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074B1 - Life-saving sack for an emergency escape of type descent - Google Patents

Life-saving sack for an emergency escape of type desc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074B1
KR101224074B1 KR1020110008220A KR20110008220A KR101224074B1 KR 101224074 B1 KR101224074 B1 KR 101224074B1 KR 1020110008220 A KR1020110008220 A KR 1020110008220A KR 20110008220 A KR20110008220 A KR 20110008220A KR 101224074 B1 KR101224074 B1 KR 101224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network
escape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2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86890A (en
Inventor
이은수
Original Assignee
이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수 filed Critical 이은수
Priority to KR102011000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074B1/en
Publication of KR20120086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8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0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피자 하강 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다수의 구성들을 마련하고, 이들을 통해 수직 및 경사 하강 탈출이 가능하며, 설치가 용이한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는, 상부 입구와 내부 탈출로, 그리고 막힌 형태의 하부 바닥부를 포함하고, 장착수단에 의해서 상기 입구 측이 고층 건물의 설치대상체에 고정 설치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 측이 지면과 접하게 되는 원통망; 상기 원통망의 바닥부에 배열되는 완충수단; 및 상기 원통망에서 상기 완충수단 상부 측에 해당하는 영역에 배열되는 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for ensuring safety when the evacuator descends, through which vertical and inclined descending escape is possible, and relates to a dropping emergency escape rescue easy to install.
In order to implement this, the descending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inlet, an internal escape route, and a lower bottom portion of a closed form, and the inlet side is fixedly installed and unfolded on the installation object of the high-rise building by a mounting means. A cylindrical network in which the bottom sid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Buffer means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cylindrical network; And an outlet arrang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n upper side of the buffer means in the cylindrical network.

Description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LIFE-SAVING SACK FOR AN EMERGENCY ESCAPE OF TYPE DESCENT}LIFE-SAVING SACK FOR AN EMERGENCY ESCAPE OF TYPE DESCENT}

본 발명은 주로 고층 건물(3층에서 10층 이하) 등에 설치되어 화재 등 발생 시 대피자를 안전하게 탈출시키기 위한 구조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는 적정 각도인 45도 경사가 확보되지 않거나, 구조요원 등이 없을 때에도 사용할 수 있는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relates to a rescue team installed in high-rise buildings (3 floors to 10 floors) to safely escape the evacuation in the event of a fire, particularly 45 degrees of inclination is not secured, which is an appropriate angle to descend safely, A descending emergency escape team that can be used even when no rescue personnel are present.

고층과 같은 높은 곳에서 안전하게 지면으로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구조대에 관한 기술로는,In technique about rescue team to evacuate person to the ground safely from high place such as high-rise,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94846호(2002.10.31.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수직 인명 구조대』가 제시되어 있는바,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94846 (registered on October 31, 20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 advanced technology '') `` Vertical Rescue Team '' is presented.

상기 선행기술은 원통형의 그물망에 일정 간격으로 고리를 설치하여 수직으로 세워 고정하면서 상기 고리와 고리 사이에 긴 구조천을 고리에 결합하면서 내리되, 각각의 고리와 연결되어 내려가는 상기 구조천은 상부 고리의 한쪽에서 출발하여 아래의 하부 고리 지점으로 경사지게 상기 상부 고리에서 출발한 지점의 맞은편 쪽으로 내려오면서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내려오게 하고, 고리의 수평면에는 대피자가 구조천을 벗어나는 경우 안전하게 받쳐 줄 수 있도록 수평 그물망을 설치한 구조대에 관한 기술이다.The prior art is to install a loo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cylindrical mesh fixed vertically while fixing the long structural fabric between the ring and the ring to the ring, the structural fabric is connected to each ring down one side of the upper ring Starting from the inclined to the lower ring point below the down to the opposite side of the point starting from the upper ring as a zig-zag as a whole,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ring to install a horizontal net so that the evacuator can safely support the escape from the rescue fabric A description of a rescue team.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구현하는데 있어 어려움 있고, 이로 인해 제조단가 또한 높을 수밖에 없으며, 특히 탈출 시 대피자가 고리와 고리 사이의 긴 구조천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수평 그물망에 의해 받쳐지게 되긴 하나, 수평 그물망에서 다시 구조천으로 이동 탑승해야 하는데, 이때 어린이나 노약자, 지체 장애인 등은 일반 성인에 비해 이동 탑승이 어려워 이후에 탑승하는 대피자와의 충돌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아울러 대피 소요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is difficult to implement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which is also due to the high manufacturing cost, especially when escaped is supported by a horizontal mesh when escaped from the long structure between the loop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ove from the horizontal net back to the rescue cloth, where childr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are more difficult to move than general adults, which may result in a collision with the evacuees who board afterwards.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a lot.

