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535B1 -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 - Google Patents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535B1
KR101221535B1 KR1020120107231A KR20120107231A KR101221535B1 KR 101221535 B1 KR101221535 B1 KR 101221535B1 KR 1020120107231 A KR1020120107231 A KR 1020120107231A KR 20120107231 A KR20120107231 A KR 20120107231A KR 101221535 B1 KR101221535 B1 KR 101221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den
ring
present
garden ring
view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5426A (ko
Inventor
김동철
반미령
Original Assignee
반미령
김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미령, 김동철 filed Critical 반미령
Priority to KR1020120107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53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5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athematics
    • G09B23/04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athematics for geometry, trigonometry, projection or perspecti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2Toy models or toy scenery not otherwise cove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ring-like securing element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gebra (AREA)
  • Geometry (AREA)
  • Toy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 도형은 보는 위치에 따라서 그 형상이 변한 상태로 보이게 된다. 예를 들면, 정원의 경우에는 정면에서 보는 경우에는 정원으로 보이게 되나 보는 위치를 조금만 이동하여도 정원은 타원형으로 변한 상태로 보이게 되며, 또한 정면이 아닌 위치에서 다수개의 정원을 보아도 그 정원들이 위치하는 거리에 따라서 다른 형상의 타원형으로 변한 상태로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은 보는 위치 및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는 도형에 따라서 각각 변해 보이는 도형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교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본 발명은 투명판으로 육면체를 구성하고, 그 내부에 정원링을 일정하거나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복수개를 고정한 학습교구를 제공하여 보는 위치에 따라서 변해지는 도형의 변환 상태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위치하고 있는 도형의 거리에 따라서도 서로 다르게 변해보이는 도형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A Educational tools for figure comprehension changeable depending upon viewing angle}
본 발명은 보는 위치에 따라 도형은 그 형상이 달라져 보이게 되는데, 이렇게 달라지는 도형을 학습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학습교구에 관한 것이다.
도형은 보는 위치에 따라서 그 형상이 변한 상태로 보이게 된다.
예를 들면, 정원의 경우에는 정면에서 보는 경우에는 정원으로 보이게 되나 보는 위치를 조금만 이동하여도 정원은 타원형으로 변한 상태로 보이게 되며, 또한 정면이 아닌 위치에서 다수개의 정원을 보아도 그 정원들이 위치하는 거리에 따라서 다른 형상의 타원형으로 변한 상태로 보이게 된다.
이렇게 보는 위치 및 정원이 위치하고 있는 거리에 따라서 시각적으로 변하는 도형을 용이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선행의 학습교구가 절실히 필요하나 아직까지 안출된 바가 없다.
그리고 육면체의 경우에는 보이지 않는 부분이 보는 위치에 따라 어떻게 보이는 가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선행의 학습교구가 절실히 필요하나 아직까지 안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보는 위치 및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는 도형에 따라서 각각 변해 보이는 도형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교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투명판으로 육면체를 구성하고, 그 내부에 정원링을 일정하거나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복수개를 고정한 학습교구;와, 투명판으로 육면체를 구성하고, 상기 마주보는 투명판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각각 마주보도록 정원을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를 고정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학습교구; 및 투명판으로 육면체를 구성하고, 그 내부면 또는 그 외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수평띠를 부착하여 상기한 수평띠에 의하여 다수개의 분할육면체가 구성되도록 한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보는 위치에 따라서 변해지는 도형의 변환 상태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위치하고 있는 도형의 거리에 따라서도 서로 다르게 변해보이는 도형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학습교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학습교구의 참고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에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참고도.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에서 다른 형태의 실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위치에서 보았을 때의 참고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참고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의 참고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다른 실시예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학습교구의 참고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3을 결합한 상태에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참고도.
도 15은 도 13을 결합한 상태에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원기둥 형상을 도시한 참고도.
도 16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학습교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도.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참고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 1은 다수개의 정원이 보는위치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보여 주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인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피면 다음과 같다.
투명판(1)으로 육면체(3)를 구성하고, 그 내부에 정원링(2)을 일정하거나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복수개를 고정한 본 발명의 제1 학습교구(10)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한 정원링(2)는 유색으로 구성하여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하게 할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한 정원링(2)이 등간격으로 두고 위치하고 있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한 정원링(2)은 투명판(1)을 통하여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첨부한 도면 2의 경우에서와 같이, 중앙에 위치한 정원링(2a)에 시선을 맞추고 보는 경우에는 상기한 정원링(2a)은 선(2a')으로 보이게 된다.
