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543B1 - Method for applying laser pointer image to presentation image - Google Patents

Method for applying laser pointer image to presentation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543B1
KR101222543B1 KR20120098569A KR20120098569A KR101222543B1 KR 101222543 B1 KR101222543 B1 KR 101222543B1 KR 20120098569 A KR20120098569 A KR 20120098569A KR 20120098569 A KR20120098569 A KR 20120098569A KR 101222543 B1 KR101222543 B1 KR 101222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aser
user terminal
presentation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98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중식
Original Assignee
(주)유한프리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한프리젠 filed Critical (주)유한프리젠
Priority to KR20120098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5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543B1/en
Priority to PCT/KR2013/007872 priority patent/WO201403881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applying a presentation image according to the extraction of a laser pointer image is provided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a speaker by automatically extracting an image most similar to a laser image and matching the same with the presentation image. CONSTITUTION: A camera photographs a laser image for a continuous emission time of a laser pointer to transmit the same to a user terminal(S13). The user terminal extracts an image having a shape most similar to the laser image from stored images(S15). The image having the most similar shape is outputted with a presentation image outputted by a beam projector. A position value of laser matched with the laser im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11) User terminal sets position values in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on a screen for implementing a presentation image outputted from a beam projector; (S12) One of the position values set on the screen is irradiated with laser beam from a laser pointer; (S13) Camera photographs a laser image for a continuous emission time of the laser beam and simultaneously extracts the position values of the laser beam emitted continuously; (S14) Camera transmits the laser image and the position values of the laser image extracted according to time; (S15) User terminal compares the laser image with stored images and extracts the most similar image; (S16) User terminal matches the most similar image to the position values of the laser image extracted according to time, thereby creating a presentation-matching laser image; (S17) User terminal controls the beam project so that the presentation-matching laser image is outputted to the screen with a presentation image outputted from the beam projector

Description

레이저 포인터 영상 추출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영상으로의 적용 방법{ Method for applying laser pointer image to presentation image}Method for applying laser pointer image to presentation image}

본 발명은 레이저 포인터 영상 추출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영상으로의 적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지시한 영상을 프리젠테이션 영상에 구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레이저 포인터 영상 추출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영상으로의 적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pplying to a presentation image by extracting a laser pointer imag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extracting a laser pointer image to enable the presentation image to be continuously displayed using a laser poin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entation method.

발표자가 빔프로젝터와 사용자단말을 이용하여 프리젠테이션을 하는 경우, 레이저 포인터를 활용하여 스크린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지시하게 되는데, 이때 레이저 포인터를 가지고 일정한 영역을 밑줄, 세모, 네모, 동그라미 등으로 지시한다.When the presenter gives a presentation using a beam projector and a user terminal, the laser pointer is used to irradiate a laser beam on the screen to indicate a certain area with underlines, triangles, squares, circles, and the like. .

그러나 프리젠테이션에서 레이저 포인터는 켜서 지시만 하지 이를 프리젠테이션 영상에 표시해 둘 수가 없어 레이저 포인터를 끄면 조사된 레이저는 화면에서 사라지고, 이미 지나온 경로를 알 수 없는 일시적인 특성을 갖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esentation, since the laser pointer is only turned on and not indicated, it cannot be displayed on the presentation image. When the laser pointer is turned off, the irradiated laser disappears from the screen and has a temporary characteristic of not knowing the path already passed.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리젠테이션 영상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시 레이저 포인터로 입력할 밑줄, 세모, 네모, 동그라미 등과 같은 형상을 미리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이는 데이터 생성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을 갖는다. In order to solve this drawback, when generating the data for the presentation image, the shapes such as underline, triangle, square, circle, etc. to be input by the laser pointer are sequentially inputted in advance, but this takes much time for data generation. Has disadvantages.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레이저 포인터가 지시한 영상인 밑줄, 세모, 네모, 동그라미 등과 같이 끊어짐 없이 지시한 형상을 프리젠테이션 영상과 함께 구현함으로써, 발표자가 보다 프리젠테이션 시의 전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in the technical field, the presenter can implement the shapes indicated without interruption, such as underline, triangle, square, circle, etc., which are indicated by the laser pointer together with the presentation image, so that the presenter can improve the delivery power during the presentation. Technology development is required.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레이저 포인터 마우스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Presentation system using a Laser-pointer mouse) (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16712호)1. Presentation system using a Laser-pointer mouse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16712)