본 발명은 탈출로를 갖는 원통망과, 이의 바닥부에 배열된 완충수단을 마련하여, 45도 경사로 원통망을 펼칠 수 없는 장소나 지면에 구조요원 등이 없을 때에도 비상탈출이 가능한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ylindrical network having an escape route, and a cushioning means arranged at the bottom thereof, a descending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capable of emergency escape even when there are no rescue workers on the ground or a place where the cylindrical network cannot be expanded on a 45-degree slope.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 본 발명은 원통망에 다수의 투광성 부재를 마련하여, 외부의 빛이 각 투광성 부재를 통과하여 원통망의 탈출로 내부를 환하게 비춤으로서 대피자의 시야 확보에 도움을 주는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scending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by providing a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members in the cylindrical network, the external light passes through each light transmitting member to illuminate the inside of the escape path of the cylindrical network to help secure the view of the evacuator. Its purpose is to.

또 본 발명은 완충수단이 충격 흡수 성능이 뛰어난 매트리스나 스펀지로 이루어져 있는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scending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consisting of a cushion or a mattress or a sponge having excellent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또 본 발명은 원통망 입구에 진입안내부재를 마련하여, 원통망 입구에 진입하는 대피자가 이 입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입구로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try guide member at the entrance of the cylindrical network, to provide a descending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that prevents escapes entering the cylindrical network entrance from entering the entrance and safely enters the entrance. .

나아가 본 발명은 지면에 구조요원이 없더라도 내부의 완충수단에 의해 대피자는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고, 지면에 구조요원이 있거나 이미 탈출한 대피자가 있을 경우 이들이 잡고 원통망을 임시 고정할 수 있는 스윙방지부재를 마련하여, 이후 대피자의 안정된 하강 탈출이 가능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fely escaped by the internal buffer means even if there is no rescue personnel on the ground, and if there is a rescue worker on the ground or if there is an evacuator who has already escaped the swing prevention member that can hold and temporarily fix the cylindrical network The purpose of the provision is to provide a descending emergency escape team that can induce a stable escape of escape afterwards.

아울러 본 발명은 설치대상체와 원통망을 상호 탈장착 가능하게 하는 장착수단을 마련하여, 본 발명의 구조대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장착수단의 플레이트를 설치대상체인 옥상 구조체 여러 군데에 설치하여 둠으로서, 다수의 탈출 경로를 확보할 수 있는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unting means for mounting and detachment of the installation target and the cylindrical network, the install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in particular, by installing the plate of the mounting means in a number of rooftop structure that is the installation targe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scending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to secure the escape route.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emergency exit rescue 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부 입구와 내부 탈출로, 그리고 막힌 형태의 하부 바닥부를 포함하고, 장착수단에 의해서 상기 입구 측이 고층 건물의 설치대상체에 고정 설치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 측이 지면과 접하게 되는 원통망;A cylindrical network including an upper inlet, an inner escape route, and a lower bottom portion of a closed shape, wherein the bottom sid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a state where the inlet side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object of the high-rise building by the mounting means and is unfolded;

상기 원통망의 바닥부에 배열되는 완충수단; 및Buffer means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cylindrical network; And

상기 원통망에서 상기 완충수단 상부 측에 해당하는 영역에 배열되는 출구;An outlet arrang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n upper side of the buffer means in the cylindrical network;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그리고 하강 탈출 시 대피자의 시야 확보를 위하여,And in order to secure the view of the evacuator when descending escape,

상기 원통망은 상기 탈출로를 위한 다수의 투광성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ylindrical network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ranslucent members for the escape path is provided.

그리고 대피자의 낙하 하중에 의해 지상의 바닥면(지면)과 그대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And to prevent the collision with the ground (ground) of the ground as it is by the falling load of the evacuator,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상기 완충수단은 솜이 내장된 매트리스 또는 라텍스 스펀지, 또는 이들 모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hock absorbing means for absorbing the sh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 is made of cotton or latex sponge, or both.

그리고 상기 출구는 상기 원통망의 일부가 상하로 절개된 개방공간부이고,And the outlet is an open space por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cylindrical network is cut up and down,

상기 출구를 임시로 막아놓기 위하여, 상기 원통망은 상기 개방공간부의 양측 주변 영역 각각에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결합부와 대응결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temporarily block the outlet, the cylindrical networ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which is detachable from each other is provided in each of the peripheral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open space portion.

이때, 상기 결합부는 암(雌) 또는 수(雄) 벨크로이고, 상기 대응결합부는 수 또는 암 대응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portion is male or male velcro,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le or female corresponding velcro.

한편, 상기 원통망 입구로 진입하게 되는 대피자의 진입을 유도하여 입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escape from the entrance by inducing the escape of entering the cylindrical network entrance,

상기 원통망 입구에 연결되는 대피자 진입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evacuation entrance guide member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network inlet.

한편, 지면과 접하고 있는 상기 원통망이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llow the cylindrical network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be fixed without shaking,

상기 원통망 바닥부에 연결되는 스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wing preventing member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ylindrical network.

