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752B1 - Auto scroll method of user interface for smart TV - Google Patents

Auto scroll method of user interface for smart TV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752B1
KR101223752B1 KR1020110054334A KR20110054334A KR101223752B1 KR 101223752 B1 KR101223752 B1 KR 101223752B1 KR 1020110054334 A KR1020110054334 A KR 1020110054334A KR 20110054334 A KR20110054334 A KR 20110054334A KR 101223752 B1 KR101223752 B1 KR 101223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target content
edge region
cursor
movemen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3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35554A (en
Inventor
조원호
Original Assignee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4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752B1/en
Publication of KR20120135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5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7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셋탑박스가 위치입력장치로부터 커서의 이동신호를 수신한 뒤, 이동신호에 따른 커서가 위치한 방향특성 에지영역을 추출하며, 이동신호에 따른 커서가 머물고 있는 타겟콘텐츠를 포함하는 전체화면을 방향특성 에지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구현하도록 스마트 TV를 제어하는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scrolling a user interface for a smart TV. The set top box receives a movement signal of a cursor from a position input device, extracts a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where the cursor is loc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By controlling the smart TV so that the entire screen including the target content where the cursor stays is scroll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the user's ease of operation can be maximized.

Description

스마트 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Auto scroll method of user interface for smart TV}Auto scroll method of user interface for smart TV {Auto scroll method of user interface for smart TV}

본 발명은 스마트 TV상에서 구현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자동으로 스크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스마트 TV 시청 도중 화면상의 방향성이 설정된 특정영역으로의 커서의 이동을 통해 자동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자동으로 스크롤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스마트 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scrolling a user interface screen implemented on a smart TV.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 smart TV that can maximize the user's ease of operation by automatically scrolling the screen in the desired direction through the movement of the cursor to a specific area set the orientation on the screen while watching the smart TV A method for automatically scrolling a user interface.

안드로이드나 애플 OS 등의 각종 플랫폼 상에서 스마트 TV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로는 이러한 스마트 TV가 가정에서 널리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 TV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비롯하여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여 TV와 인터넷의 장점을 모두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echnology development for implementing smart TVs on various platforms such as Android and Apple OS is in progress, and it is expected that such smart TVs will be widely used in homes in the future. Smart TVs offer users the advantages of both TV and the Internet, including Internet browsers and more.

한편, 컨텐츠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는 다수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스마트 TV의 유저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전체화면의 범위를 넘어서 제공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ata provided from the content server includes a plurality of contents, it is frequently provided beyond the range of the full screen provided by the user interface of the smart TV.

물론 이 경우 해상도 조정을 통해 넘어서는 부분을 최소화 내지는 최적화를 시킬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의 종류와 포맷에 따라 최적화된 해상도의 조절 방식과 조절 정도가 다른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스크롤 수행은 불가피한 상황이다.In this case, of course, the resolution can be minimized or optimized. However, the type and format of the optimized resolution often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and format of the data. Therefore, scrolling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is inevitable.

