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234B1 - Shoes - Google Patents

Sho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234B1
KR101222234B1 KR1020110046996A KR20110046996A KR101222234B1 KR 101222234 B1 KR101222234 B1 KR 101222234B1 KR 1020110046996 A KR1020110046996 A KR 1020110046996A KR 20110046996 A KR20110046996 A KR 20110046996A KR 101222234 B1 KR101222234 B1 KR 101222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member
insole
elasticity
foo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9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9005A (en
Inventor
문금배
Original Assignee
문금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금배 filed Critical 문금배
Priority to KR1020110046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234B1/en
Publication of KR20120129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0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2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wedge-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1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provided with a pocket, e.g. for keys or a car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은 발을 덮는 덮개가 결합 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고정되며, 상기 발의 발뒤꿈치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이 개폐되는 깔창; 및 상기 깔창 내에 삽입되는 제1 쿠션 부재 및 상기 깔창 내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쿠션 부재 상에 배치된 제2 쿠션 부재를 포함하는 쿠션 부재를 포함한다.The shoe has a bottom plate is coupled to cover the foot; An insole fixed to the bottom plate, the insole being opened and closed corresponding to the heel portion of the foot; And a cushion member including a first cushion member inserted into the insole and a second cushion member inserted into the insole and disposed on the first cushion member.

Description

신발{SHOES}Shoes {SHOES}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신발의 깔창에 지퍼가 달린 수납 공간(또는 수납 포켓)을 형성하고 수납 공간에 쿠션 부재를 배치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in which a zippered storage space (or storage pocket) is formed on a shoe insole and a cushion member is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일반적으로 실내용 신발은 발을 보호 및 발의 피로를 감소시키며, 소음이나 먼지 등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indoor shoes protect the feet, reduce foot fatigue, and reduce noise and dust.

종래 실내용 신발은 발바닥과 접하는 바닥판, 바닥판과 결합되고 보행시에 신발이 벗겨지지 않도록 발등 부분을 감싸는 발걸이부를 포함한다.Conventional indoor shoes include a foot plat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ole, a foot plate coupled to the sole plate and wraps the instep so that the shoe does not come off when walking.

실내용 신발의 바닥판은 유연성 및 충격을 흡수하는 판 형태의 소재에 천 또는 고무, 스폰지와 같은 쿠션 부재를 씌워 제작된다.The sole plate of indoor shoes is made by covering a cushion member such as cloth or rubber or sponge on a plate-shaped material that absorbs flexibility and impact.

일반적인 실내용 신발은 풍부한 쿠션을 갖기 때문에 보행시 발목 관절이 좌우로 비틀어는 경우가 많고, 실내용 신발은 장시간 착용할 경우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다.In general, indoor shoes have abundant cushions, so the ankle joint is often twisted from side to side when walking, and indoor shoes may be difficult to joint when worn for a long time.

특히, 일반적인 실내용 신발을 신고 오랜 시간을 서서 일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교사, 카운터 정산원 등의 경우 발이 쉽게 피로해진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teacher who works in a profession for a long time wearing general indoor shoes, counter payment center, etc., the feet are easily tired.

또한, 종래 실내용 신발은 사용자의 취향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실내용 신발의 쿠션을 변경하거나 쿠션의 탄성을 조절하기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ndoor shoes have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cushion of the indoor shoes or adjust the elasticity of the cushion by the user's taste or the user's cho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 또는 선택에 의하여 쿠션을 변경 또는 쿠션의 탄성을 변경하여 발의 피로를 크게 감소 시키고 편안함을 향상시킨 신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 that significantly reduces foot fatigue and improves comfort by changing the cushion or changing the elasticity of the cushion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or selec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objects and other technical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일실시예로서, 신발은 발을 덮는 덮개가 결합 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고정되며, 상기 발의 발뒤꿈치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이 개폐되는 깔창; 및 상기 깔창 내에 삽입되는 제1 쿠션 부재 및 상기 깔창 내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쿠션 부재 상에 배치된 제2 쿠션 부재를 포함하는 쿠션 부재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hoe has a bottom plate is coupled to cover the foot; An insole fixed to the bottom plate, the insole being opened and closed corresponding to the heel portion of the foot; And a cushion member including a first cushion member inserted into the insole and a second cushion member inserted into the insole and disposed on the first cushion member.