한편, 상기 장착수단은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means

다수의 삽입공을 갖는 플레이트,Plates with multiple insertion holes,

상기 플레이트의 각 삽입공에 끼워지는 너트부와 이에 연결된 헤드부를 갖는 아이너트,An eye nut having a nut part fitted into each insertion hole of the plate and a head part connected thereto;

상기 아이너트의 너트부와 설치대상체를 상호 연결하는 볼트, 그리고A bolt connecting the nut part of the eye nut and the installation object to each other, and

상기 원통망의 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아이너트의 헤드부에 걸게 되는 중계부재Relay member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cylindrical network to be hooked to the head of the eye nut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이때 설치대상체에 상기 원통망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At this time, to ensure that the cylindrical network is firmly fixed to the installation object,

상기 아이너트의 헤드부와 상기 중계부재는 중계로프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ad portion of the eye nut and the relay memb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elay rope.

그리고 상기 원통망이 수직 또는 이에 가까운 각도 형태로 펼쳐졌을 때 대피자의 탈출을 돕기 위하여,And to assist the escape of the evacuator when the cylindrical network is unfolded in a vertical or near angle form,

일단(一端)이 상기 아이너트의 헤드부에 연결되고, 타단(他端)이 상기 바닥부 또는 이의 인접 상부까지 늘어져 있게 되도록 상기 원통망의 탈출로에 위치하게 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매듭부를 갖는 서브로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ead part of the eye nut,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 the escape path of the cylindrical network so that the other end hangs up to the bottom part or an adjacent upper part thereof, an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further comprises a sub-rope having a knot.

본 발명에 따른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는,The downward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45도 경사로 원통망을 펼칠 수 없는 장소나 지면에 구조요원 등이 없을 때에도 비상탈출이 가능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the greatest effect of emergency escape even when there are no rescue workers on the ground or in places where the cylindrical network cannot be extended at a 45-degree slope.

둘째, 탈출하는 대피자의 시야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view of the escape to escape.

셋째, 충격 흡수가 뛰어난 매트리스나 라텍스 스펀지를 사용하여 충격을 흡수하여 줌으로서, 대피자의 낙하 하중에 의해 지상의 바닥면(지면)과 그대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ird, by absorbing the shock using a mattress or latex sponge excellent in shock absorp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collision with the ground (ground) of the ground as it is by the falling load of the evacuator.

넷째, 최초 진입하게 되는 입구에 대피자가 진입할 때에 이 입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입구로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Fourth, when the evacuator enters the entrance to the first entry, there is an effect to prevent the escape from the entrance and to enter the entrance safely.

다섯째, 구조요원이나 이미 탈출한 대피자들에 의해 원통망, 특히 원통망 하부 측을 임시 고정하여 원통망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Fifth,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cylindrical network from shaking by temporarily fixing the cylindrical network, in particular the lower side of the cylindrical network by rescue workers or evacuators who have already escaped.

여섯째, 설치대상체와 원통망이 장착수단에 의해 상호 탈장착이 가능하고, 장착수단의 플레이트를 설치대상체인 옥상 구조체 여러 군데에 설치할 수 있어 다수의 탈출 경로 확보 및 안전한 탈출 경로를 이용해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xth, the installation object and the cylindrical network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the mounting means, and the plate of the mounting means can be installed in several places on the roof structure, which is the installation object, to secure a large number of escape routes and escape using a safe escape route. There is.

일곱째, 원통망이 수직 또는 이에 가까운 각도로 펼쳐져 있고, 수직 낙하 시 다리골절 등의 위험이 있는 높이에서는 서브로프를 잡고, 특히 원통망의 탈출로에서 서브로프의 매듭부를 이용해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venth, the cylindrical network is spread at an angle perpendicular to or close to it, and at the height of the risk of leg fractures when falling vertically, the sub rope is held.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1에서 진입안내부재 및 스윙방지부재가 마련된 것을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에서 서브로프가 마련된 것을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
Figure 1 is a three-dimens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descending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entrance guide member and the swing preventing member is provided in FIG.
4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3;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sub-rope is provided in the descending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1을 기준으로 원통망 입구 측을 상부 또는 상방, 원통망의 바닥부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Based on FIG. 1, the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network inlet side will be specified as the upper side or the upper side, the bottom side of the cylindrical network as the lower side or the lower side.

아울러 도 1을 기준으로 출구나 진입안내부재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이의 반대 측(설치대상체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exit or the entry guide member side (front side) or front side, the opposite side (installation object side) of the rear side (後部) or the rear side (Back Section) will be specified based on FIG. 1.

