372 B1 KR 101226372B1 KR 1020090092855 A KR1020090092855 A KR 1020090092855A KR 20090092855 A KR20090092855 A KR 20090092855A KR 101226372 B1 KR101226372 B1 KR 101226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window
password input
password
butt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5228A (en
Inventor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90092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372B1/en
Publication of KR20110035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2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3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6Software aspects at ATM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기기 및 그 패스워드 입력창 조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enters the passwor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that the password is exposed to others.

자동화기기, 패스워드 입력창, 조작, 위치, 크기, 버튼 배열 Automation device, password input window, operation, position, size, button arrangement

Description

자동화기기 및 그 패스워드 입력창 조작 방법{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HANDLING PASSWORD INPUT WINDOW THEREOF}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HANDLING PASSWORD INPUT WINDOW THEREOF}

본 발명은 자동화기기 및 그 패스워드 입력창 조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패스워드 입력창의 위치, 크기 및 버튼 배열을 변경하는 자동화기기 및 그 패스워드 입력창 조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device for changing the position, size and button arrangement of a password input window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근래에 자동 지폐 거래 장치로서 입출금 장치가 실용화되었다. 이와 같은 입출금 장치는 자동화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로서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의 기계화 코너에 설치된다. 상기 자동화기기는 카드나 통장 등의 매체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화폐(현금, 수표 등)의 인출 또는 인입, 즉 입출금의 거래를 고객 자신이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동화기기는 은행의 영업 종료 후에도 가동할 수 있고, 백화점, 수퍼마켓 등의 점포 내에 설치되어 무인 운용될 수 있어 앞으로도 그 설치의 증가가 예상된다. In recent years, a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has been put into practical use as an automatic banknote trading device. Such a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is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and is installed in the mechanized corner of a financial institution such as a bank. The automated device is configured so that the customer himself or herself can operate the withdrawal or withdrawal of money (cash, check, etc.), that is, withdrawal or withdrawal, using a medium such as a card or a bankbook. The automated device can be operated even after the closing of the bank, can be installed unattended operation in stores such as department stores, supermarkets, etc. is expected to increase its installation in the future.

상기 자동화기기는 거래를 수행하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소정의 패스워드, 예컨대 네 자리의 비밀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The automated device receives a predetermined password, for example, a four-digit password, from the user to authenticate the user performing the transaction.

종래의 자동화기기는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비밀번호 입력창의 표시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될 위험이 존재하였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몸으로 비밀번호 입력창을 가려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In the conventional automated device, sinc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for receiving a password from the user is fixed, there is a risk that the user's password is exposed to another person. Was presen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위험을 경감시키는 자동화기기 및 그 패스워드 입력창 조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ed device for reducing the risk of a user's password being exposed to others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기기는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패스워드 입력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을 조작하는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을 조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ed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assword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password;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peration input for operat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manipulate the password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in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창 조작 방법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패스워드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을 조작하는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을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password input window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splaying a password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password; Receiving an operation input for operat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And operat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pu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enters the passwor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that the password is exposed to other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기기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e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기기(10)는 패 스워드를 입력하는 패스워드 입력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을 조작하는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2), 및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을 조작하는 제어부(1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autom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display 11 for displaying a password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password and an operation input for operat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And a control unit 13 for operat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put.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패스워드 입력창을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1 displays a password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password.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상기 자동화기기(10)에서 수행되는 금융 거래가 진행되는 도중,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소정의 패스워드, 예컨대 네 자리의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패스워드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In detail, the display unit 11 may display a password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password, for example, a four-digit password, to authenticate a user while a financial transaction performed by the automated device 10 is in progress.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기기(10)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는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패스워드 입력창(21)을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unit 11 of the autom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password input window 21 in which a user inputs a password.