신발의 상기 제1 쿠션 부재 및 제2 쿠션 부재는 동일한 탄성을 갖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The first cushion member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of the shoe include elastic members having the same elasticity.

신발의 상기 제1 쿠션 부재는 제1 탄성을 갖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쿠션 부재는 상기 제1 탄성보다 낮은 제2 탄성을 갖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The first cushion member of the shoe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having a first elasticity,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includes a second elastic member having a second elasticity lower than the first elasticity.

신발의 상기 제1 쿠션 부재는 제1 탄성을 갖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쿠션 부재는 상기 제1 탄성보다 높은 제2 탄성을 갖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The first cushion member of the shoe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having a first elasticity,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includes a second elastic member having a second elasticity higher than the first elasticity.

신발의 상기 제1 쿠션 부재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상면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쿠션 부재의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에는 상기 깔창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쿠션 부재의 상기 하면의 일부를 이격시키는 오목한 충격 완화홈이 형성된다.The first cushion member of the shoe includes a bottom surface, a protrusion protruding along an edge of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cushion member from the top surface of the insole on the bottom surface facing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 concave impact relief groove is formed to space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신발의 상기 제2 쿠션 부재의 하면은 상기 제1 쿠션 부재의 상기 상면의 굴곡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쿠션 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발뒤꿈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발의 오목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볼록부가 형성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of the sho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el and the foot of the Convex portion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s are formed.

신발의 상기 제1 쿠션 부재의 상면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쿠션 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된다.A first coupling part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of the shoe, and a second coupling part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신발의 상기 제1 쿠션 부재는 제1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쿠션 부재는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쿠션 부재가 상기 제1 쿠션 부재를 덮는다.The first cushion member of the shoe is formed to a first length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is formed to a second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such that the second cushion member covers the first cushion member.

신발의 상기 깔창은 발 모양으로 형성된 깔창 몸체, 상기 깔창 몸체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쿠션 부재와 대응하는 부분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1 깔창부, 상기 깔창 몸체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 깔창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깔창부들에 형성되어 상기 쿠션 부재를 교환 및 삽입하기 위한 지퍼를 포함한다.
The insole of the shoe is insole body formed in the shape of a foot, a first insole portion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body and forming a storage space corresponding to the cushion member, a second insole portion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sole body And a zipper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insole portions to exchange and insert the cushion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 의하면, 신발을 이루는 바닥판 상에 배치된 깔창 중 사용자의 발의 발뒤꿈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수납공간 내에 적어도 2 개의 쿠션 부재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발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며 서로 다른 탄성을 갖는 쿠션 부재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space is form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el of the foot of the user of the insole disposed on the bottom plate constituting the shoe, and at least two cushion members are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so that the user has a degree of fatigue of the foot It ha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and allow the user to select a cushion member having different elastic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쿠션 부재 중 제1 쿠션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쿠션 부재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cushion member of the cushion member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shion member of FIG. 2.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meanings and concept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용어인 "신발"은 실내에서 착용하는 "실내화", 실외에서 착용하는 "실외화"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The term "shoes" used frequently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both "indoor shoes" worn indoors and "outdoor shoes" worn outdoor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쿠션 부재 중 제1 쿠션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쿠션 부재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cushion member of the cushion member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shion member of FIG. 2.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신발(100)은 바닥판(10), 깔창(20) 및 쿠션 부재(50)를 포함한다.1 to 4, the shoe 100 includes a bottom plate 10, an insole 20, and a cushion member 50.

