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464B1 - 내부에 화공품을 탑재한 폭발전달용 활성 다지관 - Google Patents

내부에 화공품을 탑재한 폭발전달용 활성 다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464B1
KR101222464B1 KR1020100089083A KR20100089083A KR101222464B1 KR 101222464 B1 KR101222464 B1 KR 101222464B1 KR 1020100089083 A KR1020100089083 A KR 1020100089083A KR 20100089083 A KR20100089083 A KR 20100089083A KR 101222464 B1 KR101222464 B1 KR 101222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ve
explosive energy
explosion
gunpowder
in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898A (ko
Inventor
송기근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00089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464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22Elements for controlling or guiding the detonation wave, e.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2Bridge init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43Connectors for detonating cords and ignition tubes, e.g. Nonel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발에너지 전달장치에서 화약이 내장되지 않은 비활성 다지관과 리던던시(Redundancy)를 고려한 폭발전달용 선형화약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한 화약부품이 내장된 활성 다지관 개발에 관한 것이다.
기폭관과 같은 화약의 기폭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까지 화약의 폭발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폭발에너지 전달장치가 필요하다. 기존의 폭발에너지 전달장치는 코드조립체와 같은 선형화약과 화약이 내장되지 않은 비활성 다지관을 사용하여 폭발에너지 전달회로를 구성하며, 통상 Redundancy를 고려하여 두 개 이상의 기폭원(코드조립체와 같은 선형화약 또는 기폭관)과 비활성 다지관 및 폭발전달 매체로서 선형화약을 사용한다. 기폭원으로부터 폭발에너지를 전달하여야 할 곳이 많아지고 Redundancy를 고려하여야 할 경우, 폭발에너지 전달장치는 회로가 복잡하게 되고 많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여 좁은 공간 내에 설치가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활성 다지관 2개와 Redundancy용 폭발에너지 전달매체(코드조립체와 같은 선형화약) 기능을 하는 활성 다지관을 고안하여 부품 감소 및 설치공간의 최소화로 폭발에너지 전달장치의 단순화와 신뢰도 향상, 비용 감소 및 효율적인 공간사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내부에 화공품을 탑재한 폭발전달용 활성 다지관{EXPLOSION DEVICE BUILT-IN CHEMICAL INSIDE}
본 발명은 내부에 화공품을 탑재한 폭발전달용 활성 다지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폭발에너지 전달장치에서 화약이 내장되지 않은 비활성 다지관과 리던던시(Redundancy)를 고려한 폭발전달용 선형화약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한 화약부품이 내장된 활성 다지관 개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 기폭관과 같은 화약의 기폭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까지 화약의 폭발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폭발에너지 전달장치가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폭발에너지 전달장치는 코드조립체와 같은 선형화약과 화약이 내장되지 않은 비활성 다지관을 사용하여 폭발에너지 전달회로를 구성하며, 통상 리던던시(Redundancy)를 고려하여 두 개 이상의 기폭원(코드조립체와 같은 선형화약 또는 기폭관)과 비활성 다지관 및 폭발전달 매체로서 선형화약을 사용한다.
한편, 기폭원으로부터 폭발에너지를 전달하여야 할 곳이 많아지고 리던던시를 고려하여야 할 경우, 폭발에너지 전달장치는 회로가 복잡하게 되고 많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여 좁은 공간내에 설치가 어려운 기술적 한계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폭발에너지 전달장치는 코드조립체와 같은 선형화약과 화약이 내장되지 않은 비활성 다지관을 사용하여 폭발에너지 전달회로를 구성하므로 기폭원으로부터 폭발에너지를 전달하여야 할 곳이 많아지고 Redundancy를 고려하여야 할 경우, 폭발에너지 전달장치는 회로가 복잡하게 되고 많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여 좁은 공간내에 설치가 어려운 기술적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활성 다지관 2개와 리던던시(Redundancy)용 폭발에너지 전달매체(코드조립체와 같은 선형화약) 기능을 하는 활성 다지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화약이 내장되지 않은 비활성 다지관과 Redundancy를 고려한 폭발전달용 선형화약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화약부품이 내장된 활성 다지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폭발전달용 활성 다지관은,
일면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폭발에너지 전달용 입출력 구멍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면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폭발에너지 전달용 입출력 구멍과;