이하에서 설명될 설치대상체(1)는 고층 건물의 옥상 구조체 또는 베란다 구조체를 의미한다.
Installation object 1 to be described below means a roof structure or a veranda structure of a high-rise building.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는,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descending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크게 원통망(10), 완충수단(20) 및 출구(30)로 이루어진다.It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network 10, the buffer means 20 and the outlet 30.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원통망(10)은Cylindrical network 1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and 2,

원통 형태의 망으로서, 대피자의 탈출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Cylindrical network, to provide the escape function of the evacuator,

상부에 형성되는 입구(11),An inlet 11 formed at the top,

상기 입구(11)와 연통되게 내부에 형성되는 탈출로(12), 그리고An escape path 12 formed therein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11, and

상기 탈출로(12) 하부에 막힌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13)Bottom portion 13 is formed in a clogged shape below the escape path (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이때 상기 원통망(10)은 장착수단(15)에 의해서 상기 입구(11) 측이 고층 건물의 설치대상체(1)에 고정 설치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13) 측이 지면과 접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cylindrical network 10 has the inlet 11 side fixed to the installation object 1 of the high-rise building by the mounting means 15, the bottom 13 sid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And as in FIGS. 1 and 2,

상기 원통망(10)은 상기 탈출로(12)를 환하게 하여 대피자의 시야 확보에 도움을 주고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투광성 부재(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ylindrical network 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transmitting members 1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help secure the view of the evacuator by brightening the escape path (12).

이때 상기 각 투광성 부재(14)는 그물 형태의 사각 부재로서, 상기 원통망(1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됨으로서, 외부의 빛이 통과하여 상기 탈출로(12) 내부를 비추게 된다.At this time, each of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14 is a rectangular member in the form of a net,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so that the external light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escape path (12). do.

이외에도 상기 각 투광성 부재(14)는 비닐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상기 탈출로(12) 내부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light-transmitting member 14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vinyl, and the like,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a condition in which light may pass through the escape path 12.

나아가 상기 원통망(10) 또한 빛이 내부로 투과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Furthermore, the cylindrical network 10 may also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transmit light therein.

그리고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And as in FIGS. 1 and 4,

상기 원통망(10)은 후술할 개방공간부(31)의 양측 주변 영역 각각에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결합부(16)와 대응결합부(17)가 구비되는데,The cylindrical network 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16 and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17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f the peripheral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open space portion 31 to be described later,

이때 상기 결합부는 암(雌) 또는 수(雄) 벨크로이고, 상기 대응결합부는 수 또는 암 대응벨크로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art is male or male velcro, and the corresponding coupling part is male or female velcro.

따라서 상기 결합부(16)와 대응결합부(17)가 상호 부착됨으로서, 상기 출구(30)를 임시로 막아놓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upling portion 16 and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17 are attach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block the outlet (30).

본 발명에 따른 구조대 사용 시, 대피자가 상기 원통망(10)의 탈출로(12)를 통해 탈출하였을 때에는 상호 부착된 상기 결합부(16)와 대응결합부(17)를 해제하여 상기 출구(30)로 최종 탈출하게 된다.
In the use of the rescue 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vacuator escapes through the escape path 12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the exit portion 30 is released by releasing the coupling portion 16 and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17 which are mutually attached. ) Is the final escape.

그리고 도 1 및 도 2의 "A"와 "B"에서와 같이,And as in " A " and " B "

상기 장착수단(15)은The mounting means 15 is

다수의 삽입공(151a)을 갖는 플레이트(151)Plate 151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51a)

상기 플레이트(151)의 각 삽입공(151a)에 끼워지는 너트부(152a)와 이에 연결되는 헤드부(152b)를 갖는 아이너트(152),An eye nut 152 having a nut part 152a fitted into each insertion hole 151a of the plate 151 and a head part 152b connected thereto;

상기 아이너트(152)의 너트부(152a)와 설치대상체(1)를 상호 연결하는 볼트(153), 그리고A bolt 153 connecting the nut part 152a of the eye nut 152 and the installation object 1 to each other, and

상기 원통망(10)의 입구(11)에 구비되어 상기 아이너트(152)의 헤드부(152b)에 걸게 되는 중계부재(154)The relay member 154 provided at the inlet 11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to be hooked to the head portion 152b of the eye nut 152.

로 이루어진다.
.

상기 플레이트(151)는 고충 건물의 옥상 구조체나 베란다 구조체인 설치대상체(1) 중 특히, 옥상 구조체의 여러 군데에 설치함으로서, 화재 등이 발생하였을 때 탈출 시 가장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곳에 설치된 상기 플레이트(151)에 장착된 아이너트(152)의 헤드부(152b)에 상기 중계부재(154)를 걸 수 있어 다수의 탈출 경로를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late 151 is installed in various places of the rooftop structure, in particular, the rooftop structure or the veranda structure of the grievance building, and the plate (151) is installed at the place which is determined to be the most safe when escaped in the event of a fire ( The relay member 154 may be hooked to the head portion 152b of the eye nut 152 mounted on the 151, thereby contributing to securing a plurality of escape routes.

그리고 설치대상체(1)에 상기 원통망(1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And to ensure that the cylindrical network 10 is firmly fixed to the installation object (1)

도 2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아이너트(152)의 헤드부(152b)와 상기 중계부재(154)는 중계로프(155)에 의해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2, the head part 152b of the eye nut 152 and the relay member 154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elay rope 155.

