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398B1 -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398B1
KR101222398B1 KR1020110042294A KR20110042294A KR101222398B1 KR 101222398 B1 KR101222398 B1 KR 101222398B1 KR 1020110042294 A KR1020110042294 A KR 1020110042294A KR 20110042294 A KR20110042294 A KR 20110042294A KR 101222398 B1 KR101222398 B1 KR 101222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vehicle
system operating
input voltage
switch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4575A (en
Inventor
이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10042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398B1/en
Priority to JP2011126431A priority patent/JP2012006585A/en
Priority to US13/165,328 priority patent/US20110313618A1/en
Priority to CN2011101694660A priority patent/CN102336149A/en
Priority to JP2012220790A priority patent/JP2013014328A/en
Publication of KR20120124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5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3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전원 계통의 전압 레벨의 변화와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장착될 수 있는 전자 제어 장치와, 이러한 전자 제어 장치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차량 전원 계통의 전압 레벨에 관계없이 전자 제어 장치에서의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동작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nd a vehicle control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that can be mounted on any vehicle regardless of a change in the voltage level of the vehicle power system, and such a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is mounted on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by operating at a system operating voltage in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regardless of a voltage level of a vehicle power system of the vehicle.

Description

전자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CONTROL METHOD}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nd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of the vehicle.

운전자의 요구 기능의 다양화, 높은 안정성 요구 등에 맞추어 최근 자동차의 전자화/다기능화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는 가운데, 현 12V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자동차의 전력이 한계에 봉착해 있다. 이에 대하여, 42V 차량전원계통 개발을 통한 차량 전원의 변화를 추진하는 방향과 함께, 고전류를 사용하는 조향 장치, 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등은 그 효율을 높이고, 높은 출력을 확보하기 위해, 유닛(Unit) 단위에서 승압 기능을 추가하여, 불충분한 출력을 보강하는 방향으로 연구 개발이 추진 중이다. In recent years, with the diversification of drivers' demands and high stability demands, electronics and multifunctionalization of automobiles have been actively progressed, and the power of vehicles using current 12V battery power is at a limit. On the other hand, along with the direction to promote the change of vehicle power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42V vehicle power system, the steering device using high current, 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etc.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secure high output To this end, research and development is underway to reinforce insufficient power by adding a boost function at the unit level.

한편으로는, 연료 전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순수 전기 자동차 등 친환경을 목적으로 하는 친환경 자동차 개발이 현재 양산이 임박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친환경 자동차는 그 기반이 기름을 쓰는 엔진을 모터로 바꾸어 동력을 얻는 방식을 취하며, 기본적으로 높은 전압 레벨(예: 200~400V)의 차량 전원 계통을 취하고 있다. 즉, 다시 말해, 차량 기준으로 그 전원의 계통은 현 12V, 42V, 200 ~ 400V 등 다양한 변화의 모습으로 변모하고 있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development of eco-friendly vehicles aimed at eco-friendliness, such as fuel cell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and pure electric vehicles, is currently in mass production. These eco-friendly vehicles are powered by converting oil-based engines into motors, and basically take a vehicle power system with high voltage levels (eg 200-400V). In other words, the system of the power source on the basis of the vehicle is changing to various changes such as current 12V, 42V, 200 ~ 400V.

한편, 차량에는 조향 등의 각종 차량 제어를 위하여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가 반드시 장착되게 되는데, 이때 차량에 장착되는 전자 제어 장치는 고유한 시스템 동작 전압하에서 동작하고, 이러한 시스템 동작 전압은 장착될 차량의 차량 전원 계통의 전압 레벨과 동일해야만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Electronic Control Unit) for the control of various vehicles, such as steering, the electronic control unit mounted on the vehicle operates under a unique system operating voltage, such a system operating voltage Must be equal to the voltage level of the vehicle power system of the vehicle to be mounted.