상기 입출력 구멍 간을 연결시키는 내부에 탑재된 화약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에 탑재된 화약부품은 리던던시(Redundancy)용 폭발에너지 전달매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폭발에너지 전달용 입출력 구멍이 더 필요할 경우 활성 다지관의 구멍수 증가에 따른 다지관 길이 및 상기 내부의 화약부품의 길이 조정을 가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폭발에너지 전달 장치는
상부에 2개의 폭발에너지 입력용 구멍들과, 3개의 측면 각각에 2개가 배치되어 6개의 폭발에너지 출력용 구멍들이 형성된 8방 다지관; 및
상기 폭발에너지 입력용 구멍 간에 구성되고 내부에 내장된 화약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약부품은, 리던던시(Redundancy)용 코드조립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활성 다지관 2개와 리던던시(Redundancy)용 폭발에너지 전달매체(코드조립체와 같은 선형화약) 기능을 하는 활성 다지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 다지관을 사용하는 경우, 폭발에너지 전달장치의 부품수 감소 및 단순화로 신뢰도 향상 및 비용 감소를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으며, 좁은 공간 내의 배치도 가능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비활성 다지관을 이용한 폭발에너지 전달장치이다.
도 2는 비활성 다지관이다.
도 3은 활성 다지관을 이용한 폭발에너지 전달장치이다.
도 4는 활성 다지관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화공품을 탑재한 폭발전달용 활성 다지관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관련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복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기본 개념은, 비활성 다지관 2개와 리던던시(Redundancy)용 폭발에너지 전달매체(코드조립체와 같은 선형화약) 기능을 하는 활성 다지관을 제공함으로써, 폭발에너지 전달장치의 부품수 감소, 전달장치의 단순화로 신뢰도 향상 및 비용 감소를 획기적으로 증진하는 것이다.
도 1은 비활성 다지관 및 선형화약을 이용한 폭발에너지 전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활성 다지관을 이용한 폭발에너지 전달장치는 코드 조립체들과 비활성 다지관들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의 폭발에너지 전달장치는 2개의 기폭원(코드조립체 1 및 코드조립체 2)과 2개의 비활성 5방다지관(3,4), 폭발에너지를 전달하는 7개의 선형화약(코드조립체 5,6,7,8,9,10,11)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폭발에너지를 6곳(코드조립체 5,6,7,8,9,10)으로 전달하는 형태이다.
또한, 도 1에서, 2개의 기폭원(코드조립체 1 및 코드조립체 2)과 비활성 다지관(3, 4) 및 코드조립체(11)는 리던던시(Redundancy)를 고려하여, 어느 한쪽의 폭발전달 회로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다른 한쪽이 작동하여 작동하지 않은 폭발회로도 작동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즉, 도 1에서 1번의 코드조립체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작동된 2번의 코드조립체가 비활성 다지관 및 리던던시(Redundancy)용 코드조립체(11)를 경유하여 비활성 다지관(3)과 연결된 코드조립체들(5, 6, 7)을 작동시키는 방식이다.
한편, 도 2는 5방의 비활성 다지관의 도면이다. 즉, 도 1의 비활성다지관(3 및 4)의 평면도를 포함한 측면도 및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2의 비활성 다지관은 도 2과 같이 내부에 화약 부품이 내장되어 있지 않아 폭발에너지의 입력과 출력용 구멍(12)을 5개 이상 내기가 어렵다. 따라서 비활성 다지관을 사용하여 리던던시(Redundancy)를 고려한 폭발에너지 전달장치를 구성하면 도 1과 같이 부품수도 많고 폭발회로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좁은 공간 내에 설치도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도 1 및 도 2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2개의 비활성 다지관(도 1의 3,4) 및 리던던시(Redundancy)용 코드조립체(도 1의 11)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도 3 및 도 4와 같은 활성 다지관을 고안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활성 다지관을 이용한 폭발에너지 전달장치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도 3의 활성 다지관의 평면도, 측면도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성 다지관은 폭발에너지의 입력과 출력용 구멍(또는 개구)(12)이 8개인 8방 다지관으로서 상부의 2개의 입력용 구멍과 측면 6개의 출력용 구멍이 있어 8방 다지관은 그 자체로 보았을 때 앞서 설명한 2개의 비활성 다지관을 통합한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내부에는 도 1의 Redundancy용 코드조립체(11)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화약부품(13)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활성 다지관을 사용하면 도 1의 폭발에너지 전달장치를 도 3 와 같이 단순화할 수 있으며, 공간활용 능력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은 종래 폭발에너지 전달장치에서 필요에 의해 입출력 구멍을 더 구성을 할 시, 비활성 다지관과 코드조립체가 더욱 많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활성 다지관을 사용하게 되면, 필요한 만큼 입출력 구멍수(예를 들어, 8방 다지관, 11방 등의 다지관)를 증가시켜 구성할 수 있고, 내부의 화약부품(13)의 길이를 조정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기폭원 (코드조립체와 같은 선형화약류 또는 기폭관)
2 : 기폭원 (코드조립체와 같은 선형화약류 또는 기폭관)
3 : 비활성 다지관 (5방)
4 : 비활성 다지관 (5방)
5, 6, 7, 8, 9, 10 : 폭발전달용 선형화약류 (예 ; 코드조립체)
11 : Redundancy를 고려한 폭발전달용 선형화약류 (예 ; 코드조립체)
12 : 다지관의 폭발전달 입출력용 구멍
13 : 화약부품

