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572B1 -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572B1
KR101224572B1 KR1020100028209A KR20100028209A KR101224572B1 KR 101224572 B1 KR101224572 B1 KR 101224572B1 KR 1020100028209 A KR1020100028209 A KR 1020100028209A KR 20100028209 A KR20100028209 A KR 20100028209A KR 101224572 B1 KR101224572 B1 KR 101224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rive
food waste
shaf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810A (ko
Inventor
박종규
Original Assignee
박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규 filed Critical 박종규
Priority to KR1020100028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572B1/ko
Priority to PCT/KR2010/006558 priority patent/WO2011037432A2/ko
Publication of KR20110108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9/00Drives specially designed for centrifug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ransmission gearing; Suspending or balancing rotary bow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효과를 높이고 제품의 기구적 하중을 적게 받게 하기 위하여 음식물쓰레기가 수분을 함유하여 무거울 때는 저속으로 회전하고 음식물쓰레기에 수분이 탈수되어 점점 가벼워질 때는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다수의 포스트바에 의해 지지되는 어퍼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동축과 회전축을 축베어링에 의해 축설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어퍼플레이트 일측에 탄력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링크로 형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링크 단부에 결합되며 베이스부의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된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랙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구동축 하단에 일방향베어링으로 결합하며 구동축 중앙에는 직경과 기어수가 다른 상측구동기어와 하측구동기어를 키 결합하여 상기 하측구동기어에 회전축에 일방향베어링으로 결합 된 연결기어를 치합한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의 상측구동기어와 치합되는 변속기어를 회전축에 변속베어링으로 결합하고 상기 변속기어의 내측에는 회전축과 연동하여 원심력에 의해 변속기어와 결합되는 커플링으로 형성된 변속기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Food and trash moisture dehydration driving gear}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효과를 높이고 제품의 기구적 하중을 적게 받게 하기 위하여 음식물쓰레기가 수분을 함유하여 무거울 때는 저속으로 회전하고 음식물쓰레기에 수분이 탈수되어 점점 가벼워질 때는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는 대부분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유기물질로서 부패성이 매우 강하므로 땅에 그대로 매립하게 되면 대량의 침출수가 발생하여 토양오염과 수질을 오염시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주원인이 되며 소각이 어려워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최근에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환경오염과 자원낭비를 줄이는 방안으로 음실물 쓰레기만을 분리 수거하고, 분리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대규모 처리장에서 미생물로 분해하는 소멸방법이나 완전 건조시켜 가축의 사료로 재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재처리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해야 하며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시 부피를 감소하며 수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 분리시 음식물 쓰레기에서 수분을 압착하거나 원심력에 의하여 탈수한 상태로 분리수거를 할 수 있게 한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대부분의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탈수 장치는 구조가 모터나 유압장치에 의해 수분을 분리하게 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자가 번거로웠으며 제품의 제작단가가 상승하여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항상 에너지를 소모함으로써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 한정적인 공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공개실용신안 제1999-0020630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가 개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는 원통형의 본체와 본체내에서 회전하게 되어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를 담는 거름망과 거름망을 덮고서 거름망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내부 뚜껑과 본체에 결합되어 덮는 외부뚜껑과 걸름망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외부뚜껑 내측으로 기어부를 형성하여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의 거름망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외부뚜껑에 형성된 기어부를 기어손잡이를 통하여 회전시켜야 함으로써 사용자가 거름망을 회전시키려면 양손을 사용해야 함은 물론 많은 힘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는 구성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한 후 더럽혀진 손으로 한 손은 본체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고 한 손을 기어손잡이를 잡고 탈수를 해야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가 항상 오염된 상태를 유지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에 음식물 쓰레기를 넣거나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때 외부뚜껑에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뚜껑을 열고 닫기가 무겁고 내부뚜껑이 또 형성되어 있어 쓰레기 