상기 사용자 입력부(12)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조작하는 조작 입력을 수신한다. The user input unit 12 receives an operation input for operat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 제스쳐를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에 소정의 터치 스크린 패드가 장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user input unit 12 is a touch screen that detects a user's touch or drag gesture, and may be implemented by mounting a predetermined touch screen pad on the display unit 11.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된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터치함으로써 소정의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may input a predetermined password by touch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12)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조작하는 조작 입력을 수신한다.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12 receives an operation input for operat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입력은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이 표시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즉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디스플레이부(11) 상에서 이동시키는 입력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ipulation input may be an input for changing the position wher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s displayed, that is, mov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on the display unit 11.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입력은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크기를 변경하는 입력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ipulation input may be an input for changing the size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입력은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에 구비된 버튼의 배열을 변경하는 입력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ipulation input may be an input for changing an arrangement of buttons provided in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이하, 첨부한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이 표시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 may change the position wher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input.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방향 버튼을 더 표시하고, 상기 조작 입력은 상기 방향 버튼을 터치하는 입력이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터치된 방향 버튼의 방향으로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이동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1 further displays a direction button, the operation input is an input for touching the direction button, and the controller 13 is the password input window in the direction of the touched direction button. 21 can be moved.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소정의 방향 버튼(23)을 더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3A, the display unit 11 may further display a predetermined direction button 23.

상기 방향 버튼(23)은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주변에 표시될 수 있다. The direction button 23 may be displayed around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상기 방향 버튼(23)은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버튼이다. The direction button 23 is a moving button for mov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실시예에 따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 버튼(23)은 네 방향에 대한 버튼으로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3A, the direction buttons 23 may be displayed as buttons for four directions.

실시예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 버튼(23)은 여덟 방향에 대한 버튼으로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3B, the direction button 23 may be displayed as a button for eight directions.

상기 디스플레이부(11)가 상기 방향 버튼(23)을 더 표시한 경우, 상기 조작 입력은 상기 방향 버튼(23)을 터치하는 입력일 수 있다. When the display unit 11 further displays the direction button 23, the manipulation input may be an input of touching the direction button 23.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터치된 방향 버튼(23)의 방향으로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이동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 may mov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n the direction of the touched direction button 23.

즉,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터치된 방향 버튼(23)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이동시킬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13 may mov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touched direction button 23.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방향 버튼(23) 중 좌측 방향 버튼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터치된 방향 버튼의 방향, 즉 좌측 방향으로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이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 touches the left direction button among the displayed direction buttons 23, the controller 13 inputs the password in the direction of the touched direction button, that is, the left direction. The window 21 can be moved.

따라서,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 상에서 원래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된다. Accordingly,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1 by moving in the lef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riginal position.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방향 버튼(23)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이 표시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가 몸을 움직여 패스워드 입력창(21)을 가리지 않고도 타인에게 자신의 패스워드가 노출되지 않도록 패스워드를 안전하게 입력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can change the position wher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s displayed by touching the direction button 23, as a result, the user moves himself or herself to others without cover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You can safely enter your password so that your password is not exposed.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작 입력은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nipulation input may be an input of dragg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드래그에 응답하여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이동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 may mov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n response to the drag.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user may drag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드래그에 응답하여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controller 13 may mov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n the drag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drag.

즉, 본 발명의 자동화기기(10)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이동시키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해 소정의 방향 버튼(23)을 표시하여 버튼 입력을 입력받거나, 또는 사용자의 드래그 제스쳐를 검출하여 드래그 방향으로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That is, the automated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predetermined direction button 23 to receive input from the user to mov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to receive a button input or to perform a user's drag gestur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may be moved in the detection direction by dragg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12)는 상기 조작된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원상태로 복워하는 복원 입력을 더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unit 12 may add a restoration input for recovering the manipulated password input window 21 to its original state.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복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원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 may restor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to its original state in response to the restoration input.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소정 방향으로 이동된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 키, 예컨대 "원상태" 버튼(22)을 더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 to 5, the display unit 11 restores a password input window 21 mov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an original position, for example, a "return" button 22. Can be displayed further.

사용자가 상기 원상태 버튼(22)을 터치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12)는 상기 조작된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원상태로 복원하는 복원 입력을 수신한다. When the user touches the home button 22, the user input unit 12 receives a restore input for restoring the operated password input window 21 to the home computer.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복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원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원상태 버튼(22)을 터치하면, 소정 방향으로 이동된 패스워드 입력창(21)은 원래의 위치,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패스워드 입력창(21)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Then, the controller 13 may restor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to its original state in response to the restoration input. 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home button 22,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mov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may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shown in FIG.