2.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입력 장치와 그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제공 시스템(Input apparatus using a raser pointer and system foroffering presentation using the apparatus)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109878호)
2. Input apparatus using a raser pointer and system foroffering presentation using the apparatus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109878)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빔프로젝터에 의해 프리젠테이션 영상이 구현되는 스크린을 촬영하고 있는 카메라를 활용하여 레이저 포인터가 지시한 연속적인 영상을 촬영한 뒤,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지시한 영상과 가장 근접한 형상을 갖는 영상을 프리젠테이션 영상과 함께 출력함으로써, 발표자의 의도를 만족하도록 하기 위한 레이저 포인터 영상 추출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영상으로의 적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fter taking a series of images indicated by the laser pointer by using a camera that captures the screen on which the presentation image is realized by the beam projector, the image having the closest shape to the image indicated by the laser pointer is present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applying to a presentation image by extracting a laser pointer image so as to satisfy the presenter's intention by outputting together with the outpu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 영상 추출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영상으로의 적용 방법은, 카메라가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출력된 레이저의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 레이저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 레이저 영상에 가장 근접한 형태를 갖는 영상을 미리 저장된 다수의 영상 중에서 추출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추출된 가장 근접한 형태를 갖는 영상을 상기 빔프로젝터에 의해 출력되고 있는 프리젠테이션 영상과 함께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빔프로젝터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제 3 단계; 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applying a presentation image by extracting a laser pointer image may include: a user terminal photographing a laser image during a continuous irradiation time of a laser output from a laser pointer; Transmitting to the first step; And extracting, from the plurality of pre-stored images, an image having a form closest to a laser image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from the camera. And a third step of outputting the image having the closest shape extracted in the second step together with the presentation image output by the beam projector through the beam projector at the user terminal. .

이때,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프리젠테이션 영상 출력을 위해 빔프로젝터를 제어하며, 상기 프리젠테이션 영상이 구현되는 스크린에 대한 가로방향(X) 및 세로방향(Y)의 조합에 의한 각 위치값을 설정하는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before the first step, the user terminal controls the beam projector for outputting the presentation image, and the combination of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the vertical direction (Y) for the screen on which the presentation image is implemented. Setting each position value by the means; Is preferably performed further.

또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출력된 레이저의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 레이저 영상을 촬영하는 제 1-1 단계와, 연속되게 조사되는 레이저의 위치값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추출한 뒤, 상기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의 촬영된 레이저 영상과 레이저의 위치값을 매칭시키는 제1-2 단계와,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의 레이저 영상과 매칭된 레이저의 위치값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제 1-3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step is a step 1-1 in which the camera takes a laser image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of the laser output from the laser pointer, and the position value of the laser continuously irradia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reafter, steps 1-2 of matching the position values of the laser and the photographed laser image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 values of the laser matched to the laser image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to the user terminal.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the first 1-3 steps.

또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이 추출된 가장 근접한 형태의 영상으로부터 분할된 형상의 영상을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추출된 레이저의 위치값과 매칭시키는 제 3-1 단계와; 추출된 레이저의 위치값과 매칭된 분할된 형상의 영상을 생성하여 빔프로젝터를 통하여 영상으로 출력하는 제 3-2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step may further include a step 3-1 of matching the image of the shape divided from the image of the closest form from which the user terminal is extracted with the position value of the laser extracted at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3-2 is performed by generating an image having a divided shape match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extracted laser and outputting it as an image through a beam projector.

또한,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단말에 의해 설정되는 각 위치값은 픽셀값 또는 좌표값으로 설정가능하며, 상기 빔프로젝터에 의해 구현되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영상의 해상도에 따라 위치값의 수가 가변되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position value set by the user terminal before the first step may be set to a pixel value or a coordinate value, and the number of position values may vary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presentation image implemented by the beam projector. It is preferable to be set.