처리시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거름망을 회전시키는 축받이홈이 탈수된 음식물 취출수에 노출되어 있어 쉽게 오염되어 거름망의 회전이 원할하지 않았으며 취출수를 따로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 취출수가 많을 경우 음식물 쓰레기가 다시 취출수에 담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문제점은 대형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기능이 없어 대형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효율적으로 탈수하지 못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등록 제2009-91355호 음식물 쓰레기용 수분 탈수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용 수분 탈수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탈수하는 탈수통과 회전부가 차단되어 있어 회전구조의 오염을 방지하고 발의 힘으로 발생하는 수직운동을 회전운동을 바꿔줌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탈수를 할 수 있었으나 음식물 쓰레기가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중량이 무거울 때나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탈수가 이루어지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이 가벼워 질 때의 회전속도가 동일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많은 힘을 사용해야 했으며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이 무거울 때는 탈수장치를 회전시킬 때 탈수장치의 기계적 하중이 많이 발생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음식물쓰레기가 수분을 함유하여 중량이 무거울 때 저속으로 회전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탈수되어 중량이 가벼워질 때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음식물의 탈수효과를 높이고 회전시 발생하는 기구적 하중을 감소시켜 제품의 내구성을 증진 시킬 수 있음은 물로 고속회전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탈수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포스트바에 의해 지지되는 어퍼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동축과 회전축을 축베어링에 의해 축설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어퍼플레이트 일측에 탄력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링크로 형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링크 단부에 결합되며 베이스부의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된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랙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구동축 하단에 일방향베어링으로 결합하며 구동축 중앙에는 직경과 기어수가 다른 상측구동기어와 하측구동기어를 키 결합하여 상기 하측구동기어에 회전축에 일방향베어링으로 결합 된 연결기어를 치합한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의 상측구동기어와 치합되는 변속기어를 회전축에 변속베어링으로 결합하고 상기 변속기어의 내측에는 회전축과 연동하여 원심력에 의해 변속기어와 결합되는 커플링으로 형성된 변속기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부의 구동링크는 어퍼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동브라켓을 형성하여 일측에 레버가 형성된 레버링크의 상단을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핀설하고 상기 레버링크에는 다수의 연결링크로 연결하여 랙기어의 단부에 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기어부의 랙기어는 기어면 외측을 곡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랙기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는 랙기어의 곡면을 감싸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기어부의 기어와 변속기어부의 기어는 헬리컬기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변속기어 내측으로는 커플링이 내장되는 내장홈 내경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어 연동되도록 커플링의 일측에 원호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 내측으로 외경에 래치가 형성된 래치플레이트를 내설하여 축설하며 상기 커플링에는 홈과 연결된 조절공에 스프링을 조절볼트에 의해 고정하여 래치플레이트를 탄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탈수하는 초기단계에서는 음식물쓰레기가 수분을 함유하여 중량이 무거워 저속으로 회전하여 회전시 발생하는 기구정 하중을 감소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점점 탈수되어 중량이 가벼워질 때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기구적 하중이 감소할 때 회전수를 높여 음식물의 탈수효과를 높일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의 구동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의 구동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의 적용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는 구동장치를 지지하는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구동력을 가하는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부(30)와, 상기 구동기어부(30)의 구동속도를 빠른 속도로 변속해 주는 변속기어부(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부(10)는 상측으로 어퍼플레이트(12)와 하측으로 베이스플레이트(13)를 다수의 포스트바(11)에 의해 지지하며 상기 어퍼플레이트(12)와 베이스플레이트(13)의 양측에 구동축(14)과 회전축(15)을 축베어링(16)에 의해 축설하되 상기 회전축(15)은 어퍼플레이트(12)을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부(10)의 어퍼플레이트(12) 일측에는 사용자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동부(20)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구동부(20)는 구동링크(21)의 레버(23)가 형성된 레버링크(24)의 상단을 어퍼플레이트(12)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브라켓(22)에 토션스프링(25)에 의해 탄력적으로 핀설하고 상기 레버링크(24)의 하단에는 다수의 연결링크(26)로 연결하여 랙기어(31)의 단부에 핀 연결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링크(21) 단부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구동기어부(30)가 형성된다.