종래에는 스마트 TV의 전체화면에 제공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아래, 또는 좌/우로 스크롤 해야 하는 필요성이 발생할 경우, 리모컨의 채널 업/다운 버튼을 활용하거나 브라우저 화면의 수직/수평 스크롤바를 이용하거나 리모컨의 4 방향 키 또는 8방향 키를 이용하였다.Conventionally, if a user needs to scroll up / down or left / right through the user interface provided on the full screen of the smart TV, use the channel up / down buttons on the remote control, use the vertical / horizontal scroll bar on the browser screen, or Four-way keys or eight-way keys were us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들은 화면 스크롤에 대한 소망하는 만큼의 이동에 대한 정밀한 제어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조작도 불편하고, 게다가 스크롤 기능을 위한 피지컬 인터페이스(Phisical Interface) 내지는 메뉴 제공을 별도로 마련해야하는 번잡한 문제가 있다.
However, these conventional methods are not only easy to control precisely the desired movement of the screen scrolling, but also inconvenient for user operation, and additionally, a physical interface or menu for scrolling should be provided separately. There is a troublesome problem.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피지컬 인터페이스(Phisical Interface) 기반으로 제어되던 스마트 TV상의 스크롤으로 인한 조작의 불편함을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기반의 자동스크롤 기능으로 변경함으로써, 화면 스크롤에 관한 사용자의 조작 편이성을 제고하는 스마트 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inconvenience of operation due to scrolling on a smart TV that has been controlled based on a conventional physical interface to an automatic scroll function based on a user interface, thereby allowing a user to manipulate a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utomatically scrolling a user interface for a smart TV that improves convenience.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은, 셋탑박스가 위치입력장치로부터 커서의 이동신호를 수신한 뒤 이동신호에 따른 커서가 위치한 방향특성 에지영역을 추출하는 제 1 단계; 셋탑박스가 위치입력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커서가 방향특성 에지영역에 임계시간 경과 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이동신호에 따른 커서가 머물고 있는 타겟콘텐츠를 포함하는 전체화면을 방향특성 에지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구현하도록 스마트 TV를 제어하는 제 3 단계; 그리고 셋탑박스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위치입력장치로부터 타겟콘텐츠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타겟콘텐츠의 내용을 하나의 화면 전체로 구현하는 전체 이동화면을 스마트 TV로 전송하여 구현하도록 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method for automatically scrolling a user interface for a smart T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extracting a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where a cursor is located according to a movement signal after a set-top box receives a movement signal of a cursor from a position input device; First step;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t-top box is continuously positioned until the threshold time elapses in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throug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position input apparatus; A third step of controlling the smart TV to scroll and implement the entire screen including the target content in which the cursor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corresponds to a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And when the set-top box receives the selection signal for the target content from the location input devi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ransmitting the entire mobile screen for realizing the content of the target content to the entire screen to the smart TV for implementa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은, 셋탑박스가 위치입력장치로부터 커서의 이동신호를 수신한 뒤 이동신호에 따른 커서가 위치한 방향특성 에지영역을 추출하는 제 1 단계; 셋탑박스가 위치입력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커서가 방향특성 에지영역에 임계시간 경과 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이동신호에 따른 커서가 머물고 있는 타겟콘텐츠를 포함하는 전체화면을 방향특성 에지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구현하도록 스마트 TV를 제어하는 제 3 단계; 셋탑박스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위치입력장치로부터 이동신호와 다른 방향성을 갖고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된 특성을 갖는 변화된 이동신호를 수신한 경우, 변화된 이동신호 수신에 따른 변화된 방향특성 에지영역을 추출하는 제 4 단계; 그리고 셋탑박스가 그 변화된 방향특성 에지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타겟콘텐츠 또는 다른 타겟콘텐츠를 스크롤하여 구현하도록 스마트 TV를 제어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utomatically scrolling a user interface for a smart TV, wherein the set-top box receives a movement signal of a cursor from a position input device, and then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at which the cursor is loc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Extracting a region;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t-top box is continuously positioned until the threshold time elapses in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throug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position input apparatus; A third step of controlling the smart TV to scroll and implement the entire screen including the target content in which the cursor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corresponds to a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When the set-top box receives a changed movement signal having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movement signal from the position input device and has a characteristic moved over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set top box extracts the changed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according to the changed movement signal. Fourth step; And a fifth step of controlling the smart TV so that the set-top box scrolls and implements the target content or other target content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이때, 제 3 단계는, 이동신호에 따른 커서가 머물고 있는 타겟콘텐츠를 포함하는 전체화면을 방향특성 에지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만큼 스크롤하는 제 3A 단계; 이러한 화면 스크롤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정지하는 제 3B 단계; 스크롤이 정지된 시간동안 사용자로부터 타켓콘텐츠 선택입력을 대기하는 제 3C 단계; 타겟콘텐츠 선택입력이 수신된 경우에 선택입력된 항목에 따른 타겟콘텐츠 내용을 하나의 화면 전체로 구현하는 전체 이동화면을 스마트 TV로 전송하여 구현하도록 하는 제 3D 단계; 타겟콘텐츠 선택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3A 단계로 진행하여 반복 수행하는 제 3E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third step may include a third step of scrolling the entire screen including the target content where the cursor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stays by a predetermined area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area; A third step of stopping such screen scrolling for a preset time; A third step (C) of waiting for a target content selection input from a user for a time when scrolling is stopped; 3D step of, when the target content selection input is received, transmits and implements the entire mobile screen to the smart TV to implement the target content content according to the selected input item as a whole screen; If the target content selection input is not received, the method proceeds to step 3A and repeats step 3E.