또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출력된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 레이저 영상을 촬영시 연속된 조사 시간의 범위를 벗어나는 조사되지 않는 시간의 범위는 1/100~1/2초(second)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step is a range of non-irradiated time outside the range of continuous irradiation time when the camera takes a laser image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output from the laser pointer is 1/100 ~ 1/2 second ( seco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 영상 추출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영상으로의 적용 방법은,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지시한 형상을 프리젠테이션 영상에 지속적으로 구현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The method of applying a presentation to a presentation image by extracting a laser pointer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can continuously implement a shape continuously indicated by using a laser pointer on the presentation imag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 영상 추출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영상으로의 적용 방법은,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해 조사한 레이저 영상과 가장 근접한 영상을 자동적으로 추출하여 프리젠테이션 영상에 매칭시켜 구현함으로써, 발표자의 편의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method to the presentation image according to the laser pointer image extra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utomatically extracting the image that is closest to the laser image irradiated with the laser pointer and implemented by matching the presentation image, It provides the effect of maximizing presenter's convenienc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 영상 추출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영상으로의 적용 방법은,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레이저 영상에 대한 위치값 추출과 가장 근접한 영상에 대한 추출을 매칭하여 활용함으로써, 프리젠테이션 영상에서 발표자가 지시한 위치에 정확하게 매칭시켜 발표자의 의도와 가장 부합하는 직선, 도형 등을 간략하게 표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applying to the presentation image according to the laser pointer image extra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atching the position value extraction for the laser image using the laser pointer with the extraction for the closest image, By accurately matching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presenter in the presentation image, it provides an effect of simply displaying a line, a figure, etc. that best matches the presenter's int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 영상 추출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영상으로의 적용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서의 사용자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 영상 추출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영상으로의 적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1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implementing a method of applying a presentation image to a laser pointer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amera in FIG. 1.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i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pplying to a presentation image according to laser pointer image ex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or a signal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the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data or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 영상 추출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영상으로의 적용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빔프로젝터(100), 스크린(200), 레이저 포인터(300), 카메라(400), 사용자단말(500) 및 IP망(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IP망(60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통신망이며, 예컨대, 인터넷(Internet)이 될 수 있다. 또한, IP망은 ALL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또는 무선 망일 수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in which a method of applying a presentation to a presentation image according to laser pointer image ex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Referring to FIG. 1, a beam projector 100, a screen 200, a laser pointer 300, a camera 400, a user terminal 500, and an IP network 600 are included. Here, the IP network 600 is a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a large capacity, long 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 and may be, for example,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IP network may be a next-generation wired or wireless network for providing high-speed multimedia services based on ALL IP (Internet Protocol).

도 2는 도 1에서의 카메라(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400)는 CMOS 모듈(410), MCU(Micro Contol Unit: 420), 레이저 촬영모듈(430), 제 1 저장부(440), 제 1 송수신단(450) 및 제 1 I/O 인터페이스(460)를 포함하며, 레이저 촬영모듈(430)은 레이저 촬영수단(431) 및 레이저 위치값 추출수단(432)을 구비한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camera 400 in FIG. 1. Referring to FIG. 2, the camera 400 includes a CMOS module 410, a micro controller unit (MCU) 420, a laser imaging module 430, a first storage unit 440, a fir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rminal 450, and a first transmission unit 450. 1 I / O interface 460, the laser imaging module 430 includes a laser imaging means 431 and a laser position value extraction means 432.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module may mean a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bination of hardware for carrying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ftware for driving the hardware. For example, the module may mean a logical unit of a predetermined code and a hardware resource for performing the predetermined code, and means a physically connected code or does not necessarily mean one kind of hardware. I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e average expert in the art.

MCU(420)는 제 1 송수신단(450) 또는 제 1 I/O 인터페이스(460)에 대한 제어에 의해 사용자단말(500)과 데이터 세션을 연결한 뒤, 연결된 데이터 세션을 통해 사용자단말(500)로부터 스크린(200)에 대한 촬영 명령 및 사용자단말(500)에 의해 설정된 각 위치값을 수신함으로써, CMOS 모듈(410)을 구동시켜 촬영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 이때, MCU(420)는 수신된 각 위치값을 제 1 저장부(440)에 저장한다. 즉, MCU(420)는 사용자단말(500)과 IP망(600)을 통한 데이터 세션을 연결할 경우 제 1 송수신단(450)을 제어하며, 직접적 데이터 케이블에 의한 사용자단말(500)과 데이터 세션을 연결할 경우 제 1 I/O 인터페이스(460)를 제어한다. The MCU 420 connects the data session with the user terminal 500 by controlling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450 or the first I / O interface 460, and then connects the data session with the user terminal 500. The CMOS module 410 is driven to enter a photographing standby mode by receiving a photographing command for the screen 200 and each position value set by the user terminal 500. At this time, the MCU 420 stores the received position values in the first storage unit 440. That is, the MCU 420 controls the first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rminal 450 when connecting the data sess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500 and the IP network 600, and the data session with the user terminal 500 through the direct data cable. When connected, the first I / O interface 460 is controlled.