이로 인해, 종래의 제조 업체에서는 차량 전원 계통의 전압 레벨별로 전자 제어 장치를 따로 만들어 왔다. 이는 많은 설계 비용과 많은 제조 비용이 드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For this reason, conventional manufacturers have made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each voltage level of a vehicle power system separately. This leads to the problem of high design cost and high manufacturing cost.

차량 전원 계통이 다양하게 변모해 가는 요즈음 추세로 볼 때, 전자 제어 장치 제조 업체는 다양한 차량 전원 계통 각각에 맞는 각기 다른 전자 제어 장치를 만들어야 하는 부담감을 더욱 크게 느낄 것이다. As vehicle power systems are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e these days, manufacturers of electronic control devices will feel more pressured to create different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each of the various vehicle power systems.

또한, 차량에 장착할 전자 제어 장치의 시스템 동작 전압과 차량 전원 계통의 전압 레벨이 다른 경우, 차량 전원 계통에서 전자 제어 장치로 입력되는 입력 전압을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승압 또는 강압하는 승압 장치 또는 강압 장치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to be mounted on the vehicle is different from the voltage level of the vehicle power supply system, the boosting device or step-down device for boosting or stepping down the input voltage input from the vehicle power supply system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s required separately.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전원 계통의 전압 레벨의 변화와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장착될 수 있는 전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this backgrou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that can be mounted in any vehicle,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voltage level of the vehicle power system.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차량의 차량 전원 계통으로부터 입력된 입력 전압과 미리 정해진 시스템 동작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보다 낮으면 승압 조건으로 판단하여 승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보다 높으면 강압 조건으로 판단하여 강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승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전압을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승압하고, 상기 강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전압을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강압하는 전압 변환 회로부; 및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승압된 입력 전압 또는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강압된 입력 전압을 입력받아 동작하여 차량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a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input voltage input from the vehicle power system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system operating voltage;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 boost control signal when the input voltage is low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o determine a boost condition, and output a boost control signal when the input voltage is high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 voltage conversion circuit unit for boosting the input voltage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step-up control signal and for stepping down the input voltage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step-down control signal; And a vehicle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receive and operate an input voltage stepped up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or an input voltage stepped down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o perform a vehicle control function.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자 제어 장치가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차량 전원 계통의 전압 레벨에 관계없이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서의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동작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기 차량 전원 계통으로부터 입력 전압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 전압과 미리 정해진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보다 낮으면 승압 조건으로 판단하여 승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보다 높으면 강압 조건으로 판단하여 강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승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전압을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승압하고, 상기 강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전압을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강압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승압된 입력 전압 또는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강압된 입력 전압을 입력받아 동작하여 차량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가 전압 변환을 통해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in which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is mounted in a vehicle and operates at a system operating voltage in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regardless of the voltage level of the vehicle power system of the vehicle. Receiving an input voltage from the vehicle power system; Comparing the input voltage with the predetermined system operating voltage; Judging as a boosting condition if the input voltage is low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nd outputting a boosting control signal; if the input voltage is high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determining a step-down condition to output a step-down control signal; Stepping up the input voltage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step-up control signal, and stepping down the input voltage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step-down control signal; And perform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by receiving and operating an input voltage stepped up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or an input voltage stepped down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o perform a vehicle control function. Provide a way to.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전원 계통의 전압 레벨의 변화와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장착될 수 있는 전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제조 업체는, 전자 제어 장치가 장착될 차량의 차량 전원 계통의 전압 레벨을 고려하지 않고 전자 제어 장치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that can be mounted on all vehicles irrespective of changes in the voltage level of the vehicle power supply system. Therefore, the manufacturer can produce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without considering the voltage level of the vehicle power supply system of the vehicle on which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is to be moun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에 포함된 전압 변환 회로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를 각기 다른 차량 전원 계통을 갖는 차량에 장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voltage conversion circuit included in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vehicles having different vehicle power systems.