이때, 제 3 단계에서, 셋탑박스는 커서가 머물고 있는 타겟콘텐츠의 범위를 넘지 않도록 타겟콘텐츠를 스크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셋탑박스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은 그 스크롤된 타겟콘텐츠를 포함하는 전체화면이 스마트 TV에 의해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the third step, it is preferable that the set-top box scrolls the target content so as not to exceed the range of the target content where the cursor stays. In addition, the set-top box preferably controls the entire screen including the scrolled target content to be implemented by the smart TV for a predetermined time.

또한, 제 5 단계에서, 셋탑박스는 그 변화된 이동신호에 따라 커서가 머물고 있는 콘텐츠 단위로 타겟콘텐츠 또는 다른 타겟콘텐츠를 스크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향특성 에지영역은 스마트 TV의 사각형의 화면 상단, 하단,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4 방향 에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the fifth step, the set-top box preferably scrolls the target content or other target content in units of content in which the cursor remain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movement signal. In addition, the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is preferably formed of a four-way edge located at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rectangular screen of the smart TV.

또한, 본 발명에서 방향특성 에지영역은 4 방향 에지가 형성된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 에지영역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서리 에지영역 각각은, 상단,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 방향특성 에지영역 중 인접한 2개의 조합에 따른 방향성을 내포하여, 8방향 에지가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s further have four corner edge regions formed at each corner having four directional edge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edge edge regions contains directionality according to two adjacent combinations of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s formed at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such that an eight-direction edge is realized.

본 발명의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에 따르면, 위치입력장치로 스마트 TV상에 구현된 커서의 위치를 방향특성 에지영역 또는 모서리 에지영역으로 소정 시간 위치할 경우에 자동으로 스크롤이 구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user interface automatic scroll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cursor implemented on the smart TV by the position input device is positioned to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or the edge edge region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croll is automatically implemented so as to control the user. The ease of operation can be maximized.

즉, 사용자가 스마트 TV를 시청하면서 4 방향성 또는 8방향성을 갖는 에지영역으로 커서를 이동시킨 뒤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0.5초 ~ 1초 정도)을 머물도록 하면 셋탑박스에 의해 자동으로 화면이 원하는 방향으로 스크롤 되어 조작과 시청을 편리하게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watches the smart TV and moves the cursor to the edge area having four or eight directions, and then stays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bout 0.5 seconds to 1 second), the screen is automatically displayed by the set-top box. This can be scrolled in a desired direction to conveniently perform operations and viewing simultaneously.

[도 1]은 본 발명의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 TV용 셋탑박스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스마트 TV와 셋탑박스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스마트 TV에서의 방향특성 에지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에서의 방향특성 에지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에서의 방향특성 에지영역 및 모서리 에지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t-top box for a smart TV for implementing the user interface automatic scroll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smart TV and the set-top box is connected.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in a smart TV.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in the smart TV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area and the edge edge area in the smart TV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automatic scrolling method for a smart T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scrolling a user interface for a smart TV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 TV용 셋탑박스(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스마트 TV(10)와 셋탑박스(20)가 연결된 상태에서 다수의 콘텐츠가 구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스마트 TV(10)에서의 방향특성 에지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TV set-top box 20 for implementing the user interface automatic scrol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contents are implemented in a state where the smart TV 10 and the set-top box 20 are connected, an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dge characteristic edge region of the smart TV 10. It is for the drawin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셋탑박스(20)는 송수신부(21)와 제어부(22)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셋탑박스(20)를 스마트 TV(10)와 분리된 셋탑박스-분리형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스마트 TV(10)와 일체로 형성된 셋탑박스-일체형으로 변형 가능하다.1 to 3, the set top box 20 includes a transceiver 21 and a controller 22.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et-top box 2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et-top box-separable type separated from the smart TV 10, but may be modified into a set-top box-integral typ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mart TV 10.

송수신부(21)는 통신망(2)을 통해 콘텐츠 서버(1)로부터 다수의 콘텐츠(콘텐츠 X, A, B, C, ...)를 수신하여 제어부(22)로 전송함으로써, 제어부(22)에 의해 스마트 TV(10)로 수신된 다수의 콘텐츠를 그대로 또는 조합 내지는 변형하여 구현하도록 한다.The transceiver 21 receives a plurality of contents (contents X, A, B, C, ...) from the content server 1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 and transmits the contents to the controller 22, thereby controlling the controller 22. By a plurality of contents received by the smart TV 10 as it is or in combination or modification to implement.