사용자가 소지한 레이저 포인터(300)로부터 레이저가 스크린(200)상에 사용자단말(500)에 의해 스크린(200) 상에 설정된 위치값 중 하나의 위치값으로 조사되는 것으로 CMOS 모듈(410)을 통해 감지한 MCU(420)는 레이저 촬영모듈(430)을 웨이크업(Wake-Up) 한다. 이에 따라 레이저 촬영모듈(430)의 레이저 촬영수단(431)은 레이저 포인터(300)로부터 출력된 레이저의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 레이저 영상을 촬영한 뒤, 제 1 저장부(440)에 저장한다. 동시에 레이저 촬영모듈(430)의 레이저 위치값 추출수단(432)은 레이저 촬영수단(431)에 의해 촬영되는 레이저 영상에 대해 연속되게 조사되는 레이저의 위치값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추출한 뒤 제 1 저장부(440)에 저장한다. 즉, 레이저 촬영모듈(430)은 사용자가 프리젠테이션을 할 때 레이저 포인터(300)를 활용하여 스크린(200)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지시하게 되는데, 이때 레이저 포인터(300)를 가지고 일정한 영역을 밑줄, 세모, 네모, 동그라미 등으로 지시할 경우 이러한 하나의 밑줄, 세모, 네모, 동그라미 등의 형상을 하나의 연속된 레이저 조사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aser is irradiated from the laser pointer 300 carried by the user to one of the position values set on the screen 200 by the user terminal 500 on the screen 200 through the CMOS module 410. The detected MCU 420 wakes up the laser imaging module 430. Accordingly, the laser photographing means 431 of the laser photographing module 430 photographs the laser image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of the laser output from the laser pointer 300 and then stores the laser image in the first storage unit 440. At the same time, the laser position value extracting means 432 of the laser photographing module 430 extracts the position value of the laser continuously irradiated with respect to the laser image photographed by the laser photographing means 431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n stores the first value. Stored in the unit 440. That is, the laser photographing module 430 irradiates a laser beam to the screen 200 by using the laser pointer 300 when the user makes a presentation. The laser photographing module 430 underlines a certain area with the laser pointer 300. In the case of designating triangles, squares, circles, etc., the shape of one underline, triangle, square, circle, etc. may be recognized as one continuous laser irradiation.

여기서 레이저 촬영수단(431)은 레이저 영상에 대한 촬영시 스크린(200) 상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출력된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 레이저 영상을 촬영하게 되는데, 연속된 조사 시간의 범위를 벗어나는 조사되지 않는 시간의 범위는 1/100~1/2초(second)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laser photographing means 431 photographs a laser image during a continuous irradiation time output from the laser pointer on the screen 200 when the laser image is photographed. The range is preferably set to 1/100 to 1/2 second.

그리고 제 1 저장부(440) 및 후술할 제 2 저장부(550)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로써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하며 삭제되지 않으며,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상변화 램), F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torage unit 44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550 to be described later are non-volatile memory (NVM). Even though power is not supplied, the first storage unit 440 maintains the stored data and does not delete the flash memory. Memory),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PRAM), ferroelectric RAM (FRAM), and the like.

MCU(420)는 사용자단말(500)과 연결된 데이터 세션을 통해 촬영된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의 레이저 영상과 레이저 영상의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추출된 위치값을 사용자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제 1 송수신단(450) 및 제 1 I/O 인터페이스(460)를 제어한다. The MCU 42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laser image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taken through the data session connected with the user terminal 500 and the extracted position value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of the laser image to the user terminal 500. The first transceiver 450 and the first I / O interface 460 are controlled.

도 3은 도 1에서의 사용자단말(5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500)은 제 2 송수신단(510), 제 2 I/O 인터페이스(520), 중앙제어부(530), 프리젠테이션 영상 구현 모듈(540), 제 2 저장부(550) 그리고 입출력부(5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앙제어부(530)는 카메라/빔프로젝터 제어모듈(531)을 구비하며, 프리젠테이션 영상 구현 모듈(540)은 스크린 위치값 설정수단(541), 레이저 영상 추출수단(542) 및 영상변환수단(543)을 구비한다. 한편, 사용자단말(500)은 파워포인트와 같은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을 제 2 저장부(550)에 저장하며, 입출력부(56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중앙제어부(530)가 시스템 메모리 상에 로딩한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500 in FIG. 1. Referring to FIG. 3, the user terminal 500 includes a second transceiver 510, a second I / O interface 520, a central controller 530, a presentation image implementation module 540, and a second storage unit ( 550 and an input / output unit 560. The central controller 530 includes a camera / beam projector control module 531, and the presentation image implementing module 540 includes screen position value setting means 541, laser image extracting means 542, and image converting means ( 543). 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500 stores a presentation program such as PowerPoint in the second storage unit 550, the central control unit 530 is loaded on the system memory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through the input and output unit 560 do.