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100)는, 차량의 차량 전원 계통(160)으로부터 입력된 입력 전압과 미리 정해진 시스템 동작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110)와, 입력 전압이 시스템 동작 전압보다 낮으면 승압 조건으로 판단하여 승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 전압이 시스템 동작 전압보다 높으면 강압 조건으로 판단하여 강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0)와, 승압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전압을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승압하고, 강압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전압을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강압하는 전압 변환 회로부(130)와,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승압된 입력 전압 또는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강압된 입력 전압을 입력받아 동작하여 차량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14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an input voltage input from a vehicle power supply system 160 of a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system operating voltage. When the input voltage is low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he control unit 120 outputs a step-up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tep-up condition. When the input voltage is high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he controller 110 outputs the step-down control signal. And a voltage conversion circuit 130 for boosting the input voltage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step-up control signal, and stepping down the input voltage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step-down control signal, and an input voltage or system operation stepped up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nd a vehicle control system 140 that receives and operates an input voltage stepped down to perform a vehicle control func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입력 전압이 시스템 동작 전압보다 낮으면 승압 조건으로 판단하여 승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 전압이 시스템 동작 전압보다 높으면 강압 조건으로 판단하여 강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데, 만약, 입력 전압이 시스템 동작 전압과 같으면 승압 제어 신호 및 강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입력 전압이 차량 제어 시스템(140)에 그대로 입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put voltage is low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the boosting condition and outputs the boosting control signal. When the input voltage is high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e lowering condition and outputs the stepping control signal. If the input voltage is equal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he input voltage is controlled to be input to the vehicle control system 140 without outputting the boost control signal and the step-down control signal.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전압 변환 회로부(13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voltage conversion circuit unit 130 included in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전압 변환 회로부(130)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view illustrating in detail the voltage conversion circuit 130 included in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전압 변환 회로부(130)는, 입력 전압의 입력 단자(150)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Q1)와, 제2 스위칭 소자(Q2)와, 제1 스위칭 소자(Q1)의 출력단과 제2 스위칭 소자(Q2)의 입력단을 연결하는 인덕터(L)를 포함하는 초퍼 회로(Chopper Circuit)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2, the above-described voltage conversion circuit unit 130 may include a first switching element Q1, a second switching element Q2, and a first switching element ()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150 of an input voltage. And a chopper circuit including an inductor L connecting the output terminal of Q1)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도 2를 참조하면, 전압 변환 회로부(130)를 이루는 초퍼 회로는, 제1 스위칭 소자(Q1)의 입력단(211)이 입력 전압의 입력 단자(150)와 연결되고, 제1 스위칭 소자(Q1)의 구동단(212)이 제어부(120)와 연결되며, 제1 스위칭소자(Q1)의 출력단(213)이 제1다이오드(D1)의 캐소드(Cathode)와 인덕터(L)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2 스위칭 소자(Q2)의 입력단(221)이 인덕터(L)의 타단과 제2다이오드(D2)의 애노드(Anode)와 연결되며, 제2 스위칭 소자(Q2)의 구동단(222)이 제어부(120)와 연결되고, 제2다이오드(D2)의 캐소드(Cathode)는 콘덴서(C)와 차량 제어 시스템(140)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 in the chopper circuit forming the voltage conversion circuit unit 130, an input terminal 211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is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150 of an input voltage, and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is provided. A driving terminal 212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213 of the cathode (Cathode) of the first diode (D1) and one end of the inductor (L), The input terminal 221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L and the anode of the second diode D2, and the driving terminal 222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is controlled. It is connected to the 120, the cathode (Cathode) of the second diode (D2)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ndenser (C) and the vehicle control system 140.

제1 스위칭 소자(Q1)의 구동단(212)은 제어부(120)와 연결되어 Q1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데, 입력되는 Q1 제어 신호는 승압 제어 신호 또는 강압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2 스위칭 소자(Q2)의 구동단(222)은 제어부(120)와 연결되어 Q2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데, 입력되는 Q2 제어 신호는 승압 제어 신호 또는 강압 제어 신호일 수 있다. The driving stage 212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20 to receive a Q1 control signal, and the input Q1 control signal may be a boost control signal or a step-down control signal. In addition, the driving stage 222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20 to input a Q2 control signal, and the input Q2 control signal may be a boost control signal or a step-down control signal.

