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979B1 - 수퍼캐패시터용 탄소나노튜브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퍼캐패시터 - Google Patents
수퍼캐패시터용 탄소나노튜브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퍼캐패시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1979B1 KR101221979B1 KR1020100080257A KR20100080257A KR101221979B1 KR 101221979 B1 KR101221979 B1 KR 101221979B1 KR 1020100080257 A KR1020100080257 A KR 1020100080257A KR 20100080257 A KR20100080257 A KR 20100080257A KR 101221979 B1 KR101221979 B1 KR 1012219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bon nanotubes
- carbon
- per mass
- supercapacitor
- grow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Prepa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3/0009—Forming specific nano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3/0061—Methods for manipulating nanostructures
- B82B3/0066—Orienting nano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4—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 H01G9/042—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08—Aligned nanotub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22—Electronic proper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36—Diame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초음파 처리(52W)에 노출시킨 후 (a) 탄소종이 위에서 성장된 탄소나노튜브와 (b) SiO2 기판상에서 성장시킨 탄소나노튜브의 사진이다.
도 3은 (a)은 1M 황산 수용액 중에서 100 mV/s와 1000 mV/s의 스캔 속도로 측정된 (a) 성장된 탄소나노튜브와 (b)전기화학적 산처리된 탄소나노튜브의 순환 전류-전압 곡선이고, 확대도가 삽입되어 있다. (c)는 전류밀도 10A/g에서 측정된 성장되고 전기화학적 산처리된 탄소나노튜브의 정전류 충-방전 그래프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곡선이며, (d)는 질량당 정전용량 대 전류 밀도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폴리카보네이트(PC) 중의 1M Et4NBF4 용액 중에서 측정된 전기화학적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a)는 100 mV/s의 스캔 속도로 측정된 (a) 성장되고 전 전기화학적 산처리된 탄소나노튜브의 순환 전류-전압 곡선이 도시되어 있으며, (b)는 전류 밀도 10 A/g에서 측정된 성장되고 전기화학적 산처리된 탄소나노튜브의 정전류 충-방전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c)는 질량당 정전용량 대 전류 밀도의 그래프이고, (d)는 수용액과 유기용액 양쪽에서 측정된, 본 발명에 따라 성장되고 산처리된 탄소나노튜브의 Ragone 플롯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a)는 탄탈륨(Ta) 기판상에서 직접 합성된 탄소나노튜브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고, (b)는 탄소나노튜브의 수직 정렬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며, (c)는 탄소나노튜브의 투과전자현미경(TEM)이다. 이중벽 탄소나노튜브의 확대사진이 삽입되어 있다. (d)는 탄소나노튜브의 라만 스팩트럼이다.
도 6은 (a)는 1M 황산 용액에서 측정된 탄소나노튜브의 성장에 따른 순환 전류-전압 그래프이고, (b)는 정전류 충-방전 그래프이며, (c)는 Nyquist 플롯이다. 확대도가 삽입되어 있다. (d)는 질량당 정전용량 대 전류 밀도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a)은 1M 황산 수용액 중에서 측정된 전기화학적 산처리된 탄소나노튜브의 순환 전류-전압 곡선이고, (b)는 정전류 충-방전 그래프이며, (c)는 Nyquist 플롯이다. 확대도가 삽입되어 있다. (d)는 질량당 정전용량 대 전류 밀도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 (a)은 폴리카보네이트(PC) 중의 1M Et4NBF4 용액 중에서 측정된 전기화학적 산처리된 탄소나노튜브의 순환 전류-전압 곡선이고, (b)는 정전류 충-방전 그래프이며, (c)는 질량당 정전용량 대 전류 밀도의 그래프이고, (d)는 수용액과 유기용액 양쪽에서 측정된, 본 발명에 따라 성장되고 산처리된 탄소나노튜브의 Ragone 플롯이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1 | 비교예 | |
질량당 정전 용량 | > 200 F/g | 155 F/g |
질량당 파워 밀도 | 60 kW/kg | 12.5 kW/kg |
질량당 에너지 밀도 | > 100 Wh/kg | 4 Wh/kg |
정렬도 | 수직 정렬 | 정렬 안됨 |
패턴 형성 | 마이크로 패턴 | 패턴 없음 |
접착제 필요 여부 | 접착제 필요 없음 | 접착제 필요 |
Claims (21)
-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전도성 기판상에 수직 정렬된 탄소나노튜브를 직접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의 제조 방법으로서,
탄소 종이 또는 탄탈륨 기판상에 알루미늄과 철의 이중 촉매층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아르곤과 수소를 흘려주면서 온도를 600 ~ 1000℃까지 올리는 단계;