중앙제어부(530)의 카메라/빔프로젝터 제어모듈(531)은 빔프로젝터(100) 및 카메라(400)가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도록 제 2 송수신단(510) 또는 제 2 I/O 인터페이스(520)를 제어한다. 이후, 카메라/빔프로젝터 제어모듈(531)은 연결된 데이터 세션을 통해 빔프로젝터(100)로 프리젠테이션 영상이 구현되도록 제어한 뒤, 프리젠테이션 영상 구현 모듈(540)을 웨이크업 한다. The camera / beam projector control module 531 of the central controller 530 connects the second transceiver 510 or the second I / O interface 520 so that the beam projector 100 and the camera 400 connect data sessions. To control. Thereafter, the camera / beam projector control module 531 controls the presentation image to be implemented by the beam projector 100 through the connected data session, and then wakes up the presentation image implementation module 540.

이에 따라, 프리젠테이션 영상 구현 모듈(540)의 스크린 위치값 설정수단(541)은 빔프로젝터(100)에서 출력된 프리젠테이션 영상이 구현되는 스크린(200)에 대한 가로방향(X) 및 세로방향(Y)의 조합에 의한 각 위치값을 설정하여 제 2 저장부(550)에 저장한다. 여기서 위치값은 픽셀값 또는 좌표값으로 설정가능하며, 빔프로젝터(100)에 의해 구현되는 프리젠테이션 영상의 해상도에 따라 다양한 숫자의 값으로 설정가능하다. Accordingly, the screen position value setting means 541 of the presentation image implementation module 540 has a horizontal direction (X) and a vertical direction (X) for the screen 200 on which the presentation image output from the beam projector 100 is implemented. Each position value by the combination of Y) is set and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550. The position value may be set to a pixel value or a coordinate value, and may be set to various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presentation image implemented by the beam projector 100.

프리젠테이션 영상 구현 모듈(540)의 레이저 영상 추출수단(542)은 수신된 레이저 영상을 제 2 저장부(550)에 저장된 다수의 영상과 비교하여 가장 근접한 형태를 갖는 영상을 추출한다.The laser image extraction unit 542 of the presentation image implementation module 540 compares the received laser image with a plurality of image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550 and extracts an image having the closest shape.

프리젠테이션 영상 구현 모듈(540)의 영상변환수단(543)은 레이저 영상 추출수단(542)에 의해 추출된 가장 근접한 영상의 형상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한 뒤, 분할된 형상의 영상을 추출된 레이저 영상의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추출된 위치값과 각각 매칭시켜 프리젠테이션 매칭형 레이저 영상을 생성한 뒤, 제 2 저장부(550)에 저장한다.The image conversion means 543 of the presentation image implementation module 540 divides the shape of the nearest image extracted by the laser image extraction means 542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n extracts the image of the divided shape. The presentation matching laser image is generated by matching the extracted position value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of the laser image, and then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550.

카메라/빔프로젝터 제어모듈(531)은 프리젠테이션 영상 구현 모듈(540)에 의해 생성된 프리젠테이션 매칭형 레이저 영상을 빔프로젝터(100)에 출력되고 있는 프리젠테이션 영상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동기화시켜 출력되도록 빔프로젝터(100)를 제어한다.The camera / beam projector control module 531 synchronizes the presentation matching laser image generated by the presentation image implementing module 540 with the presentation image being output to the beam projector 100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Control the beam projector 100 to b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 영상 추출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영상으로의 적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단말(500)은 데이터 세션이 연결된 빔프로젝터(100)를 제어하며, 빔프로젝터(100)에서 출력된 프리젠테이션 영상이 구현되는 스크린(200)에 대한 가로방향(X) 및 세로방향(Y)의 조합에 의한 각 위치값을 설정한다(S11). 여기서 위치값은 픽셀값 또는 좌표값으로 설정가능하며, 빔프로젝터(100)에 의해 구현되는 프리젠테이션 영상의 해상도에 따라 다양한 숫자의 값으로 설정가능하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pplying to a presentation image by extracting a laser pointer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4, the user terminal 500 controls the beam projector 100 to which the data session is connected,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creen 200 in which the presentation image output from the beam projector 100 is implemented. Each position value by the combination of (X)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s set (S11). The position value may be set to a pixel value or a coordinate value, and may be set to various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presentation image implemented by the beam projector 100.

단계(S11) 이후, 사용자단말(500)로부터 연결된 데이터 세션을 통해 카메라(400)로 스크린(200)에 대한 촬영 명령 및 단계(S11)에서 설정된 각 위치값을 전송된 뒤, 사용자가 소지한 레이저 포인터(300)로부터 레이저가 스크린(200)상에 단계(S11)에 의해 설정된 위치값 중 하나의 위치값으로 조사된다(S12).After the step (S11), after transmitting the shooting command for the screen 200 and each position value set in the step (S11) to the camera 400 through a data session connected from the user terminal 500, the user owned laser The laser is irradiated from the pointer 300 onto one of the position values set by the step S11 on the screen 200 (S12).