또한, 송수신부(21)는 위치입력장치(3)로부터 이동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2)로 전송한다. 여기서, 위치입력장치(3)는 마우스 내지는 리모컨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2차원 또는 3차원 상에 좌표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In addition, the transceiver 21 receives the movement signal from the position input device 3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22. Here, the position input device 3 may be formed of a mouse or a remote controller, but is a broad concept including all input devices capable of inputting coordinates on two or three dimensions.

제어부(22)는 위치판단모듈(22a), 에지영역 추출모듈(22b), 시간제어모듈(22c)을 포함한다. The control unit 22 includes a position determination module 22a, an edge region extraction module 22b, and a time control module 22c.

위치판단모듈(22a)은 송수신부(21)를 통해 위치입력장치(3)로부터 커서의 이동신호를 수신한 뒤, 이동신호에 따라 커서가 위치한 좌표가 방향특성 에지영역의 좌표범위 중 어느 하나에라도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위치판단모듈(22a)은 이동신호에 따라 커서가 방향특성 에지영역의 좌표범위 중 어느 하나에라도 포함되는 경우, 당해 커서가 위치한 좌표를 이후의 에지영역 추출모듈(22b)로 전송한다.The position determination module 22a receives the movement signal of the cursor from the position input device 3 through the transceiver 21, and then the coordinates where the cursor is loc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are in any one of the coordinate ranges of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Determine whether it is included. Then, the position determination module 22a transmits the coordinates where the cursor is located to the subsequent edge region extraction module 22b when the cursor is included in any one of the coordinate ranges of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또한, 위치판단모듈(22a)은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신호와 다른 방향성을 갖고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된 특성을 갖는 변화된 이동신호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 위치판단모듈(22a)는 변화된 이동신호를 수신하고 그 변화된 이동신호가 방향특성 에지영역의 좌표범위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커서가 위치한 좌표를 에지영역 추출모듈(22b)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determination module 22a determines whether a changed movement signal having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movement signal in the same manner and having a characteristic moved over a predetermined distance is received. The position determining module 22a receives the changed movement signal and transmits the coordinates where the cursor is located to the edge region extraction module 22b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d movement signal is included in any one of the coordinate ranges of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에지영역 추출모듈(22b)은 커서의 좌표와 방향특성 에지영역의 좌표범위를 이용해 이동신호에 따라 커서가 위치한 방향특성 에지영역을 추출한다. 한편, 에지영역 추출모듈(22b)은 그 변화된 이동신호를 수신한 위치판단모듈(22a)로부터 커서의 좌표를 수신한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프로세스를 통해 방향특성 에지영역을 추출한다.The edge region extraction module 22b extracts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where the cursor is loc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by using the coordinates of the cursor and the coordinate range of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edge region extraction module 22b extracts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through the same process even when the coordinates of the cursor are received from the position determination module 22a which has received the changed movement signal.

여기서, 방향특성 에지영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TV(10)의 화면 상단에 위치한 제 1 방향특성 에지영역(11a), 화면 하단에 위치한 제 2 방향특성 에지영역(11b), 화면 좌측에 위치한 제 3 방향특성 에지영역(11c), 그리고 화면 우측에 위치한 제 4 방향특성 에지영역(11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4 방향 에지영역을 구현한 예로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외곽 4 곳에 각각 1cm 정도의 에지 영역으로 정의된다.As shown in FIG. 3, the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includes a first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11a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screen of the smart TV 10 and a second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11b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third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11c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and the fourth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11d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may be formed. This is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four-way edge region, which is defined as an edge region of about 1 cm in each of four outer regions of the display screen.