만약, 제어부(120)가 입력 전압이 시스템 동작 전압보다 낮아 승압 조건으로 판단하여 승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1 스위칭 소자(Q1)의 구동단(212)으로는 승압 제어 신호로서의 Q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스위칭 소자(Q2)의 구동단(222)으로는 승압 제어 신호로서의 Q2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If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that the input voltage is low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nd outputs the boosting control signal, the controller 120 outputs the boosting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stage 212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as the boosting control signal. And a Q2 control signal as a boost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stage 222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이때, Q1 제어 신호는 제1 스위칭 소자(Q1)를 풀 온(Full on) 되도록 하는 전압 값을 갖는 신호이고, Q2 제어 신호는 제2 스위칭 소자(Q2)를 초퍼 제어(Chopper Control) 시키기 위한 전압 값을 갖는 신호이다. At this time, the Q1 control signal is a signal having a voltage value to make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pull on, and the Q2 control signal is a voltage for chopper control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A signal with a value.

Q1 제어 신호(승압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스위칭 소자(Q1)가 풀 온(Full on) 되고, Q2 제어 신호(승압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스위칭 소자(Q2)가 초퍼 제어되어 온-오프(On-Off)를 반복함으로써, 인덕터(L)에 흐르는 전류량이 변하게 되어 전압이 유도되고, 이로 인해 입력 전압이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승압 된다.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is pulled on according to the Q1 control signal (step-up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is chopper-controlled on-off according to the Q2 control signal (step-up control signal). By repeating (On-Off),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in the inductor L is changed to induce a voltage, thereby boosting the input voltage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제어부(120)는, Q2 제어 신호(승압 제어 신호)를 조절하여 제2 스위칭 소자(Q2)의 온-오프(On-Off) 반복 비율 등을 조절함으로써, 입력 전압의 승압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20 may adjust the boost ratio of the input voltage by adjusting the Q2 control signal (step-up control signal) to adjust the on-off repetition ratio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만약, 제어부(120)가 입력 전압이 시스템 동작 전압보다 높아 강압 조건으로 판단하여 강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1 스위칭 소자(Q1)의 구동단(212)으로는 강압 제어 신호로서의 Q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스위칭 소자(Q2)의 구동단(222)으로는 강압 제어 신호로서의 Q2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If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that the input voltage is high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o determine the voltage drop condition, the controller 120 outputs the voltage drop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stage 212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And a Q2 control signal as a step-down control signal to the drive stage 222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이때, Q1 제어 신호는 제1 스위칭 소자(Q1)를 초퍼 제어(Chopper Control) 시키기 위한 전압 값을 갖는 신호이고, Q2 제어 신호는 제2 스위칭 소자(Q2)를 풀 오프(Full off) 되도록 하는 전압 값을 갖는 신호이다. In this case, the Q1 control signal is a signal having a voltage value for chopper control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and the Q2 control signal is a voltage for pulling of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A signal with a value.