Claims (6)

  1. 일면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폭발에너지 전달용 입출력 구멍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면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폭발에너지 전달용 입출력 구멍과;
    상기 입출력 구멍 간을 연결시키는 내부에 탑재된 화약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폭발에너지 전달용 입출력 구멍이 더 필요할 경우 활성 다지관의 구멍수 증가에 따른 다지관 길이 및 상기 내부의 화약부품의 길이 조정을 가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전달용 활성 다지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에 탑재된 화약부품은
    리던던시(Redundancy)용 폭발에너지 전달매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전달용 활성 다지관.
  3. 삭제
  4. 상부에 2개의 폭발에너지 입력용 구멍들과, 3개의 측면 각각에 2개가 배치되어 6개의 폭발에너지 출력용 구멍들이 형성된 8방 다지관; 및
    상기 폭발에너지 입력용 구멍 간에 구성되고 내부에 내장된 화약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에너지 전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8방 다지관은
    2개의 비활성 다지관을 통합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에너지 전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약부품은
    리던던시(Redundancy)용 코드조립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에너지 전달 장치.
KR1020100089083A 2010-09-10 2010-09-10 내부에 화공품을 탑재한 폭발전달용 활성 다지관 KR101222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083A KR101222464B1 (ko) 2010-09-10 2010-09-10 내부에 화공품을 탑재한 폭발전달용 활성 다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083A KR101222464B1 (ko) 2010-09-10 2010-09-10 내부에 화공품을 탑재한 폭발전달용 활성 다지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898A KR20120026898A (ko) 2012-03-20
KR101222464B1 true KR101222464B1 (ko) 2013-01-15

Family

ID=4613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083A KR101222464B1 (ko) 2010-09-10 2010-09-10 내부에 화공품을 탑재한 폭발전달용 활성 다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4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056B1 (ko) 2002-07-31 2004-10-02 최찬규 폭약 발파장치 및 방법
KR100519219B1 (ko) * 2003-05-06 2005-10-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형화약 기폭을 위한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056B1 (ko) 2002-07-31 2004-10-02 최찬규 폭약 발파장치 및 방법
KR100519219B1 (ko) * 2003-05-06 2005-10-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형화약 기폭을 위한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898A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120320A3 (en) Computerized mine production system
TW200626215A (en) Feed spacer for spiral-wound membrane module abstract of the invention
WO2018119130A3 (en) Improved electronic module housing for downhole use
WO2008048210A3 (en) Compact dual-band antenna system
WO2002027785A3 (en) Direct heatpipe attachment to die using center point loading
GB2457208A (en) Process for assembling a loading tube
WO2005117596A3 (en) Transmission for a remote catheterization system
WO2007112404A3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8060769A3 (en) Providing a sensor array
WO2004061349A3 (en) Pipe-inspection system
WO2005048509A3 (en) One button push-to-translate mobile communications
WO2007029168A3 (en) Asynchronous ripple pipeline
SE0300197D0 (sv) Verktygskoppling för roterande verktyg
US20140157977A1 (en) Cylinder mechanism
KR101222464B1 (ko) 내부에 화공품을 탑재한 폭발전달용 활성 다지관
WO2007044733A8 (en) Assembly for constructing responsive structural elements
WO2008074496A8 (en) Modular reactor for exothermic/endothermic chemical reactions
US20160165020A1 (en) Pair of integrated wireless earphon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NO20033942L (no) Rörkobling
WO2007061748A3 (en) Adhesive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11154683A3 (en) Perforating gun and method of perforating a well
CN102482963A (zh) 辐射声减小结构
TW200728673A (en) Heat pipe having directing groove section
WO2008111246A1 (ja) 繊維構造体及び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ー型排ガス浄化触媒
CN103400785A (zh) 一种用于光刻胶瓶的导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