시간제어모듈(22c)은 위치입력장치(3)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커서가 방향특성 에지영역에 임계시간(critical time) 경과 할 때까지 계속 머무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커서의 위치 변화가 없이 임계시간을 경과한 경우, 시간제어모듈(22c)은 이동신호에 따른 커서가 머물고 있는 콘텐츠 단위로 당해 방향특성 에지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화면을 자동적으로 스크롤한다. 여기서, 임계시간을 두는 이유는 위치입력장치(3)의 민감도를 고려하며, 연속적인 이동신호가 수신될 경우 연속적인 스크롤으로 인해 사용자의 시각적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The time control module 22c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ursor remains in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through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position input device 3 until a critical time elapses.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the threshold time has elapsed without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ursor, the time control module 22c automatically scrolls the screen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in the content unit in which the cursor is stay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 Here, the reason for placing the threshold time is to consider the sensitivity of the position input device (3), in order to eliminate the visual discomfort of the user due to the continuous scroll when a continuous movement signal is received.

이후, 시간제어모듈(22c)은 스크롤된 타겟콘텐츠를 포함하는 전체화면 데이터를 I/O인터페이스(23)를 통해 스마트 TV(10)로 전송함으로써, 스마트 TV(10)에 구현하도록 함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위치입력장치(3)로부터 선택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ubsequently, the time control module 22c transmits the full screen data including the scrolled target content to the smart TV 10 through the I / O interface 23 so as to be implemented in the smart TV 10. It is determined whether a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sition input device 3 within a preset time.

시간제어모듈(22c)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선택신호를 수신한 경우, 타겟콘텐츠의 전체 내용을 하나의 화면 전체로 구현하는 전체 이동화면을 스마트 TV(10)로 전송하여 구현하도록 I/O인터페이스(23)를 제어한다.
When the time control module 22c receives the selection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I / O interface (S / I interface) is transmitted to the smart TV 10 to implement the entire mobile screen that implements the entire contents of the target content as a single screen. 23).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10)에서의 방향특성 에지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in the smart TV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방향특성 에지영역도 [도 3]과 같이, 화면 상단에 위치한 제 1 방향특성 에지영역(11a), 화면 하단에 위치한 제 2 방향특성 에지영역(11b), 화면 좌측에 위치한 제 3 방향특성 에지영역(11c), 그리고 화면 우측에 위치한 제 4 방향특성 에지영역(11d)으로 형성되어 4 방향성을 갖는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of FIG. 4 is the first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11a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It is formed of the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11b, the third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11c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and the fourth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11d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and has four directions.

그러나 [도 4]의 방향특성 에지영역의 각 모서리는, [도 3]의 방향특성 에지영역의 각 모서리가 제 1 방향특성 에지영역(11a)과 제 4 방향특성 에지영역(11d)에서 연장된 영역이 형성하고 있는 것과는 상이하게 형성되었다. 즉, 제 3 방향특성 에지영역(11c)과 제 4 방향특성 에지영역(11d)에서 연장된 영역이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However, each corner of the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of FIG. 4 is formed such that each corner of the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of FIG. 3 extends from the first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11a and the fourth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11d. It formed differently from what the area forms. That is, a region extending from the third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11c and the fourth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11d is formed.

[도 5]는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10)에서의 방향특성 에지영역 및 모서리 에지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and a corner edge region in the smart TV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방향특성 에지영역은 8 방향성 에지로, 각 모서리에 제 1 모서리 에지영역(12a), 제 2 모서리 에지영역(12b), 제 3 모서리 에지영역(12c), 제 4 모서리 에지영역(12d)을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3 to 5, the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s of FIG. 5 are eight directional edges, each of which has a first edge edge region 12a, a second corner edge region 12b, and a first edge edge region 12b. And a third corner edge region 12c and a fourth corner edge region 12d.

여기서, 각 모서리 에지영역(12a, 12b, 12c 및 12d)은 인접한 방향특성 에지영역 2개를 합친 방향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 1 모서리 에지영역(12a)은 제 1 방향특성 에지영역(11a)이 갖는 방향성인 상향(↑)과, 제 3 방향특성 에지영역(11c)이 갖는 방향성인 좌향(←)을 합친 방향성을 갖는다.
Here, each of the corner edge regions 12a, 12b, 12c, and 12d has a direction in which two adjacent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s are combined. For example, the first edge edge region 12a is a direction upward (↑) that is a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11a and a left direction ← that is a directionality of the third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11c. It has a combined direc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scrolling a user interface for a smart T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셋탑박스(20)는 위치입력장치(3)로부터 커서의 이동신호를 수신한 뒤, 이동신호에 따른 커서가 위치한 방향특성 에지영역을 추출한다(S1).1 to 6, the set-top box 20 receives the movement signal of the cursor from the position input device 3 and extracts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where the cursor is loc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 S1).