단계(S12) 이후, 카메라(400)는 레이저 포인터(300)로부터 출력된 레이저의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 레이저 영상을 촬영과 함께, 연속되게 조사되는 레이저의 위치값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추출한다(S13). 여기서 카메라(400)는 레이저 영상에 대한 촬영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상 스크린(200) 상으로 레이저의 조사가 끊긴 경우까지를 하나의 촬영단위로 판단하며, 그리고 위치값 추출시에 사용되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은 수 μS(Micro Second) 내지 수 mS(Mili Second) 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step S12, the camera 400 captures a laser image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of the laser output from the laser pointer 300, and also extracts a position value of the laser continuously irradia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 S13). Here, the camera 400 determines one shooting unit until the laser is irradiated onto the screen 200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n capturing the laser image as one photographing unit, and the preset time used when extracting the position value. The interval is preferably set to a few μS (Micro Second) to a few mS (Mili Second).

단계(S13) 이후, 카메라(400)는 사용자단말(500)과 연결된 데이터 세션을 통해 단계(S12)에서 촬영된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의 레이저 영상과 레이저 영상의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추출된 위치값을 사용자단말(500)로 전송한다(S14).After the step S13, the camera 400 extracts the laser image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captured in the step S12 and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f the laser image through a data session connected with the user terminal 500. The valu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500 (S14).

단계(S14) 이후, 사용자단말(500)은 단계(S14)에서 수신된 레이저 영상을 제 2 저장부(550)에 저장된 다수의 영상과 비교하여 가장 근접한 형태를 갖는 영상을 추출한다(S15).After operation S14, the user terminal 500 compares the laser image received in operation S14 with a plurality of image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550, and extracts an image having the closest form in operation S15.

단계(S15) 이후, 사용자단말(500)은 단계(S15)에서 추출된 가장 근접한 영상의 형상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한 뒤, 분할된 형상의 영상을 단계(S13)에서 추출된 레이저 영상의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추출된 위치값과 각각 매칭시켜 프리젠테이션 매칭형 레이저 영상을 생성한 뒤, 제 2 저장부(550)에 저장한다(S16).After step S15, the user terminal 500 divides the shape of the closest image extracted in step S15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n divides the divided shape image of the laser image extracted in step S13. The presentation matching laser image is generated by matching the extracted position value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550 (S16).

단계(S16) 이후, 사용자단말(500)은 단계(S16)에서 생성된 프리젠테이션 매칭형 레이저 영상을 단계(S11)에 따른 제어를 통해 빔프로젝터(100)에 출력되고 있는 프리젠테이션 영상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동기화시켜 출력하도록, 스크린(200)으로 프리젠테이션 영상을 출력하고 있는 빔프로젝터(100)를 제어한다(S17).After the step S16, the user terminal 500 controls the presentation matching laser image generated in the step S16 of the presentation image and the time being output to the beam projector 100 through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step S11. The beam projector 100 outputting the presentation image to the screen 200 is controlled to be synchronized and output according to the flow (S17).

이와 같이 정리되는 레이저 포인터 영상 추출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영상으로의 적용 방법은, 카메라가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출력된 레이저의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 레이저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및 The method of applying the presentation to the presentation image according to the laser pointer image extraction thus arranged may include: a first step of the camera photographing and transmitting a laser image to a user terminal during a continuous irradiation time of the laser output from the laser pointer; And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 레이저 영상에 가장 근접한 형태를 갖는 영상을 미리 저장된 다수의 영상 중에서 추출하는 제 2 단계; 및 A second step of extracting, from the plurality of stored images, an image having a form closest to a laser image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received from the camera by the user terminal; And

상기 제 2 단계에서 추출된 가장 근접한 형태를 갖는 영상을 상기 빔프로젝터에 의해 출력되고 있는 프리젠테이션 영상과 함께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빔프로젝터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제 3 단계; 로 구성된다.A third step of outputting the image having the closest shape extracted in the second step together with the presentation image output by the beam projector through the beam projector at the user terminal; .

그리고,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프리젠테이션 영상 출력을 위해 빔프로젝터를 제어하며, 상기 프리젠테이션 영상이 구현되는 스크린에 대한 가로방향(X) 및 세로방향(Y)의 조합에 의한 각 위치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nd, before the first step, the user terminal controls the beam projector for outputting the presentation image, the combination of the horizontal (X) and vertical (Y) for the screen on which the presentation image is implemented. And setting each position value.