그러나 정원링(2a)의 상, 하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는 또 다른 정원링(2b) 및 정원링(2c)을 보는 경우에는 정원링(2a)에서 시선만을 상,하로 보는 것이 되므로 상기한 정원링(2b) 및 정원링(2c)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폭이 좁은 타원형링(2b',2c')으로 보이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정원링(2b) 및 정원링(2c)이 정원링(2a)와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면 물론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 타원형 링으로 보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정원링(2b)보다 그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정원링(2d)의 경우에는 정원링(2b)보다 더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더 넓게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므로 정원링(2b)에 비하여 폭이 넓은 타원형링(2d')으로 보여지게 되고, 상기한 정원링(2c)보다 그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정원링(2e)의 경우에는 정원링(2c)보다 더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더 넓게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므로 정원링(2c)에 비하여 폭이 넓은 타원형링(2c')으로 보여지게 된다.
이때에도 시선점인 중앙에 위치하고 정원링(2a)을 중심으로 정원링(2d)와 정원링(2e)이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면 상기한 타원형링(2c') 및 타원형링(2e')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 타원형으로 보이게 될 것이다.
위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정원링을 예를 들고, 또한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첨부한 도면 도 3의 경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학습교구(10)를 눕혀주는 경우에는 상기한 정원링(2)이 수직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한 정원링(2a)에 시선을 맞추고 보는 경우에는 상기한 정원링(2a)은 선(2a')으로 보이게 된다.
그러나 정원링(2a)의 좌, 우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는 또 다른 정원링(2b) 및 정원링(2c)을 보는 경우에는 정원링(2a)에서 시선만을 좌,우로 보는 것이 되므로 상기한 정원링(2b) 및 정원링(2c)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폭이 좁은 타원형링(2b',2c')으로 보이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정원링(2b) 및 정원링(2c)이 정원링(2a)와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면 물론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 타원형 링으로 보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정원링(2b)보다 그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정원링(2d)의 경우에는 정원링(2b)보다 더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더 넓게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므로 정원링(2b)에 비하여 폭이 넓은 타원형링(2d')으로 보여지게 되고, 상기한 정원링(2c)보다 그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정원링(2e)의 경우에는 정원링(2c)보다 더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더 넓게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므로 정원링(2c)에 비하여 폭이 넓은 타원형링(2c')으로 보여지게 된다.
물론 상기에서와 같이 시선점을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정원링(2a)을 맞추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변해지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고, 만약 시선점을 정원링(2b)에 맞추는 경우에는 정원링(2b)를 중심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정원링이 타원형으로 변화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는 위치에 따라서 변해 보이는 정원이 위치하고 있는 거리에 따라서 어떠한 형상을 가진 타원형으로 변하고 있는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투명한 육면체(3)는 정육면체이여도 가능하고 직육면체이여도 가능할 것이며, 첨부한 도면 도 4의 경우와 같이 중공체의 원기둥체(11)로 구성하여 그 내부에 다수개의 정원링(2)을 고정하거나 첨부한 도면 도 5의 경우와 같이 그 외주면에 정원띠(12)를 다수개 부착하는 방법에 의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에도 상기한 결합되는 다수개의 정원링(2)이나 정원띠(12)를 등간격으로 하여도 될 것이고, 등간격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목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첨부한 도면 도 6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절단링(13)을 구성하여 다수개로 구성한 중공체의 절단 원기둥(14)을 서로 교대로 접착하는 방법에 의하여 구성하여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첨부한 도면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중공체의 원기둥체(11)를 굴곡의 원기둥체(18)로 구성하여 그 내부 또는 외부에 다수개의 정원링(2)을 삽입하거나 그 외주면에 다수개의 정원띠(12)를 부착하는 방법에 의하여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에는 곡면부(19)에 위치하는 정원링(2) 또는 정원띠(12)의 변화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에서 설명하고 있는 육면체(3),중공체의 원기둥체(11) 및 굴곡의 원기둥체(18)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정원링(2)에 대하여 상기에서는 동일한 크기의 것이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첨부한 도면 도 22 내지 도 2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육면체(3) 및 중공체의 원기둥체(1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크기를 가진 작은정원링(99)를 내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작은정원링(99)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투명한 별도의 받침대(98)을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작은정원링(99)과 정원링(2)이 서로 혼합 설치된 효과로 인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공간적인 판단을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을 이중 구조화하여 외,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정원이 가지는 공간적 개념을 학습할 수 있게한다.