셋탑박스(20)는 위치입력장치(3)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커서가 방향특성 에지영역에 임계시간 경과 할 때까지 변화되지 않고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 여기서 임계시간은 1초로 설정될 수 있다. The set-top box 20 determines whether the cursor is located unchanged until a threshold time elapses in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throug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position input device 3 (S2). Here, the threshold time may be set to 1 second.

단계(S2)의 판단결과 커서의 위치 변화가 없이 임계시간을 경과한 경우, 셋탑박스(20)는 콘텐츠 단위로 방향특성 에지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타겟콘텐츠를 포함하는 전체화면을 스크롤한다(S3).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 when the threshold time has elapsed without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ursor, the set-top box 20 scrolls the entire screen including the target content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in the content unit (S3). ).

단계(S2)의 판단결과 임계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 셋탑박스(20)는 단계(S1)로 회귀하여 단계(S1) 내지 단계(S2)를 반복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 that the threshold time has not elapsed, the set-top box 20 returns to step S1 and repeats steps S1 to S2.

단계(S3) 이후, 셋탑박스(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스크롤된 타겟콘텐츠를 포함하는 전체화면을 구현한다(S4). After the step S3, the set-top box 20 implements a full screen including the target time scrolled target content (S4).

보다 구체적으로, 셋탑박스(20)는 스마트 TV(10)의 화면으로 자동적인 스크롤을 구현할 경우, 화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스크롤을 구현하는 것보다 각 타겟콘텐츠(또는 타겟콘텐츠에 포함된 페이지) 만큼을 스크롤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은 정지해 있는 것이 사용자 편의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화면 스크롤을 하는 동안은 화면이 계속 변경되므로 사용자가 화면 내용을 읽고 판단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set-top box 20 implements automatic scrolling to the screen of the smart TV 10, each set of target content (or pages included in the target content) rather than implementing scrolling continuously changing on the screen. It is preferable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o scroll and to stop for a preset time. This is because the screen is continuously changed while the user is scrolling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not read and judge the screen contents.

따라서, 셋탑박스(20)는 각 타겟콘텐츠(또는 타겟콘텐츠에 포함된 페이지)만큼을 스크롤을 수행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은 스크롤을 정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타겟콘텐츠(또는 타겟콘텐츠에 포함된 페이지)의 내용을 읽고 판단할 시간을 주는 것이다.Therefore, the set-top box 20 scrolls by each target content (or pages included in the target content) and stops scrolling the preset time,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 the contents of the target content (or pages included in the target content). It will give you time to read and judge.

이에 의해, 사용자는 스크롤이 중단된 동안에 현재 화면을 빠르게 읽고 특정 항목(예컨대, 특정 뉴스)을 선택(클릭)할 것인 것인지, 아니면 계속 스크롤 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 편의를 고려하여 3초 정도가 적당하다. This gives the user the opportunity to quickly read the current screen while the scrolling is interrupted and determine whether to select (click) a particular item (eg, a specific news) or continue scrolling. Here, the preset time is about 3 seconds in consideration of user convenience.

셋탑박스(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위치입력장치(3)로부터 선택신호의 수신여부를 판단한다(S5). The set top box 20 determines whether a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sition input device 3 within a preset time (S5).

단계(S5)의 판단결과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선택신호를 수신한 경우, 셋탑박스(20)는 타겟콘텐츠의 전체 내용을 하나의 화면 전체로 구현하는 전체 이동화면을 스마트 TV(10)로 전송하여 구현하도록 한다(S6). When the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5, the set-top box 20 transmits the entire mobile screen to the smart TV 10 to implement the entire contents of the target content on one screen. (S6).

한편, 단계(S5)의 판단결과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선택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셋탑박스(20)는 단계(S4)로 회귀하여 앞서 설명한 단계(S4) 내지 단계(S6)을 반복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el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5, the set-top box 20 returns to step S4 and repeats the steps S4 to S6 describ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셋탑박스(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별다른 이동신호의 변화가 없고 여전히 커서가 방향특성 에지영역에 있는 경우 다시 선택신호를 기다리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More specifically, the set-top box 20 repeatedly performs the operation of waiting for the selection signal again when there is no change of the movement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cursor is still in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scrolling a user interface for a smart TV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하에서는 [도 6]의 단계(S1) 내지 단계(S6)와, [도 7]의 단계(S11) 내지 단계(S16)는 동일한 프로세스로 진행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들과는 차이나는 사항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1 to 7, hereinafter, steps S1 to S6 of FIG. 6 and steps S11 to S16 of FIG. 7 proceed in the same process.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s of overlapping contents will be omitted, and descriptions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m.