Q2 제어 신호(강압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스위칭 소자(Q2)가 풀 오프(Full off)되고, Q1 제어 신호(강압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스위칭 소자(Q1)가 초퍼 제어되어 온-오프(On-Off)를 반복함으로써, 제1 스위칭 소자(Q1)의 온-오프(On-Off) 비율만큼 전류량이 줄어들게 되어 입력 전압이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강압된다.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is pulled off in accordance with the Q2 control signal (step-down control signal), and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is chopper-controlled on-off in accordance with the Q1 control signal (step-down control signal). By repeating (On-Off), the amount of current is reduced by the on-off ratio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so that the input voltage is stepped down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제어부(120)는, Q1 제어 신호(강압 제어 신호)를 조절하여 제1 스위칭 소자(Q1)의 온-오프(On-Off) 반복 비율 등을 조절함으로써, 입력 전압의 강압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20 may adjust the step-down ratio of the input voltage by adjusting the Q1 control signal (step-down control signal) to adjust the on-off repetition rat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위에서 언급한 제1 스위칭 소자(Q1)는 P형 전력 반도체 소자일 수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제2 스위칭 소자(Q2)는 N형 전력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first switching device Q1 may be a P-type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above-mentioned second switching device Q2 may be an N-type power semiconductor device.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0)는, 전자 제어 장치(100)의 시스템 동작 전압과 차량 전원 계통(160)의 전압 레벨의 동일 여부에 관계 없이, 모든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all vehicles regardless of whether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of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vehicle power system 160 are the same. have. This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0)를 각기 다른 차량 전원 계통(311, 321, 331)을 갖는 차량(310, 320, 330)에 장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vehicles 310, 320, and 330 having different vehicle power systems 311, 321, and 331.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차량 제어 시스템(140)의 시스템 동작 전압이 12V인 것으로 가정한다. In FIG. 3, it is assumed that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40 included in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2V.

도 3의 (a)는, 고전압(200~400V 정도)의 입력전압을 출력하는 고전압 차량 전원 계통(311)을 갖는 전기 자동차(310)에 시스템 동작 전압이 12V인 전자 제어 장치(100)를 장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3A shows a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having a system operating voltage of 12 V in an electric vehicle 310 having a high voltage vehicle power system 311 that outputs an input voltage of a high voltage (about 200 to 400 V).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ase.

전자 제어 장치(100)는 입력 전압이 시스템 동작 전압(12V)보다 높기 때문에, 높은 입력전압을 시스템 동작 전압인 12V로 강압하여 차량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ince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has an input voltage high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12V,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may step down the high input voltage to 12V,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o perform a vehicle control function.

도 3의 (b)는, 6V의 입력전압을 출력하는 고전압 차량 전원 계통(321)을 갖는 승합차(320)에 시스템 동작 전압이 12V인 전자 제어 장치(100)를 장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3B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100 having a system operating voltage of 12V is mounted on a van 320 having a high voltage vehicle power supply system 321 that outputs an input voltage of 6V.

전자 제어 장치(100)는 입력 전압이 시스템 동작 전압(12V)보다 낮기 때문에, 낮은 입력전압을 시스템 동작 전압인 12V로 승압하여 차량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ince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has an input voltage low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12V,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may boost the low input voltage to 12V,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o perform a vehicle control function.

도 3의 (c)는, 48V의 입력전압을 출력하는 고전압 차량 전원 계통(331)을 갖는 트럭(330)에 시스템 동작 전압이 12V인 전자 제어 장치(100)를 장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3C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100 having a system operating voltage of 12V is mounted on a truck 330 having a high voltage vehicle power system 331 that outputs an input voltage of 48V.

전자 제어 장치(100)는 입력 전압이 시스템 동작 전압(12V)보다 높기 때문에, 높은 입력전압을 시스템 동작 전압인 12V로 강압하여 차량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ince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has an input voltage high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12V,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may step down the high input voltage to 12V,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o perform a vehicle control func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제어 장치(100)는 시스템 동작 전압과 다른 입력 전압을 출력하는 차량 전원 계통(311, 321, 331)을 갖는 차량(310, 320, 330)에 모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별도의 승압 장치나 강압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3,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may be mounted on all of the vehicles 310, 320, and 330 having the vehicle power system 311, 321, and 331 outputting an input voltage different from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t this time, a separate booster or step-down device is not required.