바닥판(10)은 지면과 접촉되는 부재로서, 바닥판(10)은 사용자의 발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바닥판(10)은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 또는 후술 될 깔창(20) 및 쿠션 부재(50)를 수납 및 고정하기 위해 오목한 수납 공간을 가질 수 있다.The bottom plate 10 is a member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bottom plate 10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user's feet, the bottom plate 10 is a flat plate shape or insole 20 and cushion member 50 to be described later ) May have a concave storage space for receiving and fixing.

바닥판(10)은 보행시 착용감, 충격 흡수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탄성을 갖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10)은, 예를 들어, 고무 또는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ttom plate 10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to reduce wearing comfort, shock absorption, and noise during walking. The bottom plate 10 may include rubber or synthetic resin, for example.

바닥판(10)에는 보행시 사용자의 발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등 부분을 감싸는 덮개(12)가 부착 또는 결합 된다.The bottom plate 10 is attached or coupled to the cover 12 surrounding the instep of the user in order to prevent the user's foot from being separated when walking.

깔창(20)은 바닥판(10)의 상면 또는 바닥판(10)에 형성된 오목한 수납공간에 배치된다.The insole 20 is disposed in a concave storage spac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 or the bottom plate 10.

깔창(20)은 깔창 몸체(22), 제1 깔창부(24), 제2 깔창부(26) 및 지퍼(28)를 포함한다.Insole 20 includes an insole body 22, a first insole portion 24, a second insole portion 26, and a zipper 28.

깔창 몸체(22)는 발 모양과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깔창 몸체(22)는 후박한 종이판, 펄프판 또는 합성수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깔창 몸체(22)는 사용자의 착용감, 충격 흡수를 위해 탄성을 갖는 탄성판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The insole body 22 is formed in a plate shap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foot shape, the insole body 22 may include a thick paper plate, pulp plate or synthetic resin plate. In addition, the insole body 22 may use an elastic plate having elasticity for the user's wearing comfort and shock absorption.

제1 깔창부(24)는 얇은 두께를 갖고 착용감이 우수한 천 또는 천 형상의 합성 수지막을 포함하며, 제1 깔창부(24)는 깔창 몸체(22)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The first insole part 24 includes a synthetic resin film of cloth or cloth shape having a thin thickness and excellent in comfort, and the first insole part 24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insole body 22.

제1 깔창부(24) 중 사용자의 발의 앞쪽과 접촉되는 부분은 접착제 등에 의하여 깔창 몸체(22)의 상면에 부착되고, 제1 깔창부(24) 중 사용자의 발의 뒤쪽인 발뒤꿈치 부분은 깔창 몸체(22)의 상면에 부착되지 않는다.The portion of the first insole portion 24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foot of the user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body 22 by adhesive or the like, and the heel portion of the first insole portion 24 that is the back of the foot of the user is the insole body It is not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22).

따라서, 제1 깔창부(24) 중 사용자의 발뒤꿈치와 대응하는 부분 및 깔창 몸체(22)의 상면 사이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수납 공간으로는 후술 될 쿠션 부재(50)가 삽입된다.Accordingly,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ortion of the first insole portion 24 corresponding to the heel of the us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body 22, and a cushion member 5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제2 깔창부(26)는 깔창 몸체(22)의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에 부착되며, 제2 깔창부(26)는 제1 깔창부(24) 중 깔창 몸체(22)와 접착되지 않은 부분과 대응하는 깔창 몸체(22)의 하면에 부착된다. 제2 깔창부(26)의 일부는 깔창 몸체(22)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된다.The second insole portion 26 is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pposite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body 22, and the second insole portion 26 is a portion of the first insole portion 24 that is not bonded to the insole body 22; It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insole body 22. A portion of the second insole portion 26 protrudes from the rim of the insole body 22.