상기의 구동기어부(30)는 베이스부(10)의 베이스플레이트(13)에 고정된 가이드(G)에 의해 가이드되는 랙기어(31)를 구동링트(21)의 단부에 핀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랙기어(31)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32)를 구동축(13) 하단에 일방향베어링(B)으로 결합한다.
또한, 구동축(13) 중앙에는 직경과 기어수가 다른 상측구동기어(33)와 하측구동기어(34)를 키 결합하여 상기 하측구동기어(34)에 회전축(14)에 일방향베어링(B)으로 결합 된 연결기어(35)에 치합한다.
상기 구동기어부(30)의 랙기어(31)는 기어면 외측을 곡면(36)으로 형성하고 상기 랙기어(31)를 안내하는 가이드(G)는 랙기어(31)의 곡면(36)을 감싸도록 형성하여 가이드시 마찰열을 줄이고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구동기어부(30)의 상측구동기어(33)와 치합되는 구동기어부(30) 보다 고속회전 하도록 변속기어부(40)를 형성한다.
상기 변속기어부(40)는 변속기어(41)를 직경과 기어수가 하측구동기어(34) 보다 많은 상측구동기어(33)와 치합하며 상기 회전축(14) 변속베어링(42)으로 결합하고 상기 변속기어(41) 내측에는 회전축(14)과 연동하여 원심력에 의해 변속기어(41)와 결합되는 커플링(42)으로 형성된다.
한편, 변속기어부(40)의 변속기어(41) 내측으로는 커플링(43)이 내장되는 내장홈(44) 내경에 걸림턱(45)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45)에 걸림되어 연동되도록 커플링(43)의 일측에 원호형상의 홈(46)을 형성하고 상기 홈(46) 내측으로 외경에 래치(47)가 형성된 래치플레이트(47')를 내설하여 축설하며 상기 커플링(43)에는 홈(46)과 연결된 조절공(48)에 스프링(49)을 조절볼트(49')에 의해 고정하여 래치플레이트(47')를 탄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술한 상기 구동기어부(30)의 기어와 변속기어부(40)의 기어는 헬리컬기어로 형성하여 구동력 전달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구동부(20)의 구동링크(21)의 레버(23)를 사용자가 가압하게 된다.
이때 구동링크(21)의 레버링크(24)는 베이스부(10)의 어퍼플레이트(12)에 탄력적으로 핀설 된 상태의 토션스프링(25)의 탄성을 극복하여 하강하면서 연결링크(26)에 의해 구동기어부(30)의 랙기어(31)가 가이드(G)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압 된 압력을 해제하면 토션스프링(25)의 탄성에 의해 구동링크(21)가 상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구동기어부(30)의 랙기어(31) 또한 따라서 후진하면 수평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을 하게 되면 랙기어(31)가 전진 수평이동할 때 피니언기어(32)의 전달에 의해 구동축(14)이 회전을 하게 되며 랙기어(31)가 후진 수평이동을 할 때에는 일방향으로 일방향베어링(B)이 베어링작용을 하여 구동축(32)의 회전에 방해를 하지 않고 원위치 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을 하면서 회전력을 높이면 구동력은 구동축(32)에 키 결합되어 있는 상측구동기어(33)와 하측구동기어(34)가 연동하고 상측구동기어(33)와 하측구동기어(34)에 치합되어 있는 변속기어(41)와 연결기어(35)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되는 회전력은 회전축(15)에 전달되어 회전축(15)에 고정된 변속부(40)의 커플링(43) 또한 연동하게 된다.