상기 중계로프(155)는 일단이 상기 중계부재(154)에 묶이고, 타단이 상기 아이너트(152)의 헤드부(152b)에 묶일 수 있는데, 이동 설치가 용이하도록 타단은 원형의 끼움부(155a)를 갖도록 매듭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lay rope 155 may have one end tied to the relay member 154 and the other end tied to the head portion 152b of the eye nut 152. The other end may have a circular fitting portion 155a for easy installation. It is desirable to be knotted to have).

완충수단(20)은The shock absorbing means 2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and 2,

상기 원통망(10)의 바닥부(13)에 배열되어 탈출하게 되는 대피자가 낙하 하중에 의해 상기 바닥부(13) 측에 도착하게 될 때에 지상의 바닥면(지면)과 그대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Preventing the evacuator, which is arranged on the bottom 13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and escapes, arrives at the bottom 13 by the drop load and collides with the bottom (ground) of the ground as it is. For

솜이 내장된 매트리스(21) 또는 스펀지(22), 또는 이들 모두로 이루어져, 대피자의 낙하 하중에 따른 지면과의 충격을 흡수하여 주게 된다.Made of cotton mattress 21 or sponge 22, or both, and absorbs the impact with the ground due to the falling load of the evacuator.

제1 구현예로, 솜이 내장된 매트리스(21)가 단독으로 상기 원통망(10)의 바닥부(13)에 배열될 수 있고,In a first embodiment, the cotton-embedded mattress 21 may be arranged on the bottom 13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alone,

제2 구현예로, 스펀지(22)가 단독으로 상기 원통망(10)의 바닥부(13)에 배열될 수 있으며,In a second embodiment, a sponge 22 may be arranged on the bottom 13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alone,

제3 구현예로, 매트리스(21)와 스펀지(22)가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상하로 적층되어 상기 원통망(10)의 바닥부(13)에 배열될 수 있다.In a third embodiment, the mattress 21 and the sponge 22 may be stacked on the bottom portion 13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in a vertically stacked manner regardless of the order.

이때 상기 스펀지(22)는 생고무나 합성수지로 해면(海綿)처럼 제작된 것으로, 특히 고무나무의 껍질에 흠을 내었을 때에 분비되는 우윳빛 액체인 라텍스(latex)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ponge 22 is made of raw rubber or synthetic resin like sea sponges, and is preferably made of latex (latex), which is milky liquid secreted when the bark of the rubber tree is scratched.

이외에도 상기 완충수단(20)은 대피자가 낙하 하중에 의해 지면과 충돌할 때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ans 20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a condition capable of absorbing shock when the evacuator collides with the ground by the drop load.

아울러 상기 완충수단(20)은 본 발명의 구조대가 설치되어 사용하게 되는 고층 건물의 높이나 상기 원통망(10)이 펼쳐졌을 때 경사각도에 따른 하강속도가 다르게 되므로, 이에 맞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적절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ans 20 is different from the height of the high-rise building to be installed and used by the rescue team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falling spe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when the cylindrical network 10 is unfolded, so that the shock can be absorbed accordingly It is desirable to have a suitable thickness.

출구(30)는Exit 30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and 4,

상기 원통망(10)의 바닥부(13)에 도착한 대피자가 상기 원통망(10)의 탈출로(12)로부터 벗어나 외부로 나가기 위한 것으로,The evacuator arriving at the bottom 13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is to escape from the escape path 12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to the outside,

상기 원통망(10)에서 상기 완충수단(20) 상부 측에 해당하는 영역에 배열되되,In the cylindrical network 10 is arrang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buffer means 20,

상기 출구(30)는 상기 원통망(10)의 일부가 상하로 절개된 개방공간부(31)이다.
The outlet 30 is an open space 31 in which a portion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is cut up and down.

이때 상기한 '해당하는 영역'이라 함은 상기 원통망(10)에서 상기 완충수단(20)의 상부 측 영역을 의미하는데,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원통망(10)에서 대피자가 상기 원통망(10)의 탈출로(12)를 통해 탈출하였을 때에 상기 완충수단(20)에 도착하여 앉아 있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 보이는 영역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corresponding area' means the upper side area of the buffer means 20 in the cylindrical network 10. More specifically, the evacuator in the cylindrical network 10 is the cylindrical network ( When escaped through the escape path 12 of 10) means the area visible in the sitting or standing state to arrive at the buffer means (20).