즉, 투명원기둥체(11)의 내주면측에 구성한 다수개의 정원링(2)과 동일한 위치에 내부정원링(72)을 구성한 투명내부원기둥체(70)를 상기 투명원기둥체(11)의 내부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내삽입하여 고정한 본 발명의 학습교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한 투명내부원기둥체(70)의 내부에 구성되는 내부정원링(72)대신에 내부정원띠(71)를 구성하여 투명내부원기둥체(70)의 외주면에 구성하여도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한 내부정원링(72)이나 내부정원띠(71)를 유색으로 구성하여 투명체를 통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를 평면에서 보는 경우에는 첨부한 도면 도1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투명원기둥체(11)의 정중앙 내부에 구성된 투명내부원기둥체(70)와의 상, 하, 좌, 우간의 거리(L)는 동일하다.
즉, 상기 투명원기둥체(11)와 투명내부원기둥체(70)와의 간격은 모든 방향에서 동일하게 된다.
그런데 첨부한 도면 도 1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한 정원링(2a)에 시선을 맞추고 보는 경우에는 상기한 정원링(2a)은 선(2a')으로 보이게 되고, 그 내부에 있는 내부정원링(72a)은 상기한 정원링(2a)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으므로 이 역시 보이지 않으나 선으로 보이게 된다.
그러나 정원링(2a)의 상, 하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는 또 다른 정원링(2b) 및 정원링(2c)을 보는 경우에는 정원링(2a)에서 시선만을 상,하로 보는 것이 되므로 상기한 정원링(2b) 및 정원링(2c)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폭이 좁은 타원형링(2b',2c')으로 보이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정원링(2b) 및 정원링(2c)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내부정원링(72b) 및 내부정원링(72c)도 내부타원형링(72b',72c')로 보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정원링(2b)보다 그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정원링(2d)의 경우에는 정원링(2b)보다 더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더 넓게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므로 정원링(2b)에 비하여 폭이 넓은 타원형링(2d')으로 보여지게 되고, 상기한 정원링(2c)보다 그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정원링(2e)의 경우에는 정원링(2c)보다 더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더 넓게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므로 정원링(2c)에 비하여 폭이 넓은 타원형링(2e')으로 보여지게 된다.
물론 여기에서도 상기한 상기한 내부정원링(72b)보다 그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내부정원링(72d)의 경우에는 내부정원링(72b)보다 더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더 넓게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므로 내부정원링(72b)에 비하여 폭이 넓은 내부타원형링(72d')으로 보여지게 되고, 상기한 내부정원링(72c)보다 그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내부정원링(72e)의 경우에는 내부정원링(72c)보다 더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더 넓게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므로 내부정원링(72c)에 비하여 폭이 넓은 타원형링(72e')으로 보여지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시선점을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정원링(2a)을 맞추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변해지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고, 만약 시선점을 정원링(2b)에 맞추는 경우에는 정원링(2b)를 중심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정원링이 타원형으로 변화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는 위치에 따라서 변해 보이는 정원이 위치하고 있는 거리에 따라서 어떠한 형상을 가진 타원형으로 변하고 있는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보는 위치를 정면이 아닌 상태에서 상, 하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투명원기둥체(11)와 상기한 투명내부원기둥체(70)는 물론이고 이에 구성된 상기 정원링(2) 및 이와 동일한 위치에 구성된 상기 내부정원링(72)이 모두 타원형으로 보이게 되는 것에 의하여 좌, 우측간거리(A)와 상,하측간거리(B)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보이게 되나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거리임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위치하고 있는 거리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마치 거리가 변경되어 보이게 되는 현상을 본 발명에 의하여 용이하게 교육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를 보여줄 수 있는데 이는 복수개의 정원이 보는 위치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와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정원을 서로 연결하였을때 구성되는 원기둥이 보는 위치에 따라 어떠한 형태로 변화하는지를 용이하게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제2 학습교구(22)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첨부한 도면 제13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투명판(1)으로 육면체(3)를 구성하고, 상기 마주보는 투명판(1)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각각 마주보도록 정원(21)을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를 고정한 본 발명의 제2 학습교구(22)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한 정원(21)은 유색으로 구성하여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하게 할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한 정원(21)을 상기 마주보는 투명판(1)에 각각 구성한 상태에서 투명판(1)의 길이를 따라 각각 등간격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제2 학습교구(22)을 정면에서 보는 경우에는 첨부한 도면 도 1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정원(21a)을 중심으로 보는 경우에는 전방에 위치한 정원(21a)의 내부에 후방에 있는 정원(21b)이 들어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원근에 의하여 후방에 위치한 정원(21b)가 작아 보이기 때문이다.