따라서, 사용자는 원래 위치로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복원시키기 위해 또 다시 방향 버튼(23)을 누르거나 드래그를 하지 않더라도 원상태 버튼(22)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may chang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by touching the original state button 22 even if the user does not press or drag the direction button 23 again to restor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to the original position. Can be restored to loc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 may change the size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input.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작 입력은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경계를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nipulation input may be an input of dragging a boundary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경계를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12)는 상기 드래그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7, the user may drag the boundary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user input unit 12 may detect the drag input.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드래그 제스쳐에 응답하여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ler 13 may change the size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n response to the drag gesture.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경계를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내측으로 드래그한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드래그에 응답하여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축소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drags the boundary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to the inside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as shown in FIG. 7, as shown in FIG. 8, the control unit 13 may drag the drag. In respons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may be reduced.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경계를 상기 패스워드 입력 창(21)의 외측으로 드래그한 경우,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드래그에 응답하여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확대시킬 수 있다.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drags the boundary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to the outside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the controller 13 may enlarg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n response to the dragging. hav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시켜 자신의 패스워드가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freely change the size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so that his password is not exposed to others.

이 실시예에서도 사용자는 상기 원상태 버튼(22)을 터치함으로써, 크기가 변경된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원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user can restor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whose size has been changed to the original state by touching the original state button 22.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크기가 축소된 후, 사용자가 상기 원상태 버튼(22)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크기를 원래의 크기로 복원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after the size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s reduced, when the user touches the home button 22, the controller 13 may enter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iz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에 구비된 버튼의 배열을 변경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 may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buttons provided in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input.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에 구비된 버튼의 배열을 변경시키는 소정의 버튼 배열 변경 버튼을 더 표시하고, 사용자는 해당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에 구비된 버튼의 배열을 변경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1 further displays a predetermined button arrangement change button for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buttons provided in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and the user touches the corresponding button to enter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You can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buttons provided on the).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버튼 배열 변경 버튼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에 구비된 버튼의 배열을 원래의 버튼 배열과 다른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when the user touches the button arrangement change button, the controller 13 may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buttons provided in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from the original button arrangement. Can be changed to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버튼 배열은 12 개의 버튼이 4X3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형태이나, 도 9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해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에 구비된 버튼의 배열은 3X4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2, the original button arrangement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s a form in which 12 button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of 4X3, as shown in Figure 9, the user's operation input By means of the array of buttons provided in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of 3X4.

실시예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버튼 배열은 6X2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버튼 배열은 2X6의 매트릭스 형태로도 배열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button arrangement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of 6 × 2. However, the button arrangement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also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of 2 × 6.

실시예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버튼 배열은 매트릭스 형태 외에 원형 배열로도 배열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the button arrangement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arrangement in addition to the matrix form.

이 경우,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구성하는 12 개의 버튼들은 소정의 원주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In this case, twelve buttons constitut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may be arranged along a predetermined circumference.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원상태 버튼(22)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버튼 배열을 원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may restore the button arrangement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to the original state by touching the original state button 22.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창 조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ssword input window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91)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패스워드 입력창(21)을 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자동화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는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패스워드 입력창(21)을 표시한다. Step S91 displays a password input window 21 for entering a password. That is, the display unit 11 of the automated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password input window 21 in which a user can input a password.

단계(S92)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조작하는 조작 입력을 수신한다. 즉, 상기 사용자 입력부(12)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조작하는 조작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Step S92 receives an operation input for operat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That is, the user input unit 12 receives an operation input for operat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from the user.

단계(S93)은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조작한다. 즉,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조작한다. Step S93 operates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put. That is, the controller 13 operates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단계는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이 표시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tep may include changing a position wher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pu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단계는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tep may include changing the size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pu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단계는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에 구비된 버튼의 배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tep may include changing an arrangement of buttons provided in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put.

단계(S94)는 조작된 패스워드 입력창(21)을 복원시키는 복원 입력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한다. In step S94, it is determined whether a restoration input for restoring the operated password input window 21 has been received.