지퍼(28)는 제1 깔창부(24) 중 깔창 몸체(22)와 접착되지 않은 부분 및 제2 깔창부(26) 중 깔창 몸체(22)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The zipper 28 is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first insole portion 24 that is not bonded to the insole body 22 and in the portion of the second insole portion 26 that protrudes from the insole body 22.

지퍼(28)는 후술 될 쿠션 부재(50)가 제1 깔창부(24) 및 깔창 몸체(22) 사이에 형성된 수납 포켓에 삽입된 쿠션 부재(5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퍼(28)에 의하여 수납 포켓에 삽입된 쿠션 부재(50)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쿠션 부재(50)를 자유롭게 교환 또는 교체할 수 있다.The zipper 28 prevents the cushion member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storage pocket formed between the first insole portion 24 and the insole body 22, from being detached to the outside. 28 prevents the separation of the cushion member 50 inserted into the storage pocket, as well as freely replace or replace the cushion member 5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깔창(20)을 이루는 깔창 몸체(22), 제1 깔창부(24), 제2 깔창부(26) 및 지퍼(28)는 높은 내구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ole body 22, the first insole portion 24, the second insole portion 26 and the zipper 28 forming the insole 20 is to use a material having a high durability. desirable.

깔창(20)의 제1 깔창부(24) 및 깔창 몸체(22) 사이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는 쿠션 부재(50)가 삽입된다.The cushion member 5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insole portion 24 and the insole body 22 of the insole 20.

쿠션 부재(50)는 적어도 2 개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쿠션 부재(50)는, 예를 들어, 제1 쿠션 부재(30) 및 제2 쿠션 부재(40)를 포함한다.The cushion member 50 is composed of at least two,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 member 50 includes, for example, a first cushion member 30 and a second cushion member 40.

제1 쿠션 부재(30)는 깔창(20) 내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제1 쿠션 부재(30)는 깔창 몸체(22) 및 제1 깔창부(24) 사이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 삽입되며, 제1 쿠션 부재(30)는 깔창 몸체(22)의 상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쿠션 부재(30)는 제1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ushion member 30 is inserted into the insole 20. Specifically, the first cushion member 30 is inserted into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insole body 22 and the first insole part 24, and the first cushion member 3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body 22. do.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ushion member 30 may be formed to a first length.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쿠션 부재(30)는 탄성을 갖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쿠션 부재(30)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ushion member 30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having elasticity, and the first cushion member 30 may include rubber or a synthetic resin having elasticity.

제1 쿠션 부재(30)는 사용자의 발의 발뒤꿈치 부분과 발의 중간 부분을 서포 트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cushion member 30 serves to support the heel portion of the user's foot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foot.

제1 쿠션 부재(30)는 바닥면(31) 및 돌출부(33)를 포함한다. 바닥면(31)은 장방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31) 중 사용자의 발뒤꿈치와 대응하는 뒷부분은 제1 두께로 형성되고, 바닥면(31) 중 뒷부분과 대향 하는 앞 부분은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점차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The first cushion member 30 includes a bottom surface 31 and a protrusion 33. The bottom surface 31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rea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31 corresponding to the heel of the user is formed to have a first thickness,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31 facing the rear portion of the user It is gradually formed into a thin thickness to improve the fit.

제1 쿠션 부재(30)의 바닥면(31) 중 깔창 몸체(22)와 마주하는 밑면에는 충격을 완화 또는 흡수하기 위한 충격 완화홈(32)이 형성되며, 충격 완화홈(32)은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bottom surface 31 of the bottom surface 31 of the first cushioning member 30 facing the insole body 22 is formed with a shock relief groove 32 for mitigating or absorbing shock, the shock relief groove 32 is a concave groove. It is formed into a shape.

충격 완화홈(32)은 사용자의 발이 지면에 닿아 사용자의 하중이 발에 가해졌을 때 발생 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안함을 느끼도록 한다.The shock absorbing groove 32 absorbs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user's foot touches the ground and the user's load is applied to the foot to make the user feel more comfortable.