따라서 상기 원통망(10)에서 상기한 '해당하는 영역'에 상하로 절개된 상기 개방공간부(31)가 형성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open space portion 31 which is cut up and down in the 'corresponding region' in the cylindrical network 10 is form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는,On the other hand, the descending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원통망(10)의 입구(11)로 진입하게 되는 대피자의 진입을 유도하여 입구(11)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In order to prevent the escape from the inlet 11 by inducing entry of the evacuator entering the inlet 11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상기 원통망(10) 입구(11)에 연결되는 대피자 진입안내부재(40)를 더 포함하는데,Further comprising a evacuation entrance guide member 40 connected to the inlet 11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상기 진입안내부재(40)는The entry guide member 40 is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3 and 4,

상기 원통망(10) 입구(11)에서 설치대상체(1) 측과 인접하게 되는 전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To be connected to the front end portion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object 1 side at the inlet 11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결국 상기 원통망(10) 입구(11)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전후로 분반(分半)하였을 때 전방의 단부(端部)에 연결되는 안내바디(41), 그리고As a result, the guide body 41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when the cylindrical network 10 inlet 11 is divided back and forth in the state viewed from the top, and

상기 안내바디(41) 양단부(兩端部)에 배열되는 손잡이(42)A handle 42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guide body 4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상기 안내바디(41)는 탈출하려고 하는 대피자가 상기 원통망(10)의 입구(11)로부터 벗어나 더 전방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원통망(10)의 탈출로(12)로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The guide body 41 may prevent the evacuator trying to escape from the entrance 11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to be separated further forward and safely enter the escape path 12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To induce it.

이를 위하여 현재 대피하려고 하는 대피자 외에 다음 대피자들이 상기 손잡이(42)를 잡아 줌으로서, 상기 안내바디(41)의 임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evacuators, in addition to the evacuator currently trying to evacuate, hold the handle 42 to temporarily fix the guide body 4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는,On the other hand, the descending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지면과 접하고 있는 상기 원통망(10)이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To ensure that the cylindrical network 10 in contact with the ground can be fixed without shaking

상기 원통망(10) 바닥부(13)에 연결되는 스윙방지부재(50)를 더 포함하는데,Further comprising a swing preventing member 50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13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상기 스윙방지부재(50)는The swing preventing member 5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3 and 4,

상기 원통망(10) 바닥부(13)에서 지면과 접하게 되는 후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To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e bottom portion 13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결국 상기 원통망(10) 바닥부(13)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전후로 분반하였을 때 후방의 단부에 연결되는 방지바디(51), 그리고Eventually, the prevention body 51 connected to the rear end when the cylindrical network 10 is divided into the front and rear in the state viewed from the top 13, and

상기 방지바디(51) 양단부에 배열되는 손잡이(52)Handle 52 is arranged on both ends of the prevention body (5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상기 방지바디(51)는 지면과 접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이미 대피한 자 또는 구조를 도우려는 자(소방관 등)가 상기 스윙방지부재(50)의 손잡이(52)를 잡아 줌으로서, 상기 방지바디(51)의 임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The prevention body 51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person who has already evacuated in this state or the person who wants to help rescue (firefighters, etc.) by holding the handle 52 of the swing preventing member 50, the prevention body Temporary fixing of 51 becomes possible.

따라서 탈출하려고 하는 대피자는 임시 고정되어 안정된 상기 원통망(10)의 탈출로(12)를 통해 탈출하게 된다.Therefore, the evacuator attempting to escape will escape through the escape path 12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which is temporarily fixed and stable.

아울러 상기 스윙방지부재(50)는 고층 건물의 높이 등에 맞게 전후 길이가 변경될 수 있는데,In addition, the swing preventing member 50 may be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length to match the height of the high-rise building,

예를 들어, 층수가 낮은 건물에서는 대략 3미터 이상의 길이를 갖고, 층수가 높은 건물에서는 대략 10미터 이내의 길이를 갖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윙방지부재(50)의 손잡이(52) 또한 변경되는 길이에 맞게 그 수가 늘어나게 된다.For example, it can be changed to have a length of about 3 meters or more in a low-floor building and to a length of about 10 meters or more in a high-floor building. At this time, the handle 52 of the swing preventing member 50 also increases the number to match the changed length.

따라서 전후 길이가 길어지고, 손잡이가 늘어난 상기 스윙방지부재(50)는 상기 원통망(10)의 펼쳐짐 각도(즉 하강 경사 각도)를 45도에 가깝게 맞출 수 있어 더욱 안전한 하강 탈출을 보장하게 된다.
Therefore, the front and rear length is long, the handle is extended, the swing preventing member 50 can match the spreading angle (that is, the falling inclination angle)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close to 45 degrees to ensure a safer escape escap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는On the other hand, the descending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원통망(10)이 수직 또는 이에 가까운 각도 형태로 펼쳐졌을 때 대피자의 탈출을 돕기 위하여 서브로프(60)를 더 포함하는데,The cylindrical network 10 further includes a sub-rope 60 to help escape from the evacuator when the cylindrical network 10 is unfolded in a vertical or near angle form,

상기 서브로프(60)는The sub rope 60 i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 5,