이때, 동일한 구동력으로 인하여 구동축(14)과 회전축(15) 및 구동기어부(30)와 커플링(43)은 동일 회전수로 회전을 하며 하측구동기어(34) 보다 직경이 넓고 기어수가 많은 상측구동기어(33)와 치합 된 직경이 작고 기어수가 적은 변속기어(41)는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회전을 하게 되지만 변속베어링(42)에 의해 변속기어(41)와 회전축(15)은 상호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하고 있는 회전축(15)이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연동하고 있는 커플링(43)의 래치플레이트(47')의 일단이 스프링(49)의 힘을 극복하고 외측으로 돌출되어 래치플레이트(47')에 형성된 래치(47)가 커플링(43) 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변속기어(41)의 내장홈(44)에 형성된 걸림턱(45)에 걸림되어 변속기어(41)의 속도로 회전축(15)이 회전하게 되면서 빠른 속도로 회전축(15)이 변속을 하게 된다.
한편, 회전축(15)과 연동하던 연결기어(35)는 회전축(15) 보다 늦은 속도로 회전을 하게되면서 일방향베어링(B)에 의해 일방향으로 베어링 작용을 하게 되어 회전축(15)과 별도의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변속이 되는 회전축(15)의 상단에는 지지판(60)을 고정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탈수할 수 있는 탈수통 부착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가 수분을 많이 함유하여 무게가 무거울 경우에는 기계적 하중을 적게 받을 수 있도록 일정한 속도로 회전을 하다가 수분이 적어지면서 무게가 가벼워지면서 일정한 회전속도를 넘어서면 변속이 이루어져 회전속도가 빨라지면서 탈수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10 : 베이스부 11 : 포스트바
12 : 어퍼플레이트 13 : 베이스플레이트
14 : 구동축 15 : 회전축
16 : 축베어링 20 : 구동부
21 : 구동링크 22 : 구동브라켓
25 : 토션스프링 26 : 연결링크
30 : 구동기어부 31 : 랙기어
32 : 피니언기어 33 : 상축구동기어
34 : 하측구동기어 35 : 연결기어
36 : 곡면 40 : 변속기어부
41 : 변속기어 42 : 변속베어링
43 : 커플링 44 : 내장홈
45 : 걸림턱 46 : 홈
47 : 래치 47' : 래치플레이트
48 : 조절공 49 : 스프링
49' : 조절볼트 B : 일방향베이링

Claims (5)

  1. 다수의 포스트바(11)에 의해 지지되는 어퍼플레이트(12)와 베이스플레이트(13)의 양측에 구동축(14)과 회전축(15)을 축베어링(16)에 의해 축설한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어퍼플레이트(12) 일측에 탄력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링크(21)로 형성된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링크(21) 단부에 결합되며 베이스부(10)의 베이스플레이트(13)에 고정된 가이드(G)에 의해 가이드되는 랙기어(31)를 형성하고 상기 랙기어(31)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32)를 구동축(13) 하단에 일방향베어링(B)으로 결합하며 구동축(13) 중앙에는 직경과 기어수가 다른 상측구동기어(33)와 하측구동기어(34)를 키 결합하여 상기 하측구동기어(34)에 회전축(14)에 일방향베어링(B)으로 결합 된 연결기어(35)를 치합한 구동기어부(30)와,
    상기 구동기어부(30)의 상측구동기어(33)와 치합되는 변속기어(41)를 회전축(14)에 변속베어링(42)으로 결합하고 상기 변속기어(41) 내측에는 회전축(14)과 연동하여 원심력에 의해 변속기어(41)와 결합되는 커플링(43)으로 형성된 변속기어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링크(21)는 어퍼플레이트(12)의 일측에 구동브라켓(22)을 형성하여 일측에 레버(23)가 형성된 레버링크(24)의 상단을 토션스프링(25)에 의해 탄력적으로 핀설하고 상기 레버링크(24)에는 다수의 연결링크(26)로 연결하여 랙기어(31)의 단부에 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부(30)의 랙기어(31)는 기어면 외측을 곡면(36)으로 형성하고 상기 랙기어(31)를 안내하는 가이드(G)는 랙기어(31)의 곡면(36)을 감싸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부(30)의 기어와 변속기어부(40)의 기어는 헬리컬기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어(41) 내측으로는 커플링(43)이 내장되는 내장홈(44) 내경에 걸림턱(45)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45)에 걸림되어 연동되도록 커플링(43)의 일측에 원호형상의 홈(46)을 형성하고 상기 홈(46) 내측으로 외경에 래치(47)가 형성된 래치플레이트(47')를 내설하여 축설하며 상기 커플링(43)에는 홈(46)과 연결된 조절공(48)에 스프링(49)을 조절볼트(49')에 의해 고정하여 래치플레이트(47')를 탄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