즉, 상기한 전방에 위치한 정원(21a)와 후방에 위치한 정원(21b)을 서로 연결하면 원기둥으로 보여지게 되는데 이때 후방의 정원(21b)가 작아져 보이기 때문에 결국 서로 직경이 동일한 원기둥이 첨부한 도면 도 1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기둥(23)으로 보여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원근에 따라 정원이 변하는 형태와 함께 원기둥이 어떠한 형상을 가진 원기둥으로 변화하는지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을 정면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보는 경우에는 첨부한 도면 도 1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정원(21)이 타원형으로 보이게 되고, 첨부한 도면 도 1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그 보는 위치를 측면으로 이동하면 할 수록 상기한 정원(21)은 시각적으로 더욱더 폭이 좁은 타원형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변화되어 보이는 전방의 정원(21a)과 후방의 정원(21b)을 서로 연결하여 보는 경우에는 타원형 원기둥(24)으로 보이게 된다.
이렇게 공간에서 정원이 변화되는 형상을 보는 위치를 바꾸어 가면서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원근감과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정원의 형상 및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정원을 서로 연결하였을 때 원기둥이 타원의 원기둥으로 변화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공간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배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학습교구(22)을 세운 상태에서가 아니라 첨부한 도면 도면 도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눕힌 상태에서도 정면으로 보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정원(21a)을 중심으로 보는 경우에는 전방에 위치한 정원(21a)의 내부에 후방에 있는 정원(21b)이 들어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원근에 의하여 후방에 위치한 정원(21b)가 작아 보이기 때문이다.
즉, 상기한 전방에 위치한 정원(21a)와 후방에 위치한 정원(21b)을 서로 연결하면 원기둥으로 보여지게 되는데 이때 후방의 정원(21b)가 작아져 보이기 때문에 결국 서로 직경이 동일한 원기둥이 첨부한 도면 도 1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기둥(23)으로 보여지게 된다.
그리고 첨부한 도면 도 1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보는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 후에 정원(21)을 보는 경우(본 발명에서는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봄)에는 상기한 정원(21)이 타원형으로 보이게 되고, 그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전방의 정원(21a)보다 후방에 있는 정원(21b)가 작게 보이게 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하게 되면 타원형 원기둥(24)으로 변화된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학습교구(22)는 공간에서 정원이 변화되는 형상을 보는 위치를 바꾸어 가면서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원근감과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정원의 형상 및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정원을 서로 연결하였을 때 원기둥이 타원의 원기둥으로 변화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공간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배가 할 수 있다.