돌출부(33)는 바닥면(31)의 상면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며, 돌출부(33)의 바깥쪽 면은 바닥면(31)에 대하여 수직 하게 형성되며, 돌출부(33)의 안쪽 면은 바닥면(31)에 대하여 둔각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protrusion 33 protrudes along the edge of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31,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3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3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3 is the bottom surface. It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31).

바닥면(31)에 형성된 돌출부(33)는 사용자의 발의 양쪽 부분을 각각 감싸는 역할을 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발목을 삐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상해를 예방할 수 있다.Protruding portion 3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31 serves to respectively wrap both portions of the user's foot to make the user feel more comfortable, and can prevent the user from injuring the ankle by preventing the user's injury.

제2 쿠션 부재(40)는 제1 쿠션 부재(30) 상에 배치된다. 제2 쿠션 부재(40)는 탄성을 갖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쿠션 부재(40)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ushion member 40 is disposed on the first cushion member 30. The second cushion member 40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having elasticity,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40 may include rubber or a synthetic resin having elasticit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쿠션 부재(30) 상에 배치되는 제2 쿠션 부재(40)는 제1 쿠션 부재(30)의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2 쿠션 부재(40)는 제1 쿠션 부재(30)를 덮고 제2 쿠션 부재(40)의 일부는 제1 쿠션 부재(30)로부터 돌출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ushion member 40 disposed on the first cushion member 30 is formed to have a second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of the first cushion member 30 and thereby the second cushion member 30. The cushion member 40 covers the first cushion member 30 and a part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40 protrudes from the first cushion member 30.

제2 쿠션 부재(40)의 하면은 제1 쿠션 부재(30)의 바닥면(31) 및 바닥면(31)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33)에 의하여 형성된 굴곡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4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31 of the first cushion member 30 and the protrusion 3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31.

한편, 제2 쿠션 부재(40)의 상면 중 사용자의 발의 발뒤꿈치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오목부(41)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발 중 오목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볼록부(43)가 형성되어 제2 쿠션 부재(40)는 사용자의 발과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Meanwhile, a concave portion 4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el of the user's foot among the upper surfaces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40, and a convex portion 43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user's foot. The second cushion member 40 has a structu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 of the user.

제1 쿠션 부재(30) 및 제1 쿠션 부재(30) 상에 배치된 제2 쿠션 부재(40)가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쿠션 부재(30)의 상면에는 제1 결합부(35)가 형성되고, 제2 쿠션 부재(40)의 하면에는 제1 결합부(35)와 결합 되는 제2 결합부(45)가 형성된다.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cushioning member 30 and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40 disposed on the first cushioning member 30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 first coupling part 35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ing member 30. ) Is formed, and a second coupling part 45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35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4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결합부(35,45)들은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35 and 45 may be at least one.

제1 결합부(35)는, 예를 들어, 제1 쿠션 부재(30)의 바닥면(3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결합 돌기일 수 있고, 제2 결합부(45)는, 예를 들어, 제2 쿠션 부재(4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 홈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결합부(35)는 결합 홈이고, 제2 결합부(45)는 결합 돌기일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art 35 may be, for example,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31 of the first cushioning member 3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45 may be, for example, It may be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40. Alternatively, the first coupling portion 35 may be a coupling groove,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5 may be a coupling protrus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쿠션 부재(30) 및 제1 쿠션 부재(30) 상에 배치된 제2 쿠션 부재(40)는, 예를 들어, 동일한 탄성을 갖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ushion member 30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40 disposed on the first cushion member 30 may include, for example, an elastic member having the same elasticity. have.

한편, 사용자의 착용감 및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1 쿠션 부재(30) 및 제2 쿠션 부재(40)는 서로 다른 탄성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ushion member 30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40 may have different elasticity in order to improve the fit and comfort of the user.