따라서, 제조 업체에서는, 전자 제어 장치(100)가 장착될 차량의 차량 전원 계통의 전압 레벨을 고려하지 않고, 한 종류의 전자 제어 장치(100)만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설계 및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승압 장치 및 강압 장치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 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Therefore, the manufacturer can manufacture only one type of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without considering the voltage level of the vehicle power system of the vehicle on which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is to be mounted. As a result, design and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and space utilization in the vehicle can be increased because a separate booster and step-down device are not required.

이상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0)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차량 전원 계통(160)의 전압 레벨에 관계없이 전자 제어 장치(100)에서의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동작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전자 제어 장치(100)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차량 전원 계통(160)의 전압 레벨에 관계없이 전자 제어 장치(100)에서의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동작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and operated at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of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regardless of the voltage level of the vehicle power system 160 of the vehicle. A method of performing vehicle control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such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100 is mounted on a vehicle so as to be a system operating voltage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100 regardless of the voltage level of the vehicle power system 160 of the vehicle. A method of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vehicle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0)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차량 전원 계통의 전압 레벨에 관계없이 전자 제어 장치(100)에서의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동작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차량의 차량 전원 계통으로부터 입력 전압을 입력받는 단계(S400)와, 입력 전압과 미리 정해진 시스템 동작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S402)와, 입력 전압이 시스템 동작 전압보다 낮으면 승압 조건으로 판단하여 승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 전압이 시스템 동작 전압보다 높으면 강압 조건으로 판단하여 강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404)와, 승압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전압을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승압하고, 강압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전압을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강압하는 단계(S406); 및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승압된 입력 전압 또는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강압된 입력 전압을 입력받아 동작하여 차량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408)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a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to operate at a system operating voltage of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100 regardless of the voltage level of the vehicle power system of the vehicle. The control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an input voltage from a vehicle power system of the vehicle (S400), comparing the input voltage with a predetermined system operating voltage (S402), and boosting if the input voltage is low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Outputting the boost control signal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condition, and if the input voltage is high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determining the step-down condition and outputting the step-down control signal (S404), and boosting the input voltage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boost control signal Step-down the input voltage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step-down control signal (S406); And receiving and operating an input voltage stepped up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or an input voltage stepped down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o perform a vehicle control function (S408).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차량의 차량 전원 계통으로부터 입력된 입력 전압과 미리 정해진 시스템 동작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보다 낮으면 승압 조건으로 판단하여 승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보다 높으면 강압 조건으로 판단하여 강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승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전압을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승압하고, 상기 강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전압을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강압하는 전압 변환 회로부; 및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승압된 입력 전압 또는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강압된 입력 전압을 입력받아 동작하여 차량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A comparison unit comparing an input voltage input from a vehicle power supply system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system operating voltage;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 boost control signal when the input voltage is low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o determine a boost condition, and output a boost control signal when the input voltage is high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 voltage conversion circuit unit for boosting the input voltage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step-up control signal and for stepping down the input voltage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step-down control signal; And
A vehicle control system that receives and operates an input voltage stepped up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or an input voltage stepped down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o perform a vehicle control function.
Electronic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 회로부는,
상기 입력 전압의 입력 단자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출력단과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입력단을 연결하는 인덕터를 포함하는 초퍼 회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풀 온(Full oN) 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초퍼 제어되어,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승압되고,
상기 강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풀 오프(FuLL off) 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초퍼 제어되어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강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oltage conversion circuit unit,
A chopper circuit including a first switching element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input voltage, a second switching element, an inductor connecting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an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The first switching element is pulled on (Full oN)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chopper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boost control signal, the input voltage is stepped up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pulled off (FuLL off) and the first switching element is chopper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tep-down control signal so that the input voltage is stepped down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퍼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입력단이 상기 입력 전압의 입력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구동단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위칭소자의 출력단이 제1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인덕터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입력단이 상기 인덕터의 타단과 제2다이오드의 애노드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구동단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콘덴서와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과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hopper circuit,
An in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is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input voltage, a driving terminal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is connected to the cathode of the first diode and the inductor. One end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and the anode of the second diode, the driving end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the cathode of the second diode is connected to the capacitor. And the vehicle control system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P형 전력 반도체 소자이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N형 전력 반도체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first switching element is a P-type power semiconductor element,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an N-type power semiconductor element.
전자 제어 장치가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차량 전원 계통의 전압 레벨에 관계없이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서의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동작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기 차량 전원 계통으로부터 입력 전압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 전압과 미리 정해진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보다 낮으면 승압 조건으로 판단하여 승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보다 높으면 강압 조건으로 판단하여 강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승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전압을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승압하고, 상기 강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전압을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강압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승압된 입력 전압 또는 상기 시스템 동작 전압으로 강압된 입력 전압을 입력받아 동작하여 차량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가 전압 변환을 통해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by mounting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to a vehicle and operating at a system operating voltage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regardless of the voltage level of the vehicle power system of the vehicle,
Receiving an input voltage from the vehicle power system of the vehicle;
Comparing the input voltage with the predetermined system operating voltage;
Judging as a boosting condition if the input voltage is low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nd outputting a boosting control signal; if the input voltage is higher than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determining a step-down condition to output a step-down control signal;
Stepping up the input voltage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step-up control signal, and stepping down the input voltage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step-down control signal; And
Perform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by receiving and operating an input voltage stepped up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or an input voltage stepped down to the system operating voltage;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comprising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through the voltage conversion.
KR1020110042294A 2010-06-22 2011-05-04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control method KR1012223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294A KR101222398B1 (en) 2011-05-04 2011-05-04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2011126431A JP2012006585A (en) 2010-06-22 2011-06-06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13/165,328 US20110313618A1 (en) 2010-06-22 2011-06-21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control method
CN2011101694660A CN102336149A (en) 2010-06-22 2011-06-22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2012220790A JP2013014328A (en) 2010-06-22 2012-10-02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294A KR101222398B1 (en) 2011-05-04 2011-05-04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control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575A KR20120124575A (en) 2012-11-14
KR101222398B1 true KR101222398B1 (en) 2013-01-16