수증기와 함께 탄소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전도성 기판상에 수직 정렬된 탄소나노튜브를 직접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성장된 탄소나노튜브를 0.25몰의 질산 용액에서 1.0 ~ 2.0 V의 전압 및 50 mV/s의 전압변환속도로 순환 전압 전류 방식에 의해서 전기화학적으로 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퍼캐패시터용 탄소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종이의 두께는 100 ~ 350 um이고, 면저항은 10-3 ~ 10-4 Ω·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캐패시터용 탄소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생성된 탄소나노튜브의 60 ~ 80%가 이중벽 탄소나노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캐패시터용 탄소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기판이 탄탈륨 기판인 경우 촉매 증착 단계 전에 초음파 세척 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캐패시터용 탄소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가 탄소 종이의 양면에서 동시에 성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캐패시터용 탄소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르곤의 유속은 50 ~ 200 sccm, 수소의 유속은 50 ~ 250 sc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캐패시터용 탄소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의 유속은 0.5 ~ 5 sc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캐패시터용 탄소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공급원은 에틸렌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캐패시터용 탄소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 전도성 기판상에서 직접 성장되어 수직 정렬된 수퍼캐패시터 특성이 우수한 탄소나노튜브로서,
수용액에서 질량당 정전 용량이 40 ~ 60 F/g 이고, 전기화학적 산화 처리시에는 수용액에서 질량당 정전 용량이 150 ~ 250 F/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기판이 탄소 종이인 경우, 직접 성장된 고밀도 탄소나노튜브는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 제10항에 있어서,
유기용액에서 질량당 정전 용량은 60 ~ 80 F/g이고, 전기화학적 산화 처리시 에는 유기용액에서 질량당 정전 용량이 150 ~ 250 F/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 제10항에 있어서,
수용액에서 질량당 에너지 밀도는 1 ~ 10 Wh/kg 이고, 전기화학적 산화 처리시에는 수용액에서 질량당 에너지 밀도가 10 ~ 50 Wh/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 제10항에 있어서,
유기용액에서 질량당 에너지 밀도는 20 ~ 60 Wh/kg 이고, 전기화학적 산화 처리시 유기용액에서 질량당 에너지 밀도는 50 ~ 100 Wh/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 제10항에 있어서,
수용액에서 질량당 파워 밀도는 20 ~ 60 kW/kg 이고, 전기화학적 산화 처리시 수용액에서 질량당 파워 밀도는 20 ~ 40 kW/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 제10항에 있어서,
유기용액에서 질량당 파워 밀도는 20 ~ 40 kW/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 제10항에 있어서,
수용액에서 총 저항은 2 ~ 5 Ω이고, 유기용액에서 총 저항은 3 ~ 50 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기판상에서 수직 성장된 탄소나노튜브의 평균 직경은 4 ~ 1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기판상에서 수직 성장된 탄소나노튜브의 G-밴드와 D-밴드의 비(G/D ratio)는 1 ~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기판상에서 수직 성장된 탄소나노튜브의 순환 전압-전류 그래프의 형태는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 전도성 기판상에서 직접 성장되어 수직 정렬된 고밀도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포함하는 수퍼캐패시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0257A KR101221979B1 (ko) | 2010-08-19 | 2010-08-19 | 수퍼캐패시터용 탄소나노튜브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퍼캐패시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0257A KR101221979B1 (ko) | 2010-08-19 | 2010-08-19 | 수퍼캐패시터용 탄소나노튜브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퍼캐패시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1842A KR20120021842A (ko) | 2012-03-09 |
KR101221979B1 true KR101221979B1 (ko) | 2013-01-15 |
Family
ID=4613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0257A Expired - Fee Related KR101221979B1 (ko) | 2010-08-19 | 2010-08-19 | 수퍼캐패시터용 탄소나노튜브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퍼캐패시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197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14422B2 (en) | 2013-10-16 | 2019-02-26 |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 Interlayer distance controlled graphene, supercapaci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128349A1 (ja) | 2008-04-16 | 2009-10-22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配向集合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
KR20100023513A (ko) * | 2008-08-22 | 2010-03-04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수분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배열 및 벽 수의 제어방법 |
-
2010
- 2010-08-19 KR KR1020100080257A patent/KR10122197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128349A1 (ja) | 2008-04-16 | 2009-10-22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配向集合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