한편, 육면체를 입체적으로 도시하기 위해서는 모서리와 모서리를 서로 선으로 연결하는 방법에 의하여 그 형상을 도시할 수 있는데, 전방의 선은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뒷면에 숨어있는 선이 보이지 않게 되어 점선으로 도시할 필요가 있으나 이 점선의 도시하기 위해서는 공간을 이해하여야만 정확하게 육면체를 도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육면체를 입체적으로의 이해와 함께 용이하게 도시할 수 있도록 한 교구를 첨부한 도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학습교구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판(1)으로 육면체(3)를 구성하고, 그 내부면 또는 그 외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수평띠(30)를 부착하여 상기한 수평띠(30)에 의하여 다수개의 분할육면체(34)가 구성되도록 한 본 발명의 제3 학습교구(31)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한 수평띠(30)은 유색으로 구성하여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하게 할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에는 육면체를 입체적으로 도시할 때, 투명판(1)을 통하여 보게 되면 그 분할된 분할 육면체(34)가 수평띠(30)에 의하여 구분이 되면서도 후방에 있는 수평띠(30)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육면체를 용이하게 도시할 수 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육면체가 공간에서 존재하고 있는 형태를 평면으로 용이하게 도시할 수 있도록 공간 이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 도 2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다수개로 분할한 투명분할육면체(32)를 구성하고, 다시 폭이 작은 불투명 육면체(33)를 다수개 구성하여 이들을 서로 교대로 접착하는 방법에 의하여도 본 발명의 제3 학습교구(31)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불투명 육면체(33)은 상기한 수평띠(30)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결국에는 상기와 같은 동일한 작용에 의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위에서 예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입체적인 육면체를 평면상에서는 어떻게 도시하여야 한다는 것과 입체적인 육면체를 다른 위치에서 보았을때 상기에서 이미 여러차례 언급하고 있는 바와 같은 원근감의 이해를 도울수 있음을 물론이고 이에 언급하지 않았으나 여려가지 형태의 교육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위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창출되는 여러가지 효과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설명하지 않은 다른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일일이 열거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작용 및 효과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물론이다.
1 : 투명판 2 : 정원링
3: 육면체 11 : 중공체의 원기둥체
12 : 정원띠 13 : 절단링
14 : 절단 원기둥 18 : 굴곡의 원기둥체
21 : 정원 30 : 수평띠
32 : 투명분할육면체 33 : 불투명 육면체
34 : 분할육면체

Claims (2)

  1. 학습용 교구에 있어서,
    투명판(1)으로 육면체(3)를 구성하고, 상기 투명판(1)이 서로 마주보는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각각 마주 보도록 정원(21)을 서로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원(21)은 유색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
KR1020120107231A 2012-09-26 2012-09-26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 KR101221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231A KR101221535B1 (ko) 2012-09-26 2012-09-26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231A KR101221535B1 (ko) 2012-09-26 2012-09-26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791A Division KR20120032243A (ko) 2010-09-28 2010-09-28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426A KR20120125426A (ko) 2012-11-15
KR101221535B1 true KR101221535B1 (ko) 2013-01-10

Family

ID=4751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231A KR101221535B1 (ko) 2012-09-26 2012-09-26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5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0363U (ko) * 1981-05-08 1982-11-16
US4595369A (en) * 1985-03-08 1986-06-17 Downs Arthur R Educational and amusement device
JPH03125376U (ko) * 1990-03-30 1991-12-18
KR20100085444A (ko) * 2009-01-20 2010-07-29 김종길 입체도형 단면 관찰용 교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0363U (ko) * 1981-05-08 1982-11-16
US4595369A (en) * 1985-03-08 1986-06-17 Downs Arthur R Educational and amusement device
JPH03125376U (ko) * 1990-03-30 1991-12-18
KR20100085444A (ko) * 2009-01-20 2010-07-29 김종길 입체도형 단면 관찰용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426A (ko) 201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74211S1 (en) Panel with stripe pattern
USD721400S1 (en) Educational potty training calendar
USD746994S1 (en) Ultrasound applicator coupling bandage assembly
USD673062S1 (en) Laser distance meter
USD774926S1 (en) Time-measuring instrument
USD834095S1 (en) Game board for an educational game
USD838397S1 (en) Indicator light panel for a sound masking system
USD840822S1 (en) Container
USD890361S1 (en) Laboratory instrument
CA167594S (en) Multifunctional earphone
CA138840S (en) Double wall core colour center display module
USD715079S1 (en) Color center display array
CA169821S (en) Product display
USD799362S1 (en) Adaptable bracelet device
KR101221535B1 (ko)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
KR101268507B1 (ko)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
KR20120125427A (ko)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
USD825667S1 (en) Educational set of children's dice blocks
KR20120123004A (ko)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
KR20120125425A (ko)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
KR20120125428A (ko)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
KR20120032243A (ko)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이해용 학습교구
USD671603S1 (en) Set of zero through nine character dolls
KR101327702B1 (ko) 학습용 교구
USD822561S1 (en) Gear shift kno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