일단(一端)이 상기 아이너트(152)의 헤드부(152b)에 연결되고, 타단(他端)이 상기 원통망(10)의 바닥부(13) 또는 이의 인접 상부까지 늘어져 있게 되도록 상기 원통망(10)의 탈출로(12)에 위치하게 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매듭부(61)를 갖도록 이루어진다.One end of the cylindrical network is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152b of the eye nut 152 and the other end extends to the bottom portion 13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or an upper portion thereof adjacent thereto. Located in the escape path 12 of (10), it is made to have a knot portion 61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따라서 수직 또는 이에 가까운 각도로 상기 원통망(10)이 펼쳐져 있거나, 하강 시 다리골절 등의 위험이 있는 높이일 경우, 상기 원통망(10)의 탈출로(12)에서 상기 서브로프(60)의 매듭부(61)를 이용해 탈출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ylindrical network 10 is unfolded at a vertical angle or close to it, or at a height at which there is a risk of leg fracture or the like when descending, the sub-rope 60 of the sub-rope 60 is escaped from the cylindrical network 10. Can escape using the knot 61.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에서,In the descending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the above configuration,

상기 원통망(10), 상기 진입안내부재(40) 및 상기 스윙방지부재(50)는 접거나, 특히 말아 접거나 펼침이 가능한 소재이면서, 대피자 탈출 시 찢어지지 않을 정도의 내구성을 갖고, 아울러 난연성을 갖는 소재(천연 또는 화학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ylindrical network 10, the entry guide member 40 and the swing preventing member 50 is a material that can be folded, especially rolled up or unfolded, and has a durability that is not torn during escape of the escape, It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natural or chemical fiber) having flame retardancy.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with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of the "falling emergency escape rescue group",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invention.

10 : 원통망
11 : 입구 12 : 탈출로
13 : 바닥부 14 : 투광성 부재
15 : 장착수단
151 : 플레이트 151a : 삽입공
152 : 아이너트 152a : 너트부
152b : 헤드부 153 : 볼트
154 : 중계부재 155 : 중계로프
155a : 끼움부
16 : 결합부 17 : 대응결합부
20 : 완충수단
21 : 매트리스 22 : 스펀지
30 : 출구
31 : 개방공간부
40 : 진입안내부재
41 : 안내바디 42 : 손잡이
50 : 스윙방지부재
51 : 방지바디 52 : 손잡이
60 : 서브로프
61 : 매듭부
10: cylindrical network
11: entrance 12: escape
13 bottom part 14 light transmitting member
15: mounting means
151 plate 151a insertion hole
152: eye nut 152a: nut part
152b: Head 153: Bolt
154: relay member 155: relay rope
155a: fitting
16: coupling portion 17: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20: buffer means
21: mattress 22: sponge
30: exit
31: open space
40: entry guide member
41: guide body 42: the handle
50: swing prevention member
51: prevention body 52: handle
60: sub rope
61: knot

Claims (10)