KR1020100028209A 2009-09-25 2010-03-29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 KR101224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209A KR101224572B1 (ko) 2010-03-29 2010-03-29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
PCT/KR2010/006558 WO2011037432A2 (ko) 2009-09-25 2010-09-27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209A KR101224572B1 (ko) 2010-03-29 2010-03-29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810A KR20110108810A (ko) 2011-10-06
KR101224572B1 true KR101224572B1 (ko) 2013-01-22

Family

ID=45026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209A KR101224572B1 (ko) 2009-09-25 2010-03-29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499B1 (ko) * 2014-10-30 2016-06-21 전용준 싱크대 배수구용 스프링 태엽식 음식물 탈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043Y1 (ko) 2001-05-30 2001-10-17 서정수 음식물찌꺼기 탈수장치
KR20090006476A (ko) * 2007-07-11 2009-01-15 새림글로벌주식회사 음식쓰레기 정형화장치
KR20090073430A (ko) * 2007-12-31 2009-07-03 황정숙 음식물의 수분 제거기
KR20090090713A (ko) * 2008-02-22 2009-08-26 김재원 음식물쓰레기 탈수 감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043Y1 (ko) 2001-05-30 2001-10-17 서정수 음식물찌꺼기 탈수장치
KR20090006476A (ko) * 2007-07-11 2009-01-15 새림글로벌주식회사 음식쓰레기 정형화장치
KR20090073430A (ko) * 2007-12-31 2009-07-03 황정숙 음식물의 수분 제거기
KR20090090713A (ko) * 2008-02-22 2009-08-26 김재원 음식물쓰레기 탈수 감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810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01812A (zh) 一种快速高效污泥脱水装置
CN101283731B (zh) 餐饮垃圾处理机
KR10122457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용 구동장치
CN113277893B (zh) 一种节能型农业农村有机废弃物堆肥装置
CN216336990U (zh) 一种畜牧业用高效污水处理装置
CN101314260A (zh) 高含水率垃圾压缩打包机
CN110065741A (zh) 一种生活垃圾冲压打包一体机
KR20120035839A (ko) 나선축 회전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CN201204917Y (zh) 餐饮垃圾处理机
CN207193064U (zh) 一种环保式园林污水处理装置
CN208733594U (zh) 一种河道水草清理机器人
KR101196589B1 (ko) 음식물 쓰레기용 수분 탈수장치
KR101051553B1 (ko) 음식물 쓰레기용 수분 탈수장치
CN109403411B (zh) 一种河底清淤装置
KR101131226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CN112893405A (zh)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CN208700680U (zh) 一种具有废水处理功能的厌氧反应器
CN112208974A (zh) 一种户外可自动清洁的垃圾桶
CN208320999U (zh) 一种垃圾处理用粉碎装置
CN221017968U (zh) 一种农田土壤污染修复装置
CN214167404U (zh) 一种新型污水处理用格栅机
CN215612142U (zh) 一种厨余垃圾处理搅拌箱
CN212943452U (zh) 一种垃圾粉碎装置用分选机构
CN111113988B (zh) 一种用于处理厨余垃圾的机械手
CN211111759U (zh) 一种餐厨垃圾堆肥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