Family

ID=4750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294A KR101222398B1 (en) 2010-06-22 2011-05-04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3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0284B (en) * 2014-07-11 2018-04-06 李付政 A kind of vehicle electronic control unit optimizes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476A (en) * 2005-11-02 2007-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head lamp control apparatus
KR100861254B1 (en) 2008-04-08 2008-10-01 (주)록스코 Alternator continuous driv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utomobile performance improvement and fuel sav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476A (en) * 2005-11-02 2007-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head lamp control apparatus
KR100861254B1 (en) 2008-04-08 2008-10-01 (주)록스코 Alternator continuous driv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utomobile performance improvement and fuel sav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575A (en)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07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efficiency operation of fuel cell systems
JP6536466B2 (en) Power supply
CN107054258B (en) Vehicle power distribution using relays with integrated voltage converters
JP4764499B2 (en) DC / DC converter and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the DC / DC converter
US9203314B2 (en) Converter controlling apparatus and multiphase converter
JP4505767B2 (en) Fuel cell system
JP6082496B2 (en) Power drive system
US20120086417A1 (en) Converter controlling apparatus
JP2011041425A (en) Power supply controller for vehicle
US2016036838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idirectional converter of eco-friendly vehicle
CN101372203A (en) Automotive pow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5477189B2 (en) Vehicle power control device
JP2013014328A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KR101222398B1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2011019338A (en) Converter control apparatus
CN211642078U (en) Voltage stabilization controller and vehicle
JP2011004460A (en) Voltage converter and fuel cell system
JP2009277584A (en) Fuel cell system
JP2004166370A (en) Voltage converter
JP2007288918A (en) Power supply
JP2009283172A (en) Fuel cell system
JP2018182799A (en) Vehicular power supply device
CN109417350B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DC-DC voltage converter circuit
JP2006014544A (en) Step-down device, method and circuit
JP4501604B2 (en) Electrical system contro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