상기 복원 입력을 수신하면, 단계(S95)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원상태로 복원한다. 즉,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원상태로 복원한다. Upon receiving the restoration input, step S95 restores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to its original state. That is, the control unit 13 restores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to its original state.

예를 들어,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s changed, the controller 13 may restor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to its original position.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크기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을 원래의 크기로 복원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ize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s changed, the controller 13 may restore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to its original size.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버튼 배열이 변경된 경우,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21)의 버튼 배열을 원래의 버튼 배열로 복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button arrangement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is changed, the controller 13 may restore the button arrangement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21 to the original button arrangement.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위에 설명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intended to illustrat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기기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e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2 to 1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e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창 조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ssword input window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패스워드 입력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displaying a password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password;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을 조작하는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peration input for operat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And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이 표시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A control unit for changing a position where the password input window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put;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버튼의 배열 형태를 변경시키는 버튼 배열 변경 버튼을 더 구비하는 자동화기기.The password input window further comprises a button array change button for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button for inputting the passwor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버튼의 배열 형태를 변경시키는 명령을 입력받는 자동화기기.And the user input unit receives a command to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button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의 버튼 배열 형태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원상태 버튼을 더 구비하는 자동화기기.The display unit further comprises an original state button for restoring the button arrangement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to its original st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조작된 패스워드 입력창을 원상태로 복원하는 복원 입력을 더 수신하고, The user input unit further receives a restore input for restoring the manipulated password input window to its original sta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을 원상태로 복원하는 자동화기기.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restore the password input window to its original state in response to the restoration input.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패스워드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password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password;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을 조작하는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Receiving an operation input for operat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이 표시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및Changing a position where the password input window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put; And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의 버튼 배열을 변경시키는 버튼의 배열 형태의 변경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스워드 입력창 조작 방법.And displaying a change button in the form of a button arrangement for changing the button arrangement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제 8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버튼의 배열 형태 변경의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스워드 입력창 조작 방법.And receiving a command for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buttons. 제 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의 버튼의 배열 형태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이에 응답하여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을 원상태로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스워드 입력창 조작 방법.And restoring the password input window to the original state in response to receiving a command for restoring an arrangement of buttons of the password input window to the original state.
KR1020090092855A 2009-09-30 2009-09-30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handling password input window thereof KR1012263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855A KR101226372B1 (en) 2009-09-30 2009-09-30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handling password input window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855A KR101226372B1 (en) 2009-09-30 2009-09-30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handling password input window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228A KR20110035228A (en) 2011-04-06
KR101226372B1 true KR101226372B1 (en) 2013-01-25

Family

ID=44043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855A KR101226372B1 (en) 2009-09-30 2009-09-30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handling password input window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37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602A (en) * 2006-12-29 2008-07-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utomated teller machines displaying a password input screen of dial type
KR20080073121A (en) * 2007-02-05 2008-08-08 엘지엔시스(주) Apparatus and method for password outflow preven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602A (en) * 2006-12-29 2008-07-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utomated teller machines displaying a password input screen of dial type
KR20080073121A (en) * 2007-02-05 2008-08-08 엘지엔시스(주) Apparatus and method for password outflow preven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228A (en)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9140B2 (en) Computer operation using a touch screen interface
US7683888B1 (en) Shape detecting input device
CN104335561B (en) The communication that bio-identification is initiated
RU2559749C2 (en) Three-state information touch input system
EP355739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8352007A (en) Method for providing payment services and its electronic equipment
CN109791581B (en)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CN104035677B (en) The display methods and device of prompt message
KR100999895B1 (en) Input device
CN101893956A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50058776A1 (en) Providing keyboard shortcuts mapped to a keyboard
KR20110109551A (en) Touch scre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put of the same
US10372316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CN102866850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n the touchscreen
KR101349526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display method
KR101226372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handling password input window thereof
US20130091464A1 (en) Tilt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US11721179B2 (en) Technique to deter theft from automated teller machines
KR101448371B1 (en) Financial apparatus
KR201000566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KR20110114781A (en) Input device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5128137A (en) Automatic transaction machine
JP2008293450A (en) Input device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27

Effective date: 201211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