위의 제 1 단계를 세분화하여 설명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출력된 레이저의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 레이저 영상을 촬영하는 제 1-1 단계와, 연속되게 조사되는 레이저의 위치값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추출한 뒤, 상기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의 촬영된 레이저 영상과 레이저 위치값을 매칭시키는 제 1-2 단계와,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의 레이저 영상과 매칭된 레이저의 위치값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제 1-3 단계로 구성된다.When the above-described first step is subdivided and described, steps 1-1 in which the camera takes a laser image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of the laser output from the laser pointer, and preset position values of the lasers continuously irradiated After extracting at a time interval, the first and second steps of matching the laser position value and the laser image taken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and the position value of the laser matching the laser image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the user terminal It consists of the first 1-3 steps to transmit.

그리고, 제 3 단계를 세분화하여 설명하면, 상기 사용자단말이 추출된 가장 근접한 형태의 영상으로부터 분할된 형상의 영상을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추출된 레이저의 위치값과 매칭시키는 제 3-1 단계와;When the third step is described in detail, the third step in which the user terminal matches an image of a shape divided from the closest shape image extracted with the position value of the laser extracted at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may be used. Wow;

추출된 레이저의 위치값과 매칭된 분할된 형상의 영상을 생성하여 빔프로젝터를 통하여 영상으로 출력하는 제 3-2 단계로 구성된다.Step 3-2 is performed by generating an image having a divided shape match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extracted laser and outputting the image as an image through a beam projector.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에 의해 설정되는 각 위치값은, 픽셀값 또는 좌표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빔프로젝터에 의해 구현되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영상의 해상도에 따라 위치값의 수가 가변되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가 상기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출력된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 레이저 영상을 촬영시 연속된 조사 시간의 범위를 벗어나는 조사되지 않는 시간의 범위는 1/100~1/2초(second) 인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position value set by the user terminal may be set to a pixel value or a coordinate value, and the number of position values may be set to vary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presentation image implemented by the beam projector. The range of non-irradiated time outside the range of continuous irradiation time when the camera takes a laser image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output from the laser pointer is preferably limited to 1/100 to 1/2 second. Do.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빔프로젝터 200: 스크린
300: 레이저 포인터 400: 카메라
410: CMOS 모듈 420: MCU
430: 레이저 촬영모듈 431: 레이저 촬영수단
432: 레이저 위치값 추출수단 440: 제 1 저장부
450: 제 1 송수신단 460: 제 1 I/O 인터페이스
500: 사용자단말 510: 제 2 송수신단
520: 제 2 I/O 인터페이스 530: 중앙제어부
531: 카메라/빔프로젝터 제어모듈 540: 프리젠테이션 영상 구현 모듈
541: 스크린 위치값 설정수단 542: 레이저 영상 추출수단
543: 영상변환수단 550: 제 2 저장부
560: 입출력부 600: IP망
100: beam projector 200: screen
300: laser pointer 400: camera
410: CMOS module 420: MCU
430: laser imaging module 431: laser imaging means
432: laser position value extraction means 440: first storage unit
450: first transceiver end 460: first I / O interface
500: user terminal 510: second transceiver
520: second I / O interface 530: central control unit
531: camera / beam projector control module 540: presentation image implementation module
541: screen position value setting means 542: laser image extraction means
543: image conversion means 550: second storage unit
560: input and output unit 600: IP network

Claims (6)