단계(S15)의 판단결과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선택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셋탑박스(20)는 위치입력장치(3)로부터 단계(S11)의 이동신호와 다른 방향성을 갖고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된 특성을 갖는 변화된 이동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17). If the sel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within the preset tim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5, the set-top box 20 moves from the position input device 3 with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movement signal of step S11 and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nged movement signal having the changed characteristic is received (S17).

단계(S17)의 판단결과, 변화된 이동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셋탑박스(20)는 그 변화된 이동신호 수신에 따른 당해 변화된 방향특성 에지영역을 추출한다(S18). 예컨대, 단계(S18)는 [도 3]의 제 1 방향특성 에지영역(11a)으로부터 제 3 방향특성 에지영역(11c)로 커서가 이동된 경우, 이에 대한 방향성을 교정하여 스크롤을 수행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7, when the changed movement signal is received, the set-top box 20 extracts the changed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movement signal (S18). For example, in step S18, when the cursor is moved from the first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11a of FIG. 3 to the third directional characteristic edge region 11c, the direction is corrected and scrolling is performed.

한편, 단계(S17)의 판단결과, 변화된 이동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단계(S14)로 회귀하여 단계(S14) 내지 단계(S18)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17 that the changed movement signal is not receiv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4 to repeatedly perform steps S14 to S18.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현재 화면에서 타겟콘텐츠를 선택하여 타겟콘텐츠의 전체 내용을 하나의 화면 전체로 구현하는 전체 이동화면을 스마트 TV(10)로 전송하여 구현하도록 할 것인지 계속 스크롤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제 1 프로세스와, 상술한 방향성을 교정하여 스크롤을 다시 수행하는 제 2 프로세스를 선택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target content on the current screen to determine whether to implement or continue scrolling the entire mobile screen to implement the entire contents of the target content to the entire screen to the smart TV (10) The first process, which provides the opportunity to do so, and the second process of re-scrolling by correcting the above-described directionality can be optionally repeated.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 콘텐츠 서버 2: 통신망
3: 위치입력장치 10: 스마트 TV
20: 셋탑박스 21: 송수신부
22: 제어부 22a: 위치판단모듈
22b: 에지영역 추출모듈 22c: 시간제어모듈
1: content server 2: network
3: location input device 10: smart TV
20: set-top box 21: transceiver
22: control unit 22a: position determination module
22b: edge area extraction module 22c: time control module

Claims (7)