예를 들어, 제1 쿠션 부재(30)는 제1 탄성을 갖는 제1 탄성 부재이고, 제1 쿠션 부재(30) 상에 배치된 제2 쿠션 부재(40)는 제1 탄성보다 높은 제2 탄성을 갖는 제2 탄성 부재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탄성이 높은 제2 쿠션 부재(40)에 의하여 부드러운 착용감을 느끼게 된다.For example, the first cushion member 30 is a first elastic member having a first elasticity,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40 disposed on the first cushion member 30 has a second elasticity higher than the first elasticity. It may be a second elastic member having a, so that the user feels a soft fit by the high elastic second cushion member 40.

이와 다르게, 제1 쿠션 부재(30)는 제1 탄성을 갖는 제1 탄성 부재이고, 제1 쿠션 부재(30) 상에 배치된 제2 쿠션 부재(40)는 제1 탄성보다 낮은 제2 탄성을 갖는 제2 탄성 부재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제2 쿠션 부재(40)에 의하여 다소 딱딱한 느낌을 갖지만 제1 쿠션 부재(30)에 의하여 쿠션감을 느끼게 된다.Alternatively, the first cushion member 30 is a first elastic member having a first elasticity,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40 disposed on the first cushion member 30 has a second elasticity lower than the first elasticity. It may be a second elastic member having, so that the user feels a somewhat hard feeling by the second cushion member 40, but the cushion feeling by the first cushion member 30.

이와 다르게, 제1 및 제2 쿠션 부재(30,40)는 모두 동일하게 부드러운 느낌을 갖는 탄성을 갖거나, 제1 및 제2 쿠션 부재(30,40)는 모두 동일하게 딱딱한 느낌을 갖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cushion members 30 and 40 both have elasticity having the same soft feeling, or the first and second cushion members 30 and 40 both have elasticity having the same hard feeling. Can have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신발을 이루는 바닥판 상에 배치된 깔창 중 사용자의 발의 발뒤꿈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수납공간 내에 적어도 2 개의 쿠션 부재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발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며 서로 다른 탄성을 갖는 쿠션 부재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storage space i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el of the foot of the user among the insoles disposed on the sole of the shoe, and at least two cushion members are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so that the user may have fatigue of the foot. It ha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and allow the user to select a cushion member having different elasticity.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신발 10...바닥판
20...깔창 30...제1 쿠션 부재
40...제2 쿠션 부재 50...쿠션 부재
100 ... shoes 10 ... bottom plate
20.Insole 30 ... First cushion member
40 ... second cushion member 50 ... cushion member

Claims (9)