KR20100023513A (ko) * | 2008-08-22 | 2010-03-04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수분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배열 및 벽 수의 제어방법 |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C. G. Liu et al. Applied Physics Letters. 2008, Vol. 92, 143108(3 pp.) * |
C. G. Liu et al. Applied Physics Letters. 2008, Vol. 92, 143108(3 pp.)* |
Xianming Liu et al. Carbon. 2009, Vol. 47, pp. 500-506 * |
Xianming Liu et al. Carbon. 2009, Vol. 47, pp. 500-506*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14422B2 (en) | 2013-10-16 | 2019-02-26 |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 Interlayer distance controlled graphene, supercapaci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1842A (ko) | 2012-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Yoon et al. | A strategy for synthesis of carbon nitride induced chemically doped 2D MXene for high‐performance supercapacitor electrodes | |
Pan et al. | High electroactive material loading on a carbon nanotube@ 3D graphene aerogel for high‐performance flexible all‐solid‐state asymmetric supercapacitors | |
Du et al. | High power density supercapacitor electrodes of carbon nanotube films by electrophoreticdeposition | |
Cherusseri et al. | Vertically aligned graphene–carbon fiber hybrid electrodes with superlong cycling stability for flexible supercapacitors | |
Zhao et al. | High-performance Li-ion batteries based on graphene quantum dot wrapped carbon nanotube hybrid anodes | |
Fan et al. | Carbon nanosheets: synthesis and application | |
Zhu et al. | Highly conductive three-dimensional MnO 2–carbon nanotube–graphene–Ni hybrid foam as a binder-free supercapacitor electrode | |
Guo et al. | High‐stacking‐density, superior‐roughness LDH bridged with vertically aligned graphene for high‐performance asymmetric supercapacitors | |
Seo et al. | Structure‐controlled, vertical graphene‐based, binder‐free electrodes from plasma‐reformed butter enhance supercapacitor performance | |
Yang et al. | Three-dimensional nanoporous Fe2O3/Fe3C-graphene heterogeneous thin films for lithium-ion batteries | |
Lee et al. | Hierarchically well‐developed porous graphene nanofibers comprising N‐doped graphitic C‐coated cobalt oxide hollow nanospheres as anodes for high‐rate Li‐ion batteries | |
Shang et al. | 2D thin nanoflakes assembled on mesoporous carbon nanorods for enhancing electrocatalysis and for improving asymmetric supercapacitors | |
CN106232520B (zh) | 激光诱导的石墨烯材料和它们在电子装置中的用途 | |
Shah et al. | Electrochemical double layer capacitor electrodes using aligned carbon nanotubes growndirectly on metals | |
Guan et al. | Atomic‐Layer‐Deposition‐Assisted Formation of Carbon Nanoflakes on Metal Oxides and Energy Storage Application | |
Sun et al. | Surface chemistry and structure manipulation of graphene-related materials to address the challenges of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 |
Wang et al. | Intertwined Nanocarbon and Manganese Oxide Hybrid Foam for High‐Energy Supercapacitors | |
Kavian et al. | Growth of carbon nanotubes on aluminium foil for supercapacitors electrodes | |
Stoner et al. | Selected topics on the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 |
Zhang et al. | Carbon Nanotubes Grown on Flax Fabric as Hierarchical All‐Carbon Flexible Electrodes for Supercapacitors | |
Ye et al. | Interface engineering integrates fractal-tree structured nitrogen-doped graphene/carbon nanotubes for supercapacitors | |
US20200227212A1 (en) | Method for preparing an electrode comprising a substrate, aligned carbon nanotubes and a metal oxide deposited by reductive deposition, the electrode and uses thereof | |
US20140126112A1 (en) | Carbon nanotubes attached to metal foil | |
Tian et al. | Mesoporous tubular graphene electrode for high performance supercapacitor | |
Xu et al. | Hierarchical carbon nanofibers@ nickel phosphide nanoparticles for high‐performance supercapacito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