카메라가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출력된 레이저의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 레이저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 레이저 영상에 가장 근접한 형태를 갖는 영상을 미리 저장된 다수의 영상 중에서 추출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추출된 가장 근접한 형태를 갖는 영상을 빔프로젝터에 의해 출력되고 있는 프리젠테이션 영상과 함께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빔프로젝터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제 3 단계; 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출력된 레이저의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 레이저 영상을 촬영하는 제 1-1 단계와;
상기 카메라가 연속되게 조사되는 레이저의 위치값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추출한 뒤,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의 촬영된 레이저 영상과 추출한 레이저의 위치값을 매칭시키는 제 1-2 단계와;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의 레이저 영상과 매칭된 레이저의 위치값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제 1-3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이 추출된 가장 근접한 형태의 영상으로부터 분할된 형상의 영상을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추출된 레이저의 위치값과 매칭시키는 제 3-1 단계와;
추출된 레이저의 위치값과 매칭된 분할된 형상의 영상을 생성하여 빔프로젝터를 통하여 영상으로 출력하는 제 3-2 단계로 구성된 레이저 포인터 영상 추출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영상으로의 적용 방법.
A first step in which the camera photographs a laser image and transmits the laser image to a user terminal during a continuous irradiation time of the laser output from the laser pointer; And
A second step of extracting, from the plurality of stored images, an image having a form closest to a laser image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received from the camera by the user terminal; And
A third step of outputting the image having the closest shape extracted in the second step together with the presentation image being output by the beam projector through the beam projector at the user terminal; ≪ / RTI >
The first step is,
A first step of photographing, by the camera, a laser image during a continuous irradiation time of the laser output from the laser pointer;
Extracting the position values of the lasers continuously irradiated by the camera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n matching the positions of the extracted laser images with the extracted lasers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Comprising the first to third steps of transmitt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laser matched to the laser image for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to the user terminal,
In the third step,
A step 3-1 of matching the image of the shape divided from the image of the closest form from which the user terminal is extracted with the position value of the laser extracted at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 method of applying to a presentation image by extracting a laser pointer image comprising the step 3-2 of generating a segmented shape image match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extracted laser and outputting it as an image through a beam projec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출력된 연속된 조사 시간 동안 레이저 영상을 촬영시 연속된 조사 시간의 범위를 벗어나는 조사되지 않는 시간의 범위는 1/100~1/2초(secon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터 영상 추출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영상으로의 적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ange of unirradiated time outside the range of continuous irradiation time when the camera takes a laser image during the continuous irradiation time output from the laser pointer is 1/100 to 1/2 second (second). Method for applying to the presentation image according to the laser pointer image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KR20120098569A 2012-09-06 2012-09-06 Method for applying laser pointer image to presentation image KR1012225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8569A KR101222543B1 (en) 2012-09-06 2012-09-06 Method for applying laser pointer image to presentation image
PCT/KR2013/007872 WO2014038819A1 (en) 2012-09-06 2013-08-31 Method for using laser pointer image as presentation image based on extraction of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8569A KR101222543B1 (en) 2012-09-06 2012-09-06 Method for applying laser pointer image to presentation 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543B1 true KR101222543B1 (en) 2013-01-17

Family

ID=4784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98569A KR101222543B1 (en) 2012-09-06 2012-09-06 Method for applying laser pointer image to presentation imag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2543B1 (en)
WO (1) WO2014038819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910B1 (en) 2013-02-07 2013-04-29 (주)유한프리젠 Method of writing on screen by laser pointer in presentation system
KR101311158B1 (en) * 2013-04-23 2013-09-23 (주)유한프리젠 Method of emphasizing on screen by moving picture in presenta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154A (en) * 2004-02-25 2005-08-30 김성필 Presentation system of image identification and method thereof
JP2011150609A (en) * 2010-01-22 2011-08-04 Kyocera Corp Projection control device, projec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jection control
KR20120067479A (en) * 2010-12-16 2012-06-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Navigation system using picture and method of cotn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5808B2 (en) * 2006-07-19 2011-09-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Presentation system
JP2008287624A (en) * 2007-05-21 2008-11-27 Sony Corp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image processor,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154A (en) * 2004-02-25 2005-08-30 김성필 Presentation system of image identification and method thereof
JP2011150609A (en) * 2010-01-22 2011-08-04 Kyocera Corp Projection control device, projec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jection control
KR20120067479A (en) * 2010-12-16 2012-06-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Navigation system using picture and method of cotnroll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910B1 (en) 2013-02-07 2013-04-29 (주)유한프리젠 Method of writing on screen by laser pointer in presentation system
WO2014123309A1 (en) * 2013-02-07 2014-08-14 (주)유한프리젠 Image writing method using laser pointer in presentation system
KR101311158B1 (en) * 2013-04-23 2013-09-23 (주)유한프리젠 Method of emphasizing on screen by moving picture in present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8819A1 (en)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1588B2 (en) Timing pulses in a depth sensing device
US10419822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witching at a mobile terminal of a smart television and acquiring information at a television terminal
US9135490B1 (en) Communication system, image pickup device,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04110797A (en) Instructed position detector, and instructed position detection system and instructed position detection method
JP2009267578A5 (en)
US110191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7010807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7021445A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WO2019144629A1 (en) Image collec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image collection system and tof camera
KR101258910B1 (en) Method of writing on screen by laser pointer in presentation system
JP2009212816A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terminal selection system
KR101222543B1 (en) Method for applying laser pointer image to presentation image
US20220114743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10382728B2 (en) External device control method,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imaging system control method, external device, 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US202001872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ystem inform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CN108279774A (en) Method, apparatus, smart machine, system and the storage medium of region labeling
KR101311158B1 (en) Method of emphasizing on screen by moving picture in presentation system
WO2023071749A1 (en) Parameter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7169086A (e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program
TWI513274B (en) Handheld device, collaborative photography system using handheld devic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07830B2 (en) Framework and method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f object being photographed
CN110764841B (en) 3D visual application development platform and development method
CN107291272A (en) Cursor position determination and method, device and the relevant device of image capture
US2022034207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WI552597B (en) System for portable wireless object virtual reality photography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