상부 입구(11)와 내부 탈출로(12), 그리고 막힌 형태의 하부 바닥부(13)를 포함하고, 장착수단(15)에 의해서 상기 입구(11) 측이 고층 건물의 설치대상체(1)에 고정 설치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13) 측이 지면과 접하게 되는 원통망(10);
상기 원통망(10)의 바닥부(13)에 배열되는 완충수단(20); 및
상기 원통망(10)에서 상기 완충수단(20) 상부 측에 해당하는 영역에 배열되는 출구(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원통망(10) 바닥부(13)에 연결되는 스윙방지부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
It includes an upper inlet 11, the inner escape passage 12, and the lower bottom portion 13 of the closed form, the mounting means 15 by the mounting means 15 to the installation object 1 of the high-rise building. A cylindrical network (10) in which the bottom portion (13) sid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a fixedly installed and deployed state;
Shock absorbing means (20) arranged in the bottom portion (13)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And
An outlet (30) arrang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n upper side of the buffer means (20) in the cylindrical network (10);
, ≪ / RTI >
Down type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wing preventing member (50) connected to the bottom (13)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망(10)은 상기 탈출로(12)를 위한 다수의 투광성 부재(1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cylindrical network 10 is a descending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ranslucent members for the escape path (12) is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20)은 솜이 내장된 매트리스(21) 또는 라텍스 스펀지(22), 또는 이들 모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cushioning means 20 is a down type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cotton mattress 21 or latex sponge 22, or bo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30)는 상기 원통망(10)의 일부가 상하로 절개된 개방공간부(31)이고,
상기 원통망(10)은 상기 개방공간부(31)의 양측 주변 영역 각각에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결합부(16)와 대응결합부(17)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let 30 is an open space 31 in which a portion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is cut up and down,
The cylindrical network 10 is a descending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16 and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17 is provided on each of the two peripheral areas of the open space portion 3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6)는 암(雌) 또는 수(雄) 벨크로이고,
상기 대응결합부(17)는 수 또는 암 대응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upling part 16 is female or male velcro,
The counterpart coupling unit 17 is a descending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le or female counter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망(10) 입구(11)에 연결되는 대피자 진입안내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
The method of claim 1,
Down type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evacuation entrance guide member (40) connected to the inlet (11)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15)은
다수의 삽입공(151a)을 갖는 플레이트(151),
상기 플레이트(151)의 각 삽입공(151a)에 끼워지는 너트부(152a)와 이에 연결된 헤드부(152b)를 갖는 아이너트(152),
상기 아이너트(152)의 너트부(152a)와 설치대상체(1)를 상호 연결하는 볼트(153), 그리고
상기 원통망(10)의 입구(11)에 구비되어 상기 아이너트(152)의 헤드부(152b)에 걸게 되는 중계부재(154)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or 4 or 5 or 6 or 7,
The mounting means 15 is
Plate 151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51a),
An eye nut 152 having a nut part 152a fitted into each insertion hole 151a of the plate 151 and a head part 152b connected thereto;
A bolt 153 connecting the nut part 152a of the eye nut 152 and the installation object 1 to each other, and
The relay member 154 provided at the inlet 11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to be hooked to the head portion 152b of the eye nut 152.
Elevated emergency escape rescue team consisting of.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너트(152)의 헤드부(152b)와 상기 중계부재(154)는 중계로프(155)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
The method of claim 8,
The head part 152b of the eye nut 152 and the relay member 154 are connected by a relay rope 155 to each other.
제 8 항에 있어서,
일단(一端)이 상기 아이너트(152)의 헤드부(152b)에 연결되고, 타단(他端)이 상기 바닥부(13) 또는 이의 인접 상부까지 늘어져 있게 되도록 상기 원통망(10)의 탈출로(12)에 위치하게 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매듭부(61)를 갖는 서브로프(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
The method of claim 8,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152b of the eye nut 152,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 the bottom portion 13 or an upper portion thereof adjacent to the escape path of the cylindrical network 10. Positioned in (12), and further comprising a sub-rope (60) having a knot portion (61)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KR1020110008220A 2011-01-27 2011-01-27 Life-saving sack for an emergency escape of type descent KR1012240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220A KR101224074B1 (en) 2011-01-27 2011-01-27 Life-saving sack for an emergency escape of type desc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220A KR101224074B1 (en) 2011-01-27 2011-01-27 Life-saving sack for an emergency escape of type desc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890A KR20120086890A (en) 2012-08-06
KR101224074B1 true KR101224074B1 (en) 2013-01-21

Family

ID=4687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220A KR101224074B1 (en) 2011-01-27 2011-01-27 Life-saving sack for an emergency escape of type desc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07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5000U (en) * 1976-12-15 1978-07-13
JPS5432099U (en) 1977-08-06 1979-03-02
JPS61159973A (en) * 1984-12-31 1986-07-19 大津 和夫 Fire refuge machinery utilizing air bag and continiuous falling regulation layer
KR100997147B1 (en) 2008-07-21 2010-11-30 배진산업주식회사 Means to connect a plurality of tents for enlarged u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5000U (en) * 1976-12-15 1978-07-13
JPS5432099U (en) 1977-08-06 1979-03-02
JPS61159973A (en) * 1984-12-31 1986-07-19 大津 和夫 Fire refuge machinery utilizing air bag and continiuous falling regulation layer
KR100997147B1 (en) 2008-07-21 2010-11-30 배진산업주식회사 Means to connect a plurality of tents for enlarged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890A (en) 201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9389C1 (en) Emergency safety slide (versions)
CN201855512U (en) High-rise fire and earthquake escape device
JP2010516422A (en) Lifesaving parachute
KR101039763B1 (en) Rescue equipment for higher unusualness escape
KR101224074B1 (en) Life-saving sack for an emergency escape of type descent
KR100723047B1 (en) Safty mat for rescue moving type
CN105107098A (en) High-rise rescue device
KR101548010B1 (en) Fence apparatus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CN201410235Y (en) High-rise building escaping anti-dazzle slow-lowering protection device
CN206979851U (en) The smooth ladder of high-rise rescue sermon
KR101447141B1 (en) Air injection type lifesaving mats
CN2622074Y (en) Air-bag type live-saving means
CN204972732U (en) High building rescue ware
CN210250902U (en) Emergency escape standing equipment for emergency of multi-storey and high-rise buildings
CN107657882A (en) A kind of high altitude escape training set
KR101125512B1 (en) Tap box for ladder vehicle
KR100873784B1 (en) Knapsack for descending device
KR101105333B1 (en) parachute survival equipment
KR200426395Y1 (en) Life-saving Net
CN201372718Y (en) Quick escape ladder of building
CN107899142A (en) Overhead escape device
CN215195109U (en) External fan-shaped high-rise fire self-rescue equipment
KR20190002628U (en) Combined lifesaving safety air mat
CN210698526U (en) Escap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CN106693221A (en) Cloth channel soft slide for rescuing people in high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