발을 덮는 덮개가 결합 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고정되며, 상기 발의 발뒤꿈치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에 수납공간을 갖고 수납공간이 개폐되는 깔창; 및
상기 깔창 내의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제1 쿠션 부재 및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쿠션 부재 상에 배치된 제2 쿠션 부재를 포함하는 쿠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쿠션 부재는 제1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쿠션 부재는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쿠션 부재가 상기 제1 쿠션 부재를 덮으며,
상기 제1 쿠션 부재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상면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쿠션 부재의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에는 상기 깔창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쿠션 부재의 상기 하면의 일부를 이격시키는 오목한 충격 완화홈이 형성되며,
사용자의 발의 양쪽 부분을 각각 감싸 사용자가 발목을 삐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의 바깥쪽면은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며 돌출부의 안쪽면은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둔각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신발.
Bottom plate is coupled to cover the foot;
An insole fixed to the bottom plate and having a storage space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el portion of the foot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A cushion member including a first cushion member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in the insole and a second cushion member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and disposed on the first cushion member,
The first cushion member is formed to a first length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is formed to a second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such that the second cushion member covers the first cushion member,
The first cushion member includes a bottom surface, a protrusion protruding along an edge of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facing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from the top surface of the insol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insole. A concave impact relief groove is formed to space a portion of the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inclined at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in order to surround each part of the user's foot to prevent the user from spraining the ankl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 부재 및 제2 쿠션 부재는 동일한 탄성을 갖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include elastic members having the same elastic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 부재는 제1 탄성을 갖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쿠션 부재는 상기 제1 탄성보다 낮은 제2 탄성을 갖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ushion member comprises a first elastic member having a first elasticity,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comprises a second elastic member having a second elasticity lower than the first elastic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 부재는 제1 탄성을 갖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쿠션 부재는 상기 제1 탄성보다 높은 제2 탄성을 갖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ushion member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having a first elasticity,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includes a second elastic member having a second elasticity higher than the first elasticit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쿠션 부재의 하면은 상기 제1 쿠션 부재의 상기 상면의 굴곡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쿠션 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발뒤꿈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발의 오목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볼록부가 형성된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the recessed portion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el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foo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Shoes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 부재의 상면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쿠션 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된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Shoes having a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창은 발 모양으로 형성된 깔창 몸체, 상기 깔창 몸체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쿠션 부재와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1 깔창부, 상기 깔창 몸체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 깔창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깔창부들에 형성되어 상기 쿠션 부재를 교환 및 삽입하기 위한 지퍼를 포함하는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ole is a foot insole body formed in the shape of a foot, a first insole portion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body and forming a receiving space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ushion member, a second insole portion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sole body and A shoe formed in said first and second insole portions and including a zipper for replacing and inserting said cushion member.
KR1020110046996A 2011-05-18 2011-05-18 Shoes KR1012222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996A KR101222234B1 (en) 2011-05-18 2011-05-18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996A KR101222234B1 (en) 2011-05-18 2011-05-18 Sho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005A KR20120129005A (en) 2012-11-28
KR101222234B1 true KR101222234B1 (en) 2013-01-16

Family

ID=4751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996A KR101222234B1 (en) 2011-05-18 2011-05-18 Sho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23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8905A (en) * 1994-05-10 1995-11-14 Midori Anzen Co Ltd Shoe sole and its production
KR200370556Y1 (en) 2004-09-23 2004-12-14 유희웅 insole
JP2005021583A (en) * 2003-07-02 2005-01-27 Yokote Japan:Kk Footwear
KR200412036Y1 (en) * 2005-12-27 2006-03-22 김미향 Auxiliary insole for stature-rai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8905A (en) * 1994-05-10 1995-11-14 Midori Anzen Co Ltd Shoe sole and its production
JP2005021583A (en) * 2003-07-02 2005-01-27 Yokote Japan:Kk Footwear
KR200370556Y1 (en) 2004-09-23 2004-12-14 유희웅 insole
KR200412036Y1 (en) * 2005-12-27 2006-03-22 김미향 Auxiliary insole for stature-rai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005A (en)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2386B2 (en) Comfort system for boots
US5651196A (en) Highly elastic footwear sole
US8776399B2 (en) Shoe insole
US8549774B2 (en) Flexible shank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120272546A1 (en) Healthy insole
KR101006923B1 (en) Mid-sole of a shoes
JP2009543657A (en) Seesaw type shoe sole
JP2012075864A (en) Midsole for shoe
WO2007064176A1 (en) Insole
US20110283566A1 (en) High heel shoe structure
US20130133224A1 (en) Shoe Insole
KR20090012624A (en) Shoes with elastic bodies
JP3191012U (en) shoes
KR101685112B1 (en) Insoles for high heels
KR200401231Y1 (en) Structure of middle layer of shore sole
KR101126601B1 (en) Multi-functional insole
KR101222234B1 (en) Shoes
KR101063735B1 (en) Health walking sandals
KR20120136258A (en) Footwear sole having shock absorbing and repurcusion
KR102310154B1 (en) Functional slipper
JP3229584U (en) Shoe sole
KR101101415B1 (en) Mid-sole of a shoes
KR101062081B1 (en) Functional shoes for mountain climbing, body correction, foot load distribution and acupressure
KR100627676B1 (en) A sole structure of footwear
KR200328468Y1 (en)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middle layer of shore 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