스마트 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으로서,
위치입력장치로부터 커서의 이동신호를 수신한 뒤, 상기 이동신호에 따른 상기 커서가 위치한 방향특성 에지영역을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위치입력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하여 상기 커서가 상기 방향특성 에지영역에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 경과 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이동신호에 따른 커서가 머물고 있는 타겟콘텐츠를 포함하는 전체화면을 상기 방향특성 에지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구현하도록 상기 스마트 TV를 제어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이동신호에 따른 커서가 머물고 있는 타겟콘텐츠를 포함하는 전체화면을 상기 방향특성 에지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만큼 스크롤하는 제 3A 단계;
상기 스크롤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정지하는 제 3B 단계;
상기 스크롤이 정지된 시간동안 상기 위치입력장치로부터 타켓콘텐츠 선택입력을 대기하는 제 3C 단계;
상기 타겟콘텐츠 선택입력이 수신된 경우에 상기 선택입력된 항목에 따른 타겟콘텐츠 내용을 하나의 화면 전체로 구현하는 전체 이동화면을 상기 스마트 TV로 전송하여 구현하도록 하는 제 3D 단계;
상기 타겟콘텐츠 선택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 3A 단계로 진행하여 반복 수행하는 제 3E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
As a user interface auto scrolling method for smart TV,
A first step of extracting a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in which the cursor is loc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after receiving a movement signal of a cursor from a position input device;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sor is continuously positioned in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through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position input device;
A third step of controlling the smart TV so that the entire screen including the target content where the cursor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stays is scroll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And,
In the third step,
A third step of scrolling the entire screen including target content in which the cursor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stays by a predetermined area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area;
A third step of stopping the scroll for a preset time;
A third step (C) of waiting for a target content selection input from the location input apparatus for the time when the scrolling is stopped;
A third step of, when the target content selection input is received, transmitting the entire mobile screen for realizing the target content according to the selected input item to a whole screen to the smart TV;
Step 3E, if the target content selection input is not received, repeatedly proceeds to step 3A;
Method for automatically scrolling the user interface for a smart TV comprising a.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커서가 머물고 있는 상기 타겟콘텐츠의 범위를 넘지 않도록 상기 타겟콘텐츠를 스크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third step is to scroll the target content so that the cursor does not exceed the range of the target content in which the cursor is stay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위치입력장치로부터 상기 이동신호와 다른 방향성을 갖고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된 특성을 갖는 변화된 이동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변화된 이동신호 수신에 따른 변화된 방향특성 에지영역을 추출하는 제 4 단계;
상기 변화된 방향특성 에지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타겟콘텐츠 또는 다른 타겟콘텐츠를 스크롤하여 구현하도록 상기 스마트 TV를 제어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 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xtracting the changed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changed movement signal when receiving the changed movement signal having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movement signal and moving over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input device within the preset time. A fourth step of doing;
A fifth step of controlling the smart TV to scroll and implement the target content or other target content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Method for automatically scrolling the user interface for a smart TV further comprise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변화된 이동신호에 따라 커서가 머물고 있는 콘텐츠 단위로 상기 타겟콘텐츠 또는 다른 타겟콘텐츠를 스크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fifth step, the user interface automatic scrolling method for a smart TV, characterized in that for scrolling the target content or other target content by the content unit the cursor stay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movement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특성 에지영역은 상기 스마트 TV의 사각형의 화면 상단, 하단, 좌측, 우측에 위치한 4 방향 에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is a user interface automatic scrolling method for a smart TV,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way edge located on the top, bottom, left, right of the rectangular screen of the smart TV.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향특성 에지영역은 상기 4 방향 에지가 형성된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 에지영역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동 스크롤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direction characteristic edge region is a user interface automatic scrolling method for a smart TV,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four corner edge regions formed in each corner of the four-way edge is formed.
KR1020110054334A 2011-06-07 2011-06-07 Auto scroll method of user interface for smart TV KR1012237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334A KR101223752B1 (en) 2011-06-07 2011-06-07 Auto scroll method of user interface for smart TV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334A KR101223752B1 (en) 2011-06-07 2011-06-07 Auto scroll method of user interface for smart TV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554A KR20120135554A (en) 2012-12-17
KR101223752B1 true KR101223752B1 (en) 2013-01-17

Family

ID=47903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334A KR101223752B1 (en) 2011-06-07 2011-06-07 Auto scroll method of user interface for smart TV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75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5117A (en) * 2009-01-14 2010-07-29 Hitachi Ltd Content display method using characteristic of retrieval object content
KR20110058047A (en) * 2009-11-25 2011-06-01 크루셜텍 (주)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poin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5117A (en) * 2009-01-14 2010-07-29 Hitachi Ltd Content display method using characteristic of retrieval object content
KR20110058047A (en) * 2009-11-25 2011-06-01 크루셜텍 (주)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poin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554A (en) 201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9619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45145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151547B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ntrolled by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52321B1 (en)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EP261355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EP2439628B1 (en)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on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applying the same
US201601707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US9538245B2 (en) Media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ed search term corresponding to an image
KR102169521B1 (en)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141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he window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 screen
KR102337216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EP3016399A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remote control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595045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71869A (en)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US20160124606A1 (en)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TWI522898B (en) Image control method,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KR101223752B1 (en) Auto scroll method of user interface for smart TV
KR20150026255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15912B1 (en) User Terminal Capable of Shar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7222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put method, and program
KR101313292B1 (en) Menu search method for smart tv using direction key and automatic scroll
US2015012808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size or position of display window
KR101310391B1 (en) Menu search method for smart tv using direction key
KR102026728B1 (en) Media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creen interface feedback
EP2725467A1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